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386B1 - 보틀형 수지 용기 - Google Patents

보틀형 수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386B1
KR101762386B1 KR1020157031740A KR20157031740A KR101762386B1 KR 101762386 B1 KR101762386 B1 KR 101762386B1 KR 1020157031740 A KR1020157031740 A KR 1020157031740A KR 20157031740 A KR20157031740 A KR 20157031740A KR 101762386 B1 KR101762386 B1 KR 101762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ring
cap ring
bottle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1991A (ko
Inventor
노리미치 니시아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시아키 고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시아키 고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시아키 고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141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6Deformable or tearable wires, strings, or strips; Use of seals, e.g. destructible locking pins
    • B65D55/066Foil covers combined with outer closures and comprising interacting or interposed tamper indicating means visible through the outer closure, e.g. releasable coloured dyes, changeable patterns, pierceable membranes, visible through a transparent closure or through a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미개봉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는 것 및 캡 링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보틀형 수지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보틀 본체(3)와 캡(5)을 구비하는 보틀형 수지 용기(1)로서, 턱부(34)와 플랜지부(36)의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원통부(70)를 가지며,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캡 본체(52)를 회전시키면, 브리지(56)가 파단되어 캡 링(54)이 캡 본체(52)로부터 떨어지고, 또한 자중에 의해 그 하면이 플랜지부(36)에 접하도록 낙하하여 플랜지부(36)의 상부에 머물고, 캡 링(54)의 상면과 턱부(34)의 하면 사이에 원통부(70)의 측면이 노출됨으로써 개봉 완료임이 판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원통부(70)의 측면은 정면에서 보면 직선이기 때문에 테이퍼각을 일의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그 테이퍼각은 60~80도이다.

Description

보틀형 수지 용기{Bottle-shaped resin container}
본 발명은 페트병으로 대표되는 보틀형 수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틀형 수지 용기의 대표예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보틀형 수지 용기에 대해 도 24 및 도 2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4에 도시된 보틀형 수지 용기(100)는, 플라스틱제 보틀 본체(102)와 플라스틱제 캡(104)을 갖고 있다.
보틀 본체(102)는 입부(口部; 106)와 몸통부(108)로 이루어지고, 이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입부(106)는 그 외주에, 수나사(110)와 수평 방향으로의 돌기부를 이루는 환상의 턱부(112) 및 플랜지부(114)가 이 순서로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108)는 음료수 등의 내용물이 충전되는 용기 부분이다.
캡(104)은 캡 본체(116)와 캡 링(118)과 이들을 연결하는 브리지(120)로 이루어진다.
캡 본체(116)는, 그 내주에 수나사(110)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122)가 형성되어 있고, 암나사(122)와 수나사(110)가 나사결합함으로써 입부(106)를 캡(104)에 의해 닫을 수 있다.
캡 링(118)은 링 형상이고, 그 상단이 다수의 브리지(120)를 개재하여 캡 본체(116)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캡 링(118)의 내경은 턱부(112)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어, 턱부(112)의 외측에 약간의 간극을 가진 상태로 캡 링(118)이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캡 링(118)의 내측에는 턱부(112)의 하단에 하방으로부터 걸어맞춤 가능한 복수의 스토퍼(124)가 축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음료수 등의 내용물이 보틀 본체(102)에 충전된 후, 캡(104)을 보틀 본체(102)의 입부(106)에 나사결합할 때, 스토퍼(124)는 턱부(112)를 통과한 후, 그 상단이 턱부(112)의 하면에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용물을 보틀 본체(102)로부터 배출할 때, 캡 본체(116)를 수나사(110) 및 암나사(122)의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브리지(120)가 전단력을 받아 파단된다. 그 후, 캡 본체(116)를 같은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킴으로써, 캡(104)이 입부(106)로부터 벗어나 도 25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캡 링(118)은, 그 하면이 플랜지부(114)의 상면에 접근하여, 턱부(112)와 플랜지부(114)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하이동 불가능 상태가 된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2-370760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종래의 보틀형 수지 용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미개봉인지 그렇지 않으면 개봉 후 다시 내용물을 충전하고 캡을 닫은 것인지 판별이 어려웠다. 또한, 보틀형 수지 용기의 폐기시에 분별을 위해 캡 링(118)을 분리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와 같이 캡 링(118)은 턱부(112)와 플랜지부(114)의 사이에 끼워져 상하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분리하는 것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미개봉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캡 링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보틀형 수지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면밀히 검토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은 다음의 (1)~(6)이다.
(1) 보틀 본체와 캡을 가지며,
상기 보틀 본체는 입부 및 몸통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부는, 그 외주에 수나사와 수평 방향으로의 돌기부를 이루는 환상의 턱부 및 플랜지부를 이 순서로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갖고 있으며,
상기 캡은 캡 본체, 캡 링 및 이들을 연결하는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캡 본체는, 그 내주에 상기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가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캡이 상기 입부를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 링은 링 형상이고, 그 상단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브리지를 개재하여 상기 캡 본체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고, 그 내경은 상기 턱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턱부의 외측에 간극을 가진 상태로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캡 링의 내측에는 상기 턱부의 하단에 하방으로부터 걸어맞춤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가 축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이 상기 보틀 본체에 충전된 후 상기 캡을 상기 입부에 나사결합할 때에, 상기 스토퍼는 상기 턱부를 통과한 후, 그 상단이 상기 턱부의 하면에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틀형 수지 용기로서,
상기 턱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원통부를 가지며,
상기 원통부의 높이(H)는 10~20mm이고,
상기 원통부의 측면은 정면에서 보면 직선이기 때문에 테이퍼각을 일의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그 테이퍼각은 60~80도이며,
상기 브리지가 상기 캡 링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을 상기 보틀 본체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상기 캡 본체를 상기 수나사 및 상기 암나사의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브리지가 전단력을 받아 파단되어 상기 캡 링이 상기 캡 본체로부터 떨어지고, 그 결과, 축심이 연직 방향이 되는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캡 링이 자중에 의해 그 하면이 상기 플랜지부에 접하도록 낙하하여 상기 플랜지부 상에 머물고, 상기 캡 링의 상면과 상기 턱부의 하면의 사이에 상기 원통부의 측면이 노출됨으로써 개봉 완료임이 판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보틀형 수지 용기.
(2) 상기 원통부의 높이(H)와 상기 캡 링의 높이(h)의 차(H-h)가 3mm 이상인, 상기 (1)에 기재된 보틀형 수지 용기.
(3) 상기 원통부의 높이(H)와 상기 캡 링의 높이(h)의 관계가 H≥1.5×h를 만족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보틀형 수지 용기.
(4) 상기 캡을 개봉하기 전의,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캡 링이 상기 브리지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캡 본체 및 상기 캡 링의 표면에 이들 모두에 걸친 마킹이 형성되어 있고,
개봉하여 상기 브리지가 파단되어 상기 캡 링이 상기 캡 본체로부터 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에 접하도록 낙하하여, 다시 상기 캡을 닫은 경우에 상기 마킹이 개봉 전과 같은 것으로는 회복되지 않음으로써 개봉 완료임이 판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보틀형 수지 용기.
(4) 보틀 본체와 캡을 가지며,
상기 보틀 본체는 입부 및 몸통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부는, 그 외주에 수나사와 수평 방향으로의 돌기부를 이루는 환상의 턱부 및 플랜지부를 이 순서로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갖고 있으며,
상기 캡은 캡 본체, 캡 링 및 이들을 연결하는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캡 본체는, 그 내주에 상기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가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캡이 상기 입부를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 링은 링 형상이고, 그 상단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브리지를 개재하여 상기 캡 본체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고, 그 내경은 상기 턱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턱부의 외측에 간극을 가진 상태로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캡 링의 내측에는 상기 턱부의 하단에 하방으로부터 걸어맞춤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가 축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이 상기 보틀 본체에 충전된 후 상기 캡을 상기 입부에 나사결합할 때에, 상기 스토퍼는 상기 턱부를 통과한 후, 그 상단이 상기 턱부의 하면에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틀형 수지 용기로서,
상기 턱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원통부를 가지며,
상기 원통부의 높이(H)는 8mm 이상이고,
상기 원통부의 테이퍼각은 90도 이하이며,
내용물을 상기 보틀 본체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상기 캡 본체를 상기 수나사 및 상기 암나사의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브리지가 전단력을 받아 파단되어 상기 캡 링이 상기 캡 본체로부터 떨어지고, 그 결과, 축심이 연직 방향이 되는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캡 링이 자중에 의해 그 하면이 상기 플랜지부에 접하도록 낙하하여 상기 플랜지부 상에 머물고, 상기 캡 링의 상면과 상기 턱부의 하면의 사이에 상기 원통부의 측면이 노출됨으로써 개봉 완료임이 판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보틀형 수지 용기.
(5) 상기 캡을 개봉하기 전의,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캡 링이 상기 브리지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캡 본체 및 상기 캡 링의 표면에 이들 모두에 걸친 마킹이 형성되어 있고,
개봉하여 상기 브리지가 파단되어 상기 캡 링이 상기 캡 본체로부터 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에 접하도록 낙하하여, 다시 상기 캡을 닫은 경우에 상기 마킹이 개봉 전과 같은 것으로는 회복되지 않음으로써 개봉 완료임이 판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상기 (4)에 기재된 보틀형 수지 용기.
본 발명에 의하면, 미개봉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캡 링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보틀형 수지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는 미개봉인 것이 판단하기 쉽기 때문에, 판매점 등에서는 품질 보전이 용이해지고, 예를 들어 독물 혼입 사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품을 제공하는 음식점에서는 신품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 강조되어 사용자로부터의 신뢰를 증가시킬 수 있고, 사용자도 안심하고 신품의 제품을 소비할 수 있다. 또한, 제조사는 안전에 대한 대처가 평가되고, 음식점이나 판매점에서도 중고품이나 내용물을 바꿔 넣은 용기의 제공이 억제되므로, 상품의 매상 증가로 이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는 캡 링의 가동 범위가 넓기 때문에, 분별시에 니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캡 링을 절단하기 쉽다. 따라서, 재활용 활동의 촉진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의 바람직한 형태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캡의 보틀 본체에의 나사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캡 링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캡 링을 니퍼로 절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에서의 턱부, 원통부 및 플랜지부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원통부의 측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확대도(단면도)이다.
도 7은 원통부의 측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개략 확대도(단면도)이다.
도 8은 원통부의 측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개략 확대도(단면도)이다.
도 9는 원통부의 측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개략 확대도(단면도)이다.
도 10은 원통부의 측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개략 확대도(단면도)이다.
도 11은 원통부의 측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개략 확대도(단면도)이다.
도 12는 대표적인 형상의 캡 링의 상면 및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다른 대표적인 형상의 캡 링의 상면 및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대표적인 형상의 캡 링의 상면 및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대표적인 형상의 캡 링의 상면 및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캡 링 및 스토퍼 부근의 개략 확대도(단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캡 링 및 스토퍼 부근의 개략 확대도(단면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캡 링 및 스토퍼 부근의 개략 확대도(단면도)이다.
도 19는 또 다른 캡 링 및 스토퍼 부근의 개략 확대도(단면도)이다.
도 20은 캡 링과 브리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1은 마킹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이다.
도 22는 다른 마킹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이다.
도 23은 또 다른 마킹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이다.
도 24는 종래의 보틀형 수지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일부 정면도(일부 단면도)이다.
도 25는 종래의 보틀형 수지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개략 일부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도 1~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의 바람직한 형태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일부 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의 아랫부분은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도 1에서 보틀형 수지 용기(1)는, 보틀 본체(3)와 캡(5)을 가진다.
보틀 본체(3)에 대해 설명한다.
보틀 본체(3)는 입부(30) 및 몸통부(40)로 이루어지고, 이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입부(30)는 그 외주에 수나사(32)를 가지며, 또한 수평 방향으로의 돌기부를 이루는 환상의 턱부(34)를 가지며, 또한, 마찬가지로 수평 방향으로의 돌기부를 이루는 환상의 플랜지부(36)를 가진다. 그리고, 수나사(32), 턱부(34) 및 플랜지부(36)는 이 순서로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몸통부(40)는, 음료수 등의 내용물을 충전하여 보유하는 종래 공지의 용기와 마찬가지의 형태의 것이다.
보틀 본체(3)를 형성하는 입부(30) 및 몸통부(40)의 형상이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종래 공지의 것과 마찬가지이어도 좋다.
캡(5)에 대해 설명한다.
캡(5)은 캡 본체(52), 캡 링(54) 및 이들을 연결하는 브리지(56)로 이루어진다.
캡 본체(52)는, 그 내주에 수나사(32)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5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나사(58)와 수나사(32)가 나사결합함으로써, 캡(5)에 의해 입부(30)를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캡 링(54)은 링 형상이고, 그 상단이 다수의 브리지(56)를 개재하여 캡 본체(52)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캡 링(54)의 내경은 턱부(34)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어, 턱부(34)의 외측에 약간의 간극을 가진 상태로 캡 링(54)이 턱부(34)의 외측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캡 링(54)의 내측에는, 턱부(34)의 하단에 하방으로부터 걸어맞춤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60)가 축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수 등의 내용물(62)이 보틀 본체(3)에 충전된 후 캡(5)을 보틀 본체(3)의 입부(30)에 나사결합할 때, 스토퍼(60)는 턱부(34)를 통과한 후,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이 턱부(34)의 하면에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지만, 종래의 것과 달리 턱부(34)와 플랜지부(36)의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원통부(70)를 더 갖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수 등의 내용물(62)을 보틀 본체(3)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캡 본체(52)를 수나사(32) 및 암나사(58)의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브리지(56)가 전단력을 받아 파단되어 캡 링(54)이 캡 본체(52)로부터 떨어진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를, 책상 위 등에 세워 두거나 하여 축심이 대략 연직 방향이 되는 상태로 함으로써 캡 링(54)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고, 그 하면이 플랜지부(36)에 접하여 플랜지부(36) 상에 머무는 상태가 된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링(54)의 상면과 턱부(34)의 하면 사이에 원통부(70)의 측면이 노출되어 개봉 완료임이 용이하게 판단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링(54)의 가동 범위가 넓기 때문에, 분별시에 니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캡 링(54)을 절단하기 쉽다. 따라서, 재활용 활동의 촉진을 기대할 수 있다.
원통부(7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부(70)는 턱부(34)와 플랜지부(36)의 사이에 존재하고 이들을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원통부(70)의 높이(H)는 8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높이(H)는 2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원통부(70)의 높이(H)가 이러한 범위이면 개봉 완료임이 보다 용이하게 판단 가능해지고, 또한, 분별시에 니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캡 링(54)을 보다 절단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원통부(70)의 높이(H)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를 그 축심이 연직 방향이 되도록 배치하였을 때의, 턱부(34)의 하면으로부터 플랜지부(36)의 상면(37)까지의 길이로 한다. 여기서,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에서의 턱부(34), 원통부(70) 및 플랜지부(36)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다.
또한, 원통부(70)의 높이(H)와 캡 링(54)의 높이(h)의 차(H-h)가 3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H-h는 4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H-h는 2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H-h는 5~6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부(70)의 높이(H)와 캡 링(54)의 높이(h)의 차(H-h)가 이러한 범위이면 개봉 완료임이 보다 용이하게 판단 가능해지고, 또한, 분별시에 니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캡 링(54)을 보다 절단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캡 링(54)의 높이(h)와 원통부(70)의 높이(H)의 관계가 H≥1.5×h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H≥1.8×h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H≤4.0×h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H≤3.0×h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H≤2.5×h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H≤2.2×h를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H=2×h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캡 링(54)의 높이(h)와 원통부(70)의 높이(H)가 이러한 관계를 만족하면 개봉 완료임이 보다 용이하게 판단 가능해지고, 또한, 분별시에 니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캡 링(54)을 보다 절단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캡 링(54)의 높이(h)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를 그 축심이 연직 방향이 되도록 배치하였을 때의, 캡 링(54)에서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의 연직 방향의 길이로 한다.
원통부(70)는 90도 이하의 테이퍼각을 갖는 것이고, 30도 이상 90도 미만의 테이퍼각을 갖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이 테이퍼각의 각도는 45도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도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5도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1도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 테이퍼각의 각도는 85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5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테이퍼 각도는 70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부(70)가 이러한 테이퍼각을 갖는 것이면, 캡 본체(52)를 수나사(32) 및 암나사(58)의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브리지(56)를 파단하여 캡 링(54)을 캡 본체(52)로부터 분리하였을 때에, 캡 링(54)이 자중에 의해 원활하게 그 하면이 플랜지부(36)에 접하도록 플랜지부(36) 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개봉 완료임이 보다 용이하게 판단 가능해지고, 또한, 분별시에 니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캡 링(54)을 보다 절단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원통부(70)의 테이퍼 각도에 대해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에서의 턱부(34), 원통부(70) 및 플랜지부(36)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다.
원통부(70)의 테이퍼 각도는, 도 5에서 θ로 나타내는 각도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를 그 축심이 연직 방향이 되도록 배치하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원통부(70)의 측면(72)과 플랜지부(36)의 상면(37)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또, 원통부(70)의 측면(72)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나 곡면인 경우 등 테이퍼 각도를 일의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경우, 테이퍼 각도는 원통부(70)의 측면(72)과 플랜지부(36)의 상면(37)이 이루는 각도에서의 최대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원통부(70)의 측면(72)의 형상에 대해 도 6~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11은 캡 링(54), 스토퍼(60), 턱부(34), 원통부(70) 및 플랜지부(36)의 일부를 확대한 개략도(단면도)이다. 캡 링(54)은 통상 그 상부에 버(burr)(76)를 갖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형태와 도 1이나 도 5에 도시된 형태는, 정면에서 본 경우에 원통부(70)의 측면이 직선인 점에서 공통되지만, 테이퍼 각도(즉, 측면과 플랜지부(36)의 상면(37)이 이루는 각도(θ))가 다르다. 구체적으로 도 1이나 도 5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테이퍼 각도가 90도 미만이지만, 도 6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테이퍼 각도가 90도이다.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에서의 원통부가 도 6에 도시된 형태이면, 형상이 간이적이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여 바람직하다. 또, 스토퍼(60)가 원통부(70)의 측면(72)과 접촉하기 어려운 위치에 존재하면, 캡 링(54)이 용이하게 자중으로 낙하하므로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형태는, 원통부(70)의 측면(72)이, 정면에서 본 경우에 복수의 직선(도 7에 도시된 형태는 2개의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도 8에 도시된 형태는 3개의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높이방향의 중앙부가 내측으로 움푹 패여 있는 형태이다.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에서의 원통부가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형태이면, 원통부에서의 강도가 높아져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 테이퍼 각도는 도 7 및 도 8에서 θ로 나타내는 각도를 의미한다.
도 9에 도시된 형태는, 원통부(70)의 측면(72)이 정면에서 본 경우에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에서의 원통부가 도 9에 도시된 형태이면, 원통부에서의 강도가 높아져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 테이퍼 각도는 도 9에서 θ로 나타내는 각도를 의미한다.
도 10에 도시된 형태는, 원통부(70)의 측면(72)이 정면에서 본 경우에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부분과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에서의 원통부가 도 10에 도시된 형태이면, 원통부에서의 강도가 높아져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 테이퍼 각도는 도 10에서 θ로 나타내는 각도를 의미한다.
도 11에 도시된 형태는, 원통부(70)의 측면(72)이 정면에서 본 경우에 복수(도 11에서는 2개)의 곡선으로 이루어지고, 높이방향의 중앙부가 내측으로 움푹 패여 있는 형태이다.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에서의 원통부가 도 11에 도시된 형태인 경우, 스토퍼(60)가 원통부(70)의 측면(72)과 접촉하기 어려운 위치에 존재하면, 캡 링(54)이 용이하게 자중으로 낙하하므로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 테이퍼 각도는 도 11에서 θ로 나타내는 각도를 의미한다.
캡 링(54)에서의 스토퍼(60)가 이루는 내경(r)과, 원통부(70)의 외경(R)의 최대값(Rmax)의 관계가 0.8×r≥Rmax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r≥Rmax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95×r≥Rmax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98×r≥Rmax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0.995×r≤Rmax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9×r≤Rmax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캡 링(54)에서의 스토퍼(60)가 이루는 내경(r)과, 원통부(70)의 외경(R)의 최대값(Rmax)의 관계가 0.8×r≤Rmax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r≤Rmax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95×r≤Rmax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98×r≤Rmax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0.995×r≥Rmax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9×r≥Rmax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캡 링(54)에서의 스토퍼(60)가 이루는 내경(r)과 원통부(70)의 외경(R)의 최대값(Rmax)이 이러한 관계를 만족하면, 캡 본체(52)를 수나사(32) 및 암나사(58)의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브리지(56)를 파단하여 캡 링(54)을 캡 본체(52)로부터 분리하였을 때에, 캡 링(54)이 자중에 의해 원활하게 그 하면이 플랜지부(36)에 접하도록 플랜지부(36) 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개봉 완료임이 보다 용이하게 판단 가능해지고, 또한, 분별시에 니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캡 링(54)을 보다 절단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원통부(70)의 외경(R)의 최대값(Rmax)에 대해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원통부(70)의 외경(R)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를 그 축심이 연직 방향이 되도록 배치하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원통부(70)의 수평 방향의 길이이며, 그 최대값이 Rmax를 의미한다.
캡 링(54)에서의 스토퍼(60)가 이루는 내경(r)에 대해 도 12~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도 15는 대표적인 형상의 캡 링의 상면 및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이들 도면 각각에서 (a)는 평면도, (b)는 (a)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링 형상의 캡 링(54)의 내측에, 턱부(34)의 하단에 하방으로부터 걸어맞춤 가능한 스토퍼(60)가 캡 링(54)의 내주를 따라 하나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스토퍼(60)는 축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경우, 캡 링(54)에서의 스토퍼(60)가 이루는 내경(r)은 도 12의 (a)에 도시된 길이를 의미한다.
도 13은, 링 형상의 캡 링(54)의 내측에, 턱부(34)의 하단에 하방으로부터 걸어맞춤 가능한 복수의 스토퍼(60)가 축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경우, 캡 링(54)에서의 스토퍼(60)가 이루는 내경(r)은 도 13의 (a)에서 모든 스토퍼(60)에 접하도록 그리는 내접원(74)(도 13의 (a)에서 점선으로 나타내는 원)의 직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형태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형태와는 다른 것이지만, 도 13에 도시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캡 링(54)에서의 스토퍼(60)가 이루는 내경(r)은, 도 14의 (a) 및 도 15의 (a)에서 모든 스토퍼(60)에 접하도록 그리는 내접원(74)의 직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캡 링(54)과 턱부(34)의 위치 관계 및 스토퍼(60)와 원통부(70)의 위치 관계에 대해 도 16~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도 1에서의 캡 링(54) 및 스토퍼(60)를 나타내는 부근을 확대한 개략도(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캡 링(54)의 내경은 턱부(34)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어, 턱부(34)의 외측에 약간의 간극을 가진 상태로 캡 링(54)이 턱부(34)의 외측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캡 링(54)의 내측 선단(축심에 가장 가까운 끝)과 턱부(34)의 외측 선단(축심으로부터 가장 먼 끝) 사이의 수평방향 거리(X)는 0.2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거리(X)는 3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5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음료수 등의 내용물(62)을 보틀 본체(3)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캡 본체(52)를 수나사(32) 및 암나사(58)의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브리지(56)를 파단하면, 통상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링(54)의 상단부에 버(76)가 잔존한다. 거리(X)가 상기와 같은 범위이면, 캡 본체(52)로부터 분리된 캡 링(54)이 자중에 의해 플랜지부(36) 상으로 이동할 때에, 버(76)가 턱부(34)에 걸리기 어렵기 때문에 원활하게 이동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토퍼(60)의 내측 선단(축심에 가장 가까운 끝)과 원통부(70)의 외측 선단(축심으로부터 가장 먼 끝) 사이의 수평방향 거리(Y)는 0.2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거리(Y)는 3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5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거리(Y)가 상기와 같은 범위이면, 캡 본체(52)로부터 분리된 캡 링(54)이 자중에 의해 플랜지부(36) 상으로 이동할 때에, 스토퍼(60)가 원통부(70)의 측면에 걸리기 어렵기 때문에 원활하게 이동하여 바람직하다.
도 17에 도시된 형태는, 도 16에 도시된 형태에 대하여, 원통부(70)가 30도 이상 90도 미만의 테이퍼각을 갖는 것인 점에서 다르다.
이러한 경우, 도 16에서 나타낸 거리(Y)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0이어도, 캡 본체(52)로부터 분리된 캡 링(54)이 자중에 의해 플랜지부(36) 상으로 이동할 때에, 스토퍼(60)가 원통부(70)의 측면에 걸리기 어렵기 때문에 원활하게 이동하여 바람직하다.
도 18에 도시된 형태는, 도 17에 도시된 형태에 대하여, 스토퍼(60)의 형상이 다르다.
이러한 경우에도, 도 17에 도시된 형태와 마찬가지로, 원통부(70)가 30도 이상 90도 미만의 테이퍼각을 갖는 것이면, 도 16에서 나타낸 거리(Y)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0이어도, 캡 본체(52)로부터 분리된 캡 링(54)이 자중에 의해 플랜지부(36) 상으로 이동할 때에, 스토퍼(60)가 원통부(70)의 측면에 걸리기 어렵기 때문에 원활하게 이동하여 바람직하다.
도 19에 도시된 형태는, 도 16에 도시된 형태에 대하여, 턱부(34)의 하면 형상이 다르다. 이러한 형상이면, 원통부(70)가 테이퍼각을 갖지 않고(테이퍼각이 90도이고), 또한 도 16에서 나타낸 거리(Y)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0이어도, 캡 본체(52)로부터 분리된 캡 링(54)이 자중에 의해 플랜지부(36) 상으로 이동할 때에, 스토퍼(60)가 원통부(70)의 측면에 걸리기 어렵기 때문에 원활하게 이동하여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캡 링에서의 브리지 위치에 대해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0의 (a)는, 캡 본체(52)와 캡 링(54)과 이들을 연결하는 브리지(56)로 이루어지는 캡(5)의 개략 정면도이다. 또한, 도 20의 (b) 및 (c)는 캡 링(54)을 위에서 본 도면(개략도)이다. 도 20의 (b)와 도 20의 (c)의 다른 점은 브리지(56)의 위치이다. 도 20의 (b)에서 브리지(56)는 캡 링(54)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내주측에 형성되어 있고, 이에 반해 도 20의 (c)에서 브리지(56)는 캡 링(54)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에 있어서는, 도 2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지(56)가 캡 링(54)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리지(56)의 위치는, 캡 링(54)이 플랜지부(36) 상으로 이동할 때에 버 등이 원통부(70)의 측면에 걸리기 어려운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캡 링(54)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내주측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단, 브리지(56)가 작은 경우와 같이 캡 링(54)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내주측에 존재하고 있어도, 캡 링(54)이 플랜지부(36) 상으로 이동할 때에 버 등이 원통부(70)의 측면에 걸리기 어려운 것이면 내주측이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료수 등의 내용물을 보틀 본체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캡 본체를 수나사 및 암나사의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브리지를 파단하면, 통상 캡 링(54)의 상단부에 버가 잔존한다. 여기서, 도 2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지(56)가 캡 링(54)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으면, 캡 본체로부터 분리된 캡 링(54)이 자중에 의해 플랜지부 상으로 이동할 때에 버가 턱부에 걸리기 어렵기 때문에 원활하게 이동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틀형 수지 용기(1)는, 도 2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5)을 개봉하기 전의 캡 본체(52)와 캡 링(54)이 브리지(56)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캡 본체(52) 및 캡 링(54)의 표면에, 이들 모두에 걸친 마킹(80)이 형성되어 있고,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하여 브리지(56)가 파단되어 캡 본체(52)로부터 분리된 캡 링(54)이 자중에 의해 플랜지부(36) 상으로 이동함으로써, 도 2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캡(5)을 닫은 경우에 마킹(80)이 개봉 전과 같은 것으로는 회복되지 않음으로써 개봉 완료임이 판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킹(80)은 도 21에 도시된 「QUALITY」와 같은 문자이어도 되고,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형(80')이어도 되고,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형과 문자의 조합(80")이어도 된다.
또, 마킹(80, 80', 80")을 부여하기 위한 마킹 방법은 인쇄이어도 되고 착색이어도 되고 각인 등의 요철이어도 된다.
1 보틀형 수지 용기
3 보틀 본체
5 캡
30 입부
32 수나사
34 턱부
36 플랜지부
37 플랜지부의 상면
40 몸통부
52 캡 본체
54 캡 링
56 브리지
58 암나사
60 스토퍼
62 내용물
70 원통부
72 원통부의 측면
74 스토퍼에 내접하는 원
76 버
80, 80', 80" 마킹
100 보틀형 수지 용기
102 보틀 본체
104 캡
106 입부
108 몸통부
110 수나사
112 턱부
114 플랜지부
116 캡 본체
118 캡 링
120 브리지
122 암나사
124 스토퍼

Claims (7)

  1. 보틀 본체와 캡을 가지며,
    상기 보틀 본체는 입부 및 몸통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부는, 그 외주에 수나사와 수평 방향으로의 돌기부를 이루는 환상의 턱부 및 플랜지부를 이 순서로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갖고 있으며,
    상기 캡은 캡 본체, 캡 링 및 이들을 연결하는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캡 본체는, 그 내주에 상기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가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캡이 상기 입부를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 링은 링 형상이고, 그 상단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브리지를 개재하여 상기 캡 본체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고, 그 내경은 상기 턱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턱부의 외측에 간극을 가진 상태로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캡 링의 내측에는 상기 턱부의 하단에 하방으로부터 걸어맞춤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가 축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이 상기 보틀 본체에 충전된 후 상기 캡을 상기 입부에 나사결합할 때에, 상기 스토퍼는 상기 턱부를 통과한 후, 그 상단이 상기 턱부의 하면에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틀형 수지 용기로서,
    상기 턱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원통부를 가지며,
    상기 원통부의 높이(H)는 10~20mm이고,
    상기 원통부의 측면은 정면에서 보면 직선이기 때문에 테이퍼각을 일의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그 테이퍼각은 60~80도이며,
    상기 브리지가 상기 캡 링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을 상기 보틀 본체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상기 캡 본체를 상기 수나사 및 상기 암나사의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브리지가 전단력을 받아 파단되어 상기 캡 링이 상기 캡 본체로부터 떨어지고, 그 결과, 축심이 연직 방향이 되는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캡 링이 자중에 의해 그 하면이 상기 플랜지부에 접하도록 낙하하여 상기 플랜지부 상에 머물고, 상기 캡 링의 상면과 상기 턱부의 하면의 사이에 상기 원통부의 측면이 노출됨으로써 개봉 완료임이 판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보틀형 수지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높이(H)와 상기 캡 링의 높이(h)의 차(H-h)가 3mm 이상인 보틀형 수지 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높이(H)와 상기 캡 링의 높이(h)의 관계가 H≥1.5×h를 만족하는 보틀형 수지 용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캡을 개봉하기 전의,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캡 링이 상기 브리지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캡 본체 및 상기 캡 링의 표면에, 이들 모두에 걸친 마킹이 형성되어 있고,
    개봉하여 상기 브리지가 파단되어 상기 캡 링이 상기 캡 본체로부터 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에 접하도록 낙하하여, 다시 상기 캡을 닫은 경우에 상기 마킹이 개봉 전과 같은 것으로는 회복되지 않음으로써 개봉 완료임이 판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보틀형 수지 용기.
  5. 보틀 본체와 캡을 가지며,
    상기 보틀 본체는 입부 및 몸통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부는, 그 외주에 수나사와 수평 방향으로의 돌기부를 이루는 환상의 턱부 및 플랜지부를 이 순서로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갖고 있으며,
    상기 캡은 캡 본체, 캡 링 및 이들을 연결하는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캡 본체는, 그 내주에 상기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가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캡이 상기 입부를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 링은 링 형상이고, 그 상단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브리지를 개재하여 상기 캡 본체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고, 그 내경은 상기 턱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턱부의 외측에 간극을 가진 상태로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캡 링의 내측에는 상기 턱부의 하단에 하방으로부터 걸어맞춤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가 축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이 상기 보틀 본체에 충전된 후 상기 캡을 상기 입부에 나사결합할 때에, 상기 스토퍼는 상기 턱부를 통과한 후, 그 상단이 상기 턱부의 하면에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틀형 수지 용기로서,
    상기 턱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원통부를 가지며,
    상기 원통부의 높이(H)는 10~20mm이고,
    상기 원통부의 측면은 정면에서 본 경우에 내측으로 움푹 패여 있는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형태, 내측으로 움푹 패여 있는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부분과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형태, 또는, 복수의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높이방향의 중앙부가 내측으로 움푹 패여 있는 형태이며,
    상기 브리지가 상기 캡 링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을 상기 보틀 본체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상기 캡 본체를 상기 수나사 및 상기 암나사의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브리지가 전단력을 받아 파단되어 상기 캡 링이 상기 캡 본체로부터 떨어지고, 그 결과, 축심이 연직 방향이 되는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캡 링이 자중에 의해 그 하면이 상기 플랜지부에 접하도록 낙하하여 상기 플랜지부 상에 머물고, 상기 캡 링의 상면과 상기 턱부의 하면의 사이에 상기 원통부의 측면이 노출됨으로써 개봉 완료임이 판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보틀형 수지 용기.
  6. 보틀 본체와 캡을 가지며,
    상기 보틀 본체는 입부 및 몸통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부는, 그 외주에 수나사와 수평 방향으로의 돌기부를 이루는 환상의 턱부 및 플랜지부를 이 순서로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갖고 있으며,
    상기 캡은 캡 본체, 캡 링 및 이들을 연결하는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캡 본체는, 그 내주에 상기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가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캡이 상기 입부를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 링은 링 형상이고, 그 상단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브리지를 개재하여 상기 캡 본체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고, 그 내경은 상기 턱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턱부의 외측에 간극을 가진 상태로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캡 링의 내측에는 상기 턱부의 하단에 하방으로부터 걸어맞춤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가 축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이 상기 보틀 본체에 충전된 후 상기 캡을 상기 입부에 나사결합할 때에, 상기 스토퍼는 상기 턱부를 통과한 후, 그 상단이 상기 턱부의 하면에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틀형 수지 용기로서,
    상기 턱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원통부를 가지며,
    상기 원통부의 높이(H)는 10~20mm이고,
    상기 원통부의 측면은 정면에서 본 경우에 복수의 직선으로 이루어지며 높이방향의 중앙부가 내측으로 움푹 패여 있는 형태이며,
    상기 브리지가 상기 캡 링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을 상기 보틀 본체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상기 캡 본체를 상기 수나사 및 상기 암나사의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브리지가 전단력을 받아 파단되어 상기 캡 링이 상기 캡 본체로부터 떨어지고, 그 결과, 축심이 연직 방향이 되는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캡 링이 자중에 의해 그 하면이 상기 플랜지부에 접하도록 낙하하여 상기 플랜지부 상에 머물고, 상기 캡 링의 상면과 상기 턱부의 하면의 사이에 상기 원통부의 측면이 노출됨으로써 개봉 완료임이 판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보틀형 수지 용기.
  7. 보틀 본체와 캡을 가지며,
    상기 보틀 본체는 입부 및 몸통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부는, 그 외주에 수나사와 수평 방향으로의 돌기부를 이루는 환상의 턱부 및 플랜지부를 이 순서로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갖고 있으며,
    상기 캡은 캡 본체, 캡 링 및 이들을 연결하는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캡 본체는, 그 내주에 상기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가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캡이 상기 입부를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 링은 링 형상이고, 그 상단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브리지를 개재하여 상기 캡 본체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고, 그 내경은 상기 턱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턱부의 외측에 간극을 가진 상태로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캡 링의 내측에는 상기 턱부의 하단에 하방으로부터 걸어맞춤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가 축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이 상기 보틀 본체에 충전된 후 상기 캡을 상기 입부에 나사결합할 때에, 상기 스토퍼는 상기 턱부를 통과한 후, 그 상단이 상기 턱부의 하면에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틀형 수지 용기로서,
    상기 턱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원통부를 가지며,
    상기 원통부의 높이(H)는 10~20mm이고,
    상기 원통부의 측면은 정면에서 보면 직선이기 때문에 테이퍼각을 일의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그 테이퍼각은 90도 이하이며,
    상기 브리지가 상기 캡 링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을 상기 보틀 본체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상기 캡 본체를 상기 수나사 및 상기 암나사의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브리지가 전단력을 받아 파단되어 상기 캡 링이 상기 캡 본체로부터 떨어지고, 그 결과, 축심이 연직 방향이 되는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캡 링이 자중에 의해 그 하면이 상기 플랜지부에 접하도록 낙하하여 상기 플랜지부 상에 머물고, 상기 캡 링의 상면과 상기 턱부의 하면의 사이에 상기 원통부의 측면이 노출됨으로써 개봉 완료임이 판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보틀형 수지 용기.
KR1020157031740A 2013-08-21 2014-01-31 보틀형 수지 용기 KR101762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1442 2013-08-21
JP2013171442A JP5442155B1 (ja) 2013-08-21 2013-08-21 ボトル型樹脂容器
PCT/JP2014/052263 WO2015025532A1 (ja) 2013-08-21 2014-01-31 ボトル型樹脂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991A KR20150141991A (ko) 2015-12-21
KR101762386B1 true KR101762386B1 (ko) 2017-07-28

Family

ID=5039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740A KR101762386B1 (ko) 2013-08-21 2014-01-31 보틀형 수지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377544B2 (ko)
EP (2) EP3037362B1 (ko)
JP (1) JP5442155B1 (ko)
KR (1) KR101762386B1 (ko)
CN (1) CN105209344B (ko)
WO (1) WO20150255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24837A (ja) * 2016-01-12 2017-07-20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合成樹脂製キャップ
US20170283125A1 (en) * 2016-04-05 2017-10-05 Plastipak Packaging, Inc. Beverage container
CN106724594A (zh) * 2017-01-24 2017-05-31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保温杯杯盖的改进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4312A (ja) * 1999-10-15 2001-04-24 Shibazaki Seisakusho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2006264743A (ja) * 2005-03-24 2006-10-05 Maretaka Co Ltd 閉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887A (en) * 1907-06-21 1910-05-24 Charles Roome Parmele Sealed receptacle.
US4461389A (en) * 1982-11-02 1984-07-24 Maxwell Laboratories, Inc. Tamper-proof closure and container arrangement
US4613052A (en) * 1985-04-29 1986-09-23 Owens-Illinois, Inc. Tamper-indicating closure, container and combination thereof
US4653657A (en) * 1986-01-21 1987-03-31 Owens-Illinois, Inc. Tamper indicating package
US4813561A (en) * 1988-02-29 1989-03-21 Anchor Hocking Corporation Composite retortable closure
GB8817365D0 (en) * 1988-07-21 1988-08-24 Metal Closures Ltd Container closure
US5009323A (en) 1989-11-13 1991-04-23 Sunbeam Plastics Corporation Tamper indicating closure having a rotary seal
CN1187166A (zh) * 1995-04-18 1998-07-08 比森父子有限公司 防儿童封闭塞组件的改进
GB2299985A (en) 1995-04-18 1996-10-23 Beeson & Sons Ltd Child resistant closure assemblies
JP3475278B2 (ja) * 1995-08-18 2003-12-08 日星産業株式会社 ボトル
US5853097A (en) * 1997-07-10 1998-12-29 Phoenix Closures, Inc. Ribbed container closure
JP2002370760A (ja) 2001-06-18 2002-12-24 Fuji Plastic Kk ボトル型樹脂容器のキャップ体
JP2007039123A (ja) * 2005-08-04 2007-02-15 Katsuichi Ishido 未開封開封容器判別ねじ切り開けキャップ
WO2007122324A1 (fr) * 2006-04-20 2007-11-0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Recipient comportant un col equipe d'un dispositif de bouchage visse
US8353413B2 (en) * 2007-01-05 2013-01-15 Phoenix Closures, Inc. Tamper-evident closure and container combination
JP2009083858A (ja) * 2007-09-27 2009-04-23 Aoki Technical Laboratory Inc キャップのタンパーリング切断用開口部を有するペットボト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4312A (ja) * 1999-10-15 2001-04-24 Shibazaki Seisakusho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2006264743A (ja) * 2005-03-24 2006-10-05 Maretaka Co Ltd 閉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89417B2 (en) 2021-01-12
US20160137366A1 (en) 2016-05-19
US20190218004A1 (en) 2019-07-18
JP5442155B1 (ja) 2014-03-12
JP2015040052A (ja) 2015-03-02
US11034494B2 (en) 2021-06-15
CN105209344B (zh) 2018-02-13
EP3575235A1 (en) 2019-12-04
EP3037362B1 (en) 2019-07-24
US20190218005A1 (en) 2019-07-18
EP3037362A4 (en) 2017-03-22
CN105209344A (zh) 2015-12-30
KR20150141991A (ko) 2015-12-21
EP3575235B1 (en) 2024-03-06
WO2015025532A1 (ja) 2015-02-26
EP3037362A1 (en) 2016-06-29
US10377544B2 (en)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7968B2 (en) Screw cap for containers for liquids
US11034494B2 (en) Bottle-shaped resin container
JP6094078B2 (ja) 口栓
EP2935027B1 (en) Bottle with bridge and fluid channel
US11807436B2 (en) Tethered plastic screw stopper
RU2734639C2 (ru) Трубчатое горлышко стеклянной бутылки
EP2862811B1 (en) Capping device
JP6875380B2 (ja) 容器及び再利用可能な不正開封明示閉鎖体の組立体
EA009265B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EA011751B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6542191A (zh) 可辨开启的瓶盖
JP2015143113A (ja) ボトル型樹脂容器
EP2280880B1 (en) A decorative, tamperproof, closure
JP4663419B2 (ja) ラチェット式螺子キャップ
RU159788U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ейнера
KR20120122833A (ko) 병목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는 재사용 방지용 병뚜껑
WO2007148993A2 (en) Threaded cap with tamper band having different handed threads
JP2021054504A (ja) 注出口組立体、注出口付き容器、注出口及びキャップ
EP2192049A1 (en) Bottle with tamper-evident closure
JP2010076771A (ja) ペットボトル
JP2013203431A (ja) Teカバー付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ITBO980609A1 (it) Contenitore per bevan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