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515B1 - 접이식 드론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접이식 드론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515B1
KR102009515B1 KR1020180017733A KR20180017733A KR102009515B1 KR 102009515 B1 KR102009515 B1 KR 102009515B1 KR 1020180017733 A KR1020180017733 A KR 1020180017733A KR 20180017733 A KR20180017733 A KR 20180017733A KR 102009515 B1 KR102009515 B1 KR 102009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support member
upper body
rotor
ro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환
살바짓 폴
김현우
장기철
김상훈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7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30Parts of fuselage relatively movable to reduce overall dimensions of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12Roto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가 설치되어 있는 몸체를 일정 각도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드론을 사용할 때에는 복수의 로터가 펼쳐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드론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복수의 로터가 겹쳐져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여 휴대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접이식 드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드론은,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지면(地面)에 대해 연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와 상부몸체 간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수단; 상기 하부몸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로터, 및 상기 각각의 제1로터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1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제1로터유닛; 및, 상기 상부몸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와 겹쳐지거나 일정 각도로 이격되는 제2지지부재, 상기 제2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로터와, 상기 각각의 제2로터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제2로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드론 및 그 작동 방법{Foldable Drone And Method for Work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가 설치되어 있는 몸체를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드론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복수의 로터가 겹쳐져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드론을 사용할 때에는 복수의 로터가 펼쳐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게 한 접이식 드론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Drone)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형태의 무인항공기(UAV : unmanned aerial vehicle / uninhabited aerial vehicle)의 총칭이다. 드론은 군사용으로서, 연습사격의 표적으로 사용되거나 정찰, 감시와 대잠공격 등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2010년대를 전후하여서는 군사적 용도 외 다양한 민간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다.
민간 분야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드론을 이용한 방송 촬영, 드론을 이용한 취미 영상 촬영, 드론의 조종에 대한 교육 등이 있다. 이러한 이용 중에, 드론을 일반인, 학생들이 직접 제작하는 교육이나 취미 활동도 가능하다.
드론의 종류에는 이륙과 착륙 방식에 따른 분류로 고정익을 갖는 활주 이착륙 비행체와 회전익을 갖는 승강 이착륙 비행체로 대별된다.
회전익 드론은 원격 조정자에 의해 시계 내에서 취미용도로 확산되고 있으나 근래에는 이륙 중량이 크지 않은 화물, 서류, 책자 및 구급약품 등 다양한 화물을 원격지에 공급(배달)하는 개념이 실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회전익 드론은 복수의 날개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넓게 배치된다. 따라서, 회전익 드론의 전체 부피가 크기 때문에 보관과 이동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에 등록특허 제10-1527544호 등에는 로터가 설치되어 있는 아암(arm)을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접이식 드론이 개시되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접이식 드론은 아암과 몸체를 연결하는 힌지 부분의 구조가 복잡하고, 잦은 파손이나 고장이 발생하여 드론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885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75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603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로터가 설치되어 있는 몸체를 일정 각도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드론을 사용할 때에는 복수의 로터가 펼쳐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드론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복수의 로터가 겹쳐져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여 휴대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접이식 드론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드론은,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지면(地面)에 대해 연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와 상부몸체 간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수단; 상기 하부몸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로터, 및 상기 각각의 제1로터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1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제1로터유닛; 및, 상기 상부몸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와 겹쳐지거나 일정 각도로 이격되는 제2지지부재, 상기 제2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로터와, 상기 각각의 제2로터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제2로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드론의 작동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상부몸체를 하부몸체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서로 겹쳐지게 하는 단계
(b) 제2구동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2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제2로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로터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에 의해 상부몸체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지지부재가 제1지지부재와 일정 각도로 이격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몸체가 하부몸체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부몸체에 설치된 복수의 로터와 하부몸체에 설치된 복수의 로터가 서로 겹쳐지거나 어긋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드론의 전체 부피를 축소하여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드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드론의 일부 구성을 제거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드론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드론의 하부몸체를 절단하여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드론의 상부몸체를 절단하여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드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드론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드론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접이식 드론 및 그 작동 방법을 후술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드론은 하부몸체(10), 하부몸체(10)의 상부에 지면(地面)에 대해 연직한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몸체(20), 하부몸체(10)와 상부몸체(20) 간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수단, 하부몸체(10)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양력을 발생시키는 제1로터유닛, 상부몸체(20)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양력을 발생시키는 제2로터유닛을 포함한다.
하부몸체(10)는 대체로 원통형상을 가지며, 측면에 제1로터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2개의 설치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홈(15)은 하부몸체(10)의 양측면을 관통하게 형성되며, 하부몸체(10)의 하부면에는 상기 설치홈(15) 내측으로 연통되는 복수의 나사체결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로터유닛은 상기 하부몸체(10)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부재(31)와, 상기 제1지지부재(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이 실시예에서 2개)의 제1로터(32), 및 상기 각각의 제1로터(32)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1구동모터(33)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재(31)는 하부몸체(10)에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하부몸체(10)의 설치홈(15)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1지지부재(31)는 상기 설치홈(15)과 대응하는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기다란 바아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끝단부에 상기 제1로터(32) 및 제1구동모터(33)가 설치된다. 제1지지부재(31)는 하부몸체(10)와 개별체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하부몸체(10)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부몸체(20)는 하부몸체(10)와 대체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하부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21)의 외면에는 하부몸체(10)에 대해 상부몸체(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50)이 설치된다. 상부몸체(20)가 하부몸체(10)에 대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몸체(20)의 하부면에 원반형의 회동부(22)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부면에 상기 회동부(2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형의 회동부수용홈(12)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회동부수용홈(12)의 내경은 상기 회동부(22)의 외경보다 미세하게 큰 크기를 갖게 되어 상부몸체(20)가 회전할 때 회동부(22)가 회동부수용홈(12) 내측에서 안내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상부몸체(20)의 측면에는 제2로터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2개의 설치홈(25)이 18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홈(25)은 상부몸체(20)의 양측면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20)에도 180도로 이격된 2개의 제2로터(42)를 갖는 제2로터유닛이 설치된다. 상기 제2로터유닛은 상기 상부몸체(20)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2지지부재(41)와, 상기 제2지지부재(41)의 양쪽 끝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이 실시예에서 2개)의 제2로터(42)와, 상기 각각의 제2로터(42)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2구동모터(43)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지지부재(41)는 하부몸체(10)에 대한 상부몸체(20)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겹쳐지거나 일정 각도(이 실시예에서 90°)로 이격된다. 제2지지부재(41)가 제1지지부재(31)와 겹쳐지게 되면 제2로터(42)가 제1로터(32)와 겹쳐지면서 드론의 크기가 최소화되어 사용자가 쉽게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제2지지부재(41)가 제1지지부재(31)와 일정 각도로 어긋나면 제2로터(42)가 제1로터(32)에 대해 일정 각도로 어긋나면서 드론이 비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하부몸체(10)에 2개의 제1로터(32)가 180도 간격으로 구비되고, 상부몸체(20)에 2개의 제2로터(42)가 180도 간격으로 구비되므로, 상부몸체(20)가 하부몸체(10)에 대해 90도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지지부재(41) 및 제2로터(42)가 제1지지부재(31) 및 제1로터(32)와 겹쳐지거나 90도 간격으로 어긋나게 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41)는 제1지지부재(31)와 마찬가지로 설치홈(25)과 대응하는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기다란 바아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끝단부에 상기 제2로터(42) 및 제2구동모터(43)가 설치된다. 제2지지부재(41)는 상부몸체(20)와 개별체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하부몸체(10)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상부몸체(20)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2지지부재(41) 및 제2로터(42)가 제1지지부재(31) 및 제1로터(32)와 정확한 위치에서 겹쳐지고 일정한 각도로 어긋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몸체(20)와 하부몸체(10) 사이에 하부몸체(10)에 대한 상부몸체(2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수단이 마련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하부몸체(10)의 상부면에 일정 각도(대략 90도) 범위로 형성된 원호 형태의 가이드홈(13)과, 상부몸체(20)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부몸체(20)가 하부몸체(10)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홈(13)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이드홈(13)의 양끝단부에 접촉하는 스톱퍼돌기(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13)은 상기 회동부수용홈(12)의 양측에 2개의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돌기(23)는 2개의 회동부(22)의 양측에 18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회전제한수단이 구성됨에 따라, 상부몸체(20)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하부몸체(10)에 대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부몸체(20)에 형성된 스톱퍼돌기(23)가 하부몸체(10)에 형성된 가이드홈(13)을 따라 이동하다가 가이드홈(13)의 어느 한 끝단부에 부딪히게 되면 이 위치에서 회전이 제한되어 제2지지부재(41) 및 제2로터(42)가 제1지지부재(31) 및 제1로터(32)와 겹쳐진다. 그리고 상부몸체(20)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하부몸체(10)에 대해 반대편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부몸체(20)에 형성된 스톱퍼돌기(23)가 하부몸체(10)에 형성된 가이드홈(13)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다가 가이드홈(13)의 다른 한 끝단부에 부딪히게 되면 이 위치에서 회전이 제한되어 제2지지부재(41) 및 제2로터(42)가 제1지지부재(31) 및 제1로터(32)와 90도로 어긋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하부몸체(10)에 회동부수용홈(12) 및 가이드홈(13)이 형성되고, 상부몸체(20)에 회동부(22) 및 스톱퍼돌기(23)가 형성되었지만, 이와 반대로 하부몸체(10)에 회동부(22) 및 스톱퍼돌기(23)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부몸체(20)에 회동부수용홈(12) 및 가이드홈(13)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드론의 비행을 위해 상부몸체(20)가 하부몸체(10)에 대해 회동하여 제2지지부재(41) 및 제2로터(42)가 제1지지부재(31) 및 제1로터(32)와 90도로 어긋날 때, 상부몸체(20)가 하부몸체(10)에 대해 의도치 않게 회전하여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홈(13)의 일측 끝단에 자석(17)이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돌기(23)에 상기 자석(17)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석 또는 금속체(27)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가이드홈(13)에 자석이 설치되지 않고 금속체가 설치될 경우에는 스톱퍼돌기(23)에 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접이식 드론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사용자가 드론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보관이나 이동을 위해 드론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부몸체(20)를 하부몸체(10)에 대해 회전시키면 상부몸체(20)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하부몸체(10)에 대해 회전하다가 상기 스톱퍼돌기(23)가 가이드홈(13)의 일측 끝단에 걸리면 상부몸체(2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 때 상부몸체(20)에 구성된 제2로터유닛의 제2지지부재(41) 및 제2로터(42)가 하부몸체(10)에 구성된 제1로터유닛의 제1지지부재(31) 및 제1로터(32)와 겹쳐지면서 드론의 크기가 최소화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좁은 장소에 보관하거나 휴대하기가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상부몸체(20)의 제2로터유닛과 하부몸체(10)의 제1로터유닛이 겹친 상태(접혀진 상태)에서 드론을 비행시키고자 할 경우, 제2로터유닛의 제2구동모터(43)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2구동모터(43)를 작동시키면, 2개의 제2로터(42)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로터(42)에 의해 일방향으로 토크가 발생하게 되고, 이 토크에 의해 상부몸체(20)가 이전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지지부재(41) 및 제2로터(42)가 제1지지부재(31) 및 제1로터(32)와 일정 각도로 이격된다.
이 때 상부몸체(20)의 스톱퍼돌기(23)에 마련된 금속체(27)가 하부몸체(10)의 가이드홈(13)의 일측 끝단에 마련된 자석(17)과 근접하게 되면 자력에 의해 금속체(27)와 자석(17)이 서로 부착되어 상부몸체(20)가 하부몸체(10)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로터유닛과 제2로터유닛이 겹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부몸체(20)를 수동으로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제2구동모터(43)를 작동시켜 제2로터(42)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상부몸체(20)가 하부몸체(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사용 후 다시 제1로터유닛과 제2로터유닛을 접어서 드론의 부피를 최소화하고자 할 경우, 전술한 것처럼 사용자가 상부몸체(20)를 하부몸체(10)에 대해 회전시키는 힘을 가하면 상기 금속체(27)와 자석(17)이 서로 분리되면서 상부몸체(20)가 회전하여 제1로터유닛과 제2로터유닛이 겹쳐지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로터유닛과 제2로터유닛이 완전히 겹쳐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1로터유닛과 제2로터유닛에 구성되는 구동모터와 로터의 크기가 커서 완전히 겹쳐지기 어려울 경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41)는 대략 5~1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겹쳐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 하부몸체 12 : 회동부수용홈
13 : 가이드홈 15 : 설치홈
16 : 나사체결공 17 : 자석
20 : 상부몸체 21 : 회전축
22 : 회동부 23 : 스톱퍼돌기
25 : 설치홈 26 : 나사체결공
27 : 금속체 31 : 제1지지부재
32 : 제1로터 33 : 제1구동모터
41 : 제2지지부재 42 : 제2로터
43 : 제2구동모터 50 : 베어링

Claims (7)

  1.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지면(地面)에 대해 연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와 상부몸체 간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수단;
    상기 하부몸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로터, 및 상기 각각의 제1로터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1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제1로터유닛; 및,
    상기 상부몸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와 겹쳐지거나 일정 각도로 이격되는 제2지지부재, 상기 제2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로터와, 상기 각각의 제2로터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제2로터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면에 일정 각도 범위로 형성된 원호 형태의 가이드홈과;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부몸체가 하부몸체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이드홈의 양끝단부에 접촉하는 스톱퍼돌기;
    를 포함하는 접이식 드론.
  2. 삭제
  3.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지면(地面)에 대해 연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와 상부몸체 간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수단;
    상기 하부몸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로터, 및 상기 각각의 제1로터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1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제1로터유닛; 및,
    상기 상부몸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와 겹쳐지거나 일정 각도로 이격되는 제2지지부재, 상기 제2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로터와, 상기 각각의 제2로터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제2로터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면에 일정 각도 범위로 형성된 원호 형태의 가이드홈과;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부몸체가 하부몸체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이드홈의 양끝단부에 접촉하는 스톱퍼돌기;
    를 포함하는 접이식 드론.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 끝단 또는 양측 끝단에 자석 또는 금속체가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돌기에 상기 자석 또는 금속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석 또는 금속체가 설치된 접이식 드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하부몸체에 대해 상부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설치된 접이식 드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와 상부몸체에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설치홈이 형성된 접이식 드론.
  7.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접이식 드론의 작동 방법으로,
    (a) 상부몸체를 하부몸체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서로 겹쳐지게 하는 단계;
    (b) 제2구동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2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제2로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로터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에 의해 상부몸체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지지부재가 제1지지부재와 일정 각도로 이격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접이식 드론의 작동 방법.
KR1020180017733A 2018-02-13 2018-02-13 접이식 드론 및 그 작동 방법 KR102009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733A KR102009515B1 (ko) 2018-02-13 2018-02-13 접이식 드론 및 그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733A KR102009515B1 (ko) 2018-02-13 2018-02-13 접이식 드론 및 그 작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515B1 true KR102009515B1 (ko) 2019-08-09

Family

ID=67613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733A KR102009515B1 (ko) 2018-02-13 2018-02-13 접이식 드론 및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5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103B1 (ko) 2021-05-17 2021-08-20 주식회사 보라스카이 폴딩형 수송용 드론
JP7123459B1 (ja) 2022-03-30 2022-08-23 株式会社石川エナジーリサーチ 飛行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035B1 (ko) 2014-09-06 2014-11-04 최종필 멀티로터형 무인비행기의 로터암장치
KR101527544B1 (ko) 2015-01-10 2015-06-10 최종필 접이식 무인비행기
WO2015109322A1 (en) * 2014-01-20 2015-07-23 Robodub Inc. Multicopters with variable flight characteristics
US20170166308A1 (en) * 2015-08-17 2017-06-15 Douglas Desrochers Sonotube Deployable Multicopter
KR101778851B1 (ko) 2015-09-11 2017-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행체 및 비행체의 전원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9322A1 (en) * 2014-01-20 2015-07-23 Robodub Inc. Multicopters with variable flight characteristics
KR101456035B1 (ko) 2014-09-06 2014-11-04 최종필 멀티로터형 무인비행기의 로터암장치
KR101527544B1 (ko) 2015-01-10 2015-06-10 최종필 접이식 무인비행기
US20170166308A1 (en) * 2015-08-17 2017-06-15 Douglas Desrochers Sonotube Deployable Multicopter
KR101778851B1 (ko) 2015-09-11 2017-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행체 및 비행체의 전원제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103B1 (ko) 2021-05-17 2021-08-20 주식회사 보라스카이 폴딩형 수송용 드론
JP7123459B1 (ja) 2022-03-30 2022-08-23 株式会社石川エナジーリサーチ 飛行装置
JP2023152244A (ja) * 2022-03-30 2023-10-16 株式会社石川エナジーリサーチ 飛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32455T3 (es) Conjunto de rotor plegable para aeronaves VTOL de ala fija
EP3241741B1 (en) Foldable unmanned aerial vehicle
ES2925005T3 (es) Vehículo aéreo multirrotor con redundancia para fallo de un solo brazo
EP3684686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co-axial reversible rotors
US8292215B2 (en) Helicopter with folding rotor arms
KR20160131631A (ko) 추력의 방향 설정이 가능한 멀티로터 타입의 무인 비행체
KR102009515B1 (ko) 접이식 드론 및 그 작동 방법
US8844860B2 (en) Foldable rise and stare vehicle
CN112334384A (zh) 用于减少阻力的折叠的同心安装的螺旋桨叶片
EP3345831B1 (en) Drone capable of varying propeller arrangement shape
US9828088B2 (en) Scissoring fold arrangement for dual plane four bladed rotor hubs
US11447258B2 (en) Motor and unmanned aerial vehicle
WO2020211028A1 (zh) 螺旋桨、动力组件及飞行器
WO2019242225A1 (zh) 无人飞行器及其机臂组件和转轴机构
US11608187B2 (en) Single arm failure redundancy in a multi-rotor aerial vehicle with least rotors/propellers
US10870477B1 (en) Foldable arm mechanism for rotary wing aircraft
EP3564119B1 (en) Multi-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US20210024204A1 (en) Rotor mount assembly
WO2022130726A1 (ja) モータユニット及び飛行体
JPWO2022130726A5 (ko)
US115365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gimbal lock avoidance in an aircraft
KR102623939B1 (ko) 드론
KR102277020B1 (ko) 무인 비행체용 틸팅 장치
KR102241710B1 (ko) 고속 기동이 가능한 모듈 타입 무인 비행체
KR101827759B1 (ko) 고기동 자세제어수단을 갖는 무인비행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