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277B1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277B1
KR101771277B1 KR1020137000449A KR20137000449A KR101771277B1 KR 101771277 B1 KR101771277 B1 KR 101771277B1 KR 1020137000449 A KR1020137000449 A KR 1020137000449A KR 20137000449 A KR20137000449 A KR 20137000449A KR 101771277 B1 KR101771277 B1 KR 101771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ont side
side pillar
cab
open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2605A (ko
Inventor
도모유키 다나카
하지메 이시이
쇼오고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ublication of KR20130122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6Special type
    • B60J5/0487Special type simplified doors related to cabins of, e.g. golf carts, tractors, jeeps, cranes, forklifts,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폭 이하의 선회 반경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운전석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양호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부재점수를 적게 할 수 있는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구(20)를 형성하는 개구면(16)을 개폐 가능한 도어(5)를 갖는 운전실(6)을 구비한 미니 셔블에 있어서, 도어(5)가 1개 도어로 이루어지고, 닫은 상태에 있어서 도어(5)는, 당해 도어(5)의 중앙부(21)보다도 전방측 필러(15)에 가까운 측에 굴곡부(5b)를 갖고, 이 굴곡부(5b)를, 도어(5)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전방측 필러(15)에 근접함에 따라서 개구면(16)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제1 부분(5b1)과, 이 제1 부분(5b1)에 연속 설치되어서 제1 부분(5b1)보다도 전방측 필러(15)측에 위치하고, 전방측 필러(15)에 근접함에 따라서 개구면(16)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된 제2 부분(5b2)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승강구를 형성하는 개구면을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갖는 운전실을 구비한 미니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소선회기를 구성하는 유압 셔블이 있다. 이 유압 셔블은 주행체와, 이 주행체 위에 배치되는 선회체와, 이 선회체에 설치되는 작업 장치와, 선회체 위에 설치되고, 승강구를 형성하는 개구면을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갖는 캡, 즉 운전실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실은, 서로 승강구를 사이에두고 설치되고, 작업 장치측에 배치되는 좌전방 필러, 즉 전방측 필러와,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센터 필러, 즉 도어 설치 필러를 갖고 있다.
또한, 소선회기를 구성하는 유압 셔블에서 원래 요구되는 차폭 이하의 치수인 선회체의 선회 반경의 외측에 운전실을 돌출시키지 않기 때문에, 도어는 복수의 힌지를 통해서 연결되는 2개 도어로 이루어지고 있다. 복수의 힌지는 2개 도어로 이루어지는 도어 전체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 연직 방향에 설치된 각 도어의 테두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령 도어를 1개 도어에 의해 형성함에 따라 운전실이 커지면, 선회체의 선회 반경이 원래 요구되고 있는 상술한 차폭 이하의 선회 반경보다도 커져 버리게 된다. 이렇게 이루어지면, 선회체의 선회에 있어서 작업 환경에 의한 제약을 받고, 당해 소선회기를 구성하는 유압 셔블의 작업 장치를 통해서 실시되는 각종 작업에 지장이 발생할지 모른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1753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종래 기술은, 도어 전체를 2개 도어에 형성한 것에 의해, 원래 요구되어 있는 차폭 이하의 선회 반경을 확보할 수 있지만, 도어 전체의 중앙 부분에 2개의 도어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힌지와, 이들의 힌지가 설치되는 각 도어의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실내의 운전석에 앉은 오퍼레이터에 있어서 양호한 시야를 확보할 수 없다. 또한, 도어 전체의 중앙 부분에 복수의 힌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지고, 제작 비용이 높아지기 쉽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실상으로부터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차폭 이하의 선회 반경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운전석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양호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부재 점수를 적게 할 수 있는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주행체와, 이 주행체 위에 배치되는 선회체와, 이 선회체에 설치되는 작업 장치와, 상기 선회체 위에 설치되고, 승강구를 형성하는 개구면을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갖는 운전실을 구비하고, 상기 운전실은, 서로 상기 승강구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고, 상기 작업 장치측에 배치되는 전방측 필러와, 상기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설치 필러를 갖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1개 도어로 이루어지고,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당해 도어의 중앙부보다도 상기 전방측 필러에 가까운 측에 굴곡부를 갖고, 상기 굴곡부를, 상기 도어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필러에 근접함에 따라서 상기 개구면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연속 설치되어서 상기 제1 부분보다도 상기 전방측 필러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방측 필러에 근접함에 따라서 상기 개구면에서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제2 부분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도어의 중앙부보다도 전방측 필러에 가까운 측에 굴곡부를 설치하고, 이 굴곡부가, 도어를 닫았을 때에 전방측 필러에 근접함에 따라서 승강구를 형성하는 개구면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제1 부분과, 이 제1 부분에 연속 설치되고, 전방측 필러에 근접함에 따라서 상술한 개구면에서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제2 부분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부터, 운전실의 기본적인 설계 변경을 초래하지 않는 형상의 도어를 설치할 수 있다. 즉, 도어의 설치 때문에 운전실을 크게 형성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차폭 이하의 선회 반경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중앙부보다도 전방측 필러에 가까운 측에 굴곡부를 설치하기 때문에, 도어의 중앙부를 굴곡부보다도 외측으로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실내의 공간을 크게 하면서 도어를 운전실 내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1개 도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어의 중앙부에 복수의 힌지 및 이들의 힌지가 설치되는 부재를 존재시킬 수 없다. 이에 의해, 운전석에 앉은 오퍼레이터는 양호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부품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어는 중앙부보다도 전방측 필러에 가까운 측에 굴곡부를 갖기 때문에, 이 굴곡부에 있어서 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를 닫았을 때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를, 상기 도어가 완전하게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주행체의 차폭 이하로 규정되는 선회체의 선회 반경의 대략 내측에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도어를 완전하게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을 실시할 경우에 있어서도, 굴곡부를 설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양호하게 선회체를 선회시켜서 당해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를, 상기 도어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당해 굴곡부의 상기 제2 부분의 단부가 상기 선회 반경위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필러에, 상기 도어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의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단부를 수용시키는 오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어를 닫았을 때에, 전방측 필러의 오목부에 도어의 굴곡부의 제2 부분의 단부가 수용되므로, 굴곡부의 제2 부분의 단부가 전방측 필러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지 않고, 차폭 이하의 선회 반경의 유지에 공헌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당해 건설 기계가 미니 셔블로 이루어지고, 상기 운전실에 대한 승강을 용이하게 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스텝의 일부에, 상기 개구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도어의 일부에, 이 도어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스텝의 상기 돌출부를 덮는 볼록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운전실의 승강구를 형성하는 개구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스텝의 일부만에 설치하기 때문에, 운전실의 외곽 형상을 변경시키지 않고 스텝에 돌출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선회 반경을 크게 하지 않고, 스텝의 형상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어를 닫았을 때에 도어의 일부에 설치한 볼록부에 의해 스텝에 설치한 돌출부가 덮이므로, 돌출부를 포함시킨 스텝 전체를 운전실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당해 건설 기계가 적설이 발생하는 한냉지에 배치되었을 경우라도, 스텝에 있어서 적설이 동결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승강구를 형성하는 개구면을 개폐하는 도어가 1개 도어로 이루어지고, 닫은 상태에 있어서 도어는, 당해 도어의 중앙부보다도 전방측 필러에 가까운 측에 굴곡부를 갖고, 굴곡부를, 도어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전방측 필러에 근접함에 따라 개구면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제1 부분과, 이 제1 부분에 연속 설치되어서 제1 부분보다도 전방측 필러측에 위치하고, 전방측 필러에 근접함에 따라서 개구면에서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제2 부분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운전실을 크게 형성하지 않고 차폭 이하의 선회 반경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선회체를 선회시키는 작업 장치를 구동시켜서 지장 없이 원하는 작업을 실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중앙부를 굴곡부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실내의 공간을 크게 하면서 도어를 운전실 내에 인입하지 못하게 하도록 할 수 있고, 운전실에 앉은 오퍼레이터에 의한 양호한 조작성의 확보에 공헌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중앙부에 복수의 힌지 및 이들의 힌지가 설치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고, 운전석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양호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성을 종래보다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부품 개수가 적어져 종래에 비해 제작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곡부에 있어서 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것에 따라 도어를 닫았을 때의 기밀성을 종래에 비해 향상시킬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운전실의 도어 구조를 실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일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미니 셔블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미니 셔블에 구비되는 운전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운전실의 도어를 닫은 상태의 주요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운전실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하는 운전실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주요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평면도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일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미니 셔블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미니 셔블에 구비되는 운전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들의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건설 기계는 소형의 건설 기계 중 하나인 미니 셔블로 구성되어 있다. 이 미니 셔블은 좌우 한쌍의 크롤러(1a)를 갖는 주행체(1)와, 이 주행체(1) 위에 배치되는 선회체(2)와, 이 선회체(2)에 상하 방향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작업 장치(3)는 선회체(2)에 설치되는 붐(3a)과, 이 붐(3a)의 선단에 설치되는 아암(3b)과, 이 아암(3b)의 선단에 설치되는 버킷(3c)을 포함하고 있다.
선회체(2) 위에는, 운전석(4)이 수용되어 후술하는 승강구(20)의 개구면(16)을 개폐 가능한 1개 도어로 이루어지는 도어(5)를 갖는 운전실(6)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이 선회체(2)에는, 엔진(7), 도시하지 않은 펌프 등이 수용되어 외측이 외장 커버(8)로 덮인 기계실(9)과, 중량 밸런스를 확보하는 카운터 웨이트(10)를 배치하고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운전실의 도어를 닫은 상태의 주요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주요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운전실의 도어를 연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하는 운전실의 도어를 연 상태의 주요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미니 셔블은, 운전실(6)에 대한 승강을 용이하게 하는 스텝의 일부에, 운전실(6)의 승강구(20)를 형성하는 개구면(16)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2a)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실(6)의 바닥(11)이, 상술한 운전석(4)의 전방측에 배치된 평탄부(11a)와, 이 평탄부(11a)에 연속 설치되어서 이 평탄부(11a)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승강구(20)측에 배치된 단차부(11b)를 포함하고, 운전실(6) 내에, 바닥(11)의 단차부(11b)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플랜지부(12)를 단차부(11b)에 연속 설치해서 설치하고, 상술한 스텝이, 바닥(11)의 단차부(11b)와 플랜지부(12)로 이루어지고, 플랜지부(12)에 도 4에 도시하는 승강구(20)를 형성하는 개구면(16)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2a)를 설치하고 있다.
플랜지부(12)는 한쌍의 볼트(14)에 의해, 운전실(6)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12)에 설치된 돌출부(12a)의 주요부의 단부면은, 예를 들어 수평면내에 있어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운전실(6)은, 도 4,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승강구(20)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고, 작업 장치(3)측에 배치되는 기둥, 즉 전방측 필러(15)와, 도어(5)가 힌지(18)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둥, 즉 도어 설치 필러(13)를 갖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12)의 돌출부(12a)에 있어서의 전방측 필러(15)측의 단부에는, 전방측 필러(15)에 근접함에 따라서 승강구(20)를 형성하는 개구면(16)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굴곡부(12b)를 설치하고 있다.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의 하단부 부분의 일부에는, 이 도어(5)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스텝을 구성하는 플랜지부(12)에 설치한 돌출부(12a)를 덮는 볼록부(5a)를 설치하고 있다. 이 볼록부(5a)의 주요부는, 플랜지부(12)의 돌출부(12a)의 주요부의 단부면의 직선형 형상에 따라,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5a)는, 예를 들어 도어(5)의 제작시에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은 상태에 있어서 도어(5)는, 당해 도어(5)의 중앙부(21)보다도 전방측 필러(15)에 가까운 측에 굴곡부(5b)를 갖고 있다.
이 굴곡부(5b)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전방측 필러(15)에 근접함에 따라서 승강구(20)의 개구면(16)에 근접하도록 굴곡부(5b)의 중앙 부근(30)까지 형성되는 제1 부분(5b1)과, 이 제1 부분(5b1)에 연속 설치되어서 제1 부분(5b1)보다도 전방측 필러(15)측에 위치하고, 전방측 필러(15)에 근접함에 따라서 개구면(16)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제2 부분(5b2)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굴곡부(5b)는,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주행체(1)의 차폭 이하로 규정되는 선회체(2)의 선회 반경(17)의 대략 내측에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는, 굴곡부(5b)의 제2 부분(5b2)의 단부(5b3)가 선회 반경(17) 위에 위치하도록, 굴곡부(5b)의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굴곡부(5b)의 제2 부분(5b2)의 단부(5b3)가 전방측 필러(15)에 형성한 오목부(15a)에 수용되도록, 굴곡부(5b)의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굴곡부(5b)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를 완전하게 개방했을 때에, 선회체(2)의 외장 커버(8)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릴리프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운전실(6)의 기본적인 외곽 형상은 변경되지 않고, 이것에 따라 도 4, 도 6에 도시하는 선회 반경(17)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전의 미니 셔블에 있어서의 것과 동등한 선회 반경, 즉 주행체(1)의 한쌍의 크롤러(1a)에 의해 규정되는 차폭 이하의 치수를 유지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 운전석(4)에 착석할 때는,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를 개방하고, 바닥(11)의 단차부(11b)와, 돌출부(12a)를 갖는 플랜지부(12)로 이루어지는 스텝에 발을 걸어서, 바닥(11)의 평탄부(11a)에 올라, 운전석(4)에 착석하면 된다. 이렇게 운전석(4)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운전실(6) 내에 배치되는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작업 장치(3)가 구동하고,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의 원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어(5)가 완전하게 열렸을 때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가 선회체(2)의 외장 커버(8)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작업중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도어(5)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을 종료했을 때는 오퍼레이터는, 운전석(4)으로부터 이격되고, 바닥(11)의 평탄부(11a)로부터 단차부(11b)와 플랜지부(12)로 이루어지는 스텝에 내리고, 또한 당해 미니 셔블의 접지면에 내려온 후, 예를 들어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를 폐쇄하면 좋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12)의 돌출부(12a)가 도어(5)의 볼록부(5a)에 의해 덮이는 동시에, 도어(5)의 굴곡부(5b)의 제2 부분(5b2)의 단부(5b3)가 전방측 필러(15)의 오목부(15a)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12)의 돌출부(12a)의 주요부에 있어서의 단부면을 수평면내에 있어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도어(5)의 볼록부(5a)의 주요부를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플랜지부(12)의 돌출부(12a)의 주요부에 있어서의 단부면을, 예를 들어 수평면내에 있어서 곡선 형상으로 하거나, 요철부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고, 또한 도어(5)의 볼록부(5a)를 수평면내에 있어서 곡면을 갖도록, 또는 연직면내에 있어서 곡면을 갖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들의 돌출부(12a) 및 볼록부(5a)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형태는, 도어(5)의 중앙부(21)보다도 전방측 필러(15)에 가까운 측에 굴곡부(5b)를 설치하고, 이 굴곡부(5b)가, 도어(5)를 닫았을 때에 전방측 필러(15)에 근접함에 따라서 승강구(20)를 형성하는 개구면(16)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제1 부분(5b1)과, 이 제1 부분(5b1)에 연속 설치되고, 전방측 필러(15)에 근접함에 따라서 상술한 개구면(16)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제2 부분(5b2)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운전실(6)의 기본적인 설계 변경을 초래하지 않고 형상의 도어(5)를 설치할 수 있다. 즉, 도어(5)의 설치를 위해 운전실(6)을 크게 형성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차폭 이하의 선회 반경(17)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는, 선회체(2)를 선회시키는 작업 장치(3)를 구동시켜서 지장 없이 원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어(5)의 중앙부(21)보다도 전방측 필러(15)에 가까운 측에 굴곡부(5b)를 설치하기 때문에, 도어(5)의 중앙부(21)를 굴곡부(5b)보다도 외측으로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실(6) 내의 공간을 크게 하면서 도어(5)를 운전실(6) 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실(6)에 앉은 오퍼레이터에 의한 양호한 조작성의 확보에 공헌한다.
또한, 도어(5)가 1개 도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어(5)의 중앙부(21)에 복수의 힌지(18) 및 이들의 힌지(18)가 설치되는 부재를 존재시키지 않는다. 이에 의해, 운전석(4)에 앉은 오퍼레이터는 양호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부품 개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제작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5)는 중앙부(21)보다도 전방측 필러(15)에 가까운 측에 굴곡부(5b)를 갖기 때문에, 이 굴곡부(5b)에 있어서 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것에 따라 도어(5)를 닫았을 때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신뢰성이 높은 운전실(6)의 도어 구조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굴곡부(5b)를, 도어(5)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주행체(1)의 차폭 이하로 규정되는 선회체(2)의 선회 반경(17)의 대략 내측에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5)를 완전하게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을 실시할 경우에 있어서, 굴곡부(5b)를 설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양호하게 선회체(2)를 선회시켜서 당해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전방측 필러(15)에, 도어(5)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굴곡부(5b)의 제2 부분(5b2)의 단부(5b3)를 수용시키는 오목부(15a)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5)를 폐쇄했을 때에, 전방측 필러(15)의 오목부(15a)에 도어(5)에 설치한 굴곡부(5b)의 제2 부분(5b2)의 단부(5b3)가 수용되므로, 제2 부분(5b2)의 단부(5b3)가 전방측 필러(15)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지 않고, 차폭 이하의 선회 반경(17)의 유지에 공헌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실(6)의 승강구(20)를 형성하는 개구면(16)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2a)를, 스텝을 구성하는 플랜지부(12)의 일부에만 설치하기 때문에, 운전실(6)의 외곽 형상을 변경시키지 않고 스텝에 돌출부(12a)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선회 반경(17)을 크게 하지 않고, 스텝의 형상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회체(2)를 선회시켜 작업 장치(3)를 구동시켜서, 지장 없이 원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운전실(6)에 대한 승강을 용이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어(5)를 닫았을 때에, 도어(5)에 설치한 볼록부(5a)에 의해 플랜지부(12)의 돌출부(12a)가 덮이므로, 돌출부(12a)를 포함시킨 스텝 전체를 운전실(6)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당해 미니 셔블이 적설이 발생하는 한냉지에 배치되었을 경우라도, 돌출부(12a)를 포함시킨 스텝에 있어서 적설이 동결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동결한 적설에 의해 도어(5)가 개방되지 않게 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고, 도어(5)의 원활한 개폐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a)를 갖는 플랜지부(12)와, 볼록부(5a)를 갖는 도어(5)의 조합에 있어서, 돌출부(12a)의 형상이 다른 것을, 또는 볼록부(5a)의 형상이 다른 것을 미리 복수조 고려함으로써, 운전실(6)의 기본 구조의 설계 변경을 발생시키지 않고, 선정된 플랜지부(12)와 도어(5)의 조합을 갖는 운전실(6)을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의 굴곡부(5b)가 선회체(2)를 형성하는 외장 커버(8)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릴리프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도어(5)의 개방 동작에 수반하는 도어(5)의 손상 및 외장 커버(8)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미니 셔블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미니 셔블로 이루어져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는 미니 셔블보다도 큰 유압 셔블이여도 좋고, 또한 주행체 위에 선회체를 구비하고, 선회체 위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갖는 것이면, 유압 셔블과 다른 건설 기계이여도 좋다.
1 : 주행체
2 : 선회체
3 : 작업 장치
4 : 운전석
5 : 도어
5a : 볼록부
5b : 굴곡부
5b1 : 제1 부분
5b2 : 제2 부분
5b3 : 단부
6 : 운전실
8 : 외장 커버
11 : 바닥
11a : 평탄부
11b : 단차부
12 : 플랜지부
12a : 돌출부
12b : 굴곡부
13 : 도어 설치 필러
15 : 전방측 필러
15a : 오목부
16 : 개구면
17 : 선회 반경
20 : 승강구
21 : 중앙부
30 : 중앙 부근

Claims (5)

  1. 주행체와, 이 주행체 위에 배치되는 선회체와, 이 선회체에 설치되는 작업 장치와, 상기 선회체 위에 설치되고, 승강구를 형성하는 개구면을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갖는 운전실을 구비하고, 상기 운전실은, 서로 상기 승강구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고, 상기 작업 장치측에 배치되는 전방측 필러와, 상기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설치 필러를 갖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1개 도어로 이루어지고,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당해 도어의 중앙부보다도 상기 전방측 필러에 가까운 측에 상기 운전실 내측 방향으로 굴곡된 굴곡부를 갖고,
    상기 굴곡부를, 상기 도어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필러에 근접함에 따라서 상기 개구면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연속 설치되어서 상기 제1 부분보다도 상기 전방측 필러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방측 필러에 근접함에 따라서 상기 개구면에서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제2 부분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운전실에 대한 승강을 용이하게 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스텝의 일부에, 상기 개구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도어의 일부에, 이 도어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스텝의 상기 돌출부를 덮는 볼록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를, 상기 도어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주행체의 차폭 이하로 규정되는 선회체의 선회 반경의 내측에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를, 상기 도어가 완전하게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당해 굴곡부의 상기 제2 부분의 단부가 상기 선회 반경 위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필러에, 상기 도어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의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단부를 수용시키는 오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5. 제4항에 있어서, 당해 건설 기계가 미니 셔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KR1020137000449A 2010-06-09 2011-06-07 건설 기계 KR101771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32054 2010-06-09
JP2010132054A JP5054805B2 (ja) 2010-06-09 2010-06-09 建設機械
PCT/JP2011/063066 WO2011155495A1 (ja) 2010-06-09 2011-06-07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605A KR20130122605A (ko) 2013-11-07
KR101771277B1 true KR101771277B1 (ko) 2017-08-24

Family

ID=4509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449A KR101771277B1 (ko) 2010-06-09 2011-06-07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44202B2 (ko)
EP (1) EP2581504B1 (ko)
JP (1) JP5054805B2 (ko)
KR (1) KR101771277B1 (ko)
CN (1) CN102933773B (ko)
WO (1) WO20111554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6110B2 (ja) * 2010-07-29 2015-04-22 プレス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フレーム構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4102B2 (ja) * 1998-05-26 2002-07-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キャブ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5490U (ko) * 1988-06-01 1989-12-13
EP1081294B1 (en) * 1999-09-01 2011-12-14 Kubota Corporation Backhoe
JP4650860B2 (ja) * 2001-03-28 2011-03-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旋回式建設機械
JP3747900B2 (ja) * 2002-01-11 2006-02-2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キャビンのリンク式ドアの支持構造
JP4201186B2 (ja) * 2003-08-27 2008-12-24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ホイール式建設機械
DE10361831A1 (de) * 2003-12-30 2005-08-04 Karl Miller Gmbh Kabine zur Verwendung bei einem Kran, Bagger od. dgl.
JP4313220B2 (ja) * 2004-02-12 2009-08-1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1898447B (zh) * 2004-06-07 2010-07-14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JP4625371B2 (ja) 2004-06-07 2011-02-0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4516009B2 (ja) * 2005-12-13 2010-08-0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EP1835080B1 (en) * 2006-03-13 2013-07-03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Operator cab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US7988210B2 (en) * 2006-10-20 2011-08-02 Kubota Corporation Cabin door device
JP5001224B2 (ja) * 2008-06-27 2012-08-1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201941554U (zh) * 2010-12-06 2011-08-24 柳州五菱汽车有限责任公司 车门与车身的密封装置及其车门密封胶条
US8556331B2 (en) * 2010-12-28 2013-10-15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Utility vehicle
CN103370478B (zh) * 2011-02-24 2015-07-01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US20140017053A1 (en) * 2011-06-13 2014-01-1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4102B2 (ja) * 1998-05-26 2002-07-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キャ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605A (ko) 2013-11-07
CN102933773A (zh) 2013-02-13
EP2581504A1 (en) 2013-04-17
CN102933773B (zh) 2015-03-25
JP2011256601A (ja) 2011-12-22
EP2581504A4 (en) 2016-02-24
EP2581504B1 (en) 2017-08-16
WO2011155495A1 (ja) 2011-12-15
JP5054805B2 (ja) 2012-10-24
US20130078068A1 (en) 2013-03-28
US8944202B2 (en) 2015-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04102B2 (ja) 建設機械用キャブ
KR100382823B1 (ko) 백호
KR101863743B1 (ko) 건설 기계
US9327772B2 (en) Cabin device of working machine
JP4524437B2 (ja) 旋回作業車のターニングフレーム
US20140017053A1 (en) Construction machine
KR101778827B1 (ko) 건설 기계
KR101771277B1 (ko) 건설 기계
KR101092290B1 (ko) 건설 기계
JP5275761B2 (ja) 建設機械用キャブ
JP4076133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ドアの支持構造
JP4576598B2 (ja) 旋回作業車のターニングフレーム
JP2010065436A (ja) ローダ作業機のキャビン装置
JP3173939B2 (ja) 運転キャビンのスライド窓支持構造
JP4387126B2 (ja) 外装カバー保護プレートを備えた旋回作業車両
JP2002002536A (ja) 作業用車両
JP2017206842A (ja) 小型油圧ショベル
JPH08177081A (ja) 作業車両の運転室
JPH08302740A (ja)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構造
JP2000213000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