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651B1 -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651B1
KR101776651B1 KR1020150135432A KR20150135432A KR101776651B1 KR 101776651 B1 KR101776651 B1 KR 101776651B1 KR 1020150135432 A KR1020150135432 A KR 1020150135432A KR 20150135432 A KR20150135432 A KR 20150135432A KR 101776651 B1 KR101776651 B1 KR 101776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obbin
transformer
terminal
lower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6361A (ko
Inventor
김명덕
Original Assignee
김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덕 filed Critical 김명덕
Priority to KR1020150135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651B1/ko
Publication of KR2017003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자동 또는 수동 생산시에 트랜스포머의 권선부에 권선된 코일이 접속단자로 불량 없이 쉽게 연결이 되도록 한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하부보빈, 권선부 및 상부보빈을 포함하여 구성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빈에는 접속단자가 하부로 연장된 단자지지대가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지지대의 전방에 하부코일지지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코일지지대는 후방으로 오목하며 상하로 관통 형성된 오목홈과, 상기 오목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침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하부보빈에 중앙부가 오목하고 양측이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하부코일지지대를 형성하고, 권선부에 감긴 코일이 접속단자로 연결할 시, 하부코일지지대의 오목한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 중 한 곳으로 노즐을 이용하여 코일이 감기도록 함으로써, 노즐이 걸리는 부분이 없이 코일을 감을 수 있어 코일을 감는 속도가 빨라짐에 따른 생산 효율이 증가하고, 상부보빈에 상부코일지지대를 복수로 형성하여 코일이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서로 마찰에 의한 코일의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Transformer with Easy Connecting Coil}
본 발명은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자동 또는 수동 생산시에 트랜스포머의 권선부에 권선된 코일이 접속단자로 불량 없이 쉽게 연결이 되도록 한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는 하부보빈(10), 권선부(30) 및 상부보빈(50)을 포함하여 구성된 보빈과, 보빈의 외주면에 결합된 코어(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보빈(10) 일측의 단자지지대(11)에는 복수의 접속단자(15)가 하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권선부(30)에 권선된 코일(C)이 연결되어 접속된다.
상기 단자지지대(11)에 형성된 하부코일지지대(13)로 코일(C)을 회전시켜 감은 후 접속단자(15)에 연결 시킴으로써, 납땜 등에 의한 접속단자(15)로부터 권선부(30)에 감긴 코일(C)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부코일지지대(13)는 양단이 폭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노즐(미도시)을 이용한 코일(C)을 하부코일지지대(13)로 감을 시, 하부코일지지대(13)의 돌출된 부분 사이의 좁은 틈새로 노즐이 통과하면서 돌출된 부분에 노즐이 걸리게 되고, 이에 따른 코일(C) 감는 중 불량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불량을 줄이기 위해 노즐을 이용한 하부코일지지대(13)로 코일(C)을 감는 속도가 느려지게 되므로, 이에 따른 생산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2168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하부보빈에 중앙부가 오목하고 양측이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하부코일지지대를 형성하고, 권선부에 감긴 코일이 접속단자로 연결할 시, 하부코일지지대의 오목한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 중 한 곳으로 노즐을 이용하여 코일이 감기도록 함으로써, 노즐이 걸리는 부분이 없이 코일을 감을 수 있어 코일을 감는 속도가 빨라짐에 따른 생산 효율이 증가하고, 상부보빈에 상부코일지지대를 복수로 형성하여 코일이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서로 마찰에 의한 코일의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는 하부보빈, 권선부 및 상부보빈을 포함하여 구성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빈에는 접속단자가 하부로 연장된 단자지지대가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지지대의 전방에 하부코일지지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코일지지대는 후방으로 오목하며 상하로 관통 형성된 오목홈과, 상기 오목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침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침돌출부의 전단부는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보빈는 상부돌출부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코일지지대가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출부는 길이방향으로 이격 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보빈에는 접속단자가 하부로 연장된 단자지지대가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지지대의 후방에 하부코일지지대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코일지지대는 전방으로 오목하며 상하로 관통 형성된 오목홈과, 상기 오목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침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보빈는 상부돌출부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코일지지대가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에 따르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하부보빈에 중앙부가 오목하고 양측이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하부코일지지대를 형성하고, 권선부에 감긴 코일이 접속단자로 연결할 시, 하부코일지지대의 오목한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 중 한 곳으로 노즐을 이용하여 코일이 감기도록 함으로써, 노즐이 걸리는 부분이 없이 코일을 감을 수 있어 코일을 감는 속도가 빨라짐에 따른 생산 효율이 증가하고, 상부보빈에 상부코일지지대를 복수로 형성하여 코일이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서로 마찰에 의한 코일의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서 가로방향을 '폭 방향',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폭 방향 내측', 세로방향을 '상하 방향', 지면에 수직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보빈(100), 권선부(300) 및 상부보빈(500)을 포함하여 구성된 보빈과, 보빈의 외주면에 결합된 코어(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빈은 하부보빈(100)의 상부에 권선부(300)가 적층되고, 상기 권선부(300)의 상부에 상부보빈(500)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빈에 끼워지는 코어는 종래 사용되는 철심 또는 페라이트 코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하부보빈(100)은 길이방향 전방에 복수의 접속단자(150)가 하부로 연장 구비된 단자지지대(110)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지지대(110)로부터 길이방향 전방으로 복수의 하부코일지지대(13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접속단자(150)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코일지지대(130)는 상기 접속단자(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부코일지지대(130)는 후방으로 오목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오목홈(135)과, 상기 오목홈(135)을 기준으로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침돌출부(131)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오목홈은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걸침돌출부는 폭 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홈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침돌출부(131)의 전단부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탭부(137)가 형성된다.
상부보빈(500)은 상부돌출부(511, 513)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코일지지대(510)가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출부(511, 51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제1상부돌출부(511)와 제2상부돌출부(513)가 이격 되어 형성된다.
권선부(300)는 1차측 코일이 감기는 제1권선부와, 2차측 코일이 감기는 제2권선부로 분리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1차측 코일이 제2권선부에, 2차측 코일이 제1권선부에 상호 교차되어 감길 수가 있다.
권선부(300)에 감겨진 1차측 코일 및 2차측 코일의 단부는 단자지지대(110)의 하부코일지지대(130)에 고정된 후 접속단자(1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빈에서 길이방향 전방 측이 1차측 이라면 길이방향 후방은 2차측이 될 수 있으며, 1차측과 동일하게 2차측도 하부보빈(100)에 하부코일지지대(130)가 형성되고, 상부보빈(500)에 상부코일지지대(51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보빈(100)에는 1차측과 마찬가지로 접속단자가 하부로 연장된 단자지지대가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지지대의 후방에 하부코일지지대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하부코일지지대는 전방으로 오목하며 상하로 관통 형성된 오목홈과, 상기 오목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침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보빈(500)에도 1차측과 마찬가지로 서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제1상부돌출부와 제2상부돌출부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코일지지대가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가 구비되면, 별도의 노즐(미도시)을 이용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의 권선부(300)에 코일을 감기도록 하고, 이어서 권선부(300)에 코일 감는 것이 완료되면, 단자지지대(110)의 하부코일지지대(130) 양측 걸침돌출부(131) 중 가까이 위치한 걸침돌출부(131)에 코일(C1)을 회전시켜 감아 고정시킨다.
상기 하부코일지지대(130)의 걸침돌출부(131)는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가 되므로, 코일(C1)을 감기 위해 노즐이 움직일 때 주변에 방해물이 없으므로 불량 발생이 줄어들며, 코일을 감는 속도도 빠르고 이에 따른 생산 효율이 증가한다.
아울러, 걸침돌출부(131)의 단부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탭부(13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침돌출부(131)에 감겨진 코일이 걸침돌출부(131)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이어서, 걸침돌출부(131)에 코일이 감겨지면 단자지지대(110)의 하부에 위치한 접속단자(150)로 코일(C)의 단부를 납 땜 등을 통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처럼, 상기 단자지지대(110)에 형성된 하부코일지지대(130)로 코일(C)을 회전시켜 감은 후 접속단자(150)에 연결 시킴으로써, 납땜 등에 의한 접속단자(150)로부터 권선부(300)에 감긴 코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화로 인한 코일(C)의 피복이 벗겨져 코일(C)끼리 전기적 단락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권선부(300)에 코일을 감는 중에 상대적으로 상부보빈(500)에 가까운 위치에서 감기가 완료될 수 있다.
이때, 상부보빈(500)에 가까운 위치에서 감기가 완료된 코일을 하부코일지지대(130)의 걸침돌출부(131)에 연결시키려 하면, 권선부(300)에 감겨진 코일이 하부보빈(500) 쪽으로 미끄러지면서 감겨진 코일이 헐렁해질 수 있다.
따라서, 권선부(300)에 코일을 감는 중에 상대적으로 상부보빈(500)에 가까운 위치에서 감기가 완료되면, 코일(C2)의 단부를 상부코일지지대(510)에 감아서 고정시킨 후에 하부코일지지대(130)의 걸침돌출부(131)에 연결시키면, 상부보빈(500)에 가까운 위치에서 감기가 완료된 코일(C2)이 하부보빈(500) 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면서 코일(C2)의 단부를 접속단자(150)에 접속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부보빈(500)에 가까운 위치에서 감기가 완료된 코일이 많아지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상부돌출부(511)와 제2상부돌출부(513)에 의해 구분된 공간으로 각각 코일(C2, C3)을 감아서 고정되도록 하여, 코일(C2)과 코일(C3)끼리 서로 마찰, 장력, 열화 등에 의한 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하부보빈, 권선부 및 상부보빈을 포함하여 구성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기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트랜스포머 보빈의 권선부위의 섹션(SECTION)이나 구조물이 없는 모든 트랜스포머에 본 발명에 따른 하부코일지지대, 상부코일지지대 등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하부보빈 110: 단자지지대
130: 하부코일지지대 131: 걸침돌출부
135: 오목홈 137: 돌출탭부
150: 접속단자 300: 권선부
500: 상부보빈 510: 상부코일지지대
511: 제1상부돌출부 513: 제2상부돌출부

Claims (4)

  1. 하부보빈, 권선부 및 상부보빈을 포함하여 구성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빈에는 접속단자가 하부로 연장된 단자지지대가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지지대의 전방에 하부코일지지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코일지지대는 후방으로 오목하며 상하로 관통 형성된 오목홈과, 상기 오목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침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보빈는 상부돌출부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코일지지대가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출부는 길이방향으로 이격 되어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침돌출부의 전단부는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빈에는 접속단자가 하부로 연장된 단자지지대가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지지대의 후방에 하부코일지지대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코일지지대는 전방으로 오목하며 상하로 관통 형성된 오목홈과, 상기 오목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침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부보빈는 상부돌출부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코일지지대가 후방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
KR1020150135432A 2015-09-24 2015-09-24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 KR101776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432A KR101776651B1 (ko) 2015-09-24 2015-09-24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432A KR101776651B1 (ko) 2015-09-24 2015-09-24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361A KR20170036361A (ko) 2017-04-03
KR101776651B1 true KR101776651B1 (ko) 2017-09-08

Family

ID=5858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432A KR101776651B1 (ko) 2015-09-24 2015-09-24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6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0504A (ja) 2009-08-07 2011-02-24 Tamura Seisakusho Co Ltd トランス
JP2015515730A (ja) * 2012-04-12 2015-05-28 エプ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Epcos Ag 導電線の束線用接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683A (ko) 2003-08-25 2005-03-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트랜스포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0504A (ja) 2009-08-07 2011-02-24 Tamura Seisakusho Co Ltd トランス
JP2015515730A (ja) * 2012-04-12 2015-05-28 エプ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Epcos Ag 導電線の束線用接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361A (ko) 201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3468B2 (ja) 巻線方法及びその装置
US8779883B2 (en) Coil device
US9564267B2 (en) Magnetic element and bobbin assembly thereof
KR20130007176U (ko) 초슬림 변압기 보빈
KR101776651B1 (ko) 코일의 연결이 쉬운 트랜스포머
JP5928811B2 (ja) トランス
TWM504334U (zh) 雙軸式薄型線架改進結構
TWI451456B (zh) 磁性元件及其繞線基座
CN103915246A (zh) 线圈部件
TW201340138A (zh) 磁性元件及其繞線架
CN110571026A (zh) 电感骨架及电感装置
JP2017152534A (ja) コイル部品およ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2013191693A (ja)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1454Y2 (ja) 変圧器
US7893805B2 (en) Transformer
JP2014053453A (ja) 電磁誘導器
CN205542332U (zh) 一种变压器骨架
US2339067A (en) Coil unit
TWI543212B (zh) 新穎變壓器結構
CN104931756B (zh) 一种适用于方形对插磁芯的电流传感器骨架
CN213025769U (zh) 一种加强型贴片变压器组合式骨架
CN110739118A (zh) 变压器和具有其的电源
JP6131666B2 (ja) コイル部品
JP7341745B2 (ja) コイル部品、およびボビン
CN210489433U (zh) 可自动化绕线的骨架及变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