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764B1 -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764B1
KR101943764B1 KR1020170156677A KR20170156677A KR101943764B1 KR 101943764 B1 KR101943764 B1 KR 101943764B1 KR 1020170156677 A KR1020170156677 A KR 1020170156677A KR 20170156677 A KR20170156677 A KR 20170156677A KR 101943764 B1 KR101943764 B1 KR 101943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vehicle
kinetic energy
frictional force
damping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강수
이선주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156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B2702/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운동체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쇠유닛, 상기 감쇠유닛을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감쇠유닛은 마찰력과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중 운동체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와, 상기 수중 운동체가 상기 감쇠유닛에 유입되는 유입단계, 상기 마찰력 발생부재에 의해 상기 수중 운동체에 마찰력이 전달되는 마찰력 전달단계,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중 운동체의 운동에너지가 감소되는 운동에너지 감소단계, 상기 마찰력과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중 운동체가 정지하는 정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지단계에서 상기 마찰력이 상기 수중 운동체에 전달한 일과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에 저장된 상기 탄성력의 합은 상기 수중 운동체의 운동에너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및 그 작동방법{APPARATUS FOR RECOVERING PRODUCT OF INJECTION MOLDING EQUIPMENT UNDERWATER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마찰력과 탄성력을 이용하여 수중에서 운동체를 회수하는 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중 운동체의 사출시험 진행 시, 특히 수중 운동체의 속도가 빠르고 운동체의 감속구간이 짧을 경우에는 수조 벽면과 운동체가 충돌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이는 운동체 및 수조 벽면에 손상을 발생시켰다.
따라서, 운동체와 수조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빠른 시간 안에 안전하게 운동체의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수중 운동체의 운동에너지를 감쇠시킬 방안이 필요하며, 시험의 효율적인 진행을 위해 정지한 운동체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325593호(2013.10.30)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195773호(2012.10.24)
본 발명은 빠르게 사출되는 수중 운동체의 속도를 효율적으로 감소시켜 정지시키고 정지한 운동체를 회수하는 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수중 운동체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쇠유닛, 감쇠유닛을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감쇠유닛은 마찰력과 탄성력을 이용하여 수중 운동체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와, 수중 운동체가 감쇠유닛에 유입되는 유입단계, 마찰력 발생부재에 의해 수중 운동체에 마찰력이 전달되는 마찰력 전달단계,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수중 운동체의 운동에너지가 감소되는 운동에너지 감소단계, 마찰력과 탄성력에 의해 수중 운동체가 정지하는 정지단계를 포함하며, 정지단계에서 마찰력이 수중 운동체에 전달한 일과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에 저장된 탄성력의 합은 수중 운동체의 운동에너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작동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및 그 작동방법은 수중 운동체와 수조 벽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중 운동체의 회수가 가능하여 시험 진행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감쇠유닛의 구성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에 적용된 마찰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유입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정지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하우징 일반부에 운동체가 진입하기 전(좌)과 후(우)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이송유닛의 이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작동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수중 운동체(30)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쇠유닛(10), 상기 감쇠유닛을 이송하는 이송유닛(20)을 포함하며 상기 감쇠유닛은 마찰력과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중 운동체(이하 "운동체"로 표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감쇠유닛의 구성도 및 단면도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 및 형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감쇠유닛(10)은 상기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운동체(30)의 속도를 늦추는 마찰력 발생부재(11),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운동체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운동에너지 흡수부재(12), 상기 마찰력 발생부재와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가 체결되는 하우징(14)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는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마찰력 발생부재도 탄성력을 갖는 소재일 수 있다.
상기 감쇠유닛(10)은 상기 운동체(30)를 상기 하우징(14)으로 유입시키는 유입유닛(15)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유닛은 상기 운동체의 진행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17),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6)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롤러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14)은 상기 운동체(30)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사각기둥 형태의 확장부(14a), 상기 확장부의 후단과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일반부(14b)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12)의 일측은 상기 일반부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마찰력 발생부재(11)는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의 타측에 체결되며,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운동체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확장부(14a)의 내측 사면에는 일면에 각각 2개 이상의 상기 유입유닛(15)이 장착되고 상기 확장부의 상면에 설치된 상기 고정부재(16)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길어지는 형상이다.
상기 일반부(14b)의 내측 상면을 제외한 삼면에는 각각 2개 이상의 상기 유입유닛(15)이 장착되고 상기 일반부의 상면에는 상기 마찰력 발생부재(11)와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12)가 장착되며, 상기 확장부(14a)의 후단에 설치된 상기 유입유닛의 길이는 상기 일반부의 상면에 장착된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가 완전 압축된 상태일 때의 상기 마찰력 발생부재와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의 길이의 합보다 짧거나 같다.
또한, 상기 일반부(14b)의 후단은 충격흡수판(19)에 의해 차단되며 상기 충격흡수판은 탄성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이송유닛(20)은 상기 운동체(30)가 사출되기 이전에 상기 운동체의 예상 진행경로에 상기 감쇠유닛(10)을 위치시키고, 상기 운동체가 상기 감쇠유닛 내에서 정지하면 상기 감쇠유닛을 이동시켜 상기 운동체의 취출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이송유닛(20)은 상기 감쇠유닛(10)과 연결되는 와이어(21),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조이는 도르래(22), 상기 도르래의 동력원이 되는 윈치(23), 상기 도르래가 고정되는 도르래 이송차(24), 상기 도르래 이송차의 이동경로인 가이드 레일(25)을 포함한다.
도면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찰력 발생부재(11) 및 운동에너지 흡수부재(12)가 상기 하우징의 일반부(14b)와 수직되게 설치되어 있으나 이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일반부의 선단에 설치되는 상기 마찰력 발생부재 및 운동에너지 흡수부재는 상기 운동체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도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찰력 발생부재(11) 및 운동에너지 흡수부재(12)가 탄성력과 마찰력뿐 아니라 쐐기 역할을 하여 상기 운동체(30)의 유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역방향으로 상기 운동체가 빠져 나오는 것을 막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4)과 상기 마찰력 발생부재(11) 및 운동에너지 흡수부재(12)가 수직으로 설치되었을 경우보다, 상기 하우징에 상기 마찰력 발생부재 및 운동에너지 흡수부재가 쐐기 방향으로 설치되었을 경우 분력의 원리로 더 큰 힘이 상기 운동체(30)가 역방향으로 빠져 나오려는 힘에 대응하게 되어 상기 운동체가 역방향으로 빠져 나올 가능성이 낮아진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작동방법으로, 상기 운동체(30)가 상기 감쇠유닛(10)에 유입되는 유입단계(S30), 상기 마찰력 발생부재(11)에 의해 상기 운동체에 마찰력이 전달되는 마찰력 전달단계(S41),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1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운동체의 운동에너지가 감소되는 운동에너지 감소단계(S42), 상기 마찰력과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운동체가 정지하는 정지단계(S50)를 포함하며, 상기 정지단계에서 상기 마찰력이 상기 운동체에 전달한 일과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에 저장된 상기 탄성력의 합은 상기 운동체의 운동에너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작동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이송유닛의 이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유입단계(S30)를, 도 5는 정지단계(S50)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하우징 일반부(14b)에 운동체가 진입하기 전(좌)과 후(우)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상기 마찰력 전달단계(S41)와 상기 운동에너지 감소단계(S42)는 동시에 진행되며, 상기 유입단계(S30) 이전에 상기 이송유닛(20)을 조정하여 상기 감쇠유닛(10)을 상기 운동체(30)의 예상 진행경로에 이동시키는 제1이동단계(S10)를 진행하고, 상기 정지단계(S50) 이후에 상기 감쇠유닛 내 상기 운동체를 취출하기 위해 이송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감쇠유닛을 이동시키는 제2이동단계(S60)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 제2이동단계(S60)는 상기 감쇠유닛과 상기 충격흡수판이 분리되는 충격흡수판 분리단계(S61)를 포함하여 상기 제2이동단계에서 상기 충격흡수판(19)과 상기 감쇠유닛(10)은 별도로 이동된다.
상기 마찰력 전달단계(S41)에서 상기 마찰력(도 3의 (a) 참조) 은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마찰력이 상기 운동체에 전달한 일(도 3의 (b) 참조)은 하기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결정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17116528241-pat00001
<수학식 2>
Figure 112017116528241-pat00002
상기 <수학식1> 및<수학식 2>에서
Figure 112017116528241-pat00003
는 마찰력,
Figure 112017116528241-pat00004
는 마찰력이 운동체에 전달한 일,
Figure 112017116528241-pat00005
은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스프링) 개수,
Figure 112017116528241-pat00006
는 마찰계수,
Figure 112017116528241-pat00007
는 스프링 상수,
Figure 112017116528241-pat00008
는 스프링 압축길이,
Figure 112017116528241-pat00009
는 운동에너지 흡수부재 간의 간격이다.
도 3의 (b)에서 x축은 상기 운동체의 이동거리를, y축은 작용 마찰력을 나타내므로 상기 운동체가 n개의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와 접촉하면서 받은 마찰력이 한 일은 도 3의 (b)의 적분 값과 같고 이를 수식화 한 것이 상기 <수학식 2>이다.
또한, 상기 운동에너지 감소단계(S42)에서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스프링)에 저장되는 탄성력은 하기의 <수학식 3>에 의해 결정되며
<수학식 3>
Figure 112017116528241-pat00010
상기 <수학식 3>에서
Figure 112017116528241-pat00011
는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스프링)에 저장되는 탄성력,
Figure 112017116528241-pat00012
는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스프링) 개수,
Figure 112017116528241-pat00013
는 마찰계수,
Figure 112017116528241-pat00014
는 스프링 상수,
Figure 112017116528241-pat00015
는 스프링 압축길이이다.
상기 <수학식 1>, <수학식 2>, <수학식 3>에 따른 마찰력이 한 일과 탄성 위치 에너지의 합이 운동체의 운동에너지보다 크게 되는 시점에서 상기 운동체는 정지하게 되며 수중 운동 중 상기 운동체의 속도 감소가 없다고 가정하였을 때 상기 정지단계는 하기의 <수학식 4>를 만족한다.
<수학식 4>
Figure 112017116528241-pat00016
상기 <수학식 4>에서
Figure 112017116528241-pat00017
은 운동체의 질량,
Figure 112017116528241-pat00018
는 사출 속도,
Figure 112017116528241-pat00019
은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스프링) 개수,
Figure 112017116528241-pat00020
는 마찰계수,
Figure 112017116528241-pat00021
는 스프링 상수,
Figure 112017116528241-pat00022
는 스프링 압축길이,
Figure 112017116528241-pat00023
은 운동에너지 흡수부재 간의 간격이다.
하지만 상기 운동체와 접촉하는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장치의 개수
Figure 112017116528241-pat00024
은 상기 운동체(30)의 길이를
Figure 112017116528241-pat00025
이라 할 때
Figure 112017116528241-pat00026
보다 많을 수 없다. 따라서 위 식을 만족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안전장치로서 감쇠장치 끝의 말단부에 상기 충격흡수판(19)을 설치하여 상기 운동체의 잔여 운동 에너지를 모두 흡수하여 정지시킨다. 상기 운동체(30)가 안전하게 상기 감쇠유닛(10) 내부에서 정지하면, 상기 감쇠유닛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21)와 상기 도르래(22)와 상기 윈치(23)를 이용해 상기 가이드 레일(25)을 따라 수조 위로 끌어 올리고 작업이 용이한 수조 벽면까지 이동시킨 뒤, 안전하게 상기 감쇠유닛 내부의 상기 운동체를 회수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10 : 감쇠유닛
20 : 이송유닛
30 : 운동체
11 : 마찰력 발생부재
12 : 운동에너지 흡수부재
14 : 하우징
14a : 확장부
14b : 일반부
15 : 유입유닛
16 : 고정부재
17 : 회전부재
19 ; 충격흡수판
21 : 와이어
22 : 도르래
23 : 윈치
24 : 이송차
25 : 가이드 레일

Claims (21)

  1. 수중 운동체의 회수장치에 있어서,
    수중 운동체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쇠유닛;
    상기 감쇠유닛을 이송하는 이송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감쇠유닛은 마찰력과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운동체를 정지시키며,
    상기 감쇠유닛은
    상기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수중 운동체의 속도를 늦추는 마찰력 발생부재;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중 운동체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운동에너지 흡수부재;
    상기 마찰력 발생부재와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가 체결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감쇠유닛은
    상기 수중 운동체를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시키는 유입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유닛은
    상기 수중 운동체의 진행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중 운동체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사각기둥 형태의 확장부;
    상기 확장부의 후단과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일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의 일측은 상기 일반부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마찰력 발생부재는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의 타측에 체결되며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수중 운동체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내측 사면에는 일면에 각각 2개 이상의 상기 유입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확장부의 상면에 설치된 상기 고정부재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길어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부의 내측 상면을 제외한 삼면에는 각각 2개 이상의 상기 유입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일반부의 상면에는 상기 마찰력 발생부재와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후단에 설치된 상기 유입유닛의 길이는 상기 일반부의 상면에 장착된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가 완전 압축된 상태일 때의 상기 마찰력 발생부재와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의 길이의 합보다 짧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부의 후단은 충격흡수판; 에 의해 차단되며
    상기 충격흡수판은 탄성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수중 운동체가 사출되기 이전에 상기 운동체의 예상 진행경로에 상기 감쇠유닛을 위치시키고,
    상기 수중 운동체가 상기 감쇠유닛 내에서 정지하면 상기 감쇠유닛을 이동하여 상기 수중 운동체를 취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감쇠유닛과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조이는 도르래;
    상기 도르래의 동력원이 되는 윈치;
    상기 도르래가 고정되는 도르래 이송차;
    상기 도르래 이송차의 이동경로인 가이드 레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13. 제1항, 및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수중 운동체가 감쇠유닛에 유입되는 유입단계;
    마찰력 발생부재에 의해 상기 수중 운동체에 마찰력이 전달되는 마찰력 전달단계;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중 운동체의 운동에너지가 감소되는 운동에너지 감소단계;
    상기 마찰력과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중 운동체가 정지하는 정지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정지단계에서 상기 마찰력이 상기 수중 운동체에 전달한 일과 상기 운동에너지 흡수부재에 저장된 상기 탄성력의 합은 상기 수중 운동체의 운동에너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작동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전달단계와 상기 운동에너지 감소단계는 동시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작동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단계 이전에
    이송유닛을 조정하여 상기 감쇠유닛을 상기 수중 운동체의 예상 진행경로에 이동시키는 제1이동단계; 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의 회수장치의 작동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단계 이후에
    상기 감쇠유닛 내 상기 수중 운동체를 취출하기 위해 이송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감쇠유닛을 이동시키는 제2이동단계; 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작동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단계는 상기 감쇠유닛과 충격흡수판이 분리되는 충격흡수판 분리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흡수판과 상기 감쇠유닛은 별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의 작동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70156677A 2017-11-22 2017-11-22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1943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677A KR101943764B1 (ko) 2017-11-22 2017-11-22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및 그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677A KR101943764B1 (ko) 2017-11-22 2017-11-22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및 그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764B1 true KR101943764B1 (ko) 2019-01-29

Family

ID=65322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677A KR101943764B1 (ko) 2017-11-22 2017-11-22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7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2042A (ja) * 2000-02-25 2001-09-07 Shinko Electric Co Ltd 衝撃吸収体
KR101195773B1 (ko) 2012-05-09 2012-11-05 국방과학연구소 수중운동체의 공동생성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운동체
KR101240313B1 (ko) * 2012-10-22 2013-03-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시험 방법
KR101325593B1 (ko) 2013-05-03 2013-11-06 국방과학연구소 부분 가동타에 수직끝판이 부착된 원통형 수중운동체
KR20160001690U (ko) * 2014-11-11 2016-05-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저항추진시험과 조종시험의 병행이 가능한 다목적 예인전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2042A (ja) * 2000-02-25 2001-09-07 Shinko Electric Co Ltd 衝撃吸収体
KR101195773B1 (ko) 2012-05-09 2012-11-05 국방과학연구소 수중운동체의 공동생성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운동체
KR101240313B1 (ko) * 2012-10-22 2013-03-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시험 방법
KR101325593B1 (ko) 2013-05-03 2013-11-06 국방과학연구소 부분 가동타에 수직끝판이 부착된 원통형 수중운동체
KR20160001690U (ko) * 2014-11-11 2016-05-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저항추진시험과 조종시험의 병행이 가능한 다목적 예인전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533B1 (ko) 확산형 충격흡수장치
JP5974710B2 (ja) 異物除去機構
JP2019142498A5 (ko)
CN102951105A (zh) 用于机动车辆的惯性锁定反作用保险杠
CN107860585B (zh) 一种对撞型台车动力装置
WO2019223257A1 (zh) 轨道车辆及其碰撞吸能系统
CN105966417A (zh) 轨道车辆用导向式防爬吸能装置及具有该装置的轨道车辆
KR101943764B1 (ko) 수중 운동체 회수장치 및 그 작동방법
US20100026020A1 (en) Sliding-type apparatus for absorbing front shock energy
CA2868497A1 (en) Zipline braking system
CN109367652A (zh) 一种agv防倒小车
CN106218475A (zh) 一种改进的新型无人搬运车
CN204607084U (zh) 烟草翻箱倒料机安全维护防护装置
CN107792650A (zh) 一种稳定的物流调配运输装置
KR101381407B1 (ko) 차량 충격 흡수 장치
KR101830689B1 (ko) 철도차량 연결기의 충격 흡수 구조
CN209159851U (zh) 一种agv防倒小车
KR102417400B1 (ko) 에너지 업소버 복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업소버 어셈블리
KR101979146B1 (ko) 차량 충돌 테스트에 사용되는 대차 제동 시스템
KR101167221B1 (ko) 텐션대차용 파손방지장치
US9611600B2 (en) Car shock absorber and car shock absorb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090059483A (ko) 철도차량 튜브완충기용 스테빌라이저 및 스테빌라이저부가형성된 철도차량용 튜브완충기
CN108639096A (zh) 高速滑轨末端安全拦截装置
CN106608576B (zh) 高速电梯补偿绳轮的张紧防跳机构
CN220281320U (zh) 一种减震型汽车保险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