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058B1 -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 Google Patents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058B1
KR101232058B1 KR1020120060247A KR20120060247A KR101232058B1 KR 101232058 B1 KR101232058 B1 KR 101232058B1 KR 1020120060247 A KR1020120060247 A KR 1020120060247A KR 20120060247 A KR20120060247 A KR 20120060247A KR 101232058 B1 KR101232058 B1 KR 101232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waste
drying
dryer
discharged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엔바이오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엔바이오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엔바이오컨스
Priority to KR1020120060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waste heat from other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8Multistage treatments, e.g. repetition of the same process step under different con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을 2차에 걸쳐 건조시킴으로써 유기성 폐기물 처리량을 대용량으로 할 수 있고, 본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폐열 뿐만 아니라 인근에 설치된 다른 보일러의 폐열(스팀)도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에 소요되는 연료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은, 반입된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하는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로부터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을 파쇄 및 건조시켜 배출하는 제1건조기, 제1건조기에 폐열을 공급하는 제1공기예열기, 제1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가스와 먼지 및 악취를 수집하는 제1집진기, 제1집진기에서 배출되는 배가스에서 폐열을 수집하기 위한 제1응축기, 제1건조기로부터 공급받은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했다 배출하는 제2건조기투입호퍼, 제2건조기투입호퍼로부터 공급받은 유기성 폐기물을 파쇄 및 건조시켜 배출하는 제2건조기, 제2건조기에 열풍을 공급하는 제2건조기열풍로, 제2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가스와 먼지 및 악취를 수집하는 제2집진기, 제2집진기에서 배출되는 배가스에서 폐열을 수집하기 위한 제2응축기, 제2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을 냉각시키는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로부터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했다가 반출시키는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 제2응축기로부터 송풍기를 통해 흡입한 배가스로부터 악취를 처리하는 악취제거장치, 악취제거장치를 거친 배가스에서 백연을 저감시키는 백연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Organic waste recycling system using twice drying method}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성 폐기물을 2차에 걸쳐 건조시킴으로써 유기성 폐기물 처리량을 대용량으로 할 수 있고, 본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폐열 뿐만 아니라 인근에 설치된 다른 보일러의 폐열(스팀)도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에 소요되는 연료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기물을 발효시켜 퇴비로 사용한 것은 오래전부터 인류가 사용해 오던 방법인데, 야적지에 퇴비무덤을 만들어 방치하는 종래의 유기물의 퇴비화 방법은 악취가 심하게 나고 특히 하절기에는 해충이 들끓는다는 단점이 있었어도 산업화되기 이전에는 그다지 큰 문제가 없었으나, 근래 들어 인구가 증가하고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이와 같은 처리방법은 사용할 수도 없으며 더군다나 음식물 쓰레기나 하수슬러지와 같은 각종 유기성 폐기물의 발생량이 점점 증가하고 있어서, 이러한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는 매우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농·수산물 가공공정이나 식품 가공공정 또는 도축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하수슬러지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은 함수율이 매우 높을(함수율 80% 이상)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데, 최근까지 이러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으로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방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었었지만, 현재 매립은 법으로 금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부패한 침출수가 발생하여 악취가 심할 뿐만 아니라 지하수와 주변의 하천을 오염시키므로 침출수 처리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나, 아직까지 합리적인 처리방법이 없어서 유기성 폐기물의 상당량은 해양투기를 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마저도 국제협약에 의해 향후 해양투기가 금지되어 유기성 폐기물 처리는 국가적으로도 최대의 난제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출현한 많은 기술중에서 본 발명의 출원인이 권리자인 특허 제724277호 "소각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열(스팀)을 이용하는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 건조시스템"과, 특허 제739427호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 건조시스템"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건조시스템은, 슬러지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1), 슬러지에 포함된 이물질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분류·제거하는 1차 선별컨베이어(2), 투입호퍼와 파쇄커터 및 이송펌프를 구비한 파쇄장치(3), 파쇄된 슬러지를 저장하는 분쇄물저장조(4), 분쇄된 슬러지를 이송하면서 마그네틱에 의해 금속성 이물질을 제거하는 2차 선별컨베이어(5), 건조된 슬러지를 저장하는 건조물저장조(6), 파쇄실과 건조실을 구비하여 공급되는 슬러지를 파쇄 및 건조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건조장치(7), 소각장치(8)에서 발생한 폐열(스팀)을 공급받아 열교환기와 건조장치의 파쇄실에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9), 건조장치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사이클론(8a) 및 집진장치(8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본 출원인이 상기 건조시스템을 실제 시공하다 보니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어서, 건조시스템의 성능에 한계가 있었다.
첫째, 슬러지 처리량을 대용량으로 하기 위해서는 건조장치의 크기가 커져야 하기 때문에 설비비와 시스템 운영비가 많이 소요되어, 상기 건조시스템으로는 1일 100톤 이상의 슬러지를 처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둘째, 슬러지가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도중에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이물질을 분류하여 제거하다 보니, 작업자의 위생상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많을 때에는 제대로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세째, 함수율이 80%가 넘는 슬러지를 건조시키기 전에 파쇄장치에서 파쇄하다 보니, 비닐과 같은 이물질이 파쇄커터에 감겨서 파쇄가 제대로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파쇄도 어렵고 파쇄커터의 고장이 많아서 건조장치에서 다시 2차로 파쇄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네째, 건조장치에 일정한 양의 슬러지만을 공급하기 위한 정량 투입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건조장치에 투입되는 슬러지의 양에 따라 건조된 슬러지의 함수율이 달라진다는 문제가 있다.
다섯째, 건조장치에서 파쇄된 슬러지가 건조실을 거쳐서 배출될 때의 온도가 90℃ 이상의 고온인데, 건조된 슬러지를 냉각시키지 않고 그대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고온의 에너지를 그대로 방출시키는 결과가 되어 결국에는 많은 열에너지를 그대로 버리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여섯째, 건조장치에서 건조된 90℃ 이상의 슬러지를 곧바로 배출하여 반출시키기 때문에 대기중에서 급격한 냉각으로 인하여 슬러지에서 응결현상이 발생하여 반출된 슬러지의 함수율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반출되는 슬러지에서 고온에 의한 자연발효가 진행되어 반출된 슬러지의 재활용에 문제가 있다.
일곱째, 건조장치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사이클론과 집진장치가 설치되어 있지만, 집진된 먼지와 같은 부유물질이 완전히 처리되지 않은 채 배출되고, 저장조와 소각장치에서도 악취가 배출되므로 많은 환경문제를 야기시켜 슬러지 처리설비 자체가 민원의 대상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성 폐기물을 1차에는 간접방식으로 건조시키고, 2차에 파쇄시키면서 직접방식으로 건조시킴으로써 유기성 폐기물 처리량을 대용량으로 할 수 있고, 본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폐열 뿐만 아니라 인근에 설치된 다른 시설의 보일러 폐열(스팀)도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에 소요되는 연료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함수율 10% 이하로 건조시킨 유기성 폐기물은 석탄 등에 혼합하여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와 유기성 폐기물 반입장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물론 건조기의 배가스에서 발생하는 먼지와 악취 등 각종 공해물질을 세정 및 바이오필터 등을 통해 완벽하게 제거함으로써 대기오염 물질을 일절 배출하지 않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은, 반입된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하는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로부터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을 파쇄 및 건조시켜 배출하는 제1건조기, 제1건조기에 폐열을 공급하는 제1공기예열기, 제1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가스와 먼지 및 악취를 수집하는 제1집진기, 제1집진기에서 배출되는 배가스에서 폐열을 수집하기 위한 제1응축기, 제1건조기로부터 공급받은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했다 배출하는 제2건조기투입호퍼, 제2건조기투입호퍼로부터 공급받은 유기성 폐기물을 파쇄 및 건조시켜 배출하는 제2건조기, 제2건조기에 열풍을 공급하는 제2건조기열풍로, 제2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가스와 먼지 및 악취를 수집하는 제2집진기, 제2집진기에서 배출되는 배가스에서 폐열을 수집하기 위한 제2응축기, 제2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을 냉각시키는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로부터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했다가 반출시키는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 제2응축기로부터 송풍기를 통해 흡입한 배가스로부터 악취를 처리하는 악취제거장치, 악취제거장치를 거친 배가스에서 백연을 저감시키는 백연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시스템은 다른 보일러로부터 폐열(스팀)을 공급받아 제1건조기와 제1공기예열기로 공급하기 위한 증기분배기가 더 설치되고, 제1응축기와 제2건조기열풍로 사이에는 제2공기예열기가 더 설치되어 제1건조기에서 배출된 배가스의 폐열을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는, 반입되는 유기성 폐기물에 섞인 이물질을 진동에 의해 선별해 내기 위한 스크린형 이물질선별기, 저장된 유기성 폐기물을 유압구동에 의해 밀어서 배출시키는 유기성 폐기물 배출기, 유기성 폐기물 배출기가 밀어 낸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시키는 유기성 폐기물 배출컨베이어, 유기성 폐기물 배출컨베이어에서 배출된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하는 유기성 폐기물 공급피더, 유기성 폐기물 공급피더에서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유기성 폐기물 공급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건조기는, 파쇄실과 건조실이 구비된 하우징, 건조실에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하기 위한 투입호퍼, 회전축 주위에 패들이 부착되어 파쇄실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임펠러, 건조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파쇄실을 향해 등간격으로 분사노즐이 형성된 건조덕트, 파쇄실에서 발생하는 배가스를 배출시시키 위해 설치된 배기덕트, 임펠러를 거치면서 파쇄 및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3∼5개의 임펠러가 병렬로 설치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각 임펠러의 패들끼리 상호 교차하도록 맞물려 회전하면서 유기성 폐기물이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건조기는, 전단(前端)에서 후단(後端)으로 일정하게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작동하는 로터리 킬른(Rotary Kiln), 로터리 킬른의 전단으로부터 로터리 킬른의 중심축을 따라 설치된 회전축 주위에 파쇄커터가 등간격으로 설치된 파쇄기, 로터리 킬른의 내주면에 나선을 따라 등간격으로 부착 설치되어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버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건조로에는 증기분배기와 제2건조로의 배가스에서 회수한 폐열을 제1공기예열기가 공급하고, 제2건조로에는 LNG와 함께 제1건조기에서 나온 배가스의 폐열을 연료로 사용하는 열풍로(熱風爐)인 제2건조기열풍로가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악취제거장치는, 공급된 배가스를 세정하여 수용성 악취를 제거하고 배가스 온도를 낮추기 위한 습식세정탑, 습식세정탑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가스 황산과 물을 주입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제1약액세정탑, 제1약액세정탑에서 세정된 배가스를 흡입하여 미생물에 의해 악취를 분해시켜 처리하는 바이오필터장치, 바이오필터장치에서 배출된 배가스에 산화제에 의해 잔여 악취를 제거하는 제2약액세정탑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2약액세정탑에서 정화된 배가스는 백연방지장치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은, 유기성 폐기물을 1차에는 간접방식으로 건조시킨 다음, 2차에는 파쇄시키면서 직접방식으로 건조시킴으로써 1일 유기성 폐기물 처리량 200톤 이상의 대용량 설비시스템을 건설할 수 있고, 함수율 80% 이상의 유기성 폐기물을 1차 건조에서 함수율 55∼60%로 만든 다음 파쇄시키기 때문에 파쇄가 잘 되고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효율도 높으며, 본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폐열 뿐만 아니라 인근에 설치된 다른 시설의 보일러 폐열(스팀)도 활용하기 때문에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에 소요되는 연료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은, 2차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함수율 10% 이하이고 80∼90℃ 정도의 건조유기성 폐기물을 곧바로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로 이송하지 않고, 40℃ 이하로 냉각시켜 이송하기 때문에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 내에서 급격한 냉각으로 인하여 유기성 폐기물이 응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으로 인해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 내에서 유기성 폐기물이 발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에서 반출된 유기성 폐기물은 석탄 등에 혼합하여 자원으로 재사용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나 국가적으로 골칫거리인 유기성 폐기물을 완벽하게 처리함은 물론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 본 발명의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은,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를 포함한 설비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물론 건조기의 배가스에서 발생하는 악취 등 각종 공해물질을 미생물에 의한 분해 뿐만 아니라 물과 산화제 등으로 완벽하게 제거함으로써 대기오염 물질이 일절 배출되지 않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슬러지 건조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설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유기성 폐기물 반입 공급설비 계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유기성 폐기물 1차 건조설비 계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1차건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유기성 폐기물 2차 건조설비 계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2차건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2차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배가스 처리설비 계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 및 반출설비 계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유기성 폐기물을 1차에는 간접방식으로 건조시키고, 2차에서는 유기성 폐기물에 열풍을 직접 공급하는 직접방식으로 건조시킴으로써 유기성 폐기물 처리량을 1일 200톤 이상의 대용량으로 할 수 있게 했다는 점과, 본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폐열 뿐만 아니라 인근에 설치된 다른 시설의 보일러 폐열(스팀)도 활용할 수 있게 했다는 점과, 2차건조기에서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냉각시킨 다음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에 이송시킴으로써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이 응결되거나 발효되지 않게 하여 반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의 함수율이 10% 이하로 유지되도록 했다는 점과, 본 설비시스템에서 악취 등 대기오염 물질이 일절 배출되지 않도록 처리했다는 점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유기성 폐기물'이라 함은 음식물 쓰레기, 농·수산물 가공공정이나 식품 가공공정 또는 도축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하수슬러지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지칭한다.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시켜 자원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은, 반입된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하는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10),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10)로부터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을 파쇄 및 건조시켜 배출하는 제1건조기(20), 제1건조기(20)에 폐열을 공급하는 제1공기예열기(41), 제1건조기(20)에서 배출되는 가스와 먼지 및 악취를 수집하는 제1집진기(50), 제1집진기(50)에서 배출되는 배가스에서 폐열을 수집하기 위한 제1응축기(45), 제1건조기(20)로부터 공급받은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했다 배출하는 제2건조기투입호퍼(17), 제2건조기투입호퍼(17)로부터 공급받은 유기성 폐기물을 파쇄 및 건조시켜 배출하는 제2건조기(30), 제2건조기(30)에 열풍을 공급하는 제2건조기열풍로(40), 제2건조기(30)에서 배출되는 가스와 먼지 및 악취를 수집하는 제2집진기(51), 제2집진기(51)에서 배출되는 배가스에서 폐열을 수집하기 위한 제2응축기(46), 제2건조기(30)에서 배출되는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을 냉각시키는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60),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로(60)부터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했다가 반출시키는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65), 제2응축기(46)로부터 송풍기를 통해 흡입한 배가스로부터 악취를 처리하는 악취제거장치(70), 악취제거장치(70)를 거친 배가스에서 백연을 저감시키는 백연방지장치(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10)는, 유기성 폐기물 수거차량이 수거해 온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하는 구성으로,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10)의 상부로는 계량대와 에어커튼이 설치된 유기성 폐기물 반입장이 설치되어 있으며,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10)에는 반입된 유기성 폐기물에 섞인 이물질을 모터의 구동으로 진동하면서 선별해 내기 위한 스크린형 이물질선별기(11)와, 저장된 유기성 폐기물을 유압구동에 의해 다수의 푸셔(pusher)가 밀어서 배출시키는 유기성 폐기물 배출기(12)와, 유기성 폐기물 배출기(12)에서 배출된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하는 유기성 폐기물 이송컨베이어(14) 및 유기성 폐기물 이송컨베이어(14)에서 이송된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유기성 폐기물 공급펌프(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10)는 악취가 나기 때문에 유기성 폐기물 투입이 끝나고 이물질선별기(11)의 작동이 끝나면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 투입문을 닫아서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기성 폐기물 공급펌프(15)는 고장이나 정비 등에 대비하기 위하여 2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성 폐기물 배출기(12)와 유기성 폐기물 이송컨베이어(14) 사이에는 유기성 폐기물 배출컨베이어(1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부피가 큰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되는 도중에 3개의 스크류 사이에서 분쇄될 수 있도록 유기성 폐기물 배출컨베이어(13)는 3축 스크류컨베이어로 구성하고, 유기성 폐기물 이송컨베이어(14)는 2축 스크류컨베이어로 구성하며, 유기성 폐기물 공급펌프(15)는 효율이 좋고 용이하게 고압(큰 힘)을 얻을 수 있는 피스톤펌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10)와 유기성 폐기물 반입장에서는 언제나 악취가 나기 때문에 외측에는 악취가 포함된 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악취흡입 송풍기를 설치하여, 흡입한 가스를 제2건조기열풍로(40)로 보내서 연료로 재활용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중 하나가 인근에 설치된 다른 보일러로부터 버려지는 폐열(스팀)을 공급받아 재활용한다는 것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폐열(스팀)을 받아 제1건조기(20)와 제1공기예열기(41)로 공급하기 위한 증기분배기(43)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10)와 제1건조기(20) 사이에는, 유기성 폐기물을 임시 저장하기 위한 유기성 폐기물 임시저장조(16)가 설치되는데, 유기성 폐기물 임시저장조(16)의 배출구에는 유기성 폐기물을 일정량씩 배출시키기 위한 2축 스트류컨베이어로 된 정량배출컨베이어(16a)와, 유기성 폐기물을 계측하여 일정량씩 배출하게 하는 유기성 폐기물 배출스케일(16b)이 설치되어 있다.
제1건조기(20)는 폐열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간접건조하기 위한 장치인데, 파쇄실(21a)과 건조실(21b)이 구비된 하우징(21)과, 건조실(21b)에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하기 위한 투입호퍼(22)와, 회전축(23a) 주위에 다수개의 패들(paddle, 23b)이 부착되어 파쇄실(21a)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임펠러(23)와, 건조실(23b)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파쇄실(21a)을 향해 등간격으로 분사노즐(24a)이 형성된 건조덕트(24)와, 파쇄실(21a)에서 발생하는 배가스를 배출시시키 위해 설치된 배기덕트(25)와, 임펠러(23)를 거치면서 파쇄 및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구(2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임펠러(23)는 3∼5개가 병렬로 설치되어, 회전축(23a)의 회전에 의해 각 임펠러의 패들(23b)끼리 상호 교차하도록 맞물려 회전하면서 유기성 폐기물이 이송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회전축(23a)은 중공(中空)축으로 하고, 각 회전축(23a)에 형성된 패들(23b)은 중공(中空)판이며 대칭되는 반원형 날개판 형태를 하고 있으며, 회전축(23a)과 패들(23b)이 서로 연통되게 구성함으로써 폐열(스팀)이 중공축으로 공급되면 연통된 구멍을 통해 각 패들(23b)까지 폐열이 전달되어 함수율 80% 이상의 슬러지를 55∼65%까지 건조시키게 된다. 또한, 패들(23b)은 선단(先端)으로부터 후단(後端)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파쇄효율을 높이도록 하였다.
하우징(21)의 외측으로 돌출된 각 회전축(23a)의 일단에는 서로 맞물려서 구동하도록 기어를 설치하고, 하나의 회전축이 모터(M)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모든 회전축(23a)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건조덕트(24)는 건조실(21b) 내부에 건조실을 길이방향으로 배치해서 단부가 밀폐되도록 설치하고, 건조덕트(24)의 단면적은 동일해도 상관없지만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덕트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덕트(24)에는 파쇄실(21a)로 향하는 다수의 분사노즐(24a)을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폐열을 건조덕트(24)의 선단에서 공급받아 분사노즐(24a)을 통해 분출하여 파쇄되면서 이송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시켜 주게 된다. 또, 파쇄실(21a)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가열실(27)을 설치함으로써 가열실(27)에 폐열을 공급하여 건조효율을 더 높일 수도 있다.
제1건조기(20)에서 배출되는 배가스는 제1집진기(50)로 수집하는데, 제1집진기(50)는 원심력 집진기이며, 원심력 집진기에서 걸러진 먼지는 제2건조기투입호퍼(17)로 배출시키고 배가스는 제1응축기(45)로 배출시키며, 제1응축기(45)와 제2건조기열풍로(40) 사이에는 제2공기예열기(42)가 설치되어, 제1응축기(45)로 유입되어 온도가 올라간 제1건조기(20)의 배가스는 제2공기예열기(42)를 거쳐 제2건조기열풍로(40)로 보내져서 재활용되도록 구성된다.
제1건조기(20)와 제2건조기(30) 사이에는 제2건조기투입호퍼(17)가 설치되는데, 제2건조기투입호퍼(17)의 배출구에는 유기성 폐기물을 제2건조기(30)로 투입하기 위하여 2축 스크류컨베이어로 된 건조기 투입컨베이어(17a)가 설치된다. 또한, 제2건조기(30)와 제2건조기투입호퍼(17) 사이에는 제2건조기(30)로부터 회송된 유기성 폐기물을 제2건조기투입호퍼(17)로 회송시키기 위한 유기성 폐기물 회송컨베이어(17b)를 설치하고, 제2건조기투입호퍼(17)에는 유기성 폐기물 회송컨베이어(17b)로부터 회송된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류컨베이어로 된 회송유기성 폐기물 피더(17c)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제2건조기(30)는 제1건조기(20)에서 1차로 건조된 함수율 55∼65%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받아 함수율 10% 이내로 건조시키고 동시에 유기성 폐기물을 파쇄시켜 부피를 줄이기 위한 장치인데, 전단(前端)에서 후단(後端)으로 일정하게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모터(3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작동하는 로터리 킬른(Rotary Kiln, 31)과, 로터리 킬른(31)의 전단으로부터 로터리 킬른(31)의 중심축을 따라 설치된 회전축(33a) 주위에 파쇄커터(33b)가 등간격으로 설치된 파쇄기(33)와, 로터리 킬른(31)의 내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등간격으로 부착 설치되어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버켓(3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파쇄기(33)는 로터리 킬른(31)의 후단에도 더 설치하여 유기성 폐기물의 파쇄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로터리 킬른(31)은 0.1∼2rpm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면서 작동하는데, 회전하면서 유기성 폐기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전단에서 후단으로 가면서 낮아지도록 1∼5°의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해야 하며, 로터리 킬른(31)은 내부에서 파쇄기(33)에서 파쇄되면서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튀어 미처 이송되지 못한 유기성 폐기물을 제2건조기투입호퍼(17)로 회송시키기 위하여 회송배출구(35)를 로터리 킬른 전단에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로터리 킬른(31)과 회전축(33a)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가 되도록 설치해야 한다.
제2건조기(30)와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60) 사이에는, 제2건조기(30) 후단에 위치한 배출구로부터 날개 모양의 플라이트 컨베이어로된 건조유기성 폐기물 배출컨베이어(36)와, 건조유기성 폐기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건조유기성 폐기물 배출컨베이어 로터리밸브(37)와, 버켓을 수직으로 설치한 버켓엘리베이터인 건조유기성 폐기물 수직이송컨베이어(38) 및 플라이트 컨베이어로된 건조유기성 폐기물 수평이송컨베이어(39)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제2건조기(30)에서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을 높이가 다르게 설치되어 있는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60)로 이송한다.
제2건조기열풍로(40)는 LNG와 함께 제1건조기(20)에서 나온 배가스의 폐열을 연료로 사용하여 로형 가스버너에서 연소시켜 열풍을 제2건조기(30)에 공급하는 열풍로(熱風爐)인데, 제1건조기(20)에서 나온 배가스의 폐열은 제1집진기(50)와 제1응축기(45) 및 제2공기예열기(42)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2건조기열풍로(40)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제2건조기열풍로(40)는 제2건조기(30)에 열풍을 직접 공급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직접건조 방식으로 건조하게 된다.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60)는 제2건조기(30)에서 배출되는 80∼90℃의 건조유기성 폐기물을 40℃ 이하로 냉각시켜 주는 구성인데, 냉각기의 드럼 주위를 냉각수에 의해 수냉식으로 냉각시키고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구 쪽으로 이송되기 때문에 제2건조기(30)와 같이 후단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65)에는, 분진처리를 위하여 일정 시간마다 먼지를 털어 주는 에어 펄스젯 방식의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 벤트필터(66)가 저장조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건조유기성 폐기물을 계량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건조유기성 폐기물 배출컨트롤게이트(6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재예방을 위하여 불활성 가스인 질소를 저장한 질소 가스봄베(67)를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유기성 폐기물 배출컨트롤게이트(68)와 함께 건조유기성 폐기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송풍기와 배출장치 및 일정량씩 계량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계량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65)는 2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60)와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65) 사이에는,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60)의 후단에 위치한 배출구로부터 벨트컨베이어로된 냉각슬러지 수평이송컨베이어(61)와, 수직으로 설치된 버켓엘리베이터인 냉각유기성 폐기물 수직이송컨베이어(62)가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높이가 다르게 설치되어 있는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60)와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65) 사이를 냉각된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또한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65)가 2개 설치되어 있을 때는 이송된 냉각유기성 폐기물을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65)에 분배하기 위한 냉각유기성 폐기물 분배컨베이어(6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집진기(51)는 제2건조기(30)에서 배출되는 먼지를 포함한 부유물질을 제거하고 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구성인데, 원심력 집진기(52)와 여과집진기(55)로 구성된다. 원심력 집진기(52)는 비교적 큰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더블 싸이클론형으로 구성하여 제거한 먼지 등 부유물질을 하부에 위치한 로터리밸브(53)를 통해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60) 쪽으로 배출하고, 처리되지 못한 작은 입자의 부유물질은 여과집진기(55)로 보낸다.
또한, 여과집진기(55)는 1차적으로 원심력 집진기(52)에서 걸러지지 못한 비교적 크기가 작은 입자를 공급받아 이들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바이브레이터(57)를 설치하여 일정 주기로 진동을 주어 수집된 입자를 털어 주는 펄스 제트방식으로 구성하여 하부에 위치한 로터리밸브(56)를 통해 부유물질을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60) 쪽으로 배출하며, 여과집진기(55)에서 처리되고 난 악취를 포함한 150∼160℃ 정도의 고온의 배가스는 버려지게 되는데, 그냥 버리지 않고 고온의 폐열을 회수하기 위하여 제2응축기(46)를 설치하며, 제2응축기(46)를 거치면서 온도가 올라간 배가스는 제1공기예열기(41)를 거쳐 제1건조기(20)로 공급되어 재활용된다.
제2응축기(46)는 여과집진기(55)로부터 공급받은 악취가 포함된 150∼160℃의 고온의 배가스에 포함된 폐열을 제1공기예열기(41)로 공급하고, 또한, 제2응축기(46)의 후단에는 악취배기 송풍기를 설치해서 악취를 악취제거장치(70)로 보내게 된다.
악취제거장치(70)는 습식세정탑(71)과, 제1약액세정탑(72)과, 바이오필터장치(73) 및 제2약액세정탑(7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습식세정탑(71)은 제2응축기(46)에서 나오는 고온의 배가스가 들어오면, 배가스에 물을 분사하여 악취를 함유한 배가스에 포함된 수용성 악취를 제거하고 배가스의 온도를 낮춰 주는 기능을 하며, 제1약액세정탑(72)은 습식세정탑(71)으로부터 공급된 배가스에 물과 황산(H2SO4)을 분사하여 배가스에 함유된 악취를 제거하고 배가스 온도를 낮춰 준다.
바이오필터장치(73)는 장치 내부를 NaOH와 황산에 의해 pH를 맞춰서 장치 내부에 악취 분해를 위한 미생물을 서식시키고 있는데, 제1약액세정탑(72)에서 세정된 배가스를 흡입하여 미생물에 의해 악취를 분해시켜 처리하는 장치이다. 또한, 바이오필터장치(73)에서 미처 제거되지 못한 악취는 제2약액세정탑(74)에서 산화하여 제거하는데, 제2약액세정탑(74)에서는 산화제로 차염소산나트륨(NaOCl)을 사용하고, 배가스에 물을 분사하여를 악취를 최종적으로 제거하여 배가스를 백연방지장치(80)로 배출시킨다.
백연방지장치(80)는 최종적으로 처리된 배가스에서 백연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성인데, 핀튜브(fin tube) 타입의 백연저감 열교환기(81)와, 외기를 흡입하여 백연저감 열교환기(81)에 송풍하는 터보형 백연저감 송풍기(82)를 구비하여 악취가 제거된 배가스의 온도를 떨어뜨려 대기중으로 배출시킨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 11 : 이물질선별기
12 : 유기성 폐기물 배출기 13 : 유기성 폐기물 배출컨베이어
14 : 유기성 폐기물 이송컨베이어 15 : 유기성 폐기물 공급펌프
16 : 유기성 폐기물 임시저장조 17 : 제2건조기투입호퍼
20 : 제1건조기 21 : 하우징
22 : 투입호퍼 23 : 임펠러
24 : 건조덕트 25 : 배기덕트
26 : 배출구 27 : 가열실
30 : 제2건조기 31 : 로터리 킬른
32 : 모터 33 : 파쇄기
34 : 이송버켓 35 : 회송배출구
36 : 건조유기성 폐기물 배출컨베이어
37 : 건조유기성 폐기물 배출컨베이어 로터리밸브
38 : 건조유기성 폐기물 수직이송컨베이어
39 : 건조유기성 폐기물 수평이송컨베이어
40 : 제2건조기열풍로 41 : 제1공기예열기
42 : 제2공기예열기 43 : 증기분배기
45 : 제1응축기 46 : 제2응축기
50 : 제1집진기 51 : 제2집진기
52 : 원심력 집진기 53, 56 : 로터리밸브
55 : 여과집진기 57 : 바이브레이터
60 :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
61 : 냉각유기성 폐기물 수평이송컨베이어
62 : 냉각유기성 폐기물 수직이송컨베이어
63 : 냉각유기성 폐기물 분배컨베이어
65 :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
66 :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 벤트필터
67 : 질소 가스봄베
68 : 건조유기성 폐기물 배출컨트롤게이트
70 : 악취제거장치 71 : 습식세정탑
72 : 제1약액세정탑 73 : 바이오필터장치
74 : 제2약액세정탑
80 : 백연방지장치 81 : 백연저감 열교환기
82 : 백연저감 송풍기

Claims (26)

  1.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시켜 자원화하는 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반입된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하는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
    상기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로부터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을 파쇄 및 건조시켜 배출하는 제1건조기;
    상기 제1건조기에 폐열을 공급하는 제1공기예열기;
    상기 제1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가스와 먼지 및 악취를 수집하는 제1집진기;
    상기 제1집진기에서 배출되는 배가스에서 폐열을 수집하기 위한 제1응축기;
    상기 제1건조기로부터 공급받은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했다 배출하는 제2건조기투입호퍼;
    상기 제2건조기투입호퍼로부터 공급받은 유기성 폐기물을 파쇄 및 건조시켜 배출하는 제2건조기;
    상기 제2건조기에 열풍을 공급하는 제2건조기열풍로;
    상기 제2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가스와 먼지 및 악취를 수집하는 제2집진기;
    상기 제2집진기에서 배출되는 배가스에서 폐열을 수집하기 위한 제2응축기;
    상기 제2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을 냉각시키는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
    상기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로부터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했다가 반출시키는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
    상기 제2응축기로부터 송풍기를 통해 흡입한 배가스로부터 악취를 처리하는 악취제거장치;
    상기 악취제거장치를 거친 배가스에서 백연을 저감시키는 백연방지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집진기는 원심력 집진기이며, 원심력 집진기에서 걸러진 먼지는 상기 제2건조기투입호퍼로 배출시키고 배가스는 상기 제1응축기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다른 보일러로부터 폐열(스팀)을 공급받아, 상기 제1건조기와 제1공기예열기로 공급하기 위한 증기분배기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는,
    반입되는 유기성 폐기물에 섞인 이물질을 진동에 의해 선별해 내기 위한 스크린형 이물질선별기;
    저장된 유기성 폐기물을 유압구동에 의해 밀어서 배출시키는 유기성 폐기물 배출기;
    상기 유기성 폐기물 배출기가 밀어 낸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시키는 유기성 폐기물 배출컨베이어;
    상기 유기성 폐기물 배출컨베이어에서 배출된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하는 유기성 폐기물 공급피더;
    상기 유기성 폐기물 공급피더에서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유기성 폐기물 공급펌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와 제1건조기 사이에는, 유기성 폐기물을 임시 저장하기 위한 유기성 폐기물 임시저장조가 더 설치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 폐기물 임시저장조의 배출구에는, 유기성 폐기물을 일정량씩 배출시키기 위한 정량배출기와, 유기성 폐기물을 계측하여 이송하는 유기성 폐기물 배출스케일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건조기는,
    파쇄실과 건조실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건조실에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하기 위한 투입호퍼;
    회전축 주위에 패들이 부착되어, 상기 파쇄실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임펠러;
    상기 건조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파쇄실을 향해 등간격으로 분사노즐이 형성된 건조덕트;
    상기 파쇄실에서 발생하는 배가스를 배출시시키 위해 설치된 배기덕트;
    상기 임펠러를 거치면서 파쇄 및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구;
    를 포함하고, 3∼5개의 임펠러가 병렬로 설치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각 임펠러의 패들끼리 상호 교차하도록 맞물려 회전하면서 유기성 폐기물이 이송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중공축이고, 상기 각 회전축에 형성된 패들은 중공(中空)이고 대칭되는 반원형 날개판 형태이며, 상기 패들은 선단(先端)으로부터 후단(後端)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응축기와 제2건조기열풍로 사이에는 제2공기예열기가 더 설치되어, 상기 제1건조기에서 배출된 배가스의 폐열을 활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건조기투입호퍼의 배출구에는, 유기성 폐기물을 상기 제2건조기로 투입하기 위하여 스크류컨베이어로 된 건조기 투입컨베이어가 구비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건조기는,
    전단(前端)에서 후단(後端)으로 일정하게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작동하는 로터리 킬른(Rotary Kiln);
    상기 로터리 킬른의 전단으로부터 로터리 킬른의 중심축을 따라 설치된 회전축 주위에 파쇄커터가 등간격으로 설치된 파쇄기;
    상기 로터리 킬른의 내주면에 나선을 따라 등간격으로 부착 설치되어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버켓;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킬른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가면서 낮아지도록 1∼5°의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0.1∼2rpm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면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건조기는, 로터리 킬른 내에서 미처 이송되지 못한 유기성 폐기물을 제2건조기투입호퍼로 회송시키기 위한 회송배출구가 로터리 킬른 전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건조기와 제2건조기투입호퍼 사이에는, 상기 제2건조기로부터 회송된 유기성 폐기물을 상기 제2건조기투입호퍼로 회송시키기 위한 유기성 폐기물 회송컨베이어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건조기투입호퍼에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 회송컨베이어로부터 회송된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류컨베이어로 된 회송유기성 폐기물 피더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건조기의 배출구와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 사이에는, 제2건조기의 후단에 위치한 배출구로부터 플라이트 컨베이어로된 건조유기성 폐기물 배출컨베이어와, 건조유기성 폐기물 배출컨베이어 로터리밸브와, 수직으로 설치된 버켓엘리베이터인 건조유기성 폐기물 수직이송컨베이어 및 플라이트 컨베이어로된 건조유기성 폐기물 수평이송컨베이어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건조기열풍로는, LNG와 함께 상기 제1건조기에서 나온 배가스의 폐열을 연료로 사용하여 로형 가스버너에서 연소시켜 열풍을 상기 제2건조기에 공급하는 열풍로(熱風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는, 후단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작동하도록 된 드럼의 주위를 냉각수에 의해 냉각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에는, 분진처리를 위한 에어 펄스젯 방식의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 벤트필터와, 건조유기성 폐기물을 계량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건조유기성 폐기물 배출컨트롤게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는, 불활성가스인 질소를 저장한 질소 가스봄베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와 건조유기성 폐기물 저장조 사이에는,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의 후단에 위치한 배출구로부터 벨트컨베이어로 된 냉각유기성 폐기물 수평이송컨베이어와, 수직으로 설치된 버켓엘리베이터인 냉각유기성 폐기물 수직이송컨베이어와, 벨트컨베이어로된 냉각유기성 폐기물 분배컨베이어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집진기는, 상기 제2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먼지를 포함한 부유물질과 가스를 포함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원심력 집진기와 여과집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원심력 집진기는 더블 싸이클론형이고, 상기 여과집진기는 펄스 제트방식이며, 이들은 각각 로터리밸브를 구비하여 집진된 부유물질을 건조유기성 폐기물 냉각기로 배출하고, 상기 여과집진기에서 처리하고 난 고온의 가스를 포함한 악취는 제2응축기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응축기에서 나온 배가스의 폐열은 상기 제1공기예열기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제거장치는,
    공급된 배가스를 세정하여 수용성 악취를 제거하고 배가스 온도를 낮추기 위한 습식세정탑;
    상기 습식세정탑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가스 황산과 물을 주입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제1약액세정탑;
    상기 제1약액세정탑에서 세정된 배가스를 흡입하여 미생물에 의해 악취를 분해시켜 처리하는 바이오필터장치;
    상기 바이오필터장치에서 배출된 배가스에 산화제에 의해 잔여 악취를 제거하는 제2약액세정탑;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2약액세정탑에서 정화된 배가스는 상기 백연방지장치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백연방지장치는, 핀튜브(fin tube) 타입의 백연저감 열교환기와,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백연저감 열교환기에 송풍하는 터보형 백연저감 송풍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KR1020120060247A 2012-06-05 2012-06-05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KR101232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247A KR101232058B1 (ko) 2012-06-05 2012-06-05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247A KR101232058B1 (ko) 2012-06-05 2012-06-05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058B1 true KR101232058B1 (ko) 2013-02-12

Family

ID=47899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247A KR101232058B1 (ko) 2012-06-05 2012-06-05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05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202A (ko) 2015-07-22 2017-02-02 스마트비젼(주) 소각로가 구비된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KR20170011201A (ko) 2015-07-22 2017-02-02 스마트비젼(주)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CN107576178A (zh) * 2017-08-31 2018-01-12 北京环清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物料干燥系统及运行方法
KR101977211B1 (ko) * 2017-12-11 2019-05-10 (주)빛나에스티 유기성 폐기물 건조 시스템의 미세분진 제거장치
KR102141775B1 (ko) * 2020-01-15 2020-08-05 유관영 유기성 슬러지 건조장치
KR102276060B1 (ko) * 2020-11-20 2021-07-12 나민수 건조기 가동 정지 시 잔여가스 처리 시스템
KR102644931B1 (ko) * 2023-05-11 2024-03-08 (주)에이치엔시 건조기 응축수 회수 및 배가스 처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5779A (ja) * 2002-08-13 2004-03-11 Mitsubishi Heavy Ind Ltd 廃棄物ガス化システム
JP2005308281A (ja) * 2004-04-20 2005-11-04 Takuma Co Ltd 廃棄物の熱分解設備
KR100724277B1 (ko) * 2006-04-07 2007-06-04 이동완 소각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열(스팀)을 이용하는 슬러지 및음식물 쓰레기 건조 시스템
KR100739427B1 (ko) * 2006-03-27 2007-07-13 이동완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 건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5779A (ja) * 2002-08-13 2004-03-11 Mitsubishi Heavy Ind Ltd 廃棄物ガス化システム
JP2005308281A (ja) * 2004-04-20 2005-11-04 Takuma Co Ltd 廃棄物の熱分解設備
KR100739427B1 (ko) * 2006-03-27 2007-07-13 이동완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 건조 시스템
KR100724277B1 (ko) * 2006-04-07 2007-06-04 이동완 소각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열(스팀)을 이용하는 슬러지 및음식물 쓰레기 건조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202A (ko) 2015-07-22 2017-02-02 스마트비젼(주) 소각로가 구비된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KR20170011201A (ko) 2015-07-22 2017-02-02 스마트비젼(주)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산 추출장치
CN107576178A (zh) * 2017-08-31 2018-01-12 北京环清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物料干燥系统及运行方法
KR101977211B1 (ko) * 2017-12-11 2019-05-10 (주)빛나에스티 유기성 폐기물 건조 시스템의 미세분진 제거장치
KR102141775B1 (ko) * 2020-01-15 2020-08-05 유관영 유기성 슬러지 건조장치
KR102276060B1 (ko) * 2020-11-20 2021-07-12 나민수 건조기 가동 정지 시 잔여가스 처리 시스템
KR102644931B1 (ko) * 2023-05-11 2024-03-08 (주)에이치엔시 건조기 응축수 회수 및 배가스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058B1 (ko)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KR101175106B1 (ko) 직접건조 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US20100160709A1 (en) Process and appratus for waste treatment
JP5495346B2 (ja) 汚泥の固形燃料化プラント
KR101272123B1 (ko)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JP2011105816A (ja) 汚泥の固形燃料化プラント
CN103398383A (zh) 一种固体垃圾焚烧系统
CN102357516B (zh) 市政垃圾预处理与水泥窑资源综合利用的联合工艺及其系统
CN103322574A (zh) 利用隧道窑烧结砖生产线协同处置生活垃圾的方法及其处理系统
CN106958827A (zh) 一种危险废物焚烧炉炉渣综合处理系统
KR102235558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연료화와 부숙화 하이브리드 자원화시스템
CN102889597B (zh) 生活垃圾焚烧余热干燥预处理工艺及其系统
JP4750962B2 (ja) ごみ処理システム
JP2006232588A (ja) 生ゴミ分別堆肥化システム
KR20050058760A (ko) 하·폐수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를 적용한 건조설비
CN106216359A (zh) 一种有机废弃物资源化设备系统
EP1946829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waste treatment
CN210907355U (zh) 基于水泥窑系统的废弃包装桶的处置装置
KR101717722B1 (ko) 사전 안정화시킨 매립 폐기물 및 신규 생활폐기물을 이용한 srf 생산방법
CN205914508U (zh) 一种有机废弃物资源化设备系统
KR200280671Y1 (ko) 쓰레기소각로에 연계된 폐기물 건조장치
KR100923032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시스템
CN205914004U (zh) 一种恶臭气体控制处理系统
CN209098489U (zh) 污泥冷却传送结构及污泥处理设备
CN106215625A (zh) 一种恶臭气体控制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