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654B1 - 동력식 분무기 - Google Patents

동력식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654B1
KR101766654B1 KR1020160075266A KR20160075266A KR101766654B1 KR 101766654 B1 KR101766654 B1 KR 101766654B1 KR 1020160075266 A KR1020160075266 A KR 1020160075266A KR 20160075266 A KR20160075266 A KR 20160075266A KR 101766654 B1 KR101766654 B1 KR 101766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in
coupled
block
crank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평
Original Assignee
정재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평 filed Critical 정재평
Priority to KR1020160075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35Pressure sprayers mounted on a frame and guided by hand; Spray barrow
    • A01M7/0039Pressure sprayers mounted on a frame and guided by hand; Spray barrow motor-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10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식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랭크 케이스를 2개의 블록으로 분할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피스톤의 교환이 매우 용이한 동력식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동력식 분무기는 크랭크케이스와, 상기 크랭크케이스 후면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크랭크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크랭크 샤프트와,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결합된 커넥팅로드와, 상기 커넥팅로드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된 커넥팅로드와 고정핀에 의해 결합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압축부와, 크랭크케이스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이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실린더가 설치된 실린더블록과, 실린더블록의 전면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된 흡수부와, 실린더블록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송출되는 송출구가 형성된 송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크랭크케이스는 메인블록 및 서브블록이 전후방향으로 결합된 2분할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서브블록이 상기 메인블록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에 결합된 상기 고정핀이 상기 메인블록의 전면방향으로 노출된다.

Description

동력식 분무기{power sprayer}
본 발명은 동력식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랭크 케이스를 2개의 블록으로 분할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피스톤의 교환이 매우 용이한 동력식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동력 분무기라 함은 동력(엔진이나 모터)으로 유체를 압축하는 물품을 의미하고, 이와 같은 동력 분무기는 농약을 혼합시킨 용수를 흡수구로 유입시킨 후 고압으로 압축시키고 송출구에 연결된 고압호스 선단의 분사대를 이용하여 농작물의 병충해를 방제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 이와 같은 동력 분무기는 병충해 방제 외에도 고압용수가 필요한 건축과 건설현장, 세차장, 산업현장 등으로 사용용도가 점차 증가 되면서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3797호에 동력분무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동력 분무기는 통상적으로 3개의 피스톤(2)을 크랭크 샤프트(4)에 연결하여 동력원(9)으로 크랭크 샤프트(4)를 회전시키면 피스톤 로드(3)의 진퇴 작동에 의해 피스톤(2)이 실린더(11) 내에서 왕복운동하고, 피스톤(2)의 왕복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압축 공기로 약액통(미도시) 내의 농약 등을 분무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동력분무기는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압축부(1)와, 압축부의 크랭크케이스(5) 전면에 결합되어 피스톤(2)이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실린더(11)가 설치된 실린더블록(10)과, 실린더블록(10)의 전면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21)가 형성된 흡수부(20)와, 실린더블록(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송출되는 송출구가 형성된 송출부(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압축부(1)는 크랭크케이스(5)와, 크랭크케이스(5) 후면에 결합되는 커버(6)와, 크랭크케이스(5)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동력원(9)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크랭크 샤프트(4)와, 크랭크 샤프트(4)에 결합된 커넥팅로드(3)와, 커넥팅로드(3)와 고정핀(8)에 의해 결합되는 피스톤(2)으로 이루어진다.
피스톤(2)과 커넥팅로드(3)가 결합될 수 있도록 피스톤(2)의 일측에는 커넥팅로드(3)의 소단부(3a)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피스톤(2)의 측면에는 결합홈으로 관통되는 핀고정홀(2a)이 형성된다. 핀고정홀(2a)은 2개가 한쌍으로 마련된다. 커넥팅로드(3)의 소단부(3a)를 결합홈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고정핀(8)을 핀고정홀(2a)에 삽입하여 고정핀(8)을 소단부(3a)에 형성된 핀삽입홀(3b)로 통과시킴으로써 케넥팅로드(3)를 피스톤(2)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동력분무기는 피스톤의 교환이 매우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즉, 피스톤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크랭크케이스(5)의 후면에 결합된 커버(6)를 분리한 다음 크랭크케이스(5)에서 크랭크샤프트(4)를 분리하고, 커넥팅로드 베어링캡(4a)을 풀어 크랭크샤프트(4)에서 커넥팅로드(3)를 분리한 후 커넥팅로드(3)와 피스톤(2)을 결합시키는 고정핀(8)을 탈거하여야 한다.
또한, 종래의 동력분무기는 제조회사마다 커넥팅로드(3)의 규격이 달라 피스톤(2)을 교환하는 경우 피스톤(2)에 형성된 핀고정홀(2a)과 커넥팅로드의 소단부(3a)에 형성된 핀삽입홀(3b)의 위치가 달라 조립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3797호: 동력분무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크랭크 케이스를 2개의 블록으로 분할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2개의 블록만을 분리한 상태에서 피스톤을 교환할 수 있어 피스톤 교환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빠른 동력식 분무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핀이 삽입되는 핀고정홀을 피스톤에 서로 다른 위치에 다수로 형성하여 커넥팅로드의 종류와 상관없이 피스톤과의 조립이 가능한 동력식 분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력식 분무기는 크랭크케이스와, 상기 크랭크케이스 후면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크랭크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크랭크 샤프트와,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결합된 커넥팅로드와, 상기 커넥팅로드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된 커넥팅로드와 고정핀에 의해 결합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압축부와; 상기 크랭크케이스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이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실린더가 설치된 실린더블록과; 상기 실린더블록의 전면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된 흡수부와; 상기 실린더블록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송출되는 송출구가 형성된 송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크랭크케이스는 메인블록 및 서브블록이 전후방향으로 결합된 2분할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서브블록이 상기 메인블록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에 결합된 상기 고정핀이 상기 메인블록의 전면방향으로 노출된다.
상기 크랭크케이스는 후면에 상기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크랭크샤프트가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메인블록과, 상기 메인블록이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블록이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이 출입하는 출입홀이 전후로 관통되어 형성된 상기 서브블록과, 상기 메인블록과 상기 서브블록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이 전방으로 최대 이동시 상기 메인블록과 상기 서브블록의 결합경계는 상기 고정핀과 상기 피스톤 하단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커넥팅로드는 상기 크랭크샤프트와 결합되는 대단부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핀에 의해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며 상기 고정핀이 관통하는 핀삽입홀이 형성된 소단부와, 상기 대단부와 상기 소단부를 연결하는 생크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적어도 두 쌍으로 이루어진 핀고정홀들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핀고정홀들 중 어느 한 쌍의 핀고정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소단부와 상기 피스톤을 결합시키며, 상기 핀고정홀들은 상기 결합홈의 입구에서부터의 거리가 각 쌍별로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핀고정홀들은 각 쌍별로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크랭크 케이스를 메인블록 및 서브블록으로 분할된 구조로 형성하여 서브블록을 메인블록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피스톤을 교환할 수 있어 피스톤 교환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핀이 삽입되는 핀고정홀을 피스톤에 서로 다른 위치에 다수로 형성함으로써 커넥팅로드의 종류와 상관없이 피스톤과의 조립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동력 분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 분무기에 적용되는 압축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압축부에서 메인블록과 서브블록으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적용된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의 결합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적용된 피스톤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에 적용된 피스톤에 결합된 커넥팅로드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에 적용된 피스톤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3에 적용된 피스톤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력식 분무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식 분무기는 크게 압축부(40)와, 실린더블록(10)과, 흡수부(20)와, 송출부를 구비한다.
압축부(40)는 외부의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피스톤(2)을 실린더 (11)내에서 왕복이동시켜 압축공기를 형성하는 곳이다.
실린더블록(10)은 크랭크케이스(41) 전면에 결합되어 피스톤(2)이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실린더(11)가 설치된다.
그리고 흡수부(20)는 실린더블록(10)의 전면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송출부(미도시)는 실린더블록(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송출된다.
상술한 실린더블록, 흡수부, 송출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동력식 분무기에 적용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특징인 압축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축부(40)는 크랭크케이스(41)와, 크랭크케이스(41) 후면에 결합되는 커버(6)와, 크랭크케이스(41)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크랭크 샤프트(4)와, 크랭크 샤프트(4)에 결합된 커넥팅로드(3)와, 고정핀(8)에 의해 커넥팅로드(3)와 결합되는 피스톤(2)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적용된 크랭크케이스(41)는 단일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종래와 달리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된 구조를 갖는다. 즉, 크랭크케이스(41)는 메인블록(42)과 서브블록(45)으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크랭크케이스(41)는 후면에 커버(6)가 결합되는 메인블록(42)과, 메인블록(42)이 후면에 결합되고 실린더블록(10)이 전면에 결합되는 서브블록(45)과, 메인블록(42)과 서브블록(45)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메인블록(42)은 내부에 크랭크샤프트(4)가 위치한다. 크랭크샤프트(4)의 양측은 메인블록(42)의 좌우 양측면에 결합되는 베어링유니트(7)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크랭크샤프트(4)의 일단부에는 풀리가 결합되어 외부의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외부의 동력원으로 구동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구동풀리가 결합되어 크랭크샤프트와 벨트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팅로드(3)는 베어링캡(4a)에 의해 크랭크샤프트(4)에 결합된다. 커넥팅로드(3)는 크랭크샤프트(4)에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을 바꾼다.
커넥팅로드(3)는 고정핀(8)과 결합되는 소단부(3a)와, 크랭크 사프트(4)와 연결되는 대단부(3d)와, 소단부(3a)와 대단부(3d)를 연결하는 생크(3c)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대단부(3d)는 베어링캡(4a)에 의해 크랭크샤프트(4)에 결합된다. 커넥팅로드의 소단부(3a)에는 고정핀(8)이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의 핀삽입홀(3b)이 형성된다.
피스톤(2)은 커넥팅로드(3)와 고정핀(8)에 의해 결합된다. 피스톤(2)의 측면에는 고정핀(8)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핀고정홀(2a)이 형성된다. 핀고정홀(2a)은 2개가 한쌍으로 마련된다.
피스톤(2)에 커넥팅로드의 소단부(3a)가 삽입될 수 있도록 피스톤(2)의 일측에는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은 피스톤(2)의 후단부에서 전단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 파여진 홈으로 이루어진다. 결합홈에 커넥팅로드의 소단부(3a)가 삽입된 상태에서 핀고정홀(2a)을 통해 고정핀(8)을 소단부(3a)의 핀삽입홀(3b)을 통과시킴으로써 피스톤(2)에 커넥팅로드(3)를 결합시킬 수 있다.
서브블록(45)은 메인블록(42)의 전면에 결합된다. 서브블록(45)과 메인블록(42) 사이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가스킷이 설치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서브블록(45)에는 피스톤(2)이 출입하는 출입홀(46)이 전후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서브블록(45)의 전면에는 실린더블록(10)이 결합된다.
메인블록(42)과 서브블록(45)은 결합수단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결합수단의 일 예로 볼트(50)를 이용할 수 있다. 볼트(50)는 서브블록(45)에 형성된 볼트삽입공(47)을 통해 메인블록(42)의 나사홀(43)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메인블록(42)과 서브블록(45)의 경계 위치가 중요하다. 피스톤(2)이 상사점 즉, 전방으로 최대 이동한 위치에 놓여 있을 때 메인블록(42)과 서브블록(45)의 결합경계는 고정핀(8)과 피스톤(2) 하단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서브블록(45)이 메인블록(42)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피스톤(2)에 결합된 고정핀(8)이 메인블록(42)의 전면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피스톤 교환시 서브블록(45)을 메인블록(42)으로부터 분리시키면 고정핀(8)이 메인블록(42)의 전면방향으로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핀(8)을 피스톤(2)으로부터 제거하여 피스톤(2)을 매우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력식 분무기에 적용되는 피스톤의 모습을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하였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피스톤(60)에는 적어도 두 쌍으로 이루어진 핀고정홀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두 쌍 또는 세 쌍 또는 네 쌍 이상의 핀고정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가령 두 쌍 내지 여섯 쌍의 핀고정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세 쌍으로 이루어진 핀고정홀들(65)(67)(69)이 피스톤에 형성되어 있다. 각 쌍마다 2개의 핀고정홀들로 이루어지므로, 도시된 예에서는 총 6개의 핀고정홀들이 피스톤에 형성되어 있다. 각 쌍을 이루는 2개의 핀고정홀들은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한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피스톤에는 하나의 고정핀이 결합되므로 핀고정홀이 2개가 형성된다. 2개의 핀고정홀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한 쌍을 이룬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피스톤 구조는 커넥팅로드(3)의 소단부(3a)의 크기가 달라지면 특정 위치에 형성된 핀고정홀과 소단부의 핀삽입홀(3b)의 위치가 맞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는 주로 커넥팅로드와 피스톤의 제조회사가 다를 경우 발생한다. 커넥팅로드는 제조회사마다 규격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두 쌍으로 이루어진 핀고정홀들을 형성하여 고정핀을 핀고정홀들 중 어느 한 쌍의 핀고정홀에 선택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으므로 커넥팅로드의 규격이 달라지더라도 핀고정홀의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피스톤(60)의 일측, 즉 후단부에는 커넥팅로드(3)의 소단부(3a)가 삽입되는 결합홈(6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결합홈(61)은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쌍의 핀고정홀(65)(67)(69)이 형성된 경우 설명의 편의상 어느 한쌍의 핀고정홀을 제 1핀고정홀(65)이라 하고, 다른 쌍의 핀고정홀을 제 2핀고정홀(67)이라 하고, 나머지 한 쌍의 핀고정홀을 제 3핀고정홀(69)이라 한다.
세쌍의 핀고정홀들(65)(67)(69)은 결합홈(61)의 입구에서부터의 거리가 각 쌍별로 다르게 형성된다. 즉, 핀고정홀들(65)(67)(69)은 각 쌍별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가령, 제 1핀고정홀(65)은 결합홈(61)의 입구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형성되고, 제 2핀고정홀(67)은 제 1핀고정홀(65)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 3핀고정홀(69)은 제 2핀고정홀(67)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도 8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전후방향을 X로 표현하면, 제 1핀고정홀(65)의 중심은 X1 위치에 형성되고, 제 2핀고정홀(67)의 중심은 X2 위치에 형성되고, 제 3핀고정홀(69)의 중심은 X3 위치에 형성된다. X1과 X2의 거리 및 X2와 X3의 거리는 각 핀고정홀의 반경보다 크고 각 핀고정홀의 직경보다 작다.
그리고 핀고정홀들(65)(67)(69)은 각 쌍별로 상하 방향으로도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가령, 도 8과 같이 피스톤(60)이 놓인 상태에서 제 1핀고정홀(65)은 가장 상부에 형성되고, 제 2핀고정홀(67)은 중간 높이에 형성되고, 제 3핀고정홀(69)은 가장 하부에 형성된다. 도 8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을 Y로 표현하면, 제 1핀고정홀(65)의 중심은 Y1 위치에 형성되고, 제 2핀고정홀(67)의 중심은 Y2 위치에 형성되고, 제 3핀고정홀(69)의 중심은 Y3 위치에 형성된다. Y1과 Y2의 거리 및 Y2와 Y3의 거리는 각 핀고정홀의 반경보다 크고 각 핀고정홀의 직경보다 작다.
이와 같이 핀고정홀들(65)(67)(69)은 각 쌍별로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므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X1의 위치에 있는 제 1핀고정홀(65)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커넥팅로드와 피스톤을 결합하게 되는 경우에는 소단부에 형성된 핀삽입홀이 X1 방향과 일치하도록 소단부를 피스톤의 결합홈에 삽입시키고, X2의 위치에 있는 제 2핀고정홀(67)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커넥팅로드와 피스톤을 결합하게 되는 경우에는 소단부에 형성된 핀삽입홀이 X2 방향과 일치하도록 소단부를 피스톤의 결합홈에 삽입시키고, X3의 위치에 있는 제 3핀고정홀(69)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커넥팅로드와 피스톤을 결합하게 되는 경우에는 소단부에 형성된 핀삽입홀이 X3 방향과 일치하도록 소단부를 피스톤의 결합홈에 삽입시킨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 피스톤 3: 커넥팅로드
4: 크랭크샤프트 40: 압축부
41: 크랭크케이스 42: 메인블록
45: 서브블록

Claims (5)

  1. 크랭크케이스와, 상기 크랭크케이스 후면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크랭크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크랭크 샤프트와,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결합된 커넥팅로드와, 상기 커넥팅로드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된 커넥팅로드와 고정핀에 의해 결합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압축부와;
    상기 크랭크케이스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이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실린더가 설치된 실린더블록과;
    상기 실린더블록의 전면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된 흡수부와;
    상기 실린더블록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송출되는 송출구가 형성된 송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크랭크케이스는 메인블록 및 서브블록이 전후방향으로 결합된 2분할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서브블록이 상기 메인블록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에 결합된 상기 고정핀이 상기 메인블록의 전면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식 분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케이스는 후면에 상기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크랭크샤프트가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메인블록과, 상기 메인블록이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블록이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이 출입하는 출입홀이 전후로 관통되어 형성된 상기 서브블록과, 상기 메인블록과 상기 서브블록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식 분무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전방으로 최대 이동시 상기 메인블록과 상기 서브블록의 결합경계는 상기 고정핀과 상기 피스톤 하단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식 분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로드는 상기 크랭크샤프트와 결합되는 대단부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핀에 의해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며 상기 고정핀이 관통하는 핀삽입홀이 형성된 소단부와, 상기 대단부와 상기 소단부를 연결하는 생크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적어도 두 쌍으로 이루어진 핀고정홀들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핀고정홀들 중 어느 한 쌍의 핀고정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소단부와 상기 피스톤을 결합시키며,
    상기 핀고정홀들은 상기 결합홈의 입구에서부터의 거리가 각 쌍별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식 분무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핀고정홀들은 각 쌍별로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식 분무기.
KR1020160075266A 2016-06-16 2016-06-16 동력식 분무기 KR101766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266A KR101766654B1 (ko) 2016-06-16 2016-06-16 동력식 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266A KR101766654B1 (ko) 2016-06-16 2016-06-16 동력식 분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6654B1 true KR101766654B1 (ko) 2017-08-09

Family

ID=59652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266A KR101766654B1 (ko) 2016-06-16 2016-06-16 동력식 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6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460B1 (ko) * 2019-04-10 2019-10-07 이범규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
KR102226340B1 (ko) 2020-08-03 2021-03-11 주식회사 보림 배낭 이동식 동력 분무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046Y1 (ko) 2002-05-18 2002-08-30 이진규 동력분무기
KR101113797B1 (ko) 2009-03-05 2012-02-27 구자복 동력 분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046Y1 (ko) 2002-05-18 2002-08-30 이진규 동력분무기
KR101113797B1 (ko) 2009-03-05 2012-02-27 구자복 동력 분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460B1 (ko) * 2019-04-10 2019-10-07 이범규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
KR102226340B1 (ko) 2020-08-03 2021-03-11 주식회사 보림 배낭 이동식 동력 분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654B1 (ko) 동력식 분무기
CN106460820B (zh) 具有改进的流体气缸交联孔几何结构的往复泵
KR20160102615A (ko) 농약 분무기용 양방향 피스톤 복열식 고효율 펌프장치
US9163617B2 (en) High pressure pump including hollow stud
CA2416042A1 (en) Gas compressor and method with an improved inlet and discharge valve arrangement
KR20030059630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가스 흡입장치
KR101113797B1 (ko) 동력 분무기
JPH0799140B2 (ja) 多連式往復ポンプ
CN211500956U (zh) 一种高压柱塞往复泵
KR101625184B1 (ko) 이중 피스톤를 갖는 믹싱챔버 조립식 소형 믹싱헤드
CN108979998B (zh) 活塞泵及活塞泵中定位活塞的方法
JP2003083019A (ja) 内燃機関のシリンダライナ内側壁面注油構造
KR102165584B1 (ko)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KR10068249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장착구조
CA2488982A1 (en) Compressor assembly with reciprocating piston and vented cylinder
JP2023167159A (ja) 往復動ポンプ
KR100572879B1 (ko) 다중 압축기
KR200382930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핀 설치구조
KR102515117B1 (ko) 사판식 압축기
JP3561226B2 (ja) 多連型ポンプ装置
KR100924389B1 (ko) 다중 압축기
JPS6339429Y2 (ko)
KR20150088731A (ko)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JP2016151216A (ja) コンプレッサ
KR10078083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과 실린더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