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749B1 - 인덕터 - Google Patents

인덕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749B1
KR101771749B1 KR1020120157164A KR20120157164A KR101771749B1 KR 101771749 B1 KR101771749 B1 KR 101771749B1 KR 1020120157164 A KR1020120157164 A KR 1020120157164A KR 20120157164 A KR20120157164 A KR 20120157164A KR 101771749 B1 KR101771749 B1 KR 101771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portion
inductor
insulating
substrate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6533A (ko
Inventor
김용석
위성권
이종윤
한진우
유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7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749B1/ko
Priority to CN201310741773.0A priority patent/CN103915243A/zh
Priority to US14/142,696 priority patent/US20140184377A1/en
Publication of KR20140086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6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 H05K1/165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incorporating printed i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73Printed inductances with a special conductive pattern, e.g. flat spiral

Abstract

본 발명은 인덕터에 관한 것으로, 기판, 상기 기판상에 구비되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구비되는 도체패턴부를 포함하는 인덕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된 영역에 구비되는 제1 절연부 및 제2 절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연부와 상기 제2 절연부는 유전률과 내열성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높은 Q값 및 L값을 구현하는 동시에 열처리에 의한 변형이 감소되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인덕터{INDUCTOR}
본 발명은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인덕터는 저항, 캐패시터와 더불어 전자 회로를 이루는 중요한 수동 소자 중의 하나로,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LC 공진 회로를 이루는 부품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인덕터는 페라이트(ferrite) 코어에 코일을 감거나 인쇄를 하고 양단에 전극을 형성하여 제조되는 권선형 인덕터, 자성시트 또는 유전시트의 일면에 내부 전극을 인쇄한 후 적층하여 제조되는 적층형 인덕터, 그리고 베이스 기판 상에 박막 공정을 통해 코일 형상의 내부전극을 도금하여 제조되는 박막형 인덕터 등으로 구분된다.
한편, 모바일 기기의 소형화와 고성능화가 진행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는 전자부품들 또한 소형화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모바일 기기, 특히 RF 모듈 등 무선 통신 모듈의 소형화 및 고주파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인덕턴스의 높은 정밀도와 높은 Q특성이 요구된다.
특허문헌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인덕터는 절연층 위에 도체패턴을 인쇄하여 코일을 형성한 것을 복수 층으로 적층한 뒤 압착 및 소성 과정을 수행하여 제조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인덕터들은, 인쇄공정에서의 전극번짐 현상, 적층 및 압착공정에서의 얼라인먼트 틀어짐이나 전극 눌림 현상 등으로 인하여 도체패턴의 변형이 발생하기 쉽고, 소성시에는 수축변형 등에 의하여 도체패턴의 변형이 심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요구되는 인덕턴스를 정밀하게 구현하기가 어렵고, 직류저항도 커지게 되는 등, 결과적으로 고주파 인덕터에서 요구되는 HIGH-Q특성의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1-20489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특성이 향상된 인덕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터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구비되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구비되는 도체패턴부를 포함하는 인덕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된 영역에 구비되는 제1 절연부 및 제2 절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연부와 상기 제2 절연부는 유전률과 내열성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절연부는, 액정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에폭시(Epoxy), 폴리이미드(Polyimide), 아크릴(Acrylic) 및 테프론(Teflon)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절연부는, 산화물 세라믹, 질화물 세라믹 및 탄화물 세라믹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절연부는, 알루미나(Alumina), 지르코니아(Zirconia), 티나니아(Titania), 실리카(Silica), 질화알루미늄(Aluminium Nitride), 질화규소(Silicon Nitride), 탄화규소(Silicon Carbide), 및 탄화티타늄(Titanium Carbide)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절연부는 상기 제1 절연부의 모든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체패턴부는 도전성 재료가 적어도 한 회전 이상 권선되어 이루어지는 도체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도체코일은 상기 제1 절연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연부 및 상기 제2 절연부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절연부는 상기 절연부의 외곽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절연부는 상기 절연부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체코일은 상기 제1 절연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연부 및 상기 제2 절연부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구비되되, 상기 제2 절연부는 상기 절연부의 외곽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절연부는 상기 절연부의 중앙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도체코일은 상기 제2 절연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연부는 상기 기판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절연부는 상기 제1 절연부 상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도체코일은 상기 제1 절연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터는, 높은 Q값 및 L값을 구현하는 동시에 열처리에 의한 변형이 감소되어 신뢰성이 향상된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에서 1층 코일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에서 2층 코일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 으로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를 도 1의 I-I'선으로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서 외부전극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를 도 1의 I-I'선으로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서 외부전극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를 도 1의 I-I'선으로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서 외부전극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시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면은 일반적 구성 방식을 도시하고,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유사한 참조부호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만약 있다면,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터(1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터(100)에서 1층 코일(131)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터(100)에서 2층 코일(132)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I-I' 으로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터(100)는 기판(110), 절연부(120), 도체패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페라이트 등 자성체를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부(120)는 기판(110)상에 구비되며, 그 내부에 도체패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체패턴부(130)는 도체코일, 내부단자(133) 및 연결단자(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도체코일이 1층 코일(131) 및 2층 코일(132)을 포함하여 2층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체코일이 한 층으로만 형성되거나, 3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내부단자(133)는 코일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구비되며, 연결단자(134)를 통해 인덕터(1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터(100) 외부에 내부단자(133)와 연결되는 외부전극(140)이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다라, 인덕터(100)를 다른 디바이스들과 연결하는 결합과정에서 공정의 편의성 및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1층 코일(131), 2층 코일(132), 내부단자(133) 및 연결단자(134) 등은 적층방식으로 형성되거나, 포토레지스트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터(100)에서는 절연부(120)가 제1 절연부(121)와 제2 절연부(122)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절연부(121)와 제2 절연부(122)는 유전률과 내열성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다.
즉, 제1 절연부(121)의 유전률이 제2 절연부(122)의 유전률 보다 높고, 제2 절연부(122)의 내열성이 제1 절연부(121)의 내열성 보다 높게 될 수 있다.
예컨데, 액정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에폭시(Epoxy), 폴리이미드(Polyimide), 아크릴(Acrylic) 및 테프론(Teflon)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한 물질로 제1 절연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산화물 세라믹, 질화물 세라믹 및 탄화물 세라믹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한 물질로 제2 절연부(12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산화물 세라믹으로는 알루미나(Alumina), 지르코니아(Zirconia), 티나니아(Titania), 실리카(Silica)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질화물 세라믹으로는 질화알루미늄(Aluminium Nitride), 질화규소(Silicon Nitride) 등을 적용할 수 있고, 탄화물 세라믹으로는 탄화규소(Silicon Carbide), 및 탄화티타늄(Titanium Carbide)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절연부(121)는 유전률이 낮으므로 인덕터(100)의 Q 특성이나 L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 절연부(122)는 내열성이 높으므로 인덕터(100) 제조과정에서 제공되는 고열 환경에서도 도체패턴이 변형되는 등의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200, 300, 400)에서 제1 절연부(221, 321, 421)와 제2 절연부(222, 322, 422)의 배치관계를 예시하고 있다.
즉, 제1 절연부(121, 221, 321, 421) 및 제2 절연부(122, 222, 322, 422)의 배치관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제1 절연부(121, 221, 321, 421) 및 제2 절연부(122, 222, 322, 422)의 배치관계 및 해당 배치관계에 따른 인덕터(100, 200, 300, 400)의 특성, 변형도 및 수축률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2 절연부(122)는 제1 절연부(121)의 외측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으며, 이때, 도체코일은 제1 절연부(121)에 구비될 수 있다.
하기 [표 1]은 실험예 1에 따라 제조된 인덕터(100)의 특성, 변형도, 수축률 등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실험예 1>
- 인덕터(100) : 가로 0.6mm, 세로 0.3mm, 두께 0.3mm
- 기판(110) 두께 : 0.2mm
- 절연부(120) 두께 : 0.1mm
- 1층 코일(131)과 2층 코일(132)의 권선수 합계 : 3.5 턴
- 1층 코일(131)과 2층 코일(132)의 선폭/두께/간격 : 22/10/20㎛
- 1층 코일(131)과 2층 코일(132) 사이의 절연층 두께 : 10㎛
- 제1 절연부(121)와 제2 절연부(122)의 배치관계 : 도 4에 예시된 배치관계에 따름
- L, Q는 주파수 2.4GHz에서 측정
- 변형도는 210℃에서 3시간 열처리를 진행한 후 측정
- 수축률은 열처리 전과 열처리 후의 두께 방향의 수축 정도를 측정
구분 L(nH) Q 변형도(㎛) 수축률(%)
#1 5.6 45 3 15
#2 5.8 43 3 16
#3 5.6 44 4 14
#4 5.5 45 3 15
#5 5.6 45 4 15
#6 5.6 46 3 16
#7 5.7 45 3 17
#8 5.5 44 4 14
#9 5.6 46 4 15
#10 5.5 44 3 15
평균 5.6 44.7 3.4 15.2
다음으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절연부(221)는 절연부(220)의 외곽에 위치하고, 제2 절연부(222)는 절연부(220)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절연부(221) 및 제2 절연부(222)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구비된다. 즉, 제1 절연부(221) 및 제2 절연부(222)의 하부면은 기판(110)에 접촉되고, 상부면은 인덕터(200)의 상부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도체코일은 제1 절연부(221)에 구비될 수 있다.
하기 [표 2]는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인덕터(200)의 특성, 변형도, 수축률 등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실험예 2>
- 인덕터(200) : 가로 0.6mm, 세로 0.3mm, 두께 0.3mm
- 기판(110) 두께 : 0.2mm
- 절연부(220) 두께 : 0.1mm
- 1층 코일(231)과 2층 코일(232)의 권선수 합계 : 3.5 턴
- 1층 코일(231)과 2층 코일(232)의 선폭/두께/간격 : 22/10/20㎛
- 1층 코일(231)과 2층 코일(232) 사이의 절연층 두께 : 10㎛
- 제1 절연부(221)와 제2 절연부(222)의 배치관계 :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배치관계에 따름
- L, Q는 주파수 2.4GHz에서 측정
- 변형도는 210℃에서 3시간 열처리를 진행한 후 측정
- 수축률은 열처리 전과 열처리 후의 두께 방향의 수축 정도를 측정
구분 L(nH) Q 변형도(㎛) 수축률(%)
#11 5.5 42 6 31
#12 5.4 40 5 30
#13 5.5 42 6 31
#14 5.4 41 7 32
#15 5.5 40 6 30
#16 5.4 41 5 29
#17 5.6 40 6 31
#18 5.4 42 6 30
#19 5.5 42 7 30
#20 5.5 41 5 30
평균 5.47 41.1 5.9 30.4
다음으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2 절연부(322)는 절연부(320)의 외곽에 위치하고, 제1 절연부(321)는 절연부(320)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절연부(321) 및 제2 절연부(322)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구비된다. 즉, 제1 절연부(321) 및 제2 절연부(322)의 하부면은 기판(110)에 접촉되고, 상부면은 인덕터(300)의 상부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도체코일은 제2 절연부(322)에 구비될 수 있다.
하기 [표 3]은 실험예 3에 따라 제조된 인덕터(300)의 특성, 변형도, 수축률 등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실험예 3>
- 인덕터(300) : 가로 0.6mm, 세로 0.3mm, 두께 0.3mm
- 기판(110) 두께 : 0.2mm
- 절연부(320) 두께 : 0.1mm
- 1층 코일(331)과 2층 코일(332)의 권선수 합계 : 3.5 턴
- 1층 코일(331)과 2층 코일(332)의 선폭/두께/간격 : 22/10/20㎛
- 1층 코일(331)과 2층 코일(332) 사이의 절연층 두께 : 10㎛
- 제1 절연부(321)와 제2 절연부(322)의 배치관계 :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배치관계에 따름
- L, Q는 주파수 2.4GHz에서 측정
- 변형도는 210℃에서 3시간 열처리를 진행한 후 측정
- 수축률은 열처리 전과 열처리 후의 두께 방향의 수축 정도를 측정
구분 L(nH) Q 변형도(㎛) 수축률(%)
#21 5.3 37 4 13
#22 5.4 36 4 12
#23 5.4 38 4 13
#24 5.3 37 5 13
#25 5.2 37 3 14
#26 5.3 36 5 13
#27 5.2 38 4 14
#28 5.3 37 4 12
#29 5.4 37 3 13
#30 5.3 37 3 14
평균 5.31 37 3.9 13.1
다음으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1 절연부(421)는 기판(110)의 상면에 구비되고, 제2 절연부(422)는 제1 절연부(421)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도체코일은 제1 절연부(421)에 구비될 수 있다.
하기 [표 4]는 실험예 4에 따라 제조된 인덕터(400)의 특성, 변형도, 수축률 등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실험예 4>
- 인덕터(400) : 가로 0.6mm, 세로 0.3mm, 두께 0.3mm
- 기판(110) 두께 : 0.2mm
- 절연부(420) 두께 : 0.1mm
- 1층 코일(431)과 2층 코일(432)의 권선수 합계 : 3.5 턴
- 1층 코일(431)과 2층 코일(432)의 선폭/두께/간격 : 22/10/20㎛
- 1층 코일(431)과 2층 코일(432) 사이의 절연층 두께 : 10㎛
- 제1 절연부(421)와 제2 절연부(422)의 배치관계 : 도 7A 및 도 7B에 예시된 배치관계에 따름
- L, Q는 주파수 2.4GHz에서 측정
- 변형도는 210℃에서 3시간 열처리를 진행한 후 측정
- 수축률은 열처리 전과 열처리 후의 두께 방향의 수축 정도를 측정
구분 L(nH) Q 변형도(㎛) 수축률(%)
#31 5.5 45 10 21
#32 5.6 44 10 22
#33 5.7 45 9 20
#34 5.6 43 11 20
#35 5.8 44 12 19
#36 5.7 45 9 21
#37 5.6 45 10 20
#38 5.7 43 10 21
#39 5.6 44 9 22
#40 5.7 44 10 20
평균 5.65 44.2 10 20.6
하기 [표 5]는 상기 [표 1] 내지 [표 4]의 평균들을 정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구분 L(nH) Q 변형도(㎛) 수축률(%)
실험예 1 5.60 44.7 3.4 15.2
실험예 2 5.47 41.1 5.9 30.4
실험예 3 5.31 37.0 3.9 13.1
실험예 4 5.65 44.2 10.0 20.6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1 절연부(121, 221, 321, 421)와 제2 절연부(122, 222, 322, 422)의 배치관계에 따라, 인덕터(100, 200, 300, 400) 특성인 L과 Q 값은 물론 변형도와 수축률도 각기 달라진다.
특히, L과 Q 값은 실험예 1과 4에서 상대적으로 높지만, 실험예 4의 경우 변형도 및 수축률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바, 실험예 1에 적용된 실시예가 더 바람직함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실험예 1, 3을 비교해보면, 변형도와 수축률은 비슷하면서도 L과 Q 값은 실험예 3이 좀더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산업계에서는 필요에 따라 L과 Q 값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인덕터가 사용되고 있는 바, 실험예 1과 같은 구조의 인덕터(100)나 실험예 3과 같은 구조의 인덕터(300)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실험예 2나 실험예 4에 적용된 실시예들도, 다른 실험예에 비해서는 비교적 성능개선 정도가 낮기는 하지만, 종래의 일반적인 인덕터에 비해서는 특성값이 향상되면서도 변형도와 수축률이 감소되는 것이므로 산업계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400 : 인덕터
110 : 기판
120, 220, 320, 420 : 절연부
121, 221, 321, 421 : 제1 절연부
122, 222, 322, 422 : 제2 절연부
130 : 도체패턴부
131 : 1층 코일
132 : 2층 코일
133 : 내부단자
134 : 연결단자
140 : 외부전극

Claims (12)

  1. 기판, 상기 기판상에 구비되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구비되는 도체패턴부를 포함하는 인덕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된 영역에 구비되는 제1 절연부 및 제2 절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연부와 상기 제2 절연부는 유전률과 내열성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절연부 및 상기 제2 절연부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절연부 및 상기 제2 절연부 중 하나는 상기 절연부의 외곽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절연부 및 상기 제2 절연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절연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인덕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부는,
    액정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에폭시(Epoxy), 폴리이미드(Polyimide), 아크릴(Acrylic) 및 테프론(Teflon)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부는,
    산화물 세라믹, 질화물 세라믹 및 탄화물 세라믹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부는,
    알루미나(Alumina), 지르코니아(Zirconia), 티나니아(Titania), 실리카(Silica), 질화알루미늄(Aluminium Nitride), 질화규소(Silicon Nitride), 탄화규소(Silicon Carbide), 및 탄화티타늄(Titanium Carbide)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부는 상기 절연부의 외곽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절연부는 상기 절연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도체패턴부는 도전성 재료가 적어도 한 회전 이상 권선되어 이루어지는 도체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도체코일은 상기 제1 절연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부는 상기 절연부의 외곽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절연부는 상기 절연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도체패턴부는 도전성 재료가 적어도 한 회전 이상 권선되어 이루어지는 도체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도체코일은 상기 제2 절연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11. 삭제
  12. 삭제
KR1020120157164A 2012-12-28 2012-12-28 인덕터 KR101771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164A KR101771749B1 (ko) 2012-12-28 2012-12-28 인덕터
CN201310741773.0A CN103915243A (zh) 2012-12-28 2013-12-27 电感器
US14/142,696 US20140184377A1 (en) 2012-12-28 2013-12-27 Indu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164A KR101771749B1 (ko) 2012-12-28 2012-12-28 인덕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533A KR20140086533A (ko) 2014-07-08
KR101771749B1 true KR101771749B1 (ko) 2017-08-25

Family

ID=51016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164A KR101771749B1 (ko) 2012-12-28 2012-12-28 인덕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184377A1 (ko)
KR (1) KR101771749B1 (ko)
CN (1) CN1039152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090B1 (ko) * 2014-12-24 2016-06-13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709841B1 (ko) * 2014-12-30 2017-0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JP2018046257A (ja) * 2016-09-16 2018-03-22 ローム株式会社 チップインダクタおよびチップ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US20180174736A1 (en) * 2016-12-15 2018-06-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Indu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ductor
JP6828555B2 (ja) * 2017-03-29 2021-02-10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634808B (zh) * 2018-06-22 2021-08-31 佳邦科技股份有限公司 封装元件及其制作方法
KR20200062748A (ko) * 2018-11-27 2020-06-04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부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3320A (ja) * 2005-03-09 2006-09-21 Tdk Corp コイル部品
JP2007324554A (ja) 2006-06-01 2007-12-13 Taiyo Yuden Co Ltd 積層インダクタ
JP2011198973A (ja) * 2010-03-19 2011-10-06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9597A (en) * 1990-02-16 1991-03-12 Motorola, Inc. Bifilar planar inductor
TW396594B (en) * 1998-07-13 2000-07-01 Winbond Electronics Corp High quality i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1044037A (ja) * 1999-08-03 2001-02-16 Taiyo Yuden Co Ltd 積層インダクタ
CN1183558C (zh) * 2001-03-29 2005-01-05 华邦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高电感性和高品质因子的多层螺旋电感器结构
US20040263309A1 (en) * 2003-02-26 2004-12-30 Tdk Corporation Thin-film type common-mode choke co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112004003075B4 (de) * 2003-07-17 2013-08-01 Rorze Corp. Filme mit niedriger Dielektrizitätskonstante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diese Filme sowie elektronische Bauteile, die diese Filme verwenden
US6903644B2 (en) * 2003-07-28 2005-06-0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Inductor device having improved quality factor
US7460000B2 (en) * 2004-01-23 2008-12-0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hip indu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200609956A (en) * 2004-05-28 2006-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mmon mode noise filter
KR100665114B1 (ko) * 2005-01-07 200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평면형 자성 인덕터의 제조 방법
JP4844045B2 (ja) * 2005-08-18 2011-12-21 Tdk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8389867B2 (en) * 2005-09-30 2013-03-05 Ibiden Co., Ltd. Multilayered circuit substrate with semiconductor device incorporated therein
TWI260075B (en) * 2005-10-24 2006-08-11 Via Tech Inc Embedded inductor element and chip package applying the same
CN100515159C (zh) * 2005-12-15 2009-07-15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内含滤波器的多层印刷电路板
CN101361146B (zh) * 2006-01-16 2011-09-07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感器的制造方法
JP2007273802A (ja) * 2006-03-31 2007-10-18 Tdk Corp 薄膜デバイス
US7994889B2 (en) * 2006-06-01 2011-08-09 Taiyo Yuden Co., Ltd. Multilayer inductor
JP2007324555A (ja) * 2006-06-01 2007-12-13 Taiyo Yuden Co Ltd 積層インダクタ
CN101473388B (zh) * 2006-06-20 2011-11-1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层叠线圈器件
US20080238602A1 (en) * 2007-03-30 2008-10-02 Gerhard Schrom Components with on-die magnetic cores
JP2009302418A (ja) * 2008-06-17 2009-12-24 Nec Electronics Corp 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71457A (ja) * 2008-12-22 2011-04-07 Tdk Corp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5339974B2 (ja) * 2009-03-11 2013-11-13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インダクタ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847721B2 (en) * 2009-11-12 2014-09-30 Nikon Corporation Thermally conductive coil and methods and systems
WO2011148819A1 (ja) * 2010-05-28 2011-12-01 日本碍子株式会社 インピーダンス整合素子
US8451083B2 (en) * 2010-05-31 2013-05-28 Tdk Corporation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637505A (zh) * 2012-05-02 2012-08-15 深圳顺络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高自谐振频率和高品质因素的叠层电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3320A (ja) * 2005-03-09 2006-09-21 Tdk Corp コイル部品
JP2007324554A (ja) 2006-06-01 2007-12-13 Taiyo Yuden Co Ltd 積層インダクタ
JP2011198973A (ja) * 2010-03-19 2011-10-06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15243A (zh) 2014-07-09
KR20140086533A (ko) 2014-07-08
US20140184377A1 (en)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749B1 (ko) 인덕터
KR101983150B1 (ko) 적층형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462806B1 (ko)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525645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KR101059247B1 (ko) 적층콘덴서
KR101792282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가 실장된 회로기판
KR20130077177A (ko) 파워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3913A (ko)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JP2001023822A (ja) 積層フェライトチップインダクタアレ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50132A (ko) 적층형 코일 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11693A (ko) 파워 인덕터용 자성체 모듈, 파워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45629A (ko)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WO2014115454A1 (ja) 磁性体コア内蔵樹脂多層基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20180071644A (ko) 인덕터
KR20150114747A (ko) 칩형 코일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20150058869A (ko) 적층형 인덕터
JP2006339617A (ja) 電子部品
KR101843184B1 (ko) 적층형 칩 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12144103A1 (ja) 積層型インダクタ素子及び製造方法
KR101983149B1 (ko) 적층형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08318A (ko) 칩형 코일 부품
KR101565705B1 (ko) 인덕터
KR20150055871A (ko) 적층형 인덕터
KR20130140433A (ko) 적층 칩 전자부품
CN109659112B (zh) 绕组用芯体及其制造方法、带绕组的电子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