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313B1 - 충격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시험 방법 - Google Patents

충격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시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313B1
KR101240313B1 KR1020120117552A KR20120117552A KR101240313B1 KR 101240313 B1 KR101240313 B1 KR 101240313B1 KR 1020120117552 A KR1020120117552 A KR 1020120117552A KR 20120117552 A KR20120117552 A KR 20120117552A KR 101240313 B1 KR101240313 B1 KR 101240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guide rail
electromagnet
impact test
col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명
이창훈
정재영
이치승
박광준
강기엽
김정현
김슬기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17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4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01N3/317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generated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1Impul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등의 피시험체에 다양한 물체를 원하는 조건으로 충돌시킴으로써 다양한 충격 유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충격시 발생하는 데이터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충격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시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시험 장치는, 피시험체가 탑재되는 마운트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마운트부에서부터 일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피시험체에 충돌할 충돌체가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지그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지그를 가이드레일의 상단부에서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격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시험 방법{Collision Test Machine and Method for Collision Tes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충격 시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과 같은 물체가 외부의 다른 물체와 충돌할 때 발생하는 반력이나 변형 등을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충격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시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상에서의 선박 충돌 사고는 그 손상범위가 작다 하더라도 곧 막대한 재산상의 피해 및 인명피해로 발전할 수가 있다. 악천후 속에서 선박과 선박의 충돌 사고, 북극해에서 빙산과의 충돌사고 또는 좌초 사고 등 해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충돌사고의 형태는 다양하다. 이러한 충돌사고가 일어나게 되면 선체 표면에 변형 또는 크랙이 생기게 되고 심하면 철판이 찢어지게 되면서 그 사이로 물이 들어와 잠기게 된다.
영화 '타이타닉'호의 사고도 빙산과의 충돌사고로 인해 발생하여 수천명의 인명피해를 내게 되었다. 현재는 북극항로의 개척이 본격화되면서 빙산과의 충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과 관련된 연구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연근해에서는 아직도 크고, 작은 선박의 충돌사고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그 피해가 크고 작음을 떠나 해상 위에서의 충돌사고는 곧 선원의 목숨과 직결되는 사고이므로 이에 대한 충분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연구개발을 위해 선박에 대한 충돌 시험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데, 현재까지는 선박의 충돌 시험에 적합한 시험장치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선박 충돌시 발생하는 현상에 대한 연구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 등의 피시험체에 다양한 물체를 원하는 조건으로 충돌시킴으로써 다양한 충격 유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충격시 발생하는 데이터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충격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시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시험체가 탑재되는 마운트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마운트부에서부터 일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피시험체에 충돌할 충돌체가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지그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지그를 가이드레일의 상단부에서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충격 시험 장치를 이용하는 충격 시험 방법으로서, (a) 피시험체를 마운트부에 장착하는 단계와; (b) 충돌체를 지그에 고정되게 장착하는 단계와; (c) 상기 지그를 전자석으로 고정하여 가이드레일의 상단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자석에 의한 지그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와; (e) 지그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낙하시켜 충돌체를 피시험체와 충돌시키는 단계와; (f) 충돌체와 피시험체의 충돌시 발생하는 반력 또는 변형률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시험 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충돌체를 지그에 고정하고, 원하는 속도로 낙하시켜 선체 모형 등의 피시험체에 충돌시킴으로써 다양한 선박 충돌 사고 유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충돌 사고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1회의 충격 시험 후 충돌체-지그 결합체를 바로 회수하여 충격 시험을 연속적으로 속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충격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시험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충격 시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충격 시험 장치의 마운트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충격 시험 장치의 마운트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충격 시험 장치의 가이드레일 부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충격 시험 장치의 레일지지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충격 시험 장치의 지그대기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충격 시험 장치의 가속유닛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충격 시험 장치의 지그 및 충돌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시험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시험 장치는 피시험체(1)가 탑재되는 마운트부(20)를 구비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마운트부(20)에서부터 일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 가이드레일(30)과, 상기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시험체(1)에 충돌할 충돌체(2)가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지그(40)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지그(40)를 가이드레일(30)의 상단부에서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전자석(50)과,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석(50)을 가이드레일(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자석이동유닛 및, 가이드레일(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그(40)를 밀어서 가속시키는 가속유닛(7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상단부에는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이동하는 충돌체(2) 또는 지그(40)와 접촉하여 상기 전자석(50)으로 인가되는 전기에너지를 차단하여 전자석(50)에 의한 지그(4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전자석 해제버튼(81)과, 상기 가속유닛(70)을 동작시키는 가속작동버튼(82)이 설치된다.
상기 마운트부(20)는 피시험체(1)(예를 들어 선박 모형)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30)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부분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박스체(21)와, 상기 박스체(21) 내에서 상기 피시험체(1)를 탄력적으로 지탱하는 탄성부재와, 충돌체(2)와 피시험체(1) 간의 충돌시 발생하는 반력 또는 변형률을 측정하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피시험체(1)가 선박 모형인 경우 상기 박스체(21) 내부에는 물이 담겨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박스체(21)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22)과, 박스체(21)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스프링(22)은 피시험체(1)가 선박 모형인 경우 새깅(sagging)/호깅(hogging)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제1스프링(22)의 강성을 크게 하면 선수가 들려 새깅 상황을 설정할 수 있고, 강성을 작게 하면 선수가 내려가서 선박의 호깅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프링(23)은 수면 위 선박의 자유로운 운동을 모사할 수 있는 수면 효과를 제공한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스프링(22) 및 제2스프링(23)은 상기 박스체(21)의 면에 대해 내,외측으로 이동하여 탄성력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스프링(22) 및 제2스프링(23)이 박스체(21)의 내면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조정가능하게 하면, 박스체(21) 내에서 피시험체(1)의 설치 자세를 가변시킬 수 있어 피시험체(1)의 측면 충돌 시험 등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운트부(20)는 충격 시험 후 박스체(21) 내로 낙하한 충돌체(2) 및 지그(40)를 전자석(50)이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충돌체(2) 및 지그(4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트(24)를 박스체(21) 내에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즉, 일회의 충격 시험 후 전자석(50)이 다른 시험을 위해 충돌체(2) 및 지그(40)를 회수하여 가이드레일(30)로 다시 이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 때 박스체(21) 내부에 물이 수용된 경우 전자석(50)이 충돌체(2) 및 지그(40)를 회수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24)를 이용하여 충돌체(2) 및 지그(40)를 박스체(21) 상단부로 이동시켜 물에서 건져내면 전자석(50)으로 충돌체(2) 및 지그(40)를 쉽게 회수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24)는 공지의 선형운동장치에 의해 박스체(21)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는데, 이 실시예에서 상기 리프트(24)는 박스체(21) 양측에 상하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2개의 벨트(25)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25)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동하는 구동풀리(26a) 및 종동풀리(26b)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풀리(26a) 및 종동풀리(26b)의 회전에 따른 벨트(25)의 회동에 의해 리프트(24)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레일(30)은 하단부가 상기 마운트부(20)의 박스체(21)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0)은 상기 박스체(21)에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진 레일바디(31)와, 상기 레일바디(31)의 양측에 레일바디(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어 충돌체(2)와 지그(40)의 결합체가 낙하시 충돌체(2)와 지그(40)의 결합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레일가이드(33)와, 상기 레일바디(31)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레일바디(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충돌체(2)및 지그(40) 결합체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구름 운동하는 복수개의 롤러(32)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바디(31)의 전방부 및 후방부는 레일지지체(34)에 의해 바닥면 상에서 지지된다. 상기 레일지지체(34)는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레일지지체(34)의 높이 조정에 의해 가이드레일(30)의 각도 가변이 가능하게 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지지체(34)는 바닥면 상에 놓여지는 하부 지지체(34a)와, 상기 하부 지지체(34a)의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단부가 상기 레일바디(31)와 결합된 상부 지지체(34b)와, 상기 하부 지지체(34a)와 상부 지지체(34b) 사이에 결합되어 하부 지지체(34a)에 대한 상부 지지체(34b)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피니언기어(36) 및 래크기어(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니언기어(36)는 하부 지지체(34a)의 상단부 내측에 설치되며 중심축이 하부 지지체(34a)의 외측에 구성되는 핸들(35)(도 1 및 도 2참조)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핸들(35)을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하여 래크기어(37)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롤러(32)들은 충돌체(2) 및 지그(40)의 결합체가 더욱 원활하게 낙하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롤러(32)는 모두 동일한 재질로 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상측에 배치된 것들과 하측에 배치된 것들이 마찰계수가 다른 재질로 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측에 배치된 롤러(32)를 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재질로 된 것을 사용하고 상측에 배치된 롤러(32)를 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사용하면, 롤러(32)를 따라 이동하던 충돌체(2) 및 지그(40)의 결합체가 가이드레일(30)의 하측에서 감속되면서 피시험체(1)에 충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상단부에는 상기 충돌체(2)가 고정된 지그(40)가 놓여지는 지그대기부(6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지그대기부(60)는 양측면부에 가이드레일(30)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되어 지그(40) 및 충돌체(2)를 가이드레일(30)의 중앙부로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벽(61)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지그대기부(60)에는 상기 전자석 해제버튼(81)과 상기 가속작동버튼(8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석 해제버튼(81)과 가속작동버튼(82)은 각각 전자석(50)의 작동과 가속유닛(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대체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지그(40)가 전자석 해제버튼(81)을 누름과 동시에 가속작동버튼(82)이 눌려져, 지그(4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가속유닛(70)이 지그(40)를 밀어내어 가속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가속유닛(70)은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상단부 또는 상기 지그대기부(60)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30)의 상측에서 지그(40)를 본체(10) 쪽으로 밀어냄으로써 지그(40)를 가속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된 구성요소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가속유닛(70)은 공압실린더, 또는 모터와 풀리 및 벨트로 이루어진 선형운동장치, 또는 리니어모터 등 공지의 선형운동장치로 구성된 구동부(71)와, 상기 구동부(71)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지그(40)를 밀어내는 푸시블록(7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석(50)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자성을 갖도록 되어 가이드레일(30) 상단부에서 지그(40)를 자력에 의해 고정하고, 전자석이동유닛에 의해 가이드레일(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그(40)를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전자석이동유닛은 가이드레일(30)의 상측에서 공지의 선형운동장치에 의해 수평 이동하도록 된 가동블록(51)과, 상기 가동블록(51)과 전자석(5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5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52)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일 수 있며, 상기 가동블록(51)에는 상기 연결부재(52)를 감거나 풀 수 있는 윈치(53)가 설치된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지그(40)는 충돌체(2)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충돌체(2)의 일단부가 삽입되면서 연결되는 결합홈(41)과, 상기 충돌체(2)에 형성된 결합홈(41)에 삽입되는 결합리브(42)를 구비한다.
상기 지그(40)에 고정되는 충돌체(2)는 선체와 유사한 선박 모형, 얼음, 나무블록, 암초(석재) 등 연구하고자 하는 과제에 따라 다양한 물체를 적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지그(40)는 충격 시험 후 전자석(50)에 의해 고정되어 가이드레일(30)의 상측으로 들어올려져 대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다르게 가이드레일(30)의 상단부에 와이어가 감겨진 윈치를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를 지그(40)에 고정시켜 충격 시험 후 윈치를 회전시켜 와이어를 감아들임으로써 지그(40)를 가이드레일(30)의 상단부로 이동시켜 회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충격 시험 장치를 이용한 충격 시험 방법은, 피시험체(1)를 마운트부(20)에 장착하는 단계와; 충돌체(2)를 지그(40)에 고정되게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지그(40)를 전자석(50)으로 고정하여 가이드레일(30)의 상단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자석(5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자석(50)에 의한 지그(4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와; 지그(40)를 가이드레일(30)을 따라 낙하시켜 충돌체(2)를 피시험체(1)와 충돌시키는 단계와; 충돌체(2)와 피시험체(1)의 충돌시 발생하는 반력 또는 변형률을 측정하는 단계 및; 충돌체(2)와 지그(40)의 결합체를 마운트부(20)에서 회수하여 가이드레일(30)의 상단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각각의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시험체(1)를 마운트부(20)의 박스체(21) 내부에 장착하고, 마운트부(20)의 박스체(21)에 소정 높이만큼 물을 채워 피시험체(1)의 일부 또는 전부를 물에 잠기게 한다. 그리고, 충돌체(2)를 지그(40)에 고정되게 장착한다.
상기 전자석(50)에 전원을 인가하여 지그(40)를 고정한 후, 전자석(50)을 전자석이동유닛으로 이동시켜 충돌체(2)-지그(40) 결합체를 가이드레일(30) 상단의 지그대기부(60)에 안착시킨다.
이어서 전자석(50)을 이동시켜 본체(10) 쪽으로 이동시켜 충돌체(2)-지그(40) 결합체를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소정 거리 만큼 이동시키면, 충돌체(2)-지그(40) 결합체가 전자석 해제버튼(81)과 가속작동버튼(82)을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전자석(50)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전자석(50)의 자성이 없어지게 되어 충돌체(2)-지그(40) 결합체가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가속유닛(70)이 작동하여 가속유닛(70)의 푸시블록(72)이 지그(40)를 밀어내어 가속시킨다.
상기 가속유닛(70)에 의해 밀쳐진 충돌체(2)-지그(40) 결합체는 가이드레일(30)의 롤러(32)을 따라 낙하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0)의 롤러(32)를 따라 낙하한 충돌체(2)-지그(40) 결합체는 마운트부(20)의 박스체(21) 내부로 소정의 속도로 진입하여 피시험체(1)와 충돌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박스체(21) 내부 또는 피시험체(1)에 부착된 센서(미도시)가 반력 또는 변형률 등을 측정하여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는다.
전술한 충격 시험이 수행된 후, 전자석이동유닛의 가동블록(51)을 마운트부(20)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전자석(50)을 마운트부(20)의 상측에 대기시킨다. 그리고 마운트부(20)의 리프트(24)를 상승시켜 충돌체(2)-지그(40) 결합체를 박스체(21)의 상측으로 인출한다. 이어서, 상기 전자석(50)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자석(50)으로 지그(40)를 고정한 다음, 다시 상기 가동블록(51)을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충돌체(2)-지그(40) 결합체를 가이드레일(30) 상단의 지그대기부(60)에 안착시켜 회수한다.
상기 충돌체(2)-지그(40) 결합체를 가이드레일(30)의 상단부로 회수한 후, 필요에 따라 충돌체(2)를 교체하거나, 피시험체(1)의 교체 또는 자세 변경 등 시험 조건을 변경하여 다시 시험을 속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충돌체(2)를 지그(40)에 고정하고, 원하는 속도로 낙하시켜 선체 모형 등의 피시험체(1)에 충돌시킴으로써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1회의 충격 시험 후 충돌체-지그 결합체를 회수하여 충격 시험을 연속적으로 속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선형운동장치라 함은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 모터-볼스크류, 모터-풀리-벨트, 리니어모터 등으로 이루어진 공지의 선형운동장치를 의미하며, 이들 선형운동장치의 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 속하는 자라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1 : 피시험체 2 : 충돌체
10 : 본체 20 : 마운트부
21 : 박스체 22 : 제1스프링
23 : 제2스프링 24 : 리프트
25 : 벨트 30 : 가이드레일
31 : 레일바디 32 : 롤러
33 : 레일가이드 34 : 레일지지체
35 : 핸들 40 : 지그
50 : 전자석 51 : 가동블록
52 : 연결부재 60 : 지그대기부
61 : 가이드벽 70 : 가속유닛

Claims (18)

  1. 피시험체(1)가 탑재되는 마운트부(20)를 구비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마운트부(20)에서부터 일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 가이드레일(30)과;
    상기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피시험체(1)에 충돌할 충돌체(2)가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지그(40)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지그(40)를 가이드레일(30)의 상단부에서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전자석(50)과;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상측에서 선형운동장치에 의해 수평 이동하도록 설치된 가동블록(51)과, 상기 가동블록(51)과 전자석(5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52)를 포함하여, 상기 전자석(50)을 가이드레일(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자석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시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이동하는 충돌체(2) 또는 지그(40)와 접촉하여 상기 전자석(50)으로 인가되는 전기에너지를 차단하여 전자석(50)에 의한 지그(4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전자석 해제버튼(8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시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그(40)를 밀어서 가속시키는 가속유닛(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시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이동하는 충돌체(2) 또는 지그(40)와 접촉하여 상기 가속유닛(70)을 동작시키는 가속작동버튼(8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시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30)에는 상기 충돌체(2)와 지그(40)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구름 운동하는 복수개의 롤러(3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시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32)는 상측에 배치된 것들과 하측에 배치된 것들이 마찰계수가 다른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시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30)은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된 레일지지체(34)에 의해 바닥면 상에서 지지되어 상기 레일지지체(34)의 높이 조정에 의해 가이드레일(30)의 각도 가변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시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상단부에는 상기 충돌체(2)가 고정된 지그(40)가 놓여지며 양측면부에 가이드레일(30)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되어 지그(40) 및 충돌체(2)를 가이드레일(30)의 중앙부로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벽(61)이 형성되어 있는 지그대기부(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시험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20)는 상기 가이드레일(30)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부분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박스체(21)와, 상기 박스체(21) 내에서 상기 피시험체(1)를 탄력적으로 지탱하는 탄성부재 및, 충돌체(2)와 피시험체(1) 간의 충돌시 발생하는 반력 또는 변형률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시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20)는 선형운동장치에 의해 박스체(21)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박스체(21) 내로 낙하한 충돌체(2) 및 지그(4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트(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시험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박스체(21)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22)과, 박스체(21)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시험 장치.
  14. (a) 피시험체(1)를 마운트부(20)에 장착하는 단계와;
    (b) 충돌체(2)를 지그(40)에 고정되게 장착하는 단계와;
    (c) 상기 지그(40)를 전자석(50)으로 고정하여 가이드레일(30)의 상단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전자석(5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자석(50)에 의한 지그(4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와;
    (e) 지그(40)를 가이드레일(30)을 따라 낙하시켜 충돌체(2)를 피시험체(1)와 충돌시키는 단계와;
    (f) 충돌체(2)와 피시험체(1)의 충돌시 발생하는 반력 또는 변형률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과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충격 시험 장치를 이용한 충격 시험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는 전자석(50)을 가이드레일(30)의 하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전자석(5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시험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지그(40)를 가이드레일(30)의 하측으로 밀어서 가속시켜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시험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후 전자석(50)을 마운트부(20)로 이동시켜 지그(40)를 고정한 다음 지그(40)를 가이드레일(30)의 상단부로 이동시켜 회수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시험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마운트부(20)에 물을 저장하여 피시험체(1)의 일부 또는 전부가 물 속에 잠겨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시험 방법.
KR1020120117552A 2012-10-22 2012-10-22 충격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시험 방법 KR101240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552A KR101240313B1 (ko) 2012-10-22 2012-10-22 충격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시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552A KR101240313B1 (ko) 2012-10-22 2012-10-22 충격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시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313B1 true KR101240313B1 (ko) 2013-03-06

Family

ID=4818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552A KR101240313B1 (ko) 2012-10-22 2012-10-22 충격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시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313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9053A (zh) * 2015-10-14 2016-01-20 芜湖美威包装品有限公司 包装纸箱斜面冲击测试装置
KR101767531B1 (ko) * 2014-05-21 2017-08-16 주식회사 태성기연 휴대폰 및 테블릿 화면 커버용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
CN107764533A (zh) * 2017-10-10 2018-03-06 桂林航天工业学院 液压破碎锤测试用装夹及垂直升降装置
CN108333063A (zh) * 2018-04-09 2018-07-27 三峡大学 支挡结构冲击荷载模拟试验装置及试验方法
KR101943764B1 (ko) * 2017-11-22 2019-01-29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20190080519A (ko) * 2017-12-28 2019-07-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 레그의 충돌 시험장치
CN110823493A (zh) * 2019-12-04 2020-02-21 中国建材检验认证集团(陕西)有限公司 一种隐藏式水箱抗冲击试验装置
CN111649896A (zh) * 2020-05-11 2020-09-11 武汉第二船舶设计研究所(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冲击试验台及其锁紧释放装置
JP2020172256A (ja) * 2019-04-09 2020-10-22 日本製鉄株式会社 衝突評価試験体、衝突試験方法および衝突試験装置ならびに船体構造の製造方法、船体構造の設計方法および船体構造
CN112763173A (zh) * 2020-12-24 2021-05-07 济南三越测试仪器有限公司 一种六自由度阻尼器地震模拟试验台
CN115060448A (zh) * 2022-06-22 2022-09-16 江苏德纳精工轴承有限公司 一种轴承耐冲击性能的试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816B1 (ko) * 2005-04-06 2006-12-14 오성국 차량용 레일 충격시험장치
KR20070024876A (ko) * 2005-08-31 2007-03-08 오성국 브레이크식 충돌재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816B1 (ko) * 2005-04-06 2006-12-14 오성국 차량용 레일 충격시험장치
KR20070024876A (ko) * 2005-08-31 2007-03-08 오성국 브레이크식 충돌재현장치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531B1 (ko) * 2014-05-21 2017-08-16 주식회사 태성기연 휴대폰 및 테블릿 화면 커버용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
CN105259053A (zh) * 2015-10-14 2016-01-20 芜湖美威包装品有限公司 包装纸箱斜面冲击测试装置
CN107764533A (zh) * 2017-10-10 2018-03-06 桂林航天工业学院 液压破碎锤测试用装夹及垂直升降装置
CN107764533B (zh) * 2017-10-10 2023-11-17 桂林航天工业学院 液压破碎锤测试用装夹及垂直升降装置
KR101943764B1 (ko) * 2017-11-22 2019-01-29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2006865B1 (ko) * 2017-12-28 2019-08-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 레그의 충돌 시험장치
KR20190080519A (ko) * 2017-12-28 2019-07-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 레그의 충돌 시험장치
CN108333063B (zh) * 2018-04-09 2024-03-29 三峡大学 支挡结构冲击荷载模拟试验装置及试验方法
CN108333063A (zh) * 2018-04-09 2018-07-27 三峡大学 支挡结构冲击荷载模拟试验装置及试验方法
JP2020172256A (ja) * 2019-04-09 2020-10-22 日本製鉄株式会社 衝突評価試験体、衝突試験方法および衝突試験装置ならびに船体構造の製造方法、船体構造の設計方法および船体構造
JP7481703B2 (ja) 2019-04-09 2024-05-13 日本製鉄株式会社 衝突評価試験体、衝突試験方法および衝突試験装置ならびに船体構造の製造方法、船体構造の設計方法および船体構造
CN110823493A (zh) * 2019-12-04 2020-02-21 中国建材检验认证集团(陕西)有限公司 一种隐藏式水箱抗冲击试验装置
CN110823493B (zh) * 2019-12-04 2024-05-17 中国建材检验认证集团(陕西)有限公司 一种隐藏式水箱抗冲击试验装置
CN111649896A (zh) * 2020-05-11 2020-09-11 武汉第二船舶设计研究所(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冲击试验台及其锁紧释放装置
CN111649896B (zh) * 2020-05-11 2024-05-28 武汉第二船舶设计研究所(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冲击试验台及其锁紧释放装置
CN112763173A (zh) * 2020-12-24 2021-05-07 济南三越测试仪器有限公司 一种六自由度阻尼器地震模拟试验台
CN115060448B (zh) * 2022-06-22 2024-03-22 江苏德纳精工轴承有限公司 一种轴承耐冲击性能的试验装置
CN115060448A (zh) * 2022-06-22 2022-09-16 江苏德纳精工轴承有限公司 一种轴承耐冲击性能的试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313B1 (ko) 충격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시험 방법
CA2658981C (en) An installation and a method for recovering a surface marine vehicle or an underwater vehicle
CN107643381B (zh) 一种海洋波浪能驱动的自动剖面观测装置
US7712429B1 (en) Launch and recovery system for unmanned undersea vehicles
EP2758301B1 (en) Device for and method of tensioning chains, in particular mooring legs
CA28389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a submarine vehicle
CN106428278B (zh) 用于钢质船体结构面磁吸车运动控制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122092B (zh) 一种多角度冲击试验装置
KR101520839B1 (ko)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철강 코일 그립퍼
CN104260830A (zh) 自动化永磁系泊装置
JP2009241706A (ja) 救命艇進水装置
WO2015143489A1 (en) Mooring apparatus
CN115924039B (zh) 一种可实现海底长期定点监测功能的深海auv平台
US3703151A (en) Biased taut line mooring system
CN110962998A (zh) 一种基于半潜式无人艇的沉浮装置
KR101784800B1 (ko) 이동형 파일 가이드 장치
CN107745824B (zh) 一种多自由度可调节助推器对接机构
CN105667717B (zh) 摆渡船的靠岸锁定装置
US4372597A (en) Submersible equipment handling system
CN113636021B (zh) 一种海洋工程救助艇的升降装置
NL2026010B1 (en) A system for charging a battery of an electrically driven ship
KR101742545B1 (ko)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
US8601970B1 (en) Tethered buoy housing and deployment assembly
KR20170043330A (ko) 리프팅 지그
CN218261446U (zh) 一种电梯故障急停应急平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