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545B1 -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 - Google Patents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545B1
KR101742545B1 KR1020150090617A KR20150090617A KR101742545B1 KR 101742545 B1 KR101742545 B1 KR 101742545B1 KR 1020150090617 A KR1020150090617 A KR 1020150090617A KR 20150090617 A KR20150090617 A KR 20150090617A KR 101742545 B1 KR101742545 B1 KR 101742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submersible
frame
mount
unmanned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109A (ko
Inventor
이규상
김주일
옥진규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주)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50090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5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1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using cr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은, 지주의 상부에 안착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 사이에 배치되되, 양측이 상기 측판의 상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턱과, 상기 한 쌍의 측판 사이에 배치되되, 양측이 상기 측판의 하부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상턱과 이격되어 개구를 형성하는 하턱을 포함하는 함체와, 상기 측판 및 상기 상턱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측판 및 상기 상턱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판과,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LAUNCHING AND RECOVERY SYSTEM USED IN PIER}
본 발명은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무인잠수정을 싣고 이동이 가능하며, 이동된 무인잠수정을 상하로 승하강 시켜 무인잠수정의 진수 및 인양이 용이한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해양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수중에서 작동하는 장비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실제로 산업 현장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비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관련 작업이 수중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 때문에 장비의 진수 및 인양(회수)이 큰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방법은 로봇팔을 이용하는 방법 또는 사람이 손으로 잡는 간단한 지그를 이용한 방법이다.
로봇팔의 경우 무인잠수정을 로봇팔로 잡아 물에 넣어 진수시키고, 선박 옆에 있는 무인잠수정을 로봇팔이 잡아 선박 위에 얹어 놓아 회수시키는 방법의 장치로써, 아직 정밀한 장치가 개발되지 않았고 개발된다 하더라도 고가의 장비가 되어 가격 경쟁력에서 한계가 명확하다.
사람이 손으로 사용하는 지그의 경우 사람이 들어 올릴 수 있는 길이의 제약으로 선박과 물의 거리가 1m 정도만 되어도 사용하는데 매우 어려워진다.
또한, 사람이 지그 및 무인잠수정의 중량을 들어올리는 방법이어서 중량에 대한 제한도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09194호(발명의 명칭:휴대급 자율무인잠수정의 진수와 인양을 위한 편리하고 안전한 J형 프레임, 공개일자:2013년 01월 23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잠수정을 싣고 부두로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무인잠수정의 운용이 편리한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동된 무인잠수정을 상하로 이동시켜 무인잠수정의 진수 및 인양이 용이하여 별도의 크레인이 필요 없으므로 고가의 크레인 사용에 따른 불필요한 지출을 줄일 수 있는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는, 일측에는 무인잠수정이 안착되는 무인잠수정용 마운트가 설치되는 상부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상부프레임의 타측과 연결되는 수직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와 연결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무인잠수정용 마운트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윈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무인잠수정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이동용 휠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이동용 휠의 회전을 제어하는 락킹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볼트결합되어 지면을 향하여 전후진 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볼트부재의 조작에 의해 지면과 맞닿아 상기 이동용 휠의 회전을 제어하는 지지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인잠수정의 하중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측이 상승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는 웨이트박스와, 상기 웨이트박스의 내부에 보관되는 무게추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이 끼워져 앞뒤로 슬라이딩되는 관통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에는, 상기 윈치에 감긴 와이어가 관통되어 상기 무인잠수정용 마운트에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의 가이드 브라켓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인잠수정이 상기 무인잠수정용 마운트에 고정되도록 상기 무인잠수정용 마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유(U)블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무인잠수정을 싣고 부두로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무인잠수정의 운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동된 무인잠수정을 상하로 이동시켜 무인잠수정의 진수 및 인양이 용이하여 별도의 크레인이 필요 없으므로 고가의 크레인 사용에 따른 불필요한 지출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의 상부프레임이 후퇴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를 이용하여 부두에서 무인잠수정을 진수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의 사시도, 도 2 는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의 상부프레임이 후퇴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를 이용하여 부두에서 무인잠수정을 진수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는, 상부프레임(100), 수직프레임(200), 하부프레임(300) 및 윈치(400)가 포함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00), 수직프레임(200), 하부프레임(300)은 내부식성 코팅처리된 금속프레임(예:프로파일)이 조립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먼저, 상부프레임(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직사각형을 이루는 골조로서, 이러한 상부프레임(100)의 일측에는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에는 무인잠수정(10)이 안착되어 무인잠수정(10)을 진수하는 경우, 무인잠수정(10)은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에서 이탈되며, 임무가 완료된 무인잠수정(10)을 인양하는 경우, 무인잠수정(10)은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무인잠수정(10)이 이탈 또는 장착되는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의 내부에는 유(U)블록(21)이 구비되어 무인잠수정(10)이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직사각형 골조의 상부프레임(1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브라켓(110)이 복수개 설치되는데, 이러한 가이드 브라켓(110)에는 후술할 윈치(400)에 감긴 와이어(410)가 관통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수직프레임(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수직프레임(200)은 상술한 상부프레임(100)과 후술할 하부프레임(300) 사이에 구비되는 부재로서, 상부는 상부프레임(100)의 타측에, 하부는 하부프레임(30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수직프레임(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의 골조를 이루는 부재이며, 이러한 수직프레임(200)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100)이 끼워지는 관통홀(21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관통홀(210)에 끼워지는 상부프레임(100)은 관통홀(2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딩되어 전/후진 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잠수정(10)을 부두에서 하강시켜 무인잠수정(10)을 진수하려는 경우, 상부프레임(100)을 전방으로 밀어서 무인잠수정(10)을 물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무인잠수정(10)을 육지로 인양 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을 후방으로 잡아당길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하부프레임(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하부프레임(300)은 상술한 수직프레임(200)의 하부에 연결되는 부재로서, 일측은 수직프레임(200)의 하부에 연결되며, 타측에는 웨이트박스(3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300)의 하부에는 무인잠수정(10)을 이동하기 위한 이동용 휠(310)이 설치되는데, 무인잠수정(10)을 진수 또는 인양하기 위한 과정에서는 본 발명이 고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하부프레임의 일측에는 락킹수단(330)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락킹수단(3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부재(331)와 지지판(333)을 포함하는데, 상기 볼트부재(331)는 하부프레임(300)의 일측에 볼트결합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부재이며, 이러한 볼트부재(331)의 상부에는 회전손잡이(33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판(333)은 볼트부재(331)의 하부에 설치되는 원판형상의 부재로서, 이러한 지지판(333)은 볼트부재(331)의 하강에 의해 지면과 맞닿아 본 발명을 지면에 고정시키며, 본 발명이 무인잠수정(10)의 하중에 의해 전방을 향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300)의 타측에는 웨이트박스(32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웨이트박스(320)의 내부에는 무게추(321)가 삽입될 수 있으며, 무게추(321)는 무인잠수정(10)의 무게에 따라 중량을 달리하여 하부프레임(300)의 타측이 상승하는 것, 즉, 하부프레임(300)이 상부로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락킹수단(330)과 무게추(321)에 의해 본 발명은 무인잠수정(10)의 무게에 의해 균형을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윈치(4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윈치(winch)(4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의 타측(후방)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윈치(400)에는 와이어(410)가 감겨있는데, 와이어(410)의 단부는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와 연결되어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윈치(400)는 권양기라고도 하며, 원통형의 드럼에 와이어를 감아, 도르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높은 곳으로 들어올리거나 끌어당기는 기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윈치(400)는 무인잠수정(10)의 무게에 따라 수동식 또는 전동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부프레임(100)의 타측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윈치(400)에 감겨있는 와이어(410)는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가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도록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와이어(410)는 장력이 유지되도록 상술한 상부프레임(100)에 구비된 복수의 가이드 브라켓(110)을 관통하여 연결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를 이용하여 무인잠수정을 진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에 무인잠수정(10)을 장착하는데, 무인잠수정(10)을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의 내부에 구비된 유블록(21)에 안착시킨다.
이후,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를 윈치(400)에 감긴 와이어(410)의 단부에 연결하는데, 와이어(410)는 상부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가이드 브라켓(110)을 관통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와 와이어(4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이 후진된 상태에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본 발명을 부두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무인잠수정(10)의 하중에 의해 전복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와 와이어(410)의 연결이 완료된 후, 작업자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부두의 난간으로 밀어서 이동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을 전방으로 밀어서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가 물 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윈치(400)의 락을 푸는 과정에서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가 물 위로 바로 하강되지 않도록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를 상부프레임(10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별도의 고정용 와이어(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상부프레임(100)이 전방으로 이동이 완료된 후, 작업자는 윈치(400)의 락을 풀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를 자유낙하시켜 물속으로 투입한다.
상기와 같이 무인잠수정용 마운트(20)가 물속으로 투입된 후, 무인잠수정(10)은 별도의 신호를 받아 진수된다.
또한, 임무가 완료된 무인잠수정(10)은 상술한 방법의 역순으로 인양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무인잠수정
20-무인잠수정용 마운트 21-유블록
100-상부프레임 110-가이드 브라켓
200-수직프레임 210-관통홀
300-하부프레임 310-이동용 휠
320-웨이트박스 321-무게추
330-락킹수단 331-볼트부재
332-회전손잡이 333-지지판
400-윈치 410-와이어

Claims (8)

  1. 일측에는 무인잠수정이 안착되는 무인잠수정용 마운트가 설치되는 상부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상부프레임의 타측과 연결되는 수직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와 연결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무인잠수정용 마운트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윈치가 포함되되,
    상기 상부프레임과 수직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은 내부식성 코팅 처리된 금속 프레임인 프로파일이 조립된 형태로 제작되되,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무인잠수정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이동용 휠과,
    상기 이동용 휠의 회전을 제어하는 락킹수단이 더 포함되되,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이 끼워져 앞뒤로 슬라이딩되는 관통홀이 더 포함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에는,
    상기 윈치에 감긴 와이어가 관통되어 상기 무인잠수정용 마운트에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의 가이드 브라켓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볼트결합되어 지면을 향하여 전후진 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볼트부재의 조작에 의해 지면과 맞닿아 상기 이동용 휠의 회전을 제어하는 지지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인잠수정의 하중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측이 상승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는 웨이트박스와,
    상기 웨이트박스의 내부에 보관되는 무게추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무인잠수정이 상기 무인잠수정용 마운트에 고정되도록 상기 무인잠수정용 마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유(U)블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
KR1020150090617A 2015-06-25 2015-06-25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 KR101742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617A KR101742545B1 (ko) 2015-06-25 2015-06-25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617A KR101742545B1 (ko) 2015-06-25 2015-06-25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109A KR20170001109A (ko) 2017-01-04
KR101742545B1 true KR101742545B1 (ko) 2017-06-01

Family

ID=5783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617A KR101742545B1 (ko) 2015-06-25 2015-06-25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5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005B1 (ko) * 2020-08-12 2021-07-23 홍진영 선박 운반 대차의 측간 이송 대차 바퀴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9343B (zh) * 2021-01-19 2022-04-19 鹏城实验室 无人潜航器母船以及柔性回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310Y1 (ko) * 2013-09-06 2015-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구명정 진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310Y1 (ko) * 2013-09-06 2015-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구명정 진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005B1 (ko) * 2020-08-12 2021-07-23 홍진영 선박 운반 대차의 측간 이송 대차 바퀴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109A (ko)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8981C (en) An installation and a method for recovering a surface marine vehicle or an underwater vehicle
US10106946B2 (en) Pile upending system
US7028627B2 (en) Submersible vehicle launch and recovery system
US20110155682A1 (en) Lifting device for the installation and service of an underwater power plant
KR102252210B1 (ko) 표면하 채광 차량을 물 속으로 런칭하고 또한 물로부터 회수하기 위한 장치
BE1025697B1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aanbrengen van een secundaire constructie aan een offshore primaire constructie
US20060115331A1 (en) Method for cutting and removing underwater pipeline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is method
CN112692860A (zh) 水下抓取装置
KR101742545B1 (ko) 부두용 무인잠수정 진수인양장치
US8646390B2 (en) Device for the use of technical equipment underwater
US5915906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a ship
US4146345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supporting pipelines suspended over depressions in the sea bed
CA1067446A (en) Method of loading and unloading heavy objects from a vessel and an equipment for carrying said method into effect
CN107848610A (zh) 用于投放和收回水下船舶或鱼雷的提升装置
GB2076748A (en) Submersible Handling Equipment
KR20160000111U (ko) 케이블 로봇을 이용한 수중 탑재물의 이동식 수중 설치 장치
US9221521B2 (en) Apparatus and anchor handling vessels for installing or removing and replacing a segment of a mooring line
JP2018165090A (ja) 水中機器の投入揚収装置および投入揚収方法
NL2016371B1 (en) Method, vessel and lifting device for use in an upending procedure for off shore piles.
US4499840A (en) Method for the salvage of a sunken vessel
KR101556194B1 (ko)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US20140017013A1 (en) Methods for installing or removing and replacing a segment of a mooring line
US8601970B1 (en) Tethered buoy housing and deployment assembly
GB2226539A (en) Improvements in load handling
JP2668040B2 (ja) 大型海洋構造物の施設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