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983A -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983A
KR20150074983A KR1020130163258A KR20130163258A KR20150074983A KR 20150074983 A KR20150074983 A KR 20150074983A KR 1020130163258 A KR1020130163258 A KR 1020130163258A KR 20130163258 A KR20130163258 A KR 20130163258A KR 20150074983 A KR20150074983 A KR 20150074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impact
plate material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강환
서민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63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4983A/ko
Publication of KR20150074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1Impuls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 G01N2203/0441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with dampers or shock absorb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 G01N2203/0641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using optical, X-ray, ultraviolet, infrared or similar detectors
    • G01N2203/0647Image analysi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는, 추가 회동하여 판재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수단; 및 상기 판재에서 상기 추에 의해 가격되는 가격부위의 둘레를 고정하면서, 상기 판재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정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판재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수단과 함께 판재를 지지고정하는 고정지지수단이 구성됨으로써, 바 형태의 소재만 충격시험할 수 있는 종래의 충격시험기와는 다르게 판상형의 소재인 판재에 대한 충격시험을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구형의 추에 의해 판재의 이방성과는 무관하게 판재의 전방향에 대한 충돌특성을 한번에 평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Apparatus for evaluating impact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본 발명은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로서, 판상형의 소재인 판재에 대한 충격시험을 할 수 있는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재의 충격 물성 평가를 위해 여러 종류의 시험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장치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나는 낙하형 충격 시험기이고, 다른 하나는 진자형 충격시험기이다.
이들은 모두 중력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하여 소재에 충격을 가하는 원리에 바탕을 두고 있다. 충격 후 소재의 변형이나 파단 에너지를 계산하여 재료가 갖는 충격흡수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원리이다.
이들 중 대표적인 시험장치는 샤피(Charpy) 충격시험기인데 진자형의 충격 해머장치로 노치 가공된 시편을 타격하여 재료의 충격흡수 에너지를 구하는 장치이다. 아이죠드(Izod) 충격시험기도 이와 비슷한 원리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외에도 수많은 형태의 충격시험기들이 있지만 대부분은 특정 부품이나 구조물의 충격 시험에 사용되며, 소재의 충격물성을 평가하는 시험장치로는 주로 샤피 충격시험기나 아이죠드 시험기가 이용된다.
상기와 같이 소재의 충격물성 평가를 위한 여러 가지 장치들이 있지만 시편의 형태와 두께에 제한이 있어서, 판상형 소재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샤피 충격시험기의 경우 시편의 형태가 규격화 되어 있는데 그 중 가장 작은 사이즈가 10mm x 2.5mm(두께) x 55mm로서 2.5mm이하의 얇은 판상형 소재는 시편 규격을 벗어나므로 적합하지가 않다.
또한 샤피충격시험의 경우 시편에 노치가공을 하는데 이는 재료 고유의 파단 특성뿐만 아니라 노치효과도 함께 작용하게 되어 순수한 재료 충격흡수능의 측정과는 약간의 거리가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판상형 소재는 재료방향에 따라 물성이 조금씩 다른 성질이 있는데 이를 이방성(anisotropy)이라고 하는데,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판재의 이방성을 설명하기 위해 판재의 방향성 및 방향별 시편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압연된 판재(판상형 소재)(1)는 방향성을 지니는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방향을 Rolling direction이라 하면서 0도 방향으로 지칭하며, 압연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Transverse direction이라 하면서 90도 방향으로 지칭한다. 이때, 판재(1)의 물성은 RD방향과 TD방향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그 사이의 방향인 30도, 45도, 60도 등도 방향별로 물성 차이가 있는데 이를 일컬어 판재(1)의 이방성이라고 한다.
샤피 충격시험기의 경우 시편은 일정한 형태가 정해져 있다. 그런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방향으로 시편을 준비할 때와 B, C방향으로 시편을 준비할 때, 충격시험을 실시하면 결과차이가 발생한다. 이것은 판재(1)가 방향별로 다른 물성, 즉 이방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판재(1)의 크랙이 발생하는 시점도 방향별로 모두 차이가 있는데 이를 파악하려면 방향별로 시편을 모두 가공하여 시험을 실시해야 한다. 참고로, 그 중 가장 빨리 크랙이 발생하는 방향의 파단 값을 판재(1)의 파단 기준치로 설정하여야 하는데, 왜냐하면 판재(1)는 그 방향이 가장 취약하며 따라서 그 방향으로 파단이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이방성 소재의 충격물성 평가에 있어서는 특정 시험장치의 시편이 규격화되거나 형태가 정해져 있을 경우 방향별 물성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각 방향별로 시편을 제작하여 각각의 방향에 대해 평가하여야 하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바 형태의 소재만 충격시험할 수 있는 종래의 충격시험기와는 다르게 판상형의 소재인 판재에 대한 충격시험을 할 수 있는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는, 추가 회동하여 판재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수단; 및 상기 판재에서 상기 추에 의해 가격되는 가격부위의 둘레를 고정하면서, 상기 판재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정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지지수단은, 상기 판재의 일면을 지지하며, 상기 판재의 가격부위가 노출되도록 제1 홀이 형성된 제1 지지판; 및 상기 판재의 타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 지지판과 함께 상기 판재를 고정하도록 상기 판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체결되며, 상기 판재의 가격부위의 반대 측 부위가 노출되도록 제2 홀이 형성된 제2 지지판;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고무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지수단은,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 중 바닥에 고정된 하나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면에 가이드라인이 형성된 받침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 중 나머지 하나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라인에 체결되어 이동되는 이동체결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수단은,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 중 나머지 하나의 하부에 형성된 조임홀을 통과하면서 헤드가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 중 나머지 하나의 하부를 압박하고, 상기 조임홀을 통과한 단부가 상기 받침대를 압박하여, 상기 받침대에 대해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 중 나머지 하나를 위치고정시키는 조임나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지지수단은,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 중 하나에서 상기 받침대의 반대 측 일면에 설치되면서 하방확장된 형상을 취하며, 하부가 상기 바닥에 고정된 지지보강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추는 구형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격수단은, 고정된 지지기둥;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에 매달려 회동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일정 높이에서 낙하회동하면서 상기 판재를 가격하는 상기 추;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판재에 표시된 선 또는 점들을 읽어서 연신율을 측정하도록, 상기 고정지지수단을 기준으로 상기 충격수단의 반대 측에 배치된 광학신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는, 판재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수단과 함께 판재를 지지고정하는 고정지지수단이 구성됨으로써, 바 형태의 소재만 충격시험할 수 있는 종래의 충격시험기와는 다르게 판상형의 소재인 판재에 대한 충격시험을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구형의 추와 홀이 갖고 있는 축대칭성을 이용하여 이방성을 지닌 판재의 전방향 충돌특성을 한번에 평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판재의 이방성을 설명하기 위해 판재의 방향성 및 방향별 시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에 의해 판재의 충격물성을 평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에서 고정지지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에서 충격수단의 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에 의해 판재에 굽힘 및 파단이 발생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에서 고정지지수단을 기준으로 충격수단의 반대 측에 광학신율계가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는, 바 형태의 소재만 충격시험할 수 있는 종래의 충격시험기와는 다르게 판상형의 소재인 판재에 대한 충격시험을 할 수 있도록, 판재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수단과 함께 판재를 지지고정하는 고정지지수단이 구성되며, 판재의 이방성에 구애받지 않고 판재의 전방향에 대한 충돌특성을 한번에 평가할 수 있도록 구형의 추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은 두께가 2.5mm 이하의 판재에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에 의해 판재의 충격물성을 시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에서 고정지지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판재(1)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수단(10)과, 상기 판재(1)를 고정지지하는 고정지지수단(2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충격수단(10)은 고정된 지지기둥(11), 상기 지지기둥(11)의 상부에 매달려 회동되는 와이어(12), 및 상기 와이어(12)의 하단부에 연결된 추(1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기둥(11)은 바닥(2)에 안착되어 위치고정되는 바닥판(11a), 상기 바닥판(11a)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바(11b), 및 상기 수직바(11b)로부터 측 방향인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바(11c)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12)는 지지기둥(11)의 수평바(11c)의 적정 지점에 상단부가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추(13)가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추(13)는 와이어(12)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일정 높이에서 낙하회동하면서 판재(1)를 가격함으로써 판재(1)에 충격을 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지수단(20)은 판재(1)에서 추(13)에 의해 가격되는 가격부위의 둘레를 고정하면서 판재(1)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지지수단(20)은 판재(1)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판(21), 판재(1)의 타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판(2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지지판(21)은 판재(1)의 일면을 지지하면서도 추(13)가 회동하여 판재(1)를 가격할 수 있도록 판재(1)의 가격부위가 노출되도록 제1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판(22)은 판재(1)의 타면을 지지하면서 제1 지지판(21)과 함께 판재(1)를 고정하도록 판재(1)를 사이에 두고 제1 지지부와 체결된다. 이때 체결을 위한 부재는 도면에 도시된 볼트와 같이 종래의 체결부재도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지판(22)은 추(13)가 회동하여 판재(1)의 가격부위를 가격 시 판재(1)의 가격부위가 들어가거나 파단될 수 있도록 판재(1)의 가격부위의 반대 측 부위가 노출되도록 제2 홀(2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지지판(21)과 제2 지지판(22)은 판재(1)의 일면과 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데, 시험소재인 판재(1)를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적정 크기를 가지며 바람직한 일례로서 판재(1)보다 일정 정도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지지판(21)과 제2 지지판(2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고무패드(23)가 부착됨으로써, 사이에서 압박되는 판재(1)에 대한 마찰력을 높임에 따라 판재(1)를 보다 더 견고하게 고정지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무패드(23)에는 제1 홀과 제2 홀(22a)이 통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지수단(20)은 제1 지지판(21)과 제2 지지판(22) 중 하나의 하부에 장착된 받침대(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지지판(21)과 제2 지지판(22) 중 하나는 바닥(2)에 설치고정되는데, 이와 같이 바닥(2)에 고정된 하나의 하부에 상기 받침대(24)가 설치되며, 이러한 받침대(24)는 나머지 하나를 상방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24)는 상면에 가이드라인(24a)이 형성되고, 제1 지지판(21)과 제2 지지판(22) 중 나머지 하나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라인(24a)에 체결되어 이동되는 이동체결라인(29)이 형성될 수 있다.
아래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판(21)이 바닥(2)에 고정되고 제2 지지판(22)이 받침대(24)에 의해 받쳐지는 경우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즉, 이러한 경우에 제1 지지판(21)과 제2 지지판(22) 중 하나는 제1 지지판(21)이고 제1 지지판(21)과 제2 지지판(22) 중 나머지 하나는 제2 지지판(22)이다.
이때, 상기 이동체결라인(29)은 제2 지지판(22)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판(22)은 받침대(24)의 가이드라인(24a)을 따라 받침대(24)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가이드라인(24a)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동체결라인(29)은 가이드홈에 삽입체결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레일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지지수단(20)은 제1 지지판(21)과 제2 지지판(22) 중 나머지 하나에 장착된 조임나사(25)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판(22)에 상기 조임나사(25)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임나사(25)는 제2 지지판(22)의 하부에 형성된 조임홀을 통과하면서 헤드가 제2 지지판(22)의 하부를 압박하고, 상기 조임홀을 통과한 단부가 받침대(24)를 압박하여 받침대(24)에 대해 제2 지지판(22)을 위치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받침대(24)에 대한 제2 지지판(22)의 고정을 위한 부재는 상기 조임나사(25)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볼트와 너트 등 종래의 어떠한 클램프도 활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지지판(22)은 제1 지지판(21)에 대해 가까워졌다 멀어졌다가 가능한 구조를 취하고 이동이 된 뒤에는 위치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판재(1)의 두께에 대응되게 이격거리를 조절함에 따라, 판재(1)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며, 충격시험을 하는 일정두께 범위 내의 판재(1)를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지수단(20)은 제1 지지판(21)과 제2 지지판(22) 중 하나에 설치된 지지보강대(26)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판(21)에 상기 지지보강대(26)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보강대(26)는 제1 지지판(21)에서 받침대(24)의 반대 측 일면에 설치되면서 하방확장된 형상을 취하며, 하부가 바닥(2)에 고정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보강대(26)는 충격수단(10)의 추(13)가 판재(1)를 가격 시 이러한 충격에 의해 제1 지지판(21)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제1 지지판(21)도 바닥(2)에 고정됨으로써 일정 정도의 충격에는 움직이지 않지만 이를 더욱더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제1 지지판(21)에 설치되되 하방확장되는 형상을 취하면서 바닥(2)에 고정됨으로써 소재에 대한 제1 지지판(21)의 지지고정력을 보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충격수단(10)에 추(13)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2의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에서 충격수단의 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충격수단(10)의 추(13)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형의 추(13)를 사용할 경우 판재(1)의 모든 방향에 대해 대칭성을 가지기 때문에 방향에 따른 편향성이 없다. 이는 한번에 판재(1)의 전방향에 대해 동일한 조건으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판재(1)는 이방성을 지니며, 물성이 가장 약한 방향이 존재한다. 외력에 의한 판재(1)의 파단은 가장 취약한 곳에서 먼저 발생하기 때문에 파단은 가장 취약한 곳의 물성이 기준이 되어야 한다.
구형 추(13)를 통한 충돌시험은, 대칭성으로 인하여 판재(1)의 가장 취약한 방향 및 그 방향에 따른 판재(1)의 충돌특성을 한번에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판(21)과 제2 지지판(22)의 제1 홀, 제2 홀(22a)은 판재(1)의 충돌변형을 볼 수 있도록 적정 크기로 형성되며, 일례로서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추는 구형이 바람직하지만 모서리를 가진 각형추도 활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육면체 형태의 각형추(13')가 활용되는 경우에는 구형 추(13)가 가지고 있던 축대칭성이 사라지며, 이에 따라 판재(1) 방향에 따른 충돌특성 편차를 구할 수 있다.
참고로, 충돌시험은 판재(1)에 파단이 발생하는 시점 확인을 위해 진행되는데, 추(13)의 높이를 바꾸어 가며 진행하면서 판재(1)에 파단이 발생하는 시점에서의 추(13)의 최고, 최저 높이 차를 기록한다. 이를 통해 충돌 시 에너지와 추(13)가 판재(1)에 부딪히는 순간 추(13)의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5에 적힌 숫자는 추(13)의 높이(mm)를 지칭하고, O는 판재(1)가 파단되지 않은 양호한 상태, X는 판재(1)가 파단되어 손상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은 판재(1)에 충격이 가해짐으로써 발생하는 판재(1)의 변형률을 측정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신율계(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에서 고정지지수단을 기준으로 충격수단의 반대 측에 광학신율계가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광학신율계(30)는 고정지지수단(20)을 기준으로 충격수단(10)의 반대 측에 배치되어 판재(1)에 표시된 선 또는 점들을 읽어서 연신율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판재(1)는 광학신율계(30) 활용을 위해 충격시험 전에 레이저로 표면에 그리드(격자 형상) 마킹선을 새기거나 스프레이로 입자를 분사하여 표면에 입자를 부착시킨다.
그런 다음 충격시험 한 후, 상기 광학신율계(30)가 그리드 마킹선의 변형 또는 부착된 입자의 한점, 한점을 읽음으로써 판재(1)의 변형 전과 후를 비교하여 파단이 발생하는 부위의 국소적인 연신율을 측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판재(1)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수단(10)과 함께 판재(1)를 지지고정하는 고정지지수단(20)이 구성됨으로써, 바 형태의 소재만 충격시험할 수 있는 종래의 충격시험기와는 다르게 판상형의 소재인 판재(1)에 대한 충격시험을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구형의 추(13)에 의해 판재(1)의 이방성에 구애받지 않고 판재(1)의 전방향에 대한 충돌특성을 한번에 평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판재 2 : 바닥
10: 충격수단 11 : 지지기둥
11a : 바닥판 11b : 수직바
11c : 수평바 12 : 와이어
13 : 추 13' : 각형추
20 : 고정지지수단 21 : 제1 지지판
22 : 제2 지지판 22a : 제2 홀
23 : 고무패드 24 : 받침대
24a : 가이드라인 25 : 조임나사
26 : 지지보강대 29 : 이동체결라인
30 : 광학신율계

Claims (9)

  1. 추(13)가 회동하여 판재(1)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수단(10); 및
    상기 판재(1)에서 상기 추(13)에 의해 가격되는 가격부위의 둘레를 고정하면서, 상기 판재(1)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정지지수단(20);
    을 포함하는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수단(20)은,
    상기 판재(1)의 일면을 지지하며, 상기 판재(1)의 가격부위가 노출되도록 제1 홀이 형성된 제1 지지판(21); 및
    상기 판재(1)의 타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 지지판(21)과 함께 상기 판재(1)를 고정하도록 상기 판재(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체결되며, 상기 판재(1)의 가격부위의 반대 측 부위가 노출되도록 제2 홀(22a)이 형성된 제2 지지판(22);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21)과 제2 지지판(2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고무패드(23)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충격물성 평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수단(20)은,
    상기 제1 지지판(21)과 제2 지지판(22) 중 바닥(2)에 고정된 하나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면에 가이드라인(24a)이 형성된 받침대(24);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판(21)과 제2 지지판(22) 중 나머지 하나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라인(24a)에 체결되어 이동되는 이동체결라인(2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수단(20)은,
    상기 제1 지지판(21)과 제2 지지판(22) 중 나머지 하나의 하부에 형성된 조임홀을 통과하면서 헤드가 상기 제1 지지판(21)과 제2 지지판(22) 중 나머지 하나의 하부를 압박하고, 상기 조임홀을 통과한 단부가 상기 받침대(24)를 압박하여, 상기 받침대(24)에 대해 상기 제1 지지판(21)과 제2 지지판(22) 중 나머지 하나를 위치고정시키는 조임나사(25);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수단(20)은,
    상기 제1 지지판(21)과 제2 지지판(22) 중 하나에서 상기 받침대(24)의 반대 측 일면에 설치되면서 하방확장된 형상을 취하며, 하부가 상기 바닥(2)에 고정된 지지보강대(26);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13)는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수단(10)은,
    고정된 지지기둥(11);
    상기 지지기둥(11)의 상부에 매달려 회동되는 와이어(12); 및
    상기 와이어(12)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일정 높이에서 낙하회동하면서 상기 판재(1)를 가격하는 상기 추(13);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1)에 표시된 선 또는 점들을 읽어서 연신율을 측정하도록, 상기 고정지지수단(20)을 기준으로 상기 충격수단(10)의 반대 측에 배치된 광학신율계(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
KR1020130163258A 2013-12-24 2013-12-24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 KR20150074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258A KR20150074983A (ko) 2013-12-24 2013-12-24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258A KR20150074983A (ko) 2013-12-24 2013-12-24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983A true KR20150074983A (ko) 2015-07-02

Family

ID=5378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258A KR20150074983A (ko) 2013-12-24 2013-12-24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49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4411A (zh) * 2017-06-26 2017-09-08 歌尔股份有限公司 撞击装置
KR101879060B1 (ko) * 2016-11-25 2018-07-17 주식회사 포스코 강성시험용 소재거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060B1 (ko) * 2016-11-25 2018-07-17 주식회사 포스코 강성시험용 소재거치장치
CN107144411A (zh) * 2017-06-26 2017-09-08 歌尔股份有限公司 撞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40275B (zh) 一种落锤冲击试验用板材夹具平台及冲击速度测量方法
EP2887048B1 (en) Pendulum device for low-energy impact testing
CN103454061A (zh) 一种制造金属薄板规定尺寸冲击凹坑的试验系统及测试方法
JP5736822B2 (ja) 伸び測定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5004622A (zh) 一种大型防护玻璃的冲击测试装置
CN104535288A (zh) 一种测试斜风作用下桥梁气动力参数的风洞试验设备
US9310282B2 (en) Impact testing device
CN104913866A (zh) 辅助射线衍射法测量薄板残余应力的方法、装置和应用
CN105259055A (zh) 钢化玻璃膜冲击测试装置
KR20150074983A (ko) 판재의 충격물성 시험장치
CN115326604A (zh) 一种摆锤式混凝土冲击试验装置及试验方法
CN108489819A (zh) 用于玻璃幕墙的结构胶的检测装置及评估方法
KR20160000248A (ko) 낙하추 및 이를 이용한 시험체의 이방향 내충격 시험장치
KR101942555B1 (ko) 평면 방향 파이로 충격 시험기
KR20170079025A (ko) 모형 프리스트레스 구조물 시험 장치
CN205246048U (zh) 玻璃基板边部检测用夹具和粗糙度的检测装置
KR20170079036A (ko) 모형 프리스트레스 구조물 시험 방법
KR102194258B1 (ko) 다기능 검사용 망치
CN113324858B (zh) 动态应力应变测试系统
KR101729285B1 (ko) 선박의 장비 받침대용 구조물 동강성 계측 및 분석 시스템
CN112179790B (zh) 一种材料防护性能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203490144U (zh) 材料硬度对比装置
CN113092239A (zh) 一种快速精确调节对齐霍普金森压杆装置
KR20160128208A (ko) 당구큐 팁에서의 타격충격성능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CN214251454U (zh) 一种支撑钳口及其应用支撑钳口的管材简支梁冲击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