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925B1 -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유닛 - Google Patents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925B1
KR101762925B1 KR1020127023086A KR20127023086A KR101762925B1 KR 101762925 B1 KR101762925 B1 KR 101762925B1 KR 1020127023086 A KR1020127023086 A KR 1020127023086A KR 20127023086 A KR20127023086 A KR 20127023086A KR 101762925 B1 KR101762925 B1 KR 101762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degassing
lubric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3134A (ko
Inventor
세바스티안 비에회버
파울 로트아츠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123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3Adding fuel vapours, e.g.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6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lubricant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6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 F01M2001/165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according to fuel dilution in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23Temperature of lubricating oil or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6Intake manifol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7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exterior
    • F02D2200/703Atmospheric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11Oil dilution, i.e. prevention thereof or special controls according theret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4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 F02D41/145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the characteristics being an oxygen content or concentration or the air-fuel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의 윤활제로부터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유닛에 관한 것으로 a. 제1 방법 단계에서 윤활제로부터의 연료의 탈기는 내연 기관의 정상 작동 중 이론 모델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판단되며 b. 상기 모델은 기초로한 정의된 연료의 탈기에 대한 판단 이후에, 제2 방법 단계에서 정의된 작동 상태동안 하나 이상의 추가 파라미터를 기초로 연료의 탈기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유닛 {METHOD FOR CHECKING THE OUTGASSING OF FUEL AND CONTROL UNIT}
본 발명은 특허 청구범위 제1 항에 청구된 탈기(outgassing)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및 특허 청구범위 제11 항에 청구된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내연 기관의 엔진 오일로부터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독일 특허 등록 번호 DE 10 2007 046 489 B3는, 내연 기관의 작동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이와 같은 유형의 방법을 서술하며, 상기 검출된 작동 파라미터의 함수로써 결정된 크랭크 케이스에서 흡기부까지 연료의 질량 유동이 결정된다. 내연 기관은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흡기부까지 연료의 질량 유동 수로써 제어 또는 모니터링된다. 주로 내연 기관의 냉간 시동(cold start) 직후에 연소되지 않은 연료는 내연 기관의 윤활제내에 용해될 수 있으며, 이후 작동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연소되지 않은 연료는 다시 증발한다. 윤활제내에 연료의 용해는 상기 윤활제의 윤활 특성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변화를 야기한다. 윤활제내에 용해된 연료는 작동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발하며, 주로 왕복 피스톤 내연 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내에 모인다. 연소되지 않은 연료가 주위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크랭크 케이스는 크랭크 케이스 통기 시스템에 의해 흡기부에 연결된다.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흡기부까지 질량 유동 - 상기 질량 유동은 내연 기관의 작동 상태에 따라 결정됨 - 은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흡기부까지의 압력 강하 때문에 확립된다. 이러한 질량 유동은 연소 챔버로부터 피스톤의 밀봉 링을 지나 크랭크 케이스 내부로 경로가 결정된 배기 가스 및 공기와 크랭크 케이스 내에서 윤활제로부터 증발될 수도 있는 연료를 포함한다.
최근 내연 기관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어 시스템에 사용가능한 작동 파라미터의 진단에 의한, 함수로 상기 내연 기관의 구성 요소의 성능을 모니터링한다. 윤활제로부터 증발되고 크랭크 케이스 통기 시스템을 통해 흡기부 내부로 경로가 결정된 연료는 연소 챔버 또는 내연 기관의 챔버내의 연료/공기 혼합물을 농후화한다. 연료 및 대기 산소의 완전 연소(λ=1)를 위해, 내연 기관의 제어 시스템은 내연 기관에 공급되는 외기(fresh air)와 비교하여 더 적은 연료를 계량(meter)해야 한다. 이런 종류의 편차는 내연 기관, 예를 들어 연료 공급 장치, 또는 λ 센서에 있어서 결함으로 제어 시스템에 의해 해석된다. 잘못된 해석을 방지하기 위해, 냉간 시동 후 미리 결정된 시구간에 걸쳐 내연 기관에 계량될 연료의 양이 과도하게 낮은 상황은 보통 고장(fault)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 결과 내연 기관의 결함 진단은 상당히 제한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한은 내연 기관이 항상 짧은 시간 동안에만 작동되는 경우, 예를 들어 도시 교통(city traffic)에 있어서 심각한 결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연 기관의 윤활제로부터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개선된 제어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 청구범위 제1 항에 청구된 방법 및 특허 청구범위 제11 항에 청구된 제어 유닛에 의해 성취된다.
서술된 방법은 연료의 탈기가 검사될 수 있으며 낮은 레벨의 소비량(expenditure)과 식별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의 소비량은 제1 방법 단계에서 이론적 모델의 조력을 얻어 만들어진 연료 탈기의 표시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검사에 의해 성취된다. 이것이 사례인 경우, 연료의 탈기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검사는 제2 방법 단계에서 내연 기관에서의 정의된 작동 상태의 작동 파라미터를 기초로 이루어진다.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의 소비량과 식별되는 확률은 2단계 방법에 의해 증가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에 구체화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방법 단계에서 연료의 탈기가 더욱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는 정의된 작동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내연 기관의 작동에 있어서 개입(intervention)이 만들어진다.
2단 방법이기 때문에, 내연 기관의 작동에 있어서 개입이 이루어지는 제2 단계는 거의 수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정상 작동하는 동안 내연 기관은 상대적으로 오랜 시구간동안 작동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론적 모델이기 때문에 탈기가 확실하게 식별될 수 있음이 추가적으로 보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내연 기관의 작동 중에서의 개입은 탱크 통기 밸브가 폐쇄되는 것을 포함한다. 탱크 통기 밸브를 폐쇄함에 의해 연료의 탈기가 더 큰 정확도로 검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연 기관에서의 개입은 무부하 상태(no-load phase)가 설정 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무부하로 작동하는 동안 연료의 탈기는 보다 더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λ제어기의 값은 연료의 탈기를 검출하기 위한 작동 파라미터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이 경우 λ제어기의 절대값(absolute value) 또는 λ제어기의 적응값(adaption value)이 사용될 수 있다. λ제어기 값의 조력에 의해 간단하고 정확한 탈기가 검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론적 모델이 내연 기관의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되는 수학적 함수 형태로 나타난다. 이 경우, 임계값이 제공되고, 함수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할 때 연료의 탈기가 식별된다. 서술된 모델의 조력으로 간단하면서도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연료의 탈기 표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론적 모델은 다음 파라미터 중 하나에 따라 좌우된다: 오일 온도, 엔진 회전 속도, 촉매 변환기의 상류부 λ값, 대 압력(ambient pressure) 또는 흡기 파이프 압력. 연료의 탈기는 상기 서술된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 또는 상기 서술된 파라미터 중 몇몇개의 조력으로 신뢰할 수 있으며 정확한 방식으로 확인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준 값은 정의된 작동 파라미터 및 정의된 시험 작동 상태에 대해 저장된다. 시험 작동 상태에서 정의된 작동 파라미터가 정의된 기준 값을 초과한다면, 관련 연료의 탈기의 인스턴스(instance)에 대한 표시가 식별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관련 연료의 탈기의 인스턴스가 식별되었을 때 즉, 연료의 탈기가 제2 방법 단계에 의해 식별될 때 연료 시스템의 고장 진단에서의 개입이 만들어지고, 특히 고장 진단이 중단된다(interrupted). 상기 중단은 예를 들어 정의된 시구간동안 수행된다. 연료의 탈기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부정확한 고장 진단은 이러한 수단의 조력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윤활제 내로 연료의 유입은 제1 방법 단계에서의 모델의 조력으로 연료의 탈기 표시로서 판단된다. 연료의 높은 유입은 연료 탈기 확률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속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내연 기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이론적 모델의 시간에 대한 프로파일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은 실린더(12) 내에 연소 챔버(11)를 가지고 있는 내연 기관(1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연소 챔버(11)는 일 측에서 피스톤(13)에 의해 차단된다. 피스톤(13)은 연접봉(14)에 의해 크랭크 케이스(15)내의 크랭크 샤프트(미도시)에 연결된다. 내연 기관(10), 특히 실린더(12)내에서 이동하는 피스톤(13)은 윤활제(16)로서의 오일(oil)에 의해 윤활되며, 크랭크 케이스(15)내에 모인 상기 오일은 미도시 장치에 의해 순환 및 필터링된다.
또한 내연 기관(10)은 공기 필터(21), 스로틀 밸브(22), 흡기부(23) 및 상기 흡기부(23) 내에 크랭크 케이스(15)의 통기 시스템(24)을 가진다. 흡기부(23)는 캠 샤프트(26)에 의해 제어되는 주입 밸브(25)를 통해 연소 챔버(11)에 연결된다. 내연 기관의 연소 챔버(11) 상에 연료 분사 밸브(27) 및 스파크 플러그(28) 또한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연료 분사 밸브(27)는 흡기부(23)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 방향에서 주입 밸브의 상류부에 배열되거나, 또는 카뷰레터(carburetor) 또는 다른 연료 공급 장치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디젤 엔진의 경우 스파크 플러그(28)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연 기관(10)의 연소 챔버(11)는 캠 샤프트(32)에 의해 제어되는 통기 밸브(31)를 통해 배기 가스부(33)에 연결된다. 내연 기관(10)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필터링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촉매 변환기(34) 또는 다른 장치가 상기 배기 가스부(33)에 배열될 수 있다.
내연 기관(10)은 상기 내연 기관(10)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40)과 커플링된다. 제어 시스템(40)은 프로그램 메모리(42) 및 밸류 메모리(43; value memory)에 커플링된 프로세서(41)를 포함한다. 프로세서(41), 프로그램 메모리(42) 및 밸류 메모리(43) 각각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41), 프로그램 메모리(42) 및 밸류 메모리(43)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마이크로 전자 구성요소에 집적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42)는 후술하게 될 방법 중 하나를 제어하기 위해 소프트 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형태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40)은 라인을 통해 온도 센서(51), 공기 질량 측정기(52), 회전 속도 센서(53), λ 센서(54, 55), 주위 온도 센서(56), 연료 분사 밸브(27) 및 스파크 플러그(28)에 연결되고 선택적으로 추가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 및 내연 기관(10)의 다른 장치에 연결된다. 온도 센서(51)는 관련 온도를 검출하도록 내연 기관(10) 상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냉각제 회로, 윤활제 회로 내에 또는 실린더 헤드 상에서 배열이 가능하다. 공기 질량 센서(52)는 공기 필터(21)로부터 스로틀 밸브(22)를 통해 흡기부(23) 내부로 유동하는 외기(fresh air)의 질량 유동을 검출한다. 대안으로, 공기 질량 센서(52)는, 유동 방향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로틀 밸브(22)의 상류부 또는 그 밖에 흡기부(23)의 통기 시스템(24) 입구의 하류부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60)도 제공되며,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대 압력을 검출한다. 또한, 제2 압력 센서(61)도 제공되며,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흡기부(23)내의 압력을 검출한다. 이 경우, 외기 질량 유동은 내연 기관의 압력 및 회전 속도로부터 산정될 수 있거나, 또는 특성맵(characteristic map)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회전 속도 센서(53)는 내연 기관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며,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내연 기관(10)의 캠 샤프트(26)상에 또는 플라이휠(flywheel)상에 배열된다. λ 센서(54, 55)는 예를 들어 배기 가스부(33)내의 촉매 변환기(34)의 상류 및 하류 각각에 배열된다. 주위 공기 센서(56)는 예를 들어 가능한한 내연 기관으로부터의 폐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방식으로 주위 대기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배열된다.
연료 탱크(70)도 제공되며, 상기 연료 탱크는 분사 밸브(27)에 연료를 공급한다. 또한, 탱크(70)는 탱크 통기 밸브(71) 및 라인(72)을 통해 흡기부(23)에 연결된다. 탱크 통기 밸브(71)는 제어 라인(73)을 통해 제어 시스템(40)에 추가적으로 연결된다.
내연 기관(10)이 작동, 특히 정의된 방법에 따른 연료의 분사 및 연료의 연소를 허용하는, 프로그램들 및 값이 프로그램 메모리(42) 및 밸류 메모리(43)에 저장된다. 또한 내연 기관의 기능을 검사, 특히 연료의 탈기(outgassing)를 검사하고 연료 분사의 정확한 기능을 위해 검사하는 것이 가능한, 프로그램 및 값들이 프로그램 메모리 및 밸류 메모리에 저장된다.
연료 탱크(70)로부터 주위로의 연료 탈기를 방지하기 위해, 내연 기관이 정상 작동하는 동안 연료 탱크(70)는, 탱크 통기 밸브(71) 및 라인(72)을 통해 흡기부(23) 내로 통기되며, 그에 따라 연료 탱크(70)로부터의 연료 증기 또한 내연 기관(10)에 의해 연소된다.
내연 기관(10)이 작동하는 동안, 정의된 배기 가스 품질(quality)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내연 기관(10)은 제어 시스템(40)에 의해 정의된 연공비(fuel/air ratio)로 공급된다. 배기 가스의 품질은 촉매 변환기(34) 상류의 제1 λ 센서(54) 및 촉매 변환기(34) 하류의 제2 λ 센서(55)의 조력으로 검출된다. 목적된 λ 값을 달성하기 위해 제어 시스템(40)에 의해 프로그램 형태로 λ 제어기(80)가 사용되며, 상기 λ제어기는 내연 기관의 정의된 작동 파라미터들 특히 회전 속도 및 부하 함수에 따라 분사될 연료의 양에 대한 파일럿(pilot) 제어 값 및 분사될 연료의 양에 대한 적응 값(adaptation value)을 가진다. 적응 값은 목표된 λ값에 λ값을 정확히 매칭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적응 값은 예를 들어 연료 분사 시스템의 노화 현상(aging phenomena) 및 분사 밸브 기능의 변동을 보상할 수 있다.
λ 제어기(80)의 값 및/또는 λ 제어기(80)의 적응 값은 분사 시스템의 올바른 기능을 검사하기 위해 환언하면 내연 기관에 연료의 공급을 검사하기 위해 진단 방법에 의해 추가적으로 사용된다. 이를 위해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λ 제어기(80)의 현재 값 및/또는 λ 제어기(80)의 적응 값을 검출하며, 정의된 기준 값과 검출된 값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에 의해 λ 제어기(80)의 값 및/또는 λ 제어기(80)의 적응 값이 정의된 기준 값과 정의된 차이보다 크게 차이가 난다면, 연료 공급에서의 불량이 식별된다.
λ 제어기(80)의 값 및 λ 제어기(80)의 적응 값은 윤활제 즉, 내연 기관의 엔진 오일로부터 연료의 탈기가 발생하는가에 의존한다. 연료의 많은 양이 증발한다면, 제1 λ 프로브(54)는 과도하게 농후한 가스를 식별하게 되며, 따라서 분사된 연료의 양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λ 제어기의 값 및 λ 제어기의 적응 값이 개입된다. 그러므로 분사 시스템의 올바른 기능에도 불구하고, 연료 시스템의 고장 진단(81)은 λ 제어기의 값 및/또는 λ 제어기의 적응 값이 정의된 기준 값과 크게 다르게 되며, 따라서 연료 공급에 불량이 있다는 결과에 도달할 수 있다.
잘못된 고장 진단을 방지하기 위해, 관련 연료의 탈기가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고려할 수 있다. 관련 연료의 탈기는 예를 들어 탱크 통기 밸브(71)를 폐쇄하는 때 또는 내연 기관의 무부하 작옹의 경우에, 내연 기관의 정의된 작동 상태에서 λ 제어기의 값 및/또는 λ 제어기의 적응 값의 조력으로 신뢰할 수 있으며 정확한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내연 기관의 정의된 작동 상태, 즉 테스트 작동 상태가 설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목적을 위해 내연 기관의 정상 작동에 있어서 개입이 요구된다.
내연 기관의 윤활제, 예를 들어 엔진 오일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이제 2 단의 방법이 제시되며, 상기 방법은 도 2의 프로그램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1 방법 단계(100)에서 엔진 오일로부터 연료의 탈기가 발생할 수 있었는지 여부의 판단은, 내연 기관(10)이 정상 작동하는 동안 모델의 조력으로, 제어 시스템(40)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다음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에 종속하는 함수 형태로 모델이 저장된다: 오일 온도, 엔진 회전 속도, 촉매 변환기 상류의 λ값, 대 압력 또는 흡기 파이프 압력. 실험에 의해 모델이 결정되고 기준 값이 저장되며, 상기 기준 값은 상기 모델과 비교하여 연료의 탈기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정한다.
연료의 탈기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다양한 모델이 사용될 수 있다. 간단한 접근 방법은, 엔진 오일 내로의 연료 유입 함수로써, 연료의 탈기에 대한 결론의 도출을 포함한다. 연료의 유입은 다양한 파라미터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간 시동(cold start)의 수는 연료의 유입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내연 기관의 시동이 걸릴 때마다 연료의 유입을 판단하기 위해 시동 온도가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연료의 탈기 확률을 판단하기 위해 내연 기관 시동의 횟수는 각 시동 온도에 가중될 수 있다. 또한 연료의 유입도 내연 기관의 특정 작동 상태, 예를 들어 농후한 혼합물에 의해 높은 부하 및 높은 회전 속도에서 내연 기관이 작동되는 시구간을 검출하여 판단될 수 있다. 서술된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연료의 유입이 단순한 비교, 예를 들어 실험적으로 결정된 임계값과의 비교에 의해 임계값보다 더 큰지 여부를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판단된 연료 유입이 임계값보다 크다면, 연료의 탈기가 식별된다.
연료 유입의 간단한 추정은 임계값과 비교하여 형성되는 시동 온도에 가중되는 내연 기관 시동 횟수의 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높은 부하를 식별하고 높은 회전 속도를 식별하며 진한 가스를 식별하기 위한 임계값이 저장된다.
단순한 일 실시예에서, 높은 부하에 대해 정의된 임계값, 높은 회전 속도에 대해 정의된 임계값 및 농후한 혼합물에 대해 정의된 임계값 모두를 초과하는 내연 기관의 작동 시구간만이 검출된다. 만약 높은 부하, 높은 회전 속도 및 농후한 혼합물에서 검출된 시구간이 정의된 임계값보다 더 크다면, 연료의 높은 유입 및 그로 인한 연료의 탈기가 식별된다.
제2 방법 단계(110)에서, 제어 시스템은 함수가 기준 값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제2 방법 단계(110)에서의 검사가 이제(now) 연료의 탈기 확률이 존재함을 표시한다면, 다음 제3 방법 단계(120)에서 내연 기관에서의 개입(intervention)이 만들어지거나 또는 내연 기간이 정의된 작동 상태 즉, 시험 작동 상태에 있을 때까지 대기 구간(waiting period)이 존재한다.
만약 제2 방법 단계(110)에서의 질의(interrogation)가 윤활제(16)로부터의 관련 연료의 탈기의 어떠한 징후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표시된다면, 상기 방법은 프로그램 포인트(100)로 회귀한다.
내연 기관의 작동에서 개입이 발생할 경우, 내연 기관(10)은 시험 작동 상태가 존재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제어 시스템(40)에 의해 작동된다. 예를 들어 시험 작동 상태는 탱크 통기 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내연 기관의 추가 시험 작동 상태는 무부하상의(no-load phase) 단계를 구성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부하 상태는, 시동/정지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내연 기관에서, 내연 기관을 습관적으로 정지하는 동안 활성화될 수 있다.
시험 작동 상태 동안, 제어 시스템(40)은 다음 제4 방법 단계(130)에서 엔진 오일로부터 관련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해 내연 기관의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를 검출한다. 이 경우, 특히 λ 제어기(80)의 값 및/또는 λ 제어기(80)의 적응 값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른 작동 파라미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준 값이 초과 되었을 때, 관련 연료의 탈기를 명확히 나타내는 정의된 기준 값은 정의된 작동 파라미터 및 정의된 시험 작동 상태에 저장된다. 다음 제5 방법 단계(140)에서 제어 시스템(40)이 정의된 작동 파라미터의 값을 검출하여 상기 값을 기준 값과 비교한다. 비교에 의해 정의된 작동 파라미터가 기준 값보다 낮음이 표시된다면, 어떠한 연료의 탈기도 식별되지 않았으며, 상기 방법은 제1 방법 단계(100)로 회귀한다. 정의된 작동 파라미터의 값이 기준 값을 넘어선다면, 연료의 탈기가 식별된다.
제5 방법 단계(140)에서 연료의 탈기가 식별된다면, 상기 방법은 제6 방법 단계로 계속된다. 제6 방법 단계(150)에서 개입은 연료 시스템의 고장 진단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정의된 시구간동안 고장 진단을 고려하지 않는 것 및/또는 고장 진단을 수행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연료의 탈기로 인해 초래되는 정확하지 않은 고장 진단은 단순한 수단을 사용하여 내연 기관의 기능에 거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 채 달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방법은 제1 방법 단계(100)로 회귀한다.
이론적 모델에 대한 함수 대신에, 다차원 특성맵도 사용될 수 있다. λ 제어기(80)는 제1 λ 프로브의 신호를 검출하는 제어 방법의 형태이며, 검출된 λ신호의 함수로서, 분사 밸브(27)를 통해 제어 시스템(40)에 의해 내연 기관 내로 분사되는 연료의 양을 적응시킨다. 제1 λ프로브에 의해 검출된 λ값이 목표된 λ값과 다르다면, λ제어기의 값 즉 분사되는 연료 양의 값은 배기 가스에서의 연료/산소비가 목표된 λ값에 따르게 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적응된다.

Claims (20)

  1. 내연 기관의 윤활제(lubricant)로부터 연료의 탈기(outgassing)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내연 기관이 정상 작동하는 동안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모델(model)을 사용하여 제어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윤활제로부터의 연료의 탈기(outgassing)에 대한 제 1 판단(estimation); 및
    상기 연료의 탈기에 대한 제 1 판단 이후에, 무부하 상태(no-load phase)를 포함하는 후속하는 정의된 작동 상태 동안 하나 이상의 추가 작동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모델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연료의 탈기에 대한 제 2 판단;을 포함하는,
    내연 기관의 윤활제로부터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의 상기 후속하는 정의된 작동 상태를 조절하기(adjust) 위해, 상기 연료의 탈기에 대한 제 1 판단에 대응하여, 상기 내연 기관의 정상 작동 동안에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개입(intervention)을 추가로 포함하는,
    내연 기관의 윤활제로부터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입은 탱크 통기 밸브의 폐쇄를 포함하는,
    내연 기관의 윤활제로부터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입은 시동/정지 함수에서 정지하는 동안 무부하 상태(no-load phase)를 요구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연 기관의 윤활제로부터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작동 파라미터는 람다 제어기(lambda controller)의 값을 포함하는,
    내연 기관의 윤활제로부터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작동 파라미터는 람다 제어기의 값 또는 상기 람다 제어기의 적응 값(adaptation value)을 포함하는,
    내연 기관의 윤활제로부터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이 실험에 의해 함수의 형태로 결정되고, 상기 함수에 대한 임계값이 저장되며, 상기 함수가 다음 파라미터 - 오일 온도, 엔진 회전 속도, 촉매 변환기의 상류에서의 람다 값, 주위 압력 및 흡기 파이프 압력 - 중 하나 이상에 종속하는,
    내연 기관의 윤활제로부터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에 대한 제 1 판단은, 상기 윤활제로의 연료의 유입을 판단하는 것과 상기 연료의 유입을 기초로 하여 연료의 탈기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연 기관의 윤활제로부터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의 유입은, 냉간 시동(cold start)의 횟수, 시동 온도, 및 상기 내연 기관이 높은 부하와 높은 회전 속도와 농후한 혼합물로 작동되어진 시간 구간(period of time), 중의 한 가지 이상을 기초로 하여 판단되는,
    내연 기관의 윤활제로부터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작동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연료의 탈기 관련 인스턴스(instance)를 식별하는 것에 대응하여 연료 시스템의 고장 진단를 중단시키는(interrupting) 것을 포함하는,
    내연 기관의 윤활제로부터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11. 제어 유닛으로,
    내연 기관이 정상 작동하는 동안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윤활제로부터의 연료의 탈기에 대한 제 1 판단을 수행하도록 모델을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연료의 탈기에 대한 제 1 판단 이후에, 무부하 상태를 포함하는 후속하는 정의된 작동 상태 동안 하나 이상의 추가 작동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연료의 탈기에 대한 제 2 판단을 수행하도록 상기 모델을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의 상기 후속하는 정의된 작동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연료의 탈기에 대한 제 1 판단에 대응하여, 상기 내연 기관의 정상 작동 동안에 개입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제어 유닛.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입은 탱크 통기 밸브의 폐쇄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입은 시동/정지 함수에서 정지하는 동안 무부하 상태를 요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 유닛.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작동 파라미터는 람다 제어기의 값을 포함하는,
    제어 유닛.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작동 파라미터는 람다 제어기의 값 또는 상기 람다 제어기의 적응 값을 포함하는,
    제어 유닛.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이 실험에 의해 함수의 형태로 결정되고, 상기 함수에 대한 임계값이 저장되며, 상기 함수가 다음 파라미터 - 오일 온도, 엔진 회전 속도, 촉매 변환기의 상류에서의 람다 값, 주위 압력 및 흡기 파이프 압력 - 중 하나 이상에 종속하는,
    제어 유닛.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에 대한 제 1 판단은, 상기 윤활제로의 연료의 유입을 판단하는 것과 상기 연료의 유입을 기초로 하여 연료의 탈기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 유닛.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의 유입은, 냉간 시동의 횟수, 시동 온도, 및 상기 내연 기관이 높은 부하와 높은 회전 속도와 농후한 혼합물로 작동되어진 시간 구간, 중의 한 가지 이상을 기초로 하여 판단되는,
    제어 유닛.
  2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작동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연료의 탈기 관련 인스턴스를 식별하는 것에 대응하여 연료 시스템의 고장 진단를 중단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제어 유닛.
KR1020127023086A 2010-02-02 2011-02-01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유닛 KR101762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06580A DE102010006580B3 (de) 2010-02-02 2010-02-02 Verfahren zur Überprüfung einer Kraftstoffausgasung und Steuergerät
DE102010006580.3 2010-02-02
PCT/EP2011/051394 WO2011095479A1 (de) 2010-02-02 2011-02-01 Verfahren zur überprüfung einer kraftstoffausgasung und steuer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134A KR20120123134A (ko) 2012-11-07
KR101762925B1 true KR101762925B1 (ko) 2017-07-28

Family

ID=4380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086A KR101762925B1 (ko) 2010-02-02 2011-02-01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55533B2 (ko)
KR (1) KR101762925B1 (ko)
DE (1) DE102010006580B3 (ko)
WO (1) WO20110954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6580B3 (de) 2010-02-02 2011-07-2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30165 Verfahren zur Überprüfung einer Kraftstoffausgasung und Steuergerät
CN104704224B (zh) * 2012-10-15 2017-12-19 大陆汽车有限公司 检测来自油的燃料排放的方法
DE102012221507B3 (de) * 2012-10-15 2013-11-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Modellierung der Ölverdünnung mit Hilfe eines Mehrkomponentenmodells
DE102013224963B4 (de) 2013-12-05 2015-10-0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lausibilisieren einer Information über einen Wechsel eines Schmierstoffes in einer Brennkraftmachine
DE102014219822A1 (de) * 2014-09-30 2016-03-3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rennkraftmaschine und Verfahren zum Bewerten der Ölqualität in einer Brennkraftmaschine
JP6287810B2 (ja) * 2014-12-19 2018-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燃比センサの異常診断装置
DE102015214632B3 (de) * 2015-07-31 2016-10-2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Schmiermittel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DE102016222044B3 (de) 2016-11-10 2018-05-3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mitteln der Öltemperatur i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9205846A1 (de) * 2019-04-24 2020-10-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Bilanzierung einer Kraftstoffmasse in einem Schmiermittel eines Verbrennungsmotors, Verbrennungsmotor und Kraftfahrzeug
DE102019212457B4 (de) * 2019-08-21 2021-03-25 Vitesco Technologie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Leckage-Diagnose einer Kurbelgehäuseentlüftungsleitung einer Kurbelgehäuseentlüftungsvor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1487A1 (en) 2004-02-24 2006-09-14 Georg Mallebrei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06041686A1 (de) 2006-09-06 2007-11-22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Verbrennungsmotor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2808B4 (de) 2002-05-17 2010-04-08 Iav Gmbh Ingenieurgesellschaft Auto Und Verkehr Verfahren zur Regelung des Luft/Kraftstoff-Verhältnisses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S6966304B2 (en) * 2002-10-17 2005-11-22 Nissan Motor Co., Ltd. Estimation of oil-diluting fuel quantity of engine
JP4617876B2 (ja) * 2004-12-27 2011-01-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筒内噴射式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EP1944490A1 (en) * 2007-01-10 2008-07-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Fuel control method
JP4631860B2 (ja) * 2007-02-19 2011-0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多種燃料内燃機関
JP5092622B2 (ja) * 2007-08-22 2012-1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の動力伝達装置の制御装置
DE102007046489B3 (de) 2007-09-28 2009-05-0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FR2923266A1 (fr) * 2007-11-05 2009-05-08 Renault Sas Estimation des effets de l'evaporation du carburant dilue dans l'huile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JP4466746B2 (ja) * 2008-02-21 2010-05-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の異常診断装置
JP5381422B2 (ja) * 2009-07-03 2014-0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DE102010006580B3 (de) 2010-02-02 2011-07-2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30165 Verfahren zur Überprüfung einer Kraftstoffausgasung und Steuergerät
JP5158228B2 (ja) * 2011-04-28 2013-03-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1487A1 (en) 2004-02-24 2006-09-14 Georg Mallebrei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06041686A1 (de) 2006-09-06 2007-11-22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Verbrennungsmo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55533B2 (en) 2016-02-09
DE102010006580B3 (de) 2011-07-28
US20120310514A1 (en) 2012-12-06
WO2011095479A1 (de) 2011-08-11
KR20120123134A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925B1 (ko)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유닛
KR102166580B1 (ko) 크랭크케이스 환기 시스템의 기능의 타당성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790885B2 (en) Crankcase integrity breach detection
US9260990B2 (en) Crankcase integrity breach detection
US9714590B2 (en) Crankcase integrity breach detection
US10619534B2 (en) Crankcase integrity breach detection
RU2620906C2 (ru)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двигателя (варианты) и система вентиляции картера
US11047329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 crankcase ventilation lin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9664079B2 (en) Crankcase integrity breach detection
US9389198B2 (en) Humidity sensor and engine system
KR101512289B1 (ko) 내연 기관 작동 방법
JP2007127076A (ja) 筒内噴射式内燃機関の異常診断装置
KR102624461B1 (ko) 내연기관용 크랭크케이스 환기 디바이스의 크랭크케이스 환기 라인의 누출을 진단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RU2695244C2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работы продувочного вентиля фильтра топливных паров
JP2007170363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06177288A (ja) エンジンの燃料系異常検出装置
JP4514596B2 (ja) 内燃機関のイオン電流検出装置異常判定方法
JP2019173681A (ja) 内燃機関制御装置
JP2017172524A (ja) エンジンオイルの異常消費診断装置
JP2000161121A (ja) 吸気弁診断装置
JP2011157898A (ja) 内燃機関の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