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633B1 - 유리 충격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충격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633B1
KR101866633B1 KR1020160055417A KR20160055417A KR101866633B1 KR 101866633 B1 KR101866633 B1 KR 101866633B1 KR 1020160055417 A KR1020160055417 A KR 1020160055417A KR 20160055417 A KR20160055417 A KR 20160055417A KR 101866633 B1 KR101866633 B1 KR 101866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glass
impact
disposed
impact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5240A (ko
Inventor
조명우
하석재
조용규
김병찬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633B1/ko
Publication of KR20170125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01N3/303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generated only by free-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Crack, flaws, fracture or rupture
    • G01N2203/0062Crack or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3Solids
    • G01N2291/0232Glass, ceramics, concrete or st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양단이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연결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 상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낙하 시, 충격 시험 대상인 유리에 대하여 충격을 인가하는 임팩트 팁; 및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충격 시험 대상이 고정 배치되는 고정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는 상기 충격 시험 대상의 모서리 부위가 상기 임택트 팁의 직하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유리 충격 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의 커버 글래스로 사용되는 유리의 엣지 부분에 대하여 충격을 인가하여 유리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 충격 시험 장치{Apparatus for impact test of glass}
본 발명은 유리 충격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폰 및 테블릿 컴퓨터의 커버 글래스로 사용되는 유리의 강도를 시험하는 유리 충격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엘씨디 표시창은 휴대폰의 각 기능 및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테블릿 컴퓨터의 표시창도 테블릿 컴퓨터의 동작 상태 및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폰과 테블릿 컴퓨터의 표시창에는 저면부에 장착되는 엘씨디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커버 글래스가 부착된다.
한편, 휴대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의 커버 글래스는 일정한 힘의 인가에 의한 파손보다는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휴대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를 떨어뜨리는 경우와 같이 순간적으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한 파손이 주로 발생한다.
따라서, 휴대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의 커버 글래스로 사용되는 유리의 강도 측정은 순간적인 충격을 가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유리의 충격 시험 방법이 공개특허 2014-0056244호에 개시되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유리를 소정의 위치에 수평으로 배치한 후, 유리의 판면에 대하여 충격물을 낙하시켜 유리의 강도를 측정하고 있다.
상기한 기술의 경우, 유리의 판면에 대하여 충격물을 낙하시켜 충격을 측정한다. 그러나, 커버 글래스가 사용되는 휴대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는 지면으로 낙하 시, 휴대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의 모서리 부분이 지면과 닿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커버 글래스의 엣지 부분에 대하여 충격을 인가하여 강도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의 커버 글래스로 사용되는 유리의 엣지 부분에 대하여 충격을 인가하여 유리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유리 충격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의 커버 글래스로 사용되는 유리의 기울기를 좌우 또는 전후좌우로 다양하게 조정한 상태에서 유리의 엣지 부분에 대하여 충격을 인가하여 유리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유리 충격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양단이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연결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 상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낙하 시, 충격 시험 대상인 유리에 대하여 충격을 인가하는 임팩트 팁; 및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충격 시험 대상이 고정 배치되는 고정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는 상기 충격 시험 대상의 모서리 부위가 상기 임택트 팁의 직하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유리 충격 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충격 시험 대상의 모서리에 대하여 충격을 인가할 때 이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는, 표면에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는,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중앙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유리 고정판과, 상기 제1 유리 고정판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에 이동 가능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 유리 고정판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제2 유리 고정판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리 고정판의 하단으로 배치되는 너트와, 상기 제어 핸들에 연결되어 상기 너트와 결합되어 상기 제어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너트가 이동하도록 하는 나사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는,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제1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상에 배치되되 기울기가 변화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2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의 중앙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유리 고정판과, 상기 제1 유리 고정판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 상에 이동 가능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 유리 고정판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제2 유리 고정판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 핸들과,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의 기울기를 제어하는 제2 제어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치형부와, 상기 제2 제어 핸들에 연결되고, 상기 치형부와 치합되는 웜과, 상기 제2 유리 고정판의 하단으로 배치되는 너트와, 상기 제1 제어 핸들에 연결되어 상기 너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제어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너트가 이동하도록 하는 나사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는 수평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기울기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및 제2 유리 고정판의 판면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에는 한 쌍의 핀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충격 시험 대상의 배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의 커버 글래스로 사용되는 유리의 엣지 부분에 대하여 충격을 인가하여 유리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의 커버 글래스로 사용되는 유리의 기울기를 좌우 또는 전후좌우로 다양하게 조정한 상태에서 유리의 엣지 부분에 대하여 충격을 인가하여 유리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충격 시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충격 시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정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고정핀에 의한 유리의 기울기 유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정대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충격 시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충격 시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충격 시험 장치(100)는 베이스(110),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120), 슬라이더(130), 임팩트 팁(140) 및 고정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베이스(110) 상에는 후술하는 구성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샤프트(120)는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로드 형태로서, 베이스(110) 상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한 쌍이 배치된다.
가이드 샤프트(120)의 표면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소정의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충격 시험 시, 후술하는 슬라이더(130)의 낙하 높이 설정이 용이해진다.
슬라이더(13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태로서 양단으로는 가이드 샤프트(120)가 연결되는 홀이 형성된다. 슬라이더(130)는 가이드 샤프트(12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130)는 소정의 하중을 갖는다. 본 발명을 이용한 충격 시험 시, 충격 시험 대상에 대하여 인가되는 충격량을 변화시키기 위해, 슬라이더(130)의 낙하 높이를 변화시키거나, 더 큰 하중을 갖는 슬라이더(130)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하중의 변화를 위해 슬라이더(130) 상에 소정의 무게추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임팩트 팁(140)은 슬라이더(130)의 중간 하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더(130)의 낙하 시 충격 시험 대상에 대하여 충격을 인가한다.
임팩트 팁(140)은 구형으로 형성되거나, 충격 시험 대상에 접하는 단부가 중간부보다 예리한 형태로 형성되는 등, 충격 시험 대상에 충격을 인가하기 용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대는 충격 시험 대상인 유리(1)를 고정한다. 고정대는 베이스(110) 중앙 즉, 임팩트 팁(140)의 직하방 위치에 충격 시험 대상인 유리(1)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정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정대(150)는 고정 플레이트(151), 제1 유리 고정판(152A), 제2 유리 고정판(152B) 및 제어 핸들(154)을 포함한다.
고정 플레이트(151)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형 플레이트로서, 베이스(110) 상의 중간에 배치된다. 고정 플레이트(151)는 충격 시험 도중 흔들지 않도록 베이스(110)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유리 고정판(152A)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고정 플레이트(154)의 중앙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제2 유리 고정판(152B)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형태와 크기는 제1 유리 고정판(152A)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유리 고정판(152B)은 고정 플레이트(151) 상에서 제1 유리 고정판(152A)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2 유리 고정판(152B)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동하며 제1 유리 고정판(152A)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된다.
제1 유리 고정판(152A)과 제2 유리 고정판(152B)의 이격 공간으로는 시험 대상인 유리(1)가 배치된다.
여기서, 제2 유리 고정판(152B)의 이동은 사용자의 제어 핸들(154)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대(150)는 너트(155A)와 나사봉(155B)을 더 포함한다.
너트(Nut)(155A)는 제2 유리 고정판(152B)의 하단으로 배치된다.
나사봉(155B)은 고정 플레이트(151)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제어 핸들(154)의 일단과 연결된다. 또한, 나사봉(155B)은 너트(155A)와 결합되어 있어, 제어 핸들(154)의 회전 조작에 의해 나사봉(155B)이 회전하면 너트(155A)가 나사봉(155B)을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2 유리 고정판(152B)이 이동한다.
따라서, 제1 유리 고정판(152A)과 제2 유리 고정판(152B) 사이에 유리(1)가 배치된 후, 제어 핸들(154)의 조작에 의해 유리(1)의 양면으로는 제1 유리 고정판(152A)과 제2 유리 고정판(152B)이 각각 접하여, 유리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2 유리 고정판(152B)의 하부에는 한 쌍의 핀 고정홀(156)이 형성되고, 핀 고정홀(156)로는 고정핀(157)이 삽입됨을 알 수 있다.
고정핀(157)은 제1 유리 고정판(152A)과 제2 유리 고정판(152B)에 의해 고정된 유리(1)의 기울기를 유지한다.
여기서, 고정핀(157)이 삽입되는 핀 고정홀(156)은 제2 유리 고정판(152B)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 유리 고정판(152A)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유리 고정판(152A)과 제2 유리 고정판(152B)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고정핀에 의한 유리의 기울기 유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유리(1)가 제1 유리 고정판(152A)과 제2 유리 고정판(152B) 사이에 배치되되 좌측으로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어져 배치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때, 핀 고정홀로 삽입된 고정핀(157)은 유리(1)의 좌측단과 하단을 지지하며 유리(1)의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유리(1)가 제1 유리 고정판(152A)과 제2 유리 고정판(152B) 사이에 배치되되 우측으로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어져 배치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때, 핀 고정홀로 삽입된 고정핀(157)은 유리(1)의 우측단과 하단을 지지하며 유리(1)의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157)은 임팩트 팁(140)이 유리(1)에 충격을 인가할 때, 유리(1)의 기울기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충격 시험 대상인 유리(1)에 대하여 보다 다양한 충격 시험을 위해, 고정대 상에서 유리의 고정 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고정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정대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정대(1500)는 제1 고정 플레이트(1510), 제2 고정 플레이트(152B), 제1 유리 고정판(1520A), 제2 유리 고정판(1520B), 제1 제어 핸들(1540) 및 제2 제어 핸들(1541)을 포함한다.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관련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고정 플레이트(151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형 플레이트로서, 베이스(110) 상의 중간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 고정 플레이트(1510)는 상부면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2 고정 플레이트(1511)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형 플레이트로서, 제1 고정 플레이트(1510) 상부에 배치된다. 제2 고정 플레이트(1511)는 제1 고정 플레이트(1510)의 상부에서 기울기가 변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고정 플레이트(1511)는 하부면이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2 고정 플레이트(1511)의 하부면의 곡률은 제1 고정 플레이트(1510)의 상부면의 곡률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2 고정 플레이트(1511)는 제1 고정 플레이트(1510) 상에서 전후 기울기가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 플레이트(1511)의 하부면에는 치형부(1512)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2 고정 플레이트(1511)는 제1 고정 플레이트(1510) 상에서 수평으로 배치되는 가상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전후 방향으로 기울기가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정 플레이트(1511)의 회전축은 제1 유리 고정판(1520A) 및 제2 유리 고정판(1520B)의 판면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고정 플레이트(1511)의 기울기 변화는 제2 고정 플레이트(1511)에 연결되는 제2 제어 핸들(1541)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 유리 고정판(1520A)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제2 고정 플레이트(1511) 중앙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제2 유리 고정판(1520B)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형태와 크기는 제1 유리 고정판(1520A)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유리 고정판(1520B)은 제2 고정 플레이트(1511) 상에서 제1 유리 고정판(1520A)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2 유리 고정판(1520B)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동하며 제1 유리 고정판(1520A)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된다. 제2 유리 고정판(1520B)의 이동은 제1 제어 핸들(1540)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 유리 고정판(152A)과 제2 유리 고정판(152B)의 이격 공간으로는 시험 대상인 유리(1)가 배치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고정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대(1500)는 너트(1521), 나사봉(1522), 치형부(1512) 및 웜(1542)을 더 포함한다.
너트(Nut)(1521)는 제2 유리 고정판(1520B)의 하단으로 배치된다.
나사봉(1522)은 제2 고정 플레이트(1511)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제1 제어 핸들(1540)의 일단과 연결된다. 또한, 나사봉(1522)은 너트(1521)와 결합되어 있어, 제1 제어 핸들(1540)의 회전 조작에 의해 나사봉(1522)이 회전하면 너트(1521)가 나사봉(1522)을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2 유리 고정판(1520B)이 이동한다.
따라서, 제1 유리 고정판(152A)과 제2 유리 고정판(152B) 사이에 유리(1)가 배치된 후, 제1 제어 핸들(1540)의 조작에 의해 유리(1)의 양면으로는 제1 유리 고정판(152A)과 제2 유리 고정판(152B)이 각각 접하여, 유리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치형부(1512)는 제2 고정 플레이트(1511)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치형부(1512)는 소정의 곡률로서 볼록하게 형성되고, 소정의 기어이를 포함한다.
웜(Worm)(1542)은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고, 치형부(1512)와 치합된다. 웜(1542)은 제2 제어 핸들(1541)에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의 제2 제어 핸들(1541) 조작에 의해 회전 동작하고, 이에 따라 치형부(1512)가 형성된 제2 고정 플레이트(1511)의 기울기가 변화된다.
촬영부(160)는 슬라이더(130)의 낙하에 의해 임팩트 팁(140)이 유리(1)의 모서리 부위에 접할 때, 이를 촬영하고 촬영물을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고정대를 사용하는 실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는 충격 시험 대상인 유리(1)를 제1 유리 고정판(152A)과 제2 유리 고정판(152B) 사이에 배치한다. 이때, 유리(1)의 엣지(edge) 부위가 임팩트 팁(140)의 직하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슬라이더(130)를 소정의 높이로 위치시킨 후, 슬라이더(130)를 낙하시켜 임팩트 팁(140)이 유리(1)의 엣지(edge) 부위에 충격을 가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서로 다른 하중을 갖는 슬라이더(130)로 교체하거나, 슬라이더(130) 상에 무게추를 추가하며 임팩트 팁(140)에 의한 유리(1)의 충격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130)의 낙하 높이를 변화시키며 임팩트 팁(140)에 의한 유리(1)의 충격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조건을 변화시키며 충격 시험을 하고, 유리(1)가 파손되는 순간의 슬라이더(130)의 높이와 하중을 이용하여 유리의 강도를 계산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고정대를 사용하는 실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는 충격 시험 대상인 유리(1)를 제1 유리 고정판(1520A)과 제2 유리 고정판(1520B) 사이에 배치하고, 제2 제어 핸들(1541)을 제어하여 제2 고정 플레이트(1511)의 전후 기울기를 조정한다. 제2 고정 플레이트(1511) 기울기 조정 시, 유리(1)의 엣지(edge) 부위가 임팩트 팁(140)의 직하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는 슬라이더(130)의 높이, 슬라이더(130)의 하중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511)의 전후 방향기울기를 다양하게 조정하여 유리(1)의 엣지(edge) 부위에 대한 충격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충격 시험 중, 사용자는 촬영부(160)를 이용하여 충격 시험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의 커버 글래스로 사용되는 유리의 엣지 부분에 대하여 충격을 인가하여 유리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유리 충격 시험 장치
110: 베이스 120: 가이드 샤프트
130: 슬라이더 140: 임팩트 팁
150, 1500: 고정대 160: 촬영부

Claims (10)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양단이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연결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 상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낙하 시, 충격 시험 대상인 유리에 대하여 충격을 인가하는 임팩트 팁;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제1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상에 배치되되 기울기가 변화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2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의 중앙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유리 고정판과, 상기 제1 유리 고정판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 상에 이동 가능하게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유리 고정판과 평행한 제2 유리 고정판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제2 유리 고정판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 핸들과,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의 기울기를 제어하는 제2 제어 핸들과,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치형부와, 상기 제2 제어 핸들에 연결되고, 상기 치형부와 치합되는 웜과, 상기 제2 유리 고정판의 하단으로 배치되는 너트와, 상기 제1 제어 핸들에 연결되어 상기 너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제어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너트가 이동하도록 하는 나사봉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충격 시험 대상이 고정 배치되는 고정대; 및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의 하부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의 핀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 고정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충격 시험 대상의 좌우 기울기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충격 시험 대상의 모서리 부위가 상기 임팩트 팁의 직하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유리 충격 시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시험 대상의 모서리에 대하여 충격을 인가할 때 이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유리 충격 시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는, 표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유리 충격 시험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는 수평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기울기가 변화되는 유리 충격 시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및 제2 유리 고정판의 판면과 평행한 유리 충격 시험 장치.
  10. 삭제
KR1020160055417A 2016-05-04 2016-05-04 유리 충격 시험 장치 KR101866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417A KR101866633B1 (ko) 2016-05-04 2016-05-04 유리 충격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417A KR101866633B1 (ko) 2016-05-04 2016-05-04 유리 충격 시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240A KR20170125240A (ko) 2017-11-14
KR101866633B1 true KR101866633B1 (ko) 2018-07-04

Family

ID=60387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417A KR101866633B1 (ko) 2016-05-04 2016-05-04 유리 충격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0583B (zh) * 2018-12-06 2023-11-10 苏州市相城检测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安全的玻璃冲击测试设备
CN110631795B (zh) * 2019-08-28 2021-04-02 深圳同兴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屏的防撞测试设备及测试方法
CN112345389B (zh) * 2020-10-23 2021-06-15 广州幸永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制造中玻璃撞击式检测装置
CN113514357B (zh) * 2021-07-23 2024-04-16 山东沂新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撞击对比测试装置
CN113970417B (zh) * 2021-11-01 2024-03-26 四川雄琛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金刚石复合片轴承生产的抗冲击试验模拟装置
CN116678765B (zh) * 2023-07-21 2024-03-15 江苏上玻玻璃有限公司 一种钢化玻璃生产用耐冲击试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9637A (ja) * 1999-03-01 2000-09-14 Komatsu Electronic Metals Co Ltd 半導体ウエーハの端面強度評価装置
JP2003106968A (ja) * 2001-09-27 2003-04-09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の耐衝撃試験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434216B1 (ko) * 2013-08-12 2014-08-27 강종신 다중 타격 방지 기능을 갖는 판상 시료 측면 충격 테스트 장치
CN205021225U (zh) * 2015-10-12 2016-02-10 九江学院 一种新型电动万向平口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9637A (ja) * 1999-03-01 2000-09-14 Komatsu Electronic Metals Co Ltd 半導体ウエーハの端面強度評価装置
JP2003106968A (ja) * 2001-09-27 2003-04-09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の耐衝撃試験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434216B1 (ko) * 2013-08-12 2014-08-27 강종신 다중 타격 방지 기능을 갖는 판상 시료 측면 충격 테스트 장치
CN205021225U (zh) * 2015-10-12 2016-02-10 九江学院 一种新型电动万向平口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240A (ko) 201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633B1 (ko) 유리 충격 시험 장치
US7380443B2 (en) Hardness testing apparatus
KR101434216B1 (ko) 다중 타격 방지 기능을 갖는 판상 시료 측면 충격 테스트 장치
EP2645080A2 (en) Hardness tester
KR101739075B1 (ko) 구조물의 동강성 계측을 위한 모터 제어 가진장치
JP4709913B2 (ja) タッチパネル検査機
CN209559669U (zh) 一种屏幕保护玻璃临界冲击破损能量测量仪
KR20150135027A (ko) 휴대폰 및 테블릿 화면 커버용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
CN106501974B (zh) 液晶显示面板检查装置的探头单元位置调整装置
ITMI20090591A1 (it) Durometro di tipo universale con dispositivo di lettura dell'impronta perfezionato.
CN108645566A (zh) 一种弹箭质量质心转动惯量测试台
CN108489838A (zh) 接触面原位观测摩擦磨损实验台
KR101738125B1 (ko) 낙하 충격 시험기
KR101373222B1 (ko) 곡면부 두께 측정 장치
KR101377839B1 (ko) 피로 균열 모니터링 장치
US7426022B2 (en) Liquid crystal module brightness measurement apparatus and brightness measurement apparatus
US8516877B2 (en) Drop test apparatus
KR102091857B1 (ko) 시설물의 안전진단용 균열계측장치
JP5319324B2 (ja) ゲーム装置および動作部
CN111693241A (zh) 一种用于显示模组检测的撞击装置
US6612151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friction
JP2013029393A (ja) バドミントンラケット用計測装置
JP3179445U (ja) 硬さ試験機
CN109410715A (zh) 一种多功能物理教学用试验装置
JP3857708B2 (ja) 歪み波形制御装置、歪み規制部材、歪み波形制御装置の歪み波形制御方法、及び歪み波形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