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460B1 -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460B1
KR102029460B1 KR1020190041704A KR20190041704A KR102029460B1 KR 102029460 B1 KR102029460 B1 KR 102029460B1 KR 1020190041704 A KR1020190041704 A KR 1020190041704A KR 20190041704 A KR20190041704 A KR 20190041704A KR 102029460 B1 KR102029460 B1 KR 102029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onnecting rod
pump case
case body
pesticide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규
Original Assignee
이범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규 filed Critical 이범규
Priority to KR1020190041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7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1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reciprocating pumps, e.g. membrane pump, piston pump, bellow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5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농업용 관리기의 후방에 설치된 동력인출부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동력인출결합부재; 상기 동력인출부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크랭크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펌프케이스부재; 상기 펌프케이스부재의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랭크부재; 상기 펌프케이스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부재가 왕복 이동되면서 흡입대상물을 흡입 및 토출시키는 피스톤케이스부재;를 마련하여 농업용 관리기의 PTO에 농약 살포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다수의 피스톤부재에 의해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압력조절부에 의해 흡입압력 및 토출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Pesticide spraying device using agricultural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업용 관리기에 농약 살포장치를 설치하여 농약을 살포할 뿐만 아니라 농약 외에도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액체 비료 등을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작지에 작물을 재배 시 농약을 살포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기 마련인데, 이러한 농약 살포작업은 규모가 큰 경작지에 적용되는 기술들로 동력분무기를 탑재한 차량(경운기, 트랙터, 트럭 등)에 실려 이동되는 호스를 경작지 풀어놓고 이 호스의 끝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분무기를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로 경작지를 이동하면서 살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작업은 강한 유압이 작용되면서 길이가 길고 무거운 호스를 작업자가 직접 끌고 다녀야 하므로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며, 호스의 꼬임방지 및 호스로 인해 작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호스를 공급 및 정리해주는 별도의 작업이 요구됨에 따라 번거로움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으며, 비교적 규모가 있는 경작지에 사용되는 구성임에 따라 장비의 구축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상기한 단점과 더불어 농촌의 경우 대량의 청년 노동력이 도시로 유출되어 농촌인구의 노령화나 과소현상이 급증됨에 손쉽고 많은 힘이 소요되지 않는 소형 농약분무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규모가 작은 소형의 살포장치들을 보면, 몸체의 하부에 바퀴가 구성되고, 몸체에 고정되는 약통과, 약통과 연결되어 약통의 내부에 포함된 농약을 살포시키는 펌프가 구비되는 약대가 구성되어 끌고 다니거나 등에 짊어지고 다니면서 사용하였다.
그러나 소형 살포장치는 자체적으로 내부에 포함된 농약을 혼합시키는 장치가 구성되어 있지 않아 농약을 혼합시킬 시 제대로 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농약 살포의 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약대와 약통을 연결하는 호스가 꼬임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극복하지 못하였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특허 등록번호 제10-0611944호에 개시된 농약분사대는 몸통 후방의 지지관 중앙에 통공이 구비되는 요홈을, 외측으로는 오링을, 외측지점에는 나선을 형성하고, 동 지지관에 호스연결구를 끼워 조절나선이 구비된 너트로 결합하여서 구성되는 농약분사대의 호스 꼬임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등록번호 제10-1143402호에 개시된 방역작업을 위한 석회살포기는 석회와 물이 담겨지는 수조와, 그 수조에 담겨진 석회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 및 이에 연결되어진 흡입장치의 흡입라인이 교반기의 일측에 연결되어 석회를 교반함과 동시에 석회액을 흡입토록 되고, 상기 흡입장치의 일측으로 노즐이 형성되어 노즐을 통하여 석회액의 분사가 이루어지며, 상기 흡입장치는 리턴호스가 연결되어 리턴호스의 타단이 수조에 담겨져 흡입라인으로 유입된 석회액을 수조로 반송토록 되는 석회 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등록번호 제10-1187634호에 개시된 소형 초미립화 분무장치는 분무액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으로 분무액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고, 전면부의 일측에 송풍팬 수용홈이 형성되는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의 송풍팬 수용홈에 설치되어 고압의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송풍구와 제1 연결호스에 의해 연결되어 고압공기가 유입되는 핸들부를 구비한다.
상기 핸들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선단부에 분무구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로 유입된 고압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분무구로 배출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 내부 중심에 회전 결합되고 상기 수용탱크에 수용된 분무액이 공급되는 제2 연결호스와 연결되는 샤프트관과, 상기 샤프트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베인과, 상기 샤프트관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무건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탱크의 전면부에 펌프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탱크의 펌프 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탱크 내에 수용된 분무액을 펌핑하는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분무건의 샤프트관은 상기 펌프와 제2 연결호스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수용탱크의 전면부에 기판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기판 수용홈에는 전원공급부, 상기 송풍팬 및 상기 펌프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송풍팬 및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부가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고, 상기 분무건의 헤드부에는 송풍팬 제어 스위치 및 펌프 제어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송풍팬 제어 스위치 및 상기 펌프 제어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송풍팬 및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소형 초미립화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등록번호 제10-1475442호에 개시된 이동형 농약살포장치는 경작지를 이동하면서 농약을 살포하는 농약 살포장치에 있어서, 농약살포용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있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농약살포몸체, 상기 농약살포몸체와 연결되어 있되 전후진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부는 고정되고 하부는 지면에 접촉되어 지지해주는 베이스몸체지지수단를 갖는 베이스몸체, 상부는 상기 농약살포몸체의 전, 후방에 각각 고정되고 하부는 상, 하로 이동되어 지면에 접촉되거나 지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살포몸체높이조절수단 및 상기 살포몸체높이조절수단의 하부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제어하고, 농약살포몸체와 베이스몸체의 연결부에 위치된 연결장치의 작동을 제어하여 농약살포몸체나 베이스몸체가 전, 후진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형 농약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들을 보면, 농약분사대에서 호스연결구가 회전되므로 농약분사대로서 방제작업 할 때 발생되는 호스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특정한 구조만을 가짐에 따라 특정한 장치에만 적용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다른 형태의 기술을 보면, 이동 가능한 살포장치 및 소형 분무장치를 설명하고 있지만, 이동식 살포장치를 보면 바퀴가 구성되어 전체적인 이동이 아닌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분사노즐이 회전되어 골고루 분사토록 구성되나, 비교적 규모가 큼에 따라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적 효율성이 매우 낮고, 소형분무장치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며 전체적인 기계장치로써 부분적인 교체가 어렵고 오작동률이 높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11944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43402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8763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농업용 관리기에 농약 살포장치를 필요에 따라 결합시켜 농업용 관리기에서 발생된 동력으로 펌핑하여 농약 또는 액체 비료 등을 자유롭게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하여 농약 살포적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농업용 관리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는 농업용 관리기의 후방에 설치된 동력인출부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동력인출결합부재; 상기 동력인출부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크랭크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펌프케이스부재; 상기 펌프케이스부재의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랭크부재; 상기 펌프케이스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부재가 왕복 이동되면서 흡입대상물을 흡입 및 토출시키는 피스톤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인출결합부재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파지부(112)가 형성되며, 일측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걸림돌기(113)가 형성되고, 내면에는 PTO에 결합되도록 나사산(114)이 형성되어 농업용 관리기(1)의 후방에 구비된 PTO(Power Take Off)에 체결되는 고정캡(111);
상기 펌프케이스부재(150)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정한 크기를 갖는 고정플레이트(121)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21)로 소정의 직경으로 결합부(1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22)의 외면에는 고정캡(111)의 걸림돌기(113)가 결합되게 외면으로 돌출된 걸림턱(123)이 형성된 고정브래킷(120);
PTO에 키 또는 기어에 관계없이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된 축연결구(130)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케이스부재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펌프케이스본체; 상기 펌프케이스본체의 개방된 입구를 폐쇄시키는 케이스커버; 상기 크랭크부재의 피스톤이 왕복 이동되도록 상기 펌프케이스본체의 일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피스톤수납부; 오일이 주입되도록 상기 펌프케이스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오일주입구; 오일이 배출되도록 상기 펌프케이스본체의 배면에 설치되는 오일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수납부는 상기 크랭크부재의 피스톤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피스톤수납부; 상기 피스톤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피스톤수납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 피스톤수납부; 상기 피스톤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피스톤수납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3 피스톤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랭크부재는 상기 농업용 관리기의 동력인출부에 결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크랭크샤프트;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피스톤부재, 제2 피스톤부재 및 제3 피스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스톤부재는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커넥팅로드와, 상기 제1 커넥팅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커넥팅로드 및 상기 제2 커넥팅로드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피스톤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피스톤부재는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커넥팅로드와, 상기 제3 커넥팅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커넥팅로드 및 상기 제4 커넥팅로드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피스톤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 피스톤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피스톤부재는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커넥팅로드와, 상기 제5 커넥팅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6 커넥팅로드 및 상기 제6 커넥팅로드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3 피스톤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케이스부재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피스톤케이스본체;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의 일측에 상기 펌프케이스부재의 상기 제1 피스톤수납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 연결부; 상기 펌프케이스부재의 상기 제2 피스톤수납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 연결부; 상기 펌프케이스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3 피스톤수납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3 연결부; 상기 제1 피스톤의 왕복 이동에 의해 흡입대상물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 펌핑부; 상기 제2 피스톤의 왕복 이동에 의해 흡입대상물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 펌핑부; 상기 제3 피스톤의 왕복 이동에 의해 흡입대상물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3 연결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3 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의 일측에는 흡입대상물이 흡입되도록 호스가 연결되게 형성되는 흡입용 니플;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의 타측에는 흡입대상물이 토출되도록 호스가 연결되게 형성되는 토출용 호스연결구;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로 흡이되는 흡입대상물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에 의하면, 농업용 관리기의 PTO에 농약 살포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다수의 피스톤부재에 의해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압력조절부에 의해 흡입압력 및 토출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가 설치된 농업용 관리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의 동력인출결합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의 펌프케이스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의 펌프케이스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의 크랭크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의 크랭크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의 피스톤케이스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의 피스톤케이스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는 농업용 관리기의 후방에 설치된 동력인출부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동력인출결합부재(110), 상기 동력인출부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크랭크부재(2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펌프케이스부재(150), 상기 펌프케이스부재(150)의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랭크부재(210), 상기 펌프케이스부재(1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부재(210)가 왕복 이동되면서 흡입대상물을 흡입 및 토출시키는 피스톤케이스부재(25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가 설치된 농업용 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업용 관리기(1)의 후방에는 PTO(Power Take Off, 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농업용 관리기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동력인출부재(110)가 구비되고, 상기 동력인출부재(110)에서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펌핑이 이루어지도록 펌프케이스부재(150) 내에 크랭크부재(210)가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부재(210)의 왕복 이동에 따라 농약 등의 흡입대상물을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피스톤케이스부재(250)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의 동력인출결합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인출결합부재(110)는 PTO에 체결되는 고정캡(11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캡(111)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형성되는 파지부(1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고정캡(111)에는 고정브래킷(120)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걸림돌기(113)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돌기(113)는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111)의 내면에는 PTO에 결합되도록 나사산(11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래킷(120)은 펌프케이스부재(150)의 케이스커버(152)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브래킷(120)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고정플레이트(12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21)로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된 결합부(1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2)의 외면에는 고정캡(111)의 걸림돌기(113)가 결합되게 외면으로 돌출된 걸림턱(123)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캡(111)은 걸림돌기(113)를 고정브래킷(120)에 밀어넣어 끼운 다음 걸림돌기(113)를 걸림턱(123)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113)는 걸림턱(123)에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인출결합부재(110)는 PTO에 키 또는 기어에 관계없이 결합할 수 있도록 축연결구(130)가 구비되고,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축연결구(130)는 키홈(131)이 형성되며,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축연결구(130)는 축연결구(130)의 내면에 다수의 기어(132)가 설치된다.
즉, 상기 축연결구(130)는 PTO에 관계없이 결합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의 펌프케이스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의 펌프케이스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상기 펌프케이스부재(15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펌프케이스본체(151), 상기 펌프케이스본체(151)의 개방된 입구를 폐쇄시키는 케이스커버(152), 상기 크랭크부재(210)의 피스톤(223, 233, 243)이 왕복 이동되도록 상기 펌프케이스본체(151)의 일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피스톤수납부(160), 오일이 주입되도록 상기 펌프케이스본체(151)의 상면에 설치되는 오일주입구(153), 오일이 배출되도록 상기 펌프케이스본체(151)의 배면에 설치되는 오일배출구(15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수납부(160)는 상기 크랭크부재(210)의 피스톤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피스톤수납부(161), 상기 피스톤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피스톤수납부(161)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 피스톤수납부(162), 상기 피스톤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피스톤수납부(162)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3 피스톤수납부(163)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크케이스부재(150)의 펌프케이스본체(151)는 크랭크부재(210)가 설치되도록 내부가 빈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펌프케이스본체(151)의 개방면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커버(152)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커버(152)는 펌프케이스본체(151)에 볼트 등으로 체결 고정되며, 크랭크부재(210)의 크랭크샤프트(21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펌프케이스본체(151)의 상면에는 오일을 주입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오일주입구(153)가 설치되고, 상기 펌프케이스본체(151)의 배면에는 오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오일배출구(154)가 설치된다.
상기 펌프케이스본체(151)에는 크랭크부재(210)의 피스톤(223, 233, 243)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피스톤수납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수납부(160)는 제1 피스톤수납부(161), 제2 피스톤수납부(162) 및 제3 피스톤수납부(16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피스톤(223)이 설치되도록 제1 피스톤수납부(16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피스톤수납부(161)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제2 피스톤(233)이 설치되도록 제2 피스톤수납부(162)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 피스톤수납부(162)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제3 피스톤(243)이 설치되도록 제3 피스톤수납부(163)가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의 크랭크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의 크랭크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랭크부재(210)는 상기 농업용 관리기의 동력인출부에 결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크랭크샤프트(211), 상기 크랭크샤프트(211)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크랭크샤프트(21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피스톤부재(220), 제2 피스톤부재(230) 및 제3 피스톤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피스톤부재(220)는 상기 크랭크샤프트(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커넥팅로드(221)와, 상기 제1 커넥팅로드(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커넥팅로드(222) 및 상기 제2 커넥팅로드(222)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피스톤(2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피스톤부재(230)는 상기 크랭크샤프트(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커넥팅로드(231)와, 상기 제3 커넥팅로드(2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커넥팅로드(232) 및 상기 제4 커넥팅로드(232)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피스톤(223)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 피스톤(2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피스톤부재(240)는 상기 크랭크샤프트(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커넥팅로드(241)와, 상기 제5 커넥팅로드(2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6 커넥팅로드(242) 및 상기 제6 커넥팅로드(242)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3 피스톤(2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크랭크부재(210)는 크랭크샤프트(211)와 다수의 피스톤(223, 233, 243)으로 이루어진 피스톤부재(220, 230, 240)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스톤(223, 233, 243)은 커넥팅로드에 의해 크랭크샤프트(211)에 결합된다.
상기 제1 피스톤부재(220)는 크랭크샤프트(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커넥팅로드(221)와 상기 제1 커넥팅로드(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커넥팅로드(222) 및 상기 제2 커넥팅로드(222)에 고정되는 제1 피스톤(2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피스톤부재(230)는 크랭크샤프트(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커넥팅로드(231)와 상기 제3 커넥팅로드(2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커넥팅로드(232) 및 상기 제4 커넥팅로드(232)에 고정되는 제2 피스톤(2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피스톤부재(240)는 크랭크샤프트(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커넥팅로드(241)와 상기 제5 커넥팅로드(2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6 커넥팅로드(242) 및 상기 제6 커넥팅로드(242)에 고정되는 제3 피스톤(2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피스톤부재(220)와 제3 피스톤부재(240)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피스톤부재(230)는 제1 피스톤부재(220) 및 제3 피스톤부재(24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3 커넥팅로드(231)와 제4 커넥팅로드(232)는 커넥팅로드(221, 222, 241, 24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크랭크샤프트(211)의 회전 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상기 제1 피스톤부재(220)와 제3 피스톤부재(240)의 피스톤(223, 243)의 후진 시 제2 피스톤부재(230)는 전진하게 되고, 상기 제1 피스톤부재(220)와 제3 피스톤부재(240)의 피스톤(223, 243)의 전진 시 제2 피스톤부재(230)는 후진하게 된다.
이는 피스톤케이스부재(250)에 흡입력과 토출력이 형성되어 농약 등의 흡입대상물의 흡입과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의 피스톤케이스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의 피스톤케이스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의 일측에는 흡입대상물이 흡입되도록 호스가 연결되게 형성되는 흡입용 니플(252),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의 타측에는 흡입대상물이 토출되도록 호스가 연결되게 형성되는 토출용 호스연결구(253),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로 흡이되는 흡입대상물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의 일측에 형성되는 압력조절부(254)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케이스부재(250)는 크랭크부재(210)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부재(220, 230, 240)가 왕복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흡입력과 토출력으로 농약 등의 흡입대상물의 흡입과 토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는 일정 길이로 갖는 중공의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의 일측에는 농약 등의 흡입대상물을 흡입하는 호스(미도시)가 연결되도록 흡입용 니플(252)이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의 타측에는 펌핑이 이루어진 흡입대상물이 토출되게 호스 등이 연결되는 토출용 호스연결구(253)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의 일측에는 흡입대상물의 흡입압력 및 토출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254)가 설치되며, 상기 압력조절부(254)에는 압력조절밸브(256)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조절밸브(256)의 조절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스프링(255)이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케이스부재(25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피스톤케이스본체(251),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의 일측에 상기 펌프케이스부재(150)의 상기 제1 피스톤수납부(161)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 연결부(261), 상기 펌프케이스부재(150)의 상기 제2 피스톤수납부(162)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 연결부(262), 상기 펌프케이스부재(150)에 형성된 상기 제3 피스톤수납부(153)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3 연결부(263), 상기 제1 피스톤(223)의 왕복 이동에 의해 흡입대상물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부(261)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 펌핑부(264), 상기 제2 피스톤(233)의 왕복 이동에 의해 흡입대상물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262)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 펌핑부(265), 상기 제3 피스톤(243)의 왕복 이동에 의해 흡입대상물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3 연결부(263)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3 펌핑부(266)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의 일측에는 제1 피스톤수납부(161)에 대응되게 제1 연결부(261)가 형성되고, 제2 피스톤수납부(162)에 대응되는 제2 연결부(262)가 형성되며, 제3 피스톤수납부(163)에 대응되는 제3 연결부(263)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에는 피스톤부재(220, 230, 240)의 왕복 이동에 따라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제1 연결부(261)에 대응되는 제1 펌핑부(264)가 형성되고, 제2 연결부(262)에 대응되는 제2 펌핑부(265)가 형성되며, 제3 연결부(263)에 대응되는 제3 펌핑부(266)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펌핑부(264), 제2 펌핑부(265) 및 제3 펌핑부(266)는 펌핑에 의해 농약 등의 흡입대상물이 이동되도록 각각 펌핑연결부(267)가 형성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는 경작지에 농약 또는 액체 비료 등을 살포하는 것으로, 상기 동력인출결합부재(110)는 고정캡(111) 및 축연결구(130)를 농업용 관리기의 PTO에 연결한다.
아울러 상기 피스톤케이스부재(250)의 흡입용 니플(252)에는 농약 등을 흡입할 수 있도록 호스(미도시) 등이 연결되고, 상기 토출용 호스연결구(253)에는 농약 등을 살포할 수 있도록 호스(미도시) 등이 체결된다.
상기 동력인출결합부재(110)의 축연결구(130)는 키홈(131) 또는 기어(132)가 형성되어 농업용 관리기의 PTO에 상관없이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농업용 관리기(1)에서 발생된 동력은 펌프케이스부재(150) 내부에 설치된 크랭크부재(210)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크랭크부재(210)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부재(220, 230, 240)가 왕복 이동된다.
이들 피스톤부재(220, 230, 240) 중 제1 피스톤부재(220)와 제3 피스톤부재(240)는 동일하게 이동되며, 상기 제2 피스톤부재(230)는 제1 피스톤부재(220) 및 제3 피스톤부재(24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이에 제1 피스톤부재(220)와 제3 피스톤부재(240)는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거리로 왕복 이동되면서 농약 등을 흡입 및 토출하게 되고, 상기 제2 피스톤부재(230)는 제1 피스톤부재(220) 및 제3 피스톤부재(240)와 반대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농약 등을 흡입 및 토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펌프케이스부재(150)에 설치된 크랭크부재(210)가 회전되면서 피스톤부재(220, 230, 240)를 왕복 이동시키면서 농약 등을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동력인출결합부재 111: 고정캡
112: 파지부 113: 걸림돌기
114: 나사산 120: 고정브래킷
121: 고정플레이트 122: 결합부
123: 걸림턱 130: 축연결구
131: 키홈 132: 기어
150: 펌프케이스부재 151: 펌프케이스본체
152: 케이스커버 153: 오일주입구
154: 오일배출구 160: 피스톤수납부
161: 제1 피스톤수납부 162: 제2 피스톤수납부
163: 제3 피스톤수납부
210: 크랭크부재 211: 크랭크샤프트
220: 제1 피스톤부재 221: 제1 커넥팅로드
222: 제2 커넥팅로드 223: 제1 피스톤
230: 제2 피스톤부재 231: 제3 커넥팅로드
232: 제4 커넥팅로드 233: 제2 피스톤
240: 제3 피스톤부재 241: 제5 커넥팅로드
242: 제6 커넥팅로드 243: 제3 피스톤
250: 피스톤케이스부재 251: 피스톤케이스본체
252: 흡입용 니플 253: 토출용 호스연결구
254: 압력조절부 255: 스프링
256: 압력조절밸브
261: 제1 연결부 262: 제2 연결부
263: 제3 연결부 264: 제1 펌핑부
265: 제2 펌핑부 266: 제3 펌핑부

Claims (5)

  1. 농업용 관리기의 후방에 설치된 동력인출부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동력인출결합부재(110);
    상기 동력인출부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크랭크부재(2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펌프케이스부재(150);
    상기 펌프케이스부재(150)의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랭크부재(210);
    상기 펌프케이스부재(1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부재(210)가 왕복 이동되면서 흡입대상물을 흡입 및 토출시키는 피스톤케이스부재(250);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인출결합부재(110)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파지부(112)가 형성되며, 일측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걸림돌기(113)가 형성되고, 내면에는 PTO에 결합되도록 나사산(114)이 형성되어 농업용 관리기(1)의 후방에 구비된 PTO(Power Take Off)에 체결되는 고정캡(111);
    상기 펌프케이스부재(150)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정한 크기를 갖는 고정플레이트(121)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21)로 소정의 직경으로 결합부(1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22)의 외면에는 고정캡(111)의 걸림돌기(113)가 결합되게 외면으로 돌출된 걸림턱(123)이 형성된 고정브래킷(120);
    PTO에 키 또는 기어에 관계없이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된 축연결구(130)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케이스부재(15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펌프케이스본체(151);
    상기 펌프케이스본체(151)의 개방된 입구를 폐쇄시키는 케이스커버(152);
    상기 크랭크부재(210)의 피스톤(223, 233, 243)이 왕복 이동되도록 상기 펌프케이스본체(151)의 일면으로 연장 형성되되, 피스톤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피스톤수납부(161)가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피스톤수납부(161)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 피스톤수납부(162)가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피스톤수납부(162)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3 피스톤수납부(163)가 구비된 피스톤수납부(160);
    오일이 주입되도록 상기 펌프케이스본체(151)의 상면에 설치되는 오일주입구(153);
    오일이 배출되도록 상기 펌프케이스본체(151)의 배면에 설치되는 오일배출구(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부재(210)는
    상기 농업용 관리기의 동력인출부에 결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크랭크샤프트(211);
    상기 크랭크샤프트(211)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크랭크샤프트(21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피스톤부재(220), 제2 피스톤부재(230) 및 제3 피스톤부재(2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스톤부재(220)는 상기 크랭크샤프트(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커넥팅로드(221)와, 상기 제1 커넥팅로드(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커넥팅로드(222) 및 상기 제2 커넥팅로드(222)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피스톤(2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피스톤부재(230)는 상기 크랭크샤프트(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커넥팅로드(231)와, 상기 제3 커넥팅로드(2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커넥팅로드(232) 및 상기 제4 커넥팅로드(232)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피스톤(223)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 피스톤(2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피스톤부재(240)는 상기 크랭크샤프트(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커넥팅로드(241)와, 상기 제5 커넥팅로드(2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6 커넥팅로드(242) 및 상기 제6 커넥팅로드(242)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3 피스톤(24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케이스부재(25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피스톤케이스본체(251);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의 일측에 상기 펌프케이스부재(150)의 제1 피스톤수납부(161)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 연결부(261);
    상기 펌프케이스부재(150)의 제2 피스톤수납부(162)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 연결부(262);
    상기 펌프케이스부재(150)에 형성된 제3 피스톤수납부(163)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3 연결부(263);
    상기 제1 피스톤(223)의 왕복 이동에 의해 흡입대상물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부(261)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 펌핑부(264);
    상기 제2 피스톤(233)의 왕복 이동에 의해 흡입대상물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262)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 펌핑부(265);
    상기 제3 피스톤(243)의 왕복 이동에 의해 흡입대상물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3 연결부(263)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3 펌핑부(2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의 일측에는 흡입대상물이 흡입되도록 호스가 연결되게 형성되는 흡입용 니플(252);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의 타측에는 흡입대상물이 토출되도록 호스가 연결되게 형성되는 토출용 호스연결구(253);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로 흡이되는 흡입대상물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피스톤케이스본체(251)의 일측에 형성되는 압력조절부(2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
KR1020190041704A 2019-04-10 2019-04-10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 KR102029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704A KR102029460B1 (ko) 2019-04-10 2019-04-10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704A KR102029460B1 (ko) 2019-04-10 2019-04-10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460B1 true KR102029460B1 (ko) 2019-10-07

Family

ID=6842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704A KR102029460B1 (ko) 2019-04-10 2019-04-10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4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0406A (zh) * 2023-04-20 2023-06-06 东北农业大学 一种无人机水稻有序错位喷直播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046Y1 (ko) * 2002-05-18 2002-08-30 이진규 동력분무기
KR20040047052A (ko) * 2002-11-29 2004-06-05 김창곤 이앙기 및 승용관리기를 이용한 자동회전 농약 살포장치
KR200398561Y1 (ko) * 2005-06-07 2005-10-13 허윤영 차량 장착형 동력 살포기
KR100611944B1 (ko) 2005-08-11 2006-08-11 구진섭 농약분사대의 호스 꼬임 방지구조
KR20110037768A (ko) * 2009-10-07 2011-04-13 이근석 동력식 분무기
KR101143402B1 (ko) 2009-07-29 2012-05-22 최준홍 방역작업을 위한 석회살포기
KR101187634B1 (ko) 2010-06-11 2012-10-05 (주)캠스텍 소형 초미립화 분무장치
KR20160118451A (ko) * 2015-04-01 2016-10-12 주식회사 아세아텍 관리기 부착형 약제 살포장치
KR101766654B1 (ko) * 2016-06-16 2017-08-09 정재평 동력식 분무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046Y1 (ko) * 2002-05-18 2002-08-30 이진규 동력분무기
KR20040047052A (ko) * 2002-11-29 2004-06-05 김창곤 이앙기 및 승용관리기를 이용한 자동회전 농약 살포장치
KR200398561Y1 (ko) * 2005-06-07 2005-10-13 허윤영 차량 장착형 동력 살포기
KR100611944B1 (ko) 2005-08-11 2006-08-11 구진섭 농약분사대의 호스 꼬임 방지구조
KR101143402B1 (ko) 2009-07-29 2012-05-22 최준홍 방역작업을 위한 석회살포기
KR20110037768A (ko) * 2009-10-07 2011-04-13 이근석 동력식 분무기
KR101187634B1 (ko) 2010-06-11 2012-10-05 (주)캠스텍 소형 초미립화 분무장치
KR20160118451A (ko) * 2015-04-01 2016-10-12 주식회사 아세아텍 관리기 부착형 약제 살포장치
KR101766654B1 (ko) * 2016-06-16 2017-08-09 정재평 동력식 분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0406A (zh) * 2023-04-20 2023-06-06 东北农业大学 一种无人机水稻有序错位喷直播装置
CN116210406B (zh) * 2023-04-20 2024-01-30 东北农业大学 一种无人机水稻有序错位喷直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6224Y1 (ko) 멀티 분사수단이 구비된 농약방제기
KR102029460B1 (ko)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 살포장치
KR200485967Y1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CN206314471U (zh) 一种水稻田用喷洒面积大的农药喷洒装置
KR200482553Y1 (ko) 분무기 겸용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 방제기
US20210331187A1 (en) Modular adaptive misting system attachment to high cfm electric blower and electric/battery operated backpack sprayer
KR101151280B1 (ko) 다단 분사관을 갖는 약액 자동살포기
KR100754896B1 (ko) 배부식 농약 분무기구
KR102365358B1 (ko) 자주형 농업용 분무기
KR20170081545A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KR100365310B1 (ko) 트랙터장착용 농약살포 분무기 및 그 살포방법
KR200416318Y1 (ko) 다목적 방제기
CN214596590U (zh) 一种物流园仓库用消毒设备
CN212184835U (zh) 混合装置结构
KR101485015B1 (ko) 초미립자 방제기
KR20180116557A (ko) 액체 분사장치
US9560844B2 (en) Magnetically attachable spray apparatus
KR101737213B1 (ko) 이동식 농약 살포장치
KR20160003343U (ko) 멀티 회전 송풍기를 갖는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CN110915786A (zh) 一种农业机械用农药喷洒装置
KR101397917B1 (ko) 물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물 살포기
KR101563845B1 (ko) 이동식 농약 살포장치
KR20200037715A (ko) 농업용 송풍 약대
CN219042541U (zh) 一种可调节的农药喷洒器
KR200154896Y1 (ko) 과수용 약액살포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