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677B1 - 스마트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677B1
KR101778677B1 KR1020110032759A KR20110032759A KR101778677B1 KR 101778677 B1 KR101778677 B1 KR 101778677B1 KR 1020110032759 A KR1020110032759 A KR 1020110032759A KR 20110032759 A KR20110032759 A KR 20110032759A KR 101778677 B1 KR101778677 B1 KR 101778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steering
gea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4915A (ko
Inventor
박창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2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677B1/ko
Priority to CN201210074118.XA priority patent/CN102730061B/zh
Publication of KR20120114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5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7Parking aids, e.g. instruction means
    • B62D15/0285Parking performed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ltimedia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방 주차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스마트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은 핸들 조작에 따른 핸들 조향각 정보를 연산하고, 차량 내 네트워크를 통해 기어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어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이용하여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기어가 R단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의 이동 상태 및 운전자의 주차 의지에 따라 주행 궤적선을 출력함으로써 주차 의지가 없는 상태에서는 후방 영상 정보만을 제공하므로 주차보조 시스템에서 운전자의 주차 의지를 반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 {Smart control method for outputting parking trace}
본 발명은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이동 상태에 따라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목표 위치로 자동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차량이 이동하는 동안 목표 경로와 차량의 현재 위치간의 관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현재 차량 위치를 추정하는 것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현재 차량의 위치 추정은, 요율 센서 및 차륜 속도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차량의 제어된 조향각 및 이동량(이동 거리)을 기초로 한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추정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을 자동으로 주차하는 시스템은 예를 들어, 추정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를 위한 궤적식을 이용하여 이에 따른 조향각을 산출하고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명령 신호에 따라 일정한 각도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수행할 수 있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의 샤프트와 일정한 기어비로 치형 결합되어 일정한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기어부를 구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자동 주차 시스템은 기어가 R단에 위치하는 경우 작동을 개시하여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을 출력하게 되는데, 차량의 이동이 없는 경우, 즉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기어가 R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시 후방 영상에 조향 연동 궤적선을 출력하게 되어, 이로 인해 후방 시야 각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차량 운전자의 주차 의지 및 차량의 상태와 관계 없이 기어가 R단에 위치하면 후방 영상에 조향 연동 궤적선이 출력되므로 운전자가 단순히 차량의 이동 없이 후방 영상을 보고자 할 때, 운전자에게 넓고 깔끔한 후방 영상을 제공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이동을 감지하여, 차량이 이동이 감지된 경우에만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을 출력하는 스마트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은, 핸들 조작에 따른 핸들 조향각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와, 차량 내 네트워크를 통해 기어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어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이용하여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어 정보로부터 상기 차량의 기어가 R단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차량의 기어가 R단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주행 정보로부터 상기 차량의 정지 상태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 상기 차량이 정지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조향각 정보를 후방 영상 정보에 오버 레이(overlay)하여 출력한다.
만약 차량의 정지 상태 여부를 판단 결과, 상기 차량이 이동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차량의 주차 지원 기능 개시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 상기 주차 지원 기능 개시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조향각 정보가 상기 후방 영상 정보에 오버 레이된 화면에 주행 궤적선을 오버 레이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기어가 R단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의 이동 상태 및 운전자의 주차 의지에 따라 주행 궤적선을 출력함으로써 주차 의지가 없는 상태에서는 후방 영상 정보만을 제공하므로 주차보조 시스템에서 운전자의 주차 의지를 반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에 따라 주행 궤적선이 출력되는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에 따라 주행 궤적선이 출력되는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핸들 조작에 따른 핸들 조향각 정보가 연산된다(S110). 이는 핸들 조향각에 따른 후방 영상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차량 운전자가 직접적으로 핸들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따른 핸들 조향각 정보가 연산되어 출력된다.
다음으로 차량의 현재 기어 정보 및 주행 정보가 실시간으로 수집된다(S120). 수집된 현재 차량의 기어 정보 및 주행 정보는 핸들 조향각에 따른 후방 영상 정보에 주행 궤적선을 오버레이(overlay)하여 출력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짓는 인자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간으로 수집된 차량의 현재 기어 정보는 S110 단계에서 연산된 핸들 조향각에 따른 후방 영상 정보를 출력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인자로서, 현재 차량 기어의 위치가 R단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30), 판단 결과 기어의 위치가 R단에 위치하면, 실시간으로 수집된 차량의 주행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판단 결과, 현재 차량이 정지 상태인 경우에는, 즉 차량의 이동이 없는 상태에서 기어가 R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2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조향각 정보가 오버레이된 후방 영상 정보를 출력한다(S150).
만약, 현재 차량이 정지 상태가 아닌 경우라면, 즉, 현재 차량이 이동 중인 상태에서 주차 보조 시스템 기능의 개시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60),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예를 들어, 30초 등) 상기 주차 보조 시스템 기능의 개시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S150 단계로 돌아가 핸들 조향각 정보가 오버레이된 후방 영상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주차 조향 보조 시스템은 설정된 목표 주차 위치에 따라 목표 주차 경로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차량의 목표 위치 및 자세 상태를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핸들의 조향각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차량을 자동으로 주차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주차 조향 보조 시스템은 차량의 현재 운동 자세로부터 이미 설정된 목표 주차 경로를 이용하여 차량의 목표 위치 및 자세 상태를 도출하고, 최종적으로 제어 조향각을 연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조향 장치를 제어하는 신호(즉, 조향각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다.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주차 보조 시스템 기능의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즉 차량의 이동이 있는 상태에서 기어가 R단에 위치하고, 주차 보조 시스템 기능의 개시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도 2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조향각 정보가 오버레이된 후방 영상 정보에 주행 궤적선을 오버레이하여 출력한다(S17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핸들 조작에 따른 핸들 조향각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차량 내 네트워크를 통해 기어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어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이용하여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기어 정보로부터 상기 차량의 기어가 R단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상기 차량의 기어가 R단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주행 정보로부터 상기 차량의 정지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차량이 정지 상태로 확인되면, 주행 궤적선의 출력 없이 상기 조향각 정보만을 후방 영상 정보에 오버 레이(overlay)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정지 상태 여부를 판단 결과, 상기 차량이 이동 상태로 확인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차량의 주차 지원 기능 개시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주차 지원 기능 개시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조향각 정보가 상기 후방 영상 정보에 오버 레이된 화면에 상기 조향각 정보가 반영된 주행 궤적선을 오버 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스마트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
KR1020110032759A 2011-04-08 2011-04-08 스마트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 KR101778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759A KR101778677B1 (ko) 2011-04-08 2011-04-08 스마트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
CN201210074118.XA CN102730061B (zh) 2011-04-08 2012-03-20 后方转向轨迹输出智能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759A KR101778677B1 (ko) 2011-04-08 2011-04-08 스마트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915A KR20120114915A (ko) 2012-10-17
KR101778677B1 true KR101778677B1 (ko) 2017-09-15

Family

ID=4698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759A KR101778677B1 (ko) 2011-04-08 2011-04-08 스마트 후방 조향 연동 궤적선 출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78677B1 (ko)
CN (1) CN102730061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835A (ja) * 2003-02-12 2004-09-02 Calsonic Kansei Corp 並列駐車補助装置
JP2005067566A (ja) * 2003-08-28 2005-03-17 Aisin Seiki Co Ltd 車両後退支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8851B2 (ja) * 1999-08-18 2002-07-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機能車載カメラシステムと多機能車載カメラの画像表示方法
JP4108314B2 (ja) * 2001-10-31 2008-06-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周辺監視装置
CN100366056C (zh) * 2005-09-29 2008-01-30 东风汽车有限公司 一种倒车后视装置
EP2380348A4 (en) * 2008-12-19 2012-06-13 Delphi Tech Inc ELECTRONIC SIDE VIEW INDICATOR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835A (ja) * 2003-02-12 2004-09-02 Calsonic Kansei Corp 並列駐車補助装置
JP2005067566A (ja) * 2003-08-28 2005-03-17 Aisin Seiki Co Ltd 車両後退支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30061A (zh) 2012-10-17
CN102730061B (zh) 2016-03-23
KR20120114915A (ko)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1315B1 (en) Parking assist apparatus for vehicle
US9505436B2 (en) Parking assist system
KR20140085136A (ko) 주차조향 보조시스템
US8816878B2 (en) Parking assist apparatus
US9266562B2 (en) Parking assist device
EP3124361B1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parking assistan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JP4572752B2 (ja) 走行支援装置
KR101491199B1 (ko) 자동차 주차시의 경로 플래닝 방법 및 장치
CN103523016B (zh) 用于在滑行期间运行车辆的方法
US9561721B2 (en) Vehicle acceleration suppression device and vehicle acceleration suppression method
CN103318173A (zh) 车辆的智能停车辅助系统及其控制方法
JP5834058B2 (ja) 駐車支援装置
JP2004322944A (ja) 駐車支援装置
CN102673476B (zh) 基于车辆信息的倒车轨迹辅助装置及其方法
CN109421800B (zh) 转向辅助装置
JP2007331479A (ja) 車両用操舵装置
JP2007001383A (ja) 走行支援装置及び走行支援方法
JP2008174102A (ja) 駐車支援装置
KR101745152B1 (ko) 전자동 주차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20180072284A1 (en) Vehicle parking assist system
WO2021090610A1 (ja) 車両制御装置
CN110546048A (zh) 停车辅助装置
JP5971197B2 (ja) 駐車支援装置
JP2018118593A (ja) 駐車支援装置
JP2010215081A (ja) 運転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