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813B1 - 자동차용 전동식 스티어링 축의 진동 저감을 위한 자동차용 댐핑부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동식 스티어링 축의 진동 저감을 위한 자동차용 댐핑부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813B1
KR101761813B1 KR1020170038410A KR20170038410A KR101761813B1 KR 101761813 B1 KR101761813 B1 KR 101761813B1 KR 1020170038410 A KR1020170038410 A KR 1020170038410A KR 20170038410 A KR20170038410 A KR 20170038410A KR 101761813 B1 KR101761813 B1 KR 101761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ircumferential surface
damping
bearing
damp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술
김형진
김형준
장병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to KR1020170038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813B1/ko
Priority to PCT/KR2017/007763 priority patent/WO201818209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9Coating annula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4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동식 스티어링 댐핑부쉬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쉬는, 댐핑부쉬의 최외측을 구성하며 원형의 구조인 아우터 케이스(outer case)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케이스(inner case)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댐핑부재 및 상기 이너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된 내부베어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댐핑부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전동식 스티어링 축의 진동 저감을 위한 자동차용 댐핑부쉬{Automotive damping bushing for vibration reduction of motorized steering shaf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댐핑부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 저감 및 충격 흡수에 용이한 자동차용 댐핑부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댐핑부쉬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댐핑부쉬의 최외측을 구성하며 원형의 구조로 구비되고, 소정의 폭을 자기는 아우터파이프(outer pipe)(10)와, 상기 아우터파이프(10)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된 러버부재(20)와, 상기 러버부재(20)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된 내부 베어링(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댐핑부쉬는 러버부재(20)를 성형하는 1차 금형(미도시)에 내부 베어링(30)을 인서트(insert) 시킨 후, 러버부재(20)를 사출성형 하고, 아우터파이프(10)를 성형하는 2차 금형(미도시)에 내부 베어링(30)이 결합된 러버부재(20)를 인서트(insert) 시킨 후, 아우터 케이스(10)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댐핑부쉬의 사출 공정 중 내부 베어링(30)을 금형에 인서트 하여 러버부재(20)를 사출성형 해야하기 때문에 사출 성형에 따른 압력 및 온도에 의해 내부 베어링(30)이 손상되어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러버부재(20)를 인서트 사출 성형함에 따라 내부 베어링(30)과 러버부재(20)간에 결합력이 취약하여 결합력 증대를 위해 내부 베어링(30)의 외주면에 홈(미도시)을 가공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은 가공비가 향상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베어링(30)의 외륜이 강성이 취약해져 내부 베어링(30)의 손상에 의해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결합력 증대를 위해 상기 러버부재(20)는 아우터파이프(10)의 내주면, 러버부재(20)의 외주면과 내주면 및 내부 베어링(30)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에 의해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내부 베어링(30)의 외주면에 가공된 홈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작업으로 인하여 공정이 추가되고, 접착제 예열 과정에서 열적 손상이 우려될 뿐만 아니라 그 작업의 난해성으로 인하여 제품 불량 발생률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질재료인 이너 케이스(inner case)에 내부 베어링을 결합시켜 내부 베어링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내부 베어링의 사출 성형 공정을 최소화시켜 베어링의 손상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스티어링 축의 진동 저감을 위한 자동차용 댐핑부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동식 스티어링 댐핑부쉬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쉬(10)는 상기 댐핑부쉬(10)의 최외측을 구성하며 원형의 구조인 아우터 케이스(outer case)(100)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케이스(inner case)(200)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와 이너 케이스(200) 사이에 구비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댐핑부재(300) 및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된 내부베어링(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댐핑부재(300)는 상기 이너 케이스(200)가 삽입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삽입홀(311)이 형성된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브리지 돌기부(312)가 상기 내부 베어링(4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리지 돌기부(312)와 몸체부(310) 사이에는 상,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20)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베어링(40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며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200)는 상기 내부 베어링(400)이 삽입되어 상기 내부 베어링(40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삽입홀(201)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외주면에는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베어링(4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리브(210)가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댐핑부재(300)의 몸체부(310) 내주면은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리브(210)와 대응되는 결합홈(313)이 형성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상기 댐핑부재(300)가 삽입되어 상기 댐핑부재(30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삽입홀(101)이 형성되고, 상기 댐핑부재(300)의 브리지 돌기부(312) 사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의 내주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내주면 돌출부(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의 내주면 돌출부(110)와 상기 댐핑부재(300)의 외주면 사이에는 탄성홈(120)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베어링(40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며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와 이너 케이스(2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경질소재로 상기 내부 베어링(4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200)와 아우터 케이스(100)를 사출 성형하는 금형에 미리 제작된 상기 댐핑부재(300)와 내부 베어링(400)을 인서트(insert) 한 후, 상기 이너 케이스(200)와 아우터 케이스(100)를 동시에 사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베어링의 베어링 케이지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경질재료인 이너 케이스(inner case)에 내부 베어링을 결합시켜 내부 베어링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 베어링의 사출 성형 공정을 최소화시켜 베어링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진동 저감 및 충격 흡수에 용이한 자동차용 댐핑부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댐핑부쉬의 구조를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댐핑부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댐핑부쉬의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댐핑부재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댐핑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케이스, 댐핑부재 및 이너 케이스가 결합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6의 B-B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댐핑부쉬의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베어링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댐핑부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댐핑부쉬의 결합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댐핑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댐핑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케이스, 댐핑부재 및 이너 케이스가 결합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6의 B-B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댐핑부쉬의 공정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베어링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부쉬(10)는 댐핑부쉬(10)의 최외측을 구성하며 원형의 구조인 아우터 케이스(outer case)(100)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케이스(inner case)(200)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와 이너 케이스(200) 사이에 구비되는 댐핑부재(300) 및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된 내부베어링(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와 이너 케이스(2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경질소재로 상기 내부 베어링을 고정한다.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200)와 아우터 케이스(100)를 사출 성형하는 금형(미도시)에 미리 제작된 상기 댐핑부재(300)와 내부 베어링(400)을 인서트(insert) 한 후, 상기 이너 케이스(200)와 아우터 케이스(100)를 동시에 사출 성형하여 상기 댐핑부쉬(10)를 제작한다.
따라서 경질재료인 이너 케이스(200)에 내부 베어링(400)을 결합시켜 내부 베어링(4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내부 베어링(400)의 외주면에 별도의 홈 성형이 필요 없어지며, 접착제에 의한 접착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베어링(400)의 사출 성형 공정을 최소화시켜 베어링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진동 저감 및 충격 흡수에 용이한 자동차용 댐핑부쉬(10)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 댐핑부재(300) 및 이너 케이스(200)는 상기 내부 베어링(400)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동일한 동축에 형성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내부 베어링(400)은 원판인 외륜(410)과 내륜(420) 사이에 구름체(430)가 삽입되며, 상기 구름체(430)를 등간격으로 결속 구비시키는 베어링 케이지(4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구름체(430)의 이탈과 보호를 위한 상기 베어링 케이지(440)는 그 형상이 구름체(430)를 감싸듯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내부 베어링(400)의 베어링 케이지(44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종래에는 베어링 케이지(440)가 강재(steel)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질량이 무거워 회전체인 베어링이 회전할 때, 회전속도가 빨라질수록 중심이 원주방향으로 편중되어 균형이 흔들려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이 회전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바꿀 경우, 상기 구름체(430)와 베어링 케이지(440) 사이의 백래쉬(backlash)에 의해 상기 구름체(430)와 베어링 케이지(440)가 부딪쳐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베어링 케이지(440)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경우, 질량이 강재(steel)로 이루어졌을 때보다 가벼워지기 때문에 베어링의 균형 흔들림이 감소하여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케이지(440)가 탄성체이기 때문에 구름체(430)와 베어링 케이지(440)가 부딪쳐 발생되는 소음이 베어링 케이지(440)가 강재(steel)로 이루어졌을 때보다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댐핑부재(300)는 상기 이너 케이스(200)가 삽입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삽입홀(311)이 형성된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장반경 형상의 브리지 돌기부(312)가 상기 내부 베어링(3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리지 돌기부(312)는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리지 돌기부(312)와 몸체부(310) 사이에는 일정 곡률반경을 갖는 호 형상으로 댐핑부재(300)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20)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베어링(40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며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200)는 상기 내부 베어링(400)이 삽입되어 상기 내부 베어링(40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삽입홀(20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외주면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리브(210)가 상기 내부 베어링(4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브(210)는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200)는 상기 댐핑부재(300) 삽입홀(311)의 상부측에 형성된 상부판(220)과 상기 댐핑부재(300) 삽입홀(311)의 하부측에 형성된 하부판(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220)과 하부판(230)의 외주면에 상기 리브(210)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220)과 하부판(230)을 연결시켜 결합된다.
이때, 상기 댐핑부재(300)의 몸체부(310) 내주면은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리브(210)와 대응되는 결합홈(31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리브(210)가 상기 결합홈(313)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회전을 방지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며, 리브(210)에 의해 스티어링 축 방향을 지지함으로써 축방향 강성을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핑부재(300)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13)을 가로지르는 스토퍼(330)가 상기 댐핑부재(300)의 삽입홀(313) 상, 하부측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상부판(220)과 하부판(230) 내측면이 상기 각각의 스토퍼(330)의 외측면에 안착되어 댐핑부재(300)와 이너 케이스(20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토퍼(330)에 의해 상기 이너 케이스(200)를 축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댐핑부재(300)의 몸체부(310) 내주면에는 상기 몸체부(310)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스토퍼(330)가 형성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상, 하면의 저면(이너 케이스의 내측)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댐핑부재(300)의 몸체부(310) 내주면에는 상기 몸체부(3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결합홈(313)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313)을 가로지르는 상기 스토퍼(330)가 몸체부(310)의 삽입홈(311) 내측에 내입되어 상, 하부측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돌출부(210)가 상기 댐핑부재(300)의 결합홈(313)에 결합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상, 하면의 저면이 상기 댐핑부재(300)의 스토퍼(330)에 안착됨으로써 이너 케이스(200)와 댐핑부재(3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상기 댐핑부재(300)가 삽입되어 상기 댐핑부재(30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삽입홀(10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댐핑부재(300)의 브리지 돌기부(312) 사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의 내주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장반경 형상으로 돌출된 내주면 돌출부(11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의 내주면 돌출부(110)와 상기 댐핑부재(300)의 외주면 사이에는 탄성홈(120)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베어링(40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며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댐핑부재(300)의 관통공(320)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와 댐핑부재(300) 사이에 형성된 탄성홈(120)은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리브(210)와 대응되도록 상기 리브(210)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320)과 탄성홈(120)은 번갈아가며 형성되어 상기 내부 베어링(40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며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320)과 상기 탄성홈(120)은 상기 내부 베어링(400)의 중심을 긴축으로 동일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공(320)의 사이에 상기 탄성홈(120)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관통공(320)과 탄성홈(120)은 번갈아가면서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즉, 댐핑부쉬(10)에 댐퍼역할을 하는 공간부(관통공(320) 및 탄성홈(120))가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스티어링 축의 모든 방향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댐퍼역할을 하게 되는 상기 관통공(320)과 탄성홈(120)의 반경방향 내측에 상기 리브(210)가 형성되어 상기 리브(210)에 의해 축방향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내부 베어링(40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에도 스티어링 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댐핑부쉬 100 : 아우터 케이스(outer case)
101 : 삽입홀 110 : 내주면 돌출부
120 : 탄성홈 200 : 이너 케이스(inner case)
201 : 삽입홀 210 : 결합 돌출부
300 : 댐핑부재 310 : 몸체부
311 : 삽입홀 312 : 브리지 돌기부
313 : 결합홈 320 : 관통공
330 : 스토퍼 400 : 내부 베어링

Claims (7)

  1. 자동차용 전동식 스티어링 댐핑부쉬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쉬(10)는,
    상기 댐핑부쉬(10)의 최외측을 구성하며 원형의 구조인 아우터 케이스(outer case)(100)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케이스(inner case)(200)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와 이너 케이스(200) 사이에 구비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댐핑부재(300) 및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된 내부베어링(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댐핑부재(300)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브리지 돌기부(312)가 상기 내부 베어링(4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댐핑부재(300)의 브리지 돌기부(312) 사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의 내주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내주면 돌출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의 내주면 돌출부(110)와 상기 댐핑부재(300)의 외주면 사이에는 탄성홈(120)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베어링(40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며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댐핑부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재(300)는,
    상기 이너 케이스(200)가 삽입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삽입홀(311)이 형성된 몸체부(310)와,
    상기 브리지 돌기부(312)와 몸체부(310) 사이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20)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베어링(40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며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댐핑부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200)는 상기 내부 베어링(400)이 삽입되어 상기 내부 베어링(40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삽입홀(201)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외주면에는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베어링(4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리브(210)가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 댐핑부재(300)의 몸체부(310) 내주면은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리브(210)와 대응되는 결합홈(313)이 형성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200)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댐핑부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와 이너 케이스(2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경질소재로 상기 내부 베어링(400)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댐핑부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200)와 아우터 케이스(100)를 사출 성형하는 금형에 미리 제작된 상기 댐핑부재(300)와 내부 베어링(400)을 인서트(insert) 한 후, 상기 이너 케이스(200)와 아우터 케이스(100)를 동시에 사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댐핑부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베어링의 베어링 케이지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댐핑부쉬.
KR1020170038410A 2017-03-27 2017-03-27 자동차용 전동식 스티어링 축의 진동 저감을 위한 자동차용 댐핑부쉬 KR101761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410A KR101761813B1 (ko) 2017-03-27 2017-03-27 자동차용 전동식 스티어링 축의 진동 저감을 위한 자동차용 댐핑부쉬
PCT/KR2017/007763 WO2018182097A1 (ko) 2017-03-27 2017-07-19 자동차용 전동식 스티어링 축의 진동 저감을 위한 자동차용 댐핑부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410A KR101761813B1 (ko) 2017-03-27 2017-03-27 자동차용 전동식 스티어링 축의 진동 저감을 위한 자동차용 댐핑부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813B1 true KR101761813B1 (ko) 2017-07-26

Family

ID=59427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410A KR101761813B1 (ko) 2017-03-27 2017-03-27 자동차용 전동식 스티어링 축의 진동 저감을 위한 자동차용 댐핑부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1813B1 (ko)
WO (1) WO201818209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0351A1 (en) 2018-09-07 2020-03-11 DMC, Inc. Damping bushing for steering gear of vehicle
KR102088484B1 (ko) 2018-09-07 2020-04-23 주식회사 디엠씨 차량의 조향 기어용 댐핑부쉬
KR20200047034A (ko) * 2018-10-26 2020-05-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스티어링 댐핑부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264A (ja) * 1999-01-14 2000-07-25 Nsk Ltd ステアリングコラム用軸受装置
KR101510401B1 (ko) * 2013-09-06 2015-04-20 주식회사 디엠씨 전동식 스티어링 댐핑부쉬
KR101669426B1 (ko) * 2015-06-03 2016-10-26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용 댐핑부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099B1 (ko) * 2009-12-07 2016-0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파워스티어링의 댐퍼
KR101570884B1 (ko) * 2009-12-23 2015-11-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댐핑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264A (ja) * 1999-01-14 2000-07-25 Nsk Ltd ステアリングコラム用軸受装置
KR101510401B1 (ko) * 2013-09-06 2015-04-20 주식회사 디엠씨 전동식 스티어링 댐핑부쉬
KR101669426B1 (ko) * 2015-06-03 2016-10-26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용 댐핑부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0351A1 (en) 2018-09-07 2020-03-11 DMC, Inc. Damping bushing for steering gear of vehicle
KR102088485B1 (ko) 2018-09-07 2020-03-12 주식회사 디엠씨 차량의 조향 기어용 댐핑부쉬
KR102088484B1 (ko) 2018-09-07 2020-04-23 주식회사 디엠씨 차량의 조향 기어용 댐핑부쉬
KR20200047034A (ko) * 2018-10-26 2020-05-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스티어링 댐핑부시
KR102431404B1 (ko) 2018-10-26 2022-08-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스티어링 댐핑부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2097A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813B1 (ko) 자동차용 전동식 스티어링 축의 진동 저감을 위한 자동차용 댐핑부쉬
US8117943B2 (en) Decoupled vibration damper
KR102063682B1 (ko)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JP6532367B2 (ja) ブラケット付き筒形防振装置
MX2012011520A (es) Volante de doble amortiguamiento, en particular para un vehiculo automotriz.
US9291228B2 (en) Vibration absorber
CN111587329B (zh) 液压轴承衬套
US20060196742A1 (en) Vibration damper with an external part
US10458513B2 (en) Damper device
KR20030062418A (ko) 밸런서
JPH10306839A (ja) 液力的な緩衝作用を有するスリーブ型ラバースプリング
KR20170135934A (ko) 드라이브 트레인용 진동 흡수기
KR101819143B1 (ko) 베어링이 구비된 일체형 더스트 커버
JPH0783279A (ja) ほぼプレート状の機械部材を振動遮断状態で固定するための保持体
KR101669426B1 (ko) 자동차용 댐핑부쉬
JP5804246B2 (ja) 一体化捩り振動ダンパを備える弾性カップリング
CN112513490A (zh) 用于过滤和阻尼振动的铰接件、以及铰接装置
KR102371045B1 (ko) 동특성 가변형 엔진마운트
JP2000225944A (ja) 鉄道車両軸はり装置用防振ゴムブッシュ
JP7174659B2 (ja) 筒型防振装置用ブラケット
KR101845789B1 (ko) 이음 저감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엔진마운트
JP6479395B2 (ja) 防振装置
KR102088484B1 (ko) 차량의 조향 기어용 댐핑부쉬
JP7404055B2 (ja) 防振装置
JP7329372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