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424B1 -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424B1
KR101773424B1 KR1020170079652A KR20170079652A KR101773424B1 KR 101773424 B1 KR101773424 B1 KR 101773424B1 KR 1020170079652 A KR1020170079652 A KR 1020170079652A KR 20170079652 A KR20170079652 A KR 20170079652A KR 101773424 B1 KR101773424 B1 KR 101773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adapter
bracket
workpiec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희
전민우
정병준
김승현
김이종
현상원
Original Assignee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79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12Accessories for att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의 제1조절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되어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2조절홈이 형성되는 몸체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면 중심에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함몰부가 형성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제1함몰부에 구비되되 상기 브라켓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블록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1조절홈은 상기 몸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삭, 연마, 측정으로 이루어지는 가공 공정에 따라 가공물을 별도의 지그로 옮기지 않더라도, 무게 및 형상이 다르게 구성되는 각각의 제1어댑터 또는 제2어댑터가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높은 재현성과 정확도로 가공 좌표계와 측정 좌표계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조절홈과 제2조절홈에 선택적으로 무게추를 결합하여 몸체부의 무게중심을 조절하거나, 자유곡면을 갖는 가공물의 축 비대칭성을 보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JIG FOR AN ULTRA-PRECISION PROCESSING OF A CAR HEAD UP DISPLAY TYPE CORE AND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선삭, 연마, 측정으로 이루어지는 가공 공정에 따라 가공물을 별도의 지그로 옮기지 않더라도, 무게 및 형상이 다르게 구성되는 각각의 제1어댑터 또는 제2어댑터가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높은 재현성과 정확도로 가공 좌표계와 측정 좌표계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조절홈과 제2조절홈에 선택적으로 무게추를 결합하여 몸체부의 무게중심을 조절하거나, 자유곡면을 갖는 가공물의 축 비대칭성을 보완할 수 있는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PDT(초정밀선삭 가공 : Single point diamond turning) 공정이란 공구 끝이 매우 예리하고 마모가 적은 단결정 다이아몬드 공구를 이용하여 공구의 움직임을 가공물에 그대로 전사시켜 선삭 가공하는 것으로써, 가공비용을 줄이고, 다량 가공, 정밀도 향상 및 부품의 안정화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첨단산업분야 전반에 점차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는 가공 방법이고, MRF(자기유동유체 연마 : Magnetorheological finishing) 공정이란 정밀하게 표면을 처리하는 연마 기술로써, 정밀 광학계의 표면을 컴퓨터로 제어되는 자기유동유체를 이용하여 연마하는 방법이며, UA3P(초고정도 3차원 측정 : Ultrahigh accurate 3-d profiling) 측정 공정이란 구면 및 비구면의 반사율이나 표면 조도에 관계없이 스타일러스가 형상 표면 위를 이동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참조면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회전 비대칭 형상 및 자유 곡면 형상에 관계없이 형상을 측정할 수 있다.
기존에는 이러한 각각의 선삭, 연마, 측정 공정을 단계별로 진행하기 위해 선삭 가공 장비의 지그에서 선삭 가공 공정을 거친 가공물을 연마 가공 장비의 지그로 옮기고, 연마 가공 장비의 지그에서 연마 가공 공정을 거친 가공물을 측정 장치의 지그로 옮겨 측정 공정을 거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가공물을 옮기는 과정에서 정렬 오차나 조립 공차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한국등록특허 제 10-1013129 호에는 초소형 렌즈의 비구면 형상부를 성형하기 위한 핀 가공용 고정지그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초소형 렌즈의 비구면 형상부를 성형하기 위한 핀 가공용 고정지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초소형 렌즈의 비구면 형상부를 성형하기 위한 핀 가공용 고정지그를 설명하자면, 코어 내에 장착되는 렌즈 성형용 핀의 선단부를 초정밀 고속가공기를 이용하여 가공하고자 할 경우 다수의 핀을 일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초소형 렌즈의 비구면 형상부를 성형하기 위한 핀 가공용 고정지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단의 양측 평탄면(1)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볼록부(2)를 가지며 이 볼록부(2)의 중심에서 상호 대칭으로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블럭(3)과, 이 메인블럭(3)의 나사공에 대응하도록 수직통공이 형성되어 체결볼트(4)에 의해 결속되며 측면부에 등 간격의 삼각요홈(5) 및 체결공이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양측 끝단에 수평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플레이트(6)와, 이 상부 플레이트(6)의 수평통공으로 각각 조립되는 가이드봉(7)과, 이들 가이드봉(7)에 각각 끼워져 조립됨과 동시에 상부 플레이트(6)의 체결공에 대응하도록 관통공(8)이 형성된 이동블럭(9)과, 이들 이동블럭(9)의 관통공(8)으로 끼워져 상부 플레이트(6)의 체결공으로 나사 맞춤되는 조임나사(9a)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지 초정밀 선삭 가공을 고속으로 하기 위한 것이므로, MRF 연마 공정이나 UA3P 측정 공정에서는 공유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MRF 연마 공정이나 UA3P 측정 공정에서 필요한 어댑터가 결합될 수 없는 형상이므로, 선삭 공정 후에 가공물을 연마 공정이나 측정 공정에 사용되는 지그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정렬 오차나 조립 공차 등이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형상 정밀도와 표면 조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206816 호(2012.11.26.)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1989-0004821 호(1989.05.10.)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053917 호(2013.05.2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조절홈 및 몸체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조절홈에 선택적으로 무게추를 결합하여 몸체부의 무게중심을 조절하고, 자유곡면을 갖는 가공물의 축 비대칭성을 보완할 수 있는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선삭, 연마, 측정으로 이루어지는 가공 공정에 따라 가공물을 별도의 지그로 옮기지 않더라도, 무게 및 형상이 다르게 구성되는 각각의 제1어댑터 또는 제2어댑터가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됨으로써, 높은 재현성과 정확도로 가공 좌표계와 측정 좌표계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의 제1조절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되어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2조절홈이 형성되는 몸체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면 중심에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함몰부가 형성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제1함몰부에 구비되되 상기 브라켓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블록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1조절홈은 상기 몸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조절홈 및 제2조절홈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의 무게중심을 조절하며, 자유곡면을 갖는 가공물의 축 비대칭성을 보완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게추는, 적어도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제1조절홈 또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제2조절홈에 함께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조절홈 및 제2조절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타 측에는 자유곡면을 갖는 가공물의 축 비대칭성을 보완하는 단차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하면 중심에는 중심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 하면의 중심홀에서 제1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좌표홀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하면의 중심홀에서 제2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좌표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2좌표홀은 상기 제1좌표홀과 직교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 브라켓 및 블록부에는, 상기 몸체부, 브라켓 및 블록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진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제1결합홈에 대응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어댑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어댑터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MRF(자기유동유체 연마 : Magnetorheological finishing) 공정 장치에 결합되는 결합척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3결합홈이 형성되고,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각 모서리에는 라운드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제3결합홈에 대응되는 제4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2어댑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어댑터에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UA3P(초고정도 3차원 측정 : Ultrahigh accurate 3-d profiling) 측정 공정 장치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정밀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가공방법은, 가공물을 몸체부, 브라켓, 블록부에 고정하는 고정단계; 상기 가공물의 무게 중심 분포 및 회전 관성을 측정하는 무게중심측정단계; 복수의 제1조절홈 및 제2조절홈에 무게추 또는 나사추를 결합하는 무게중심조절단계; 상기 가공물을 초정밀선삭 가공하는 선삭가공단계; 상기 가공물을 초고정도 3차원으로 측정하는 제1초고정도측정단계;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제1어댑터를 결합시키는 제1결합단계; 상기 제1어댑터의 결합척을 MRF 장비에 배치시키고 상기 가공물을 자기유동유체로 연마하는 자기유동유체연마단계; 상기 가공물을 초고정도 3차원으로 측정하는 제2초고정도측정단계; 및 상기 제2초고정도측정단계를 통해 측정된 가공물이 가공 목표를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초고도측정단계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제2어댑터를 결합시키는 제2결합단계; 및 상기 제2어댑터를 UA3P 장비의 측정 기준면과 동일 선상에 배치하여 정렬시키는 제1정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초고도측정단계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제2어댑터를 결합시키는 제3결합단계; 및 상기 제2어댑터를 UA3P 장비의 측정 기준면과 동일 선상에 배치하여 정렬시키는 제2정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의하면,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조절홈 및 몸체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조절홈에 선택적으로 무게추를 결합하여 몸체부의 무게중심을 조절하고, 자유곡면을 갖는 가공물의 축 비대칭성을 보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삭, 연마, 측정으로 이루어지는 가공 공정에 따라 가공물을 별도의 지그로 옮기지 않더라도, 무게 및 형상이 다르게 구성되는 각각의 제1어댑터 또는 제2어댑터가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됨으로써, 가공 장비 간 호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부의 하면 중심에 중심홀이 형성되며 중심홀의 제1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1좌표홀이 형성되고 중심홀의 제2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2좌표홀이 형성되어, 3차원 측정 및 가공 시 가공 좌표계와 측정 좌표계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가공 공정간 높은 재현성과 정확도로 가공 좌표계와 측정 좌표계를 공유함으로써, 측정 및 정렬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초소형 렌즈의 비구면 형상부를 성형하기 위한 핀 가공용 고정지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 곡면으로 형성되는 광학계용 무게추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의 제1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의 몸체부와 제1어댑터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의 제2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의 몸체부와 제2어댑터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초정밀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가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초정밀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가공방법의 제1초고도측정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초정밀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가공방법의 제2초고도측정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의미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조절홈 및 몸체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조절홈에 선택적으로 무게추를 결합하여 몸체부의 무게중심을 조절하고, 자유곡면을 갖는 가공물의 축 비대칭성을 보완할 수 있는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 곡면으로 형성되는 광학계용 무게추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의 제1조절홈(11)이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되어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2조절홈(12)이 형성되는 몸체부(10),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면 중심에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함몰부(21)가 형성되는 브라켓(20) 및 상기 브라켓(20)의 제1함몰부(21)에 구비되되 상기 브라켓(20)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블록부(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제1조절홈(11)은 상기 몸체부(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조절홈(11)은 상기 몸체부(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 측과 타 측에 나뉘어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2조절홈(12)은 상기 몸체부(10)의 측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조절홈(11)과 제2조절홈(12)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거나, 각각 다른 직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절홈(11) 및 제2조절홈(12)은 각각 상기 몸체부(10)의 상면과 측면에 형성되어, SPDT(초정밀선삭 가공 : Single point diamond turning) 공정 시에 필요한 상기 몸체부(10)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브라켓(20)의 제1함몰부(21)는 본 발명의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를 이용하여 가공되는 가공물이 배치되는 곳으로서, 상기 제1함몰부(21)의 내부 측벽이 상기 가공물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블록부(30)가 상기 가공물의 하면을 받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함몰부(21)의 내부 측벽은 상기 가공물 두께의 1/2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함몰부(21)의 내부 측벽 일 측과 타 측에는 상기 가공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홀(21a)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초정밀가공용 지그를 이용하여 가공물을 성형하고자 하는 경우, SPDT 공정에서는 상기 진공홈(50)을 통해 진공으로 가공물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MRF 공정 및 UA3P 공정에서는 상기 고정홀(21a)을 통해 결합되는 나사에 의해 가공물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20)의 제1함몰부(21) 형상은 가공물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브라켓(20)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1함몰면(21b), 상기 제1함몰면(21b)의 양 측에 위치되어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함몰면(21c)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 브라켓(20) 및 블록부(30)에는, 상기 몸체부(10), 브라켓(20) 및 블록부(30)를 관통하는 복수의 진공홈(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공홈(50)은 상기 블록부(30)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공물을 진공으로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제로는 상기 몸체부(10), 브라켓(20) 및 블록부(3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상기 복수의 진공홈(50) 각각은 본 발명의 몸체부(10)에 형성된 진공홈(50)과 브라켓(20)에 형성된 진공홈(50)과 블록부(30)에 형성된 진공홈(50)이 합쳐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진공홈(50)은 원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하면 중심에는 중심홀(13)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몸체부(10) 하면의 중심홀(13)에서 제1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좌표홀(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0) 하면의 중심홀(13)에서 제2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좌표홀(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좌표홀(15)은 상기 제1좌표홀(14)과 직교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홀(13), 제1좌표홀(14) 및 제2좌표홀(15)은 3차원 측정 및 가공 시 기준점이 되는 것으로서, 가공 좌표계와 측정 좌표계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측정 및 정렬오차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일 측에는 자유곡면을 갖는 가공물의 축 비대칭성을 보완하는 단차돌기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돌기부(17)는 가공좌표계를 정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게중심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으로서, 장비에 따라 가공좌표계를 정렬하는 경우 물리적으로 가공물이 중심축에서 벗어나 편심으로 위치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회전 상태에서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진동 및 무게중심 변화에 의한 응력을 발생시키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편심으로 가공물 및 무게가 이동하는 양만큼 반대편에 무게를 증가시켜 회전 상태에서도 무게중심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단차돌기부(17)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가공물의 가공 공정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단차돌기부(17)의 높이는 상기 브라켓(2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0)의 일 측에 형성되거나 상기 몸체부(10)의 타 측에 형성된 제1조절홈(11)을 중심으로 양 측이 대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에는, 상기 복수의 제1조절홈(11) 및 제2조절홈(12)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의 무게중심을 조절하며, 자유곡면을 갖는 가공물의 축 비대칭성을 보완하는 무게추(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게추(40)는, 상기 제1조절홈(11) 및 제2조절홈(12)에 결합되기 위한 제3조절홈(41)이 형성되는 형상이라면, 다양하게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추(40)는 적어도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제1조절홈(11) 또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제2조절홈(12)에 함께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무게추(40)가 상기 제1조절홈(11) 및 제2조절홈(12)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공 작업 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제1조절홈(11)은 상기 몸체부(10)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2조절홈(12)은 상기 몸체부(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적어도 일 측으로 이웃하는 다른 제2조절홈(12)과의 간격이 타 측으로 이웃하는 다른 제2조절홈(12)과의 간격보다 가깝게 구성되어 두 개의 제2조절홈(12)이 한 쌍으로 근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무게추(40)는 상기 제1조절홈(11)에만 결합되고, 상기 제2조절홈(12)에는 나사 형태의 나사추(45)만이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의 무게중심을 조절하며 자유곡면을 갖는 가공물의 축 비대칭성을 보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게추(4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 상기 몸체부(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 측에 형성되는 제1조절홈(11) 및 제2조절홈(12)과 타 측에 형성된 제1조절홈(11) 및 제2조절홈(12)에 결합되되, 상기 브라켓(20)의 일 측에 결합되는 무게추(40)와 상기 브라켓(20)의 타 측에 결합되는 무게추(40)는 각각 상기 브라켓(20)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나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조절홈(11) 및 제2조절홈(1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의 제1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의 몸체부와 제1어댑터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4, 도 6a 내지 도 7b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몸체부(10) 하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결합홈(16)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결합홈(16)에 대응되는 제2결합홈(61)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어댑터(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초정밀가공용 지그에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결합홈(16) 및 제2결합홈(61)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와 제1어댑터(60)를 결합시키는 결합나사(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홈(61)은 상기 제1어댑터(60)의 하부 측이 넓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어댑터(60)의 하부로 결합되어 상기 제1결합홈(16)과 제2결합홈(61)으로 삽입되는 결합나사(80)의 헤드 부분이 상기 제2결합홈(61)의 내부로 모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제2결합홈(61) 및 결합나사(80)의 형상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결합나사(80)가 상기 제2결합홈(61)으로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1어댑터(6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1어댑터(60)는 MRF(자기유동유체 연마 : Magnetorheological finishing) 공정 시에 상기 몸체부(10)의 하면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어댑터(60)의 하면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척(6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척(62)은 상기 MRF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에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척(62)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결합라인(6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라인(62a)은 상기 결합척(62)의 둘레를 따라 홈이 파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의 제2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의 몸체부와 제2어댑터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4, 도 8 내지 도 9b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몸체부(10) 하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3결합홈(18)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3결합홈(18)에 대응되는 제4결합홈(71)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2어댑터(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초정밀가공용 지그에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핀 형상으로 상기 제3결합홈(18) 및 제4결합홈(71)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가 제2어댑터(70)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핀(8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결합홈(71)은 상기 제1어댑터(60)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결합홈(61)과 달리 상기 제2어댑터(7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어댑터(70)의 하부를 뚫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결합핀(85)은 상기 제3결합홈(18)과 제4결합홈(71)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0)와 제2어댑터(7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제2어댑터(70)가 UA3P(초고정도 3차원 측정 : Ultrahigh accurate 3-d profiling) 공정 시에 사용되는 구성이기 때문인데, 상기 UA3P 공정은 단순히 별도의 UA3P 장치가 가공물의 표면 위를 이동하면서 측정하는 공정이기 때문이다.
상기 제2어댑터(7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각 모서리에 라운드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2어댑터(70)는 UA3P 공정 시에 상기 몸체부(10)의 하면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어댑터(70)에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고정홈(7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홈(72)은 상기 제2어댑터(70)가 상기 UA3P 공정에 사용되는 별도의 장치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초정밀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가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초정밀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가공방법의 제1초고도측정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초정밀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가공방법의 제2초고도측정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1b에 따르면, 본 발명의 초정밀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가공방법에는, 고정단계(S10), 무게중심측정단계(S20), 무게중심조절단계(S30), 선삭가공단계(S40), 제1초고정도측정단계(S50), 제1결합단계(S60), 자기유동유체연마단계(S70), 제2초고정도측정단계(S80) 및 판단단계(S9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단계(S10)는, 가공물을 본 발명의 몸체부(10), 브라켓(20), 블록부(30)에 고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몸체부(10), 브라켓(20) 및 블록부(30)를 관통하는 복수의 진공홈(50)을 통해 진공으로 가공물을 고정하는 단계이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진공홈(50)을 통한 진공으로 가공물의 고정이 어려울 경우,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되는 고정홀(21a)에 나사를 결합하여 가공물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게중심측정단계(S20)는, 상기 가공물의 무게 중심 분포 및 회전 관성을 측정하는 단계이고, 상기 무게중심조절단계(S30)는 상기 무게중심측정단계(S20)에서 측정된 결과에 따라 복수의 제1조절홈(11) 및 제2조절홈(12)에 무게추(40) 또는 나사추(45)를 결합하여 무게중심을 조절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무게중심조절단계(S30)에서 결합되는 무게추(40) 또는 나사추(45)는 상기 제1조절홈(11) 및 제2조절홈(12)에 결합되어, 가공물의 가공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무게 편심이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선삭가공단계(S40)는 상기 가공물을 초정밀선삭 가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초고정도측정단계(S50)는 상기 가공물을 초고정도 3차원으로 측정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제1초고정도측정단계(S50)는,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에 제2어댑터(70)를 결합시키는 제2결합단계(S53) 및 상기 제2어댑터(70)를 UA3P 장비의 측정 기준면과 동일 선상에 배치하여 정렬시키는 제1정렬단계(S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단계(S60)는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에 제1어댑터(60)를 결합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자기유동유체연마단계(S70)는 상기 제1어댑터(60)의 결합척(62)을 MRF 장비에 배치시키고 상기 가공물을 자기유동유체로 연마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몸체부(10)의 회전 중심 및 가공 중심과 상기 결합척(62)의 중심축은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가공 좌표계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초고정도측정단계(S80)는 상기 가공물을 초고정도 3차원으로 측정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제2초고정도측정단계(S80)는,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에 제2어댑터(70)를 결합시키는 제3결합단계(S83) 및 상기 제2어댑터(70)를 UA3P 장비의 측정 기준면과 동일 선상에 배치하여 정렬시키는 제2정렬단계(S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S90)는 상기 제2초고정도측정단계(S80)를 통해 측정된 가공물이 가공 목표를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판단단계(S90)에서 상기 가공물이 가공 목표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1결합단계(S60) 내지 판단단계(S90)를 반복 수행하여 가공 목표를 만족하는 가공물을 얻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선삭, 연마, 측정으로 이루어지는 가공 공정에 따라 가공물을 별도의 지그로 옮기지 않더라도, 무게 및 형상이 다르게 구성되는 각각의 제1어댑터 또는 제2어댑터가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높은 재현성과 정확도로 가공 좌표계와 측정 좌표계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조절홈과 제2조절홈에 선택적으로 무게추를 결합하여 몸체부의 무게중심을 조절하거나, 자유곡면을 갖는 가공물의 축 비대칭성을 보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몸체부 11 : 제1조절홈
12 : 제2조절홈 13 : 중심홀
14 : 제1좌표홀 15 : 제2좌표홀
16 : 제1결합홈 17 : 단차돌기부
20 : 브라켓 21 : 제1함몰부
21a : 고정홀 21b : 제1함몰면
21c : 제2함몰면
30 : 블록부
40 : 무게추 41 : 제3조절홈
45 : 나사추
50 : 진공홈
60 : 제1어댑터 61 : 제2결합홈
62 : 결합척 62a : 결합라인
70 : 제2어댑터 71 : 제3결합홈
72 : 고정홈
80 : 결합나사 85 : 결합핀

Claims (12)

  1.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의 제1조절홈(11)이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되어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2조절홈(12)이 형성되는 몸체부(10);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면 중심에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함몰부(21)가 형성되는 브라켓(20); 및
    상기 브라켓(20)의 제1함몰부(21)에 구비되되 상기 브라켓(20)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블록부(30);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1조절홈(11)은,
    상기 몸체부(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의 하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결합홈(16)이 형성되고,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제1결합홈(16)에 대응되는 제2결합홈(61)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어댑터(6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1어댑터(60)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MRF(자기유동유체 연마 : Magnetorheological finishing) 공정 장치에 결합되는 결합척(6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2.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의 제1조절홈(11)이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되어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2조절홈(12)이 형성되는 몸체부(10);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면 중심에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함몰부(21)가 형성되는 브라켓(20); 및
    상기 브라켓(20)의 제1함몰부(21)에 구비되되 상기 브라켓(20)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블록부(30);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1조절홈(11)은,
    상기 몸체부(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의 하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3결합홈(18)이 형성되고,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각 모서리에는 라운드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제3결합홈(18)에 대응되는 제4결합홈(71)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2어댑터(7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조절홈(11) 및 제2조절홈(12)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의 무게중심을 조절하며, 자유곡면을 갖는 가공물의 축 비대칭성을 보완하는 무게추(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40)는,
    적어도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제1조절홈(11) 또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제2조절홈(12)에 함께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조절홈(11) 및 제2조절홈(12)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타 측에는,
    자유곡면을 갖는 가공물의 축 비대칭성을 보완하는 단차돌기부(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하면 중심에는 중심홀(1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 하면의 중심홀(13)에서 제1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좌표홀(14)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 하면의 중심홀(13)에서 제2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좌표홀(15)이 형성되되, 상기 제2좌표홀(15)은 상기 제1좌표홀(14)과 직교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 브라켓(20) 및 블록부(30)에는,
    상기 몸체부(10), 브라켓(20) 및 블록부(30)를 관통하는 복수의 진공홈(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8. 삭제
  9. 삭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어댑터(70)에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UA3P(초고정도 3차원 측정 : Ultrahigh accurate 3-d profiling) 측정 공정 장치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홈(7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11. 가공물을 몸체부(10), 브라켓(20), 블록부(30)에 고정하는 고정단계(S10);
    상기 가공물의 무게 중심 분포 및 회전 관성을 측정하는 무게중심측정단계(S20);
    복수의 제1조절홈(11) 및 제2조절홈(12)에 무게추(40) 또는 나사추(45)를 결합하는 무게중심조절단계(S30);
    상기 가공물을 초정밀선삭 가공하는 선삭가공단계(S40);
    상기 가공물을 초고정도 3차원으로 측정하는 제1초고정도측정단계(S50);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에 제1어댑터(60)를 결합시키는 제1결합단계(S60);
    상기 제1어댑터(60)의 결합척(62)을 MRF 장비에 배치시키고 상기 가공물을 자기유동유체로 연마하는 자기유동유체연마단계(S70);
    상기 가공물을 초고정도 3차원으로 측정하는 제2초고정도측정단계(S80); 및
    상기 제2초고정도측정단계(S80)를 통해 측정된 가공물이 가공 목표를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단계(S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정밀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가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초고도측정단계(S50)는,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에 제2어댑터(70)를 결합시키는 제2결합단계(S53); 및
    상기 제2어댑터(70)를 UA3P 장비의 측정 기준면과 동일 선상에 배치하여 정렬시키는 제1정렬단계(S55);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초고도측정단계(S80)는,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에 제2어댑터(70)를 결합시키는 제3결합단계(S83); 및
    상기 제2어댑터(70)를 UA3P 장비의 측정 기준면과 동일 선상에 배치하여 정렬시키는 제2정렬단계(S8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정밀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가공방법.
KR1020170079652A 2017-06-23 2017-06-23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KR101773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652A KR101773424B1 (ko) 2017-06-23 2017-06-23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652A KR101773424B1 (ko) 2017-06-23 2017-06-23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424B1 true KR101773424B1 (ko) 2017-08-31

Family

ID=5976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652A KR101773424B1 (ko) 2017-06-23 2017-06-23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4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8847A (zh) * 2018-06-26 2018-11-13 上海理工大学 一种加工薄壁曲面工件的磁流变夹具
CN110385592A (zh) * 2019-06-18 2019-10-29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用于航空膜盘车削加工的全贴合工装
CN112605417A (zh) * 2020-12-23 2021-04-06 李彩芬 一种电路板加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101B1 (ko) * 2009-06-24 2010-02-03 터보씰(주) 터빈용 부재의 가공을 위한 정렬고정장치
JP2015003351A (ja) * 2013-06-19 2015-01-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金型の製造方法及び治具セット
KR101694332B1 (ko) * 2015-11-06 2017-01-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곡면 마찰교반 접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101B1 (ko) * 2009-06-24 2010-02-03 터보씰(주) 터빈용 부재의 가공을 위한 정렬고정장치
JP2015003351A (ja) * 2013-06-19 2015-01-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金型の製造方法及び治具セット
KR101694332B1 (ko) * 2015-11-06 2017-01-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곡면 마찰교반 접합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8847A (zh) * 2018-06-26 2018-11-13 上海理工大学 一种加工薄壁曲面工件的磁流变夹具
CN110385592A (zh) * 2019-06-18 2019-10-29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用于航空膜盘车削加工的全贴合工装
CN112605417A (zh) * 2020-12-23 2021-04-06 李彩芬 一种电路板加工装置
CN112605417B (zh) * 2020-12-23 2022-01-07 湖南维胜科技电路板有限公司 一种电路板加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424B1 (ko) 차량용 hud 금형코어 초정밀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KR100922034B1 (ko) 삼차원(三次元) 측정 프로브
CN103676065B (zh) 大口径透镜的调整固定装置
JP5155847B2 (ja) 工作機械による偏芯穴加工方法
KR102542333B1 (ko) 중심 공작물 영역을 지지 및 측정하기 위한 측정 스테디 레스트, 이 측정 스테디 레스트를 갖는 연삭기, 및 중심 공작물 영역을 지지 및 측정하기 위한 방법
KR101797965B1 (ko) 초소형 어레이 비구면 렌즈의 사출성형용 금형 코어의 가공방법
US5944329A (en) Reversible micromachining locator
US8186998B2 (en) Blank-holding means and method of surveying same
KR101866714B1 (ko) 렌즈 어레이 금형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
CN113305305B (zh) 一种降低车削加工双面镜偏心量的方法
CN109807694A (zh) 一种控制异形光学窗口零件高平行差加工的质心上盘工装及抛光方法
JP2017142207A (ja) 基準面の位置測定方法
CN110744389B (zh) 一种自由曲面棱镜的定位设计及加工方法
US20030029287A1 (en) Device for positionally-accurate accommodation of a secondary member on a carrier
JP2004042188A (ja) 金型の加工方法
CN101870077A (zh) 一种寻边器辅助装置
KR102405550B1 (ko) 위치조정용 다이아몬드 형상 핀을 가공하기 위한 지그
JP2007268694A (ja) チップ形成方法
CN101201236A (zh) 用于曲面测量的装置
CN109079550B (zh) 一种设定夹具快速设定零位的方法
CN106217233A (zh) 一种apc短插芯的加工处理方法
CN201645261U (zh) 一种寻边器辅助装置
JP2001255138A (ja) 測定用治具
JP2009095973A (ja) 砥石成形装置および砥石成形方法
KR20140119507A (ko) 연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