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602B1 - 챔버형 열판 컨베이어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챔버형 열판 컨베이어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602B1
KR101610602B1 KR1020150157527A KR20150157527A KR101610602B1 KR 101610602 B1 KR101610602 B1 KR 101610602B1 KR 1020150157527 A KR1020150157527 A KR 1020150157527A KR 20150157527 A KR20150157527 A KR 20150157527A KR 101610602 B1 KR101610602 B1 KR 101610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food waste
conveyor
convey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식
최병록
박대식
Original Assignee
최병록
박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록, 박대식 filed Critical 최병록
Priority to KR102015015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7/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using a combination of processe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F26B3/00 and F26B5/00
    • B09B3/008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 F26B17/023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the material being a slurry or paste, which adheres to a moving belt-like endless conveyor for drying thereon, from which it may be removed in dried state, e.g. by scrapers, brushes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1Handling, e.g. loading or unload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26B3/2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and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eing in relative motion, e.g. of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Abstract

본 발명은 챔버형 열판 컨베이어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차 탈수 시킨 음식물 쓰레기를 챔버식 밀폐건조실 내부에 투입하여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건조시켜 처리비용의 절감과 악취제거 및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감소시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원심탈수기(1) 또는 스크류 탈수기를 이용해 음식물쓰레기를 1차 탈수시키고, 상기 1차 탈수된 음식물쓰레기를 공급받아 가열건조하는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100)는,
기밀구조의 건조공간(S)과 설치공간(T)이 형성되며, 건조공간(S) 상부에 음식물쓰레기를 공급받는 반입부(11)가 구비되고, 하부에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반출부(12)가 형성된 건조실 챔버(10)와;
상기 건조공간(S) 내부 양측에는 수평길이 방향으로 구동부(G)와 종속부(J)가 체인(C)연결되어 구동모터(M)의 동력으로 일방향 회전되게 구성한 우측 이송부(21)와, 상기 우측 이송부(21)의 하부에 위치하며, 건조공간(S) 내부 양측에서 수평길이 방향으로 구동부(G)와 종속부(J)가 체인(C)연결되어 구동모터(M)의 동력으로 타방향 회전되게 구성한 좌측 이송부(22)를 상호 엇갈리며 다단으로 연속 설치하여 구성된 이송수단(20)과;
상기 이송수단(20)인 좌측 이송부(22)와 우측 이송부(21) 각각의 내부에 위치되어, 음식물쓰레기가 상면에 놓여지고, 내부공간을 따라서 열매체가 순환이동할 수 있게 유입구(31)와 배출구(32)가 구비된 컨베이어(30)와;
상기 설치공간(T)에 장착되면서, 건조공간(S)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수단(40)과;
상기 송풍수단(40)에 의해 건조공간(S) 외부로 배출되는 습증기를 열교환기(51)에서 분리하여, 응축수는 응축수탱크(52)로 포집하고 공기는 필터를 통해 송풍수단(40)에 재공급하는 냉각수단(50)과;
상기 설치공간(T)에 구비된 히터(61)를 이용해 저장탱크(62) 내부의 열매체(63)를 가열하고, 순환펌프(64)의 작동으로 상기 가열된 열매체(63)가 컨베이어(30)의 유입구(31)에 공급되어 배출구(32)를 통해 저장탱크(62)로 회수되는 열매체 가열시스템(60)과;
상기 이송수단(20)의 체인(C)에 설치고정되어, 컨베이어(30)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쓰레기를 좌,우측 이송부(22)(21)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시키는 스크래퍼수단(7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챔버형 열판 컨베이어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Hotplate conveyor drying chamber type food waste unit}
본 발명은 챔버형 열판 컨베이어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차 탈수 시킨 음식물 쓰레기를 챔버식 밀폐건조실 내부에 투입하여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건조시켜 처리비용의 절감과 악취제거 및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감소시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쓰레기는 가정 혹은 급식소, 음식점 등에서 주로 발생되어 대부분을 각종 뼈나 조개껍질과 같은 일반쓰레기와 함께 매립이나 소각시키고 있으며, 일부만을 가축사료 및 퇴비 등으로 재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가장 큰 문제점은 음식물 속에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로 인해 쉽게 부패되어 심한 악취와 오수가 발생됨으로써, 장시간 보관이 어렵고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여 버리거나 처리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악취 등에 해충들이 모여들어 비위생적이었다.
또,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단순히 지하에 매몰하는 경우에는 침출수를 비롯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며, 제한된 국토면적으로인해 장기적인 처리방법으로는 부적절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수물과, 조리된 요리를 먹고 난 다음에 남아 버려지는 음식을 통상적으로 음식물쓰레기로 분류하는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에는 함수율이 50~95% 정도로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폐기하거나 혹은 재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분의 감량이 매우 중요하였다.
최근에는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감량 처리하는 건조처리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여기서 건조라 함은 액체의 수분을 기체화하여 물질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건조방식을 사용하는 건조장치에는 특허문헌 1(등록특허 10-0482786호), 특허문헌2(등록특허 10-0792689호), 특허문헌 3(10-0852024호) 등의 선행기술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공통적으로 스크류 날개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건조기의 구성을 이용해 폐기물을 교반하면서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하는 장치로서 건조시 심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스크류 날개에 의해 폐기물을 교반하면서 열원에 의해 가열건조시키게 되지만 음식물쓰레기의 함수율이 높은 경우에는 장시간 교반하면서 가열건조시켜야 함으로써, 건조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폐단이 있었다.
즉, 종래 건조장치는 폐기물의 함수율에 대응할 수 없는 구조로서, 단순히 교반시간을 증가시켜 가열건조함으로써, 대량의 폐기물을 빠른시간내에 건조시킬 수 없어 시설비용의 상승과 운용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2786호-폐기물 고속건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건조방법 (등록일자 2005년 04월 14일)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2689호-폐기물 슬러지 건조장치 (등록일자 2008년 01월 02일)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2024호-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건조장치 (등록일자 2008년 08월 06일)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공급장치를 통해 1차 탈수한 음식물쓰레기를 공급받아 다단의 컨베이어를 따라 지그재그 이동시키면서, 컨베이어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열매체를 통해 빠른시간에 많은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쓰레기를 가열건조하는 처리장치를 밀폐형 챔버로 구성하고 공기순환장치와 응축수탱크를 통해 악취발생 및 응축수 누출에 따른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율과 건조속도를 열매체가 포함된 컨베이어를 더 추가하는 것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용도에 따라 간편하게 건조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심탈수기(1) 또는 스크류 탈수기를 이용해 음식물쓰레기를 1차 탈수시키고, 상기 1차 탈수된 음식물쓰레기를 공급받아 가열건조하는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100)는,
기밀구조의 건조공간(S)과 설치공간(T)이 형성되며, 건조공간(S) 상부에 음식물쓰레기를 공급받는 반입부(11)가 구비되고, 하부에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반출부(12)가 형성된 건조실 챔버(10)와;
상기 건조공간(S) 내부 양측에는 수평길이 방향으로 구동부(G)와 종속부(J)가 체인(C)연결되어 구동모터(M)의 동력으로 일방향 회전되게 구성한 우측 이송부(21)와, 상기 우측 이송부(21)의 하부에 위치하며, 건조공간(S) 내부 양측에서 수평길이 방향으로 구동부(G)와 종속부(J)가 체인(C)연결되어 구동모터(M)의 동력으로 타방향 회전되게 구성한 좌측 이송부(22)를 상호 엇갈리며 다단으로 연속 설치하여 구성된 이송수단(20)과;
상기 이송수단(20)인 좌측 이송부(22)와 우측 이송부(21) 각각의 내부에 위치되어, 음식물쓰레기가 상면에 놓여지고, 내부공간을 따라서 열매체가 순환이동할 수 있게 유입구(31)와 배출구(32)가 구비된 컨베이어(30)와;
상기 설치공간(T)에 장착되면서, 건조공간(S)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수단(40)과;
상기 송풍수단(40)에 의해 건조공간(S) 외부로 배출되는 습증기를 열교환기(51)에서 분리하여, 응축수는 응축수탱크(52)로 포집하고 공기는 필터를 통해 송풍수단(40)에 재공급하는 냉각수단(50)과;
상기 설치공간(T)에 구비된 히터(61)를 이용해 저장탱크(62) 내부의 열매체(63)를 가열하고, 순환펌프(64)의 작동으로 상기 가열된 열매체(63)가 컨베이어(30)의 유입구(31)에 공급되어 배출구(32)를 통해 저장탱크(62)로 회수되는 열매체 가열시스템(60)과;
상기 이송수단(20)의 체인(C)에 설치고정되어, 컨베이어(30)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쓰레기를 좌,우측 이송부(22)(21)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시키는 스크래퍼수단(70)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이송수단(20)의 좌,우측 이송부(22)(21)는 건조공간(S)의 내부 양측에 구비된 수직지지대(13)에 구동부(G)와 종속부(J)가 엇갈리며 연속 설치되되, 홀수열과 짝수열을 구분해 건조실 챔버(10) 외부에 각각 구비된 구동모터(M)를 상기 구분된 구동부(G)에 각각 연결해 홀수열과 짝수열의 회전 이송방향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동작되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수단(70)은, 컨베이어(30)의 양측에 위치하여 구동부(G)와 종속부(J)를 연결하는 체인(C)에 연결하는 고정브라켓(71)과, 상기 체인(C)과 연결된 좌우 고정브라켓(71)에 결합되는 연결판(72)과, 상기 연결판(72)의 일면에 리턴스프링(74)을 포함해 힌지 연결되어, 컨베이어(30)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쓰레기를 이송수단(20)의 이송방향에 따라 밀면서 진행하는 스크래퍼(75)로 구성되어 달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실 챔버를 기밀식으로 제작하여 음식물쓰레기 건조 시 발생되는 악취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고, 건조시 발생되는 습증기를 응축해 응축수를 저장하고 공기는 재순환시켜 악취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열매체에 의해 가열된 컨베이어 상면을 따라서 음식물쓰레기를 이송시켜 신속하게 가열건조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배출감량화(15%)를 이루면서, 음식물쓰레기의 함수율에 대응해서는 컨베이어와 이송수단을 건조실 챔버에 더 장착하는 것으로 해소할 수 있어 시설비용 및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처리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인 건조처리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건조처리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건조처리장치의 스크래퍼 수단에 대한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인 건조처리장치의 반입부를 통해 공급된 음식물쓰레기의 이송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b는 본 발명인 건조처리장치의 반출부로 음식물쓰레기의 이송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인 챔버형 열판 컨베이어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는, 1차 탈수 시킨 음식물 쓰레기를 챔버식 밀폐건조실 내부에 투입하여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건조시켜 처리비용의 절감과 악취제거 및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감소시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먼저,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이하, 본 발명인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를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구성과 작동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원심탈수기(1) 또는 스크류 탈수기를 이용해 음식물쓰레기를 1차 탈수시킨 다음에 상기 1차 탈수된 음식물쓰레기를 반입콘베어장치(2)를 통해 공급받아 가열건조시키는 건조처리장치(100)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인 건조처리장치(100)는 크게 기밀구조를 갖는 건조실 챔버(10)내부에 음식물쓰레기를 이동시키면서 건조 처리하는 이송수단(20) 및 컨베이어(30)가 구비되고, 여기에 악취방지 및 건조처리를 위한 송풍수단(40)과 냉각수단(50) 및 열매체 가열시스템(60)과, 상기 이송수단(20)에 음식물쓰레기를 이동시키는 스크래퍼수단(70)이 더 장착되어 컨베이어(30) 상면의 음식물쓰레기를 이송시키게 구성한다..
상기 건조실 챔버(10)는, 내부에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할 수 있도록 기밀구조의 건조공간(S)과, 음식물쓰레기의 이동 및 건조에 필요한 구성품이 장착되는 설치공간(T)으로 구성되며, 건조공간(S) 상부에 음식물쓰레기를 공급받는 반입부(11)가 구비되고, 하부에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반출부(12)가 형성된다.
여기에 상기 반입부(11)와 반출부(12)에는 건조실 챔버(10)의 기밀유지를 위해 일정량이 채워지지 않으면 개방되지 않고, 일정량이 채워진 상태에서만 개방되는 로터리밸브(미부호)를 설치하여 건조실 챔버(10) 내부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좋다.
또, 건조실 챔버(10)의 건조공간(S)에서, 길이방향의 양측에는 수직방향의 지지대(13)가 설치되어, 이송수단(20)의 구동부(G)와 종속부(J)가 회전가능하게 다수개 축연결 설치한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20)은, 건조공간(S)의 내부에서 수평길이 방향으로 구동부(G)와 종속부(J)가 체인(C)연결되어 구동모터(M)의 동력으로 일방향 회전되게 구성되는데, 회전방향에 따라 구분되는 우측 이송부(21)와, 좌측 이송부(22)가 엇갈리게 다단으로 연속 배치된다.
또, 상기 이송수단(20)인 좌측 이송부(22)와 우측 이송부(21) 각각의 내부에 는 컨베이어(30)가 각각 배치되는데, 상기 컨베이어(30) 상면에 음식물쓰레기가 놓여지게 하고, 상기 좌,우측 이송부(22)(21)의 체인(C)에 장착하는 스크래퍼수단(70)이 이동하면서 음식물쓰레기를 이송시키게 설치한다.
상기 스크래퍼수단(70)은 도 4에서와 같이 이송수단(20)의 체인(C)에 설치고정되어, 컨베이어(30)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쓰레기를 좌,우측 이송부(22)(21)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시키는 것으로, 컨베이어(30) 양측에 위치한 체인(C)과 연결되는 고정브라켓(71)과, 상기 체인(C)과 연결된 좌우 고정브라켓(71)에 결합되는 연결판(72)과, 상기 연결판(72)의 일면에 리턴스프링(74)을 포함해 힌지 연결되어, 컨베이어(30)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쓰레기를 좌,우측 이송부(22)(21)의 이송방향에 따라 밀면서 진행하는 스크래퍼(7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래퍼(75)는, 연결판(72)에 일면에서 컨베이어(30) 상면의 음식쓰레기를 밀며 진행하기 위해 하향되게 설치되되, 힌지축(73)을 중심으로 연결판(72)과 둔각(鈍角)을 갖고 하향지게 펼쳐져 형성하면 음식물쓰레기를 강하게 밀고 나가게 되며, 예각(銳角)을 두고 펼쳐져 형성하면 과도하게 공급된 음식물쓰레기를 리턴스프링(74)의 허용탄성력까지만 끌고 나가면서 이송시키는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수단(70)은, 체인(C)에 연속해 설치되면서 컨베이어(30) 상면과 간격을 두어 음식물쓰레기를 고르게 펼쳐지게 하는 스크래퍼(75)와, 컨베이어(30) 상면과 근접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밀어내는 스크래퍼(75)가 엇갈리게 배치시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30)는 건조공간(S)에 설치된 지지대(13)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면서, 일단과 타단에 유입구(31)와 배출구(32)를 구비해 유입구(31)를 통해 열매체가 유입되어 컨베이어 내부의 빈 공간을 따라서 이동한 다음 배출구(32)로 배출되게 한다.
따라서, 도 5a에서와 같이 상기 최상단의 컨베이어(30) 상면에는 반입부(11)를 통해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가 놓여지면, 우측 이송부(22)의 작동으로 스크래퍼수단(70)이 음식물쓰레기를 도면상 우측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최상단의 컨베이어(30)는 도면상 좌측으로 편향(偏向)되게 하고, 그 하단에 위치한 컨베이어(30)는 도면상 우측에 편향(偏向)되게 하여, 최상단의 컨베이어(30) 상면을 따라 이송된 음식물쓰레기가 그 하단에 위치한 컨베이어(30)의 우측상면에 낙하되게 한다.
여기에, 상기 이송수단(20)의 좌,우측 이송부(22)(21)는 건조공간(S)의 내부 양측에 구비된 수직 지지대(13)에 구동부(G)와 종속부(J)가 엇갈리며 연속 설치되되, 홀수열과 짝수열을 구분해 건조실 챔버(10) 외부에 각각 구비된 구동모터(M)를 상기 구분된 구동부(G)에 각각 연결해 홀수열과 짝수열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송 동작되게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수단(20)인 좌,우측 이송부(22)(21)가 엇갈리며 다단으로 연속배치되면서, 컨베이어(30)의 위치도 다단으로 엇갈리면 편향되게 설치하여,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20)과 스크래퍼수단(70)의 동작으로 최상단의 음식물쓰레기가 최하단 까지 이송이 가능하고 최종적으로 반출부(12)로 배출한다.
그리고, 건조실 챔버(10)의 설치공간(T)에는 건조공간(S)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수단(40)과, 상기 송풍수단(40)에 의해 건조공간(S)의 습증기를 열교환기(51)에서 분리하여, 응축수는 응축수탱크(52)로 포집하고 공기는 필터를 통해 송풍수단(40)에 재공급하는 냉각수단(50)과, 설치공간(T)에 구비된 히터(61)를 이용해 저장탱크(62) 내부의 열매체(63)를 가열하고, 순환펌프(64)의 작동으로 상기 가열된 열매체(63)가 컨베이어(30)의 유입구(31)에 공급되어 배출구(32)를 통해 저장탱크(62)로 회수되는 열매체 가열시스템(60)이 장착된다.
상기 송풍수단(40)은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송풍팬을 작동시켜 건조실 챔버(10)의 내부공기를 장제 순환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 시에 발생되는 열기와 습기가 함유된 상태로 상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수단(40)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 습증기는 냉각수단(50)의 열교환기(51)에서 함유된 열기와 습기가 열교환되면서 분리되어, 응축수는 응축수탱크(52)로 포집되고 낮은온도의 공기는 필터를 통해 상기 송풍수단(40)의 송풍팬에 재공급되어 내부공기가 재순환되게 하여 내부 기체의 유출방지 및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한다.
또, 열매체 가열시스템(60)은, 일측에 구비된 히터(61)를 이용해 저장탱크(62) 내부에 저장된 열매체(63)를 고온으로 가열하고, 이 열매체(63)를 순환펌프(64)의 작동으로 상기 다단으로 구비된 각각의 컨베이어(30) 유입구(31)에 공급하여 상기 컨베이어(30)의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열교환되어 컨베이어(30) 자체온도를 상승시킨 다음에 배출구(32)를 통해 저장탱크(62)로 회수된다.
이때, 열매체 가열시스템(60)의 열매체(63)는 150 ~ 210℃ 의 온도를 가질 수 있는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열매체(63)가 150 ~ 210℃ 의 온도를 갖고 순환되게 한다.
또, 컨베이어(30)에는 전기히터가 더 장착되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서와 같이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 발생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기와 원심탈수기(1)를 통해 73% ±3% 정도의 함수율을 갖도록 한 다음에 반입콘베어장치(2)를 통해 본 발명인 건조처리장치(100)의 반입부(11)에 공급한다.
상기 반입부(11)에서 일정량의 음식물이 모여지면 로터리밸브에 의해 반입부(11)가 개방되면서 모여진 음식물쓰레기가 건조공간(S)으로 낙하해 최상단의 컨베이어(30) 상면에 놓여진다.
상기 컨베이어(30)는 열매체 가열시스템(60)에 의해 고온의 열매체(63)를 공급받아 빠르게 가열되어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키게 되며, 상기 컨베이어(30)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컨베이어(30)의 길이방향으로 순환 이동하는 이송수단(20)에 더 장착된 스크래퍼수단(70)이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이송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공간(S) 내부에 다단으로 설치되면서, 홀수열과 짝수열의 회전이송방향이 엇갈리게 형성된 좌,우측 이송부(22)(21)에 의해 최상단의 컨베이어(30) 상면에 위치한 음식물쓰레기가 최하단의 컨베이어(30) 상면까지 이동되고, 마직막으로 반출부(12)에 낙하하게 된다.
이때, 반출부에 낙하되는 음식물쓰레기는 15% ±3% 정도의 함수율을 갖고 배출되게 상기 컨베이어(30)의 수량을 조절해 사용하며, 상기와 같이 함수율이 낮은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는 초기 공급된 부피보다 감량된 상태로 배출되는 것이 당연하다.
여기에서, 상기 건조공간(S)의 컨베이어(30)를 따라 이동되는 음식물쓰레기의 건조 향상과 악취 제거를 위해 설치공간(T)에 위치한 송풍수단(40)이 동작하여 건조공간(S) 내부공기를 강제순환시키면 내부 습증기는 상부로 이동되어 냉각수단(50)의 열교환기(51)를 통해 응축수와 공기로 분리시키고, 상기 응축수와 공기를 응축수탱크(52)로 공급한다.
상기 응축수탱크(52)에 저장되는 응축수는 음식물쓰레기 건조에서 생성된 오염수이므로 약품처리를 통해 정화 및 외부 처리업체 등을 통해 배출시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상기 응축수탱크(52)로 공급된 공기는 필터를 통해 정화시켜 상기 건조공간(S)으로 재 공급시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탈취설비 없이도 음식물쓰레기의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조공간(S) 및 설치공간(T)에는 UV램프(미도시)를 설치하여 유입된 악취 및 해로운 세균을 UV램프의 자외선 방출에 따라 악취 및 세균을 산화 분해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는 제어부(80)에 의해 각각의 구성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80)는 건조공간(S) 내부의 온도와 습도 및 열매체 가열시스템(60)의 히터(61)와 열매체 가열온도 등을 감지하고, 음식물쓰레기의 함수율을 센서신호로 전달받아 온도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신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음식물쓰레기의 특징과 용도에 맞게 건조율과 건조속도를 조절가능하면서, 응축하는 과정의 순환 공기가 챔버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응축된 수분과 악취는 응축수탱크(52)에 밀폐 포집하여 약품처리 및 별도수거처리 함으로써, 악취와 침출수등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건조실 챔버 11. 반입부
12. 반출부 20. 이송수단
21. 우측 이송수단 22. 좌측 이송수단
30. 컨베이어 31. 유입구
32. 배출구 40. 송풍수단
50. 냉각수단 51. 열교환기
52. 응축수탱크 60. 열매체 가열시스템
61. 히터 62. 저장탱크
63. 열매체 64. 순환펌프
70. 스크래퍼수단 71. 고정브라켓
72. 연결판 73. 힌지축
74. 리턴스프링 75. 스크래퍼
100. 건조처리장치
S. 건조공간 T. 설치공간
G. 구동부 J. 종속부
C. 체인 M. 모터

Claims (5)

  1. 원심탈수기(1) 또는 스크류 탈수기를 이용해 음식물쓰레기를 1차 탈수시키고, 상기 1차 탈수된 음식물쓰레기를 공급받아 가열건조하는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100)는,
    기밀구조의 건조공간(S)과 설치공간(T)이 형성되며, 건조공간(S) 상부에 음식물쓰레기를 공급받는 반입부(11)가 구비되고, 하부에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반출부(12)가 형성된 건조실 챔버(10)와;
    상기 건조공간(S) 내부 양측에는 수평길이 방향으로 구동부(G)와 종속부(J)가 체인(C)연결되어 구동모터(M)의 동력으로 일방향 회전되게 구성한 우측 이송부(21)와, 상기 우측 이송부(21)의 하부에 위치하며, 건조공간(S) 내부 양측에서 수평길이 방향으로 구동부(G)와 종속부(J)가 체인(C)연결되어 구동모터(M)의 동력으로 타방향 회전되게 구성한 좌측 이송부(22)를 상호 엇갈리며 다단으로 연속 설치하여 구성된 이송수단(20)과;
    상기 이송수단(20)인 좌측 이송부(22)와 우측 이송부(21) 각각의 내부에 위치되어, 음식물쓰레기가 상면에 놓여지고, 내부공간을 따라서 열매체가 순환이동할 수 있게 유입구(31)와 배출구(32)가 구비된 컨베이어(30)와;
    상기 설치공간(T)에 장착되면서, 건조공간(S)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수단(40)과;
    상기 송풍수단(40)에 의해 건조공간(S) 외부로 배출되는 습증기를 열교환기(51)에서 분리하여, 응축수는 응축수탱크(52)로 포집하고 공기는 필터를 통해 송풍수단(40)에 재공급하는 냉각수단(50)과;
    상기 설치공간(T)에 구비된 히터(61)를 이용해 저장탱크(62) 내부의 열매체(63)를 가열하고, 순환펌프(64)의 작동으로 상기 가열된 열매체(63)가 컨베이어(30)의 유입구(31)에 공급되어 배출구(32)를 통해 저장탱크(62)로 회수되는 열매체 가열시스템(60)과;
    상기 이송수단(20)의 체인(C)에 설치고정되어, 컨베이어(30)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쓰레기를 좌,우측 이송부(22)(21)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시키는 스크래퍼수단(70)이 체인(C)에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 결합하여 구성하되;
    상기 스크래퍼수단(70)은, 컨베이어(30)의 양측에 위치하는 체인(C)에 한 쌍의 고정브라켓(71)이 동일선상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20)에 연결판(72)이 고정 결합되며, 상기 체인(C)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연결판(72)의 전방에는 상기 컨베이어(30)와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리턴스프링(74)을 포함한 스크래퍼(75)가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체인(C)의 진행 시에 상기 스크래퍼(75)가 컨베이어(30)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쓰레기를 진행방향으로 밀면서 진행하고, 음식물쓰레기량이 리턴스프링(74)의 허용 탄성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크래퍼(75)가 진행방향 반대로 젖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챔버형 열판 컨베이어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송수단(20)의 좌,우측 이송부(22)(21)는 건조공간(S)의 내부 양측에 구비된 수직지지대(13)에 구동부(G)와 종속부(J)가 엇갈리며 연속 설치되되, 홀수열과 짝수열을 구분해 건조실 챔버(10) 외부에 각각 구비된 구동모터(M)를 상기 구분된 구동부(G)에 각각 연결해 홀수열과 짝수열의 회전 이송방향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동작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챔버형 열판 컨베이어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75)는, 연결판(72)에 일면에서 컨베이어(30) 상면의 음식쓰레기를 밀며 진행하기 위해 하향되게 설치되되, 힌지축(73)을 중심으로 연결판(72)과 둔각(鈍角)을 갖고 하향지게 펼쳐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챔버형 열판 컨베이어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수단(70)은, 체인(C)에 연속해 설치되면서 컨베이어(30) 상면과 간격을 두어 음식물쓰레기를 고르게 펼쳐지게 하는 스크래퍼(75)와, 컨베이어(30) 상면과 근접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밀어내는 스크래퍼(75)가 엇갈리게 배치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챔버형 열판 컨베이어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
KR1020150157527A 2015-11-10 2015-11-10 챔버형 열판 컨베이어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 KR101610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527A KR101610602B1 (ko) 2015-11-10 2015-11-10 챔버형 열판 컨베이어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527A KR101610602B1 (ko) 2015-11-10 2015-11-10 챔버형 열판 컨베이어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602B1 true KR101610602B1 (ko) 2016-04-21

Family

ID=5591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527A KR101610602B1 (ko) 2015-11-10 2015-11-10 챔버형 열판 컨베이어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6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9183A (zh) * 2019-10-31 2020-02-04 四川玉竹麻业有限公司 用于苎麻烘干的震动式输送线及安装有该输送线的烘干机
CN111802057A (zh) * 2020-07-14 2020-10-23 付志伟 一种作物收割及干燥机
CN115096063A (zh) * 2022-05-25 2022-09-23 广州市通四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酒厂废弃物资源再利用流水生产线及控制方法
CN115406214A (zh) * 2022-07-27 2022-11-29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工业大麻花叶自动固定的热泵干燥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621B1 (ko) 2007-01-18 2008-02-19 김태영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621B1 (ko) 2007-01-18 2008-02-19 김태영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9183A (zh) * 2019-10-31 2020-02-04 四川玉竹麻业有限公司 用于苎麻烘干的震动式输送线及安装有该输送线的烘干机
CN111802057A (zh) * 2020-07-14 2020-10-23 付志伟 一种作物收割及干燥机
CN115096063A (zh) * 2022-05-25 2022-09-23 广州市通四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酒厂废弃物资源再利用流水生产线及控制方法
CN115406214A (zh) * 2022-07-27 2022-11-29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工业大麻花叶自动固定的热泵干燥机
CN115406214B (zh) * 2022-07-27 2023-09-26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工业大麻花叶自动固定的热泵干燥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602B1 (ko) 챔버형 열판 컨베이어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
US86776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biosolids
US7966744B2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microwave
KR101271018B1 (ko) 슬러지 급속 건조방법과 급속건조기 및 건조기의 냉각장치
KR20100065662A (ko) 슬러지 건조 장치
KR101708030B1 (ko) 공냉식 냉각기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34741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N105705895A (zh) 食物垃圾真空干燥处理系统
KR20150098455A (ko) 공기순환식 다기능 건조장치
KR10080362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615674B1 (ko) 건조 장치 및 그 건조방법
CN104529124A (zh) 一种并行桨叶污泥干燥系统及干燥工艺
KR100199548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 및 그 방법
KR101109759B1 (ko) 슬러지 건조장치
WO2008056459A1 (fr) Chauffe-eau pyrolitique utilisant de la boue organique comme carburant
KR20100065656A (ko) 슬러지 건조 장치
KR10182697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응축장치
KR19980063228U (ko) 폐열회수 및 공기순환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1733234B1 (ko) 건조효율이 개선된 폐열을 활용한 음식물 건조장치
KR100881642B1 (ko) 음식물 쓰레기 응축 건조 장치
KR101868479B1 (ko) 응결 배수구조가 적용된 투입도어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24856B1 (ko) 건조 장치
KR10123659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0072873A (ko)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
KR20190001441A (ko) 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열매체유 보일러를 이용한 악취 방지용 폐쇄회로형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