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642B1 -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 및 그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 및 그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642B1
KR101775642B1 KR1020170015597A KR20170015597A KR101775642B1 KR 101775642 B1 KR101775642 B1 KR 101775642B1 KR 1020170015597 A KR1020170015597 A KR 1020170015597A KR 20170015597 A KR20170015597 A KR 20170015597A KR 101775642 B1 KR101775642 B1 KR 101775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fastening
fixing block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정
이종태
이창석
이일행
프루잇 데이브
Original Assignee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5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 및 그 체결구조에 관하여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에 링 부착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파이프에 상기 링을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부위로 경사지게 확관 형성되는 테이퍼 형상부와 상기 테이퍼 형상부의 전방으로 구비된 외경 돌출부를 갖는 이음관을 준비하고, 상기 링이 결합된 파이프를 상기 이음관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단계; (d)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 중 제2 몸체를 상기 파이프와 상기 이음관 연결 부위 하단에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 중 제1 몸체를 상기 제2 몸체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파이프와 상기 이음관 연결 부위 상단에 설치하는 단계; 및 (f)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2 몸체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 및 그 체결구조{METHOD FOR CONNECTING PIPE AND PIPE JOINT AND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 및 그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파이프와 이음관 사이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 수압에 의해 이음관으로부터 파이프가 분리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되는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 및 그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배관공사를 수행함에 있어 다수의 파이프 간의 연결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 파이프 간의 연결에는 별도의 이음관이 이용된다.
이음관은 주지된 바와 같이 I형, L형, T형, Y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갖는 제품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이음관을 통해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식도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이음관의 일측(또는 양측)에 파이프를 접속시켜 연결한 다음, 볼트 및 너트 간의 나사체결을 통해 파이프의 연결 부위를 둘러 감싼 가압구를 강하게 고정시켜 파이프들의 연결 작업을 마무리 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이음관에 파이프를 연결하는 작업이 번거로웠으며, 작업에 많은 시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만일의 경우 파이프와 이음관 사이에 미세한 유격이라도 존재하게 될 경우, 수밀 기능이 확보되지 못하여 누수 등의 불량이 야기될 우려가 있었다.
특히, L형 이음관인 경우 이음관 양단을 통해 파이프가 연결되면, 이음관 후면에 걸리는 수압에 의해 이음관 내부로 삽입된 파이프가 분리되거나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기술적 해결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9932호(2011.10.20. 공개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파이프 이음관의 결합구조에 관한 기술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파이프와 이음관 사이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 수압에 의해 이음관으로부터 파이프가 분리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 및 그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에 링 부착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파이프에 상기 링을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부위로 경사지게 확관 형성되는 테이퍼 형상부와 상기 테이퍼 형상부의 전방으로 구비된 외경 돌출부를 구비하는 이음관을 준비하고, 상기 링이 결합된 파이프를 상기 이음관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단계; (d)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 중 제2 몸체를 상기 파이프와 상기 이음관 연결 부위 하단에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 중 제1 몸체를 상기 제2 몸체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파이프와 상기 이음관 연결 부위 상단에 설치하는 단계; 및 (f)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2 몸체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링은,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을 통해 원주 방향으로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링은 PVC 접착제 부착 방식 또는 볼트 체결 방식으로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음관 연결 방법은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데, 상기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에서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각각의 일단부에는 상기 외경 돌출부를 지지하도록 돌출된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각각의 타단부에는 상기 이음관과의 사이에서 상기 링의 위치를 구속시키도록 돌출된 링 구속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각각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원주 방향으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이음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돌출된 상기 외경 돌출부와 접촉하는 부위로 밀착 가능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링 구속 돌기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에 접촉되거나 또는 설정거리를 두고 이격하여 상기 링과 간섭이 가능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는, 상기 제1 몸체의 양측 각각으로부터 전후로 수평 연장되는 제1 고정블록과, 상기 제1 고정블록과 마주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의 양측 각각으로부터 수평 연장되어 상기 제1 고정블록과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고정블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블록의 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블록의 후방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가능한 결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블록의 전방에는 제1 체결 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블록의 전방에는 제2 체결 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f)단계에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결합 홈을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이 완료되어 상기 제1, 2 체결 공의 위치가 일치될 때, 상기 제1, 2 체결 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체결된 볼트를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블록은, 상기 결합 홈의 상부로 돌출되는 측면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고정블록의 상면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1, 2 고정블록의 결합 후 상기 제1 고정블록의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1, 2 고정블록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 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의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에 의해 체결된 파이프 이음관 체결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인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파이프와 이음관 사이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 수압에 의해 이음관으로부터 파이프가 분리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음관에는 파이프가 삽입되는 부위를 통해 소정의 각도범위(예: 5도 등)로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프 형상부가 구비되어 이음관에 연결된 파이프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굴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을 간략히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2는 파이프에 링 부착 위치를 표시하는 작업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파이프에 링을 결합하는 작업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링이 결합된 파이프를 이음관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작업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 몸체를 파이프와 이음관 연결 부위 하단에 설치하는 작업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몸체를 파이프와 이음관 연결 부위 상단에 설치하는 작업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2 몸체를 체결하여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와 이음관을 연결하는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 중 제2 몸체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 중 제1 몸체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을 간략히 설명한 순서도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각 단계별 작업상태를 보여주는 공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은, 링 부착 위치 표시단계(S100), 링 결합 단계(S200), 파이프 이음관 삽입 단계(S300), 제2 몸체 설치 단계(S400), 제1 몸체 설치 단계(S500), 제1, 2 몸체 체결 단계(600)를 포함한다.
링 부착 위치 표시단계(S100)
본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에 링 부착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음관(200, 도 4 참조)을 통해 연결된 파이프(300)를 적어도 하나 준비한다.
그리고 준비된 파이프(300)의 외주 면을 통해 후술된 단계에서 링(310, 도 3 참조)이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미리 링(310, 도 3 참조)이 결합되는 부착 위치(L)를 점선과 같이 표시한다.
링 결합 단계(S200)
본 단계는 링 결합 단계로서, 이전 단계에서 준비된 파이프에 링을 결합하는 단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준비된 파이프(300)에 링(310)을 결합하는데, 구체적으로는 파이프(300)의 외주 면을 통해 원주 방향으로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예컨대, 링(310)은 PVC 접착제를 이용하여 파이프(300)상에 표시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 볼트 체결 방식, 즉 링(310)을 관통하는 볼트(미도시)와, 이를 고정하는 너트의 체결을 통해 링(310)을 결합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다양한 관용의 방식이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파이프 이음관 삽입 단계( S300 )
본 단계는 파이프 이음관 삽입 단계로서, 준비된 이음관에 파이프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단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음관(200)이 준비되는데, 이 이음관(200)은 파이프(300)가 삽입되는 부위로 경사지게 확관 형성되는 테이퍼 형상부(210)와, 테이퍼 형상부(210)의 전방으로 외경 돌출부(23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이음관(200)의 일측 개구를 통해 파이프(300)가 일부 삽입되는데, 이때 파이프(300)에 고정된 링(310)이 이음관(200)의 일측 단부에 걸려 파이프(300)가 삽입되는 정도가 제한될 수 있다.
제2 몸체, 제1 몸체 설치 및 제1, 2 몸체 체결 단계(S400, S500, 600)
본 단계는 제2 몸체, 제1 몸체 및 제1, 2 몸체 체결 단계로서,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를 구성하는 제2 몸체, 제1 몸체를 파이프와 이음관 사이의 연결 부위로 순차 설치한 후, 이들 제1, 2 몸체 간의 체결을 통해 파이프와 이음관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제2 몸체(130)를 파이프(300)와 이음관(200) 연결 부위 하단에 설치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제1 몸체(110)를 제2 몸체(130)의 상부에 결합하여, 파이프(300)와 이음관(200) 연결 부위 상단에 제1 몸체(110)를 설치한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제1, 2 몸체(110, 130)를 별도의 체결부재(190)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100)의 체결 작업이 마무리된다.
도 8은 파이프(300)와 이음관(200) 사이에 연결되어 파이프(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100)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반 단면도이고, 도 9는 제2 몸체(130)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제1 몸체(110)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병행 참조하여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100)를 구성하는 제1 몸체(110)는 이음관(200)과 파이프(300) 간의 연결 부위 상단을 감싸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몸체(130)는 제1 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이음관(200)과 파이프(300) 간의 연결 부위 하단을 감싸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30) 각각의 일단부(111, 131)에는 외경 돌출부(230)를 지지하도록 돌출된 걸림 돌기(111a, 131a)가 형성될 수 있다.
외경 돌출부(2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관(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걸림 돌기(111a, 131a)는 외경 돌출부(230)와 접촉하는 부위를 통해 외경 돌출부(230)의 라운드 진 형상에 대응하여 밀착 가능한 곡면을 갖는 것이 좋다. 이로써, 안정적으로 이음관(2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30) 각각의 타단부(113, 133)에는 이음관(200)과의 사이에서 링(310)의 위치를 구속시키도록 돌출된 링 구속 돌기(113a, 133a)가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300)에 고정되는 링(310)은 파이프(300)의 외주 면을 통해 원주 방향으로 결합하여 고정되는데, 이에 대응하여, 링 구속 돌기(113a, 133a)는 파이프(300)의 외주 면에 접촉되거나 또는 설정거리를 두고 이격하여 링(310)과 간섭이 가능한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30) 각각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절개부(112, 132, 도 7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112, 132, 도 7 참조)를 통해 링(310)의 결합 여부 및 구속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절개부(112, 132, 도 7 참조)의 크기 및 형상은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제1 몸체(110)의 양측 각각에는 제1 고정블록(115)이 구비되며, 제2 몸체(130)의 양측 각각에는 제2 고정블록(135)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고정블록(115)은 제1 몸체(110)의 양측 각각으로부터 전후 방향(즉, 파이프(300)가 연결되는 방향)으로 수평 연장될 수 있다.
제2 고정블록(135)은 제1 고정블록(115)과 마주하여 형성되는데, 제2 몸체(130)의 양측 각각으로부터 전후 방향(즉, 파이프(300)가 연결되는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어 제1 고정블록(115)과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고정블록(115)의 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 돌기(115a)가 형성되고, 제2 고정블록(135)의 후방에는 결합 돌기(115a)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가능한 결합 홈(135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결합 돌기(115a)는 제1 고정블록(115)의 후방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타원형,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걸림 돌기(115a)의 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어느 한 방향으로만 결합되도록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자세로 제1 몸체(110)가 제2 몸체(130)에 끼워질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마모 또는 손상이 억제되어 반복적으로 재사용하는 경우에도 내구수명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결합 홈(135a)은 결합 돌기(115a)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결합 돌기(115a)의 형상이 원형일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만일 결합 돌기(115a)의 형상이 변경될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1 고정블록(115)의 전방에는 제1 체결 공(117, 도 10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블록(135)의 전방에는 제2 체결 공(137, 도 9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이들 제1 체결 공(117, 도 10 참조)과, 제2 체결 공(137, 도 9 참조)의 위치는 결합 돌기(115a, 도 10 참조)가 결합 홈(135a, 도 9 참조)을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이 완료될 때 상호 일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블록(13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홈(135a)의 상부로 돌출되는 측면 플레이트(13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플레이트(136)는 제1 고정블록(115)의 상면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1, 2 고정블록(115, 135) 간의 결합을 가이드해주는 역할을 함은 물론, 결합 후 제1 고정블록(115)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제1 고정블록(115)의 전방에는 단면이 확장 형성되는 단면 확장부(116)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단면 확장 구조에 따라 구조적인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100)를 이용하여 파이프(300)와 이음관(200) 사이의 연결작업을 실시하는데, 먼저, 도 5와 같이 제2 몸체(130)를 파이프(300)와 이음관(200) 연결 부위 하단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도 6과 같이 제1 몸체(110)를 제2 몸체(130)의 상부에 결합하여, 파이프(300)와 이음관(200) 연결 부위 상단에 제1 몸체(110)를 설치한다. 이때, 제2 몸체(130)의 결합 홈(135a)을 통해 제1 몸체(110)의 결합 돌기(115a)를 슬라이딩 결합시켜 둘 사이의 결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결합이 완료되면, 제1 몸체(110)의 제1 고정블록(115)과 제2 몸체(130)의 제2 고정블록(135) 각각에 마련된 제1, 2 체결 공(117, 137)의 위치가 일치되는데, 볼트(191)를 관통한 후 고정너트(193)를 이용하여 체결 작업이 마무리될 수 있다.
즉, 볼트(191)와 고정너트(193)를 포함하는 체결부재(190)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결합된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100)의 반대 편을 견고하게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결합을 해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2개의 고정너트(193)만을 푸는 작업만으로 간단하게 이음관(200)과 파이프(300) 간의 연결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다수의 파이프가 이음관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에 있어서, 수압에 의해 이음관으로부터 파이프가 분리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특히, 이음관 내에 테이프 형상부가 구비되어 이음관에 연결된 파이프가 소정 각도범위(예: 편도 5도 정도) 내에서 굴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인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
110: 제1 몸체
111: 제1 몸체의 일단부
111a: 걸림 돌기
112: 절개부
113: 제1 몸체의 타단부
113a: 링 구속 돌기
115: 제1 고정블록
115a: 결합 돌기
116: 단면 확장부
117: 제1 체결 공
130: 제2 몸체
131: 제2 몸체의 일단부
131a: 걸림 돌기
132: 절개부
133: 제2 몸체의 타단부
133a: 링 구속 돌기
135: 제2 고정블록
135a: 결합 홈
136: 측면 플레이트
137: 제2 체결 공
190: 체결부재
191: 볼트
193: 고정너트
200: 이음관
210: 테이퍼 형상부
230: 외경 돌출부
300: 파이프
310: 링

Claims (10)

  1. (a)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에 링 부착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파이프에 상기 링을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부위로 경사지게 확관 형성되는 테이퍼 형상부와 상기 테이퍼 형상부의 전방으로 구비된 외경 돌출부를 갖는 이음관을 준비하고, 상기 링이 결합된 파이프를 상기 이음관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단계;
    (d)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 중 제2 몸체를 상기 파이프와 상기 이음관 연결 부위 하단에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 중 제1 몸체를 상기 제2 몸체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파이프와 상기 이음관 연결 부위 상단에 설치하는 단계; 및
    (f)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2 몸체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에서,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각각의 일단부에는 상기 외경 돌출부를 지지하도록 돌출된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각각의 타단부에는 상기 이음관과의 사이에서 상기 링의 위치를 구속시키도록 돌출된 링 구속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는, 상기 제1 몸체의 양측 각각으로부터 전후로 수평 연장되는 제1 고정블록과, 상기 제1 고정블록과 마주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의 양측 각각으로부터 수평 연장되어 상기 제1 고정블록과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고정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블록의 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블록의 후방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가능한 결합 홈이 형성되는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링은,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을 통해 원주 방향으로 결합하여 고정되는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링은,
    PVC 접착제 부착 방식 또는 볼트 체결 방식으로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에 결합되는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이음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돌출된 상기 외경 돌출부와 접촉하는 부위로 밀착 가능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링 구속 돌기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에 접촉되거나 또는 설정거리를 두고 이격하여 상기 링과 간섭이 가능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블록의 전방에는 제1 체결 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블록의 전방에는 제2 체결 공이 구비되며,
    상기 (f)단계에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결합 홈을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이 완료되어 상기 제1, 2 체결 공의 위치가 일치될 때, 상기 제1, 2 체결 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체결된 볼트를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블록은, 상기 결합 홈의 상부로 돌출되는 측면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고정블록의 상면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1, 2 고정블록의 결합 후 상기 제1 고정블록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8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에 의해 체결된 파이프 이음관 체결구조.
KR1020170015597A 2017-02-03 2017-02-03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 및 그 체결구조 KR101775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597A KR101775642B1 (ko) 2017-02-03 2017-02-03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 및 그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597A KR101775642B1 (ko) 2017-02-03 2017-02-03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 및 그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642B1 true KR101775642B1 (ko) 2017-09-07

Family

ID=59925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597A KR101775642B1 (ko) 2017-02-03 2017-02-03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 및 그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6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7675A (ja) 2005-01-27 2006-08-10 Kitz Corp 管継手
KR101103783B1 (ko) * 2011-09-29 2012-01-13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클램프형 파이프 이음장치
KR101488337B1 (ko) 2014-05-12 2015-01-30 연우지에스티 주식회사 커플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7675A (ja) 2005-01-27 2006-08-10 Kitz Corp 管継手
KR101103783B1 (ko) * 2011-09-29 2012-01-13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클램프형 파이프 이음장치
KR101488337B1 (ko) 2014-05-12 2015-01-30 연우지에스티 주식회사 커플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7200B2 (en) Multi-fit clip
US9725892B2 (en) Plumbing supply line mounting and finish panel assembly
JP2010038365A (ja) プルタブ型リテーナを有するクイックコネクタ継手
US7874318B2 (en) Plumbing test cap with pivotal latch
KR101775642B1 (ko) 파이프 이음관 체결방법 및 그 체결구조
KR20120100585A (ko) 주름관 연결장치
JPH08145265A (ja) パイプの接続具
JP2612815B2 (ja) 管継手用管離脱防止装置
JPH10164742A (ja) 波形管用直管継手
JP4671645B2 (ja) 離脱防止管継手
JP2574414Y2 (ja) ワイヤーハーネス固定具
JP2002039472A (ja) 管継手の抜止め具及び抜止め具を備えた管継手
KR101758599B1 (ko) 파이프 이음관용 체결장치
JP4166198B2 (ja) パネル貫通の配管部材の固定装置
JP2007303147A (ja) 竪樋の取付具及びこれを用いた竪樋の取付構造。
JP2001248777A (ja) 迅速管継手
JP2000081164A (ja) フレキシブル管挿通用治具
JP3652496B2 (ja) 配管接続構造
JPS5853506Y2 (ja) 管継手離脱防止用金具
JPH024313Y2 (ko)
JP3011711B1 (ja) 管継手及び配管方法
JPH0629575Y2 (ja) エルボ型管継ぎ手の取付プレート
JP3594368B2 (ja) 水栓金具の取付具
JPH0620027Y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4316710A (ja) 管継手部の回転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