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217B1 - 수소 검출 센서 및 이를 위한 수소 감지층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소 검출 센서 및 이를 위한 수소 감지층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217B1
KR101768217B1 KR1020160101574A KR20160101574A KR101768217B1 KR 101768217 B1 KR101768217 B1 KR 101768217B1 KR 1020160101574 A KR1020160101574 A KR 1020160101574A KR 20160101574 A KR20160101574 A KR 20160101574A KR 101768217 B1 KR101768217 B1 KR 101768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tion metal
hydrogen
layer
metal
sens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형탁
이영안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01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G01N27/4075Composition or fabrication of the electrodes and coatings thereon, e.g.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3464Sputtering using more than one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5H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수소 검출 센서가 개시된다. 수소 검출 센서는 수소 흡착에 의해 전기 저항이 가역적으로 변하는 촉매 금속과 전이금속의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위치에 따라 촉매 금속에 대한 전이금속의 비율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제1 합금층이 2이상 적층된 구조를 갖는 감지층, 이와 접촉하는 제1 및 제2 전극을 통해 감지층의 전기적 저항 변화를 측정하는 분석회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수소 검출 센서 및 이를 위한 수소 감지층의 제조방법{HYDROGEN DETECTING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YDROGEN DETECTING LAYER FOR THE HYDROGEN DETECTING SENSOR}
본 발명은 수소 검출 센서 및 이를 위한 수소 감지층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적 방식 및 색변화 방식으로 수소를 검출할 수 있다.
최근 수소 가스를 석유를 대체하는 신재생 클린 에너지 소스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수소 연료는 높은 연소열 및 낮은 점화 에너지를 가지고 완전히 연소하므로 미래 에너지의 후보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수소는 휘발성이 높고, 인화성 및 폭발성이 있으므로 수소의 농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위험하다. 한편 수소는 색, 냄새, 맛이 없는 가연성 기체이므로 인간의 오감으로는 감지할 수 없다. 따라서 연료로서 수소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수소 센서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다양한 방식의 수소 센서가 보고되고 있는데, 그 중 전기적 센서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수소 흡착능이 높은 팔라듐을 이용한 전기적 센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팔라듐의 경우, 저농도의 수소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알파(α) 상을 가져 수소 농도에 비례하여 전기 전도도가 변화하나, 고농도의 수소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알파(α) 상에서 베타(β) 상으로 전이되고, 베타(β) 상의 팔라듐은 수소 농도에 비례하여 전기 전도도가 변화하지 않으므로 수소 검출 물질로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팔라듐이 알파(α) 상에서 베타(β) 상으로 전이되는 경우, 부피 팽창을 수반하게 되므로 고농도의 수소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수소 검출층에 균열 및 파단이 발생하여 수소를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 팔라듐을 수소 검출물질로 사용하는 전기적 센서는 약 4% 미만 농도의 수소만을 감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팔라듐의 베타(β) 상으로의 변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팔라듐을 이종 금속과 합금화하여 수소 검출물질로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구체적으로, 팔라듐과 이종 금속을 스퍼터링을 통한 동시 증착의 방식으로 팔라듐과 이종금속을 합금화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방식을 사용할 경우, 두 물질의 플라즈마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여 팔라듐과 이종 금속의 비율이 불균일해지고, 동일한 비율의 합금층을 반복적으로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제한적인 증착조건으로 인하여 수소감지 물질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자유도가 낮았고, 동시층착을 위해 필수적으로 2개 이상의 증착건이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촉매금속과 전이금속의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이금속의 비율이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감지층을 포함하여 고농도의 수소도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수소 검출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수소 검출 센서에 적용되는 수소 감지층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 검출 센서는 수소 흡착에 의해 전기 저항이 가역적으로 변하는 촉매 금속과 전이금속의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위치에 따라 상기 촉매 금속에 대한 상기 전이금속의 비율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제1 합금층이 2이상 적층된 구조를 갖는 감지층; 상기 감지층과 접촉하고,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층의 전기적 저항 변화를 측정하는 분석회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 금속은 팔라듐 또는 백금을 포함하고, 상기 전이금속은 니켈 또는 마그네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합금층 각각에 있어서, 상기 합금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상기 전이금속의 비율은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사이의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전이금속의 비율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합금층 각각에 있어서, 상기 촉매 금속에 대한 상기 전이금속의 비율은 상기 중앙 영역에서 가장 높을 수 있고, 상기 중앙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전이금속의 비율이 연속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 감지층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수소 흡착에 의해 전기 저항이 가역적으로 변하는 촉매 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촉매금속층 및 상기 촉매 금속과 합금화하여 상기 촉매 금속의 상변태를 억제시키는 전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전이금속층을 교대로 적층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이 금속을 확산시켜 상기 촉매 금속과 상기 전이 금속을 합금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금속층은 팔라듐 또는 백금의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이금속층은 니켈 또는 마그네슘의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금속층은 1nm 이상 4n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이금속층은 상기 촉매금속층 두께의 약 0.1 내지 0.5배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이금속층은 상기 촉매금속층 두께의 약 0.2 내지 0.4배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 검출 센서 및 이를 위한 수소 감지층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촉매금속층과 복수의 전이금속층을 교대로 적층한 후 상기 전이금속층의 전이금속을 확산시켜 수소 검출을 위한 감지층을 형성하므로, 종래의 이종 금속의 동시 증착에 의한 합금층 형성시 발생하는 플라즈마 간섭현상이 방지되어, 동일한 조성의 합금층을 반복적으로 형성이 가능하고, 그 결과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촉매금속층과 상기 전이금속층을 독립적으로 형성하므로 물질특성 개선의 자유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 검출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지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수소 검출 센서의 일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앞에서 설명한 합금층 2개가 적층된 구조의 감지층을 포함하는 제1 수소 검출 센서에 대한 수소 검출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b는 하나의 합금층만으로 이루어진 감지층을 포함하는 제2 수소 검출 센서에 대한 수소 검출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 감지층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감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3nm 두께의 촉매금속층에 대한 전이금속층의 두께비에 따른 감지층의 감지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소 검출 센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 검출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지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수소 검출 센서의 일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 검출 센서(100)는 기판(110), 감지층(120), 제1 전극(130A), 제2 전극(130B) 및 분석회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10)으로는 다양한 재료 및 구조의 기판이 사용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기판(110)으로는 종이, 고분자, 글라스, 금속,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지층(120)은 상기 기판(110)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수소를 감지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감지층(120)은 수소를 흡착할 수 있으며, 수소와 흡착하는 경우 가역적으로 전기 저항이 변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층(120)은 수소의 흡착량이 증가할수록 전기 저항이 증가하는 귀금속 촉매 금속 및 전이금속의 합금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촉매 금속은 팔라듐(Pd), 백금(Pt)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이금속은 상기 촉매 금속의 결정상 변태를 억제시킬 수 있는 니켈(Ni), 마그네슘(M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감지층(120)은 팔라듐과 니켈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순수 팔라듐은 수소를 흡착하는 능력이 강하고 상기 팔라듐의 결정상 중 알파(α) 상은 수소의 흡착량에 비례하여 전기 저항이 가역적으로 변할 수 있어서 수소 검출 물질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수소의 흡착량이 지나치게 증가하는 경우, 즉, 4% 이상의 고농도 수소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결정상이 베타(β) 상으로 변태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베타(β) 상의 팔라듐은 수소의 흡착량이 증가하는 경우 전기 저항이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는 특성을 가져서 수소 검출 물질로 사용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알파(α) 상에서 베타(β) 상으로 변태될 때 부피 팽창을 수반하므로 가역적인 수소와의 반응에 의해 내부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여 감지층(120)의 내구성 및 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알파(α) 상의 팔라듐이 니켈이나 마그네슘과 합금화되는 경우, 상변태가 억제되어 고농도의 수소에 노출되더라도 알파(α) 상에서 베타(β) 상으로 변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팔라듐과 니켈의 합금을 수소 검출 물질로 사용하는 경우 고농도의 수소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층(120)은 상기 촉매 금속과 상기 전이금속의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위치에 따라 상기 촉매 금속에 대한 상기 전이금속의 비율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합금층(121, 122)이 2이상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합금층(121, 122) 각각에 있어서, 상부면 및 하부면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상기 전이금속의 비율이 가장 낮고,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전이금속의 비율이 가장 높을 수 있다. 즉, 상기 합금층(121, 122) 각각에 있어서, 상기 촉매 금속에 대한 상기 전이금속의 비율은 상기 중앙 영역에서 가장 높고, 상기 중앙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전이금속의 비율이 연속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합금층(121, 122)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촉매 금속만으로 이루어진 영역이나 상기 전이금속만으로 이루어진 영역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 금속만으로 이루어진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 고농도의 수소에 노출되는 경우 상기 촉매 금속의 상변태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전이금속만으로 이루어진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전이금속이 수소를 트랩하여 수소 확산을 지연시키므로 상기 감지층(120)의 수소 검출에 대한 응답속도를 현저하게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소와의 반응에 대한 가역성을 향상시켜 수소 검출 센서의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감지층(120)은 2 이상의 상기 합금층(121, 122)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층(120)이 하나의 합금층만으로 이루어진 경우, 수소와의 반응에 대한 가역성이 단시간에 저하되어 센서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기 감지층(120)의 두께가 50nm를 초과하는 경우, 내부의 불완전한 합금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로 인하여 고농도 수소에 반복적으로 노출시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감지층(120)은 약 10층 이하의 상기 합금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130A, 130B)은 상기 기판(110) 상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 상기 감지층(120)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130A, 130B)은 도전성 물질, 예를 들면,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형상이나 구조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층(120)의 저항 변화를 보다 정확하고 즉각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극(130A, 130B)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역에서 상기 감지층(120)과 접촉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 및 제2 전극(130A, 130B)은 상기 촉매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층(120)이 복수의 촉매금속층(120a)과 복수의 전이금속층(120b)을 교대로 적층 형성한 후 상기 전이금속 및 촉매 금속을 확산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경우, 상기 촉매금속층(120a)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전극(130A, 130B)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촉매금속층(120a) 상부 또는 하부에 이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이 노출되도록 상기 전이금속층들(120b)을 형성하고 상기 전이금속층들(120b)의 전이금속을 확산시키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촉매금속층(120a) 중 양쪽 노출 부위가 상기 제1 및 제2 전극(130A, 130B)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전극(130A, 130B)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 검출 센서(100)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분석회로(140)는 상기 제1 전극(130A) 및 제2 전극(13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층(120)의 전기 저항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감지층(120)의 전기 저항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면 상기 분석회로(140)의 구성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4a는 앞에서 설명한 합금층 2개가 적층된 구조의 감지층을 포함하는 제1 수소 검출 센서에 대한 수소 검출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b는 하나의 합금층만으로 이루어진 감지층을 포함하는 제2 수소 검출 센서에 대한 수소 검출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제1 수소 검출 센서와 상기 제2 수소 검출 센서는 상기 감지층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구성되었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수소 검출 센서의 경우, 상기 감지층을 다양한 농도의 수소에 노출시켜 상기 감지층에 대한 수소의 흡착 반응 및 탈착 반응을 반복적으로 유도하더라도 특정 수소 농도에 대한 상기 감지층의 저항값은 일정하게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에 명확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0%, 1%, 4%, 10% 및 20%의 수소 농도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갑지층의 저항값들은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4b을 참조하면, 제2 수소 검출 센서의 경우, 상기 감지층을 다양한 농도의 수소에 노출시켜 상기 감지층에 대한 수소의 흡착 반응 및 탈착 반응을 반복적으로 유도하면 특정 수소 농도에 대한 상기 감지층의 저항값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의 수소 농도에 대한 상기 감지층의 약 400초에서의 저항값과 약 1200초에서의 저항값이 서로 다르고, 4%의 수소 농도에 대한 상기 감지층의 약 500초에서의 저항값과 약 1000초에서의 저항값이 서로 다르면, 10%의 수소 농도에 대한 상기 감지층의 약 700초에서의 저항값과 약 900초에서의 저항값이 서로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층의 가역성을 장시간 유지하여 수소 검출 센서의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감지층이 앞에서 설명한 합금층이 2개 이상 적층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소 검출 센서용 감지층의 제조방법>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 감지층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감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 감지층(120)의 제조방법은 기판(110) 상에 물리적 기상증착의 공정을 통해 복수의 촉매금속층(120a) 및 복수의 전이금속층(120b)을 교대로 적층 형성하는 단계(S110); 및 상기 전이금속층(120b)의 전이금속을 확산시키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금속층(120a) 및 상기 전이금속층(120b)은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을 통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촉매금속층(120a)은 수소에 대한 흡착 능력이 우수한 귀금속, 예를 들면, 팔라듐, 백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이금속층(120b)은 상기 팔라듐 또는 백금의 상변태를 억제할 수 있는 전이금속, 예를 들면, 니켈, 마그네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이금속을 확산시키는 단계 동안 상기 촉매금속과 상기 전이금속의 합금층(121, 122)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촉매금속층(120a)의 촉매금속 및 상기 전이금속층(120b)의 전이금속이 확산되어 상기 합금층(121, 122)이 형성되므로, 상기 촉매금속에 대한 상기 전이금속의 비율은 상기 전이금속층(120b)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금속층(120a)의 촉매금속 및 상기 전이금속층(120b)의 전이금속을 확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교대로 적층된 상기 촉매금속층들(120a) 및 상기 전이금속층들(120b)에 대해 일정한 온도에서 열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금속층들(120a) 각각은 약 4 n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전이금속층들(120b) 각각은 약 2 n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촉매금속층(120a)의 두께가 4 nm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이금속이 확산되지 않아서 상기 전이금속과 합금화되지 않고 상기 촉매금속만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이 잔류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전이금속층(120b)의 두께가 2nm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상기 촉매금속과 합금화되지 않고, 상기 전이금속만으로 이루어진 영역이 잔류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금속층(120a)은 약 1 내지 4 n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이금속층(120b)은 상기 촉매금속층(120a) 두께의 약 0.1 내지 0.5배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촉매금속층(120a)의 두께에 대한 상기 전이금속층(120b)의 두께비가 0.1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전이금속에 의한 상변태 억제 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0.5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이금속만으로 이루어진 영역이 잔류하거나 합금층 전체에서 상기 전이금속의 비율이 지나치게 높아져 수소 확산이 지연되어 수소 검출에 대한 응답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이금속층(120b)은 상기 촉매금속층(120a) 두께의 약 0.2 내지 0.4배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7은 3nm 두께의 촉매금속층에 대한 전이금속층의 두께비에 따른 감지층의 감지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에 있어서, 검정색 곡선 및 붉은색 곡선은 촉매금속층과 전이금속층의 두께비가 각각 10:1 및 10:3인 감지층의 수소 농도에 따른 감지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10:1의 두께비로 2층의 촉매금속층과 2층의 전이금속층을 교대로 적층한 후 전이금속을 확산시켜 형성된 감지층의 경우, 10% 이상의 수소 농도에서 수소 농도에 따른 감지도의 변화가 작음에 반하여, 10:3의 두께비로 2층의 촉매금속층과 2층의 전이금속층을 교대로 적층한 후 전이금속을 확산시켜 형성된 감지층의 경우에는 10% 이상의 고농도 수소에 대해 수소 농도에 대한 감지도의 변화가 크고 선형성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면, 고농도 수소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촉매금속층과 전이금속층의 두께비가 약 10:2 이상 약 10:4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소 반응에 대한 상기 감지층(120)의 가역성을 장시간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이금속층(120b)은 2층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 검출 센서 및 이를 위한 수소 감지층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촉매금속층과 복수의 전이금속층을 교대로 적층한 후 상기 전이금속층의 전이금속을 확산시켜 수소 검출을 위한 감지층을 형성하므로, 종래의 이종 금속의 동시 증착에 의한 합금층 형성시 발생하는 플라즈마 간섭현상이 방지되어, 동일한 조성의 합금층을 반복적으로 형성이 가능하고, 그 결과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촉매금속층과 상기 전이금속층을 독립적으로 형성하므로 물질특성 개선의 자유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수소 검출 센서 110: 기판
120: 감지층 121, 122: 합금층
130A, 130B: 전극 140: 분석회로

Claims (8)

  1. 수소 흡착에 의해 전기 저항이 가역적으로 변하는 알파(α) 결정상의 촉매 금속 및 상기 촉매 금속의 격자 내부로 확산되어 상기 촉매 금속의 상변태(phase transition)를 억제하는 전이금속의 합금으로 전체 영역이 이루어지고, 위치에 따라 상기 촉매 금속에 대한 상기 전이금속의 비율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합금층이 2이상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촉매 금속에 흡착되는 수소량에 따라 가역적으로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감지층;
    상기 감지층과 접촉하고,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층의 전기적 저항 변화를 측정하는 분석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촉매 금속은 팔라듐이고, 상기 전이금속은 니켈 또는 마그네슘을 포함하며,
    상기 합금층 각각의 내부에서, 상기 합금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상기 전이금속의 비율은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사이의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전이금속의 비율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검출 센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층 각각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촉매 금속에 대한 상기 전이금속의 비율은 상기 중앙 영역에서 가장 높고, 상기 중앙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전이금속의 비율이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검출 센서.
  5. 수소 흡착량에 따라 전기적 저항이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수소 감지층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판 상에 수소 흡착에 의해 전기 저항이 가역적으로 변하는 촉매 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촉매금속층 및 상기 촉매 금속과 합금화하여 상기 촉매 금속의 상변태를 억제시키는 전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전이금속층을 교대로 적층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이 금속을 확산시켜 상기 촉매 금속과 상기 전이 금속을 합금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촉매금속층은 팔라듐을 포함하고,
    상기 전이금속층은 니켈 또는 마그네슘을 포함하고,
    상기 전이금속층은 상기 촉매금속층 두께의 0.2 내지 0.4배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수소 감지층은 전체 영역이 알파(α) 결정상의 상기 촉매 금속 및 상기 촉매 금속의 격자 내부로 확산되어 상기 촉매 금속의 상변태(phase transition)을 억제하는 상기 전이 금속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감지층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금속층 및 상기 전이금속층은 각각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감지층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금속층은 1nm 이상 4n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전이금속층은 상기 촉매금속층 두께의 0.2 내지 0.4배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감지층의 제조방법.
  8. 삭제
KR1020160101574A 2016-08-10 2016-08-10 수소 검출 센서 및 이를 위한 수소 감지층의 제조방법 KR101768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574A KR101768217B1 (ko) 2016-08-10 2016-08-10 수소 검출 센서 및 이를 위한 수소 감지층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574A KR101768217B1 (ko) 2016-08-10 2016-08-10 수소 검출 센서 및 이를 위한 수소 감지층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217B1 true KR101768217B1 (ko) 2017-08-16

Family

ID=59752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574A KR101768217B1 (ko) 2016-08-10 2016-08-10 수소 검출 센서 및 이를 위한 수소 감지층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2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910A (ko) * 2018-04-19 2019-10-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층상 구조를 가지는 2차원 물질의 저항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210157546A (ko) * 2020-06-22 2021-12-2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수소 검출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910A (ko) * 2018-04-19 2019-10-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층상 구조를 가지는 2차원 물질의 저항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2101340B1 (ko) * 2018-04-19 2020-04-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층상 구조를 가지는 2차원 물질의 저항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210157546A (ko) * 2020-06-22 2021-12-2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수소 검출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261723A1 (ko) * 2020-06-22 2021-12-3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수소 검출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0291B1 (ko) * 2020-06-22 2022-05-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수소 검출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6018515A (zh) * 2020-06-22 2023-04-25 股份公司大贤St 氢检测传感器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6987B2 (ja) 水素センサ及び水素の検知方法
CN110476059B (zh) 用于测量气体浓度的传感器
KR101768217B1 (ko) 수소 검출 센서 및 이를 위한 수소 감지층의 제조방법
KR101734329B1 (ko) 임피던스분석을 이용하는 화학물질 검출방법
KR102400291B1 (ko) 수소 검출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Lo et al. Sensing properties of resistive-type hydrogen sensors with a Pd–SiO2 thin-film mixture
JP2000512013A (ja) ガス混合物中における酸化可能な成分の濃度を判定するセンサ
JP2008082972A (ja) 水素センサ
Aguilar-Leyva et al. Gas-sensing characteristics of undoped-SnO2 thin films and Ag/SnO2 and SnO2/Ag structures in a propane atmosphere
US20130202489A1 (en) Gas sensor with a highly porous structure constructed of catalyst-capped metal-oxide nanoclusters
JP4022822B2 (ja) 薄膜ガスセンサ
JP4355300B2 (ja) 水素透過膜、水素センサおよび水素の検知方法
JP2000298108A (ja) ガスセンサ
JP4376093B2 (ja) 薄膜ガスセンサ
US6993955B1 (en) Gas sensors
JP4870938B2 (ja) 半導体式ガス検知素子の製造方法
Chang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gas sensing properties of SnO2 and SnO2: Mo films grown by magnetron sputtering
JP3841513B2 (ja) 炭化水素センサ
JP3075070B2 (ja) 一酸化炭素ガスセンサ
RU2403563C1 (ru) Дифференциальный сенсорный датчик для газоанализатора
JP5692162B2 (ja) ガスセンサ素子、及び当該ガスセンサ素子を備えるガスセンサ
JP4779076B2 (ja) 薄膜ガスセンサ
JP5176236B2 (ja) 水素ガス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40003670A (ko) 수소검출센서
JP2005098947A (ja) 薄膜ガス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