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287B1 - 도어핸들 조립체 및 이러한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도어핸들 조립체 및 이러한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287B1
KR101766287B1 KR1020160109938A KR20160109938A KR101766287B1 KR 101766287 B1 KR101766287 B1 KR 101766287B1 KR 1020160109938 A KR1020160109938 A KR 1020160109938A KR 20160109938 A KR20160109938 A KR 20160109938A KR 101766287 B1 KR101766287 B1 KR 101766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handle
tube
guid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4460A (ko
Inventor
윤성식
Original Assignee
코리아알프스(주)
세명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알프스(주), 세명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코리아알프스(주)
Publication of KR20170064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05B63/146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locks with two or more bolts, each bolt itself being a tumbler
    • E05Y2900/608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 등의 도어 록킹장치에서 도어핸들의 조작시 보다 확실한 회전력이 전달되어 도어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도어핸들의 설치 각도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핸들 조립체(10)로서, 상기 도어핸들 조립체(10)는,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회전 동작하는 도어핸들(11)과, 상기 도어핸들(1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슬리브(12)와, 상기 슬리브(12)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 고정되면서 회전판(20)을 관통하는 체결부재(13)와, 상기 도어핸들(11)의 회전시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리브(12)의 외부면에 삽입되면서 도어에 결합,고정되는 고정관체(14)와, 회전판(20)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원주방향으로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체결부재(13)가 관통되는 삽입관체(17)를 포함하는 도어핸들 조립체와, 이러한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도어핸들 조립체 및 이러한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Door Handle Assembly and Door Locking Apparatus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도어핸들 조립체 및 이러한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 등의 도어 록킹장치에서 도어핸들의 조작시 보다 확실한 회전력이 전달되어 도어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도어핸들의 설치 각도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발전소 또는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를 위해 각종스위치, 릴레이 등의 여러가지 부품들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배전반은 수납 공간을 가지는 본체부와, 이러한 본체부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로 이루어진 함체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도어 록킹장치가 갖추어진다.
상기 종래의 도어 록킹장치는, 회전 동작을 통해 도어의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 핸들과, 이 도어 핸들의 축과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판과, 이 회전판의 양쪽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상,하 이동을 통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로드바(rod bar)로 구성된다.
또한, 상,하 배치된 로드바의 중간위치에는 로드바 지지대가 갖추어진 구조이다.
종래의 도어 록킹장치는, 도어의 록킹을 위해 도어 핸들의 회전 조작시, 회전판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회전판의 양쪽 단부에 연결된 로드바가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함체의 본체부 상,하부 내측면에 걸림이 이루어져서 도어의 록킹상태가 되고, 이와 반대로 도어의 해제를 위해 도어 핸들의 록킹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드바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어의 해제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 록킹장치는 로드바의 상,하 이동시, 로드바의 단부가 배전반의 함체를 이루는 본체부의 상,하부 내측면에 위치하면서 걸림상태가 이루어지지만, 핸들의 축과 연결된 회전판이 회전할때, 원호운동을 하기 때문에, 로드바는 상,하 방향으로 수직운동을 확실하게 하지 못하여 도어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 록킹장치는 로드바의 상,하 이동시, 로드바의 단부가 본체부의 상,하부 내측면에 위치하면서 걸림상태가 이루어지지만, 로드바와의 밀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핸들의 조작시, 로드바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로드바와 본체부의 상,하 내측면과는 소정의 간격을 둘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도어의 록킹상태가 확실하게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본체부로부터 약간 이격되는 상태가 되면서 도어를 잡아당김에 따라 소리(덜거덕 거리는 소리)가 발생하고, 이와 동시에 도어의 록킹상태가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도어핸들의 조작시, 눌러서 회전시키는 방식인 경우,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도어핸들을 누르면서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 만큼 도어핸들 조작이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도어 록킹장치의 설치시, 치수 공차 등에 의해 정확하게 조립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도어핸들이 정면에서 보았을때 약간 삐뚤어지게 조립될 수 있어 외관 디자인상 좋지 않은 인상을 줄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32810호(공고일 : 2004.5.2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어핸들의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도어내부에 마련되어 도어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로드바의 수직운동이 확실하게 이루어져서 도어의 잠금 및 해제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도어 록킹장치의 설치시, 치수공차가 발생하더라도 도어 핸들이 정위치로 쉽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도어핸들 조립체 및 이러한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으로서, 도어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핸들 조립체로서,
상기 도어핸들 조립체는,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회전 동작하는 도어핸들과,
상기 도어핸들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 고정되면서 회전판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도어핸들의 회전시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리브의 외부면에 삽입되면서 도어에 결합,고정되는 고정관체와, 회전판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원주방향으로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삽입관체를 포함하는 도어핸들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에는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는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관체의 내부에는 상기 슬리브의 가이드부재가 가이드되어 전진 및 후진되도록 하는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돌기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 1저지턱과, 상기 가이드 돌기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 2저지턱과, 제 1저지턱과 제 2저지턱의 한쪽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핸들의 전면 상부측에는 회동가능하게 회전커버가 마련되고, 도어핸들의 배면에는 슬리브의 저면에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핀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핀은 도어핸들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돌출되는 누름편과, 상기 누름편으로부터 연장되어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편으로 이루어지며, 횡방향으로는 탄성부재가 탄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어핸들의 배면에는 상기 걸림핀이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대가 고정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삽입관체는 헤드부와 몸통부로 이루어지고, 각형 형상의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는 각진 형태를 가지면서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의 외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서 회전판의 일측면에서 결합너트가 나사결합되고, 단면상 삽입관체의 삽입공안에 관통 삽입후 회전시키면, 걸림이 이루어져서 회전판과 함께 동시에 회전가능하도록 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과 고정관체의 내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탄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키이 조립체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하면서 고정되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내부에 갖추어지는 회전부재와,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에 구비되면서 회전부재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면서 잠금 및 해제표시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표시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여 슬리브안에 구비되는 걸림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삽입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표시편이 마련되고, 상기 표시편에는 배면이 보이도록 하는 투시창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투시창은 안쪽이 확대되어 보이도록 볼록렌즈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부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키이를 삽입하여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쪽 단부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하우징의 한쪽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조작편과, 상기 조작편의 반대편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편은 마름모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표시부재는, 상부에 위치하면서 잠금 및 해제부가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하부 끝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판은 회전부재의 회전편이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원형을 이루면서 상부 및 하부 중앙에 중심방향으로 단부가 양쪽으로 경사면을 가지면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는 회전편이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홈과, 한쪽 끝단부에 돌출,형성되어서 걸림부재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편심되게 형성되는 편심돌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기재된 도어핸들 조립체와; 상기 도어핸들 조립체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양쪽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면서 본체부에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한쌍의 로드바와;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로드바(30)의 단부에 구비되는 걸림관체와; 상기 걸림관체가 상,하 이동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관과; 상기 도어핸들의 상부측 내부에 갖추어지고, 키이에 의해 도어핸들 조립체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키이 조립체를 포함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 수단은, 상기 회전판의 양쪽 단부에 로드바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이동가능하도록 장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 수단은, 상기 회전판의 중앙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삽입공에 끼워지는 삽입관체는 각형 모양의 삽입공과, 헤드부의 바깥쪽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판의 삽입공에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에 끼워져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간격을 두고 복수로 돌출,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 수단은, 상기 로드바에 로드바가 관통,삽입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내부에 나사결합되면서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걸림관체는 로드바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롤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과 이격된 위치에는, 걸림관체안에 삽입되는 상기 로드바의 단부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은 직선형의 제 1가이드공과, 상기 제 1가이드공으로부터 경사져서 형성되는 제 2가이드공과, 상기 제 2가이드공으로부터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제 3가이드공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장공에는, 삽입되는 로드바의 단부와 걸림핀으로 결합하되, 로드바는 고정된 상태에서, 걸림관체가 회동되도록 걸림핀이 장공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은 걸림관체의 삽입관이 삽입되는 인서트관과, 상기 인서트관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면서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체결부재와 나사결합되는 결합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관의 내부에는, 걸림관체의 삽입관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끼워져 조립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또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도어핸들 조립체와; 상기 도어핸들 조립체의 도어 핸들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양쪽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면서 본체부에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한쌍의 로드바와; 상기 로드바의 단부에 구비되고,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걸림관체와; 상기 걸림관체가 상,하 이동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관과; 상기 도어핸들의 상부측 내부에 갖추어지고, 슬리브안으로부터 입출되는 걸림부재를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키이에 의해 도어핸들 조립체의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키이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걸림부재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림부재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편심돌기와, 상기 회동부재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고, 슬리브의 외부로 돌출되어 고정관체의 내부 상부면에 형성된 저지턱의 걸림홈내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상기 키이 조립체에 의해 도어핸들의 회전후 원위치시킬 때 자동적으로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링부재가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체의 내부에는, 고정관체의 내부 하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와, 고정관체의 내부 상부면에 형성되는 저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의 선단부에는 걸림부재가 위치하여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단이진 걸림편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의 후단부 일부분에는 슬리브의 가이드 부재가 접하고 있다가 도어핸들의 도어 개방을 위해 회전시, 자동적으로 가이드되어 전진 및 후진이 이루어지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안내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의 안내면은 가이드 돌기의 일부분에만 형성되고, 전진방향으로 갈 수록 더 볼록하게 곡선형으로 형성되도록 가이드 돌기의 단부 일부분을 제거하여 슬리브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가 가이드되어 슬리브의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저지턱의 후단부에는 안내면이 볼록한 곡선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의 안내면과의 사이에서 가이드 부재가 접하여 도어핸들의 회전 동작시 고정관체의 내부로 도어핸들의 슬리브의 전진 및 후진 동작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저지턱의 선단부 한쪽에는 걸림편이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 돌기의 걸림편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걸림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와 저지턱의 사이에는, 슬리브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부재가 삽입,이동되어 안내면에 접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표시부재를 관통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은 반경방향으로 단면상 곡선형을 이루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표시부재에는 상기 돌출부와 반경을 달리하는 통과공인 제 1통과공과 제 2통과공이 형성되어 하나의 폐곡선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 1통과공은 원주방향으로 회전부재의 돌출부보다 원주방향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회전부재의 소정각도로 회전후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수단에 있어서, 도어핸들의 안쪽면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어 도어핸들의 회전시, 항상 눌러서 고정관체와의 걸림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록킹노브가 마련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전반용 도어의 개폐동작을 위해 도어핸들의 조작시, 도어핸들의 잠금 및 해제확인이 용이하고, 도어핸들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도어 핸들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배전반 함체의 원하는 설계사양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반용 도어의 록킹시 함체의 상,하부 내측 걸림면에 밀착되어서 도어의 록킹상태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부에 하나의 로드바를 통해, 도어의 록킹 및 해제동작시, 하나의 로드바를 통해 직선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록킹 및 해제동작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에서 로드바가 이동하여 도어의 록킹상태가 이루어진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상태에서 도어핸들을 회전시켜서 도어의 해제상태가 되도록 하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도어핸들의 조작으로 도어의 해제상태가 이루어진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도어 핸들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도어 핸들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도어 핸들 조립체의 배면에서 본 분리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도어 핸들 조립체에서 고정관체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7c는 도 7b의 다른 측면에서 본 절개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키이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배면 분리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도어 핸들 조립체의 결합 종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서 도어핸들이 회전 및 전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도어 핸들 조립체의 결합 횡단면도이다.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도어 핸들 조립체의 결합 종단면도로서, 회전판에 결합되어 도어핸들을 회전시키기 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e는 도 9d의 상태에서 도어핸들을 회전시켜서 전진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도어 핸들 조립체에서 고정관체내에서 가이드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로부터 가이드되어 도어핸들이 회전 및 전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도어 핸들 조립체의 회전부재와 표시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도어 핸들 조립체에서 슬리브안의 걸림부재의 이동하기 전 상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서 슬리브안의 걸림부재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도어 핸들 조립체에서 회전판과 삽입관체 및 체결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회전판, 삽입관체 및 고정너트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결합상태의 평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로드바와 걸림관체 및 고정관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가이드부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로드바의 이동으로 걸림관체의 동작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a는 도 3a로부터 록킹바아가 구비된 구조의 측면도로서, 도어핸들이 회전하기 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9b는 도 19a로부터 도어핸들이 회전되어 전진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도어 핸들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 조립체를 이루는 고정관체의 종방향 절개 사시도이다.
도 2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 조립체를 이루는 고정관체의 횡방향 절개 사시도의 반쪽 부분(상부 부분)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22d는 도 22c의 나머지 반쪽 부분(하부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 조립체를 이루는 고정관체의 내부 상부면에 형성되는 저지턱과 하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의 구조 및 배치관계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 조립체를 이루는 고정관체의 내부에 걸림부재가 위치하여 록킹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a는 도 20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3b는 도 23a의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4a는 도 21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4b는 도 24a에서 도어핸들을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4c는 도 24a의 평단면도이다.
도 2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도어 핸들 조립체에서 고정관체내에서 가이드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b는 도 25a로부터 가이드되어 도어핸들이 회전 및 전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도어 핸들 조립체의 회전부재와 표시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도어 핸들 조립체에서 슬리브안의 걸림부재의 이동전 상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7b는 도 27a에서 슬리브안의 걸림부재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를 이루는 회동부재의 걸림턱이 고정관체 내부에서의 저지턱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1a는 도 30의 도어핸들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1b는 도 31a의 상태에서 록킹노브를 누른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 실시 예](도 1 내지 도 19b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1)는,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용 도어(2)의 중앙에 고정되는 도어핸들 조립체(10)와, 상기 도어핸들 조립체(10)의 도어 핸들(11)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20)과, 상기 회전판(20)의 양쪽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면서 본체부(3)에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한쌍의 로드바(30)를 포함한 구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배전반용 도어(2)는 한쌍을 이루면서 여닫이 구조를 가지는 도어로서, 개방하고자 하는 한쪽 도어에 상기 도어 핸들 조립체(1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도어핸들 조립체(10)는, 배전반용 도어(2)를 개폐시키도록 회전 동작하는 도어핸들(11)과, 이 도어핸들(1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슬리브(12)와, 이 슬리브(12)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고정되면서 회전판(20)을 관통하는 체결부재(13)와, 상기 슬리브(12)의 외부면에 삽입되면서 도어(2)의 외면에 결합,고정되는 고정관체(14)와, 도어(2)의 내측면에 위치하면서 고정관체(14)와 결합되는 결합관체(15)와, 상기 결합관체(15)의 일측면에 위치하면서 체결부재(13)와 결합되는 너트(16)와, 회전판(20)의 삽입공(20a)을 관통하여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체결부재(13)가 관통되는 삽입관체(1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12)의 내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걸림부재(12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12)의 적어도 어느 한쪽, 바람직하게는 양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부재(12b)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관체(14)의 내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가이드돌기(14a)가 형성되어서 상기 슬리브(12)의 가이드부재(12b)가 가이드되어 전진 및 후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관체(14)의 가이드 돌기(14a)의 반대측에는 제 1저지턱(14b)이 형성되고, 다른 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제 2저지턱(14c)이 형성되며, 제 1저지턱(14b)과 제 2저지턱(14c)의 한쪽 사이에는 걸림홈(14d)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도어핸들(11)의 전면 상부측에는 회동가능하게 회전커버(11a)가 마련되고, 도어핸들(11)의 배면에는 회동되는 걸림핀(18)이 구비되는데, 걸림핀(18)은 도어핸들(11)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관통공(11b)을 통해 돌출되는 누름편(18a)과, 상기 누름편(18a)으로부터 연장되어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편(18b)으로 이루어지며, 횡방향으로는 탄성부재(18c)가 탄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어핸들(11)의 배면에는 상기 걸림핀(18)이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대(18d)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관체(14)의 하부에는 복수(바람직하게는 2군데)의 걸림홈(14b)이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커버(11a)가 닫힌 상태에서는 걸림핀(18)의 누름편(18a)이 눌려서 걸림편(18b)이 상승하여 고정관체(14)의 걸림홈(14b)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져서 도어핸들(11)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7a 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관체(14)의 일측면에는 와셔형의 밀착부재(14-1)와 링형의 와셔부재(14-2)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재(14-1)는 여러가지 재질로 구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관체(14)의 지지면(14h)의 안쪽면 양측에는 결합돌기(14i)가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어느 한쪽의 결합돌기(14i)의 일측면에는 접지돌기(14j)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밀착부재(14-1)는 고무재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돌기(14i)가 관통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공(14-1a)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밀착부재(14-1)를 고정관체(14)의 지지면(14h)에 밀착시키면, 지지면(14h)의 결합돌기(14i)가 각각 밀착부재(14-1)의 결합공(14-1a)에 결합됨과 동시에, 접지돌기(14j)가 밀착부재(14-1)를 뚫고 나와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접지돌기(14j)는 도어핸들(11)을 도어(2)에 설치하면, 도어(2)면과 접촉하여 전기적 접지가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관체(17)는 헤드부(17a)와 몸통부(17b)로 이루어지고, 다각형 형상의 삽입공(17c)이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17b)는 각진 형태를 가지는 다각형 형태이면서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삽입관체(17)는 회전판(20)의 삽입공(20a)을 관통하여 몸통부(17b)가 반대편으로 돌출되는데, 이 돌출되는 몸통부(17b)에 고정너트(19)를 결합하고, 한편 상기 회전판(20)의 삽입공(20a)에 삽입되면서 헤드부(17a)에 의해 걸림이 이루어지는 삽입관체(17)의 관통공(17c)을 통과하는 체결부재(13)에는 결합너트(13a)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체결부재(13)의 외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결합너트(13a)가 나사결합되고, 체결부재(13)는 단면상 사각형 단면을 가져서 삽입관체(17)의 관통공(17c)안에 관통,삽입후 회전시키면, 걸림이 이루어져서 회전판(20)과 함께 동시에 회전가능하도록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슬리브(12)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12c)가 삽입되어 탄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어핸들(11)의 상부측 즉, 회전커버(11a)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위치에 갖추어지면서 슬리브(12)안에 설치되어 키이(key)에 의해 도어핸들 조립체(10)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키이 조립체(70)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5,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이 조립체(70)는 하우징(71)과, 이 하우징(71)의 내부에 고정되는 원통체의 삽입관(72)과, 이 삽입관(72)의 내부에 갖추어지는 회전부재(73)와, 상기 삽입관(72)의 외주면에 구비되면서 회전부재(73)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면서 잠금 및 해제표시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표시부재(74)와, 상기 회전부재(73)와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여 슬리브(12)안에 구비되는 걸림부재(12a)를 이동시키도록 삽입되는 회동부재(75)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71)은 원통체를 이루면서 관통공(71a)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표시편(71b)이 마련되고, 이 표시편(71b)에는 배면이 보이도록 하는 투시창(71c)이 갖추어진다.
상기 투시창(71c)은 투명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볼록렌즈로 형성하여 내부에 확대되어 잘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관(72)은 외주면 하단부에 걸림홈(72a)이 형성되어서 상기 하우징(71)의 내부 하부면에 형성된 걸림돌기(71d)가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73)는 한쪽 단부에 돌출되어 키이(도시되지 않음)를 삽입하여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71)의 내부에서 하우징(71)의 한쪽에서 노출되게 구비되는 조작편(73a)과, 이 조작편(73a)의 반대편에 돌출,형성되는 회전편(73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편(73b)은 마름모형(다이아몬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재(74)는 상부에 위치하면서 잠금 및 해제부가 표시되는 표시부(74a)와, 이 표시부(74a)의 하부 끝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판(74b)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판(74b)은 관통공(74c)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74c)은 원형을 이루면서 상부 및 하부 중앙에 중심방향으로 단부가 예리하게 양쪽으로 경사면을 가지면서 돌출되는 돌출부(74d)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75)는 원통체를 이루고, 상기 회전부재(73)의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는 회전편(73b)이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홈(75a)과, 한쪽 끝단부에 돌출,형성되어서 걸림부재(12a)의 중앙에 형성되는 걸림홈(12a-1)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편심돌기(75b)를 포함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20)은 여러가지 형상으로 구성 가능하지만, 횡방향으로의 길이가 종방향보다 길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20)의 양쪽 단부에는 로드바(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이동가능하도록 장공(21)이 각각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회전판(20)과 이 회전판(20)의 삽입공(20a)에 삽입되는 삽입관체(17)의 다른 변형 예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20)의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공(20a)과 다른 구조의 삽입공(20b)이 형성되는데, 이 삽입공(20b)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홈(20c)이 형성되고, 이러한 삽입공(20b)에 끼워지는 삽입관체(17)는 사각형 모양의 삽입공(17d)과, 헤드부(17a)의 바깥쪽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판(20)의 삽입공(20b)에 형성되는 걸림홈(20c)에 끼워져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돌기(17e)가 간격을 두고 복수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로드바(30)는 회전판(20)의 양쪽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부(3)의 상,하부에 형성된 걸림면(3a)(3b)으로부터 각각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로드바(30)의 단부에는 걸림관체(40)가 결합되며, 상기 걸림관체(40)는 각각 도어(2)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관(50)안에 회전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로드바(30)의 소정위치에는 가이드부재(60)가 갖추어진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관체(40)는, 로드바(30)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관(41)과, 상기 삽입관(41)의 단부에 형성되는 롤러부(4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삽입관(4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가이드공(41a)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공(41a)과 이격된 위치에는 삽입되는 상기 로드바(30)의 단부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하는 장공(41b)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41a)은 직선형의 제 1가이드공(41a-1)과, 이 제 1가이드공(41a-1)로부터 경사져서 형성되는 제 2가이드공(41a-2)과, 이 제 2가이드공(41a-2)로부터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제 3가이드공(41a-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공(41b)에는 삽입되는 로드바(30)의 단부와 걸림핀(31)으로 결합하되, 로드바(30)는 고정된 상태에서, 걸림관체(40)가 회동되도록 걸림핀(31)이 장공(41b)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걸림관체(40)의 삽입관(41)의 단부에는 롤러부(42)가 갖추어지는데, 상기 롤러부(42)는 삽입관(41)과 일체로 형성되는 브래킷(42a)과, 이 브래킷(42a)의 안쪽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롤(42b)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롤(42b)은 브래킷(42a)으로부터 약간 돌출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관(50)은 걸림관체(40)의 삽입관(41)이 삽입되는 인서트관(51)과, 상기 인서트관(51)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관(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관(52)은 도어(2)의 내측면에 고정(용접 등)되는 체결부재(53)와 나사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체결부재(53)는 볼트 또는 나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8a 내지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관(51)의 내부에는 고정돌기(51a)가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관체(40)의 삽입관(41)에 형성된 가이드공(41a)에 끼워져 조립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60)는 로드바(30)가 관통,삽입되는 바디부(61)와, 상기 바디부(61)의 내부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62)와, 상기 체결부재(62)의 내부에 나사결합되면서 도어(2)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6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부재(60)는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9a와 도 1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10)의 단부측에 록킹바아(8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록킹바아(8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삽입관체(17), 고정너트(19), 회전판(20), 로드바(30), 걸림관체(40), 고정관(50), 가이드 부재(60) 등을 설치하지 않고, 록킹바아(80)의 회동에 의해 도어(2)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9a에서 록킹바아(80)는 양측면에서 결합너트(13a)가 결합되어 조여져서 고정되도록 하고, 록킹바아(80)는 한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조를 가져서 도어(2)의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도 19a에서는 록킹바아(80)의 길이방향이 아닌 단부측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따라서, 도 19b에서와 같이 도어핸들(11)을 도어(2)의 개방을 위해 회전시키면, 록킹바아(80)의 길이가 긴 부분이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2)의 개방을 위해 도어핸들(11)을 회전시키면, 체결부재(13)가 회전 및 전진되면서 너트(16), 결합너트(13a), 록킹바아(80)가 동시에 전진 이동되어서 도 19b에서와 같이 도어(2)의 내측면으로부터 록킹바아(80)가 간격을 두고 떨어지게 되어서 도어(2) 내측면과의 간섭이 없이 원활하게 도어핸들(11)의 회전동작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어(2) 내측면과의 간섭이 없으므로, 간섭으로 인한 소음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도어(2)는 상기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배전반용 도어(2)와 동일한 구조가 아닌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도어인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한쌍의 여닫이 구조의 도어(2)중 한쪽 도어(2)는 고정된 상태에서 맞은편 도어(2)를 개방 또는 록킹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도어(2)는 실제로는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부분이 두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우측에 있는 일점쇄선은 도어(2)의 내측면이 되는 것이며, 도어(2)가 안쪽으로 절곡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1)는, 도어핸들(11)을 통해 도어(2)를 본체부(3)로부터 록킹상태로 하기 위해서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판(20)이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회전판(20)의 양쪽 단부에 연결된 로드바(30)가 각각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2)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 핸들(11)의 상부에 위치하는 회전커버(11a)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개방하면, 눌려있던 걸림핀(18)의 누름편(18a)이 노출되면서 걸림편(18b)이 고정관체(14)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14b)으로부터 이탈되어 걸림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키이를 도어핸들(11)의 개방된 상부측의 회전부재(73)의 조작편(73a)에 끼워서 일측방향으로 돌리면, 회전부재(73)는 슬리브(12)의 내부에 구비되는 하우징(71)의 내부에서 회전하게 되는데, 그러면, 회전부재(73)의 끝단부에 형성된 회전편(73b)이 표시부재(74)의 걸림판(74b)에 형성된 관통공(74c)을 통과하여 회동부재(75)의 삽입홈(75a)안에서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로 회전하여 표시부재(74) 및 회동부재(75)가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표시부(74a)에 형성된 해제표시부가 위치이동하여 하우징(71)의 상부에 구비된 표시편(71b)의 투시창(71c)을 통해 해제표시부가 보이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재(74)의 걸림판(74b)에 형성되는 관통공(74c)은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된 구조가 아니라, 상부 및 하부에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끝단부가 뾰족하게 양쪽에서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돌출부(74d)가 마련되어 있어, 이러한 관통공(74c)을 통과하는 회전부재(73)의 회전편(73b)은 관통공(74c)내에서 일측방향으로 회전하다가 돌출부(74d)를 만나게 되면, 그때부터 회전부재(73)의 계속된 회전동작에 따라 돌출부(74d)에 걸린 상태로 걸림판(74b)도 회전하게 되면서 표시부재(74) 전체가 회전하게 되어 표시부(74a)의 회전이동에 따라 잠금 또는 해제 표시부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회전부재(73)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는 회동부재(75)의 한쪽 끝단부에는 편심돌기(75b)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이 편심돌기(75b)는 슬리브(12)의 폭방향(직경방향)으로 관통,삽입된 걸림부재(12a)의 중앙에 형성된 걸림홈(12a-1)에 삽입되어 있어, 회동부재(75)가 회전함에 따라 편심돌기(75b)의 편심 이동에 따라 걸림부재(12a)가 슬리브(12)의 폭방향중 한쪽으로 이동하여 슬리브(12)의 내부로 삽입되어 노출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고정관체(14)의 내부면에서 걸림홈(14d)에 걸림부재(12a)가 걸림상태로 있다가 해제(반경방향으로 걸림부재(12a)가 이동하여 해제됨)되고, 그때부터 도어핸들(11)은 회전이 가능하여 도어(2)의 개방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2)를 개방시키기 위해 도어핸들(11)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관체(14)의 내부에서 슬리브(12)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슬리브(12)에는 양측면으로 가이드부재(12b)가 돌출되어 있어, 도어 핸들(11)을 약간 누르면서 회전시키면, 슬리브(12)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가이드부재(12b)가 고정관체(14)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4a)의 면을 따라 이동하여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 전진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슬리브(12)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12c)가 탄지되어 있어, 도어핸들(11)이 회전하면서 전진이동시 수축된다.
그러면, 슬리브(12)안에 결합된 체결부재(13)도 동시에 회전 및 전진이동이 이루어지는데, 체결부재(13)의 단부측에 결합된 결합너트(13a)는 삽입관체(17)와 결합된 고정너트(19)로부터 약간 간격을 두고 떨어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도어(2)의 개방을 위해 도어핸들(11)을 회전시키면, 도어(2)에 고정된 고정관체(14)의 내부에서 슬리브(12)가 회전 및 전진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체결부재(13), 너트(16), 결합너트(13a)도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13)는 삽입관체(17)의 삽입공(17c)을 관통하고 있는데, 삽입공(17c)이 일반적인 원형의 구멍이 아니고, 각이진 다각형 구조를 이루고 있고, 이에 관통,결합되는 체결부재(13)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있어, 체결부재(13)를 회전시킴에 따라 삽입공(17c)내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이동이 되면서도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시 걸림이 이루어져서 체결부재(13)의 회전과 동시에 삽입관체(17)도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회전판(20)의 삽입공(20a)은 각진 다각형 모양(본 실시 예에서는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관체(17)의 몸통부(17b)와 원주방향으로 회전시 걸림이 이루어져서 삽입관체(17)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판(20)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삽입관체(17)의 몸통부(17b)와 회전판(20)의 배면에서 나사결합된 고정너트(19)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상기 삽입관체(17)의 삽입공(17c)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도어핸들(11)의 설치각도를 달리하여 결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슬리브(12)안에 삽입,고정되는 체결부재(13)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3)를 다른 각도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삽입관체(17)의 다각형 구조를 가지는 삽입공(17c)에서 다른 각도로 삽입하면 된다.
상기 체결부재(13)는 삽입관체(17)의 삽입공(17c)을 통해 전진이동이 가능한데, 체결부재(13)가 회전하면서 전진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삽입관체(17)의 삽입공(17c)과의 결합관계로 인해 삽입관체(17)도 동시에 회전하므로, 마치 체결부재(13) 입장에서는 삽입관체(17)가 정지된 상태와 마찬가지가 되어서 삽입관체(17)의 삽입공(17c)을 통해 슬리아딩 전진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로드바(3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관체(40)와 고정관(50)가 갖추어져 있는데, 상기 고정관(50)는 일측방향으로 결합관(52)에 돌출,형성되어서 도어(2)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체결부재(53)와 나사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관(50)의 인서트관(51)의 내부에는 걸림관체(40)의 삽입관(41)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이 삽입관(41)의 내부에 로드바(30)가 삽입되어서 로드바(30)의 단부측에 걸림핀(31)을 통해 삽입관(41)의 장공(41b)에 끼워져 있어, 로드바(30)가 이동하면, 걸림관체(40)의 삽입관(41)도 고정관(50)을 구성하는 인서트관(5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고정관(50)의 인서트관(51)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돌기(51a)가 삽입관(41)의 가이드공(41a)에 끼워져 있으므로, 삽입관(41)이 이동함에 따라 고정된 고정돌기(51a)에 의해 가이드공(41a)의 형성 패턴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가이드공(41a)은 제 1,2,3가이드공(41a-1)(41a-2)(41a-3)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먼저 제 1,3가이드공(41a-1)(41a-3)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2가이드공(41a-2)은 일측방향으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돌기(51a)을 기준으로 상기 경사진 제 2가이드공(41a-2)을 따라 삽입관(41)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물론 로드바(3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핀(31)은 삽입관(41)의 장공(41b)내에 있기 때문에, 삽입관(41)의 회전함에 따라 장공(41b)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걸림핀(31)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로드바(30)는 수직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되고 회전하지는 않기 때문에, 걸림핀(31)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삽입관(41)의 장공(41b)을 통해 삽입관(41)이 회전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삽입관(41)이 회전이동하게 되면, 삽입관(41)의 단부측에 마련된 롤러부(42)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상기 롤러부(42)는 브래킷(42a)을 통해 회전롤(42b)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회전롤(42b)은 브래킷(42a)으로부터 약간 돌출되게 배치되어 있어, 롤러부(42)가 회전함에 따라 돌출된 회전롤(42b)은 배전반 등의 본체부(3)의 걸림면(3a)(3b)에 각각 밀착된다.
따라서, 도어(2)의 록킹상태가 이루어지며, 롤러부(42)의 회전롤(42b)이 걸림면(3a)(3b)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유격에 의한 소리가 발생하지 않고, 도어(2)의 록킹상태가 보다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로드바(30)에는 가이드부재(60)가 마련되어 있어, 가이드부재(60)에 의해 로드바(30)가 보다 안정적이면서 확실한 수직 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록킹된 상태의 도어(2)를 본체부(3)로부터 해제하여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록킹시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도어핸들(11)을 회전시키면, 상기 동작과 반대방향으로 로드바(30)가 상,하 이동하여 롤러부(42)가 걸림면(3a)(3b)으로부터 위치이동하여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롤러부(42)의 위치 이동시, 걸림관체(40)의 삽입관(41)이 고정관(50)의 인서트관(51) 내부에서 가이드공(41a)에 의해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그러면, 회전롤(42b)이 걸림면(3a)(3b)에 밀착된 상태에서 떨어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로드바(30)의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로드바(30)의 이동시 간섭없이 원활하게 해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 예](도 20 내지 도 27b 참조)
한편,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를 구성하는 도어핸들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 조립체를 이루는 고정관체의 종방향 절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 조립체를 이루는 고정관체의 횡방향 절개 사시도의 반쪽 부분(상부 부분)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2d는 도 22c의 나머지 반쪽 부분(하부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2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 조립체를 이루는 고정관체의 내부 상부면에 형성되는 저지턱과 하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의 구조 및 배치관계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2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 조립체를 이루는 고정관체의 내부에 걸림부재가 위치하여 록킹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10)는 상기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도어핸들(11)의 상부 전방으로 슬리브(1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12)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 고정되면서 회전판(20)을 관통하여 체결부재(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12)의 외부면에 삽입되면서 도어(2)의 외면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관체(14)가 마련되고, 상기 도어(2)의 내측면에 위치하면서 고정관체(14)와 결합되는 결합관체(15)가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관체(15)의 일측면에 위치하면서 체결부재(13)와 결합되는 너트(1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12)의 내부에는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걸림부재(12a)가 삽입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슬리브(12)의 내부에는 적어도 어느 한쪽, 바림직하게는 양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부재(12b)가 갖추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가이드부재(12b)는 슬리브(12)에 결합시, 슬리브(12)의 내부로 삽입되는 체결부재(13)를 관통하여 함께 결합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도 22a 및 도 22b는 고정관체(14)의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해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2b는 도 22a로부터 반대방향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22c는 고정관체(14)를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상부 부재를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2d는 고정관체(14)를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하부 부재를 내려다본 사시도이며, 도 22e는 고정관체(14)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14e)와 저지턱(14f) 구조만을 배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2f는 고정관체(14)안에 삽입되는 걸림부재(12a)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관체(14)는, 고정관체(14)의 내부 하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14e)와, 고정관체(14)의 내부 상부면에 형성되는 저지턱(14f)의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고정관체(14)의 내부 하부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돌기(14e)가 형성되는데, 도 22c, 도 22e 및 도 2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14e)의 선단부에는 걸림부재(12a)가 위치하여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단이진 걸림편(14e-1)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14e)의 후단부 일부분에는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안내면(14e-2)이 형성되어서 슬리브(12)의 가이드부재(12b)가 접하고 있다가 도어핸들(11)의 도어 개방을 위해 회전시, 자동적으로 가이드되어 전진 및 후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돌기(14e)의 안내면(14e-2)은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14e)의 일부분에만 형성되는데, 전진방향으로 갈 수록 더 볼록하게 곡선형으로 형성되도록 가이드돌기(14e)의 단부 일부분을 제거하여 가이드부재(12b)가 가이드되어 도어핸들(11)의 슬리브(12)가 전,후진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고정관체(14)의 내부 상부면에 형성되는 상기 저지턱(14f)의 선단부에는 소정범위의 걸림홈(14f-1)이 형성되어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75)의 걸림턱(75c)이 위치하여 회동부재(75)의 회전시 회전각도 범위를 제한해주고, 추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키이의 조작에 의해 도어핸들(11)을 도어 개방을 위해 회전가능하게 록킹상태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도어핸들(11)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75)의 걸림턱(75c)이 저지턱(14f)의 걸림홈(14f-1)의 한쪽 단부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는 상태에서 도어핸들(11)만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지턱(14f)의 후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4e)의 안내면(14e-2)와 마찬가지의 안내면(14f-2)이 볼록하게 형성되어서, 도 2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14e)의 안내면(14e-2)과의 사이에서 가이드부재(12b)가 접하여 도어핸들(11)의 회전 동작시 고정관체(14)의 내부로 도어핸들(11)의 슬리브(12)의 전진 및 후진 동작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지턱(14f)의 선단부 한쪽에는 걸림편(14f-3)이 형성되어서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돌기(14e)의 걸림편(14e-1)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서 도 2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12a)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14e)와 저지턱(14f)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로(14h)가 형성되어서 슬리브(12)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부재(12b)가 삽입,이동되어 안내면(14e-2)(14f-2)에 접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안내면(14e-2)(14f-2)은 각각 가이드돌기(14e)와 저지턱(14f)의 후단부 일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12a)는 슬리브(12)안에 삽입시, 탄성부재(12d)가 탄지되도록 한다.
또한 슬리브(12)의 상부에는 관통공(12e)이 형성되어서 후술하는 키이 조립체(70)의 회동부재(75)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턱(75c)이 상기 관통공(12e)을 통과하여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키이 조립체(70)는, 도어핸들(11)의 상부 내부에 고정되는 하우징(71), 상기 하우징(71)의 내부에서 고정되는 삽입관(72), 키이가 삽입되어 삽입관(72)의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재(73)와, 록킹 및 열림 상태를 알려주는 표시부재(74)가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갖추어지는데, 표시부재(74)는 상기 회전부재(73)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하지만, 회전부재(73)와 동시에 회전되지 않고 시간차를 두고 회전각도를 달리하여 회전된다.
상기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71)과 삽입관(7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71) 및 삽입관(72)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회전부재(73)는 선단에 형성되어서 키이가 결합되도록 하는 조작편(73a)이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재(74)를 관통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편(73c)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편(73c)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곡선형 즉, 단면상 대략 반원형을 이루면서 돌출부(73c-1)가 형성되고, 표시부재(74)에는 이에 부합되도록 하는 통과공인 제 1통과공(74e)과 제 2통과공(74f)이 형성되어 하나의 폐곡선을 이루는 구조를 가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 1통과공(74e)은 제 2통과공(74f)보다 여유 공간이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부재(73)의 연결편(73c)에 돌출 형성되는 반원형의 돌출부(73c-1)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 1통과공(74e)은 원주방향으로 돌출부(73c-1)보다 원주방향으로 크게 형성되어서, 회전부재(73)의 돌출부(73c-1)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후 표시부재(74)가 동시에 회전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73)는 키이의 조작에 의해 일측방향(본 실시 예에서는 반시계방향 60도 회전)으로 회전되면, 회동부재(75)도 동시에 회전되는데, 걸림턱(75c)이 도어핸들(11)의 슬리브(12)에 형성된 관통공(12e)의 한쪽에서 반대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75)의 걸림턱(75c)은 도 25a 및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핸들(11)의 슬리브(12)가 고정관체(14)의 내부를 전진이동할 때, 고정관체(14)의 내부에 형성된 저지턱(14f)의 단부 한쪽에서 반대쪽으로 회전(본 실시 예에서는 60도 회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75)의 한쪽 단부면에는 편심돌기(75b)가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편심돌기(75b)는 슬리브(12)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걸림부재(12a)의 걸림홈(12a-1)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져서 회동부재(75)의 회전에 따라 편심돌기(75b)의 편심 이동에 따라 걸림부재(12a)가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편심돌기(75b)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져 있고, 도어 개방을 위해 키이를 회전시키면, 회동부재(75)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되면서 걸림부재(12a)를 슬리브(12)의 내부로 삽입되게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75)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는 링부재(75d)가 끼워져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링부재(75d)는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도록 고무재 등으로 할 수 있고 회동부재(75)의 외주면에 보다 확실한 고정을 위해 회동부재(75)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고정홈(75e)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핸들(11)의 상부에 갖추어지는 고정 커버(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와 달리, 도어핸들(11)의 상부에서 회동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되는 고정 커버(11b)는 키이 조립체(70)의 회전부재(73)의 조작편(73a)이 보이도록 하고, 표시부재(74)의 표시부(74a)가 보이도록 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10)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 도어핸들(11)을 조작하는데, 먼저 키이를 고정커버(11b)에서 보이는 회전부재(73)의 조작편(73a)에 삽입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회전부재(73)와 결합된 삽입관(72), 표시부재(74) 및 회동부재(75)가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표시부재(74)에 마련된 표시부(74a)는 도어의 록킹된 상태일때의 표시상태로부터 개방상태의 표시상태로 이동되어 배치된다.
더욱이, 상기 표시부재(74)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이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73)와 결합되어 있지만, 회전부재(73)와 동시에 회전하지 않고, 시간차를 두고 회전부재(73)의 회전후 회전한다.
즉, 회전부재(7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서 표시부재(74)와 관통,결합되는 연결편(73c)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 연결편(73c)에는 반원형을 이루는 돌출부(73c-1)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연결편(73)이 관통 결합되는 표시부재(74)는 제 1통과공(74e)과 제 2통과공(74f)이 형성되어서 돌출부(73c-1)는 제 1통과공(74e)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 1통과공(74e)은 삽입되는 연결편(73c)의 돌출부(73c-1)보다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의 여유 공간이 형성되어서, 최초 도어의 록킹된 상태에서 키이의 조작에 의해 회전부재(73)가 회전하면, 회전부재(73)의 연결편(73c)이 처음위치에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에는 표시부재(74)는 동시에 회전하지 못하고, 소정의 각도 이상이 되는 시점이 되면, 돌출부(73c-1)의 한쪽 측면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통과공(74e)의 한쪽 단부에 접하면서 밀 수 있는 상태가 되어서 계속해서 회전부재(73)를 회전시키면, 이때부터 표시부재(74)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 1통과공(74e)은 삽입되는 연결편(73c)의 돌출부(73c-1)보다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의 여유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처음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 즉, 30도 회전시까지는 연결편(73c)만이 회전하고, 이때 연결편(73c)의 돌출부(73c-1)가 제 1통과공(74e)의 끝단부에 접하면서 이때부터 표시부재(74)도 동시에 회전되기 시작하여 회전각도가 30도 이후부터 60도까지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73)의 회전시, 결합된 회동부재(75)도 동시에 회전하는데, 회동부재(75)의 상부에는 걸림턱(75c)이 돌출되어 있는데,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핸들(11)의 슬리브(12)에 형성된 관통공(12e)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면서 고정관체(14)의 내부에 형성된 저지턱(14g)의 단부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75)의 전면에는 편심돌기(75b)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편심돌기(75b)는 슬리브(12)의 내부에서 입출되는 걸림부재(12a)의 걸림홈(12a-1)안에 삽입되어 있어, 회동부재(75)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면 편심돌기(75b)는 편심이동되고, 그에 따라 걸림부재(12a)도 이동하여 슬리브(12)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가, 슬리브(12)의 안으로 삽입된다.
상기 걸림부재(12a)는 도어핸들(11)의 슬리브(12)안에 삽입된 탄성부재(12d)에 의해 항상 슬리브(12)의 외부로 밀려나가려는 힘이 작용하고 있는데, 회동부재(75)에 형성된 편심돌기(75b)의 편심 이동에 따라 슬리브(12)의 내부로 강제로 삽입되어 슬리브(12)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면서 고정관체(14)의 내부에서의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걸림부재(12a)는 회동부재(75)의 편심돌기(75b)에 의해 이동되어 슬리브(1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압축된 탄성부재(12d)에 의해 슬리브(12)의 외부로 밀려나가려고 하기 때문에, 회동부재(75)가 회전된 상태에서 이동된 편심돌기(75b)가 반대방향으로 복귀되려고 한다.
그러나, 회동부재(75)의 외주면에는 링부재(75d)가 구비되어 있는데, 도어핸들(11)의 상부측 내부에서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고 접하고 있어, 상기 탄성부재(12d)의 반발력에 의해 회동부재(75)가 반대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회동부재(75)의 링부재(75d)에 의한 마찰력이 압축된 탄성부재(12d)의 반발력보다 크기 때문에, 회동부재(75)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며, 그에 따라 걸림부재(12a)는 슬리브(12)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도어핸들(11)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도어핸들(11)의 회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75)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75c)은 슬리브(12)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12e)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고정관체(14)의 내부 상부면에 형성된 저지턱(14f)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홈(14f-1)안에 위치하여, 도어핸들(11)의 걸림홈(14f-1)의 우측단부에 위치하고 있다가, 회동부재(75)의 회전에 의해 걸림턱(75c)이 걸림홈(14f-1)의 좌측단부로 이동하게 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핸들(11)을 회전시켜서 도어를 개방하게 되는데, 도어핸들(11)을 회전(본 실시 예에서는 반시계 방향)시키면, 슬리브(12)도 고정관체(14)는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관체(14)의 내부에서 동시에 회전된다.
상기 도어핸들(11)의 회전시, 슬리브(12)에 결합되어 슬리브(12)의 양측면으로부터 일부가 돌출된 가이드부재(12b)는 고정관체(14)의 내부에서 가이드돌기(14e)의 후단부에 볼록하게 형성된 안내면(14e-2)과 저지턱(14f)의 후단부에 형성된 안내면(14f-2)에 접하면서 가이드되어서 전진이 이루어진다.
이때, 탄성부재(12c)를 압축하면서 전진 동작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도어핸들(11)과 연결된 록킹바아(80)를 회전시켜서 도어(2)가 개방되도록 한다(도 19 참조).
즉, 로드바(30) 타입이 아닌, 록킹바아(80) 타입의 도어 록킹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 조립체(10)로서, 상기 도 20에 도시된 실시 예와 대부분 동일 구조를 가지고, 다만 도어핸들(11)의 안쪽에는 도어핸들(11)의 조작시 록킹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록킹노브(9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노브(90)는 "ㄱ"자형으로 절곡되어 수평부(91)와 수직부(92)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91)의 상부면에는 걸림돌기(91a)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도어핸들(11)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구(11c)를 관통하여 입출가능하게 진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핸들(11)에 삽입되는 고정관체(14)의 돌출된 삽입부(14g)의 외주면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2개의 제 1,2걸림홈(14g-1)(14g-2)이 형성되어서 상기 록킹노브(90)의 걸림돌기(91a)가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록킹노브(90)는 도어핸들(11)의 안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탄성부재(94)에 의해 복귀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록킹노브(90)에는 록킹노브(9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핀(95)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도어핸들 조립체(10)는, 예를 들어, 도어핸들(11)을 통해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 기본적으로 키이를 통해 키이 조립체(70)에 삽입하여 록킹상태가 해제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바로 도어핸들(11)을 잡고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되지 않으며, 반드시 록킹노브(90)를 눌러서 해제되도록 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도 3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핸들(11)의 안쪽면에 구비된 록킹노브(90)의 수직부(92)를 잡고, 사용자쪽으로 누르면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노브(90)는 탄성부재(94)를 압축하면서 회전되어 수직부(92)는 눌러지고, 수평부(91)는 상부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때 수평부(91)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91a)가 동시에 상승하면서 도어핸들(11)의 삽입구(11c)의 하부 안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탈되고, 그러면, 상기 고정관체(14)의 삽입부(14g)의 하부에 형성된 제 1걸림홈(14g-1)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91a)가 빠지게 되어 록킹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도어핸들(11)을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어핸들(11)이 회전되면서 도어의 개방상태가 되며, 이때 누르고 있던 록킹노브(90)를 놓으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94)의 반발력에 의해 록킹노브(90)는 원위치되면서 수평부(91)의 걸림돌기(91a)가 고정관체(14)의 삽입부(14g)에 형성된 제 2걸림홈(14g-2)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며, 이 상태에서 도어핸들(11)을 조작하더라도 도어핸들(11)은 회전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회전하였던 도어핸들(11)을 다시 원위치시켜서 도어를 잠그고자 하는 경우, 상기 개방시와 반대로 도어핸들(11)의 록킹노브(90)를 누름과 동시에 도어핸들(11)을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키면 되며, 도어핸들(11)을 원위치시킨 다음, 누르고 있던 록킹노브(90)를 놓으면, 록킹노브(90)의 걸림돌기(91a)가 고정관체(14)의 제 2걸림홈(14g-2)으로부터 이탈되어서 제 1걸림홈(14g-1)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게되며, 이 상태에서, 키이를 삽입하여 완전 히 록킹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핸들(11)의 안쪽면에 록킹노브(90)를 마련함으로써, 도어핸들(11)의 조작시 반드시 록킹노브(90)를 누른 상태에서 조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키이를 통해 도어핸들(11)이 회동가능하게 되더라도, 유사시 잘못 건드려서 도어핸들(11)의 회전동작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전반을 구성하는 도어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캐비넷, 사물함 등 함체 및 도어로 이루어진 여러 용도의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1 : 도어 록킹장치
2 : 도어
3 : 본체부
3a,3b : 걸림면
10 : 도어핸들 조립체
11 : 도어핸들
11a : 회전커버
11b : 고정커버
11c : 삽입구
12 : 슬리브
12a : 걸림부재
12a-1 : 걸림홈
12b : 가이드부재
12c : 탄성부재
12d : 탄성부재
12e : 관통공
13 : 체결부재
13a : 결합너트
14 : 고정관체
14a : 가이드 돌기
14b : 제 1저지턱
14c : 제 2저지턱
14d : 걸림홈
14e : 가이드 돌기
14e-1 : 걸림편
14e-2 : 안내면
14f : 저지턱
14f-1 : 걸림홈
14f-2 : 안내면
14f-3 : 걸림편
14g : 삽입부
14g-1 : 제 1걸림홈
14g-2 : 제 2걸림홈
14h : 지지면
14i : 결합돌기
14j : 접지돌기
14-1 : 밀착부재
14-1a : 결합공
14-2 : 와셔부재
15 : 결합관체
16 : 너트
17 : 삽입관체
17a : 헤드부
17b : 몸통부
17c : 삽입공
17d : 삽입공
17e : 걸림돌기
18 : 걸림핀
18a : 누름편
18b : 걸림편
18c : 탄성부재
18d : 거치대
19 : 고정너트
20 : 회전판
20a : 삽입공
20b : 삽입공
20c : 걸림홈
21 : 장공
30 : 로드바
31 : 걸림핀
40 : 걸림관체
41 : 삽입관
41a : 가이드공
41a-1 : 제 1가이드공
41a-2 : 제 2가이드공
41a-3 : 제 3가이드공
41b : 장공
42 : 롤러부
42a : 브래킷
42b : 회전롤
50 : 고정관
51 : 인서트관
51a : 고정돌기
52 : 결합관
53 : 체결부재
60 : 가이드부재
61 : 바디부
62 : 체결부재
63 : 고정부재
70 : 키이 조립체
71 : 하우징
71a : 관통공
71b : 표시편
71c : 투시창
72 : 삽입관
72a : 걸림홈
73 : 회전부재
73a : 조작편
73b : 회전편
73c : 연결편
73c-1 : 돌출부
74 : 표시부재
74a : 표시부
74b : 걸림판
74c : 관통공
74d : 돌출부
74e : 제 1통과공
74f : 제 2통과공
75 : 회동부재
75a : 삽입홈
75b : 편심돌기
75c : 걸림턱
75d : 링부재
75e : 고정홈
80 : 록킹바아(locking bar)
90 : 록킹노브
91 : 수평부
91a : 걸림돌기
92 : 수직부
94 : 탄성부재
95 : 힌지핀

Claims (40)

  1.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회전 동작하는 도어핸들(11)과;
    상기 도어핸들(1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슬리브(12)와;
    상기 슬리브(12)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 고정되면서 회전판(20)을 관통하는 체결부재(13)와;
    상기 도어핸들(11)의 회전시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리브(12)의 외부면에 삽입되면서 도어에 결합,고정되는 고정관체(14)와;
    회전판(20)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원주방향으로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체결부재(13)가 관통되는 삽입관체(17);
    를 포함하는 도어핸들 조립체(10)와;
    상기 회전판(20)의 양쪽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면서 본체부(3)에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한쌍의 로드바(30)와;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로드바(30)의 단부에 구비되는 걸림관체(40)와;
    상기 걸림관체(40)가 상,하 이동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관(50)과;
    상기 도어핸들(11)의 상부측 내부에 갖추어지고, 키이에 의해 도어핸들 조립체(10)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키이 조립체(70);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관체(14)의 내부에는 상기 슬리브(12)의 가이드부재(12b)가 가이드되어 전진 및 후진되도록 하는 가이드 돌기(14a)와, 가이드 돌기(14a)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 1저지턱(14b)과, 상기 가이드 돌기(14a)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 2저지턱(14c)과, 제 1저지턱(14b)과 제 2저지턱(14c)의 한쪽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홈(14d)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13)의 일측에는 체결부재(13)와 결합되는 너트(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2)의 내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걸림부재(1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2)의 내부에는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부재(12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체(14)의 지지면(14h)의 안쪽면에는 전기적 접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접지돌기(14j)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핸들(11)의 전면 상부측에는 회동가능하게 회전커버(11a)가 마련되고, 도어핸들(11)의 배면에는 슬리브(14)의 저면에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핀(18)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18)은 도어핸들(11)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돌출되는 누름편(18a)과, 상기 누름편(18a)으로부터 연장되어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편(18b)으로 이루어지며, 횡방향으로는 탄성부재(18c)가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도어핸들(11)의 배면에는 상기 걸림핀(18)이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대(18d)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체(17)는 헤드부(17a)와 몸통부(17b)로 이루어지고, 각형 형상의 삽입공(17c)이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17b)는 각진 형태를 가지면서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13)의 외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회전판(20)의 일측면에서 결합너트(13a)가 나사결합되고, 단면상 삽입관체(17)의 삽입공(17c)안에 관통 삽입후 회전시키면, 걸림이 이루어져서 회전판(20)과 함께 동시에 회전가능하도록 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2)의 외주면과 고정관체(14)의 내부 사이에는 탄성부재(12c)가 삽입되어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이 조립체(70)는,
    하우징(71)과, 상기 하우징(71)의 내부에 고정되는 삽입관(72)과, 상기 삽입관(72)의 내부에 갖추어지는 회전부재(73)와, 상기 삽입관(72)의 외주면에 구비되면서 회전부재(73)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면서 잠금 및 해제표시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표시부재(74)와, 상기 회전부재(73)와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여 슬리브(12)안에 구비되는 걸림부재(12a)를 이동시키도록 삽입되는 회동부재(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71)의 상부에는 표시편(71b)이 마련되고, 상기 표시편(71b)에는 배면이 보이도록 하는 투시창(71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71c)은 안쪽이 확대되어 보이도록 볼록렌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72)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상기 하우징(71)의 내부 하부면에 형성된 걸림돌기(71d)가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홈(7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73)는 키이를 삽입하여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쪽 단부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71)의 내부에서 하우징(71)의 한쪽에서 노출되게 구비되는 조작편(73a)과, 상기 조작편(73a)의 반대편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편(73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회전편(73b)은 마름모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74)는,
    상부에 위치하면서 잠금 및 해제부가 표시되는 표시부(74a)와, 상기 표시부(74a)의 하부 끝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판(7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걸림판(74b)은 회전부재(73)의 회전편(73b)이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74c)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74c)은 원형을 이루면서 상부 및 하부 중앙에 중심방향으로 단부가 양쪽으로 경사면을 가지면서 돌출되는 돌출부(74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21.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75)는 상기 회전부재(73)의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는 회전편(73b)이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홈(75a)과, 한쪽 끝단부에 돌출,형성되어서 걸림부재(12a)에 형성되는 걸림홈(12a-1)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편심되게 형성되는 편심돌기(75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22. 삭제
  23.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판(20)의 양쪽 단부에는 로드바(3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이동가능하도록 장공(21)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0)의 중앙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홈(20c)을 가지는 삽입공(20b)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0b)에 끼워지는 삽입관체(17)는, 각형 모양의 삽입공(17d)과, 헤드부(17a)의 바깥쪽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판(20)의 삽입공(20b)에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20c)에 끼워져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돌기(17e)가 간격을 두고 복수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2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바(30)에는 로드바(30)가 관통,삽입되는 바디부(61)와, 상기 바디부(61)의 내부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62)와, 상기 체결부재(62)의 내부에 나사결합되면서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63)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관체(40)는, 로드바(30)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관(41)과, 상기 삽입관(41)의 단부에 형성되는 롤러부(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관(4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가이드공(41a)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41a)과 이격된 위치에는, 걸림관체(40)안에 삽입되는 상기 로드바(30)의 단부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장공(4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41a)은 직선형의 제 1가이드공(41a-1)과, 상기 제 1가이드공(41a-1)으로부터 경사져서 형성되는 제 2가이드공(41a-2)과, 상기 제 2가이드공(41a-2)으로부터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제 3가이드공(41a-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장공(41b)에는 삽입되는 로드바(30)의 단부와 걸림핀(31)으로 결합하되, 로드바(30)는 고정된 상태에서, 걸림관체(40)가 회동되도록 걸림핀(31)이 장공(41b)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29.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50)은 걸림관체(40)의 삽입관(41)이 삽입되는 인서트관(51)과, 상기 인서트관(51)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면서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체결부재(53)와 나사결합되는 결합관(5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관(51)의 내부에는, 걸림관체(40)의 삽입관(41)에 형성된 가이드공(41a)에 끼워져 조립되는 고정돌기(5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31.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회전 동작하는 도어핸들(11)과;
    상기 도어핸들(1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슬리브(12)와;
    상기 슬리브(12)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 고정되면서 회전판(20)을 관통하는 체결부재(13)와;
    상기 도어핸들(11)의 회전시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리브(12)의 외부면에 삽입되면서 도어에 결합,고정되는 고정관체(14)와;
    회전판(20)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원주방향으로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체결부재(13)가 관통되는 삽입관체(17);
    를 포함하는 도어핸들 조립체(10)와;
    회전판(20)의 양쪽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면서 본체부(3)에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한쌍의 로드바(30)와;
    상기 로드바(30)의 단부에 구비되고,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걸림관체(40)와;
    상기 걸림관체(40)가 상,하 이동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관(50)과;
    상기 도어핸들(11)의 상부측 내부에 갖추어지고, 슬리브(12)안으로부터 입출되는 걸림부재(12a)를 탄지하는 탄성부재(12d)를 구비하여 키이에 의해 도어핸들 조립체(10)의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키이 조립체(70);
    를 포함하고,
    상기 키이 조립체(70)는,
    도어핸들(11)의 상부 내부에 고정되는 하우징(71)과, 상기 하우징(71)의 내부에 고정되는 삽입관(72)과, 키이가 삽입되어 삽입관(72)의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회전부재(73)와, 삽입관(72)의 외주면에 구비되면서 록킹 및 열림상태를 알려주는 표시부재(74)와, 상기 회전부재(73)와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회동부재(75)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재(75)는,
    상기 회동부재(75)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고, 슬리브(12)의 외부로 돌출되어 고정관체(14)의 내부 상부면에 형성된 저지턱(14f)의 걸림홈(14f-1)내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걸림턱(75c)을 포함하여,
    상기 키이 조립체(70)에 의해 도어핸들(11)의 회전후 원위치시킬 때 자동적으로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75)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링부재(75d)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33.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체(14)의 내부에는,
    고정관체(14)의 내부 하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14e)와, 고정관체(14)의 내부 상부면에 형성되는 저지턱(14f)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14e)의 선단부에는 걸림부재(12a)가 위치하여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단이진 걸림편(14e-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14e)의 후단부 일부분에는 슬리브(12)의 가이드부재(12b)가 접하고 있다가 도어핸들(11)의 도어 개방을 위해 회전시, 자동적으로 가이드되어 전진 및 후진이 이루어지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안내면(14e-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14e)의 안내면(14e-2)은 가이드돌기(14e)의 일부분에만 형성되고, 전진방향으로 갈 수록 더 볼록하게 곡선형으로 형성되도록 가이드돌기(14e)의 단부 일부분을 제거하여 슬리브(12)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12b)가 가이드되어 슬리브(12)의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장치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저지턱(14f)의 후단부에는 안내면(14f-2)이 볼록한 곡선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14e)의 안내면(14e-2)과의 사이에서 가이드부재(12b)가 접하여 도어핸들(11)의 회전 동작시 고정관체(14)의 내부로 도어핸들(11)의 슬리브(12)의 전진 및 후진 동작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저지턱(14f)의 선단부 한쪽에는 걸림편(14f-3)이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돌기(14e)의 걸림편(14e-1)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걸림부재(12a)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14e)와 저지턱(14f)의 사이에는, 슬리브(12)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부재(12b)가 삽입,이동되어 안내면(14e-2)(14f-2)에 접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로(14h)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38.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73)는 표시부재(74)를 관통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편(73c)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73c)은 반경방향으로 단면상 곡선형을 이루는 돌출부(73c-1)가 형성되며, 표시부재(74)에는 상기 돌출부(73c-1)와 반경을 달리하는 통과공인 제 1통과공(74e)과 제 2통과공(74f)이 형성되어 하나의 폐곡선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39.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제 1통과공(74e)은 원주방향으로 회전부재(73)의 돌출부(73c-1)보다 원주방향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회전부재(73)의 소정각도로 회전후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40. 청구항 31에 있어서,
    도어핸들(11)의 안쪽면에는 탄성부재(94)에 의해 탄지되어 도어핸들(11)의 회전시, 항상 눌러서 고정관체(14)와의 걸림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록킹노브(9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KR1020160109938A 2015-12-01 2016-08-29 도어핸들 조립체 및 이러한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KR101766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70178 2015-12-01
KR1020150170178 2015-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460A KR20170064460A (ko) 2017-06-09
KR101766287B1 true KR101766287B1 (ko) 2017-08-08

Family

ID=5922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938A KR101766287B1 (ko) 2015-12-01 2016-08-29 도어핸들 조립체 및 이러한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959B1 (ko) * 2020-12-14 2021-11-16 사단법인 행복드림복지회 Ip65 방수 및 방진 등급의 구조를 갖는 배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614Y1 (ko) * 2018-01-29 2024-01-05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의 잠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758Y1 (ko) * 2010-06-22 2012-06-04 이병규 배전반용 도어 잠금장치
KR200469387Y1 (ko) * 2013-04-30 2013-10-10 주식회사 공진 배전반용 핸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758Y1 (ko) * 2010-06-22 2012-06-04 이병규 배전반용 도어 잠금장치
KR200469387Y1 (ko) * 2013-04-30 2013-10-10 주식회사 공진 배전반용 핸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959B1 (ko) * 2020-12-14 2021-11-16 사단법인 행복드림복지회 Ip65 방수 및 방진 등급의 구조를 갖는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460A (ko)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5797B2 (ja) ロック装置
US20100000046A1 (en) Hinge
US9850692B2 (en) Glove box for an automobile
KR101766287B1 (ko) 도어핸들 조립체 및 이러한 도어핸들 조립체를 구비하는 도어 록킹장치
JP2018044426A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レールキット
KR101575929B1 (ko) 이중 도어방식을 갖는 내부도어의 버튼 래치장치
US8347673B2 (en) Code lock
KR20100102017A (ko)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KR101831246B1 (ko) 도어 록킹장치
JP2015036728A (ja) カバー開閉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TWI542772B (zh) 簡易式鎖具裝置及具備該簡易式鎖具裝置之把手裝置
KR20090103531A (ko) 도어락
JP4516877B2 (ja) キー変換式錠
KR100860400B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JP5524732B2 (ja) レバーハンドル錠
KR20020023614A (ko) 도어 잠금장치
KR200393089Y1 (ko) 교실용 도어록의 잠금 및 열림장치
KR101315492B1 (ko) 도어래치장치
KR100993852B1 (ko) 차량 적재함도어용 잠금장치
KR101458924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1924717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200331148Y1 (ko) 도어용 자물쇠
JP3544194B2 (ja) 引き違い戸用プッシュロック装置
KR20160143513A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