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341B1 -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8341B1 KR101778341B1 KR1020137002277A KR20137002277A KR101778341B1 KR 101778341 B1 KR101778341 B1 KR 101778341B1 KR 1020137002277 A KR1020137002277 A KR 1020137002277A KR 20137002277 A KR20137002277 A KR 20137002277A KR 101778341 B1 KR101778341 B1 KR 1017783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absorbent resin
- added
- aqueous solution
- mas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4—Polymerisation in solution
- C08F2/10—Aqueous solv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2—Polymerisation in water-in-oil emuls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18—Suspension polymeri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52—Amides or imides
- C08F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원은,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 더 상세하게는,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해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료 성분, 특히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에서 유래하는 취기가, 종래 기술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와 비교하여 더욱 저감된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원은,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서 역상 현탁 중합시켜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기의 공정: (A)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를 가열 분산 또는 가열 용해시킨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에,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를 함유하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을 교반 하에 첨가하여 계면활성제 비존재 하에서 일차 분산시키고, (B) 일차 분산 후에 얻어진 분산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추가로 이차 분산시키고, 이어서 (C)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수성(吸水性)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해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료 성분, 특히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에서 유래하는 취기가, 종래 기술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와 비교하여 더욱 저감된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수지는 종이 기저귀, 생리용 냅킨 등의 위생 재료, 페트 시트 등의 일용품, 식품용 흡수 시트, 케이블용 지수재(止水材) 등의 공업 재료, 녹화/농업/원예 전용의 보수제(保水劑) 등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종이 기저귀, 생리용 냅킨 등의 위생 재료는, 일반적으로 탑 시트, 백 시트, 핫 멜트 접착제, 신축재, 흡수성 수지, 펄프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고, 많은 합성 수지나 개질제가 사용되어, 원료 성분에서 유래하는 취기가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이들 위생 재료는 인체에 착용되기 때문에 약간의 취기라도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므로, 무취화가 요망되고 있다.
이들 위생 재료에 있어서의 구성 재료 중에서 흡수성 수지에 대해서도, 그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질에서 유래하는 취기가 약간 있고, 흡수 시에 발산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취기의 저감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위생 재료에 이용되는 흡수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전분-아크릴산 그래프트 중합체의 중화물, 전분-아크릴로나이트릴 그래프트 중합체의 가수분해물, 아세트산바이닐-아크릴산에스터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등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수용액 중합법, 역상 현탁 중합법 등이 알려져 있지만, 수용성 단량체를 분산매에 현탁시켜 중합하는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흡수성 수지의 경우, 그 취기의 주된 원인은 분산매에서 유래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흡수성 수지를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해 제조하는 종래 기술로서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석유계 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α,β-불포화 카복실산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 수용액을 내부 가교제의 존재 하 또는 비존재 하에 중합시키는 데 있어서, 수크로스지방산에스터를 보호 콜로이드제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특허문헌 1 참조)이나,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석유계 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α,β-불포화 카복실산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의 25질량% 이상의 수용액을 내부 가교제의 존재 하 또는 부존재 하에 중합시키는 데 있어서, 계면활성제로서 HLB 2∼16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법(특허문헌 2 참조) 등이 알려져 있지만, 이들 제조 기술은 어느 것도 취기의 저감에 착안하고 있지 않고, 얻어진 흡수성 수지의 취기는 충분히 낮은 것은 아니었다.
또한, 흡수성 수지의 취기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여, 본 발명자들은, 역상 현탁 중합법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고 있는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수용액을 분산시키고, 얻어진 분산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추가로 분산시킨 후, 중합하는 것에 의해(특허문헌 3 참조), 또는 2단 이상의 다단의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함에 있어서, 1단째의 역상 현탁 중합에서,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을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에 분산시켜 얻어진 분산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특허문헌 4 참조), 흡수 시의 분산매 유래의 취기를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이들 종래 기술의 방법에서는, 다량의 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경우, 흡수 시에 분산매 유래의 취기가 감지되는 경우가 있어, 한층더 취기의 저감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더 상세하게는,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해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료 성분, 특히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에서 유래하는 취기가, 종래 기술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와 비교하여 더욱 저감된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흡수성 수지가 흡수했을 때의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에서 유래하는 취기와, 흡수성 수지의 제조 시에 사용된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의 관계 등을 예의 검토한 결과, 역상 현탁 중합에 의한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비존재이면서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 존재 하에,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을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에 일차 분산시키는 데 있어서, 그 단량체 수용액 중에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를 존재시키는 것에 의해, 종래 기술에 의해 얻어진 흡수성 수지와 비교하여 취기가 유의하게 저감되고, 또한 큰 입자 직경을 갖는 단입자(單粒子)의 흡수성 수지가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에 관한 것이다.
항 1.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서 역상 현탁 중합시켜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기의 공정:
(A)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를 가열 분산 또는 가열 용해시킨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에,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를 함유하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을 교반 하에 첨가하여 계면활성제 비존재 하에서 일차 분산시키고,
(B) 일차 분산 후에 얻어진 분산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추가로 이차 분산시키고, 이어서
(C)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항 2. 계면활성제가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터, 수크로스지방산에스터 및 솔비탄지방산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1에 기재된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항 3.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가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산화형 폴리에틸렌, 산화형 폴리프로필렌 및 산화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항 4.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아크릴산 및 그의 염, 메타크릴산 및 그의 염, 및 아크릴아마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항 5.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가 탄소수 6∼8의 지방족 탄화수소 및 지환족 탄화수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6.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가 폴리바이닐알코올 및 폴리바이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7. 항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
본 발명에 의하면, 원료 성분, 특히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에서 유래하는 취기가 더욱 저감된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역상 현탁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의 흡수 시의 취기의 원인은, 주로 흡수성 수지 입자 내에 잔존한 분산매이다. 분산매가 흡수성 수지 입자에 잔존하는 메커니즘으로서는, 단량체 수용액을 분산매에 교반 등에 의해 분산시킬 때에, 유상(油相)인 분산매가 단량체 수용액의 액적 내에 취입된 형상의 액적, 즉 O/W/O(유/수/유)형 액적이 발생하고, 이 O/W/O형 액적이 안정화된 채로 중합되는 것에 의해, 분산매를 내포한, 말하자면 캡슐 형상의 흡수성 수지 입자가 발생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고 있음을 본 발명자들은 발견했다.
본 발명의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은,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하는 데 있어서, 계면활성제 비존재이면서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 존재 하에,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을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에 일차 분산시킬 때, 그 단량체 수용액 중에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를 존재시킴으로써, O/W/O(유/수/유)형 액적의 발생을 종래보다도 억제시키고, 이어서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추가로 이차 분산시킨 후,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중합시키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O/W/O형 액적이란, (Oil in Water) in Oil의 약기이며, 유상의 미세 액적이 수상(水相) 액적 중에 분산되어 있고, 그 수상 액적이 다시 유상에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즉, 최내 유상, 중간 수상, 최외 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원에서는, 분산매 중(유상)에 존재하는 단량체 수용액(수상)의 액적 중에, 더욱 작은 분산매(유상)의 액적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더 상세히 말하면, 본원은 다음의 (A)∼(C)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정(A):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를 가열 분산 또는 가열 용해시킨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에,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를 함유하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을 교반 하에 첨가하여 계면활성제 비존재 하에서 일차 분산시키고,
공정(B): 일차 분산 후에 얻어진 분산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추가로 이차 분산시키고, 이어서
공정(C):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한다.
이들 역상 현탁 중합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잔존하는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량이 저감된 흡수성 수지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잔존하는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량」(잔존 분산매량)이란,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본 발명은, 그 공정(A)에서,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를 함유하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이후, 달리 언급이 없는 경우 「단량체 수용액」은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을 가리킨다)을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이후, 달리 언급이 없는 경우 「분산매」는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를 가리킨다)에, 계면활성제 비존재 하이면서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 존재 하에서 혼합 및 분산시키는 「일차 분산」과, 그 다음의 공정(B)에서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계면활성제에 의한 분산 안정화를 도모하는 「이차 분산」의 2공정으로 단량체 수용액을 분산시키고,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O/W/O형 액적의 발생을 종래보다도 억제하는 것에 의해 잔존 분산매량을 저감하는 것이다.
공정(A)에서 이용되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을 의미한다. 이하 동일〕, 2-(메트)아크릴아마이드-2-메틸프로페인설폰산, 말레산 등의 산기를 갖는 단량체 및 그들의 염;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메틸올 (메트)아크릴아마이드 등의 비이온성 불포화 단량체; 다이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및 그들의 4급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중에서,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공업적으로 입수가 용이한 관점에서 (메트)아크릴산 및 그의 염, (메트)아크릴아마이드를 들 수 있다.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산기를 갖는 경우, 산기를 중화하여 염으로 해서 이용해도 좋다.
산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화하여 염으로 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알칼리성 화합물로서는, 리튬, 나트륨, 칼륨, 암모늄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산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화하는 경우, 그 중화도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산기의 30∼9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화도가 30몰%보다 낮은 경우, 산기가 이온화되기 어렵고, 흡수능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중화도가 90몰%를 초과하면, 위생 재료로서 사용되는 경우, 안전성 등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중화의 타이밍은 단량체 상태에서 행하는 것이 균일도의 관점에서 일반적이지만, 단량체 중합 후의 폴리머에 상기 알칼리성 화합물을 첨가하여 중화를 행하는, 이른바 후중화를 병용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수용액으로서 사용된다.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의 단량체 농도는 20질량%∼포화 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에는, 필요에 따라 연쇄 이동제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연쇄 이동제로서는, 예를 들면 싸이올류, 싸이올산류, 제2급 알코올류, 차아인산, 아인산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로서는, 예를 들면 n-헥세인, n-헵테인, 2-메틸헥세인, 3-메틸헥세인, 2,3-다이메틸펜테인, 3-에틸펜테인, n-옥테인 등의 탄소수 6∼8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이클로헥세인, 메틸사이클로헥세인, 사이클로펜테인, 메틸사이클로펜테인, trans-1,2-다이메틸사이클로펜테인, cis-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테인, trans-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테인 등의 지환족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공업적으로 입수가 용이한 점과 안전성의 관점에서, n-헥세인, n-헵테인, 2-메틸헥세인, 3-메틸헥세인, n-옥테인 등의 탄소수 6∼8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이클로헥세인, 메틸사이클로펜테인 및 메틸사이클로헥세인 등의 탄소수 6∼8의 지환족 탄화수소가 보다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들 탄화수소 분산매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나아가, 이들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W/O형 역상 현탁의 상태가 양호하고, 적합한 입자 직경이 얻어지기 쉽고, 공업적으로 입수가 용이하면서 품질이 안정적인 관점에서, n-헵테인, 사이클로헥세인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상기 탄화수소의 혼합물의 예로서, 시판되고 있는 엑솔(Exxsol) 헵테인(엑손모빌사제: n-헵테인 및 이성체의 탄화수소 75∼85% 함유) 등을 이용해도 적합한 결과가 얻어진다.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의 사용량은,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중합 온도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통상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 100질량부에 대하여 50∼60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60∼40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70∼200질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공정(A)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비존재 하에서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을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에 첨가하여 일차 분산시킬 때에,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의 존재 하에 분산시킴으로써,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의 잔존량을 보다 낮은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로서는, 사용하는 상기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에 대하여 용해 또는 분산되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점도 평균 분자량으로서 20,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인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산화형 폴리에틸렌, 산화형 폴리프로필렌, 산화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셀룰로스, 에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무수 말레인화 폴리뷰타다이엔, 무수 말레인화 EPDM(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삼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산화형 폴리에틸렌, 산화형 폴리프로필렌 및 산화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를 이용하는 경우의 첨가량은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 100질량부에 대하여 5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0.01∼3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0.05∼2질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의 첨가량이 5질량부보다도 많은 경우, 경제적이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는,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에 첨가한 후, 한번 상기 분산매를 가온하여,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용해 또는 분산시킨 상태로 하고 나서 단량체 수용액을 첨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가온 후 분산매를 냉각하여,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가 일부 또는 전부 석출되어 백탁 분산된 상태에서 단량체 수용액 첨가를 행해도 문제없다.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을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에 첨가하여 분산시킬 때, 교반에 의해 분산시키지만, 교반 조건에 대해서는, 원하는 분산 액적 직경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는 없다.
분산 액적 직경은 교반 날개의 종류, 날개 직경, 회전수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교반 날개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펠러 날개, 패들 날개, 앵커 날개, 터빈 날개, 파우들러(Pfaudler) 날개, 리본 날개, 풀존(FULLZONE) 날개(신코판테크(주)제), 맥스블렌드(MAXBLEND) 날개(스미토모중기계공업(주)제), 수퍼믹스(Super-Mix)(사타케화학기계공업(주)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에서는, 일차 분산 시에, 분산매 중에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를 존재시킬 뿐만 아니라, 단량체 수용액 중에도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를 존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는, 미리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에 첨가·용해 혼합된 상태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를 포함하는 단량체 수용액은, 전술한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 존재 하이면서 계면활성제 비존재 하에서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 일차 분산시킴으로써, O/W/O형 입자의 발생을 보다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로서는, 폴리바이닐피롤리돈(약칭 「PVP」)이나 폴리바이닐알코올(약칭 「PVA」), 폴리글리세린, 폴리아크릴산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이용해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그 중에서도 폴리바이닐피롤리돈 및 폴리바이닐알코올이, 물에 대한 용해성 등의 면에서 취급하기 쉽고, 또한 효과가 나타나기 쉽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의 양으로서는, 사용하는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의 종류나 분자량에 따라 적합한 양이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지만, 수용성 에틸렌 단량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0.1∼7질량부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0.3∼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0.5∼3질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사용량이 0.1질량부 미만이면, 잔존 분산매량의 저감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또한 7.0질량부보다 많으면, 단량체 수용액의 점도가 높아져, 목적하는 액적 직경을 얻기 위해 교반 속도를 대폭 높이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그에 의해 O/W/O형 액적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로서 분자량 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단량체 수용액에 용해 첨가할 수 있는 범위이면 좋다. 예를 들면, 폴리바이닐피롤리돈이면 등급(grade)으로서 K-15∼K-120이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잔존 분산매의 저감 효과의 면에서 K-30∼K-90이 사용하기 쉽다.
또한, 폴리바이닐알코올이면, 비누화도 등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잔존 분산매량 저감의 관점에서, 비누화도는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적합하게 이용되는 폴리바이닐알코올로서는, 잔존 분산매의 저감 효과의 관점 및 용해시켜 이용하는 관점에서, 중합도가 100∼3000 정도인 것이 사용하기 쉽다.
일반적으로 폴리바이닐피롤리돈이나 폴리바이닐알코올 등의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는 수용성의 증점제로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본원에 있어서는, 이른바 수용성 고분자의 증점제와는 효과가 다르다. 본원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해,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 유도체나 구아 검, 글루코만난의 천연 다당류 등은, 단량체 수용액에 첨가해도 잔존 분산매량의 저감 효과가 보이지 않고, 오히려 잔존 분산매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보이기 때문에, 단순히 단량체 수용액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것만으로는 O/W/O형 액적의 발생이 억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를 이용함으로써 잔존 분산매량이 저감되는 메커니즘은 명확해져 있지는 않지만, 특허문헌 3 및 4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계면활성제 비존재 하에서,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 존재하 분산매 중에 단량체 수용액을 분산시키면, 분산매상(相)에 있어서,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가 단량체 수용액 액적의 표면을 보호함으로써 액적을 안정화시켜, 액적끼리의 충돌로 인해 분산매가 액적 내부에 내포되는 것을 저지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고 생각된다. 그에 대하여, 본원과 같이 추가로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를 이용하면, 그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에 의해 단량체 액적의 내측(수상측)으로부터도 액적 표면을 보호할 수 있어, 특허문헌 3 및 4의 기술보다도 더욱 액적이 안정화되어, 내포뿐만 아니라 분산매의 액적 내로의 용해도 저지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고 추정된다.
나아가,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의 첨가에 의해, 단량체 수용액이 증점되어, 대입경인 단입자의 흡수성 수지가 얻어진다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공정(A)에서 얻어진 일차 분산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을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에 추가로 이차 분산시킨다(공정(B)).
공정(B)에서 이용되는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솔비탄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터,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터, 수크로스지방산에스터, 솔비톨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알킬알릴폼알데하이드 축합 폴리옥시에틸렌에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알킬에터,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터, 알킬글루코사이드, N-알킬글루콘아마이드,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아마이드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등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지방산염, 알킬벤젠설폰산염, 알킬메틸타우르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황산에스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황산에스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설폰산 및 그의 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인산 및 그의 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인산 및 그의 염 등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이들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의 분산 안정성의 관점에서,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터, 수크로스지방산에스터 및 솔비탄지방산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공정(B)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5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5∼3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이 0.01질량부보다도 적은 경우, 단량체 수용액의 분산 안정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5질량부보다도 많은 경우, 경제적이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공정(B)에서 첨가되는 계면활성제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계면활성제를 미리 소량의 분산매에 희석 또는 용해시켜 사용하는 방법이, 단시간에 분산 안정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공정(B)에서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후, 교반 날개의 교반 회전수를 증속할 수 있다. 증속 후의 교반 회전수에 의해, 최종적인 분산 액적 직경이 결정되어, 1단째 중합의 입자 크기가 결정된다. 공정(A)의 일차 분산의 교반 회전수를 공정(B)에서의 이차 분산의 교반 회전수보다 어느 정도 낮게 설정함으로써, 분산매가 단량체 수용액 액적에 내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결과로서 흡수성 수지의 잔존 분산매량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공정(B)에서 얻어진 분산액에 대하여 라디칼 중합을 행하여,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에 분산되는 함수 겔 상태의 흡수성 수지 입자를 얻는다(공정(C)).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황산나트륨 등의 과황산염; 과산화수소 등의 과산화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이염산염, 2,2'-아조비스[N-(2-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다이아민] 사수염, 2,2'-아조비스(1-이미노-1-피롤리디노-2-메틸프로페인) 이염산염, 2,2'-아조비스[2-메틸-N-(2-하이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마이드] 등의 아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입수가 용이하고 취급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황산나트륨 및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이염산염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아황산염, 아스코르브산 등의 환원제와 병용하여 레독스 중합 개시제로서 이용해도 좋다.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통상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00질량부당 0.01∼1질량부이다. 0.01질량부보다 적은 경우, 중합률이 낮아지고, 1질량부보다 많은 경우, 급격한 중합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첨가 시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균일성의 관점에서 미리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에 첨가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을 행하는 데 있어서, 단량체 수용액에 내부 가교제를 첨가해 두어도 좋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란 「폴리」의 접두어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하 동일〕, 1,4-뷰테인다이올, 글리세린,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등의 폴리올류, 폴리올류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불포화 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2개 이상의 바이닐기를 갖는 폴리불포화 에스터류,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마이드 등의 비스아크릴아마이드류, (폴리)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에틸렌글리콜트라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트라이글리시딜에터,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터 등의 2개 이상의 글리시딜기를 함유하는 폴리글리시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내부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의 첨가량은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3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1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0.001∼0.1질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3질량부를 초과하면, 가교가 과도해지고, 흡수 성능이 지나치게 낮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내부 가교제는 미리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에 첨가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역상 현탁 중합 시의 반응 온도는, 사용하는 중합 개시제의 종류나 양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20∼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90℃이다. 반응 온도가 20℃보다 낮은 경우, 중합률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고, 또한 반응 온도가 100℃보다 높은 경우는 급격한 중합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 기재된 역상 현탁 중합에 의해, 잔존 분산매량이 적은 흡수성 수지가 될 수 있는 함수 겔 입자가 얻어진다. 이 얻어진 함수 겔 입자를 탈수·건조 및 후가교하여 흡수성 수지 입자를 얻는다.
또한, 이 중합을 1단째 중합으로 하고, 중합으로 얻어진 함수 겔을 포함하는 분산매와의 슬러리에 대하여 추가로 단량체 수용액을 첨가하여, 2단 중합 또는 3단 중합 등의 다단의 중합을 행해도 상관없다.
다단으로 중합을 행하는 것이면,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으로 얻어지는 1단째의 중합 후 입자의 크기는, 다단 중합에 있어서 적절한 응집 입경을 얻는 관점에서, 중위 입자 직경 20∼200㎛가 바람직하고, 30∼150㎛가 보다 바람직하며, 40∼100㎛가 더 바람직하다. 한편, 1단째의 중합 입자의 중위 입자 직경은, 상기 1단째의 중합이 종료된 후, 탈수·건조하여 얻어지는 입자에 대하여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2단 중합을 행하는 경우, 상기 공정(C)을 종료한 중합 슬러리에 2단째 중합의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을 첨가하고, 계속해서 역상 현탁 중합을 실시할 수 있다. 그 순서로서는, 우선 1단째의 중합 종료 후, 상기 계면활성제를 적어도 일부 석출시키는 것부터 시작한다.
계면활성제는, 석출시키는 것에 의해, 계면활성제가 본래 가지는, 유상 중의 수상 액적을 안정화시키는 능력(또는 그 반대인 수상 중의 유상 액적을 안정화시키는 능력)을 상실한다. 그 석출 방법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중합 후의 슬러리의 온도를 냉각에 의해 저하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2단째 중합의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을 첨가하기 전에, 계면활성제를 적어도 일부 석출시켜 두는 것에 의해, 첨가된 2단째 중합의 단량체 수용액의 액적이 분산매 중에 안정화되지 않고 겔상의 1차 입자에 흡수(吸收)됨으로써, 1차 입자끼리의 응집이 진행되어, 위생 재료 용도에 적합한 입자 직경이 얻어지게 된다. 게다가, 계면활성제가 석출되어 있음으로써, 2단째 중합의 단량체 수용액 첨가 시의 새로운 O/W/O형 액적의 발생이 억제되어, 잔존 분산매량의 증가가 억제되게 된다. 따라서, 2단째 중합의 단량체 수용액을 첨가하여, 잔존 분산매량의 증가를 거의 수반하지 않는 2단째 중합을 행함으로써, 1단째 중합에서 취입된 잔존 분산매에 대하여 흡수성 수지의 취득량이 실질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의 잔존 분산매량은 보다 적어진다. 한편, 계면활성제와 함께 용해되어 있던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는, 냉각되는 것에 의해 분산매에 용해될 수 없게 되어, 2단째의 단량체 수용액을 첨가할 때에는 분산매 중에 석출되는 경우도 있다.
계면활성제를 석출시킨 후에, 거기에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2단째 중합의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을 교반 혼합하여, 1단째의 중합 겔에 흡수·응집시킨다.
2단째 중합의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1단째 중합의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 예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것이 사용될 수 있지만, 단량체의 종류, 중화도, 중화염 및 단량체 수용액 농도는 1단째 중합의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와 동일해도 상이해도 좋다.
2단째 중합의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에 첨가되는 중합 개시제에 대해서도, 1단째의 중합에 이용되는 중합 개시제로서 예시한 것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2단째 중합의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에도, 필요에 따라 내부 가교제, 연쇄 이동제 등을 첨가해도 좋고, 1단째의 중합 시에 예시한 것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2단째 중합의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첨가량은, 적절한 응집 입자를 얻는 관점 및 잔존 분산매량 저감의 관점에서, 1단째 중합의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량에 대하여 1.0∼2.0배가 바람직하고, 1.1∼1.8배가 보다 바람직하다. 1.0배 미만이면, 취득량이 줄기 때문에 잔존 분산매량의 저감 효과가 약해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2.0배보다 많으면, 1단째의 중합 입자가 2단째 중합의 단량체 수용액을 다 흡수하지 않고, 미분(微粉)이 발생하여, 적정한 중위 입경을 가지는 응집 입자가 얻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2단째 중합의 역상 현탁 중합에 있어서의 교반은, 전체가 균일하게 혼합되고 있으면 좋다. 응집 입자의 중위 입자 직경은, 계면활성제의 석출 상태나 1단째 중합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대한 2단째 중합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양에 따라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위생 재료 용도에 적합한 응집 입자의 중위 입자 직경으로서는, 200∼600㎛가 바람직하고, 250∼500㎛가 보다 바람직하며, 300∼450㎛가 더 바람직하다.
2단째 중합의 단량체 수용액을 첨가한 후, 가온 등에 의해 라디칼 중합으로 중합을 행한다.
2단째의 역상 현탁 중합에 있어서의 반응 온도에 대해서도, 중합 개시제의 종류나 양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20∼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90℃이다.
추가로, 생산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상기와 같은 2단째의 역상 현탁 중합과 마찬가지로 3단째 이후의 중합 반응을 행하여, 다단의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해도 좋다.
본원에서 제시하는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를 이용한 역상 현탁 중합에 있어서는, 중합 종료 후에 공비 증류에 의해 분산매를 환류시킴으로써 탈수 공정을 행하는 데 있어서, 입자끼리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 분산매를 추가할 수 있다. 특히,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로 폴리바이닐알코올이나 폴리글리세린을 이용한 경우는, 중합에 이용한 단량체 수용액의 총합량(만약 2단으로 중합한 경우는, 1단째+2단째 중합의 단량체 수용액의 총합)을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량으로 나눈 W/O 비가 1.7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미만으로 되도록 분산매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W/O 비가 1.7 이상인 채로 공비 탈수에 의해 내부 온도 80℃ 이상에서 탈수를 행하면, 응집 입자끼리가 더욱 응집하여 침강하는 현상이 보이고,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경이 1000㎛ 이상으로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상세한 메커니즘은 불명확하지만, 중합에 의해 얻어진 함수 겔 입자에 대하여, 분산매량이 충분량 존재하고 있지 않으면, 입자 표면에 존재하고 있는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의 폴리바이닐알코올이나 폴리글리세린의 점착성으로 인해 입자끼리의 응집이 촉진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분산매 추가의 시기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탈수 공정 전이면 언제 추가해도 좋지만, 1단째의 중합 종료 후에 계면활성제의 실활을 목적으로 냉각을 행하는 경우 등은, 냉각 효과도 겸하여 1단째 중합 종료 시에 낮은 온도의 분산매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다단의 역상 현탁 중합 종료 후,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유래의 작용기와 반응성을 갖는 작용기를 2개 이상 함유하는 가교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후에 가교제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흡수성 수지 입자의 표면층의 가교 밀도가 높아져, 가압 하의 흡수능, 흡수 속도, 겔 강도 등의 여러 성능을 높일 수 있어, 위생 재료 용도로서 적합한 성능이 부여된다.
상기 가교 반응에 이용되는 후가교제로서는, 중합에 이용한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유래의 작용기와 반응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되는 후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뷰테인다이올,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폴리글리세린 등의 폴리올류; (폴리)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에틸렌글리콜트라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트라이글리시딜에터,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터 등의 폴리글리시딜 화합물; 에피클로로하이드린, 에피브로모하이드린, α-메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등의 할로에폭시 화합물; 2,4-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반응성 작용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 3-메틸-3-옥세테인메탄올, 3-에틸-3-옥세테인메탄올, 3-뷰틸-3-옥세테인메탄올, 3-메틸-3-옥세테인에탄올, 3-에틸-3-옥세테인에탄올, 3-뷰틸-3-옥세테인에탄올 등의 옥세테인 화합물, 1,2-에틸렌비스옥사졸린 등의 옥사졸린 화합물, 에틸렌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반응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에틸렌글리콜트라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트라이글리시딜에터,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터 등의 폴리글리시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가교제의 첨가량은, 중합에 부여된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5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3질량부이다. 후가교제의 첨가량이 0.01질량부 미만인 경우,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의 가압 하의 흡수능, 흡수 속도, 겔 강도 등의 여러 성능을 높일 수 없고, 5질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흡수능이 지나치게 낮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후가교제의 첨가 방법으로서는, 후가교제를 그대로 첨가해도 수용액으로 해서 첨가해도 좋지만, 필요에 따라 용매로서 친수성 유기 용매를 이용한 용액으로 해서 첨가해도 좋다. 친수성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아이소프로필알코올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저급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다이에틸에터, 다이옥세인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의 에터류,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등의 아마이드류, 및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등의 설폭사이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친수성 유기 용매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하거나 또는 물과의 혼합 용매로 해서 사용해도 좋다.
상기 후가교제의 첨가 시기는 중합 종료 후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후가교 반응은, 중합 후, 탈수·건조 공정에서, 흡수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200질량부 범위의 수분 존재 하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5∼100질량부 범위의 수분 존재 하에 실시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50질량부의 수분 존재 하에 실시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후가교제 첨가 시의 수분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보다 적합하게 흡수성 수지의 입자 표면층에 있어서의 후가교를 실시할 수 있어, 우수한 흡수 성능을 발현할 수 있다.
후가교 반응에 있어서의 온도는 50∼250℃가 바람직하고, 60∼180℃가 보다 바람직하며, 60∼140℃가 더 바람직하고, 70∼120℃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조 공정은 상압 하에서 행해도 감압 하에서 행해도 좋고,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질소 등의 기류 하에서 행해도 좋다. 건조 공정이 상압인 경우, 건조 온도는 70∼250℃가 바람직하고, 80∼180℃가 보다 바람직하며, 80∼140℃가 더 바람직하고, 90∼130℃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감압 하인 경우, 건조 온도는 60∼100℃가 바람직하고, 70∼90℃가 보다 바람직하다.
건조 후의 흡수성 수지의 수분율은, 유동성을 가지게 하는 관점에서 20질량% 이하이고, 통상은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정질 실리카 분말 등의 무기계 활제(活劑)를 첨가해도 좋다.
실시예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 수분율 및 잔존 분산매량(흡수성 수지 입자 내부에 잔존하는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의 양)은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한편, 특허문헌 4에 기재되어 있는 잔존 분산매량에 대해서는, 잔존 분산매량의 절대값이 500ppm 이하까지 내려간 경우도 있고, 또한 일차 입자를 크게 하면 충분히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향이 보였기 때문에, 흡수성 수지로부터 보다 충분히 추출을 행하기 위해 그 측정 방법의 개량을 행했다.
(1) 중위 입자 직경
흡수성 수지 50g을, JIS 표준 체인 눈 크기 250㎛의 체를 이용하여 통과시켜, 체 상에 남는 양이 그의 50질량% 이상인 경우에는 <α>의 체의 조합을, 50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β>의 체의 조합을 이용하여 중위 입자 직경을 측정했다.
<α> JIS 표준 체를 위로부터 눈 크기 850㎛의 체, 눈 크기 600㎛의 체, 눈 크기 500㎛의 체, 눈 크기 425㎛의 체, 눈 크기 300㎛의 체, 눈 크기 250㎛의 체, 눈 크기 150㎛의 체 및 받침 접시의 순서로 조합했다.
<β> JIS 표준 체를 위로부터 눈 크기 425㎛의 체, 눈 크기 250㎛의 체, 눈 크기 180㎛의 체, 눈 크기 150㎛의 체, 눈 크기 106㎛의 체, 눈 크기 75㎛의 체, 눈 크기 45㎛의 체 및 받침 접시의 순서로 조합했다.
조합한 가장 위의 체에 상기 흡수성 수지 약 50g을 넣고, 로탭(Rotap)식 진탕기를 이용하여 20분간 진탕시켜 분급했다.
분급 후, 각 체 상에 남은 흡수성 수지의 질량을 전체량에 대한 질량 백분율로서 계산하고, 입자 직경이 큰 쪽으로부터 순차로 적산하는 것에 의해, 체의 눈 크기와 체 상에 남은 흡수성 수지의 질량 백분율의 적산값의 관계를 대수 확률지에 플롯팅했다. 확률지 상의 플롯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적산 질량 백분율 50질량%에 상당하는 입자 직경을 중위 입자 직경으로 했다.
(2) 수분율
흡수성 수지 약 2.5g을 알루미늄 컵에 정밀하게 칭량하고(Xg), 105℃의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2시간 건조한 후, 건조된 흡수성 수지의 질량(Yg)을 측정하여, 하기 식으로 수분율을 산출했다. 한편, 알루미늄 컵의 건조 전후의 포장 질량(tare mass)은 일정하게 했다.
수분율(%) = (X-Y)÷X×100
(3) 잔존 분산매량
보다 낮은 수준에서의 잔존 분산매량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특허문헌 4 등의 종래 측정 방법에 대하여, 샘플병 내에 투입한 흡수성 수지로부터의 잔존 분산매량을 보다 충분히 추출하기 위해, 팽윤 배율을 높이고, 또한 인산을 가하여 팽윤 겔이 용해되기 쉽도록 하기와 같이 개량을 행했다.
(a) 검량선의 작성
잔존 분산매를 측정하는 샘플의 중합에 사용한 석유계 탄화수소계 분산매(이후 「분산매」로 표기)를 10g 정도 스크류병 등에 넣고, 빙수욕으로 냉각했다. 마찬가지로 측정에 사용하는 DMF(다이메틸폼아마이드) 60g과 25질량% 인산 수용액 60g도 빙수욕으로 냉각했다. (투입 중의 분산매의 증산(蒸散) 억제를 위해, 충분한 냉각 후에 투입을 행한다.)
50ml 용량 스크류병에 상기 분산매를 0.2g 정밀하게 칭량하고, 거기에 상기 냉각한 DMF를 가하여 합계 20g으로 해서 정밀하게 칭량하고, 스터러 칩으로 교반하여 표준 시료액 1로 했다. 이 표준 시료액 1도 빙수욕에 의해 냉각을 했다.
이어서, 50ml 용량 스크류병에 상기 표준 시료액 1을 0.2g 정밀하게 칭량하고, 거기에 상기 냉각한 DMF를 가하여 합계 20g으로 해서 정밀하게 칭량하고, 스터러 칩으로 교반하여 표준 시료액 2로 했다. 이 표준 시료액 2도 빙수욕에 의해 냉각을 해 두었다.
20ml 용량의 바이알병(마루에무사제, No. 5)에 상기 표준 시료액 2로부터 0.02, 0.05, 0.1, 0.5g 및 상기 표준 시료액 1로부터 0.02g을 각각 정밀하게 칭량하고, 거기에 냉각한 DMF를 가하여 각 바이알병의 내부 용량을 계 3.8g(4mL)으로 했다. 추가로 각 바이알에 상기 냉각한 25질량% 인산 수용액 5mL를 가하고, 셉텀 고무, 알루미늄 캡으로 마개를 하여 단단히 죈 후, 병을 흔들어 교반했다.
한편, 20ml 용량의 바이알로의 시료 투입으로부터 마개를 단단히 죄기까지는 재빨리 행하여, 분산매가 바이알로부터 증산되는 것을 극력 방지하도록 유의했다. 또한, DMF와 25질량% 인산 수용액의 혼합 시의 발열로 분산매가 증산되지 않도록, 양 시약의 냉각을 충분히 행해 두고, 알루미늄 캡 등으로 밀전(密栓) 상태로 하고 나서, 충분히 혼합을 행하도록 또한 유의했다.
이 바이알병을 110℃에서 2시간 가온하고, 식지 않도록 기상부를 1ml 채취하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주입하여 크로마토그램을 얻었다(헤드 스페이스 오토샘플러(autosampler)를 사용).
각 바이알병 중의 분산매의 투입량을 산출하고, 그 투입량과 크로마토그램의 피크 면적으로부터 검량선을 작성했다. (한편, 분산매로서 석유계 탄화수소의 혼합물을 이용한 경우, 복수의 피크가 나타나기 때문에, 그 면적의 총합값과 투입량으로 검량선을 작성했다.)
(b) 샘플의 잔존 분산매량의 측정
측정하는 샘플 약 2g을 알루미늄 컵에 넣고, 105℃의 열풍 건조기로 2시간 건조시켜, 함유하는 수분량을 조정했다.
측정에 사용하는 DMF(다이메틸폼아마이드)와 25질량% 인산 수용액도 필요량 스크류병에 넣고 빙수욕으로 냉각했다.
20ml 용량의 바이알병(마루에무사제, No. 5)에 상기 샘플을 0.10g 정밀하게 칭량하고, 바이알병 저부를 빙욕에 담가서 바이알병과 흡수성 수지를 냉각했다. 이 바이알병 내에, 전술한 냉각한 DMF를 4mL 가하고, 추가로 전술한 냉각한 25질량% 인산 수용액 5mL를 가하고, 셉텀 고무, 알루미늄 캡으로 마개를 하여 재빨리 단단히 죈 후, 가볍게 바이알병을 흔들어 혼합했다. 10분 정치 후, 내부의 흡수성 수지가 팽윤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동 바이알병을 격렬하게 흔들어 섞어 내부를 강하게 교반했다. 이 바이알병을 110℃에서 2시간 사전 가열하고, 가열 후 재차 강한 교반을 행했다.
한편, 20ml 용량의 바이알로의 투입으로부터 마개를 단단히 죄기까지는 재빨리 행하여, 분산매가 바이알로부터 증산되는 것을 극력 방지하도록 유의했다.
이 바이알병을 110℃에서 2시간 가온하고, 식지 않도록 기상부를 1ml 채취하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주입하여 크로마토그램을 얻었다(헤드 스페이스 오토샘플러를 사용).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의 피크 면적을 기초로, 앞서 작성한 검량선으로부터 투입 샘플량(0.10g의 실측값)에 포함되는 분산매량을 산출하고, 샘플 1g당 포함되는 분산매량[ppm]으로 환산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잔존 분산매량의 측정에 사용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의 조건은 하기와 같다.
기종: 시마즈제작소제 GC-14A + HSS2B(헤드 스페이스 오토샘플러)
충전제: Squalane 25% Shimalite(NAW)(101)
80-100mesh
컬럼: 3.2mmφ×2.1m
컬럼 온도: 80℃
주입구 온도: 180℃
검출기 온도: 180℃
검출기: FID
가스 캐리어: 질소 가스
바이알병 가열 온도: 110℃
시린지 설정 온도: 110℃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각각 3회 실시하여, 각 군의 잔존 분산매량을 평균±표준편차에 의해 나타냈다. 개개 군 간의 차의 통계상 평가는 스튜던트의 t 검정(Student's t-test)을 이용하여 행했다(*는 p < 0.05를 나타낸다).
(c) 종래의 측정 방법과의 비교
동일 샘플에 관하여 잔존 분산매량을 측정한 결과, 본원의 상기 측정 방법은 종래 방법과 비교하여 보다 고감도로 잔존 분산매량을 측정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본원의 참고예 1에 관하여, 본원의 측정 방법에서는 100ppm인 데 대하여, 종래 방법에서는 80ppm의 잔존 분산매량밖에 나타내지 않았다.
(d) 계면활성제 등 비존재 하에서의 단량체 수용액 중에 용해되는 분산매량의 측정
계면활성제 등 비존재 하에서의 단량체 수용액 중에 용해되는 분산매량을 조사할 목적으로 하기의 실험을 행했다.
[참고 실험예]
단량체 수용액에 대한 분산매의 용해량 측정을 하기의 순서로 행했다.
1)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 아크릴산 수용액 46.0g을 투입하고, 플라스크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교반하면서 30질량% 수산화나트륨 51.1g을 적하해서 중화를 행했다. 이것에 이온교환수 21.9g을 가하여,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75mol% 중화, 38질량% 농도의 아크릴산 중화액).
2) 2단의 50mmφ 경사 패들 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온도계 및 냉각관을 구비한 2L 용량의 5구 원통형 둥근바닥 분리형 플라스크(이후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로서 n-헵테인 171g을 계량했다.
3) 탕욕에 전술한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담그고, 500rpm으로 n-헵테인을 교반하여 내부 온도 40±1℃로 보온했다.
4) 순서 1)에서 조정한 아크릴산 중화액을 투입하고, 30분간 500rpm으로 교반하면서 내부 온도 40±1℃로 되도록 탕욕의 온도를 조정하여 보온했다.
5) 30분간의 교반 후, 교반기를 정지하고 동일한 탕욕 온도로 한 채로 30분간 정치했다.
6) 2층 분리를 혼합하지 않도록 가만히 하층의 중화액층만을 회수했다.
7) 잔존 분산매량의 측정 방법에 준하여, 20mL 용량 바이알병에 회수한 중화액 약 0.26g을 정밀하게 칭량하고(단량체량으로 약 0.1g 상당), 냉각한 DMF와 인산수용액을 가했다.
8) 바이알 컵을 봉쇄한 후, 교반한 후 110℃에서 2시간 가열한 뒤에, 잔존 분산매량의 측정 방법에 준하여 중화액 중의 n-헵테인량을 측정했다.
실험의 결과, 본원에 기재된 1단째의 중합과 동일한 조건, 즉 40℃에서의 아크릴산 중화액 중(단량체 수용액)에 용해된 n-헵테인(분산매)의 양은, 단량체 질량 기준으로 80ppm이었다. 따라서, 이 분산매량(80ppm)이, 종래 방법(특허문헌 4 등)에 의해 저감 가능한 최저의 잔존 분산매량이라고 생각되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WO 2009/025235(특허문헌 4)의 실시예 8을 참고예 1로서 실시했다. 한편, 동 예는 특허문헌 4 중에서 잔존 분산매량이 가장 낮은 실시예이다.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 아크릴산 수용액 92.0g을 투입하고, 플라스크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교반하면서 30질량% 수산화나트륨 102.2g을 적하해서 중화를 행했다. 이것에 과황산칼륨 0.11g,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8.3mg 및 이온교환수 43.6g을 가하여,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이후, 「단량체 수용액」으로 표기)을 조제했다.
2단의 50mmφ 경사 패들 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2L 용량의 5구 원통형 둥근바닥 분리형 플라스크(이후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로서 헵테인 334g을 계량했다. 둥근바닥 플라스크 내에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로서 산화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미쓰이화학주식회사, 상품명: 하이왁스 4052E) 0.46g과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미쓰이화학주식회사, 상품명: 하이왁스 1105A) 0.46g을 가하여 300rpm의 교반 하 90℃의 탕욕으로 83∼86℃로 가온하여 용해·분산시킨 후, 내부 온도 61℃까지 공냉했다. 선단의 개구부가 내경 8mmφ인 SUS제 깔때기를 이용하여, 300rpm으로 교반하고 있는 상기 헵테인 중에 상기 단량체 수용액을 일괄적으로 투입했다. 단량체 수용액 첨가 후, 내부 온도 40℃에서 10분간 교반하여 일차 분산시켰다.
다음으로, 계면활성제로서 수크로스지방산에스터(미쓰비시화학푸드주식회사, 상품명: S-370) 0.92g을 헵테인 8.28g에 60℃ 이상에서 별도 가온 용해시킨 액을, 상기 둥근바닥 플라스크 내에 깔때기를 이용하여 첨가하고, 이어서 교반 속도를 500rpm까지 증속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이차 분산시켰다.
상기 분산액을 포함하는 둥근바닥 플라스크의 내부 온도를 40℃로 유지하면서 계 내를 충분히 질소 치환한 후, 70℃의 탕욕을 이용하여 1시간 가온해서 라디칼 중합 반응을 행했다.
1단째 중합 종료 후, 교반 속도를 1000rpm으로 증속하고, 내부 온도를 실온부근까지 냉각하여, 계면활성제를 적어도 일부 석출시켰다.
별도로,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 아크릴산 수용액 128.8g을 투입하고, 플라스크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교반하면서 30질량% 수산화나트륨 142.9g을 적하해서 중화를 행하고, 이것에 과황산칼륨 0.15g,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11.6mg 및 증류수 16.7g을 가하여 2단째 중합의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다음으로, 냉각한 전술한 중합 슬러리에 상기 2단째 중합의 단량체 수용액을 적하 깔때기로 첨가하고, 잠시 교반 혼합하고, 분산시켜 1단째 중합 겔에 흡수시키고, 함수 겔 입자를 응집시켰다. 이어서, 둥근바닥 플라스크의 내부 온도를 실온 정도로 유지하면서 계 내를 충분히 질소 치환한 후, 70℃의 탕욕을 이용하여 1시간 가온해서 라디칼 중합 반응을 행했다.
2단째의 중합 반응 후, 120℃의 유욕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공비 증류에 의해, 헵테인을 플라스크로 환류시키면서 260g의 물을 계 밖으로 제거하는 것에 의해 헵테인에 분산된 탈수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헵테인 분산 탈수 중합체에 후가교제로서 2%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수용액 8.2g을 첨가하여, 83℃에서 2시간 후가교 반응을 행했다.
그 후, 120℃의 유욕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헵테인과 물을 증류에 의해 계 밖으로 제거한 후, 질소 기류 하에서 건조하고, 850㎛의 체를 통과시켜, 구상 입자가 응집한 형상의 흡수성 수지 235g을 얻었다. 이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은 356㎛이고, 수분율은 4.5%이었다.
[비교예 1]
WO 2009/025235(특허문헌 4)의 실시예 8의 1단 중합을 끝낸 시점에서 탈수·후가교·건조를 행하여, 비교예 1로 했다.
참고예 1과 마찬가지로 1단째의 중합을 실시하고, 1단 중합 종료 후, 1000rpm으로 교반을 증속한 후, 120℃의 유욕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공비 증류에 의해, 헵테인을 플라스크로 환류시키면서 125g의 물을 계 밖으로 제거하는 것에 의해 헵테인에 분산된 탈수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헵테인 분산 탈수 중합체에 후가교제로서 2%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수용액 3.4g을 첨가하여, 83℃에서 2시간 후가교 반응을 행했다.
그 후, 120℃의 유욕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헵테인과 물을 증류에 의해 계 밖으로 제거한 후, 질소 기류 하에서 건조하고, 850㎛의 체를 통과시켜 구상 형상(일부는 구상이 응집한 형상)의 흡수성 수지 89g을 얻었다. 이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은 61㎛이고, 수분율은 3.1%이었다.
[실시예 1]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로서 폴리바이닐알코올(이후 「PVA」로 약기)을 단량체 질량에 대하여 0.7질량% 첨가하여 중합 실험을 행했다.
단량체 수용액의 조정에 앞서서 PVA로서 고세놀(Gosenol) GH-17(닛폰합성화학공업주식회사: 중합도 1700·비누화도 86.5-89.0mol%)을 증류수에 가온 교반 용해시킨 후, 실온까지 방치 냉각한 5질량% 수용액 100g을 제작했다.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 아크릴산 수용액 92.0g을 투입하고, 플라스크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교반하면서 30질량% 수산화나트륨 102.2g을 적하해서 중화를 행했다. 이것에 과황산칼륨 0.073g,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10.1mg, 전술한 5질량% PVA 수용액 12.6g 및 이온교환수 31.4g을 가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2단의 50mmφ 경사 패들 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2L 용량의 5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로서 헵테인 275g을 계량했다. 둥근바닥 플라스크 내에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미쓰이화학주식회사, 상품명: 하이왁스 1105A) 0.74g을 가하고 300rpm의 교반 하 85℃의 탕욕으로 75∼80℃로 가온하여 용해·분산시킨 후, 내부 온도 64℃까지 공냉했다. 선단의 개구부가 내경 8mmφ인 SUS제 깔때기를 이용하여, 300rpm으로 교반하고 있는 상기 헵테인 중에 상기 단량체 수용액을 일괄적으로 투입했다. 단량체 수용액 첨가 후, 내부 온도 40℃에서 10분간 교반하여 일차 분산시켰다(공정(A)).
다음으로, 계면활성제로서 수크로스지방산에스터(미쓰비시화학푸드주식회사, 상품명: S-370) 0.74g을 헵테인 6.62g에 60℃ 이상에서 별도 가온 용해시킨 액을, 상기 둥근바닥 플라스크 내에 깔때기를 이용하여 첨가하고, 이어서 교반 속도를 500rpm까지 증속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이차 분산시켰다(공정(B)).
상기 분산액을 포함하는 둥근바닥 플라스크의 내부 온도를 40℃로 유지하면서 계 내를 충분히 질소 치환한 후, 70℃의 탕욕을 이용하여 1시간 가온해서 라디칼 중합 반응을 행했다(공정(C)).
중합 반응 후, 교반 속도를 1000rpm까지 증속하고(탈수가 진행되어 내용물의 교반이 불충분하게 된 경우는 교반 속도를 적시 증속하면서), 120℃의 유욕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공비 증류에 의해, 헵테인을 플라스크로 환류시키면서 125g의 물을 계 밖으로 제거하는 것에 의해 헵테인에 분산된 탈수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헵테인 분산 탈수 중합체에 후가교제로서 2%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수용액 3.4g을 첨가하여, 83℃에서 2시간 후가교 반응을 행했다.
그 후, 120℃의 유욕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헵테인과 물을 증류에 의해 계 밖으로 제거한 후, 질소 기류 하에서 건조하고, 850㎛의 체를 통과시켜 구상 형상(일부는 구상이 응집한 형상)의 흡수성 수지 90g을 얻었다. 이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은 69㎛이고, 수분율은 2.5%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PVA로서 고세놀 GH-17 대신에 고세놀 GH-20(닛폰합성화학공업주식회사: 중합도 2000·비누화도 86.5-89.0mol%)을 1.0질량% 이용했다.
단량체 수용액의 조정에 앞서서 상기 PVA(GH-20)를 증류수에 가온 교반 용해시킨 후, 실온까지 방치 냉각한 5질량% 수용액 100g을 제작했다.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 아크릴산 수용액 92.0g을 투입하고, 플라스크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교반하면서 30질량% 수산화나트륨 102.2g을 적하해서 중화를 행했다. 이것에 과황산칼륨 0.11g,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8.3mg, 전술한 5질량% PVA 수용액 18.1g 및 이온교환수 25.8g을 가하여,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이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구상 형상(일부는 구상이 응집한 형상)의 흡수성 수지 88g을 얻었다. 이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은 80㎛이고, 수분율은 3.4%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PVA로서 고세놀 GH-17 대신에 고세놀 GH-23(닛폰합성화학공업주식회사: 중합도 2300·비누화도 86.5-89.0mol%)을 0.7질량% 이용했다.
단량체 수용액의 조정에 앞서서 상기 PVA(GH-23)를 증류수에 가온 교반 용해시킨 후, 실온까지 방치 냉각한 5질량% 수용액 100g을 제작했다.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 아크릴산 수용액 92.0g을 투입하고, 플라스크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교반하면서 30질량% 수산화나트륨 102.2g을 적하해서 중화를 행했다. 이것에 과황산칼륨 0.11g,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8.3mg, 전술한 5질량% PVA 수용액 12.6g 및 이온교환수 31.4g을 가하여,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이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구상 형상(일부는 구상이 응집한 형상)의 흡수성 수지 87g을 얻었다. 이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은 88㎛이고, 수분율은 3.3%이었다.
[실시예 4]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로서 PVA를 단량체 질량에 대하여 2.0질량%를 이용했다.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 아크릴산 수용액 92.0g을 투입하고, 플라스크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교반하면서 30질량% 수산화나트륨 102.2g을 적하해서 중화를 행했다. 이것에 32.1g의 이온교환수를 가하고, 추가로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로서 PVA: 포발(Poval) 403(주식회사구라레이: 중합도 300·비누화도 78-83mol%)을 1.81g 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이것에 과황산칼륨 0.073g,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10.1mg 및 이온교환수 10g을 가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2단의 50mmφ 경사 패들 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2L 용량의 5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로서 헵테인 275g을 계량했다. 둥근바닥 플라스크 내에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미쓰이화학주식회사, 상품명: 하이왁스 1105A) 0.74g을 가하고 300rpm의 교반 하 85℃의 탕욕으로 75∼80℃로 가온하여 용해 및 분산시킨 후, 내부 온도 64℃까지 공냉했다. 적하 깔때기를 이용하여, 300rpm으로 교반하고 있는 상기 헵테인 중에 상기 단량체 수용액을 적하 투입했다. 단량체 수용액 첨가 후, 내부 온도 40℃에서 10분간 교반하여 일차 분산시켰다(공정(A)).
다음으로, 계면활성제로서 수크로스지방산에스터(미쓰비시화학푸드주식회사, 상품명: S-370) 0.74g을 헵테인 6.62g에 60℃ 이상에서 별도 가온 용해시킨 액을, 상기 둥근바닥 플라스크 내에 깔때기를 이용하여 첨가하고, 이어서 교반 속도를 700rpm까지 증속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이차 분산시켰다(공정(B)).
상기 분산액을 포함하는 둥근바닥 플라스크의 내부 온도를 40℃로 유지하면서 계 내를 충분히 질소 치환한 후, 70℃의 탕욕을 이용하여 1시간 가온해서 라디칼 중합 반응을 행했다(공정(C)).
중합 반응 후, 120℃의 유욕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공비 증류에 의해, 헵테인을 플라스크로 환류시키면서 121g의 물을 계 밖으로 제거하는 것에 의해 헵테인에 분산된 탈수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헵테인 분산 탈수 중합체에 후가교제로서 2%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수용액 1.84g을 첨가하여, 83℃에서 2시간 후가교 반응을 행했다.
그 후, 120℃의 유욕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헵테인과 물을 증류에 의해 계 밖으로 제거한 후, 질소 기류 하에서 건조하고, 850㎛의 체를 통과시켜 구상 형상(일부는 구상이 응집한 형상)의 흡수성 수지 90g을 얻었다. 이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은 51㎛이고, 수분율은 3.0%이었다.
[비교예 2]
비교예로서 증점제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이후 「HEC」로 약기)를 단량체 질량에 대하여 0.3질량% 이용하여 중합을 행했다.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 아크릴산 수용액 92.0g을 투입하고, 플라스크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교반하면서 30질량% 수산화나트륨 102.2g을 적하해서 중화를 행했다. 이것에 물 32.1g을 가하고, 추가로 HEC(스미토모세이카주식회사: AW-15F)를 0.272g 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이것에 과황산칼륨 0.073g,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8.3mg 및 이온교환수 10g을 가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2단의 50mmφ 경사 패들 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2L 용량의 5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로서 헵테인 275g을 계량했다. 둥근바닥 플라스크 내에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미쓰이화학주식회사, 상품명: 하이왁스 1105A) 0.74g을 가하고 300rpm의 교반 하 85℃의 탕욕으로 75∼80℃로 가온하여 용해·분산시킨 후, 내부 온도 61℃까지 공냉했다. 선단의 개구부가 내경 8mmφ인 SUS제 깔때기를 이용하여, 300rpm으로 교반하고 있는 상기 헵테인 중에 상기 단량체 수용액을 투입했다. 단량체 수용액 첨가 후, 내부 온도 40℃에서 10분간 교반하여 일차 분산시켰다.
다음으로, 계면활성제로서 수크로스지방산에스터(미쓰비시화학푸드주식회사, 상품명: S-370) 0.74g을 헵테인 6.62g에 60℃ 이상에서 별도 가온 용해시킨 액을, 상기 둥근바닥 플라스크 내에 깔때기를 이용하여 첨가하고, 이어서 교반 속도를 500rpm까지 증속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이차 분산시켰다.
상기 분산액을 포함하는 둥근바닥 플라스크의 내부 온도를 40℃로 유지하면서 계 내를 충분히 질소 치환한 후, 70℃의 탕욕을 이용하여 1시간 가온해서 라디칼 중합 반응을 행했다.
중합 반응 후, 120℃의 유욕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공비 증류에 의해, 헵테인을 플라스크로 환류시키면서 125g의 물을 계 밖으로 제거하는 것에 의해 헵테인에 분산된 탈수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헵테인 분산 탈수 중합체에 후가교제로서 2%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수용액 3.4g을 첨가하여, 83℃에서 2시간 후가교 반응을 행했다.
그 후, 120℃의 유욕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헵테인과 물을 증류에 의해 계 밖으로 제거한 후, 질소 기류 하에서 건조하고, 850㎛의 체를 통과시켜 구상 형상(일부는 구상이 응집한 형상)의 흡수성 수지 87g을 얻었다. 이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은 87㎛이고, 수분율은 2.8%이었다.
[비교예 3]
비교예 2에 있어서, 증점제로서 HEC 0.3질량% 대신에 크산탄 검 0.1질량%를 이용하여 중합을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 아크릴산 수용액 92.0g을 투입하고, 플라스크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교반하면서 30질량% 수산화나트륨 102.2g을 적하해서 중화를 행했다. 이것에 물 32.3g을 가하고, 추가로 크산탄 검(산쇼주식회사: 켈잔(KELZAN))을 0.091g 가하고 교반하여 용해·분산시켰다. 이것에 과황산칼륨 0.11g,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8.3mg 및 이온교환수 10g을 가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이후,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850㎛의 체를 통과시켜 구상 형상(일부는 구상이 응집한 형상)의 흡수성 수지 88g을 얻었다. 이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은 84㎛이고, 수분율은 2.9%이었다.
[비교예 4]
비교예 2에 있어서, 증점제로서 HEC 0.3질량% 대신에 구아 검 0.5질량%를 이용하여 중합을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 아크릴산 수용액 92.0g을 투입하고, 플라스크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교반하면서 30질량% 수산화나트륨 102.2g을 적하해서 중화를 행했다. 이것에 물 31.9g을 가하고, 추가로 구아 검(산쇼주식회사: 메이프로그아(MEYPROGA))을 0.45g 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이것에 과황산칼륨 0.11g,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8.3mg 및 이온교환수 10g을 가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이후,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중합을 행한 바, 70℃의 온욕에 담가서 내부 온도를 한창 상승시키고 있을 때에 교반 날개에 폴리머가 감겨 붙어 이상 중합이 생겼기 때문에, 그 시점에서 실험을 취소했다.
[비교예 5]
비교예 2에 있어서, 증점제로서 HEC 0.3질량% 대신에 풀룰란 1.0질량%를 이용하여 중합을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 아크릴산 수용액 92.0g을 투입하고, 플라스크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교반하면서 30질량% 수산화나트륨 102.2g을 적하해서 중화를 행했다. 이것에 물 31.5g을 가하고, 추가로 풀룰란(하야시바라상사: 풀룰란(Pullulan) PI-20)를 0.905g 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이것에 과황산칼륨 0.11g,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8.3mg 및 이온교환수 10g을 가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이후,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850㎛의 체를 통과시켜 구상 형상(일부는 구상이 응집한 형상)의 흡수성 수지 90g을 얻었다. 이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은 96㎛이고, 수분율은 3.1%이었다.
[비교예 6]
중합 시의 교반 속도를 저속화하여 역상 현탁 중합을 실시했다.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 아크릴산 수용액 92.0g을 투입하고, 플라스크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교반하면서 30질량% 수산화나트륨 102.2g을 적하해서 중화를 행했다. 이것에 과황산칼륨 0.11g,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8.3mg 및 이온교환수 43.8g을 가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2단의 50mmφ 경사 패들 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2L 용량의 5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로서 헵테인 334g을 계량했다. 둥근바닥 플라스크 내에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미쓰이화학주식회사, 상품명: 하이왁스 1105A) 0.92g을 가하고 300rpm의 교반 하 85℃의 탕욕으로 75∼80℃로 가온하여 용해·분산시킨 후, 내부 온도 61℃까지 공냉했다. 선단의 개구부가 내경 8mmφ인 SUS제 깔때기를 이용하여, 300rpm으로 교반하고 있는 상기 헵테인 중에 상기 단량체 수용액을 투입했다. 단량체 수용액 첨가 후, 내부 온도 40℃에서 10분간 교반하여 일차 분산시켰다.
다음으로, 계면활성제로서 수크로스지방산에스터(미쓰비시화학푸드주식회사, 상품명: S-370) 0.92g을 헵테인 8.28g에 60℃ 이상에서 별도 가온 용해시킨 액을, 상기 둥근바닥 플라스크 내에 깔때기를 이용하여 첨가하고, 교반 속도를 300rpm 그대로 단량체 수용액을 이차 분산시켰다.
상기 분산액을 포함하는 둥근바닥 플라스크의 내부 온도를 40℃로 유지하면서 계 내를 충분히 질소 치환한 후, 70℃의 탕욕을 이용하여 1시간 가온해서 라디칼 중합 반응을 행했다.
중합 반응 후, 120℃의 유욕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공비 증류에 의해, 헵테인을 플라스크로 환류시키면서 125g의 물을 계 밖으로 제거하는 것에 의해 헵테인에 분산된 탈수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헵테인 분산 탈수 중합체에 후가교제로서 2%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수용액 3.4g을 첨가하여, 83℃에서 2시간 후가교 반응을 행했다.
그 후, 120℃의 유욕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헵테인과 물을 증류에 의해 계 밖으로 제거한 후, 질소 기류 하에서 건조하고, 850㎛의 체를 통과시켜 구상 형상(일부는 구상이 응집한 형상)의 흡수성 수지 87g을 얻었다. 이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은 124㎛이고, 수분율은 3.2%이었다.
[비교예 7]
비교예 6에 대하여, 중합 시의 교반 속도를 더욱 저속화하여, 입자 직경이 큰 샘플의 제작을 시도했다.
비교예 6에 있어서, 교반 속도 300rpm을 250rpm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마찬가지로 중합을 실시했다. 그 결과, 70℃의 온욕에 담가서 내부 온도를 한창 상승시키고 있을 때에 교반 날개에 폴리머가 감겨 붙어 이상 중합이 생겼기 때문에, 그 시점에서 실험을 취소했다.
[비교예 8]
비교예 6에 있어서 증점제 HEC를 단량체 질량에 대하여 0.3질량% 첨가함으로써, 더욱 입자 직경이 큰 샘플의 제작을 시도했다.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 아크릴산 수용액 92.0g을 투입하고, 플라스크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교반하면서 30질량% 수산화나트륨 102.2g을 적하해서 중화를 행했다. 이것에 물 32.1g을 가하고, 추가로 HEC(스미토모세이카주식회사: AW-15F)를 0.276g 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이것에 과황산칼륨 0.11g,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8.3mg 및 이온교환수 11.4g을 가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2단의 50mmφ 경사 패들 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2L 용량의 5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로서 헵테인 334g을 계량했다. 둥근바닥 플라스크 내에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미쓰이화학주식회사, 상품명: 하이왁스 1105A) 0.92g을 가하고 300rpm의 교반 하 85℃의 탕욕으로 75∼80℃로 가온하여 용해·분산시킨 후, 내부 온도 61℃까지 공냉했다. 선단의 개구부가 내경 8mmφ인 SUS제 깔때기를 이용하여, 300rpm으로 교반하고 있는 상기 헵테인 중에 상기 단량체 수용액을 투입했다. 단량체 수용액 첨가 후, 내부 온도 40℃에서 10분간 교반하여 일차 분산시켰다.
다음으로, 계면활성제로서 수크로스지방산에스터(미쓰비시화학푸드주식회사, 상품명: S-370) 0.92g을 헵테인 8.28g에 60℃ 이상에서 별도 가온 용해시킨 액을, 상기 둥근바닥 플라스크 내에 깔때기를 이용하여 첨가하고, 교반 속도는 300rpm 그대로 단량체 수용액을 이차 분산시켰다.
상기 분산액을 포함하는 둥근바닥 플라스크의 내부 온도를 40℃로 유지하면서 계 내를 충분히 질소 치환한 후, 70℃의 탕욕을 이용하여 1시간 가온해서 라디칼 중합 반응을 행했다. 그 결과, 중합이 진행되어 내부 온도가 81℃를 초과한 시점에서, 중합조 내의 폴리머 입자가 침전하는 모습이 관찰되었기 때문에, 교반 속도를 600rpm까지 증속했다.
중합 반응 후, 120℃의 유욕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공비 증류에 의해, 헵테인을 플라스크로 환류시키면서 125g의 물을 계 밖으로 제거하는 것에 의해 헵테인에 분산된 탈수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헵테인 분산 탈수 중합체에 후가교제로서 2%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수용액 3.4g을 첨가하여, 83℃에서 2시간 후가교 반응을 행했다.
그 후, 120℃의 유욕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헵테인과 물을 증류에 의해 계 밖으로 제거한 후, 질소 기류 하에서 건조하고, 850㎛의 체를 통과시켜 구상 형상(일부는 구상이 응집한 형상)의 흡수성 수지 88g을 얻었다. 이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은 195㎛이고, 수분율은 3.2%이었다.
[비교예 9]
비교예 8에 있어서 증점제 HEC를 0.5질량%로 증량하고, 계 내를 크게 교반할 수 있는 격자상 교반 날개로 변경하여 중합을 행했다.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 아크릴산 수용액 92.0g을 투입하고, 플라스크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교반하면서 30질량% 수산화나트륨 102.2g을 적하해서 중화를 행했다. 이것에 물 33.4g을 가하고, 추가로 HEC(스미토모세이카주식회사: AW-15F)를 0.46g 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이것에 과황산칼륨 0.11g,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8.3mg 및 이온교환수 10g을 가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폭 58mm, 최대 높이 104mm이고 세로 방향으로 65mm의 슬릿이 계 4개 있는 격자상 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2L 용량의 5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로서 헵테인 334g을 계량했다. 둥근바닥 플라스크 내에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미쓰이화학주식회사, 상품명: 하이왁스 1105A) 0.92g을 가하여 200rpm의 교반 하 85℃의 탕욕으로 75∼80℃로 가온하여 용해·분산시킨 후, 내부 온도 61℃까지 공냉했다. 거기에 적하 깔때기를 이용하여, 200rpm으로 교반하고 있는 상기 헵테인 중에 상기 단량체 수용액을 적하 투입했다. 단량체 수용액 첨가 후, 내부 온도 40℃에서 10분간 교반하여 일차 분산시켰다.
다음으로, 계면활성제로서 수크로스지방산에스터(미쓰비시화학푸드주식회사, 상품명: S-370) 0.92g을 헵테인 8.28g에 60℃ 이상에서 별도 가온 용해시킨 액을, 상기 둥근바닥 플라스크 내에 깔때기를 이용하여 첨가하고, 교반 속도를 300rpm으로 증속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이차 분산시켰다.
상기 분산액을 포함하는 둥근바닥 플라스크의 내부 온도를 40℃로 유지하면서 계 내를 충분히 질소 치환한 후, 70℃의 탕욕을 이용하여 1시간 가온해서 라디칼 중합 반응을 행했다.
중합 반응 후, 120℃의 유욕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공비 증류에 의해, 헵테인을 플라스크로 환류시키면서 125g의 물을 계 밖으로 제거하는 것에 의해 헵테인에 분산된 탈수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헵테인 분산 탈수 중합체에 후가교제로서 2%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수용액 3.4g을 첨가하여, 83℃에서 2시간 후가교 반응을 행했다.
그 후, 120℃의 유욕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헵테인과 물을 증류에 의해 계 밖으로 제거한 후, 질소 기류 하에서 건조하고, 850㎛의 체를 통과시켜 구상 형상(일부는 구상이 응집한 형상)의 흡수성 수지 88g을 얻었다. 이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은 168㎛이고, 수분율은 2.7%이었다.
[실시예 5]
비교예 9에 있어서, 증점제 HEC 대신에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의 폴리바이닐피롤리돈(이후 「PVP」로 약기)을 단량체량에 대하여 1.0질량% 가했다.
단량체 수용액의 조정에 앞서서, PVP(아이에스피재팬주식회사: K-90)를 이온교환수에 용해시켜 5% 수용액을 100g 제작했다.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 아크릴산 수용액 92.0g을 투입하고, 플라스크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교반하면서 30질량% 수산화나트륨 102.2g을 적하해서 중화를 행했다. 이것에 과황산칼륨 0.11g,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8.3mg, 전술한 5질량% PVP 수용액 18.1g 및 이온교환수 25.8g을 가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폭 58mm, 최대 높이 104mm이고 세로 방향으로 65mm의 슬릿이 계 4개 있는 격자상 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2L 용량의 5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로서 헵테인 334g을 계량했다. 둥근바닥 플라스크 내에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로서 산화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미쓰이화학주식회사, 상품명: 하이왁스 4052E) 0.46g과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미쓰이화학주식회사, 상품명: 하이왁스 1105A) 0.46g을 가하여 200rpm의 교반 하 90℃의 탕욕으로 83∼86℃로 가온하여 용해·분산시킨 후, 내부 온도 61℃까지 공냉했다. 거기에 적하 깔때기를 이용하여, 200rpm으로 교반하고 있는 상기 헵테인 중에 상기 단량체 수용액을 적하 투입했다. 단량체 수용액 첨가 후, 내부 온도 40℃에서 10분간 교반하여 일차 분산시켰다.
다음으로, 계면활성제로서 수크로스지방산에스터(미쓰비시화학푸드주식회사, 상품명: S-370) 0.92g을 헵테인 8.28g에 60℃ 이상에서 별도 가온 용해시킨 액을, 상기 둥근바닥 플라스크 내에 깔때기를 이용하여 첨가하고, 교반 속도를 300rpm으로 증속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이차 분산시켰다.
상기 분산액을 포함하는 둥근바닥 플라스크의 내부 온도를 40℃로 유지하면서 계 내를 충분히 질소 치환한 후, 70℃의 탕욕를 이용하여 1시간 가온해서 라디칼 중합 반응을 행했다.
중합 반응 후, 교반 속도를 500rpm으로까지 증속하고, 120℃의 유욕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공비 증류에 의해, 헵테인을 플라스크로 환류시키면서 125g의 물을 계 밖으로 제거하는 것에 의해 헵테인에 분산된 탈수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헵테인 분산 탈수 중합체에 후가교제로서 2%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수용액 3.4g을 첨가하여, 83℃에서 2시간 후가교 반응을 행했다.
그 후, 120℃의 유욕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헵테인과 물을 증류에 의해 계 밖으로 제거한 후, 질소 기류 하에서 건조하고, 850㎛의 체를 통과시켜 구상 형상(일부는 구상이 응집한 형상)의 흡수성 수지 90g을 얻었다. 이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은 110㎛이고, 수분율은 3.0%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 대하여, PVP의 첨가량을 2질량%까지 증가시켰다.
단량체 수용액의 조정에 앞서서, PVP(아이에스피재팬주식회사: K-90)를 이온교환수에 용해시켜 5% 수용액을 100g 제작했다.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 아크릴산 수용액 92.0g을 투입하고, 플라스크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교반하면서 30질량% 수산화나트륨 102.2g을 적하해서 중화를 행했다. 이것에 과황산칼륨 0.11g,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8.3mg, 전술한 5질량% PVP 수용액 36.2g 및 이온교환수 7.7g을 가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이후,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 850㎛의 체를 통과시켜 구상 형상(일부는 구상이 응집한 형상)의 흡수성 수지 91g을 얻었다. 이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은 158㎛이고, 수분율은 3.3%이었다.
[비교예 10]
비교예 2에 있어서, 증점제인 HEC를 1.0질량%까지 증량했다.
구체적으로는,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 아크릴산 수용액 92.0g을 투입하고, 플라스크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교반하면서 30질량% 수산화나트륨 102.2g을 적하해서 중화를 행했다. 이것에 물 31.5g을 가하고, 추가로 HEC(스미토모세이카주식회사: AW-15F)를 0.905g 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이것에 과황산칼륨 0.073g,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터 8.3mg 및 이온교환수 10g을 가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이후,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850㎛의 체를 통과시켜 구상 형상(일부는 구상이 응집한 형상)의 흡수성 수지 90g을 얻었다. 이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은 215㎛이고, 수분율은 3.4%이었다.
상기 실시예 1∼6, 참고예 및 비교예 1∼3, 5∼6, 8∼10을 각 3회씩 실시하고, 얻어진 흡수성 수지에 대하여, 각각 잔존 분산매량의 측정 방법을 이용해서 측정한 그의 잔존 분산매량을 구하고, 그의 평균값±표준편차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6의 어느 흡수성 수지도 참고예 및 비교예의 것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저감된 잔존 분산매량을 가졌다. 보다 상세하게는,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를 이용하여 1단만의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하는 실시예 1∼6의 제조 방법에 의해, 2단의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하여 가장 낮은 수준의 잔존 분산매량을 나타내는 종래 방법(참고예 1, 104ppm)과 비교한 경우에서조차 잔존 분산매량의 한층 더한 저감이 달성될 수 있었다(p < 0.05).
또한, 얻어진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경의 비교에 있어서, 증점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교반 속도의 제어만으로 얻어지는 입자는 중위 입경이 120㎛ 정도까지이며(비교예 1 및 6),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역상 현탁 중합으로 잘 알려진 증점제인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HEC)를 사용한 경우에는, 대입경인 것은 얻어지지만, 동시에 잔존 분산매량이 많아짐이 확인되었다(비교예 2, 8, 9 및 10).
한편, 본원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150㎛ 이상의 입자 직경을 가지는 구상의 흡수성 수지(실시예 6)를 얻을 수도 있고, 나아가 그들의 참고예 및 비교예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저감된 잔존 분산매량의 흡수성 수지를 제공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 흡수성 수지 중에 포함되는 역상 현탁 중합에 사용된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의 잔존량이 적고,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에서 유래하는 취기가 더욱 저감된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가 제공된다.
Claims (7)
-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서 역상 현탁 중합시켜 흡수성(吸水性)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기의 공정:
(A)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를 가열 분산 또는 가열 용해시킨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에,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를 함유하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을 교반 하에 첨가하여 계면활성제 비존재 하에서 일차 분산시키고,
(B) 일차 분산 후에 얻어진 분산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추가로 이차 분산시키고, 이어서
(C)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하는 것
을 포함하고,
여기서, 친수성 고분자계 분산제가 폴리바이닐알코올 및 폴리바이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터, 수크로스지방산에스터 및 솔비탄지방산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소수성 고분자계 분산제가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산화형 폴리에틸렌, 산화형 폴리프로필렌 및 산화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아크릴산 및 그의 염, 메타크릴산 및 그의 염, 및 아크릴아마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석유계 탄화수소 분산매가 탄소수 6∼8의 지방족 탄화수소 및 지환족 탄화수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삭제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169679 | 2010-07-28 | ||
JPJP-P-2010-169679 | 2010-07-28 | ||
PCT/JP2011/066456 WO2012014750A1 (ja) | 2010-07-28 | 2011-07-20 | 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1143A KR20130041143A (ko) | 2013-04-24 |
KR101778341B1 true KR101778341B1 (ko) | 2017-09-13 |
Family
ID=4552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2277A KR101778341B1 (ko) | 2010-07-28 | 2011-07-20 |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8883944B2 (ko) |
EP (1) | EP2599797B1 (ko) |
JP (1) | JP5805641B2 (ko) |
KR (1) | KR101778341B1 (ko) |
CN (1) | CN103003310B (ko) |
BR (1) | BR112013002118A2 (ko) |
SA (1) | SA111320652B1 (ko) |
SG (1) | SG2014013221A (ko) |
TW (1) | TWI508981B (ko) |
WO (1) | WO201201475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014683B1 (en) | 2006-04-27 | 2012-10-10 |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 Process for production of water-absorbable resin |
US9132413B2 (en) | 2010-07-28 | 2015-09-15 |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 Method for producing a water-absorbent resin |
EP2725039A4 (en) * | 2011-06-24 | 2014-11-12 | Sumitomo Seika Chemicals |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 ABSORBING RESIN |
EP2891520B1 (en) | 2012-08-30 | 2020-02-12 | Nippon Shokubai Co., Ltd. | Particulate water-absorbing ag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JP6546493B2 (ja) * | 2015-09-25 | 2019-07-17 | 日本酢ビ・ポバール株式会社 | 懸濁重合用添加剤およびその水性分散体、並びに、それらを用いるビニル系樹脂の製造方法 |
KR102321577B1 (ko) | 2016-03-21 | 2021-11-04 | 하나텍플러스 주식회사 |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개인별 건강 분석에 따른 영양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CN106883359B (zh) * | 2017-03-29 | 2019-04-19 | 中山大学惠州研究院 | 一种粒径可控的具有防潮性能的高吸水微球制备方法 |
CN114805880B (zh) * | 2022-06-24 | 2022-09-09 | 山东诺尔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多糖接枝共聚高分子吸水膜及其制备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87702A (ja) | 1984-10-05 | 1986-05-06 | Seitetsu Kagaku Co Ltd | 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
JPH066612B2 (ja) | 1986-01-25 | 1994-01-26 | 住友精化株式会社 | 吸水性樹脂の製造法 |
JPH03195713A (ja) * | 1989-12-25 | 1991-08-27 | Mitsubishi Petrochem Co Ltd | 高吸水性ポリマーの製造法 |
JPH03195709A (ja) * | 1989-12-25 | 1991-08-27 | Mitsubishi Petrochem Co Ltd | 高吸水性ポリマーの製造法 |
JPH0912613A (ja) | 1995-06-28 | 1997-01-14 | Mitsubishi Chem Corp | 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
EP1456258B1 (en) | 2001-12-19 | 2009-04-01 | Nippon Shokubai Co., Ltd. | Water-absorbent resin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 |
CN100379764C (zh) | 2003-05-13 | 2008-04-09 | 住友精化株式会社 | 制造吸水树脂的方法 |
EP1796831B1 (en) | 2004-08-06 | 2020-01-15 | Nippon Shokubai Co.,Ltd. | Method for production of a particulate water-absorbing agent, corresponding particulate water-absorbing agent, and absorbing article |
JP2006089525A (ja) | 2004-09-21 | 2006-04-06 | Sumitomo Seika Chem Co Ltd | 吸水性樹脂粒子の製造方法 |
JP4721780B2 (ja) * | 2005-06-10 | 2011-07-13 | 住友精化株式会社 | 多孔質吸水性ポリマー粒子の製造法 |
CN102212156A (zh) | 2006-03-31 | 2011-10-12 | 旭化成化学株式会社 | 吸水性树脂颗粒凝聚体的制造方法 |
US8378033B2 (en) | 2006-04-24 | 2013-02-19 |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 Process for production of water-absorbable resin particle, and water-absorbable resin particle produced by the process |
EP2014683B1 (en) * | 2006-04-27 | 2012-10-10 |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 Process for production of water-absorbable resin |
JP5439179B2 (ja) | 2007-08-23 | 2014-03-12 | 住友精化株式会社 | 衛生材用途に適した吸水性樹脂 |
US9132413B2 (en) * | 2010-07-28 | 2015-09-15 |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 Method for producing a water-absorbent resin |
-
2011
- 2011-07-20 EP EP11812341.3A patent/EP2599797B1/en active Active
- 2011-07-20 JP JP2012526450A patent/JP5805641B2/ja active Active
- 2011-07-20 KR KR1020137002277A patent/KR10177834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7-20 WO PCT/JP2011/066456 patent/WO201201475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7-20 BR BR112013002118A patent/BR112013002118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07-20 US US13/812,753 patent/US8883944B2/en active Active
- 2011-07-20 CN CN201180036921.8A patent/CN103003310B/zh active Active
- 2011-07-20 SG SG2014013221A patent/SG2014013221A/en unknown
- 2011-07-26 TW TW100126322A patent/TWI508981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7-27 SA SA111320652A patent/SA111320652B1/ar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30123445A1 (en) | 2013-05-16 |
JPWO2012014750A1 (ja) | 2013-09-12 |
KR20130041143A (ko) | 2013-04-24 |
TWI508981B (zh) | 2015-11-21 |
CN103003310B (zh) | 2015-08-12 |
CN103003310A (zh) | 2013-03-27 |
EP2599797B1 (en) | 2019-01-23 |
BR112013002118A2 (pt) | 2019-01-08 |
EP2599797A1 (en) | 2013-06-05 |
TW201213349A (en) | 2012-04-01 |
JP5805641B2 (ja) | 2015-11-04 |
US8883944B2 (en) | 2014-11-11 |
WO2012014750A1 (ja) | 2012-02-02 |
SA111320652B1 (ar) | 2014-06-25 |
EP2599797A4 (en) | 2014-11-26 |
SG2014013221A (en) | 2014-06-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8340B1 (ko) |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
KR101778341B1 (ko) |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
KR101760989B1 (ko) |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
KR101520127B1 (ko) | 위생재 용도에 적합한 흡수성 수지 | |
KR101778339B1 (ko) |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
KR101819877B1 (ko) |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