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497B1 -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497B1
KR101767497B1 KR1020157021294A KR20157021294A KR101767497B1 KR 101767497 B1 KR101767497 B1 KR 101767497B1 KR 1020157021294 A KR1020157021294 A KR 1020157021294A KR 20157021294 A KR20157021294 A KR 20157021294A KR 101767497 B1 KR101767497 B1 KR 101767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rea
storage means
information storag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4182A (ko
Inventor
토시카즈 아카마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라므롯쿠에조우기쥬츠켄큐쇼
가부시키가이샤 슈세이코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라므롯쿠에조우기쥬츠켄큐쇼, 가부시키가이샤 슈세이코교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라므롯쿠에조우기쥬츠켄큐쇼
Publication of KR20150104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06K9/00771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08B13/19652Systems using zones in a single scene defined for different treatment, e.g. outer zone gives pre-alarm, inner zone gives alarm
    • G06K9/003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5Detecting or recognising potential candidate objects based on visual cues, e.g. sha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32Surveill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Image Analysi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을 적용한 감시 시스템의 일례인 감시 시스템(1)은, 감시영역기억수단(2)와, 영상분석수단(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감시 시스템(1)은, 유효구역정보기억수단(4)와, 물체기준정보기억수단(5)를 구비하고 있다. 영상 속의 물체의 일부가 감시영역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아닌지인 제1 스텝의 기준과, 소정의 제2 스텝의 기준을 설정해, 이것들에 합치하는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으로 검지대상을 효율 좋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감시 시스템 {MONITOR SYSTEM}
본 발명은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영상 중에서 감시하고 싶은 대상을 효율 좋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범죄 대책이나 방범 대책, 또는 재해 대책 등 다양한 용도로 감시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감시 시스템에 있어 카메라의 설치 장소는 실내외를 불문하고, 예를 들면 역 구내나 점포 등의 건물 안, 혹은 옥외의 문이나 외벽 부분에 장치되기도 한다.
또는, 감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와 수상한 사람 등을 검지할 때에 감시자에게 경보나 신호로 긴급 사태인 것을 알리는 고지수단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감시자가 항상 모니터 영상을 확인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이 존재한다. 이 감시 시스템은 수상한 사람을 검지했을 때만 경보 등으로 알리는 구조를 갖고 있어, 감시자의 부담을 경감하고 감시에 필요한 일손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수상한 사람을 검지해 경보로 알리는 구조를 가지는 감시 시스템의 문제점의 하나로, 검지해야 할 대상을 잘못 인식해서 경보가 작동해버리는 일을 들 수 있다. 경비원 등, 수상한 사람으로서 검지하고 싶지 않은 인물까지 검지하여 경보를 울려버리는 것이다. 경보 작동이 빈발하면 감시자는 그때마다 영상이나 현장 확인을 행할 필요가 생겨버린다. 이것은 감시자의 부담이 되어 감시 시스템으로 사용하기 편하다고는 할 수 없다.
이런 중에 영상에 비치는 물체 중, 특정한 인물은 검지 대상에서 제외하고, 수상한 사람만을 검지하기 쉽게 한 감시 시스템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감시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에는 도 6에 나타낸 듯한 감시 시스템(100)이 기재되어 있다. 감시 시스템(100)은 감시제어장치(101)과, 감시카메라(102)와, 검지하고 싶지 않은 대상자에 갖게 하는 알림제외신호출력장치(103)을 가진다. 알림제외신호출력장치(103)은 알림제외패턴에 따른 광원(104)의 깜빡임을 행하고, 감시제어장치(101)은 광원(104)의 발광을 가진 움직이는 동체를 알림제외자라고 인식한다.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번호 특개2008-250898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감시 시스템에서는, 검지대상에서 제외되는 인물은 알림제외신호출력장치를 가진 사람에게 한정되어 버린다. 즉, 어느 특정한 인물의 왕래에만 한정되는 공간이라면 유효한 감시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이외의 인물의 왕래가 상정되는 장소, 예를 들어 일반인도 이용하는 주차장 등에서는 경보의 작동이 빈발해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옥외에서 새 등의 동물이 날아드는 것이 상정되는 환경에서는, 인간 이상으로 경보 작동이 많아져 버리는 일이 예상된다. 동물에 대한 대책으로서, 감시대상을 인간으로 한정하기 위해 촬영된 영역 안에서 검지 대상의 인식을 행하는 범위를 한정하거나, 인간의 형상을 영상의 판정 수단에 기억시켜, 동물을 제외하거나 하는 시스템도 존재한다.
그러나, 범위를 한정하는 방법에서는 수상한 사람의 전체상이 비치지 않고, 검지는 할 수 있으나 명확한 영상을 취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검지대상을 인간으로 하기 위해 형상으로 한정을 한 경우에도 빛의 정도나 움직임에 의해 새가 인간처럼 비쳐서 인간으로 인식되거나, 윤곽이 선명하지 않아서 형상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기도 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비추어 창안된 것이며, 영상 안에서 감시하고 싶은 대상을 효율 좋게 검지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은 촬영영역 안의 일부의 영역인 감시영역을 기억하는 감시영역기억수단과, 입력된 영상 안의 물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감시영역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감시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아닌지를 동 감시영역 내에서만 판단함과 더불어, 상기 물체의 적어도 일부가 동 감시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촬영영역에서 얻어진 상기 감시영역의 내외에 위치하는 물체의 전체영상정보와, 상기 촬영영역 전체에서 얻어진 상기 물체가 가지는 각종 파라미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각종 파라미터의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 구성된 영상분석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서, 촬영 영역 안의 일부 영역인 감시영역을 기억하는 감시영역기억수단을 가지는 것에 의해, 촬영 영역 안의 특정 범위를 감시영역으로서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촬영 영역이란 감시하고 싶은 영역을 카메라로 촬영한 것을 의미한다.
또는, 입력된 영상 안의 물체의 적어도 일부가 감시영역기억수단에 기억된 감시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영상분석수단을 가지는 것에 의해, 물체의 일부가 감시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물체가 감시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체는 검지하고 싶은 대상에서 배제된다. 즉, 감시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아닌지의 판단이 검지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제1 스텝이 된다. 또한 감시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물체를 불필요한 정보로서 제외하는 것으로, 검지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체의 적어도 일부가 감시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물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 구성된 영상분석수단을 가지는 것에 의해, 물체의 일부가 감시영역 내에 들어간 것만을 대상으로, 그 물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감시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하는 제1 스텝의 판단을 거친 물체에 대해, 소정의 조건에 합치하는지 아닌지 라는 제2 스텝에서 판단하는 것으로 검지대상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체의 적어도 일부가 감시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물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 구성된 영상분석수단을 가지는 것에 의해, 두 개의 다른 판단대상영역을 가지고 검지대상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스텝에서는 감시영역 내에서만 판단을 행하는 것에 비해, 제2 스텝에서는 촬영 영역에 들어간 물체의 전체상을 가지고 판단을 행한다. 제2 스텝에 있어, 물체의 감시영역 이외에 위치하는 부분도 포함해 전체상을 확인할 수가 있어서 물체를 검지해도 감시영역 내에서만의 선명하지 않은 형상밖에 확인할 수 없었던 단점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한, 입력된 영상 안의 물체의 적어도 일부가 감시영역기억수단에 기억된 감시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함과 더불어, 물체의 적어도 일부가 감시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물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구성된 영상분석수단을 가지는 것에 의해, 제1 스텝과 제2 스텝의 두 개의 판단 기준을 갖고, 물체가 검지대상인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스텝에서는 다른 기준이 설정되므로 검지의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텝은 감시영역 내, 제2 스텝은 촬영영역에 들어간 물체의 전체상과 판단대상영역이 다르므로, 검지대상인지 아닌지의 판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제1 스텝에서 감시영역 내에 위치한 물체만이 제2 스텝의 판단대상이 되어 제1 스텝에서 불필요한 정보는 제외되기 때문에, 검지의 효율을 더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촬영영역 안의 소정의 영역임과 더불어, 감시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영역을 유효 영역으로서 기억하는 유효영역기억수단을 가지는 경우에는, 촬영영역 안의 특정 범위를 유효영역으로서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유효영역'이란, 그 범위 내에 들어가는 물체만을 검지대상으로서 검지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한편, 유효영역의 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는 물체는 검지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이 된다.
또한, 영상분석수단이 소정의 조건으로서 물체가 유효영역기억수단에 기억된 유효영역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경우에는 제2 스텝의 판단이 유효영역을 기준으로 행해지는 것이 된다. 즉, 제1 스텝의 판단을 거친 물체가 기억된 유효영역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검지대상으로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검지대상으로 하고 싶은 물체가 범위 내에 들어가는 유효영역을 설정하는 것으로 그것보다도 큰 물체를 검지대상에서 제외해, 검지대상인지 아닌지의 판단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체의 형상의 상한 또는 하한의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물체기준정보로서 기억하는 물체기준정보기억수단을 가지는 경우에는, 물체의 형상의 상한이나 하한을 물체기준정보로서 설정하여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분석수단이 소정의 조건으로서, 물체의 형상이 물체기준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물체기준정보의 상한 이상 또는 하한 이하에 해당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제2 스텝의 판단이 물체기준정보를 기준으로 행해지는 것이 된다. 즉, 상한만을 설정한 경우에는 물체의 형상이 설정한 상한 이상인지, 또는 상한 미만인지를 판단해서 검지대상인지 아닌지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하한만을 설정한 경우에는 하한 이상인지, 또는 하한 미만인지를 판단해서 검지대상인지 아닌지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양쪽을 설정해서 상하한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기준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물체가 촬영영역 내에 위치한 시간의 정보를 촬영영역위치시간정보로서 기억하는 촬영영역위치시간정보기억수단을 가지는 경우에는 물체가 촬영영역에 위치한 시간을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분석수단이 소정의 조건으로서 촬영영역위치시간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촬영영역위치시간정보가 소정의 시간을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경우에는 제2 스텝의 판단이 촬영영역위치시간정보를 기준으로 행해지는 것이 된다. 즉, 촬영영역 중에 장시간에 걸쳐 위치하는 것을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시간을 넘은 경우에 조건에 합치하고, 검지대상으로서 특정할 수가 있다. 또한, 촬영영역 중에 단시간에 한정해 위치하는 것을 검지하고 싶은 때에는 소정의 시간을 넘지 않는 경우에 조건에 합치해, 검지대상으로서 특정할 수가 있다.
또한, 물체가 촬영 영역 내에 이동한 때의 가속도의 정보를 가속도정보로서 기억하는 가속도정보기억수단을 가지는 경우에는 촬영영역 내에서의 물체의 가속도를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분석수단이 소정의 조건으로서 가속도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가속도정보가 소정의 가속도를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제2 스텝의 판단이 가속도정보를 기준으로 행해지는 것이 된다. 즉, 활영영역 중에서 재빨리 움직이기 시작하는 것을 검지하고 싶은 때에는, 소정의 가속도를 넘은 경우에 조건에 합치해, 검지대상으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촬영영역 중에서 천천히 움직이기 시작하는 것을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가속도를 넘지 않는 경우에 조선에 합치해, 검지대상으로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체의 색조의 정보를 색조정보로서 기억하는 색조정보기억수단을 가지는 경우에는, 물체가 가지는 색조를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분석수단이 소정의 조건으로서 색조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색조정보가 소정의 색조에 해당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제2 스텝의 판단이 색조정보를 기준으로 행해지는 것이 된다. 즉, 특정의 색조를 가지는 물체만을 검지하고 싶은 때에는 물체가 특정의 색조를 가지는 경우에 조건에 합치해, 검지대상으로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건으로 하는 색조를 복수 지정해서 색조에 범위를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체의 밝기 정보를 휘도 정보로서 기억하는 휘도정보기억수단을 가지는 경우에는 물체의 밝기(휘도)를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분석수단이 소정의 조건으로서 휘도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휘도정보가 소정의 휘도에 해당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경우에는, 제2 스텝의 판단이 휘도정보를 기준으로 행해지는 것이 된다. 즉, 촬영영역 내에서 밝은 것을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휘도를 넘은 경우에 조건에 합치해, 검지대상으로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촬영영역 안에서 어두운 것을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휘도를 넘지 않는 경우에 조건에 합치해, 검지대상으로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체의 촬영영역 내에 있어서 면적점유율의 정보를 면적점유율정보로서 기억하는 면적점유율정보기억수단을 가지는 경우에는, 촬영영역 내에서 물체가 점하는 면적률을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분석수단이 소정의 조건으로서 면적점유율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면적점유율정보가 소정의 면적점유율을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경우에는, 제2 스텝의 판단이 면적점유율정보를 기준으로 행해지는 것이 된다. 즉, 촬영영역의 대부분을 점하는 것을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면적률을 넘은 경우에 조건에 합치해, 검지대상으로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촬영영역의 근소한 부분을 점하는 것을 검지하고 싶은 때에는 소정의 면적률을 넘지 않은 경우에 조건에 합치해, 검지대상으로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체가 발하는 음량의 정보를 음량정보로서 기억하는 음량정보기억수단을 가지는 경우에는 물체가 발하는 음량을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분석수단이 소정의 조건으로서 음량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음량정보가 소정의 음량을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경우에는, 제2 스텝의 판단이 음량정보를 기준으로 행해지는 것이 된다. 즉, 커다란 소리를 발하는 물체를 검지하고 싶은 때에는 소정의 음량을 넘은 경우에 조건에 합치해, 검지대상으로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작은 소리를 발하는, 또는 소리를 내지 않는 물체를 검지하고 싶은 때에는 소정의 음량을 넘지 않는 경우에 조건에 합치해, 검지대상으로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체의 온도 정보를 온도정보로서 기억하는 온도정보기억수단을 가지는 경우에는 물체의 온도를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분석수단이 소정의 조건으로서 온도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온도정보가 소정의 온도를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제2의 스텝의 판단이 온도정보를 기준으로 행해지는 것이 된다. 즉, 고온의 물체를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온도를 넘은 경우에 조건에 합치해, 검지대상으로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저온의 물체를 검지하고 싶은 때에는 소정의 온도를 넘지 않은 경우에 조건에 합치해, 검지대상으로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체의 습도 정보를 습도정보로서 기억하는 습도정보기억수단을 가지는 경우에는 물체의 습도를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분석수단이 소정의 조건으로서 습도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습도정보가 소정의 습도를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제2의 스텝의 판단이 습도정보를 기준으로 행해지는 것이 된다. 즉, 습도가 높은 물체를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습도를 넘은 경우에 조건에 합치해, 검지대상으로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습도가 낮은 물체를 검지하고 싶은 때에는 소정의 습도를 넘지 않은 경우에 조건에 합치해, 검지대상으로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체의 악취 정보를 악취정보로서 기억하는 악취정보기억수단을 가지는 경우에는 물체의 악취를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분석수단이 소정의 조건으로서 악취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악취정보가 소정의 악취에 해당하는지 아닌지 또는 소정의 악취 강도를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제2의 스텝의 판단이 악취정보를 기준으로 행해지는 것이 된다. 즉, 강한 악취를 발하는 물체를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악취 강도를 넘은 경우에 조건에 합치해, 검지대상으로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약한 악취를 발하는 물체를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악취 강도를 넘지 않은 경우에 조건에 합치해, 검지대상으로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분석수단의 판단결과를 고지하는 고지수단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물체가 검지대상으로서 특정된 때에 경보나 신호 등으로 감시자에게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련한 감시 시스템은 영상 안에서 감시하고 싶은 대상을 효율 좋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감시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감시영역에 의한 판단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1)이다.
도 3은 감시영역에 의한 판단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2)이다.
도 4는 유효구역에 의한 판단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물체기준정보에 의한 판단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종래 감시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감시 시스템의 일례에 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하여 본 발명의 이해를 돕는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감시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감시영역에 의한 판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1)이다. 도 3은, 감시영역에 의한 판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2)이다. 도 4는, 유효구역에 의한 판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물체기준정보에 의한 판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듯이, 본 발명을 적용한 감시 시스템의 일례인 감시 시스템(1)은 감시영역기억수단(2)와 영상분석수단(3)을 구비하고 있다.
감시영역기억수단(2)는, 카메라(7)에서 촬영된 촬영영역(10) 안의 일부의 영역인 감시영역(11)을 기억하는 것이다. 감시영역(11)은 촬영영역(10) 안의 검지대상이 포함되기 쉬운 위치 및 범위를 선택해 설정한다. 또한, 영상분석수단(3)은 영상을 분석해 촬영영역 내의 물체가 제1 스텝 및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물체가 어느 쪽의 조건에도 합치한 경우에 영상분석수단(3)은 물체를 검지대상으로서 특정한다.
제1 스텝의 조건은 촬영영역 내의 물체가 감시영역(11)의 범위 내에 일부라도 포함되는지 아닌지가 기준이 된다. 또한, 제2 스텝의 조건은 촬영영역 내의 물체의 크기나 형상, 위치한 시간이나 온도 등, 각종 파라미터가 기준이 된다. 검지대상에 맞추어 검지에 알맞은 제2 스텝의 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조건을 짜맞추어 검지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감시 시스템(1)은 제2 스텝이 조건의 기준이 되는 유효구역을 기억하는 유효구역정보기억수단(4)(유효영역정보기억수단의 일례이다.)과, 마찬가지로 제2 스텝의 조건의 기준이 되는 물체기준정보를 기억하는 물체기준정보기억수단(5)를 구비하고 있다.
유효구역(14)란, 그 범위 내에 포함되는 물체만을 검지대상으로서 검지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유효구역(14)에서 밀려나온 물체는 검지대상에서 제외된다. 또한, 감시영역(11)과 유효구역(14)는 적어도 일부가 중복된 영역을 가지는 형태로 설정된다. 이것은 감시영역(11)과 유효구역(14)가 완전히 중복되지 않는 경우에는 양쪽의 조건을 만족하는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되어, 감시 시스템의 의미를 이루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물체기준정보기억수단(5)는, 물체기준정보로서, 물체의 형상의 상한이나 하한을 설정해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미리 검지대상의 크기나 형상으로 상하한을 설정하는 것으로 설정한 조건에 합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해 검지대상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반드시 감시영역(11)을 설정해 제1 스텝의 조건으로 할 필요는 없고, 촬영영역 안의 특정 영역을 비감시영역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감시영역을 설정하는 것으로, 그 이외의 영역을 감시영역(11)로 한다. 예를 들어, 새가 찍히기 쉬운 공중 부분의 특정 영역을 비감시영역으로서 설정하는 것으로, 검지대상에서 새를 제외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반드시 감시 시스템(1)이 유효구역정보기억수단(4)를 구비하는 필요는 없다. 단, 유효구역을 설정하는 것으로 유효구역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것은 검지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정 검지대상을 검지하기 쉽게 한다는 점에서 감시 시스템(1)이 유효구역정보기억수단(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시 시스템(1)이 유효구역정보기억수단(4)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체기준정보를 비롯해, 적어도 하나는 제2 스텝의 조건이 설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반드시 감시 시스템(1)이 물체기준정보기억수단(5)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단, 물체의 형상의 상한이나 하한을 검지의 조건으로서 설정하는 것으로, 특정의 크기나 형상을 가지는 물체만을 검지하기 쉽게 한다는 점에서, 감시 시스템(1)이 물체기준정보기억수단(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시 시스템(1)이 물체기준정보기억수단(5)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효구역정보를 비롯해, 적어도 하나는 제2 스텝의 조건이 설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제2 스텝의 조건은, 유효구역정보기억수단(4)와, 물체기준정보기억수단(5)에서 기억되는 기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검지대상의 특징에 따라, 후술하는 각종의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는 제1 스텝과 제2 스텝의 2단계로 검지대상을 특정하고 있는데, 이것은 하나의 사례에 지나지 않는다. 즉, 제3 스텝 이후를 추가해서 영상분석수단(3)에서 판단시키는 감시 시스템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2 스텝에서는 유효구역을 조건으로 판단을 행해 조건에 합치하는 경우는 제3 스텝에서 물체기준정보를 기준으로 검지대상으로서 특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감시영역기억수단(2)와, 영상분석수단(3)과, 유효구역정보기억수단(4), 물체기준정보기억수단(5)는 컴퓨터(6)상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으로서 실제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감시 시스템(1)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7)와,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8)을 갖추고 있다. 또한, 감시 시스템(1)은, 영상분석수단의 판단결과를 고지하는 고지수단(9)를 구비하고 있다. 고지수단(9)로서는, 예를 들면 인터넷을 이용한 통신수단을 이용하는 것으로, 원격지의 감시자에게 상황을 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피커 등을 이용한 음향수단을 이용하는 것으로, 감시자에게 상황을, 음성을 가용해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램프 등을 이용한 발광수단을 이용하는 것으로, 감시자에게 상황을 램프의 점등을 사용해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반드시 감시 시스템(1)이, 모니터(8)을 구비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감시 시스템(1)이 침입자 등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영상으로 표시할 필요는 없다. 단, 촬영영역 안의 물체를 영상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점 및 유효구역이나 물체기준정보의 설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점에서, 감시 시스템(1)이 모니터(8)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드시 감시 시스템(1)이 고지수단(9)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단, 감시자가 검지대상의 조건에 합치하는 것이 촬영되는 영역 안에 존재하는 것을 실시간으로 아는 것이 가능한 점에서 감시 시스템(1)이 고지수단(9)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감시 시스템(1)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그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감시영역에서 판단을 행하는 제1 스텝의 조건의 판단에 관해 설명한다.
도 2에는 제1 스텝에서 감시영역(11)을 설정한 도를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감시영역(11)은 검출대상으로 하는 침입자(12)의 동체부분이 감시영역(11)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영역을 설정하고 있다. 설정한 감시영역(11)은 감시영역기억수단(2)에 기억시킨다. 감시영역(11)은 촬영영역(10)의 일부라면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다.
또한, 감시영역(11)은, 카메라(7)의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8)과 마우스(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해 영상을 확인하면서 설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시영역(11)의 설정방법은 모니터(8)과 마우스를 이용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감시영역(11)이 설정가능하다면 어떠한 방법을 써도 좋다. 또한, 비감시영역을 설정해서 감시영역(11)을 특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검지대상에 해당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한 제1 스텝의 조건으로서, 감시영역(11)의 범위 내에 침입자의 일부가 포함되는지가 조건이 된다. 제2(a)에 나타낸 듯이, 침입자(12)가 감시영역(11)의 범위 내에 일부라도 포함되는 경우에는 영상분석수단(3)은 다음의 제2 조건에서 판단을 행하는 제2 스텝으로 이행한다. 또한, 도 2(a)에서, 침입자(12)의 전체상 중, 감시영역(11)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실선으로 그린 부분이 검지의 대상부분이 된다. 또한, 감시영역(11)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부분은 점선으로 나타내고, 제1 스텝에 있어서는, 검지의 대상에서는 제외된다.
도 2(a)에서는, 침입자(12)의 동체부분이 감시영역(11)의 범위 내에 포함되므로, 영상분석수단(3)은 제1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2 스텝으로 이행한다. 침입자(12)는, 도 2(b)에서 나타낸 듯이, 감시영역(11) 이외의 부분도 포함해서 전체상이 제2 스텝의 조건의 판단 대상이 되므로, 도 2(a)와 달리, 침입자(12)의 전체상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한편, 물체(예를 들면 새(13)이라고 한다.)가 촬영영역(10)의 안에는 존재하지만, 감시영역(11)의 범위 내에 일부도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물체는 검지대상에서 제외되어, 제2 스텝의 조건에서의 판단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3(a)에는 감시영역(11) 안에 새(13)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새(13)이 하늘을 나는 경우(13-1)나 지면 부근에 있는 경우(13-2)는, 감시영역(11)의 범위 내에 새(13)의 일부분도 포함되지 않는다. 새(13-1)(13-2)는 어느 쪽도 감시영역(11)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결과, 새(13)은 제1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지 않고, 영상분석수단(3)은 새(13)을 검지대상에서 제외한다. 도 3(b)에 나타낸 듯이, 새(13)은 제2 스텝에 있어서 판단의 대상이 되지 않고, 촬영영역(10) 안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취급된다. 즉, 감시영역(11)에 일부도 걸리지 않는 새(13)을 검지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가능해서, 검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스텝의 조건으로서, 유효구역을 이용해 판단을 행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4에는 유효구역(14)에 설정한 영상을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이미 제1 스텝에 있어서 영상 안의 침입자(12)가 감시영역(11)의 범위 내에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어, 제2 스텝으로 이행한 것으로 설명을 행한다.
유효구역(14)의 설정은, 감시영역(11)의 설정과 마찬가지로, 모니터(8)과 마우스에 의해, 영상을 확인하면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검지대상이 범위 내에 들어가는 것이 예상되는 특정 범위를 유효구역(14)로 설정해, 유효구역정보기억수단(4)에 기억된다. 여기서는, 침입자(12)가 범위 내에 들어가는 크기와 침입자(12)가 지나가는 것이 예상되는 위치에서 유효구역(14)를 설정하고 있다.
또한, 제2 스텝에 있어서는, 촬영영역에 들어간 물체의 전체상이 조건판단의 대상이 된다. 즉, 제1 스텝의 조건인 감시영역(11)에서의 판단에서는, 물체의 일부가 감시영역 내에 존재하고 있으면 되고, 그 외의 부분이 감시영역(11)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고 있어도 조건에 합치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제2 스텝에서는 감시영역(11) 이외에 위치하는 부분도 포함해서, 촬영영역과 물체의 전체상에서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도 4(a)에, 물체가 유효구역(14)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경우를 나타낸다. 침입자(12)는 설정한 유효구역(14)의 범위 내에 들어가, 영상분석수단(3)이 침입자(12)를 제2의 기준에 합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검지대상으로 특정한다. 영상분석수단(3)의 판단 결과는 통신회선 등을 통해 고지수단(9)에 전달되어, 음향이나 램프를 이용한 경보에 의해 검지대상의 존재를 감시자에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도 4(b)에 물체가 유효구역(14)의 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자동차(15)는 침입자(12)보다도 커서 설정한 유효구역(14)의 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고, 범위에서 비어져 나오는 것이 된다. 이 경우는 제2 스텝의 조건의 판단에 있어, 자동차(15)가 조건에 합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어, 검지대상에서 제외된다. 또한 유효구역(14)의 범위 외에만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2 스텝의 조건의 기준에 합치하지 않아, 검지대상에서는 제외된다. 영상분석수단(3)이 제2 스텝 조건의 기준에 합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고지수단(9)는 작동하지 않는다.
또한, 제2 스텝의 조건으로서 물체기준정보를 이용해 판단을 행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5에는 물체기준정보로서 침입자(12)의 상한과 하한을 설정한 영상을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이미 제1 스텝에 있어서 영상 안의 침입자(12) 및 새(13)이 감시영역(11)의 범위 내에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어, 제2 스텝으로 이행한 것으로서 설명을 행한다.
우선, 물체기준정보의 설정은 감시영역(11)의 설정과 마찬가지로, 모니터(8)과 마우스에 의해 영상을 확인하면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검지대상의 크기와 형상에 맞춘 상하한의 범위를 물체기준정보로서 설정해서 물체기준정보기억수단(5)에 기억된다.
도 5(a)에서는, 검지대상으로 하고 싶은 물체로서 침입자(12) 및 검지대상으로 하고 싶지 않은 물체로서 새(13)을 가리키고 있다. 상한(일례로서 큰 직사각형(16)이라 한다.)은 침입자(12)보다도 약간 크게 범위를 설정한다. 또 하한(일례로서 작은 직사각형(17)이라 한다.)은 큰 직사각형보다 작고, 새(13)보다도 약간 큰 범위로 한다. 큰 직사각형(16)보다도 작고, 작은 직사각형(17)보다도 큰 물체를 검지대상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직사각형은 상하한의 범위를 설정할 때의 형상의 일례이며, 범위를 결정하는 형상은 직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b)에, 촬영영역 안에 침입자(12)가 존재해,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침입자(12)는, 큰 직사각형(16)보다도 작고, 작은 직사각형(17)보다도 큰 물체이며, 설정한 상하한의 범위 내에 포함되기 때문에, 영상분석수단(3)이 침입자(12)를 검지대상으로 특정한다. 영상분석수단(3)의 판단 결과는 통신회선 등을 통해 고지수단(9)에 전달되어, 음향이나 램프를 이용한 경보에 의해, 검지대상의 존재를 감시자에게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도 5(c)에, 영상 안에 새(13)만이 존재하고, 제2 스텝 조건에 합치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새(13)은 작은 직사각형(17)보다도 작은 물체이며, 설정한 하한 미만이 것이다. 이 경우는 제2 스텝의 조건의 판단에 있어서, 새(13)이 조건에 합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어, 검지대상에서 제외된다. 도 5(c)에서는, 새(13)이 상하한의 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는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조건에 있어서는, 큰 직사각형(16)보다도 큰 물체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2 스텝의 조건의 기준에 합치하지 않아 검지대상에서는 제외된다. 영상분석수단(3)이 제2 스텝의 조건의 기준에 합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고지수단(9)는 작동하지 않는다.
또한, 도 5의 예에서는, 상하한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을 제2 스텝의 조건의 기준으로 했는데, 조건의 설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체의 형상의 상한만이나 하한만으로 기준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검지하고 싶은 대상의 크기나 형상에 맞추어, 조건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체의 크기와 형상은, 카메라(7)이 설치된 위치나 촬영하는 범위의 넓이나 안길이에 의해 다른 것으로 되어간다. 구체적으로는, 안길이가 넓은 영역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촬영영역의 앞쪽에 위치하는 물체와, 안쪽에 위치하는 물체는 크기와 형상이 현저하게 다른 것이 된다. 이와 같은 경우는, 복수의 상하한의 조합을 설정해, 어느 쪽인가의 조건에 합치하는 때에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 것으로 판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스텝의 조건으로서, 유효구역과 물체기준정보를 설정하는 경우를 하나하나 설명했는데, 이 양쪽을 조합해 제2 스텝의 조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합한 경우에는 각각을 단독으로 설정하는 경우보다도 더 검지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의 부분에서는 유효구역과 물체기준정보를 제2 스텝의 조건으로서 이용한 경우의 감시 시스템(1)의 설명을 하였다. 이어서, 제2 스텝의 조건으로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기준에 관해 그 외 실시형태로서 서술해 간다.
우선, 다른 실시형태 1로서, 촬영영역위치시간정보기억수단을 구비한 감시 시스템(1)을 들 수 있다. 촬영영역위치시간정보란, 물체가 촬영영역(10)의 안에 위치한 시간을 가리키고, 영상분석수단(3)이 촬영영역위치시간정보로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촬영영역 안에 장시간에 걸쳐 위치하는 것을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시간을 넘은 경우에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 것으로 설정을 행한다. 예를 들어, 일정시간 논밭에 머물며 작물을 망치는 해로운 짐승을 검지하고 싶은 경우는, 논밭에 머무는 시간보다 약간 짧은 시간을 설정해서 해로운 짐승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촬영영역 안에 단시간에 한정해 위치하는 것을 검지하고 싶은 때에는, 소정의 시간을 넘지 않는 경우에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 것으로서 설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주차권 기계가 설정된 주차장 출입구를 출입하는 차를 검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차가 기계 부근에 섰다가 나가기까지의 시간의 평균시간보다도 짧은 시간을 설정하는 것으로 출입하는 차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 2로서, 가속도정보기억수단을 구비한 감시시스템(1)을 들 수 있다. 가속도정보란, 물체가 촬영영역 안을 이동한 때의 가속도를 나타내고, 영상분석수단(3)이 가속도 정보로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촬영영역 안에서 재빠르게 움직이는 것을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가속도를 넘은 경우에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 것으로 설정을 한다. 예를 들면, 편의점의 계산대의 강도대책으로서 점포에서 재빨리 떠나가는 강도를 검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인간이 재빠르게 움직일 때의 가속도보다도 약간 작은 가속도를 기준으로 해서 설정한다. 이 가속도보다도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강도나 수상한 사람으로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촬영영역 안에서 천천히 움직이는 것을 검지하고 싶은 때에는, 소정의 가속도를 넘지 않는 경우에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 것으로 설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움직임이 느린 동물의 행동을 관찰하고 싶은 경우에는, 대상이 되는 동물의 움직임보다도 약간 큰 가속도를 기준으로 해서 설정한다. 이 가속도보다도 느린 움직임을 하는 동물을 관찰대상으로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 3으로서, 색조정보기억수단을 구비한 감시 시스템(1)을 들 수 있다. 색조정보란, 물체의 색조를 가리키며, 영상분석수단(3)이 색조정보로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촬영영역 안에서 특정의 색조를 가지는 물체를 검지하고 싶은 때에는, 특정의 색조를 가지는 경우에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 것으로 설정을 한다. 예를 들면, 빨간색 자동차만을 검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빨간 색조를 기준으로 해서 설정하는 것으로, 빨간 자동차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 4로서, 휘도정보기억수단을 구비한 감시 시스템(1)을 들 수 있다. 휘도정보란, 물체의 밝기를 가리키며, 영상분석수단(3)이 휘도정보로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촬영영역 안에서 밝은 것을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휘도를 넘는 경우에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 것으로 설정을 한다. 예를 들면, 야간 통행이 금지된 도로를 지나는 차를 검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차 라이트의 밝기보다 약간 약한 휘도를 기준으로 해서 설정한다. 차가 라이트를 켜고 통행한 경우에 기준의 휘도를 넘은 밝기를 가진 물체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촬영영역 안에서 어두운 것을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휘도를 넘지 않는 경우에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 것으로 설정을 한다. 예를 들면, 라이트가 켜지지 않은 자전거를 검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자전거 라이트의 밝기보다 약간 약한 휘도를 기준으로 해서 설정한다. 라이트를 끈 자전거가 통행한 경우에 기준의 휘도를 넘지 않는 물체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 5로서, 면적점유율정보기억수단을 구비한 감시 시스템(1)을 들 수 있다. 면적점유율정보란, 촬영영역 안에 있어 물체가 차지하는 면적점유율을 가리키며, 영상분석수단(3)이 면적점유율정보로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촬영영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면적률을 넘는 경우에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 것으로 설정을 한다. 예를 들면, 안길이가 있는 촬영영역에 있어, 카메라를 설치한 위치 근처를 지나는 물체만을 검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근처를 지나는 물체의 면적점유율보다 약간 작은 값을 기준으로 해서 설정한다. 근처를 지나는 물체는, 촬영영역에 있어 커다란 면적을 차지하는 것이 되어 기준의 면적률을 넘기 때문에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촬영영역의 근소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면적률을 넘지 않는 경우에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 것으로 설정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의 경우와는 반대로, 안길이가 있는 촬영영역에 있어, 카메라를 설치한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곳을 지나는 물체만을 검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멀리 떨어진 곳을 지나는 물체의 면적점유율보다 약간 큰 값을 기준으로 해서 설정한다. 멀리 떨어진 곳을 지나는 물체는, 촬영영역에 있어 근소한 면적을 차지하는 것이 되어 기준의 면적률을 넘지 않기 때문에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 6으로서, 음량정보기억수단을 구비한 감시 시스템(1)을 들 수 있다. 음량정보란, 물체가 발하는 음량의 정보를 가리키며, 영상분석수단(3)이 음량정보로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커다란 소리를 발하는 물체를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음량을 넘은 경우에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 것으로 설정을 한다. 예를 들면, 사람의 출입이 곤란한 정밀기계의 제조라인의 이상을 알아차리기 위해 음량정보의 조건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상운전 시에는 소리는 크게 되지 않지만, 이상 시에 구동음이 커지는 경우에, 이상 시의 구동음보다 약간 작은 음량을 기준으로 해서 설정한다. 제조라인에 이상이 있어, 구동음이 커진 때에 감시자가 제조라인에 가까이 가지 않고 이상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작은 소리를 발하는, 또는 소리를 내지 않는 물체를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음량을 넘지 않는 경우에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 것으로 설정을 한다. 예를 들면, 소리가 조용한 전기자동차의 발진을 검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발진음보다도 약간 큰 소리를 기준으로 한다. 전기자동차가 발진할 때에 기준의 소리보다도 작은 소리를 발하는 물체이기 때문에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 7로서, 온도정보기억수단을 구비한 감시 시스템(1)을 들 수 있다. 온도정보란, 물체의 온도의 정보를 가리키며, 영상분석수단(3)이 온도정보로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고온의 물체를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온도를 넘는 경우에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 것으로 설정을 한다. 예를 들면, 쓰레기 버리는 곳의 방화를 검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라이터 등의 열원이 발하는 온도보다 약간 낮은 온도를 기준으로 해서 설정한다. 라이터 등의 열원이 존재하면, 기준의 온도를 넘기 때문에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저온의 물체를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온도를 넘지 않는 경우에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 것으로 설정을 한다. 예를 들면, 온도를 제어해서 작물을 키우는 비닐하우스 내에서 온도가 내려가는 이상을 검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대의 하한이 온도를 기준으로 해서 설정한다. 기후 조건이나 하우스 내의 온도제어가 잘 되지 않아 기준의 온도를 밑도는 경우에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 8로서, 습도정보기억수단을 구비한 감시 시스템(1)을 들 수 있다. 습도정보란, 물체의 습도의 정보를 가리키며, 영상분석수단(3)이 습도정보로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습도가 높은 물체를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소정의 습도를 넘은 경우에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 것으로 설정을 한다. 예를 들면, 일정의 습도 이하로 유지하고 싶은 박물관의 전시실에 있어, 소정의 습도를 기준으로 해서 설정한다. 에어컨의 설정이나 기후에 의해 전시용 유리에 물방울이 생긴 경우로, 습도가 소정의 기준을 넘은 경우에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 9로서, 악취정보기억수단을 구비한 감시 시스템(1)을 들 수 있다. 악취정보란, 물체의 악취의 정보를 가리키며, 영상분석수단(3)이 악취정보로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악취가 강한 물체를 검지하고 싶을 때에는, 악취 강도가 소정의 강도를 넘은 경우에 제2 스텝의 조건에 합치하는 것으로 설정을 한다. 예를 들면, 휘발성 및 인체에 유해한 악취를 발하는 화학물질의 저장고에 있어서, 화학물질이 새는 것을 검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그 화학물질이 휘발됐을 때의 악취 강도를 기준으로 해서 설정한다. 무언가의 이유로 화학물질이 새어 나와 기준의 악취 강도를 넘은 경우에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감시 시스템은, 영상 속의 물체의 일부가 감시영역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아닌지의 제1 기준과, 소정의 제2 기준을 설정해, 이들에 합치하는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으로, 검지대상을 효율 좋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스텝의 조건에서는, 감시영역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물체는 검지대상에서 제외된다. 불필요한 정보를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새 등의 작은 동물을 원인으로 하는 경보의 작동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 스텝의 조건에서는 특정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물체를 검지하는 유효구역정보나 물체의 크기나 형상으로 물체의 상하한의 범위를 설정하는 물체기준정보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검지대상에 맞춰 범위나 크기를 설정하여, 목적하는 물체를 효율 좋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스텝의 조건에서는, 촬영영역에 위치하는 시간, 가속도, 색조, 휘도 등의 물체가 가지는 각종 파라미터를 이용해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체의 형상에만 의존하지 않고, 검지 대상의 특징에 맞춘 조건으로 기준을 정해, 물체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감시영역에 의한 제1 스텝의 조건에 합치한 물체는, 촬영영역에 들어간 물체의 전체상으로 제2 스텝의 판단을 행한다. 이로 인해, 단순히 감시해야 할 범위를 한정한 감시 시스템에 비해, 검지대상의 전체상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빛의 세기나 물체의 움직임, 영상에 비추는 법에 의해 형상이 확실히 파악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제2 스텝의 조건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검지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한 감시 시스템은 영상 안에서 감시하고 싶은 대상을 효율 좋게 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1 : 감시 시스템 2 : 감시영역기억수단
3 : 영상분석수단 4 : 유효구역정보기억수단
5 : 물체기준정보기억수단 6 : 컴퓨터
7 : 카메라 8 : 모니터
9 : 고지수단 10 : 촬영영역
11 : 감시영역 12 : 침입자
13 : 새 14 : 유효구역
15 : 자동차 16 : 큰 직사각형
17 : 작은 직사각형

Claims (14)

  1. 촬영영역 안의 일부의 영역인 감시영역을 기억하는 감시영역기억수단과,
    입력된 영상 안의 물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감시영역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감시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아닌지를 동 감시영역 내에서만 판단함과 더불어, 상기 물체의 적어도 일부가 동 감시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촬영영역에서 얻어진 상기 감시영역의 내외에 위치하는 물체의 전체영상정보와, 상기 촬영영역 전체에서 얻어진 상기 물체가 가지는 각종 파라미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각종 파라미터의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 구성된 영상분석수단을 구비하는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영역 안의 소정의 영역임과 더불어, 상기 감시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중복된 영역을 유효영역으로서 기억하는 유효영역기억수단을 가지고,
    상기 영상분석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상기 물체가 상기 유효영역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유효영역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감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영역은, 상기 감시영역과 중복되지 않는 영역을 가지는 감시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의 형상의 상한 또는 하한의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물체기준정보로서 기억하는 물체기준정보기억수단을 가지고,
    상기 영상분석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상기 물체의 형상이 상기 물체기준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물체기준정보의 상한 이상 또는 하한 이하에 해당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감시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가 상기 촬영영역 내에 위치한 시간의 정보를 촬영영역위치시간정보로서 기억하는 촬영영역위치시간정보기억수단을 가지고,
    상기 영상분석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상기 촬영영역위치시간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촬영영역위치시간정보가, 소정의 시간을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감시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가 상기 촬영영역 내를 이동한 때의 가속도의 정보를 가속도정보로서 기억하는 가속도정보기억수단을 가지고,
    상기 영상분석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상기 가속도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속도정보가, 소정의 가속도를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감시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의 색조 정보를 색조정보로서 기억하는 색조정보기억수단을 가지고,
    상기 영상분석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상기 색조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색조정보가 소정의 색조에 해당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감시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의 밝기 정보를 휘도정보로서 기억하는 휘도정보기억수단을 가지고,
    상기 영상분석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상기 휘도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휘도정보가 소정의 휘도에 해당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감시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의 상기 촬영영역 내에 있어서 면적점유율의 정보를 면적점유율정보로서 기억하는 면적점유율정보기억수단을 가지고,
    상기 영상분석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상기 면적점유율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면적점유율정보가 소정의 면적점유율을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감시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가 발하는 음량의 정보를 음량정보로서 기억하는 음량정보기억수단을 가지고,
    상기 영상분석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상기 음량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음량정보가, 소정의 음량을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감시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의 온도의 정보를 온도정보로서 기억하는 온도정보기억수단을 가지고,
    상기 영상분석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 상기 온도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온도정보가 소정의 온도를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감시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의 습도의 정보를 습도정보로서 기억하는 습도정보기억수단을 가지고,
    상기 영상분석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 상기 습도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습도정보가 소정의 습도를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감시 시스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의 악취의 정보를 악취정보로서 기억하는 악취정보기억수단을 가지고,
    상기 영상분석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 상기 악취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악취정보가 소정의 악취에 해당하는지 아닌지 또는 소정의 악취강도를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감시 시스템.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석수단의 판단 결과를 고지하는 고지수단을 구비하는 감시시스템.
KR1020157021294A 2013-01-29 2013-01-29 감시 시스템 KR101767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51822 WO2014118872A1 (ja) 2013-01-29 2013-01-29 監視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182A KR20150104182A (ko) 2015-09-14
KR101767497B1 true KR101767497B1 (ko) 2017-08-11

Family

ID=5126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294A KR101767497B1 (ko) 2013-01-29 2013-01-29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9905009B2 (ko)
EP (1) EP2953349B1 (ko)
JP (1) JP5870470B2 (ko)
KR (1) KR101767497B1 (ko)
CN (1) CN104969542B (ko)
CA (1) CA2897910C (ko)
HK (1) HK1213116A1 (ko)
MY (1) MY168266A (ko)
WO (1) WO20141188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2801B1 (en) 2015-06-12 2019-06-18 Amazon Technologies, Inc. Unmanned aerial vehicle based surveillance as a service
US10313638B1 (en) 2015-06-12 2019-06-04 Amazon Technologies, Inc. Image creation using geo-fence data
CN105120191A (zh) * 2015-07-31 2015-12-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视频录制方法和装置
JP6965803B2 (ja) * 2018-03-20 2021-11-10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認識装置、認識方法及び認識プログラム
JP7216487B2 (ja) * 2018-06-21 2023-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115058B2 (ja) * 2018-06-21 2022-08-09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7311377B2 (ja) * 2019-09-30 2023-07-19 新明和工業株式会社 塵芥収集車のメンテナンス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9003A (ja) 2003-06-09 2005-05-1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変化検出装置
JP2007274655A (ja) 2006-03-31 2007-10-18 Saxa Inc 監視映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8241707A (ja) 2008-03-17 2008-10-0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自動監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83878B (en) * 1985-10-11 1989-09-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bnormality supervising system
US6028626A (en) * 1995-01-03 2000-02-22 Arc Incorporated Abnormality detection and surveillance system
JPH09186927A (ja) * 1995-12-28 1997-07-15 Sony Corp 追尾装置および追尾方法
JPH1066054A (ja) * 1996-08-20 1998-03-06 Fujitsu General Ltd 映像監視装置
US6445409B1 (en) * 1997-05-14 2002-09-03 Hitachi Denshi Kabushiki Kaisha Method of distinguishing a moving object and apparatus of tracking and monitoring a moving object
WO1998056182A1 (de) 1997-06-04 1998-12-10 Ascom Systec Ag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s vorgegebenen überwachungsbereiches
US6064429A (en) * 1997-08-18 2000-05-16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Foreign object video detection and alert system and method
WO2001069932A1 (en) 2000-03-10 2001-09-20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bject tracking and detection
JP3698420B2 (ja) 2001-06-12 2005-09-2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監視装置及び画像監視方法及び画像監視処理プログラム
DE602004015173D1 (de) 2003-01-21 2008-09-04 Canon Kk Bildaufnahmegerät und Bildaufnahmesystem
JP2004289581A (ja) * 2003-03-24 2004-10-14 Minolta Co Ltd 監視システム
KR100696728B1 (ko) 2003-06-09 2007-03-20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감시정보송신장치 및 감시정보송신방법
DE112005000929B4 (de) * 2004-04-28 2011-07-21 Chuo Electronics Co. Ltd., Tokyo Automatisches Abbildungsverfahren und Vorrichtung
JP4508038B2 (ja) * 2005-03-23 2010-07-21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20070069920A1 (en) * 2005-09-23 2007-03-29 A-Hamid Hakki System and method for traffic related information display, traffic surveillance and control
JP2008250898A (ja) 2007-03-30 2008-10-16 Victor Co Of Japan Ltd 監視制御装置
EP2150053B8 (en) 2007-04-27 2012-02-15 Honda Motor Co., Ltd.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device,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program and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method
US7908237B2 (en) * 2007-06-29 2011-03-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unexpected behavior of a customer in a retail environment using detected location data, temperature, humidity, lighting conditions, music, and odors
WO2010024281A1 (ja) 2008-08-28 2010-03-04 有限会社ラムロック映像技術研究所 監視システム
US9030555B2 (en) 2009-11-25 2015-05-12 Lg Electronics Inc. Surveillance system
US8438175B2 (en) * 2010-03-17 2013-05-07 Lighthaus Logic Inc. Systems, methods and articles for video analysis reporting
US9615064B2 (en) * 2010-12-30 2017-04-04 Pelco, Inc. Tracking moving objects using a camera network
JP5885398B2 (ja) 2011-05-20 2016-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WO2013058830A1 (en) * 2011-10-19 2013-04-25 Balu Subramanya Directional speed and distance sensor
WO2014063020A1 (en) 2012-10-18 2014-04-24 Chornenky T Eri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patial information about environment
US9638800B1 (en) * 2016-11-22 2017-05-02 4Sense, Inc. Passive track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9003A (ja) 2003-06-09 2005-05-1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変化検出装置
JP2007274655A (ja) 2006-03-31 2007-10-18 Saxa Inc 監視映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8241707A (ja) 2008-03-17 2008-10-0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自動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24990A1 (en) 2015-11-12
EP2953349B1 (en) 2023-07-19
WO2014118872A1 (ja) 2014-08-07
JP5870470B2 (ja) 2016-03-01
KR20150104182A (ko) 2015-09-14
CA2897910C (en) 2018-07-17
JPWO2014118872A1 (ja) 2017-01-26
US10134140B2 (en) 2018-11-20
HK1213116A1 (zh) 2016-06-24
CA2897910A1 (en) 2014-08-07
EP2953349A4 (en) 2017-03-08
MY168266A (en) 2018-10-16
EP2953349A1 (en) 2015-12-09
CN104969542B (zh) 2019-05-31
CN104969542A (zh) 2015-10-07
US20180130211A1 (en) 2018-05-10
US9905009B2 (en)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497B1 (ko) 감시 시스템
KR101378071B1 (ko) 양식장 및 인공어초 도난 방지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4702598B2 (ja) 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CN109892011B (zh) 照明系统和照明系统控制方法
JP6447425B2 (ja) 違反抑止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違反抑止システム
KR101472300B1 (ko) 다중 영상을 이용한 사건/사고 예방 방법 및 시스템
CN110081399A (zh) 一种智慧路灯系统及智慧路灯
US11062145B2 (en) Camera device for the exterior region of a building
KR20190044867A (ko) 독거 세대 관제 장치
KR102513372B1 (ko) 음향과 영상을 연계한 하이브리드형 객체 연속 추적시스템 및 제어방법
US9507050B2 (en) Entity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area
JP2005056406A (ja) 画像の動き検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964744B1 (ko) 가시광선 조명과 적외선 조명 일체형 cctv 카메라 시스템
ES2298446T3 (es) Instalacion de señalizacion con sensor de formacion de imagenes.
JP6447424B2 (ja) 違反抑止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違反抑止システム
JP2004355551A (ja) 保護システム
JP6183748B2 (ja) 動体検知装置
JP4220322B2 (ja) 侵入者監視方法及び装置
JP2006227970A (ja) 防犯用ポール設備
KR102276837B1 (ko)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
KR101622107B1 (ko) 범죄 예방 기능을 갖는 보안등 및 이를 갖는 보안등 시스템
JPH1083487A (ja) 侵入者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