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732B1 - 페이퍼시트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페이퍼시트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732B1
KR101762732B1 KR1020150173006A KR20150173006A KR101762732B1 KR 101762732 B1 KR101762732 B1 KR 101762732B1 KR 1020150173006 A KR1020150173006 A KR 1020150173006A KR 20150173006 A KR20150173006 A KR 20150173006A KR 101762732 B1 KR101762732 B1 KR 101762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main
sub
conveying means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6849A (ko
Inventor
김성찬
오봉섭
김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타치터미널솔루션즈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타치터미널솔루션즈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타치터미널솔루션즈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73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732B1/ko
Publication of KR20170066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65H1/0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for separation from bottom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separating from the bottom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0Elements, e.g. fingers, plates, rollers, inserted or traversed between articles to be separated and remainder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bottom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4Rollers
    • B65H2301/443246Rollers pivo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20Belt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적재되는 페이퍼시트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최하단의 페이퍼시트부터 순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페이퍼시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페이퍼시트가 적재되는 적재대(10)와, 적재대(10)에 구비되어 적재되는 페이퍼시트들 중 최하단의 페이퍼시트를 이송시키는 메인이송수단(20)과, 메인이송수단(20)에서 상부로 이격되는 상태로 적재대(10)에 구비되어 적재된 페이퍼시트들 중 최하단에서 두 번째부터 이송을 저지하는 페이퍼시트저지수단(30)과, 메인이송수단(20)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적재대(10)에 구비되어 최하단의 페이퍼시트를 메인이송수단(20)으로 이송시키는 서브이송수단(40)과, 메인이송수단(20) 및 서브이송수단(40)의 사이에 위치되면서 적재대(10)에 구비되어 서브이송수단(40)에 의해 메인이송수단(20)으로 이송되는 최하단의 페이퍼시트를 지지하는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페이퍼시트 이송장치{PAPER SHEET TRANSFER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적재되는 페이퍼시트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최하단의 페이퍼시트부터 순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페이퍼시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이퍼시트처리장치는 페이퍼시트(지폐, 유가증권, 상품권)를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계수하는데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퍼시트처리장치(100)는 외형을 유지하기 위한 선별본체(110)가 마련된다. 그리고, 선별본체(11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페이퍼시트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투입구에 페이퍼시트가 근접되는 상태로 적재되는 적재대(111)가 상측에 형성되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페이퍼시트가 배출되는 제1 포켓(191)이 일측에 형성되고, 제1 포켓(191)에서 배출되는 페이퍼시트와 다른 종류의 페이퍼시트가 배출되는 제2 포켓(192)이 타측에 형성된다. 또한, 투입된 페이퍼시트의 권종과 페이퍼시트의 카운팅된 개수를 현시하는 디스플레이(170)도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적재대(111)에는 페이퍼시트를 투입구를 통해 선별본체(110)의 내부로 투입시키는 롤러가 설치되어 있어서, 롤러가 회전되는 경우 적재대(111)에 적재된 페이퍼시트들이 순서대로 투입되어서 제2 포켓(192)과 제1 포켓(191)으로 분류되어서 배출된다.
그러나, 전술한 계수기는 적재대(111)에 많은 수의 페이퍼시트들이 적재되는 경우 페이퍼시트들의 하중에 의해 롤러의 앞뒤로 페이퍼시트가 휘어지면서 처지게 되어, 롤러가 다수의 페이퍼시트들을 한꺼번에 이송하게 되거나, 롤러가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페이퍼시트가 투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에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2857호(2011.03.16.)가 게재된 바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재되는 페이퍼시트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최하단의 페이퍼시트부터 순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페이퍼시트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이퍼시트 이송장치는, 페이퍼시트가 적재되는 적재대(10)와, 적재대(10)에 구비되어 적재되는 페이퍼시트들 중 최하단의 페이퍼시트를 이송시키는 메인이송수단(20)과, 메인이송수단(20)에서 상부로 이격되는 상태로 적재대(10)에 구비되어 적재된 페이퍼시트들 중 최하단에서 두 번째부터 이송을 저지하는 페이퍼시트저지수단(30)과, 메인이송수단(20)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적재대(10)에 구비되어 최하단의 페이퍼시트를 메인이송수단(20)으로 이송시키는 서브이송수단(40)과, 메인이송수단(20) 및 서브이송수단(40)의 사이에 위치되면서 적재대(10)에 구비되어 서브이송수단(40)에 의해 메인이송수단(20)으로 이송되는 최하단의 페이퍼시트를 지지하는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메인이송수단(20)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회전축(21)과, 메인회전축(21)에 결합되어 메인회전축(21)과 함께 회전되어서 페이퍼시트를 이송시키는 메인롤러(22)를 포함하고, 페이퍼시트저지수단(30)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저지회전축(31)과, 저지회전축(31)에 결합되어 저지회전축(31)과 함께 회전되어서 페이퍼시트의 이송을 저지시키는 저지롤러(32)를 포함하며, 저지롤러(32)는 메인이송수단(20)의 메인롤러(2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서브이송수단(40)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서브회전축(41)과, 서브회전축(41)에 결합되어 메인회전축(21)과 함께 회전되어서 페이퍼시트를 이송시키는 서브롤러(42)를 포함하고,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지지회전축(51)과, 지지회전축(51)에 결합되어 지지회전축(51)과 함께 회전되어서 페이퍼시트를 이송시키는 지지롤러(52)를 포함하며,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의 지지롤러(52)는 메인이송수단(20)의 메인롤러(22) 및 서브이송수단(40)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지지롤러(52)는 외측표면이 매끄러운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일부분에 마찰부(5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지지롤러(52)는 한쪽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캠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은 적재대(10)에 공회전되게 설치되는 롤러나 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은 적재대(10)에 고정되는 가이드(54)와, 가이드(54)를 따라 승강되는 가이드블록(55)과, 가이드(54) 및 가이드블록(55)에 양단이 고정되어 가이드(54)에서 가이드블록(55)을 탄력지지하는 탄성체(56)와, 가이드블록(55)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페이퍼시트를 지지하여서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메인이송수단(20)과, 서브이송수단(40)과,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회전수단(60)은 메인이송수단(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재(61)와, 회전부재(61)의 회전력을 메인이송수단(20)에서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2)를 포함하고, 회전부재(61)는 메인이송수단(20)의 메인회전축(21)에 축결합되는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동력전달부(62)는 메인이송수단(20)와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풀리(63)와, 풀리(63)들에 개재되어 메인이송수단(20)의 동력을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로 전달하는 벨트(64)를 포함하고, 풀리(63)들은 각각의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동력전달부(62)는 메인이송수단(20)의 회전력을 서브이송수단(40)로 전달하는 메인전달부(65)와, 서브이송수단(40)의 회전력을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로 전달하는 서브전달부(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메인전달부(65)는 메인이송수단(20) 및 서브이송수단(40)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풀리와, 풀리들에 개재되어 메인이송수단(20)의 동력을 서브이송수단(40)로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하고, 서브전달부(66)는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풀리와, 풀리들에 개재되어 서브이송수단(40)의 동력을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로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메인전달부(65)는 메인이송수단(20) 및 서브이송수단(40)에 각각 구비되는 기어들 및 기어들에 양측이 교합되어서 메인이송수단(20)의 동력을 서브이송수단(40)으로 전달하는 기어로 구성되고, 서브전달부(66)는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에 각각 구비되는 기어들 및 기어들에 양측이 교합되어서 서브이송수단(40)의 동력을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으로 전달하는 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재대에 적재되는 페이퍼시트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최하단의 페이퍼시트부터 순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어서, 적재된 페이퍼시트들의 하중에 의해 페이퍼시트가 이송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페이퍼시트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이퍼시트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발명의 다른 방향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을 보인 측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페이퍼시트지지수단을 보인 도면.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전수단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도 8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1은 도 10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전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3은 도 12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적재대(10)와, 메인이송수단(20)과, 페이퍼시트저지수단(30)과, 서브이송수단(40)과,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을 포함한다.
적재대(10)는 페이퍼시트가 적재되는 것으로, 적재되는 페이퍼시트들의 하부가 받쳐지는 베이스판(11)과, 베이스판(11)의 일측에 기립되어 페이퍼시트들의 전단이 지지되는 지지판(12)과, 베이스판(11)의 양측에 기립되어 페이퍼시트들의 양측이 지지되는 외측판(13)을 포함한다.
베이스판(11)에는 메인이송수단(20)과, 서브이송수단(40)과,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이 돌출되도록 관통홀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이송수단(20)과, 서브이송수단(40)과,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이 구동되면 베이스판(11)에 적재된 페이퍼시트가 이송될 수 있다.
지지판(12)은 경사지게 기립될 수 있어서 페이퍼시트들의 전단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12)에서 최하단에는 페이퍼시트가 이송되어서 투입되는 투입구(14)가 형성된다. 따라서, 적재된 페이퍼시트들 중 최하단의 페이퍼시트가 투입구(14)에 근접되게 위치될 수 있다.
외측판(13)에 의해 페이퍼시트들의 양측이 지지되므로 페이퍼시트들이 수직되게 정렬되면서 베이스판(11)에 적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적재대(10)는 페이퍼시트(지폐, 유가증권, 상품권)를 자동으로 계수하는 계수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적재대(10)에 의해 페이퍼시트들이 바르게 정렬된 상태로 적재될 수 있어서 계수장치에 바른 자세로 정확하게 투입될 수 있다.
메인이송수단(20)은 적재대(10)에 구비되어 적재되는 페이퍼시트들 중 최하단의 페이퍼시트를 이송시키는 것으로, 외부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회전축(21)과, 메인회전축(21)에 결합되어 메인회전축(21)과 함께 회전되어서 페이퍼시트를 이송시키는 메인롤러(22)를 포함한다.
메인회전축(21)은 적재대(10)나 계수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모터가 축결합되거나 후술되는 회전수단(60)이 연결될 수 있어서, 모터나 회전수단(6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롤러(22)는 외측표면이 매끄러운 합성수지나 금속이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일부분에 고무나 우레탄으로 구성되는 마찰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롤러(22)가 회전되는 경우 매끄러운 외주면이 페이퍼시트의 표면에서 미끄러지게 되고, 마찰부(23)가 접촉되어서 페이퍼시트를 적재대(10)의 투입구(14)로 투입시킬 수 있다.
페이퍼시트저지수단(30)은 메인이송수단(20)에서 상부로 이격되는 상태로 적재대(10)에 구비되어 적재된 페이퍼시트들 중 최하단에서 두 번째부터 이송을 저지하는 것으로, 외부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저지회전축(31)과, 저지회전축(31)에 결합되어 저지회전축(31)과 함께 회전되어서 페이퍼시트의 이송을 저지시키는 저지롤러(32)를 포함한다.
저지회전축(31)은 적재대(10)나 계수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저지롤러(32)는 지지판(12)의 투입구(14)에서 메인이송수단(20)의 메인롤러(22)보다 페이퍼시트의 두께만큼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 메인이송수단(20)의 메인롤러(2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적재된 페이퍼시트들 중 최하단에서 두 번째부터의 이송을 저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메인이송수단(20)의 메인롤러(22)와 페이퍼시트저지수단(30)의 저지롤러(32)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페이퍼시트들 중 최하단의 페이퍼시트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씩 이송될 수 있다.
서브이송수단(40)은 메인이송수단(20)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적재대(10)에 구비되어 최하단의 페이퍼시트를 메인이송수단(20)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외부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서브회전축(41)과, 서브회전축(41)에 결합되어 메인회전축(21)과 함께 회전되어서 페이퍼시트를 이송시키는 서브롤러(42)를 포함한다.
서브회전축(41)은 적재대(10)나 계수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모터나 후술되는 회전수단(60)이 연결될 수 있어서, 모터나 회전수단(6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서브이송수단(40)의 서브롤러(42)는 이송수단(20)의 메인롤러(22)와 동일한 직경이거나 약간 상이한 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서브이송수단(40)의 서브롤러(42)가 회전됨에 따라 페이퍼시트가 메인이송수단(20)의 메인롤러(22)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롤러(42)는 외측표면이 매끄러운 합성수지나 금속이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일부분에 고무나 우레탄으로 구성되는 마찰부(4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롤러(42)가 회전되는 경우 매끄러운 외주면이 페이퍼시트의 표면에서 미끄러지게 되고, 마찰부(43)가 접촉되면 페이퍼시트가 이동될 수 있다.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은 메인이송수단(20) 및 서브이송수단(40)의 사이에 위치되면서 적재대(10)에 구비되어 서브이송수단(40)에 의해 메인이송수단(20)으로 이송되는 최하단의 페이퍼시트를 지지하는 것으로, 외부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지지회전축(51)과, 지지회전축(51)에 결합되어 지지회전축(51)과 함께 회전되어서 페이퍼시트를 이송시키는 지지롤러(52)를 포함한다.
지지회전축(51)은 적재대(10)나 계수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모터나 후술되는 회전수단(60)이 연결될 수 있어서 모터나 회전수단(6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지지롤러(52)는 회전되어서 서브이송수단(40)에 의해 이송되는 페이퍼시트를 메인이송수단(20)의 메인롤러(22)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러한,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이 메인이송수단(20) 및 서브이송수단(40)의 사이에 위치됨에 따라 서브이송수단(40)에 의해 이송되는 페이퍼시트가 메인이송수단(20) 및 서브이송수단(40)의 사이에서 멈추지 않으면서 메인이송수단(20)까지 이송될 수 있다. 더욱이,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이 메인이송수단(20) 및 서브이송수단(40)의 사이에서 적재된 페이퍼시트를 지지하므로, 페이퍼시트의 무게가 분산되어서 페이퍼시트가 휘어지면서 처지지 않으면서 바른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롤러(52)는 서로 근접되는 메인이송수단(20)의 메인롤러(22) 및 서브이송수단(40)의 서브롤러(4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메인롤러(22) 및 서브롤러(42)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롤러(52)는 메인롤러(22) 및 서브롤러(42)보다 1/2~1/3의 크기로 형성되어, 서로 근접되는 메인롤러(22) 및 서브롤러(42)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메인롤러(22) 및 서브롤러(42)의 사이에서 상측에 위치될 수 있어서, 메인롤러(22) 및 서브롤러(42)에 지지되어서 이송되는 페이퍼시트를 지지하여서 이송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롤러(52)는 외측표면이 매끄러운 합성수지나 금속이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일부분에 고무나 우레탄으로 구성되는 마찰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롤러(52)가 회전되는 경우 매끄러운 외주면이 페이퍼시트의 표면에서 미끄러지게 되고, 마찰부(53)가 접촉되면 발생되어 마찰력에 의해 페이퍼시트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지지롤러(52)는 한쪽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롤러가 회전되면서 볼록한 부분이 페이퍼시트에 마찰되므로 페이퍼시트를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메인롤러(22), 서브롤러(42), 지지롤러(52)들이 동시에 회전됨에 따라 각각의 마찰부(23)(43)(53)들이 최하단의 페이퍼시트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최하단에서 두 번째 페이퍼시트가 서브롤러(42)나 지지롤러(52)에 접촉되어도 마찰부(43)(53)들을 제외한 매끄러운 외주면에 접촉되므로, 최하단에서 두 번째 페이퍼시트가 이송되지 않는다. 그리고, 최하단의 페이퍼시트가 완전히 이송된 후에 최하단에서 두 번째 페이퍼시트가 최하단에서 첫 번째 페이퍼시트가 되므로, 메인롤러(22), 서브롤러(42), 지지롤러(52)들이 다시 회전되면 마찰부(23)(43)(53)들이 새로운 첫 번째 페이퍼시트를 이송시키게 된다. 즉, 메인롤러(22), 서브롤러(42), 지지롤러(52)들이 회전될 때마다 페이퍼시트들이 최하단에서부터 한 장씩 순차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의 지지롤러(52)가 서브이송수단(40)의 서브롤러(42)와 함께 회전됨에 따라, 적재된 페이퍼시트의 하중이 서브롤러(42)와 지지롤러(52)에 분산되므로, 페이퍼시트가 휘어지지 않는 상태로 메인이송수단(20)의 메인롤러(22)까지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은 적재대(10)의 베이스판(11)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돌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돌기는 적재대(10)의 베이스판(11)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메인이송수단(20)의 메인롤러(22)나 서브이송수단(40)의 서브롤러(42)의 높이만큼 돌출되며, 지지되는 페이퍼시트가 부드럽게 슬라이딩되도록 반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은 적재대(10)의 베이스판(11)에 공회전되게 설치되는 롤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롤러는 공회전 되므로 서브이송수단(40)에 의해 이송되는 페이퍼시트의 이송을 안내할 수 있다.
더욱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은 적재대(10)에 고정되는 가이드(54)와, 가이드(54)를 따라 승강되는 가이드블록(55)과, 가이드(54) 및 가이드블록(55)에 양단이 고정되어 가이드(54)에서 가이드블록(55)을 탄력지지하는 탄성체(56)와, 가이드블록(55)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페이퍼시트를 지지하여서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57)를 포함한다.
가이드(54)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관체로 구성된다.
가이드블록(55)은 가이드(54)인 가이드(54)는 내부공간에 삽입되어서 승강되는 샤프트(58)와, 샤프트(58)의 상부에 형성되어 가이드롤러(57)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요크(59)를 포함한다.
탄성체(56)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다.
가이드롤러(57)는 페이퍼시트에 접촉되어서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고무나 우레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롤러(57)는 한쪽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롤러가 회전되면서 볼록한 부분이 페이퍼시트에 마찰되므로 페이퍼시트를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은 이송되는 페이퍼시트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서 페이퍼시트가 처지지 않게 하면서 이송을 안내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이송수단(20)과, 서브이송수단(40)과,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60)을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수단(60)은 메인이송수단(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재(61)와, 회전부재(61)의 회전력을 메인이송수단(20)에서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2)를 포함한다.
회전부재(61)는 메인이송수단(20)의 메인회전축(21)에 축결합되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62)는 메인이송수단(20)와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풀리(63)와, 풀리(63)들에 개재되어 메인이송수단(20)의 동력을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로 전달하는 벨트(64)를 포함한다.
여기서, 풀리(63)들은 각각의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의해, 메인이송수단(20)와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이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될 수 있다. 즉, 메인이송수단(20)와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이 동시에 작동되어서 페이퍼시트를 이송시킬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61)인 모터의 구동에 의해 메인이송수단(20)의 메인회전축(21)이 회전되면 벨트(64)가 회전되므로, 하나의 벨트(64)에 의해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이 메인이송수단(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풀리(63) 및 벨트(64)는 체인 및 기어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62)는 메인이송수단(20)의 회전력을 서브이송수단(40)로 전달하는 메인전달부(65)와, 서브이송수단(40)의 회전력을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로 전달하는 서브전달부(66)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전달부(65) 및 서브전달부(66)가 각각 구성되므로 각각 유지보수 할 수 있다.
메인전달부(65)는 메인이송수단(20) 및 서브이송수단(40)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풀리와, 풀리들에 개재되어 메인이송수단(20)의 동력을 서브이송수단(40)로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메인이송수단(20)가 회전되면 풀리와 벨트의 회전에 의해 서브이송수단(40)이 회전될 수 있다.
서브전달부(66)는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풀리와, 풀리들에 개재되어 서브이송수단(40)의 동력을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로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서브이송수단(40)가 회전되면 풀리와 벨트의 회전에 의해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이 회전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전달부(65)는 메인이송수단(20) 및 서브이송수단(40)에 각각 구비되는 기어들 및 기어들에 양측이 교합되어서 메인이송수단(20)의 동력을 서브이송수단(40)으로 전달하는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피니언들은 모두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어느 하나가 1회전하면 다른 기어들도 1회전한다. 즉, 메인이송수단(20) 및 서브이송수단(40)에 각각 구비되는 기어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서브전달부(66)는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에 각각 구비되는 기어들 및 기어들에 양측이 교합되어서 서브이송수단(40)의 동력을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으로 전달하는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피니언들은 모두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어느 하나가 1회전하면 다른 기어들도 1회전한다. 즉,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에 각각 구비되는 기어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61)인 모터의 구동에 의해 메인이송수단(20)의 메인회전축(21)이 회전되면 메인전달부(65)에 의해 서브이송수단(40)이 회전되면서, 서브이송수단(40)가 회전되면 서브전달부(66)에 의해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이 회전되므로, 메인이송수단(20)와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입되는 페이퍼시트들을 본체의 정면이나 양측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전체적인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어서 페이퍼시트입출금기나 페이퍼시트계수기 등과 같은 페이퍼시트 이송장치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적재대 20 : 메인이송수단
21 : 메인회전축 22 : 메인롤러
23, 43, 53 : 마찰부 30 : 페이퍼시트저지수단
31 : 저지회전축 32 : 저지롤러
40 : 서브이송수단 41 : 서브회전축
42 : 서브롤러 50 : 페이퍼시트지지수단
51 : 지지회전축 52 : 지지롤러
54 : 가이드 55 : 가이드블록
56 : 탄성체 57 : 가이드롤러
60 : 회전수단 61 : 회전부재
62 : 동력전달부 63 : 풀리
64 : 벨트 65 : 메인전달부
66 : 서브전달부

Claims (13)

  1. 페이퍼시트가 적재되는 적재대(10)와,
    적재대(10)에 구비되어 적재되는 페이퍼시트들 중 최하단의 페이퍼시트를 이송시키는 메인이송수단(20)과,
    메인이송수단(20)에서 상부로 이격되는 상태로 적재대(10)에 구비되어 적재된 페이퍼시트들 중 최하단에서 두 번째부터 이송을 저지하는 페이퍼시트저지수단(30)과,
    메인이송수단(20)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적재대(10)에 구비되어 최하단의 페이퍼시트를 메인이송수단(20)으로 이송시키는 서브이송수단(40)과,
    메인이송수단(20) 및 서브이송수단(40)의 사이에 위치되면서 적재대(10)에 구비되어 서브이송수단(40)에 의해 메인이송수단(20)으로 이송되는 최하단의 페이퍼시트를 지지하는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과,
    메인이송수단(20), 서브이송수단(40),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60)을 포함하며,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지지회전축(51)과,
    지지회전축(51)에 결합되어 지지회전축(51)과 함께 회전되어서 페이퍼시트를 이송시키는 지지롤러(52)를 포함하며,
    지지롤러(52)는 메인이송수단(20) 및 서브이송수단(40)의 사이에 위치되어, 페이퍼시트의 무게가 분산되어서 페이퍼시트가 휘어져서 처지지 않으면서 이송될 수 있고, 외측표면이 매끄러운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일부분에 마찰부(53)가 형성되며, 메인이송수단(20) 및 서브이송수단(40)와 동시에 회전되어 페이퍼시트를 최하단에서부터 한장씩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고,
    회전수단(60)은
    메인이송수단(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재(61)와,
    회전부재(61)의 회전력을 메인이송수단(20)에서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시트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인이송수단(20)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회전축(21)과,
    메인회전축(21)에 결합되어 메인회전축(21)과 함께 회전되어서 페이퍼시트를 이송시키는 메인롤러(22)를 포함하고,
    페이퍼시트저지수단(30)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저지회전축(31)과,
    저지회전축(31)에 결합되어 저지회전축(31)과 함께 회전되어서 페이퍼시트의 이송을 저지시키는 저지롤러(32)를 포함하며,
    저지롤러(32)는 메인이송수단(20)의 메인롤러(2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시트 이송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서브이송수단(40)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서브회전축(41)과,
    서브회전축(41)에 결합되어 메인회전축(21)과 함께 회전되어서 페이퍼시트를 이송시키는 서브롤러(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시트 이송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롤러(52)는 한쪽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캠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시트 이송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은 적재대(10)에 공회전되게 설치되는 롤러나 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시트 이송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은
    적재대(10)에 고정되는 가이드(54)와,
    가이드(54)를 따라 승강되는 가이드블록(55)과,
    가이드(54) 및 가이드블록(55)에 양단이 고정되어 가이드(54)에서 가이드블록(55)을 탄력지지하는 탄성체(56)와,
    가이드블록(55)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페이퍼시트를 지지하여서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시트 이송장치.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동력전달부(62)는
    메인이송수단(20)와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풀리(63)와,
    풀리(63)들에 개재되어 메인이송수단(20)의 동력을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로 전달하는 벨트(64)를 포함하고,
    풀리(63)들은 각각의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시트 이송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동력전달부(62)는
    메인이송수단(20)의 회전력을 서브이송수단(40)로 전달하는 메인전달부(65)와,
    서브이송수단(40)의 회전력을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로 전달하는 서브전달부(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시트 이송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메인전달부(65)는 메인이송수단(20) 및 서브이송수단(40)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풀리와, 풀리들에 개재되어 메인이송수단(20)의 동력을 서브이송수단(40)로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하고,
    서브전달부(66)는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풀리와, 풀리들에 개재되어 서브이송수단(40)의 동력을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로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시트 이송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메인전달부(65)는 메인이송수단(20) 및 서브이송수단(40)에 각각 구비되는 기어들 및 기어들에 양측이 교합되어서 메인이송수단(20)의 동력을 서브이송수단(40)으로 전달하는 기어로 구성되고,
    서브전달부(66)는 서브이송수단(40) 및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에 각각 구비되는 기어들 및 기어들에 양측이 교합되어서 서브이송수단(40)의 동력을 페이퍼시트지지수단(50)으로 전달하는 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시트 이송장치.
KR1020150173006A 2015-12-07 2015-12-07 페이퍼시트 이송장치 KR101762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006A KR101762732B1 (ko) 2015-12-07 2015-12-07 페이퍼시트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006A KR101762732B1 (ko) 2015-12-07 2015-12-07 페이퍼시트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849A KR20170066849A (ko) 2017-06-15
KR101762732B1 true KR101762732B1 (ko) 2017-07-28

Family

ID=59217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006A KR101762732B1 (ko) 2015-12-07 2015-12-07 페이퍼시트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7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322B1 (ko) * 2014-04-16 2015-07-13 김선호 지폐 투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322B1 (ko) * 2014-04-16 2015-07-13 김선호 지폐 투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849A (ko)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52515B (zh) 一种扑克机及其理牌装置
KR101762732B1 (ko) 페이퍼시트 이송장치
CN107096213B (zh) 扑克机及其进牌装置、扑克牌整理方法
KR101882886B1 (ko) 보조 투입 유닛을 갖는 페이퍼시트 이송장치
KR20130075444A (ko) 지폐저장장치
JPS59158763A (ja) シ−ト分類装置
JP5566589B2 (ja) 紙葉類収納カセットおよび紙葉類載置台
JPH082796A (ja) ソータ
JP5851805B2 (ja) 硬貨取扱い装置
KR200481953Y1 (ko) 종이 공급장치
JP5851806B2 (ja) 硬貨取扱い装置
JPH05186126A (ja) 紙葉類の収納装置
JP5032865B2 (ja) カード発行装置
JP3996748B2 (ja) 包装硬貨の整列供給装置
JPH02169431A (ja) 遊技設備
KR20100079664A (ko) 금융자동화기기
JPS5948340A (ja) 紙葉類の分離給送装置
JPS628930A (ja) 紙葉類取扱装置
JP4149617B2 (ja) 排紙積載装置
KR102255909B1 (ko) 픽업유닛 및 다권종 지폐 정렬장치
JP2001134804A (ja) 紙葉類の処理装置
JPS58144052A (ja) シ−ト取扱い装置
JP3781142B2 (ja) ソータ
JPH0524658Y2 (ko)
CN111282258A (zh) 扑克机及其翻牌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