KR20180064137A -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 - Google Patents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137A
KR20180064137A KR1020160164396A KR20160164396A KR20180064137A KR 20180064137 A KR20180064137 A KR 20180064137A KR 1020160164396 A KR1020160164396 A KR 1020160164396A KR 20160164396 A KR20160164396 A KR 20160164396A KR 20180064137 A KR20180064137 A KR 20180064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s
main body
coupled
protrusions
batter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080B1 (ko
Inventor
이충열
김성도
Original Assignee
이충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열 filed Critical 이충열
Priority to KR1020160164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080B1/ko
Publication of KR20180064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12Roto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 B64C2201/127
    • B64C2201/1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에 관한 발명으로, 카메라 모듈부, 카메라 모듈부에 결합된 본체부, 본체부에 결합되되,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상호 90° 각도로 이격된 복수 개의 암 및 암에 구비된 프로펠러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암의 일단부가 본체부와 힌지 결합되어, 복수 개의 암이 본체부의 수평축과 수직축 사이의 회전 반경 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쿼드콥터를 지상에서 캠코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Quad copter with switchable camcorder handle}
본 발명은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에 관한 발명으로, 본체부와 힌지 결합된 복수 개의 암이 본체부의 수평축과 수직축 사이의 회전 반경 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복수 개의 암이 본체부의 수직축과 평행하도록 접혀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쿼드콥터를 지상에서 캠코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쿼드콥터(quad copter)는 드론의 일 종류로, 4개의 프로펠러를 이용해 뜨고 추진하는 멀티콥터이다. 쿼드콥터는 4개의 프로펠러의 상대적인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기체의 자세와 움직임을 제어한다.
기존의 촬영용 쿼드콥터 구조는 컴퓨터, 짐벌, 카메라 및 배터리가 탑재되는 중심부와 방사형으로 전개되어 각 종단에 4개의 모터 및 프로펠러를 장착하는 4개의 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심부와 암은 유니바디 구조 혹은 접이식 구조로 연결되며 프로펠러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체 프레임의 길이는 프로펠러의 길이 2배 이상이다. 암 끝 단의 모터와 연결된 프로펠러의 양력으로 공중에서 쿼드콥터의 위치와 카메라 구도를 변화시켜 영상촬영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쿼드콥터는 공중에서만 촬영이 가능하므로 지상에서 촬영이 필요한 경우, 쿼드콥터를 이용하여 촬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쿼드콥터의 프레임 구조는 공중촬영만을 상정하여 고안되었고 방사형으로 펼쳐진 암으로 인해 휴대성이 심각하게 저하된다. 또한, 공중에서 정지비행을 하기 위한 종래의 쿼드콥터는 최소한의 자체중량과 중력가속도의 곱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소모하기 때문에 사용시간이 짧으며,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 및 휴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휴대성 및 사용시간이 개선되고, 지상에서도 촬영 가능한 쿼드콥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와 힌지 결합된 복수 개의 암이 본체부의 수평축과 수직축 사이의 회전 반경 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복수 개의 암이 본체부의 수직축과 평행하도록 접혀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지상에서 캠코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쿼드콥터는 카메라 모듈부, 카메라 모듈부에 결합된 본체부, 본체부에 결합되되,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상호 90° 각도로 이격된 복수 개의 암 및 암에 구비된 프로펠러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암의 일단부가 본체부와 힌지 결합되어, 복수 개의 암이 본체부의 수평축과 수직축 사이의 회전 반경 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쿼드콥터는 복수 개의 암이 본체부의 수직축과 평행하도록 위치될 때, 복수 개의 암의 측부가 상호 맞닿게 되어 복수 개의 암 전체가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쿼드콥터는, 복수 개의 암의 둘레를 따라 단턱부가 형성되고, 단턱부에 걸림결합되되, 복수 개의 암의 타단부를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쿼드콥터는, 복수 개의 암이 본체부의 수평축과 평행하도록 위치될 때, 본체부 및 복수 개의 암의 상면에 결합되어 가압하는 배터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쿼드콥터의 배터리 모듈의 하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본체부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부와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쿼드콥터는, 복수 개의 돌출부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의 일단부에 고정핀이 결합되고, 고정핀이 돌출부 및 돌기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쿼드콥터의 복수 개의 암의 일단부와 본체부는 래칫 기어를 통해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쿼드콥터의 본체부에는, 래칫 기어의 홈에 삽입 가능하되, 본체부의 수직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한 복수개의 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암이 본체부의 수평축과 수직축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므로, 복수 개의 암이 펼쳐졌을 때는 공중에서 비행하여 촬영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암이 접혀졌을 때는 캠코더로 활용되어 지상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쉽게 수동으로 촬영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 형상으로 인해 캠코더 촬영 시의 안정성이 증가한다.
또한, 돌출부와 돌기부의 슬라이딩 결합구조로 배터리 모듈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편의성이 증대되며, 결합이 견고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핀의 개폐를 통해 배터리 모듈의 결합 강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배터리 모듈 하나로 복수 개의 암의 펼침 상태를 고정함과 동시에 쿼드콥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탈부착이 편리한 덮개부를 통해 복수 개의 암의 접힘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칫 기어에 의해 복수 개의 암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불요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의 승,하강 구조로 인해 복수 개의 암의 고정 위치를 손쉽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 링크 돌출부 및 베이스 부 홈 구조로 인해 복수 개의 암의 펼침 또는 접힘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쿼드콥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쿼드콥터의 접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쿼드콥터의 본체부와 복수 개의 암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과 본체부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돌출부와 본체부의 돌기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쿼드콥터의 본체부와 복수 개의 암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쿼드콥터의 래칫기어와 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쿼드콥터의 덮개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쿼드콥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쿼드콥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쿼드콥터는 크게 카메라 모듈부(100), 본체부(200), 암(300), 프로펠러부(400) 및 배터리 모듈(500)로 구성된다. 이때, 쿼드콥터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설명을 위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카메라 모듈부(100)는 촬영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도 2 참조). 촬영부(110)는 내부에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내장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촬영부(110)와 연결되고, 배터리 모듈(500)로부터 촬영부(110) 내의 카메라에 전원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3축 짐벌 제어보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비행 컴퓨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촬영부(110)는 구 형상으로 표현하였으나, 반드시 구 형상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본체부(200)는 카메라 모듈부(100)의 상면에 결합된다. 다만 도 1을 기준으로 '상면'인 것으로, 쿼드콥터가 캠코더로 사용되어 반대로 뒤집힐 경우, '하면'이 될 수 있다. 본체부(200)는 본체부 바디(210) 및 베이스부(220)를 포함한다. 본체부 바디(210)는 배터리 모듈(500)로부터 제어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220)는 본체부 바디(210)의 상면에 결합된다. 베이스부(220)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정사각형 형상의 베이스부 중심부를 기준으로, 정사각형의 4 개의 측면에 각각 한 쌍의 본체부 링크(2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 쌍의 본체부 링크(221) 간은 베이스부 중심부의 측면을 따라서 상호 90° 각도로 이격되게 된다. 한 쌍의 본체부 링크(221)는 후술할 암 링크(230)와 힌지 결합이 된다. 따라서, 각각의 본체부 링크(221)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힌지축(600)이 관통되도록 양 측부에 홀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 링크(221)의 간격보다 더 길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 쌍의 암 링크(230)는 본체부 링크(221)와 결합되고, 이와 동시에 힌지축(600)이 한 쌍의 본체부 링크(221) 및 한 쌍의 암 링크(230)를 관통하여 힌지 결합이 이루어 진다. 따라서, 후술할 암 링크(230)는 힌지축(60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베이스부(220)의 상면에는 한 쌍의 돌기부(230) 및 본체부 커넥터(240)가 결합된다. 한 쌍의 돌기부(230) 및 본체부 커넥터(240)에 관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6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암(30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암 바디(310), 암 바디(310)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본체부 링크(221)와 힌지 결합되는 암 링크(230) 및 암 바디(310)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후술할 구동부(410)의 모터가 삽입되는 암 홈(330)을 포함한다. 암 링크(23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본체부 링크(221)와 힌지축(600)을 통해 결합된다.
암 바디(310)의 타단부에는 쿼드콥터의 구동을 위한 프로펠러부(400)가 결합된다. 프로펠러부(400)는 구동부(410) 및 프로펠러(420)를 포함하며, 프로펠러(420)는 구동부(410)에 결합되어 구동부(410)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구동부(410)의 모터는 전술한 암 홈(330)에 삽입된다.
암(300)은 본체부(200)에 결합되되, 본체부(200)의 둘레를 따라 상호 90° 각도로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 1을 기준으로, 암(300)의 암 바디(310)는 제1 암 바디(310a), 제2 암 바디(310b), 제3 암 바디(310c) 및 제4 암 바디(310d)를 포함한다. 각각의 암바디의 형상은 동일하므로, 편의상 암 바디만을 도면부호를 달리 하였다.
암 바디(310)는 본체부(200)의 베이스부(220)의 측면 둘레를 따라 90° 각도로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각각의 암 바디(310)의 일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암 링크(230)는 베이스부(220)의 측면 둘레를 따라 90° 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본체부 링크(221)에 힌지 결합된다. 즉, 본체부(200)를 중심으로 암 바디(310)는 방사형으로 결합된다. 본체부(200)에 결합된 암 바디 간은 수평축(P, 도 2 참조)을 기준으로 각도를 지니되,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암(300)은 본체부(200)의 베이스부(220)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다. 이때, 복수 개의 암(300)은 본체부(200)의 수평축(P)과 수직축(V) 사이의 회전 반경 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복수 개의 암(300)이 펼쳐졌다 함은, 방사형으로 최대로 펼쳐져 수평축(P)과 평행하도록 위치 되는 것이고, 본 발명에서 복수 개의 암(300)이 접혔다 함은, 복수 개의 암(300)이 수직축(V)과 평행하도록 위치 되어 복수 개의 암(300) 전체가 원통형 손잡이 형상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수평축(P)과 수직축(V)사이의 회전 반경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함은, 힌지축(600)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암(300)이 접힘 및 펼침 동작의 수행이 가능함을 말하며, 복수 개의 암(300)의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의 각도가 90°인 것을 말한다. 사용자는 수동으로 접힘과 펼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은 복수 개의 암(300)이 펼쳐졌을 때의 도면이며, 도 2는 복수 개의 암(300)이 접혀졌을 때의 도면이다. 복수 개의 암(300)이 펼쳐졌을 때는 공중에서 비행하여 촬영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암(300)이 접혀졌을 때는 캠코더로 활용되어 지상 촬영할 수 있다.
지상에서 캠코더로 활용되는 접힘 상태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의 확대도는 접힘 상태의 쿼드콥터의 상부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복수 개의 암 바디(310a 내지 310d) 각각은, 상부 단면이 반원형이고, 수직축(V)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암(300)이 도 2와 같이 접힘 상태가 되는 경우, 복수 개의 암(300)의 측부가 상호 맞닿게 되어, 복수 개의 암 전체가 원통 형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지상에서 사용자가 복수 개의 암(300)을 캠코더용 손잡이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도 2의 사용자의 손(H) 참조). 공중에서 촬영하는 경우에는 복수 개의 암(300)을 펼침 상태로 하고, 지상에서 촬영하는 경우에는 수동적으로 복수 개의 암(300)을 접어 손잡이 형상을 만든 후, 카메라 모듈부(100)를 이용하여 쿼드콥터를 캠코더로 활용할 수 있다. 캠코더로 활용되는 경우 지상에서의 촬영구도 및 기술에 제한이 없으며, 공중 비행을 위한 배터리 소모가 불요하여 배터리를 아낄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 형상으로 인해 캠코더 촬영 시 안정성이 증가하여 쿼드콥터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동 변환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장치 없이 손쉽게 공중 촬영 모드 또는 지상 촬영 모드로 쿼드콥터를 전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도 2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손(H)의 위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며, 잡는 형태는 반드시 도 2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때, 공중촬영을 위해 복수 개의 암(300)이 펼쳐지는 경우, 펼쳐지는 복수 개의 암(300)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며, 지상촬영을 위해 복수 개의 암(300)이 접히는 경우, 접혀지는 복수 개의 암(300)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펼쳐지는 복수 개의 암(300)을 고정하는 배터리 모듈(500)이 구비되고, 접혀지는 복수 개의 암(300)을 고정하는 덮개부(900)가 구비된다.
도 4는 배터리 모듈(500)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배터리 모듈(500)과 본체부(200)의 결합 과정을, 도 6은 배터리 모듈(500)의 돌출부(520)와 본체부(200)의 돌기부(231)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배터리 모듈(500)은 배터리 본체부(510), 돌출부(520), 고정핀(530) 및 가압부(540)를 포함한다. 본체부(510)는 내부에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며, 도 4에서 일 예로 직육면체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본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 본체부(510)의 상면의 중심부에는 돌출부(520)가 결합된다. 돌출부(520)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쌍의 돌출부(52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각각이 평행하도록 위치된다. 한 쌍의 돌출부(520)를 각각 편의상 제1 돌출부(521) 및 제2 돌출부(522)라 지칭한다. 또한, 한 쌍의 돌출부(520) 사이에서, 전원을 전달하는 배터리 커넥터(550)가 한 쌍의 돌출부(520)와 수직되도록 결합된다.
제1 돌출부의 하부(521b)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돌출부(521)의 측부(521a)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돌출부(522)도 제1 돌출부(521)와 마찬가지로, 제2 돌출부의 하부(522b)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제2 돌출부(522)의 측부(522a)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부(200)의 베이스부(220)의 상면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부(230)와 슬라이딩 결합된다(도 5 참조).
베이스부(220) 상면에 형성된 돌기부(230)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쌍의 돌기부(23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각각이 평행하도록 위치된다. 한 쌍의 돌기부(230)를 각각 편의상 제1 돌기부(231) 및 제2 돌기부(232)라 지칭한다. 또한, 한 쌍의 돌기부(230) 사이에서, 전원을 전달하는 본체부 커넥터(240)가 한 쌍의 돌기부(230)와 수직되도록 결합된다.
제1 돌기부의 하부(231b)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돌기부(231)의 측부(231a)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돌기부(232)도 제1 돌기부(231)와 마찬가지로, 제2 돌기부의 하부(232b)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제2 돌기부(232)의 측부(232a)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배터리 모듈(500)이 본체부(200)와 결합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배터리 모듈(500)의 상면은 본체부(200)와 결합될 때, 뒤집어진 상태에서 결합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본체부(200)에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돌출부(520)는 한 쌍의 돌기부(230)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되어 배터리 모듈(500)이 본체부(200)와 결합시, 제1 돌출부의 하부(521b) 및 제2 돌출부의 하부(522b)는 배터리 제1 돌기부의 측부(231a) 및 제2 돌기부의 측부(232a)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제1 돌출부의 측부(521a) 및 제2 돌출부의 측부(522a)는 제1 돌기부의 하부(231b) 및 제2 돌기부의 하부(232b)에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구조는 배터리 모듈(500)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편의성이 증대되며, 또한, 돌출된 부분과 오목된 부분이 맞닿게 되어 결합되므로 결합이 견고해져 안전성 및 내구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배터리 모듈(500)의 한 쌍의 돌출부(520)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의 일단부에는 고정핀(53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기준으로 하면, 어느 하나의 돌출부는 제1 돌출부(521)로 가정한다. 고정핀(530)은 돌출부(520) 및 돌기부(23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핀(530)의 하단은 돌출부(520) 및 돌기부(530)의 단부와 맞닿아 돌출부(520) 및 돌기부(530)를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 방식으로 배터리 모듈(500)과 본체부(200)의 결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다른 실시예로, 도 6과 같이 고정핀(530)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고정핀 회전축(531)이 형성되어 회전축(531)을 중심으로 고정핀(530)이 배터리 모듈(500)의 상면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고정핀(530)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해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6은 배터리 모듈(500)과 본체부(200)가 결합된 후, 본체부(200) 상면의 베이스부(220)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부(230) 및 본체부 커넥터(240)와, 배터리 모듈(500)에 결합된 한 쌍의 돌출부(520) 및 배터리 커넥터(550)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 쌍의 돌출부(520) 사이에 한 쌍의 돌기부(230)가 위치되고, 본체부 커넥터(240)는 배터리 커넥터(550)와 맞닿게 된다. 이때, 고정핀(530)이 한 쌍의 돌출부(520)와 수직되는 위치가 되어 폐쇄하는 형태가 되면, 고정핀(530)의 하측부는 한 쌍의 돌기부(230)의 일단부와 맞닿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 커넥터(550)와 본체부 커넥터(240)의 결합되어 배터리 커넥터(550)의 하 방향 움직임(도 6기준)이 제한되고, 고정핀(530)이 한 쌍의 돌기부(230)와 맞닿아 한 쌍의 돌기부(230)의 상 방향 움직임(도 6 기준)이 제한된다. 이러한 움직임을 제한하는 구조로 인해, 배터리 모듈(500)과 본체부(20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어 안정성이 증대된다. 또한, 회전을 통해 개폐가 이루어 지므로, 배터리 모듈(500)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고정핀(530)을 개방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배터리 모듈(500)의 탈착이 쉬운 장점이 있다.
도 4를 기준으로, 배터리 모듈(50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가압부(540)가 형성된다. 가압부(540)는 배터리 모듈(500)의 상면에서 돌출된 형상이다. 이때, 복수 개의 가압부(540)는 배터리 모듈(500)이 본체부(200)에 결합되는 경우, 복수 개의 가압부(540)가 복수 개의 암(300)을 각각 가압할 수 있도록 배터리 모듈(500)의 상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가압부(540a 내지 540d)는 각각 복수 개의 암 바디(301a 내지 310d)를 가압한다. 쿼드콥터의 공중 비행 중 복수 개의 암(300)은 항상 펼쳐져 있어야 하므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500)로 인해 복수 개의 암(300)을 상시 펼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500)은 복수 개의 암(300)을 펼쳐지게 함과 동시에 쿼드콥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복수 개의 암(300)의 펼침 상태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불필요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쿼드콥터의 덮개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쿼드콥터의 복수 개의 암(300)의 접힘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덮개부(9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복수 개의 암(300)이 접힘 상태가 되면, 복수 개의 암(300) 전체는 원통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복수 개의 암(300)의 타단부는, 복수 개의 암(300)의 둘레를 따라 단턱부(3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턱부(340)는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단턱부 돌출부(341) 및 단턱부 돌출부(341)의 하부에 위치되고,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파인 단턱부 홈(342)을 포함한다.
이때, 캡 형상의 덮개부(900)는 메인 덮개(910) 및 단턱부 결합부(920)를 포함한다. 메인 덮개(910)의 꼭지 부근은 프로펠러(420)의 말단부 까지 덮개 되며, 메인 덮개(910)의 하부는 단턱부 홈(342)을 따라 결합된다. 이때, 단턱부(34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덮개부(900)에는 단턱부 결합부(9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캠코더로 활용하기 위해 복수 개의 암(300)을 접힘 상태로 위치시키면, 덮개부(900)를 결합하여 복수 개의 암(300)의 접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덮개부(900)는 사용자가 손쉽게 탈착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쿼드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쿼드콥터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쿼드콥터와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다. 다만, 일 실시예의 힌지축(600)이 아닌 래칫 기어(700)가 결합되고, 래칫 기어(700)의 홈(710)에 삽입되는 폴(800) 및 본체부 바디(210)에 형성된 링(250)이 추가되는 차이점이 있다.
래칫 기어(700)란, 폴(800,pawl)의 작용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을 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운동이 불가능한 역진방지 톱니바퀴를 말한다. 래칫 휠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서의 래칫 기어(700)는 폴(800)이 기어의 바깥쪽에 있는 외치 래칫형이며, 복수 개의 홈(710) 및 기어 본체(7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래칫 기어(700)가 베이스부(220)에 결합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적인 힌지 결합형태가 되어 복수 개의 암(300)은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부(200)의 수평축(P) 및 수직축(V) 사이의 회전 반경 내에서 회전하여 펼침 또는 접힘 상태가 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와는 달리 복수 개의 암(300)의 일 방향 회전시, 복수 개의 폴(800)이 홈(710)에 삽입되므로 타 방향 회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일 실시예와는 달리 복수 개의 암(30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폴(800)은 폴 본체(810), 폴 본체(810)에서 본체부(200)의 외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폴 돌출부(820) 및 폴(8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스프링(830)을 포함한다. 이때, 폴 돌출부(820)는 일방향으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 돌출부(820)의 경사에 대응되고, 폴 돌출부(820)와 폴 본체(810) 사이에 형성된 단턱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링 돌출부(251)를 내측에 포함하는 링(250)이 본체부 바디(2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기준으로, 홈(710)에 결합된 폴(800)이 하강하면 홈(710)에 폴(800)이 맞물리지 않아 복수 개의 암(300)의 자유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래칫 기어(700)의 작용으로 복수 개의 암(300)의 위치를 고정하되, 필요 시 폴(800)을 하강시켜 복수 개의 암(300)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어 편의성이 증가한다. 이때, 링(250)을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링(250)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링 돌출부(251)가 폴 돌출부(820)를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하고, 폴 돌출부(820)를 가압하여 폴(800)을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링 돌출부(251)가 폴 돌출부(820)에 맞물리지 않도록 링(25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폴(800)을 상승시킬 수 있어 복수 개의 암(300)을 재 고정하기 용이하다(도 8의 참고도 참조).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쿼드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쿼드콥터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쿼드콥터와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다. 다만, 암(300)의 암 링크(230)의 단부에 암 링크 돌출부(321)가 형성되고, 베이스부(220)에 암 링크 돌출부(321)에 회전 반경을 수용하는 베이스부 홈(222)이 형성되는 차이점이 있다.
복수 개의 암(300)의 접힘 상태를 기준으로, 암 링크(230)의 하단부에서 하 방향으로 암 링크 돌출부(321)가 연장 형성된다. 암 링크 돌출부(321) 또한 암(300)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여 회전하고, 암 링크 돌출부(321)의 회전 반경을 수용하도록 베이스부 홈(222)이 베이스부(220)에 형성된다.
이때, 암 링크 돌출부(321)의 단부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베이스부(220)의 외측부에 걸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암(300)의 접힘 상태 시, 단턱부가 베이스부(220)에 걸림결합되어 복수 개의 암(300)의 접힘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부 홈(222)의 일단부는 베이스부(220)의 수평축(P)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암(300)의 펼침 상태 시, 암 링크 돌출부(321)가 베이스부(220)의 수평축(P)과 평행한 베이스부 홈(222)의 일단부에 수용되어 복수 개의 암(300)의 펼침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카메라 모듈부 200...본체부
300...암 400...프로펠러부
500...배터리 모듈 600...힌지축
700...래칫 기어 800...폴
900...덮개부

Claims (8)

  1. 카메라 모듈부;
    상기 카메라 모듈부에 결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되,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상호 90° 각도로 이격된 복수 개의 암; 및
    상기 암에 구비된 프로펠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암의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암이 상기 본체부의 수평축과 수직축 사이의 회전 반경 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암이 상기 본체부의 상기 수직축과 평행하도록 위치될 때,
    상기 복수 개의 암의 측부가 상호 맞닿게 되어 상기 복수 개의 암 전체가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암의 둘레를 따라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에 걸림결합되되, 상기 복수 개의 암의 타단부를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쿼드콥터는,
    상기 복수 개의 암이 상기 본체부의 상기 수평축과 평행하도록 위치될 때,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암의 상면에 결합되어 가압하는 배터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의 하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와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의 일단부에 고정핀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돌기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암의 일단부와 상기 본체부는 래칫 기어를 통해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래칫 기어의 홈에 삽입 가능하되, 상기 본체부의 수직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한 복수 개의 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
KR1020160164396A 2016-12-05 2016-12-05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 KR101874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396A KR101874080B1 (ko) 2016-12-05 2016-12-05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396A KR101874080B1 (ko) 2016-12-05 2016-12-05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137A true KR20180064137A (ko) 2018-06-14
KR101874080B1 KR101874080B1 (ko) 2018-07-03

Family

ID=6262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396A KR101874080B1 (ko) 2016-12-05 2016-12-05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0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5316A (zh) * 2019-06-09 2019-08-23 西北工业大学 一种变质心控制共轴双螺旋桨垂直起降飞行器及其控制方法
WO2020122433A1 (ko) * 2018-12-11 2020-06-18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형 접이식 날개가 구비된 드론
KR20200121678A (ko) * 2019-04-16 2020-10-26 백남용 공중과 수중에서의 형태적 변환을 갖는 드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337B1 (ko) * 2021-08-06 2023-02-28 주식회사 라온비아이엠 하이브리드 기능이 구현된 안전사고 방지용 드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433A1 (ko) * 2018-12-11 2020-06-18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형 접이식 날개가 구비된 드론
KR20200121678A (ko) * 2019-04-16 2020-10-26 백남용 공중과 수중에서의 형태적 변환을 갖는 드론
CN110155316A (zh) * 2019-06-09 2019-08-23 西北工业大学 一种变质心控制共轴双螺旋桨垂直起降飞行器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080B1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080B1 (ko)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
US10625857B2 (en) Self-enclosed air vehicle
JP7285847B2 (ja) 無人航空機
KR101456035B1 (ko) 멀티로터형 무인비행기의 로터암장치
KR101866191B1 (ko) 휴대용 접이식 드론
KR102251183B1 (ko) 원격 제어식 패킹가능 로봇
US20170225782A1 (en) Stowable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0400939B2 (en) Gimbal and locking structure
CN110410629B (zh) 云台组件及手持云台
JP6690096B2 (ja) 折り畳み式無人機
KR102251186B1 (ko) 원격 제어식 패킹가능 로봇
KR101823782B1 (ko) 구체형 드론
WO2020237463A1 (zh) 可折叠的手持云台
US11089198B2 (en) Remote controller and photographing device
KR102110911B1 (ko) 접이식 날개를 구비한 무인항공기
ES2573664T3 (es) Juguete con las alas plegables retráctiles
KR102314218B1 (ko) 정찰용 접이식 드론
WO2021016903A1 (zh) 手持云台
CN110024367B (zh) 云台拍摄器
CN214165276U (zh) 连接组件、机架及无人机
WO2019041502A1 (zh) 无人飞行器的机臂组件及无人飞行器
CN209725667U (zh) 连接组件及云台设备
CN208315736U (zh) 天线结构及遥控器
WO2022068047A1 (zh) 云台稳定器
WO2022068048A1 (zh) 云台稳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