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104B1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104B1
KR101775104B1 KR1020150154774A KR20150154774A KR101775104B1 KR 101775104 B1 KR101775104 B1 KR 101775104B1 KR 1020150154774 A KR1020150154774 A KR 1020150154774A KR 20150154774 A KR20150154774 A KR 20150154774A KR 101775104 B1 KR101775104 B1 KR 101775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indicator
wear
units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395A (ko
Inventor
나재봉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4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1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24Wear-indic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24Wear-indicating arrangements
    • B60C11/243Tread wear sensors, e.g. electronic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타이어의 제1 방향으로의 제1 길이 및 상기 타이어의 중심방향으로의 제1 깊이를 갖는 복수의 인디케이터 유닛을 구비하는 제1 마모 인디케이터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제1 마모 인디케이터부는 상기 제1 깊이가 상이한 복수의 인디케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이어{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마모 인디게이터부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승차감 및 조향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트레드 면에 다수의 그루부로 구획된 다수의 블록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트레드는 주행시 지면과 접촉하면서 지면과의 마찰력으로 블록이 마모되고, 블록이 마모됨에 따라 그루브의 깊이가 얕아져 승차감 및 조향성능이 하락되고, 심지어는 마모로 인해 타이어가 파손된다.
따라서, 타이어의 마모 정도로 그 타이어의 수명을 판단하게 되는데, 그 판단 기준이 모호하여 타이어의 마모한계 이상까지 사용하게 됨으로써, 타이어의 파손으로 인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1은 타이어용 마모한계표시구를 구비하는 타이어를 개시하고 있는데, 마모한계표시구가 그루브 내부에 배치되어, 타이어의 트레드가 마모되어 마모한계에 다다르면 마모한계 표시구가 외부로 드러나면서 소음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타이어가 개재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2010-0003893호
그러나, 이와 같은 타이어는 그루브 내부에 마모한계 표시구를 배치하여 외부에서 식별이 용이하지 않으며, 마모한계에 다다르기 전까지 타이어의 마모된 수준을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는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에서 식별이 용이하며, 타이어의 마모수준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타이어의 제1 방향으로의 제1 길이 및 상기 타이어의 중심방향으로의 제1 깊이를 갖는 복수의 인디케이터 유닛을 구비하는 제1 마모 인디케이터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제1 마모 인디케이터부는 상기 제1 깊이가 상이한 복수의 인디케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은 상기 제1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인디케이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 마모 인디케이터부의 상기 복수의 인디케이터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인디케이터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 깊이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 마모 인디케이터부의 상기 복수의 인디케이터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인디케이터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는, 상기 제1 길이 중 최대 길이와, 상기 제1 깊이들 중 최대 깊이보다 더 깊은 마모한계깊이로 이루어진 사각홈 형태의 기준 인디게이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디게이터유닛 각각은, 상기 타이어의 중심 방향으로 형성된 홈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디케이터 유닛은 사각홈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는, 상기 복수의 인디게이터유닛 각각의 일부에 매립되어 배치되는 유색의 매립유닛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유색의 매립유닛들은 적어도 상이한 색을 갖는 복수의 매립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타이어의 제3 방향으로의 제2 길이 및 상기 타이어의 중심방향으로의 제2 깊이를 갖는 홈 형태의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깊이는, 상기 타이어의 제3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는, 상기 타이어의 숄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타이어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유색 인디게이터유닛을 구비하는 제3 마모 인디게이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3 마모 인디케이터부의 복수의 유색 인디게이터유닛은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부로부터 상기 타이어의 사이드월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는 깊이가 다른 복수의 인디게이터유닛 및 기준 인디게이터유닛을 포함하는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타이어의 마모 정도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는 하나 이상의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 및 제3 마모 인디게이터부를 포함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타이어의 편마모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타이어의 제1 마모인디게이터부의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들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를 도시한 확대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의 마모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타이어의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마모 인디게이터부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는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타이어(1)는 타이어(1)의 주행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 그루브(20)들을 가진 트레드부(10)와, 타이어(1)의 측면인 사이드월부(50), 트레드부(10)와 사이드월부(50) 사이를 연결하는 숄더부(3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서는 그루브(20)들이 4개인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타이어(1)는 하나 이상의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타이어(1)는 하나의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를 트레드부(10)의 중심에 배치시켜 타이어(1)의 마모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타이어(1)는 두 개의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를 포함하고, 트레드부(10)의 외곽 블록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타이어(1)의 편마모 정도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의 개수를 제한하지 않는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타이어(1)가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를 두 개 포함하고, 트레드부(10)의 양측 외곽 블록에 각각 배치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타이어(1)의 제1 마모인디게이터부(100)의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120)들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타이어(1)의 제1 방향으로의 제1 길이 및 타이어(1)의 중심방향으로의 제1 깊이를 갖는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1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120)들 각각은, 타이어(1)의 중심방향으로 형성된 홈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각홈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120)들은 도 3에서와 같이 3개이며, 일정 간격(L)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120)들의 개수와 배치간격을 제한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120)들은 4개로 이루어지고,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120)들은 제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1 깊이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120)들은 제2 방향으로 갈수록 제1 깊이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인디게이터 유닛(120a)의 제1 깊이(D1)는 트레드부(10)의 마모한계깊이(MH)의 20%에 대응되는 깊이이고, 제2 인디게이터 유닛(120b)의 제1 깊이(D2)는 50%에 대응되는 깊이이며, 제3 인디게이터 유닛(120c)의 제1 깊이(D3)는 80%에 대응되는 깊이일 수 있다.
제1 방향은 타이어(1)의 폭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타이어(1)의 주행방향 또는 둘레방향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120)들 각각의 제1 길이가 상이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서 제2 방향으로 갈수록 제1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인디게이터유닛(120b)의 제1 길이(W2)는 제1 인디게이터유닛(120a)의 제1 길이(W1)의 80%에 대응되는 길이이며, 제3 인디게이터유닛(120c)의 제1 길이(W3)는 50%에 대응되는 길이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120)들의 제1 길이는 제1 깊이에 반비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120)들의 제1 깊이 및 제1 길이에 대하여 제한이 없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는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120)들의 제1 길이 중 최대 길이(MW)를 길이로 하고, 제1 깊이들 중 최대 깊이인 제3 인디게이터 유닛(120c)의 제1 깊이(D3)보다 더 깊은 마모한계깊이(MH)를 깊이로 하는 사각홈 형태의 기준 인디게이터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인디게이터 유닛(140)은 트레드부(10)의 마모한계깊이(MH)를 포함할 수 있어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120)들이 마모되더라도 남아있을 수 있다. 또한, 기준 인디게이터 유닛(140)은 제1 길이들 중 최대 길이로 이루어지므로, 복수의 인디게이터유닛(120)들이 마모되는 정도에 대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의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의 평면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는 복수의 인디게이터유닛(120) 및 기준 인디게이터유닛(140)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이에 비해, 도 5의 (b)는 제1 인디게이터 유닛(120a)이 마모되고, 나머지 제2 인디게이터 유닛(120b), 제3 인디게이터유닛(120c) 및 기준 인디게이터 유닛(140)들만 남아 있다. 제1 인디게이터 유닛(120a)은 트레드부(10)의 마모한계깊이(MH)의 20%에 대응되는 깊이이므로, 제1 인디게이터 유닛(120a)이 전부 마모되면 트레드부(10)는 마모한계깊이(MH)의 80% 정도가 남아있다는 의미가 될 수 있다. 이때, 제2 인디게이터부 유닛(120b)은 제1 인디게이터유닛(120a)의 제1 길이(W1), 즉, 최대길이(MW)의 80% 대응되는 길이이므로, 사용자에게 타이어(1)의 트레드부(10)가 80% 이상 마모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타이어(1)는 마모가 더 진행되면, 제1 인디게이터 유닛(120a) 및 제2 인디게이터 유닛(120b)이 마모되고, 제3 인디게이터 유닛(120c) 및 기준 인디게이터 유닛(140)들만 남을 수 있다. 이때, 제2 인디게이터 유닛(120b)은 마모한계깊이(MH)의 50%에 대응되는 깊이를 갖으므로, 트레드부(10)는 마모한계깊이(MH)의 50% 정도가 남아있다는 의미가 된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남아있는 제3 인디게이터 유닛(120c)은 최대길이(MW)의 50%에 대응되는 길이이므로, 사용자에게 타이어(1)의 트레드부(10)가 50% 이상 마모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는 기준 인디게이터 유닛(140)을 포함하고 있어, 마모로 남아있는 인디게이터 유닛(120)들과 길이 비교를 통해 타이어(1) 트레드부(10)의 남아있는 정도를 사용자에게 정확히 알릴 수 있다.
한편, 타이어(1)의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40)는 복수의 인디게이터유닛(120)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 매립되어 배치되는 유색의 매립유닛(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립유닛(125)은 색을 갖는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색의 매립유닛(125)들은 적어도 상이한 색을 갖는 복수의 매립 유닛(125)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인디게이터 유닛(120a)에 매립되는 제1 매립유닛(125a)은 녹색, 제2 인디게이터 유닛(120b)에 매립되는 제2 매립유닛(125b)은 노랑색, 제3 인디게이터 유닛(120c)에 매립되는 제3 매립유닛(125c)은 적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는 사용자에게 색으로써 마모 정도를 알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준 인디게이터유닛(140)은 유색의 기준 매립유닛(145)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기준 매립유닛(145)의 색은 유색의 매립유닛들(125)과 상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로서, 타이어(1)는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타이어(1)는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200)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트레드부(10)의 블록에 따라 마모되는 정도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200)를 도시한 확대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200)의 마모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200)는 타이어(1)의 트레드부(10)에 배치되며, 타이어(1)의 제3 방향으로의 제2 길이(S) 및 타이어(1)의 중심방향으로의 제2 깊이를 갖는 홈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2 깊이는 타이어(1)의 제3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제2 깊이는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가 단계별로 증가될 수 있다. 제2 깊이 중 최대 깊이(MH)는 타이어 트레드부(10)의 마모한계깊이일 수 있다.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200)는 문자나 그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고(logo)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a) 내지 (d)를 참조하면,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200)는 마모가 진행되면서 제2 깊이에 따라 제2 길이도 줄어들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200)는 먼저 가장 낮은 제2 깊이(H1)부터 최대깊이인 마모한계깊이(MH)까지 순차적으로 마모될 수 있으며, 해당 깊이에 대응되는 제2 길이는 순차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S→S1). 따라서, 사용자는 마모의 진행 정도를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200)의 제2 길이의 감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200)의 제2 깊이의 단계별 깊이는 제1 마모인디게이터부(100)의 복수의 인디게이터유닛(120)들의 단계별 깊이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의 복수의 인디게이터유닛(120)들 각각은 순차적으로 마모한계깊이(MH)의 20%, 50%, 80%에 대응되는 깊이인 경우,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200)의 제2 깊이 또한, 마모한계깊이(MH)의 20%(H1), 50%(H2), 80%(H3)에 대응되는 깊이일 수 있다.
한편,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는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120)들의 제1 깊이는 제2 방향을 따라 증가할 수 있고,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200)는 제3 방향을 따라 제2 깊이가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과 제3 방향을 서로 교차할 수 있도록,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와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20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와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200)의 마모 정도가 상이한 경우에 제2 방향과 제3 방향으로의 타이어(1)의 편마모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방향은 타이어(1)의 주행방향 또는 둘레방향일 수 있으며, 제3 방향은 타이어의 폭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는 한 방향의 편마모뿐만 아니라, 타이어(1)의 전방향의 편마모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타이어(1)는 제3 마모 인디게이터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타이어(1)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타이어(1)는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200) 및 제3 마모 인디게이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마모 인디게이터부(300)는 타이어(1)의 숄더부(30)에 배치되고, 타이어(!)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유색 인디게이터유닛(310a, 310b, 310c)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유색 인디게이터유닛(310a, 310b, 310c)은 타이어(1)의 숄더부(30)에 홈을 형성하고 유색의 고무재질을 매립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3 마모 인디게이터부(300)의 복수의 유색 인디게이터유닛(310a, 310b, 310c)은 타이어(1)의 트레드부(10)로부터 타이어(1)의 사이드월부(50)를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마모 인디게이터유닛(300)의 복수의 유색 인디게이터유닛(310a, 310b, 310c)은 제1 마모 인디게이터유닛(100)의 유색의 매립유닛들(125)과 동일한 색을 이용함으로써 서로 상이한 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유색 인디게이터유닛(310a)은 제1 매립유닛(125a)과 동일한 녹색, 제2 유색 인디게이터유닛(310b)은 노랑색, 제3 유색 인디게이터유닛(310c)은 적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마모 인디게이터부(300)는 숄더부(30)에 배치되되,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의 복수의 인디게이터유닛(120)들의 제1 깊이들에 대응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와 함께 타이어의 마모정도, 특히 숄더부(30)의 마모정도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제3 마모 인디게이터부(300)는 타이어(1)의 양 숄더부(30)에 배치시킴으로써, 타이어(1)의 양 숄더부(30)의 마모 차이를 파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1)는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100),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200) 및 제3 마모 인디게이터부(30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타이어의 마모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타이어 10 : 트레드부
20 : 그루브 30 : 숄더부
50 : 사이드월부 100 :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
120 :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 125 : 매립유닛
140 : 기준 인디게이터 유닛 145 : 기준 매립유닛
200 :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 300 : 제3 마모 인디게이터부

Claims (13)

  1.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타이어의 제1 방향으로의 제1 길이 및 상기 타이어의 중심방향으로의 제1 깊이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타이어의 제3 방향으로의 제2 길이 및 상기 타이어의 중심 방향으로의 제2 깊이를 갖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 및
    상기 타이어의 숄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타이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유색인디게이터유닛을 구비하는 제3 마모 인디게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은 상기 제3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 깊이가 증가하며,
    상기 제2 마모 인디게이터부의 상기 제2 깊이는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의 상기 제1 길이와 상기 제1 깊이는 상기 제2 방향에 대하여 반비례하고,
    상기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는,
    상기 제1 길이 중 최대 길이와, 상기 제1 깊이들 중 최대 깊이보다 더 깊은 마모한계깊이로 이루어진 사각홈 형태의 기준 인디게이터유닛을 더 포함하는 타이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은 상기 제2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 길이가 증가하는, 타이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디게이터유닛 각각은,
    상기 타이어의 중심 방향으로 형성된 홈 형태를 포함하는, 타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디게이터 유닛은 사각홈 형태를 포함하는, 타이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모 인디게이터부는,
    상기 복수의 인디게이터유닛 각각의 일부에 매립되어 배치되는 유색의 매립유닛들을 더 구비하는, 타이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의 매립유닛들은 적어도 상이한 색을 갖는 복수의 매립 유닛을 포함하는, 타이어.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마모 인디게이터부의 복수의 유색 인디게이터유닛은,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부로부터 상기 타이어의 사이드월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타이어.
KR1020150154774A 2015-11-04 2015-11-04 타이어 KR101775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774A KR101775104B1 (ko) 2015-11-04 2015-11-04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774A KR101775104B1 (ko) 2015-11-04 2015-11-04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395A KR20170052395A (ko) 2017-05-12
KR101775104B1 true KR101775104B1 (ko) 2017-09-05

Family

ID=5874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774A KR101775104B1 (ko) 2015-11-04 2015-11-04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1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768B1 (ko) * 2017-09-04 2019-01-2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
KR101966734B1 (ko) * 2017-10-27 2019-04-08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성능표시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타이어
EP4056386A1 (en) * 2021-03-12 2022-09-14 Nokian Renkaat Oyj A ti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721A (ja) * 1999-06-29 2001-02-06 Nokian Tyres Plc 乗物タイヤ用ウェアインジケータ
JP4790459B2 (ja) * 2005-03-25 2011-10-12 ソシエテ ド テクノロジー ミシュラン タイヤの摩耗インジケータ
JP2012096683A (ja) * 2010-11-02 2012-05-24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721A (ja) * 1999-06-29 2001-02-06 Nokian Tyres Plc 乗物タイヤ用ウェアインジケータ
JP4790459B2 (ja) * 2005-03-25 2011-10-12 ソシエテ ド テクノロジー ミシュラン タイヤの摩耗インジケータ
JP2012096683A (ja) * 2010-11-02 2012-05-24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395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883B1 (ko) 공기입 타이어
CN105793068B (zh) 演变的轮胎胎面
CN105960338B (zh) 货车轮胎的胎面
KR101775104B1 (ko) 타이어
CN101557947B (zh) 在圆周胎面中包括凹口的轮胎
CN106163830B (zh) 在胎面的边缘上具有通道的胎面
EP2695749B1 (en) Tire tread made from multi cap compounds
EP2163403A2 (en) Pneumatic tire
US9434211B2 (en) Layered tire tread design for improved coast by noise and traction performance
EP2695748B1 (en) Tire tread made from multi cap compounds
JP2016155448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6150603A (ja) 空気入りタイヤ
US10059152B2 (en) Motorcycle tire for traveling on rough terrain
JP2014141163A (ja) 不整地走行用の自動二輪車用タイヤ
CN109562652B (zh) 重型卡车轮胎胎面和重型卡车轮胎
JP2014213686A (ja) タイヤ
JP2011183993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981887B1 (ko) 마모 정도 확인 가능한 타이어
KR101287507B1 (ko) 중하중용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
JP2014213687A (ja) タイヤ
CN104691242B (zh) 充气轮胎
KR101747138B1 (ko) 스터드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US9783004B2 (en) Layered tire tread design with bridged circumferential and transverse grooves
KR102416535B1 (ko) 트레드 보강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KR102457347B1 (ko) 마모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