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356B1 -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356B1
KR101761356B1 KR1020150103433A KR20150103433A KR101761356B1 KR 101761356 B1 KR101761356 B1 KR 101761356B1 KR 1020150103433 A KR1020150103433 A KR 1020150103433A KR 20150103433 A KR20150103433 A KR 20150103433A KR 101761356 B1 KR101761356 B1 KR 101761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condensing
water
organic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1201A (ko
Inventor
권병관
Original Assignee
스마트비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비젼(주) filed Critical 스마트비젼(주)
Priority to KR1020150103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356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9B3/001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specially adapted to be released by contact with a liquid, e.g. for toi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1Handling, e.g. loading or unload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9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gitating the fluidised bed, e.g. by vibrating or pulsating
    • F26B3/0923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gitating the fluidised bed, e.g. by vibrating or pulsating by mechanical means, e.g. vibrated plate, stirrer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 또는 가축의 분뇨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하거나 소각하여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배출량을 현저히 줄이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나 악취를 정화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유기산을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가열기와 교반기 및 감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조장치; 상기 건조장치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사이클론집진기와 상기 사이클론집진기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백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필터장치; 상기 백필터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응축장치; 및 상기 응축장치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탈취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ORGANIC ACID EXTRACTION APPARATUS USING ORGANIC WASTE}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 또는 가축의 분뇨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하거나 소각하여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배출량을 현저히 줄이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나 악취를 정화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유기산을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성 폐기물이란 각종 식료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나 음식물쓰레기는 물론 축산업에서 발생하는 가축의 분뇨 등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환경오염과 자원의 재활용에 관한 인식이 부족하였던 과거에는 유기성 폐기물을 쓰레기의 일종으로 취급하여 마구 버렸으며, 이로 인하여 환경오염과 자원낭비가 심각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오염물 배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오염물을 처리하는데 드는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서 유기성 폐기물을 재활용하거나 부피를 절감하여 처리비용을 절감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유기성 폐기물은 수분의 함량이 80% 이상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활용가치가 떨어지고 처리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수분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처리과정에서 쉽게 부패하여 오염물을 발생시키거나 악취 등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유기성 폐기물이 발생하는 시설에 대한 기피현상이 심각한 것이 현실이다. 즉, 축산시설이나 식료품을 가공하는 공장 등을 허가받더라도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서 건설이 중단되거나 포기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에 사료나 퇴비 등으로 활용하거나 소각하는 시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하기만 하더라도 부피가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처리비용도 함께 줄어들며,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은 부패할 염려가 낮기 때문에 주변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활용도도 높아지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는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하기 위하여 고열을 가하기 때문에 에너지소모량이 많았으며, 유기물이 고온으로 가열되면서 산화되거나 파괴되기 때문에 사료 등의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퇴비로서도 가치도 떨어지며, 산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는 유기물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악취를 유발하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에게 혐오시설로 인식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362118 B1 KR 10-0841335 B1 KR 10-1232058 B1 KR 10-1027449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장치의 내부 기압을 낮게 하여 건조시 필요로 하는 온도를 낮춤으로써 에너지소모를 줄이고 건조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응축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응축수를 정화하여 유기산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가열기와 교반기 및 감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조장치; 상기 건조장치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사이클론집진기와 상기 사이클론집진기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백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필터장치; 상기 백필터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응축장치; 및 상기 응축장치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탈취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응축장치는, 응축관과 정수필터가 하나의 쌍을 이루는 응축부가 최소한 2개 이상이 구비되어 필터장치를 통과한 수증기가 상기 응축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응축장치는, 일측에 필터장치를 통과한 수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응축관이 배열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진 제1 바닥면이 구비되어 있는 입구응축부와, 상기 입구응축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최소한 상기 입구응축부보다는 넓게 형성되어 상기 입구응축부의 제1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부에는 응축관이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진 제2 바닥면이 구비되어 있는 상부응축부와, 상기 입구응축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타측이 상기 상부응축부의 제2 바닥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바닥면의 하부면에는 응축관이 배열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제3 바닥면이 구비되어 있는 중간응축부와, 상기 상부응축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중간응축부의 제3 바닥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바닥면의 하부에는 응축관이 배열되어 있는 하부응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입구응축부와 상부응축부의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제1 수직응축관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응축부와 중간응축부의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제2 수직응축관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응축부와 하부응축부의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제3 수직응축관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상부응축부, 중간응축부 및 하부응축부의 전부 또는 최소한 어느 한 부분에는 정수필터가 구비되어 인접한 응축부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정수필터는 상부면이 인접한 응축부의 바닥면에 대응하거나 낮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정수필터는 활성탄 및 모래가 층상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응축장치의 바닥면은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의 일측에는 배수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탈취장치는, 내부가 중공인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내측을 복수의 저장공간으로 구분하는 복수의 수직칸막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에는 강알칼리수 또는 차염소산수가 저장되어 상기 용기본체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용액을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강알칼리수 또는 차염소산수는 교대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에는 각각 배수공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탈취장치로 유입된 배관은 상기 용기본체의 첫 번째 저장공간의 하부로 연장되어 배출구가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나머지 저장공간에는 인접한 직전의 저장공간의 상부와 연통된 배관이 하부까지 연장되어 배출구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 중 마지막에 위치하는 저장공간에는 배기공이 구비되고, 상기 배기공에는 탈취필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에 의하면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 및/또는 건조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응축장치에 의하여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응축수로 추출하여 유기산을 추출할 수 있으며,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알칼리성 및/또는 산성용액을 통과시켜 중화시킴으로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건조온도가 낮기 때문에 건조과정에서 유기성 폐기물이 타거나 그을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는 가열기와 교반기 및 감압기(1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조장치(130), 상기 건조장치(130)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필터장치(150), 상기 필터장치(150)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응축장치(170) 및 상기 응축장치(170)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탈취장치(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건조장치(130)는 유기성 폐기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의 내부에 교반기(미도시)와 가열기(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건조장치(130)에 교반기와 가열기가 구비된 형태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구성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130)에는 감압기(135)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압기(135)는 건조장치(130)의 건조과정에서 슬러지가 저장되는 저장공간(195) 내부의 공기를 계속 적으로 배출하여 내부 압력을 05~07기압이 유지되도록 한다. 건조장치(130)의 내부압력이 낮아지면 끓는점이 낮아지기 때문에 수증기를 적은 열량으로도 효율적으로 증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는 감압기(135)를 이용하여 건조장치(130)의 내부압력을 0.5~0.7기압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70~90℃의 온도로 원활한 건조공정이 가능하며, 동일한 열량이 투입되는 경우에 종래에 비하여 건조시간이 50% 정도 줄일 수 있고, 잔여 슬러지의 함수량을 5% 미만까지 감축할 수 있으며, 저온증발로 인하여 슬러지가 타거나 그을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양의 슬러지를 건조하는데 소요되는 열량이 적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악취가 적다는 이점이 있다.
건조장치(130)에는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하였다가 투입할 수 있는 저장호퍼(110)가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건조장치(130)의 하부에는 건조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스크류형 컨베이어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공지의 건조장치(130)에 일반적으로 부가될 수 있거나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필터장치(150)는 사이클론집진기(153, cyclone dust collector)와 백필터(155, bag filter)가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필터장치(150)는 사이클론집진기(153)가 건조장치(130)와 연통하도록 구비되고, 백필터(155)가 상기 사이클론집진기(153)와 연통하면서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건조장치(130)에서 배출된 수증기가 사이클론집진기(153)를 통과하면서 비교적 크고 무거운 이물질을 제거하고, 백필터(155)를 통과하면서 가볍고 작은 이물질이 제거되어 비교적 깨끗한 수증기가 응축장치(170)로 보내지게 된다. 사이클론집진기(153) 및 백필터(155)는 공지의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블로어는 응축장치(170)을 통과한 건조공기를 탈취장치(190)로 강제주입하는 것이고, 제어판은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응축장치(170)는 일측이 필터장치(150)와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하여 설명할 탈취장치(190)와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응축장치(170)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응축장치(170)는 응축관(179)과 정수필터(180)가 하나의 쌍을 이루는 응축부가 최소한 2개 이상이 구비되어 전술하여 설명한 필터장치(150)의 백필터(155)를 통과한 수증기가 상기 2개 이상의 응축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응축장치(170)의 바람직한 일례로 내부에 입구응축부(171)와 상부응축부(173)와 중간응축부(175) 및 하부응축부(177)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응축장치(170) 내부에 구비되는 응축부는 2개 이상 다양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입구응축부(171)는 일측에 필터장치(150)를 통과한 수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71-IN)가 구비되고, 상부면에는 응축관(179)이 배열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진 제1 바닥면(171-1)이 구비될 수 있다. 입구응축부(171)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응축관(179)은 상기 입구응축부(171)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응축장치(170)로 유입된 수증기가 비교적 가벼운 고온의 수증기이기 때문에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고려한 것이며,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한 것은 응축관(179)의 외주면에 수증기가 골고루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입구응축부(171)의 응축관(179)에 수증기가 접촉하면 상기 수증기가 응결되어 물방울이 될 것이다. 입구응축부(171)에서 응결된 물방울은 하부로 낙하하여 제1 바닥면(171-1)의 경사면을 따라 상부응축부(173)가 구비된 타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부응축부(173)는 입구응축부(171)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부응축부(17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장치(170)를 반분할 경우에 상기 입구응축부(171)의 타측(도면에서 우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는 최소한 입구응축부(171)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입구응축부(171)의 제1 바닥면(171-1)이 상부응축부(173)의 좌측 공간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되고, 후술하여 설명할 제2 바닥면(173-1)은 상기 제1 바닥면(171-1)보다 낮은 위치가 된다. 상부응축부(173)는 상부면에 응축관(179)이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며, 하부에는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진 제2 바닥면(173-1)이 구비되어 있다. 제2 바닥면(173-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바닥면(171-1)보다는 낮은 위치에 구비되며, 타측은 응축장치(170)의 내측벽면에 연결되어 응축관(179)에서 냉각되면서 응결된 물방울 및 제1 바닥면(171-1)을 따라 흘러내린 물이 제2 바닥면(173-1)으로 떨어져서 일측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중간응축부(175)는 입구응축부(171)의 하부에 구비되어 전술하여 설명한 제1 바닥면(171-1)이 중간응축부(175)의 천정이 되며, 하부에는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제3 바닥면(175-1)이 구비된다. 이때, 제3 바닥면(175-1)은 전술하여 설명한 제2 바닥면(173-1)보다는 낮은 위치에 구비된다. 중간응축부(175)의 상부는 제1 바닥면(171-1)의 하부가 되기 때문에 상기 중간응축부(175)의 상부(천정)는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며, 상기 제1 바닥면(171-1)의 하부면을 따라서는 응축관(179)이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중간응축부(175)로 처음 유입된 수증기는 먼저 유입되어 있던 수증기보다 가볍기 때문에(고온이기 때문에) 상기 중간응축부(175)의 상부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효율적인 응축이 가능하다. 중간응축부(175)의 응축관(179)에 의하여 수증기가 냉각되어 상대적으로 무거워지면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새롭게 유입된 상대적으로 고온의 수증기는 응축관(179)과 가까운 상부에 머무르게 될 것이다. 중간응축부(175)의 상부에 구비된 응축관(179)에 의하여 응결된 물방울 및 전술하여 설명한 제2 바닥면(173-1)으로 따라 흘러내린 물은 중간응축부(175)의 하부에 구비된 제3 바닥면(175-1)을 따라 타측방향으로 흘러가게 된다.
하부응축부(177)는 중간응축부(175)의 타측으로 상기 상부응축부(173)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응축부(177)의 상부면(제2 바닥면(173-1)의 하부면)에는 응축관(179)이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하부응축부(177)의 상부면은 제2 바닥면(173-1)의 하부면이 되기 때문에 상기 하부응축부(177)의 상부면은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하여 설명한 중간응축부(175)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고온다습한 수증기가 응축관(179)과 가까운 상부에 오랫동안 머무르면서 응축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응축장치(170)로 유입된 고온다습한 수증기는 입구응축부(171)와 상부응축부(173), 중간응축부(175) 및 하부응축부(177)를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고온다습한 수증기는 응축관(179) 가까지에 오랫동안 머무르게 되어 응축효율을 향상된다. 그리고 응축관(179)에서 응결된 물방울은 하부로 떨어져서 제1 바닥면(171-1), 제2 바닥면(173-1), 제3 바닥면(175-1)을 지그재그로 지나면서 통과하게 된다.
한편, 전술하여 설명한 입구응축부(171)와 상부응축부(173)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제1 수직응축관(171-2)이 구비될 수 있고, 상부응축부(173)와 중간응축부(175)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제2 수직응축관(17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중간응축부(175)와 하부응축부(177)의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제3 수직응축관(175-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입구응축부(171), 상부응축부(173), 중간응축부(175) 및 하부응축부(177)로 수증기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제1 수직응축관(171-2), 제2 수직응축관(173-2) 및 제3 수직응축관(175-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냉각 및 응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수직응축관(179)은 전술하여 설명한 각 응축부(171, 173, 175)의 바닥면(171-1, 173-1, 175-1) 위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기 수직응축관(179)에 의하여 응축된 물방울은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정수필터(180)로 흘러가게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부응축부(173), 중간응축부(175) 및 하부응축부(177)의 전부 또는 최소한 어느 한 부분에는 정수필터(1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정수필터(180)는 인접한 응축부의 응축관(179)에 의하여 응결된 물이 제1 바닥면(171-1), 제2 바닥면(173-1) 및 제3 바닥면(175-1)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통로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된 물이 통과하면서 정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정수필터(180)는 상부면이 인접한 위치의 응축부의 바닥면에 대응하거나 낮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응축부(173)에 구비되는 정수필터(180)는 입구응축부(171)의 제1 바닥면(171-1)보다 낮게 구비되어 상기 제1 바닥면(171-1)을 따라 흘러내린 응결된 물이 상기 정수필터(180)를 거쳐서 제2 바닥면(173-1)으로 떨어지며, 중간응축부(175)의 정수필터(180)는 제2 바닥면(173-1)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바닥면(173-1)으로 따라 흘러내린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하부응축부(177)의 정수필터(180)는 제3 바닥면(175-1)보다 낮게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증기 중에 불순물이 많이 포함되거나 큰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불순물이 응결핵의 역할을 하여 쉽게 물방울이 응결된다. 따라서 입구응축부(171), 상부응축부(173), 중간응축부(175) 및 하부응축부(177)로 구성된 응축장치(170)에 있어서 입구응축부(171)에 가까울수록 불순물이 많은 물방울이 발생하고, 하부응축부(177)에 가까워질수록 응결된 물방울에 불순물이 적게 포함된다. 따라서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응축부(173), 중간응축부(175) 및 하부응축부(177)의 경계면에 정수필터(180)를 구비하는 경우에 불순물이 많은 물은 여러 번 정수필터(180)를 통과하게 되고, 불순물이 적은 물은 정수필터(180)를 통과하는 횟수가 적어지게 되어 정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불순물이 많이 포함된 물방울이 주로 통과하는 정수필터(180)는 자주 교체해 주고, 불순물이 비교적 적게 포함된 물방울이 주로 통과하는 하부의 정수필터(180)는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효율적인 정수 및 정수필터(180)관리가 가능하다. 정수필터(180)는 물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성분이라면 공지의 다양한 재료 및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례로 상기 정수필터(180)는 활성탄 및 모래가 층상구조라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응축장치(170)의 바닥면(181)은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할 수 있으며, 바닥면의 낮은 위치에는 배수펌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응축장치(170)에 의하여 추출된 응축수에는 다량의 유기산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유기산을 추출하여 수처리제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응축장치(170)의 상부에는 유입된 수증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팬(183, fan)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팬은 입구응축부(171) 또는 상부응축부(173)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190)는 내부가 중공인 용기본체(191)와, 상기 용기본체(191) 내측을 복수의 저장공간(195)으로 구분하는 복수의 수직칸막이(193)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본체(191)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부공간이 비어 있는 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칸막이(193)는 전술하여 설명한 응축장치(170)를 통과하여 응축된 건조공기가 유입되는 일측 입구쪽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수직칸막이(193) 사이에는 복수의 격리된 저장공간(195)이 형성된다. 복수의 저장공간(195)에는 각각 강알칼리수 등과 같은 알칼리성분의 용액이 저장되거나 차염소산수 등과 같은 염기성의 용액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알칼리성용액 또는 염기성용액은 서로 교대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첫 번째 저장공간(195a)에 알칼리성용액에 저장되어 있다면, 두 번째 저장공간(195b)에는 산성용액이 저장되는 식으로 서로 교대로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용액의 저장순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건조공기를 중화시키는 구조라면 다양한 방식이나 순서로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각각의 저장공간(195)에는 배수공(19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배수공(195)은 저장공간(195)의 하부에 구비되며, 밸브가 구비되어 저장공간(195)의 용액을 배출하거나 저장공간(195)을 세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탈취장치(190)는 전술하여 설명한 응축장치(170)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유입되는 배관(199)이 전술하여 설명한 저장공간(195)을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건조공기가 각각의 저장공간(195)에 저장되어 있는 용액을 통과하면서 지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응축장치(170)에서 탈취장치(190)로 유입되는 배관(199)은 용기본체(191)의 첫 번째 저장공간(195)의 하부로 연장되어 배출구가 용액에 잠긴 상태에서 노출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응축장치(170)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배관(199)을 따라 첫 번째 저장공간(195)에 저장되어 있는 용액 속으로 배기 되면서 상기 용액과 접촉하게 된다. 첫 번째 저장공간(195)으로 배기된 건조공기는 용액의 내부에서 폭기(aeration)하면서 상기 용액과 접촉한 후에 상부로 올라오게 된다. 한편, 나머지 저장공간(195)에는 인접한 직전의 저장공간(195)의 상부와 연통된 배관(199)이 하부까지 연장되어 배출구가 용액에 잠긴 상태에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저장공간(195)의 상부에 연통된 배관은 두 번째 저장공간(195)의 하부까지 연장된 후에 배출구가 용액 속에서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세 번째 이후의 저장공간(195)도 동일한 구조로 배관(199)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두 번째 저장공간(195)에서 용액 내부에서 폭기된 건조공기는 상부로 올라가서 다시 세 번째 저장공간(195)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탈취장치(190)에 유입된 건조공기는 각 저장공간(195)을 지나면서 상기 저장공간(195)에 저장되어 있는 용액의 내부에서 폭기하게 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공간(195)에는 강알칼리수 또는 차염소산수 등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산성은 염기성용액에 의하여 중화되고, 염기성은 산성용액에 의하여 중화되어 최종적으로는 냄새가 적은 중성의 공기가 배출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저장공간(195) 중 마지막에 위치하는 저장공간(195)에는 배기공(192)이 구비되어 상기 탈취장치(190)를 통과한 공기가 대기중으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배기공(192)에는 공지의 탈취필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저장호퍼(110)에 저장되어 있던 가축의 분뇨나 음식물쓰레기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이 건조장치(130)로 투입되어 건조된다. 이때, 건조장치(130)에 구비된 감압기(135)가 상기 건조장치(130) 내부의 압력을 0.5~0.7기압으로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건조에 소요되는 열량이 적으며, 유기성 폐기물에 함유되어 있는 함수율을 5%이하가 되도록 건조할 수 있다. 건조장치(130)에서 증발된 수증기는 감압기(135)에 의하여 필터장치(150)로 보내져서 비교적 큰 입자의 불순물이 제거된 후에 응축장치(170)로 흘러간다. 응축장치(170)로 유입된 수증기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응축부를 통과하면서 습기가 제거된다. 이때, 제거된 습기는 물방울이 되어 정수필터(180)를 거치면서 정화되어 유기산을 추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응축장치(170)를 거치면서 습기가 제거된 건조공기는 탈취장치(190)를 통과하면서 중화되어 냄새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깨끗한 공기가 되어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저장호퍼
130: 건조장치
135: 감압기
150: 필터장치
153: 사이클론집진기
155: 백필터
170: 응축장치
171: 입구응축부
173: 상부응축부
175: 중간응축부
177: 하부응축부
179: 응축관
180: 정수필터
181: 바닥면
183: 팬
190: 탈취장치
191: 용기본체
193: 수직칸막이
195: 저장공간

Claims (14)

  1. 가열기와 교반기 및 감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조장치;
    상기 건조장치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사이클론집진기와 상기 사이클론집진기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백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필터장치;
    상기 백필터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응축장치; 및
    상기 응축장치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탈취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응축장치는,
    일측에 필터장치를 통과한 수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응축관이 배열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진 제1 바닥면이 구비되어 있는 입구응축부와,
    상기 입구응축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최소한 상기 입구응축부보다는 넓게 형성되어 상기 입구응축부의 제1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부에는 응축관이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진 제2 바닥면이 구비되어 있는 상부응축부와,
    상기 입구응축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타측이 상기 상부응축부의 제2 바닥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바닥면의 하부면에는 응축관이 배열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제3 바닥면이 구비되어 있는 중간응축부와,
    상기 상부응축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중간응축부의 제3 바닥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바닥면의 하부에는 응축관이 배열되어 있는 하부응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응축부, 중간응축부 및 하부응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응축관과 정수필터를 하나의 쌍으로 포함하며, 상기 필터장치를 통과한 수증기가 상기 입구응축부, 상부응축부, 중간응축부 및 하부응축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구응축부와 상부응축부의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제1 수직응축관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응축부와 중간응축부의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제2 수직응축관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응축부와 하부응축부의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제3 수직응축관이 구비되어 있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응축부, 중간응축부 및 하부응축부의 전부 또는 최소한 어느 한 부분에는 정수필터가 구비되어 인접한 응축부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는 상부면이 인접한 응축부의 바닥면에 대응하거나 낮게 구비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는 활성탄 및 모래가 층상구조로 구비되어 있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8.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장치의 바닥면은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의 일측에는 배수펌프가 구비되어 있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취장치는,
    내부가 중공인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내측을 복수의 저장공간으로 구분하는 복수의 수직칸막이로 구성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에는 강알칼리수 또는 차염소산수가 저장되어 상기 용기본체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용액을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강알칼리수 또는 차염소산수는 교대로 저장되어 있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에는 각각 배수공이 구비되어 있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탈취장치로 유입된 배관은 상기 용기본체의 첫 번째 저장공간의 하부로 연장되어 배출구가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나머지 저장공간에는 인접한 직전의 저장공간의 상부와 연통된 배관이 하부까지 연장되어 배출구가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 중 마지막에 위치하는 저장공간에는 배기공이 구비되고, 상기 배기공에는 탈취필터가 더 구비되어 있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KR1020150103433A 2015-07-22 2015-07-22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KR101761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433A KR101761356B1 (ko) 2015-07-22 2015-07-22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433A KR101761356B1 (ko) 2015-07-22 2015-07-22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201A KR20170011201A (ko) 2017-02-02
KR101761356B1 true KR101761356B1 (ko) 2017-07-25

Family

ID=58151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433A KR101761356B1 (ko) 2015-07-22 2015-07-22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3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462B1 (ko) * 2019-02-08 2020-02-11 하임테크(주) 부압을 이용하여 개선된 2차전지 제조를 위한 금속분말 건조 시스템 및 건조 방법
CN111530217A (zh) * 2020-06-23 2020-08-14 章旷泉 一种服装生产车间用除尘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8200B2 (ja) * 2009-03-30 2012-10-24 株式会社御池鐵工所 乾燥装置
JP5137999B2 (ja) * 2010-05-18 2013-02-06 俊正 板倉 有機廃棄物処理リサイクルシステム
WO2014017377A1 (ja) * 2012-07-23 2014-01-30 Shimizu Keigo 排ガス発電浄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335B1 (ko) 2007-03-08 2008-06-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중압증기를 이용한 축산분뇨 또는 유기성폐기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또는 유기성폐기물의 건조방법과 이러한 축산분뇨 또는 유기성폐기물 건조장치를 이용한 축산분뇨 또는 유기성폐기물의 고효율 건조/가스화를 포함하는 열병합장치
KR101027449B1 (ko) 2011-02-09 2011-04-06 주식회사 이시엘 음폐수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KR101232058B1 (ko) 2012-06-05 2013-02-12 주식회사엔바이오컨스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KR101362118B1 (ko) 2013-07-24 2014-02-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및 바이오 가스의 생성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8200B2 (ja) * 2009-03-30 2012-10-24 株式会社御池鐵工所 乾燥装置
JP5137999B2 (ja) * 2010-05-18 2013-02-06 俊正 板倉 有機廃棄物処理リサイクルシステム
WO2014017377A1 (ja) * 2012-07-23 2014-01-30 Shimizu Keigo 排ガス発電浄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201A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7997B1 (en) Water treatment process and apparatus
KR100793115B1 (ko) 폐기물 처리 장치
KR101787402B1 (ko) 산업용 탈취기
CN207143067U (zh) 一种炼油厂含油污泥处置系统
KR101761356B1 (ko)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CN107500501A (zh) 一种炼油厂含油污泥处置系统和方法
CN104259037A (zh) 一种喷漆房漆雾收集净化装置
CN103130393A (zh) 污泥干化处理方法及系统
KR20180082335A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의 응축가스 정제탑
KR101761360B1 (ko) 소각로가 구비된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KR101610602B1 (ko) 챔버형 열판 컨베이어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
KR102169827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 제거 장치
KR10163081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00180B1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 시스템의 응축용 탑
CN206138990U (zh) 一种去除烟囱出口白烟的装置
CN107265540B (zh) 一种垃圾渗沥液干化装置
KR101968679B1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CA2558116A1 (en) A system and apparatus for removal of unwanted substances in a gas flow
CN205570086U (zh) 一种循环水箱外置的适于露台使用的生物滤床废气处理装置
KR101083033B1 (ko) 슬러지 배출장치가 구비된 폐수처리 보일러
JP2003103245A (ja) 汚染対象物の浄化装置
CN207498254U (zh) 一种可处理臭气的污泥脱水装置
JP2003245643A (ja) 汚染土壌の浄化方法
CN105413419A (zh) 垃圾填埋场臭气处理装置
KR101448262B1 (ko) 축산 분뇨와 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