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531B1 - 휴대폰 및 테블릿 화면 커버용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 - Google Patents

휴대폰 및 테블릿 화면 커버용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531B1
KR101767531B1 KR1020140071830A KR20140071830A KR101767531B1 KR 101767531 B1 KR101767531 B1 KR 101767531B1 KR 1020140071830 A KR1020140071830 A KR 1020140071830A KR 20140071830 A KR20140071830 A KR 20140071830A KR 101767531 B1 KR101767531 B1 KR 101767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ed glass
guide pipe
glass
bottom plate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5027A (ko
Inventor
황명수
홍석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기연
Publication of KR20150135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1Impuls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Crack, flaws, fracture or rupture
    • G01N2203/0067Fracture or rup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 G01N2203/0452Cushioning layer between test piece and gr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지그에 강화유리 테두리가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고정하고, 이 고정지그의 측방에 경사조절부를 구비하며, 이 경사조절부에 안내홈을 형성한 안내파이프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안내파이프 말단에 거리표시창이 형성된 거리표시장치를 구비하며, 거리표시장치의 승강로드 말단에 강화유리를 강타하는 충돌부재를 설치하여, 경사조절부로 안내파이프의 안내홈 경사각을 조절하고, 거리표시창을 통해 충돌부재가 강화유리와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한 상태에서 충돌부재를 안내홈을 따라 하강시킴으로써, 충돌부재가 상방으로 노출된 강화유리 테두리 측면을 강타하여 강화유리 측면부의 강도를 시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조절부로 안내파이프의 경사각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충돌부재의 하강 위치 및 충돌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거리표시창을 통해 충돌부재와 강화유리 사이 간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 간격 확인으로 매 작업시 충돌부재와 강화유리 사이 간격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강화유리 측면부가 순간적으로 하강하는 충돌부재에 강타되어 순간적인 충격 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완성도 향상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이 상승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및 테블릿 화면 커버용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Strength tester for screen glass of mobilephone or tablet}
본 발명은 강도 시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및 테블릿의 화면을 커버하는 강화유리 테두리가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고정지그에 고정하고, 그 상태에서 안내파이프를 통해 충돌부재를 하강시켜, 충돌부재에 타격된 강화유리 테두리 상태를 확인하여 강화유리의 테두리 강도를 확인하는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화유리는 판유리를 열처리하여 충격이나 급격한 온도 변화에 견딜 수 있도록 단단하게 만든 유리로 충격에 견디는 힘이 크고,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시 둥근 모양의 파편형상으로 안전하게 파손되어 다양한 분야에 이용된다.
특히, 이러한 강화유리는 근래에 고가의 제품인 휴대폰, 테블릿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 강화유리에 의해 휴대폰, 테블릿등의 화면이 커버되어 외부충격에 의해 휴대폰, 테블릿등의 화면이 안전하게 보호되는 것이다.
이때, 강화유리의 전, 후면부는 외부충격에 강한데 반해, 그 측면 테두리에 미세한 크랙이나 혹은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 전, 후면부로 균열 또는 파손이 이어져 손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강화유리를 제품에 장착되기 이전에는 그 측면부를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하게 되고, 가공이 완료된 부분에 외부에서 고의적으로 충격을 가하여 강화유리의 강도를 확인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유리 파괴강도 측정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면에 유리판을 고정시키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 중앙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판를 눌러 가압하는 파괴선단과, 상기 파괴선단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괴선단으로 상기 유리판을 누르는 가압력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괴선단 및 로드셀을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수단을 회전작동시키는 회전축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수단 상방에 설치된 기어모듈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승강수단을 승강 이동시켜, 상기 고정틀 상면에 떠받쳐 지도록 고정된 유리판 중앙부를 상기 파괴선단으로 눌러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유리판의 중앙부가 상기 파괴선단에 눌림되어 하방으로 처짐이 발생되고, 이때, 상기 로드셀이 상기 파괴선단의 가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특히, 상기 파괴선단은 상기 유리판이 파손되는 시점까지 상기 유리판을 눌러 가압하게 되고, 지속적으로 상기 파괴선단의 가압력을 측정하는 로드셀이 상기 유리판의 파손 시점의 파괴선단 가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유리판의 파손 강도를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파괴선단이 수직 방향으로 유리판을 가압하여, 유리판의 사선 방향에서 가해지는 파괴강도 측정이 불가능하고, 파괴선단이 유리판을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유리판에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강도 측정이 불가능하며, 파괴선단이 유리판 평면부만을 가압하여 유리판 측면부 파괴강도 검사가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완성도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074330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지그에 강화유리 테두리가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고정하고, 이 고정지그의 측방에 경사조절부를 구비하며, 이 경사조절부에 안내홈을 형성한 안내파이프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안내파이프 말단에 거리표시창이 형성된 거리표시장치를 구비하며, 거리표시장치의 승강로드 말단에 강화유리를 강타하는 충돌부재를 설치하여, 경사조절부로 안내파이프의 안내홈 경사각을 조절하고, 거리표시창을 통해 충돌부재가 강화유리와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한 상태에서 충돌부재를 안내홈을 따라 하강시킴으로써, 충돌부재가 상방으로 노출된 강화유리 테두리 측면을 강타하여 강화유리 측면부의 강도를 시험하는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는, 휴대폰 또는 테블릿등의 화면에 부착되어 화면을 커버하는 강화유리를 세로방향으로 세워 강화유리 테두리가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고정하는 고정지그와; 상기 고정지그 측방에 구비되어 일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홈을 형성하고 있는 안내파이프; 일단이 상기 안내파이프 일단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안내파이프를 정해진 각도로 고정하여 상기 안내홈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조절부; 상기 안내파이프 타단에 설치되고, 하부에 상기 안내홈을 따라 승강 이동되는 승강로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 측면에 상기 승강로드의 위치 거리를 표시하는 거리표시창이 형성되어 있는 거리표시장치; 및 상기 승강로드의 말단에 설치되고, 상기 안내파이프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강화유리를 강타하는 충돌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는, 휴대폰 또는 테블릿등의 화면에 부착되어 화면을 커버하는 강화유리를 세로방향으로 세워 강화유리 테두리가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고정하는 고정지그와; 상기 고정지그 측방에 구비되어 일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홈을 형성하고 있고, 타 측면에 가이드레일을 형성하고 있는 안내파이프; 일단이 상기 안내파이프 일단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안내파이프를 정해진 각도로 고정하여 상기 안내홈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조절부; 상기 안내파이프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강화유리의 테두리를 강타하는 충돌부재; 상기 안내파이프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충돌부재를 상기 강화유리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시키거나 혹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상기 충돌부재를 하강시키는 위치이동장치; 및 상기 안내파이프의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위치이동장치와 일체로 승강 이동되어 측면에 형성된 거리표시창을 통해 상기 위치이동장치와 상기 강화유리 사이의 간격을 표시하는 거리표시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상면에 덮여져 상기 바닥판 상면을 커버하는 충격흡수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고, 양단이 상기 바닥판 양 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사이에 강화유리를 고정하는 고정구; 및 상기 강화유리와 서로 맞닿는 상기 고정구의 일 측면에 부착설치되어 상기 강화유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고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는, 상기 바닥판 일 측면에 상기 고정구 상방으로 노출된 강화유리 테두리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대경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부는, 상기 안내파이프 일단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안내파이프의 회전을 지지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상면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어 측면 테두리를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의 고정홀을 형성하고 있는 각도표시판; 및 바 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각도표시판의 고정홀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안내파이프를 떠 받쳐 지지하는 받침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에 있어서, 상기 거리표시장치는, 상기 승강로드의 말단이 상기 고정지그에 고정된 강화유리에서 이격된 거리를 상기 거리표시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에 있어서, 상기 거리표시장치는, 타 측면에 상기 승강로드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버튼과 상기 승강로드에 자력을 부여하거나 해제하여 상기 충돌부재가 상기 승강로드 말단에 부착되거나 혹은 상기 승강로드 말단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온오프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장치는, 일 측면에 자력을 부여하여 상기 충돌부재가 부착되도록 하거나 혹은 자력을 해제하여 상기 충돌부재가 상기 안내파이프의 안내홈을 따라 하방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온오프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는, 경사조절부로 안내파이프의 경사각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충돌부재의 하강 위치 및 충돌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거리표시창을 통해 충돌부재와 강화유리 사이 간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 간격 확인으로 매 작업시 충돌부재와 강화유리 사이 간격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강화유리 측면부가 순간적으로 하강하는 충돌부재에 강타되어 순간적인 충격 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완성도 향상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이 상승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의 온오프스위치 및 승강버튼을 조작하여 승강로드를 승강 이동시키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의 온오프스위치를 작동시켜 승강로드에 자력에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의 안내파이프를 따라 충돌부재가 하강하여 강화유리 측면을 강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의 안내파이프 각도로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고정지그(100)는 휴대폰 또는 테블릿등의 화면에 부착되어 화면을 커버하는 강화유리(G)를 세로 방향으로 세워 강화유리(G) 테두리가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고정한다.
상기 고정지그(100)는 바닥판(101)과, 상기 바닥판(101) 상면에 덮여져 상기 바닥판(101) 상면을 커버하는 충격흡수판(102)과,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고, 양단이 상기 바닥판(101) 양 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사이에 강화유리(G)를 고정하는 고정구(103) 및 상기 강화유리(G)와 서로 맞닿는 상기 고정구(103)의 일 측면에 부착설치되어 상기 강화유리(G)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고무(104)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01)의 측면에는 한 쌍의 상기 고정구(103) 사이 간격이나 혹은 상기 바닥판(101) 일단에서 상기 고정구(103) 까지의 위치 거리를 확인하는 거리표식이 형성된다.
상기 충격흡수판(102)은 상기 충돌부재(500)가 강화유리(G) 측면을 강타시 상기 고정지그(100)를 통해 상기 바닥판(101)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한다.
상기 충격흡수판(102)은 충격흡수가 가능한 고무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103)는 상기 바닥판(101) 양 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예컨대,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103)는 강화유리(G)의 두께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혹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좁혀진 상태로 체결부재(미부호)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강화유리(G)를 지지한다.
상기 고정구(103)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강화유리(G)의 양측 테두리 및 상단 테두리부분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지그(100)는 상기 바닥판(101) 일 측면에 상기 고정구(103) 상방으로 노출된 강화유리(G) 테두리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대경(105)이 더 설치된다.
상기 확대경(105)은 플렉시블하게 휘어지거나 혹은 절곡되는 연결바(미부호)에 연결되어 상기 강화유리(G)에 근접된다.
상기 확대경(105)은 상기 충돌부재(500)가 강타한 상기 강화유리(G) 측면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볼록렌즈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파이프(200)는 상기 고정지그(100) 측방에 구비되어 일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홈(201)을 형성한다.
상기 안내홈(201)은 상기 충돌부재(500)가 하방으로 하강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파이프(200)는 상기 경사조절부(300)에 힌지결합되어 회전 작동되고, 정해진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조절부(300)의 받침봉(303)에 떠 받쳐져 경사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안내파이프(200) 말단은 상기 고정지그(100) 상부로 노출된 상기 강화유리(G) 측면에 근접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조절부(300)는 일단이 상기 안내파이프(200) 일단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안내파이프(200)를 정해진 각도로 고정하여 상기 안내홈(201)의 경사각을 조절한다.
상기 경사조절부(300)는 상기 안내파이프(200) 일단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회전을 지지하는 받침판(301)과, 상기 받침판(301) 상면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어 측면 테두리를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의 고정홀(302a)을 형성하고 있는 각도표시판(302) 및 바 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각도표시판(302)의 고정홀(302a)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안내파이프(200)를 떠 받쳐 지지하는 받침봉(303)으로 구성된다.
상기 각도표시판(302)의 고정홀(302a)은 5도 간격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 이격 거리는 자유롭게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받침봉(303)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고정홀(302a)에서 이탈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해진 상기 고정홀(302a)에 체결되어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경사각을 조절한다.
거리표시장치(400)는 상기 안내파이프(200) 타단에 설치되고, 하부에 상기 안내홈(201)을 따라 승강 이동되는 승강로드(4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 측면에 상기 승강로드(401)의 위치 거리를 표시하는 거리표시창(402)이 형성된다.
상기 거리표시장치(400)는 상기 승강로드(401)의 말단이 상기 고정지그(100)에 고정된 강화유리(G)에서 이격된 거리를 상기 거리표시창(402)에 표시한다.
상기 거리표시장치(400)는 타 측면에 상기 승강로드(401)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버튼(403)과 상기 승강로드(401)에 자력을 부여하거나 해제하여 상기 충돌부재(500)가 상기 승강로드(401) 말단에 부착되거나 혹은 상기 승강로드(401) 말단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온오프스위치(404)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버튼(403)은 상기 승강로드(401)를 승강 이동시켜 상기 충돌부재(500)가 상기 강화유리(G)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로드(40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승강버튼(403)의 조작에 의해 승강 이동되어 상기 거리표시장치(400) 상방으로 노출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거리표시장치(400) 내부로 말려 들어가거나 혹은 풀어져 승강 이동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거리표시장치(400)의 내부는 마그네틱 베이스(magnetic base)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온오프스위치(404) 조작에 의해 상기 승강로드(401)에 자력을 부여하거나 해제한다.
충돌부재(500)는 상기 승강로드(401)의 말단에 부착되고,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안내홈(201)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강화유리(G)를 강타한다.
상기 충돌부재(500)는 구형상으로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안내홈(201)을 따라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돌부재(500)는 자력에 반응하는 강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돌부재(500)는 상기 거리표시장치(400)의 승강로드(401)에 의해 상기 안내홈(201)을 따라 승강 이동되고, 상기 승강로드(401)에 자력이 해제되면 자유낙하 방식에 의해 정해진 각도 경사진 상기 안내홈(201)을 따라 하방으로 하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고정지그(100)의 바닥판(101)이 평평한 상태의 지면에 놓여지도록 하고, 상기 바닥판(101) 상면에 강화유리(G)가 세워지도록 올려놓은 상태로 한 쌍의 고정구(103)가 상기 강화유리(G) 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강화유리(G) 측면에 밀착된 상기 고정구(103)의 양단을 상기 바닥판(101) 양 측면에 밀착한 상태로, 상기 고정구(103)의 양단을 통해 체결부재(예컨대, 볼트)를 끼워넣어 체결부재 말단이 상기 바닥판(101) 측면에 닿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고정구(103)의 완충고무(104)가 상기 강화유리(G) 측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정해진 압으로 가압하여 상기 강화유리(G)가 상기 고정구(103) 사이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후, 도6을 참조하면, 상기 경사조절부(300)의 각도표시판(302)을 확인하고, 이 중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부분의 고정홀(302a)을 통해 받침봉(303)을 수평방향으로 끼워넣어, 상기 받침봉(303)이 상기 각도표시판(302) 사이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파이프(200)를 회전시켜 상기 안내파이프(200)가 상기 받침봉(303)에 언혀져 받쳐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내파이프(200)가 상기 받침봉(303)에 언혀진 상태로 정해진 각도로 경사져 상기 안내홈(201)의 경사각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 다음, 도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거리표시장치(400)의 온오프스위치(404)를 작동시켜 상기 승강로드(401)에 자력을 부여한 상태로, 상기 승강로드(401) 말단에 상기 충돌부재(500)를 부착함과 동시에 상기 승강버튼(403)을 조작하여 상기 충돌부재(500)가 상기 강화유리(G)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거리표시장치(400)의 거리표시창(402)에는 상기 승강로드(401) 말단이 상기 강화유리(G)에서 이격되는 거리값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거리표시창(402)을 통해 상기 강화유리(G)와 상기 충돌부재(50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충돌부재(500)는 강구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로드(401)에 부여되는 자력에 반응하여 상기 승강로드(401) 말단에 부착된다.
이후, 상기 거리표시장치(400)의 온오프스위치를 재 작동시켜 상기 승강로드(401)에 부여된 자력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승강로드(401) 말단에 부착된 상기 충돌부재(500)가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안내홈(201)을 타고 하방으로 하강하여 상기 고정지그(100)의 고정구(103) 상부로 노출된 상기 강화유리(G) 측면을 강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충돌부재(500)가 상기 강화유리(G)에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은 상기 고정구(103)를 통해 상기 바닥판(101) 상면의 충격흡수판(102)에 흡수됨으로써, 상기 바닥판(101)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그(100)의 확대경(105)을 이동시켜 상기 충돌부재(500)에 강타된 상기 강화유리(G) 측면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강화유리(G) 강도를 책정함으로써, 상기 강화유리(G)의 강도를 시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충돌부재(500)에 강타된 상기 강화유리(G)의 강도를 재 시험하거나 혹은 새로운 강화유리(G)의 강도를 시험하기 위해, 상기 거리표시장치(400)의 온오프스위치(404)를 작동시켜 상기 승강로드(401)에 자력을 부여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승강로드(401) 말단에 상기 충돌부재(500)를 재 부착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거리표시장치(400)의 승강버튼(403)을 조작하여 상기 충돌부재(500)가 상기 강화유리(G)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강화유리(G)의 강도 시험을 반복하는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7을 참조하면, 고정지그(100)는 휴대폰 또는 테블릿등의 화면에 부착되어 화면을 커버하는 강화유리(G)를 세로 방향으로 세워 강화유리(G) 테두리가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고정한다.
상기 고정지그(100)는 바닥판(101)과, 상기 바닥판(101) 상면에 덮여져 상기 바닥판(101) 상면을 커버하는 충격흡수판(102)과,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고, 양단이 상기 바닥판(101) 양 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사이에 강화유리(G)를 고정하는 고정구(103) 및 상기 강화유리(G)와 서로 맞닿는 상기 고정구(103)의 일 측면에 부착설치되어 상기 강화유리(G)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고무(104)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01)의 측면에는 한 쌍의 상기 고정구(103) 사이 간격이나 혹은 상기 바닥판(101) 일단에서 상기 고정구(103) 까지의 거리를 확인하는 거리표식이 형성된다.
상기 충격흡수판(102)은 상기 충돌부재(500)가 상기 강화유리(G) 측면 강타시 상기 고정지그(100)를 통해 상기 바닥판(101)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한다.
상기 충격흡수판(102)은 충격흡수가 가능한 고무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103)는 상기 바닥판(101) 양 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예컨대,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103)는 상기 강화유리(G)의 두께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혹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좁혀진 상태로 체결부재(미부호)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강화유리(G)를 지지한다.
상기 고정구(103)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강화유리(G)의 양측 테두리 및 상단 테두리부분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지그(100)는 상기 바닥판(101) 일 측면에 상기 고정구(103) 상방으로 노출된 강화유리(G) 테두리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대경(105)이 더 설치된다.
상기 확대경(105)은 플렉시블하게 휘어지거나 혹은 절곡되는 연결바(미부호)에 연결되어 상기 강화유리(G)에 근접된다.
상기 확대경(105)은 상기 충돌부재(500)가 강타한 상기 강화유리(G) 측면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볼록렌즈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파이프(200')는 상기 고정지그(100) 측방에 구비되어 일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홈(201')을 형성하고 있고, 타 측면에 가이드레일(202')을 형성한다.
상기 안내홈(201')은 상기 충돌부재(500)가 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파이프(200')는 상기 경사조절부(300)에 힌지결합되어 회전작동되고, 정해진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조절부(300)의 받침봉(303)에 떠 받쳐져 경사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안내파이프(200') 말단은 상기 고정지그(100) 상부로 노출된 상기 강화유리(G) 측면에 근접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레일(202')은 상기 거리표시장치(400')가 상기 안내파이프(200')를 따라 승강 이동되는 것을 안내한다.
경사조절부(300)는 일단이 상기 안내파이프(200') 일단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안내파이프(200')를 정해진 각도로 고정하여 상기 안내홈(201')의 경사각을 조절한다.
상기 경사조절부(300)는 상기 안내파이프(200') 일단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회전을 지지하는 받침판(301)과, 상기 받침판(301) 상면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어 측면 테두리를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의 고정홀(302a)을 형성하고 있는 각도표시판(302) 및 바 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각도표시판(302)의 고정홀(302a)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안내파이프(200')를 떠 받쳐 지지하는 받침봉(303)으로 구성된다.
상기 각도표시판(302)의 고정홀(302a)은 5도 간격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 이격 거리는 자유롭게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받침봉(303)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고정홀(302a)에서 이탈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해진 상기 고정홀(302a)에 체결되어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경사각을 조절한다.
충돌부재(500)는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안내홈(201')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강화유리(G)의 테두리를 강타한다.
상기 충돌부재(500)는 구형상으로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안내홈(201')을 따라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돌부재(500)는 자력에 반응하는 강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돌부재(500)는 상기 위치이동장치(600')에 의해 상기 안내홈(201')을 따라 승강 이동되고, 상기 위치이동장치(600')에 자력이 해제되면 자유낙하 방식에 의해 정해진 각도 경사진 상기 안내홈(201')을 따라 하방으로 하강한다.
위치이동장치(600')는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안내홈(201')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충돌부재(500)를 상기 강화유리(G)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시키거나 혹은 상기 안내홈(201')을 따라 상기 충돌부재(500)를 하강시킨다.
상기 위치이동장치(600')는 일 측면에 자력을 부여하여 상기 충돌부재(500)가 부착되도록 하거나 혹은 자력을 해제하여 상기 충돌부재(500)가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안내홈(201')을 따라 하방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온오프스위치(601')가 형성된다.
상기 위치이동장치(600')의 내부는 마그네틱 베이스(magnetic base)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온오프스위치(601') 조작에 의해 상기 충돌부재가 밀착되는 일 측면에 자력을 부여하거나 해제한다.
상기 위치이동장치(600')는 상기 가이드레일(202')을 따라 승강 이동되는 상기 거리표시장치(400')와 일체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충돌부재(500)를 상기 안내홈(201')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킨다.
거리표시장치(400')는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가이드레일(202')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위치이동장치(600')와 일체로 승강 이동되어 측면에 형성된 거리표시창(402')을 통해 상기 위치이동장치(600')와 상기 강화유리(G) 사이의 간격을 표시한다.
상기 거리표시장치(400')는 상기 가이드레일(202')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안내파이프(200')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이동된다.
상기 거리표시장치(40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202')을 따라 승강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고정지그(100)의 바닥판(101)이 평평한 상태의 지면에 놓여지도록 하고, 상기 바닥판(101) 상면에 강화유리(G)가 세워지도록 올려놓은 상태로 한 쌍의 고정구(103)를 상기 강화유리(G) 측면에 밀착한다.
여기서, 상기 강화유리(G) 측면에 밀착된 상기 고정구(103)의 양단을 상기 바닥판(101) 양 측면에 밀착한 상태로, 상기 고정구(103)의 양단을 통해 체결부재(예컨대, 볼트)를 끼워넣어 체결부재 말단이 상기 바닥판(101) 측면에 닿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고정구(103)의 완충고무(104)가 상기 강화유리(G) 측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정해진 압으로 가압하여 상기 강화유리(G)가 상기 고정구(103) 사이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경사조절부(300)의 각도표시판(302)을 확인하되,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부분의 고정홀(302a)에 받침봉을 수평방향으로 끼워넣어, 상기 받침봉(303)이 상기 각도표시판(302) 사이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파이프(200')를 회전시켜 상기 안내파이프(200')가 상기 받침봉(303)에 언혀져 받쳐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내파이프(200')가 상기 받침봉(303)에 언혀진 상태로 정해진 각도로 경사져 상기 안내홈(201')의 경사각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 다음, 상기 위치이동장치(600')의 온오프스위치(601')를 작동시켜 상기 위치이동장치(600')에 자력을 부여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위치이동장치(600') 일 측면에 상기 충돌부재(500)를 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충돌부재(500)는 강구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로드(401)에 부여되는 자력에 반응하여 상기 승강로드(401) 말단에 부착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거리표시장치(400')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가이드레일(202')을 따라 상기 거리표시장치(400')를 승강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위치이동장치(600')가 상기 거리표시장치(400')와 동일 높이 상으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충돌부재(500)를 상기 안내홈(201')의 정해진 높이상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거리표시장치(400')는 가이드레일(202')을 따라 승강 이동되면서 상기 거리표시창(402')을 통해 상기 위치이동장치(600')와 상기 강화유리(G) 사이의 거리값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여 상기 충돌부재(500)와 상기 강화유리(G)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다.
그 다음, 상기 위치이동장치(600')의 온오프스위치(601')를 재 작동시켜 상기 위치이동장치(600')에 부여된 자력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위치이동장치(600')에 부착된 상기 충돌부재(500)가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안내홈(201')을 타고 하방으로 하강하여 상기 고정지그(100)의 고정구(103) 상부로 노출된 상기 강화유리(G) 측면을 강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충돌부재(500)가 상기 강화유리(G)에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은 상기 고정구(103)를 통해 상기 바닥판(101) 상면의 충격흡수판(102)에 흡수됨으로써, 상기 바닥판(101)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지그(100)의 확대경(105)을 이동시켜 상기 충돌부재(500)에 강타된 상기 강화유리(G) 측면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상기 강화유리(G)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이후, 상기 충돌부재(500)에 강타된 상기 강화유리(G)의 강도를 재 시험하거나 혹은 새로운 강화유리(G)의 강도를 시험하기 위해, 상기 위치이동장치(600')의 온오프스위치(601')를 작동시켜 상기 위치이동장치(601')에 자력을 부여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위치이동장치(600') 일 측면에 상기 충돌부재(500)를 재 부착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거리표시장치(400')를 승강 이동시켜 상기 충돌부재(500)가 상기 강화유리(G)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강화유리(G)의 강도 시험을 반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경사각이 조절된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안내홈(201)을 따라 충돌부재(500)를 하강시켜, 이 충돌부재(500)로 강화유리(G)의 측면을 강타하는 구조는, 경사조절부(300)로 안내파이프(200)의 경사각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충돌부재(500)의 하강 위치 및 충돌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거리표시창(402)을 통해 충돌부재(500)와 강화유리(G) 사이 간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 간격 확인으로 매 작업시 충돌부재(500)와 강화유리(G) 사이 간격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강화유리(G) 측면부가 순간적으로 하강하는 충돌부재(500)에 강타되어 순간적인 충격 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고정지그 101 : 바닥판
102 : 충격흡수판 103 : 고정구
104 : 완충고무 105 : 확대경
200, 200' : 안내파이프 201, 201' : 안내홈
202' : 가이드레일 300 : 경사조절부
301 : 받침판 302 : 각도표시판
302a : 고정홀 303 : 받침봉
400, 400' : 거리표시장치 401 : 승강로드
402, 402' : 거리표시창 403 : 승강버튼
404 : 온오프스위치 500 : 충돌부재
600' : 위치이동장치 601' : 온오프스위치
G : 강화유리

Claims (8)

  1. 휴대폰 또는 테블릿등의 화면에 부착되어 화면을 커버하는 강화유리(G)를 세로방향으로 세워 강화유리(G) 테두리가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고정하는 고정지그(100)와;
    상기 고정지그(100) 측방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지그에 고정된 상기 강화유리(G) 상단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돌출 형성된 지지프레임에 안착되고, 일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홈(201)을 형성하고 있는 안내파이프(200);
    일단이 상기 안내파이프(200) 일단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안내파이프(200)를 정해진 각도로 고정하여 상기 안내홈(201)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조절부(300);
    상기 안내파이프(200) 타단에 설치되고, 하부에 상기 안내홈(201)을 따라 승강 이동되는 승강로드(4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 측면에 상기 승강로드(401)의 위치 거리를 표시하는 거리표시창(402)이 형성되어 있는 거리표시장치(400);
    상기 승강로드(401)의 말단에 설치되고,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안내홈(201)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강화유리(G)를 강타하는 충돌부재(500);
    로 구성되는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100)는,
    바닥판(101)과;
    상기 바닥판(101) 상면에 덮여져 상기 바닥판(101) 상면을 커버하는 충격흡수판(102);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고, 양단이 상기 바닥판(101) 양 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사이에 강화유리(G)를 고정하는 고정구(103); 및
    상기 강화유리(G)와 서로 맞닿는 상기 고정구(103)의 일 측면에 부착설치되어 상기 강화유리(G)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고무(104);
    상기 바닥판(101) 일 측면에 상기 고정구(103) 상방으로 노출된 강화유리(G) 테두리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대경(105);
    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리표시장치(400)는,
    상기 승강로드(401)의 말단이 상기 고정지그(100)에 고정된 강화유리(G)에서 이격된 거리를 상기 거리표시창(402)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
  2. 휴대폰 또는 테블릿등의 화면에 부착되어 화면을 커버하는 강화유리(G)를 세로방향으로 세워 강화유리(G) 테두리가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고정하는 고정지그(100)와;
    상기 고정지그(100) 측방에 구비되고, 상기 강화유리(G) 상단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돌출 형성된 지지프레임에 안착되며, 일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홈(201')을 형성하고 있고, 타 측면에 가이드레일(202')을 형성하고 있는 안내파이프(200');
    일단이 상기 안내파이프(200') 일단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안내파이프(200')를 정해진 각도로 고정하여 상기 안내홈(201')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조절부(300);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안내홈(201')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강화유리(G)의 테두리를 강타하는 충돌부재(500);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안내홈(201')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충돌부재(500)를 상기 강화유리(G)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시키거나 혹은 상기 안내홈(201')을 따라 상기 충돌부재(500)를 하강시키는 위치이동장치(600');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가이드레일(202')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위치이동장치(600')와 일체로 승강 이동되어 측면에 형성된 거리표시창(402')을 통해 상기 위치이동장치(600')와 상기 강화유리(G) 사이의 간격을 표시하는 거리표시장치(400');
    로 구성되는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100)는,
    바닥판(101)과;
    상기 바닥판(101) 상면에 덮여져 상기 바닥판(101) 상면을 커버하는 충격흡수판(102);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고, 양단이 상기 바닥판(101) 양 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사이에 강화유리(G)를 고정하는 고정구(103);
    상기 강화유리(G)와 서로 맞닿는 상기 고정구(103)의 일 측면에 부착설치되어 상기 강화유리(G)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고무(104); 및
    상기 바닥판(101) 일 측면에 상기 고정구(103) 상방으로 노출된 강화유리(G) 테두리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대경(105);
    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리표시장치(400')는,
    상기 위치이동장치(600')가 상기 고정지그(100)에 고정된 강화유리(G)에서 이격된 거리를 상기 거리표시창(402')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표시장치(400)는,
    타 측면에 상기 승강로드(401)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버튼(403)과 상기 승강로드(401)에 자력을 부여하거나 해제하여 상기 충돌부재(500)가 상기 승강로드(401) 말단에 부착되거나 혹은 상기 승강로드(401) 말단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온오프스위치(40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장치(600')는,
    일 측면에 자력을 부여하여 상기 충돌부재(500)가 부착되도록 하거나 혹은 자력을 해제하여 상기 충돌부재(500)가 상기 안내파이프(200')의 안내홈(201')을 따라 하방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온오프스위치(60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및 테블릿용 커버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
KR1020140071830A 2014-05-21 2014-06-13 휴대폰 및 테블릿 화면 커버용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 KR101767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0861 2014-05-21
KR1020140060861 2014-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027A KR20150135027A (ko) 2015-12-02
KR101767531B1 true KR101767531B1 (ko) 2017-08-16

Family

ID=54883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830A KR101767531B1 (ko) 2014-05-21 2014-06-13 휴대폰 및 테블릿 화면 커버용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5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8133B (zh) * 2016-06-28 2019-04-16 芜湖鸣人热能设备有限公司 锅炉用钢板表面冲击测试装置
CN107677559A (zh) * 2017-11-27 2018-02-09 平顶山市美伊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测试锅盖玻璃强度的检测装置
CN109580408A (zh) * 2018-11-29 2019-04-05 武汉武耀安全玻璃股份有限公司 一种喷砂试验工艺及装置
CN110646157B (zh) * 2019-09-29 2021-08-13 中国直升机设计研究所 一种滑动窗限位冲击试验装置
CN110658059B (zh) * 2019-11-05 2022-08-19 郑州大学 一种冲击位置稳定的落锤式多角度冲击夹具
CN112014229B (zh) * 2020-09-07 2023-07-21 安徽艺云玻璃有限公司 一种钢化玻璃强度检测设备及其使用方法
CN113188926B (zh) * 2021-03-26 2022-11-22 深圳市磐锋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曲面屏手机侧边抗摔测试设备及其测试方法
CN113188928B (zh) * 2021-04-26 2023-06-16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固井水泥冲击力学性能测试仪及测试装置
CN113514357B (zh) * 2021-07-23 2024-04-16 山东沂新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撞击对比测试装置
CN115709960A (zh) * 2022-11-25 2023-02-24 国网天津市电力公司 一种电力工程施工用的电动机提升装置
CN116678765B (zh) * 2023-07-21 2024-03-15 江苏上玻玻璃有限公司 一种钢化玻璃生产用耐冲击试验装置
CN116818253B (zh) * 2023-08-24 2023-11-21 山东合众智远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计算机结构部件的冲击测试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5350A (ja) * 2008-10-02 2010-04-15 Naigai Kagaku Seihin Kk 摩擦抵抗測定キットおよび摩擦抵抗測定方法
KR200452509Y1 (ko) 2010-09-17 2011-03-03 대경테크 주식회사 유리 충격 시험장치
JP2011112587A (ja) * 2009-11-30 2011-06-09 Howa Mach Ltd ガラス強度試験装置
KR101240313B1 (ko) * 2012-10-22 2013-03-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시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5350A (ja) * 2008-10-02 2010-04-15 Naigai Kagaku Seihin Kk 摩擦抵抗測定キットおよび摩擦抵抗測定方法
JP2011112587A (ja) * 2009-11-30 2011-06-09 Howa Mach Ltd ガラス強度試験装置
KR200452509Y1 (ko) 2010-09-17 2011-03-03 대경테크 주식회사 유리 충격 시험장치
KR101240313B1 (ko) * 2012-10-22 2013-03-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시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027A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531B1 (ko) 휴대폰 및 테블릿 화면 커버용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
KR101161445B1 (ko) 충격 시험 장치 및 충격 시험 방법
CN106604884B (zh) 树脂制缓冲器的检查方法和检查装置
US10962457B2 (en) Apparatus and methods to impact test materials
KR101850877B1 (ko) 낙하 충격 시험장치
CN107807054B (zh) 多功能抗冲击性能测试装置
KR101121885B1 (ko) 굽힘 강도 시험용 가압 기구
KR101866633B1 (ko) 유리 충격 시험 장치
CN106644766A (zh) 测试盘形悬式绝缘子头部剪切耐受强度的装置及方法
CN110702538A (zh) 一种盖板玻璃动态瞬时冲击形变的测试装置及方法
CN113324856A (zh) 混凝土材料冲击韧性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05290783A (zh) 应用蜗轮转台螺纹锁销气缸锤检测玻璃组装方法
KR101954975B1 (ko) 전지셀의 안전성 시험장치
KR100654562B1 (ko) 쇽업소버의 충격시험기
KR200452509Y1 (ko) 유리 충격 시험장치
CN113607368A (zh) 落球测试装置及测试方法
JP4598153B1 (ja) ガラスびんのウォータハンマ強度試験装置
KR101519948B1 (ko) 용접 비파괴 시험 장치 및 방법
CN208206702U (zh) 一种落球冲击试验机
KR102433300B1 (ko) 보강 조적시편 전단 부착강도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험방법
CN215581064U (zh) 一种光伏组件机械载荷测试装置
CN105241765A (zh) 蜗轮转台铬合金冲击锤圆轨压板玻璃试验器具
KR20150074983A (ko)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
JP2006184133A (ja) 落下試験機および落下試験方法
KR101942555B1 (ko) 평면 방향 파이로 충격 시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