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131B1 - 수송용 드론 - Google Patents
수송용 드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5131B1 KR102605131B1 KR1020230056278A KR20230056278A KR102605131B1 KR 102605131 B1 KR102605131 B1 KR 102605131B1 KR 1020230056278 A KR1020230056278 A KR 1020230056278A KR 20230056278 A KR20230056278 A KR 20230056278A KR 102605131 B1 KR102605131 B1 KR 1026051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transport
- coupled
- drone
- tub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2
- 241000219122 Cucurbi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9852 Cucurbita pepo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0006 fl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6—Flying platforms with five or more distinct rotor axes, e.g. octocop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64D1/08—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the articles being load-carrying devices
- B64D1/10—Stowage arrangements for the devices in aircra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60/00—Undercarriages
- B64U60/50—Undercarriages with landing legs
- B64U60/55—Undercarriages with landing legs the legs being also used as ground propul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70/0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 B64U70/80—Vertical take-off or landing, e.g. using rockets
- B64U70/87—Vertical take-off or landing, e.g. using rockets using inflatable cush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송용 드론에 관한 것으로, 드론에 있어서, 상부에 날개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자동차와 같은 수송대상물이 전후 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수송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단에는 공기압에 의해 팽창 및 수축 가능하도록 복수의 튜브가 결합된 부력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체의 하부 둘레를 따라 공기압에 의해 팽창 및 수축되는 튜브가 결합되고, 순차적으로 팽창 및 수축됨으로써, 부력을 통해 수면에 안착 가능한 것은 물론, 수면 위에 전복 시 순차적으로 팽창 및 수축됨에 따라 수면 위로 떠오르게 하여 침수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송용 드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와 같은 수송대상물과 결합되어 수송대상물과 함께 주행되거나, 수송대상물을 비행으로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송용 드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군수산업에서 시작된 드론(drone)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를 말한다.
최근에는 드론을 이용하여 군사적, 상업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만, 드론 수요증가 추세로 인하여 드론의 비행 상공 교통량 증가가 예상되며, 그로 인하여 드론의 비행 중 충돌 및 추돌 가능성 증대되고 있다. 또한, 드론의 조정 미숙, 배터리 방전, 고장과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드론의 추락 가능성도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드론의 사용에 따른 상기와 같은 위험성의 증대는 인명 또는 재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드론은 근래 들어, 간편성, 신속성, 경제성 등 여러 이점 때문에, 군사용 외에도, 물류 배송, 재난 구조, 방송 레저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드론은 자동차와 같은 수송대상물의 수송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상이 좋지 못한 상황에서 수송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항로 위로 비행 시 파도나 강풍에 의해 추락하여 침수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자동차와 같은 수송대상물의 수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강풍과 같은 기상악화에도 수송이 가능한 드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항로 위로 비행 시 드론이 물에 빠져 침수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송용 드론은, 드론에 있어서, 상부에 날개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자동차와 같은 수송대상물이 전후 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수송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단에는 공기압에 의해 팽창 및 수축 가능하도록 복수의 튜브가 결합된 부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본체에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커버부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의 하단에는 하방 이동 시 상기 본체에 인입된 상기 날개부를 덮을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는 상기 커버부의 상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비행날개가 결합되고, 상기 비행날개는 상기 커버부의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비행날개가 90도 회동 시 상기 본체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수송공간의 양측으로 지지대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는 이동바퀴가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부 사이에는 지지판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본체가 상기 수송대상물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 및 상기 이동바퀴가 인출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수송대상물이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위치 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부의 튜브는 조롱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부에는 상기 튜브가 각 외측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조절실린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는 각 외측에 위치 시 상기 날개부의 프로펠러와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부의 튜브는 상하 반전 가능하도록 상기 조절실린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튜브가 팽창된 상태로 수면 위에서 전복 시 상기 튜브가 전방에서 후방순을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되었다가 상기 본체가 수직으로 배치될 때 후방에서 전방순을 따라 다시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송용 드론에 따르면, 수송공간의 하방에 위치한 지지판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자동차와 같은 이송대상물의 하면에 밀착됨으로써, 수송대상물이 수송공간에 결합 시 비행으로 수송이 가능한 것은 물론, 수송대상물의 도로 주행을 통한 수송이 가능하여, 비행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수송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체의 하부 둘레를 따라 공기압에 의해 팽창 및 수축되는 튜브가 결합되고, 순차적으로 팽창 및 수축됨으로써, 부력을 통해 수면에 안착 가능한 것은 물론, 수면 위에 전복 시 순차적으로 팽창 및 수축됨에 따라 수면 위로 떠오르게 하여 침수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송용 드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송용 드론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바퀴 및 지지판의 동작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 튜브의 동작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 튜브의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날개부 및 제2 날개부의 배치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날개부 및 제2 날개부의 동작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행날개의 동작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암이 각도고정홈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고정홈의 정면도이 및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판의 저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폐막의 동작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송용 드론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바퀴 및 지지판의 동작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 튜브의 동작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 튜브의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날개부 및 제2 날개부의 배치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날개부 및 제2 날개부의 동작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행날개의 동작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암이 각도고정홈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고정홈의 정면도이 및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판의 저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폐막의 동작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수송용 드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송용 드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송용 드론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바퀴 및 지지판의 동작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 튜브의 동작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 튜브의 동작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날개부 및 제2 날개부의 배치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날개부 및 제2 날개부의 동작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행날개의 동작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암이 각도고정홈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고정홈의 정면도이 및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판의 저면도 및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폐막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송용 드론은 자동차와 같은 수송대상물의 수송은 물론, 도로 및 항로를 통한 수송과, 항로 수송 시 발생되는 침수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송용 드론(100)은, 드론에 있어서, 본체(110), 부력부(120), 제1 날개부(130), 커버부(140) 및 제2 날개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유선형의 긴 형상을 가지며, 자동차와 같은 수송대상물의 수송이 가능하도록 대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의 양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대(111)가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111)의 내부에는 제1 조절실린더(111a) 및 제2 조절실린더(111b)가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111)의 하단에는 상기 제1 조절실린더(111a)에 의해 인입출 가능하도록 이동바퀴(112)가 결합된다.
상기 이동바퀴(112)는 상기 제1 조절실린더(111a)에 의해 상기 지지대(111)의 하단에 인입출된다.
상기 지지대(111)의 하부 사이에는 상기 제2 조절실린더(111b)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지지판(113)이 결합된다.
상기 지지판(113)은 상기 제2 조절실린더(111b)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 시 지면에 밀착된다.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지지대(111) 사이에 수송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송공간은 상기 본체(110)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송공간에는 상기 수송대상물이 수송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바퀴(112)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113)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지면에 밀착되고, 상기 수송대상물이 이동하여 상기 지지판(113)의 상방에 위치 시 상기 지지판(113)이 상승된다.
나아가, 상기 본체(110)의 지지대(111) 내부에는 배터리(114)가 결합된다.
상기 배터리(114)는 상기 지지대(111)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는 제1 구동실린더(115)가 결합된다.
상기 제1 구동실린더(115)에는 실린더로드(115a)가 상기 본체(110)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부력부(120)는 상기 본체(110)에 부력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113)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력부(120)에는 상기 지지판(113)의 하면 중앙에 제1 튜브(122)가 결합된다.
예컨대, 상기 제1 튜브(122)는 매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부력부(120)의 둘레에는 일정 간격을 따라 제3 조절실린더(121)가 결합된다.
상기 제3 조절실린더(121)의 단부에는 제2 튜브(123)가 결합된다.
상기 제2 튜브(123)는 상기 제3 조절실린더(121)의 구동에 따라 각 외측으로 이동된다.
예컨대, 상기 제2 튜브(123)는 조롱박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 튜브(123)는 각 외측으로 이동 시 후술될 제1 프로펠러(133) 및 제2 프로펠러(153)와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2 튜브(123)는 상기 제3 조절실린더(121)의 단부에 상하 방향이 반전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부력부(120)에는 상기 제1 튜브(122) 및 제2 튜브(123)에 공기압이 공급되도록 공기주입부(124)가 결합된다.
상기 공기주입부(124)는 상기 지지판(113)의 하면 일측에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공기주입부(124)는 에어컴프레셔로 형성된다.
상기 공기주입부(124)는 상기 본체(110)가 수면 위에 안착 시 상기 제1 튜브(122) 및 제2 튜브(123)에 일정한 공기압을 공급한다.
상기 공기주입부(124)는 상기 본체(110)가 수면 위에 전복 시 상기 본체(110)가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제2 튜브(123)를 전방에서 후방 순으로 수축시킨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가 수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 튜브(123)를 후방에서 전방 순으로 팽창시켜 상기 본체(110)를 정상으로 되돌린다.
물론, 상기 제2 튜브(123)는 후방에서 전방 순으로 팽창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전방에서 후방이나, 좌우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부(130)는 상기 본체(110)에 추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115)와 연결된다.
상기 제1 날개부(130)에는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따라 제1 구동모터(131)가 복수로 결합된다.
상기 제1 구동모터(131)의 몸체는 상기 본체(110)에 내장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 구동모터(131)는 상기 본체(1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제1 구동모터(131) 각각에는 제1 구동암(13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구동암(132)은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밀착 및 지지된다.
상기 제1 구동암(132)은 각각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본체(110)의 상면 내에 위치되어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110)의 상면 외부로 회전되어 인출된다.
상기 제1 구동암(132)의 각 단부에는 제1 프로펠러(133)가 결합된다.
상기 제1 프로펠러는 상기 제1 구동암의 상하방으로 이중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1 구동암은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인입 시 상기 제1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1 구동암이 인입 시 상하 방향으로 이중으로 배치된 제1 프로펠러가 상기 본체의 상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구동암(132)은 상기 본체(110) 내에 인입되도록 회전 시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 및 상기 본체(1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커버부(140)는 인입된 상기 제1 날개부(130)를 덮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11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140)는 상기 본체(110)의 상면과 대응 또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140)의 하단에는 상기 제1 날개부(130)를 덮을 수 있도록 공간부(141)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140)의 하단 둘레에는 인출된 상기 제1 날개부(130)의 제1 구동암(132)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제1 구동암(132)을 고정하기 위한 각도고정홈(142)이 형성된다.
상기 각도고정홈(142)은 후술될 제2 구동암(152)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각도고정홈(142)에는 내벽을 따라 길이 서브고정홈(142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구동암(132) 및 제2 구동암(152) 각각에는 상기 서브고정홈(142a)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서브고정홈(142a)에 결합되도록 제1 고정판(132a) 및 제2 고정판(152a)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140)는 상기 공간부(141)를 통해 인입된 상기 제1 날개부(130)를 덮도록 하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커버부(140)는 상기 제1 날개부(130)가 인출 가능하도록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커버부(140)는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날개부(130)가 인출된 후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각도고정홈(142)을 통해 상기 제1 구동암(132)을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커버부(140)의 공간부(141)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판(143)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판(143)은 상기 공간부(141)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실린더로드(116a)가 관통되도록 관통공(143a)이 형성된다.
상기 하판(143)은 상기 공간부(141)의 내측 상면에 설치된 제2 구동실린더(144)와 연결된다.
상기 하판(143)은 상기 제2 구동실린더(144)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공간부(141)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하판(143)은 상기 커버부(140)가 하방에 위치 시 상기 제1 날개부(130)의 상단에 밀착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제2 날개부(150)는 상기 제1 날개부(130)와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하판(143)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115)와 연결된다.
상기 제2 날개부(150)에는 상기 하판(143)의 하면에 일정 간격을 따라 상기 제2 구동모터(151)가 복수로 결합된다.
상기 제2 구동모터(151)는 상기 하판(143)에 내장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2 구동모터(151)는 상기 하판(14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제2 구동모터(151)는 상기 하판(143)의 둘레 중 인접한 상기 제1 구동모터(13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구동모터(151) 각각에는 제2 구동암(15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구동암(152)은 상기 하판(143)의 하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2 구동암(152)은 각각 회전됨에 따라 상기 하판(143)의 하면 내에 위치되어 인입되거나, 상기 하판(143)의 외부로 회전되어 인출된다.
상기 제2 구동암(152)의 각 단부에는 제2 프로펠러(153)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구동암(132) 및 제2 구동암(152) 각각은 서로 일정한 가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 프로펠러(133) 및 제2 프로펠러(153)가 작동 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 구동암(152)은 상기 하판(143) 내에 인입되도록 회전 시 서로 평행하게 배치 및 상기 제1 구동암(132)과 평면상에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구동암(152)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140)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구동암(132) 사이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구동암(132)과 평면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2 프로펠러는 상기 제2 구동암의 상하방으로 이중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2 구동암은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인입 시 상기 제2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하판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2 구동암이 인입 시 상하 방향으로 이중으로 배치된 제2 프로펠러가 상기 하판의 하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가 커버부(140)의 상면에는 상기 커버부(140)의 상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비행날개(160)가 결합된다.
상기 비행날개(160)는 일정속도 이상에서 프로펠러가 정지되더라도 양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버부(140)의 상면에 별도의 실린더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비행날개(160)는 상기 커버부(140)의 상면에 포개지도록 밀착되거나 일정 높이로 상승된다.
상기 비행날개(160)는 별도의 모터에 의해 상기 커버부(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비행날개(160)는 90도의 회전 반경을 가지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14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거나 양측에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비행날개(160)는 드론이 일정속도로 비행 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140)의 하단 둘레에는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풍절음을 억제하거나 내부로 습기 및 우수가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패킹부재(P1)가 결합된다.
상기 제1 패킹부재(P1)는 상기 각도고정홈(142)에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구동암(132)의 상단 및 제2 구동암(152)의 하단에는 제2 패킹부재(P2)가 결합된다.
상기 제2 패킹부재(P2)는 상기 제1 구동암(132)이 상기 하판(143)과 밀착되거나, 상기 제2 구동암(152)이 상기 본체(110)와 밀착 시 충격이 완화되고 소음이 억제된다.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는 상기 각도고정홈(142)과 마주보는 위치에 탄성에 의해 인입출되어 인출 시 상기 각도고정홈(142)을 차폐시키는 차폐막(113)이 결합된다.
상기 차폐막(113)의 하단에는 탄성체(114)가 결합된다.
상기 차폐막(113)은 탄성에 의해 상방으로 인출되고, 외력에 의해 가압 시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차폐막(113)은 인접한 제1 구동암(132)의 회전 시 상기 제1 구동암(132)에 가압되어 상기 본체(1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기 제1 구동암(132), 제2 구동암(152) 및 각도고정홈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송용 드론에 따르면, 수송공간의 하방에 위치한 지지판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자동차와 같은 이송대상물의 하면에 밀착됨으로써, 수송대상물이 수송공간에 결합 시 비행으로 수송이 가능한 것은 물론, 수송대상물의 도로 주행을 통한 수송이 가능하여, 비행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수송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체의 하부 둘레를 따라 공기압에 의해 팽창 및 수축되는 튜브가 결합되고, 순차적으로 팽창 및 수축됨으로써, 부력을 통해 수면에 안착 가능한 것은 물론, 수면 위에 전복 시 순차적으로 팽창 및 수축됨에 따라 수면 위로 떠오르게 하여 침수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드론 110: 본체
111: 지지대 111a: 제1 조절실린더
111b: 제2 조절실린더 112: 이동바퀴
113: 지지판 114: 배터리
115: 제1 구동실린더 115a: 실린더로드
120: 부력부 121: 제3 조절실린더
122: 제1 튜브 123: 제2 튜브
124: 공기주입부 130: 제1 날개부
131: 제1 구동모터 132: 제1 구동암
133: 제1 프로펠러 140: 커버부
141: 공간부 142: 각도고정홈
143: 하판 143a: 관통공
144: 제2 구동실린더 150: 제2 날개부
151: 제2 구동모터 152: 제2 구동암
153: 제2 프로펠러 160: 비행날개
111: 지지대 111a: 제1 조절실린더
111b: 제2 조절실린더 112: 이동바퀴
113: 지지판 114: 배터리
115: 제1 구동실린더 115a: 실린더로드
120: 부력부 121: 제3 조절실린더
122: 제1 튜브 123: 제2 튜브
124: 공기주입부 130: 제1 날개부
131: 제1 구동모터 132: 제1 구동암
133: 제1 프로펠러 140: 커버부
141: 공간부 142: 각도고정홈
143: 하판 143a: 관통공
144: 제2 구동실린더 150: 제2 날개부
151: 제2 구동모터 152: 제2 구동암
153: 제2 프로펠러 160: 비행날개
Claims (8)
- 드론에 있어서,
상부에 날개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자동차와 같은 수송대상물이 전후 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수송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단에는 공기압에 의해 팽창 및 수축 가능하도록 복수의 튜브가 결합된 부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본체에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커버부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의 하단에는 하방 이동 시 상기 본체에 인입된 상기 날개부를 덮을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는 상기 커버부의 상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비행날개가 결합되고,
상기 비행날개는 상기 커버부의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비행날개가 90도 회동 시 상기 본체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드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수송공간의 양측으로 지지대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는 이동바퀴가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부 사이에는 지지판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드론.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본체가 상기 수송대상물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 및 상기 이동바퀴가 인출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수송대상물이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위치 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드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의 튜브는 조롱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드론.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에는 상기 튜브가 각 외측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조절실린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드론.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각 외측에 위치 시 상기 날개부의 프로펠러와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드론.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의 튜브는 상하 반전 가능하도록 상기 조절실린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드론.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튜브가 팽창된 상태로 수면 위에서 전복 시 상기 튜브가 전방에서 후방순을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되었다가 상기 본체가 수직으로 배치될 때 후방에서 전방순을 따라 다시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드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56278A KR102605131B1 (ko) | 2023-04-28 | 2023-04-28 | 수송용 드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56278A KR102605131B1 (ko) | 2023-04-28 | 2023-04-28 | 수송용 드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5131B1 true KR102605131B1 (ko) | 2023-11-23 |
Family
ID=8897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56278A KR102605131B1 (ko) | 2023-04-28 | 2023-04-28 | 수송용 드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5131B1 (ko)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147484A2 (en) * | 2007-02-16 | 2008-12-04 | Donald Orval Shaw | Modular flying vehicle |
WO2017143501A1 (en) * | 2016-02-22 | 2017-08-31 | SZ DJI Technology Co., Ltd. | Foldable multi-rotor aerial vehicle |
CN107719666A (zh) * | 2016-08-11 | 2018-02-23 | 肖凤伟 | 两栖无人机 |
KR101866191B1 (ko) | 2016-12-20 | 2018-06-11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휴대용 접이식 드론 |
EP3345831A1 (en) * | 2015-09-01 | 2018-07-11 |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 Drone capable of varying propeller arrangement shape |
KR102133412B1 (ko) | 2018-12-24 | 2020-07-13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휴대용 접이식 드론 |
KR102314218B1 (ko) | 2021-04-06 | 2021-10-18 | 주식회사 보라스카이 | 정찰용 접이식 드론 |
KR102328509B1 (ko) | 2015-01-04 | 2021-11-17 | 베이징 제로 제로 인피니티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 접이식 드론 |
US20220185475A1 (en) * | 2015-12-08 | 2022-06-16 | Mark Bradford FOLEY | Handheld aircraft with adjustable components |
KR20230005005A (ko) * | 2021-06-30 | 2023-01-09 | 주식회사 드론프릭 | 캐리어 드론 |
-
2023
- 2023-04-28 KR KR1020230056278A patent/KR1026051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147484A2 (en) * | 2007-02-16 | 2008-12-04 | Donald Orval Shaw | Modular flying vehicle |
US20090008499A1 (en) * | 2007-02-16 | 2009-01-08 | Donald Orval Shaw | Modular flying vehicle |
KR102328509B1 (ko) | 2015-01-04 | 2021-11-17 | 베이징 제로 제로 인피니티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 접이식 드론 |
EP3345831A1 (en) * | 2015-09-01 | 2018-07-11 |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 Drone capable of varying propeller arrangement shape |
US20220185475A1 (en) * | 2015-12-08 | 2022-06-16 | Mark Bradford FOLEY | Handheld aircraft with adjustable components |
WO2017143501A1 (en) * | 2016-02-22 | 2017-08-31 | SZ DJI Technology Co., Ltd. | Foldable multi-rotor aerial vehicle |
CN107719666A (zh) * | 2016-08-11 | 2018-02-23 | 肖凤伟 | 两栖无人机 |
KR101866191B1 (ko) | 2016-12-20 | 2018-06-11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휴대용 접이식 드론 |
KR102133412B1 (ko) | 2018-12-24 | 2020-07-13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휴대용 접이식 드론 |
KR102314218B1 (ko) | 2021-04-06 | 2021-10-18 | 주식회사 보라스카이 | 정찰용 접이식 드론 |
KR20230005005A (ko) * | 2021-06-30 | 2023-01-09 | 주식회사 드론프릭 | 캐리어 드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40654B2 (en) | Amphibious aerial vehicle | |
US11535372B2 (en) | Method of navigating an amphibious aerial vehicle on water | |
ES2726178T3 (es) | Tren de aterrizaje de múltiples posiciones | |
ES2240456T3 (es) | Vehiculo aereo hibrido. | |
MX2012002147A (es) | Vehiculo convertible para uso en carretera, aire y agua. | |
CN101678895A (zh) | 飞机的改进 | |
KR101473570B1 (ko) | 엔진내장형 수륙양용 에어보트 | |
CN105358428A (zh) | 混合动力垂直起降运载工具 | |
US3132825A (en) | Space-atmosphere vehicle | |
CN103770589A (zh) | 飞行汽车 | |
KR102605131B1 (ko) | 수송용 드론 | |
JP7112141B2 (ja) | 変角型揚力調節方式の翼を装着した第3世代航空機 | |
US20190054993A1 (en) | Flying object with multi-purpose landing gear module | |
US6019312A (en) | Airship tail fin construction for improved control | |
US20240092336A1 (en) | Ground-effect hovercraft vehicle with retractable wings | |
WO2004074063A1 (fr) | Vehicule amphibie a effet de sol a coussin d'air | |
KR102608605B1 (ko) | 날개 접이식 드론 | |
ES2560352B1 (es) | Vehículo anfibio volador de despegue vertical | |
CN110562407A (zh) | 空铁渡船 | |
US11772439B2 (en) | Amphibious vehicle with retractable floaters | |
ES2647505B1 (es) | Vehículo volador de despegue vertical | |
CN220565039U (zh) | 应急车载装配式门桥 | |
CN213292687U (zh) | 一种牵引式飞艇 | |
CN215752741U (zh) | 一种模块化电动车辆及充电装置 | |
CA3113512C (en) | Amphibious vehicle with retractable float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