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236B1 - 논슬립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논슬립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236B1
KR101760236B1 KR1020140042317A KR20140042317A KR101760236B1 KR 101760236 B1 KR101760236 B1 KR 101760236B1 KR 1020140042317 A KR1020140042317 A KR 1020140042317A KR 20140042317 A KR20140042317 A KR 20140042317A KR 101760236 B1 KR101760236 B1 KR 101760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wood
weight
phosphorescent
slip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7064A (ko
Inventor
박준남
Original Assignee
경동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동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동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2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23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2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railings, stairs, stair stringers, ladder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27N1/02Mixing the material with bind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28Moulding or pressing characterised by using extrusion pr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논슬립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목재의 모서리에 논슬립되는 축광모서리를 형성함으로써 야간에 계단을 오르는 경우 계단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하고, 합성목재에 습기가 있는 경우에도 미끄러지지 않아 계단을 오를 때 미끄러지는 등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논슬립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a) 폴리올레핀계 수지 25~30 중량%, 침엽수 목분이나 왕겨 60~70 중량%, 지방산 계열의 무수 말레이산으로 이루어진 커플링제 0.003~0.02 중량%, 목분용 왁스 0.5~2 중량%, 수분 방지제 0.1~2 중량%, 안료 0.5~10 중량% 및 지방산 계열의 목분용 왁스 0.5~2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합성목재 성분을 제1성형틀에서 성형압출하는 단계; (b) 상기 압출된 합성목재를 폴리프로필렌 수지 60~80 중량%, 폴리에틸렌 왁스 4~7 중량%, 칼슘 스테아린산 1~4 중량%, 장축광 15~25 중량% 및 액상의 유동파라핀 1-2 중량%의 축광성분이 투여되는 제2성형틀에서 축광모서리를 성형압출하는 단계; (c) 상기 압출된 합성목재의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전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문양이 형성된 합성목재를 냉각하는 단계; (e) 상기 냉각된 합성목재를 일정한 사이즈로 절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논슬립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The manufacture method of synthetic wood to have a non-slip noctilucent edge}
본 발명은 논슬립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목재의 모서리에 논슬립되는 축광모서리를 형성함으로써 야간에 계단을 오르는 경우 계단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하고, 합성목재에 습기가 있는 경우에도 미끄러지지 않아 계단을 오를 때 미끄러지는 등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논슬립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등산로나 산책로 등에 보행을 위한 보행도로를 시공한다. 이러한 보행도로에 사용되는 자재는 돌, 나무, 콘크리트, 벽돌 등을 많이 사용해 왔으며, 최근에는 합성목재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합성목재의 경우 쉽게 썩지 않고 내구성이 좋기 때문에 최근에 등산로나 산책로 등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이 야간에도 산책이나 운동 등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등산로나 산책로에 있는 계단을 오르내리는 경우 어두워서 발을 헛딛어 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출원에서 축광재료를 바닥에 형성하여 위험을 방지하고자 한 제안이 많이 있어 왔다.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특허 제10-0917375호는 축광표시부를 갖는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목분 50 ~ 60 중량부, 올레핀계수지 30 ~ 50 중량부, 결합제 1 ~ 5 중량부, 마스터 벳치 2 ~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재료(110)를 준비하는 단계; 제 1 재료(110)를 용융하여 제 1 압출기(100)에서 압출준비하고, 축광 마스터 벳치(210)를 용융하여 제 2 압출기(200)에서 압출준비하는 단계; 금형(50)을 통과하는 용융된 제 1 재료(110)에 대해 용융된 축광 마스터 벳치(210)가 동시에 금형(50)을 통과하면서 압출되는 단계; 및 제 1 재료(100)가 합성목재(300)를 형성하고, 축광 마스터 벳치(210)가 축광표시부를 형성하면서 냉각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표시부를 갖는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 제10-1079306는 미끄럼 방지용 인조 목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미끄럼방지 돌기에 판 설치홈을 형성하고, 형성하고, 상기 판 설치홈에 실리콘으로 고무 미끄럼방지 돌기가 형성된 미끄럼방지 판을 설치하되; 상기 미끄럼방지 판은 천연고무 100 중량%에 대하여 축광 안료 10∼35 중량%, 레인산염 2∼15 중량%, 카제인 염 0.5∼5 중량%, 감열화제 0.5∼5 중량%, 증점제 1∼5 중량%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인조목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 제10-1079307호는 특허 제10-1079306호와 유사한 것으로서, 미끄럼 방지용 인조 목재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인조 목재의 표면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미끄럼방지 돌기에 해당하는 위치에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 판이 설치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미끄럼 방지용 인조 목재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들은 바닥면에 축광부를 형성하고, 축광부에 미끄럼 방지 기능을 형성한 점에서는 좋은 제안이나, 계단을 오르는 경우 대다수의 사람들은 계단 모서리를 이용하여 계단을 오르기 때문에 계단모서리에 물기가 있거나 미끄러운 경우, 미끄러져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나 노인들에게는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닥면인 평면에 축광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야간에는 잘 식별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바닥면에 축광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문양을 새겨 넣어 산책로나 등산로를 걷는 사람을 통한 시각적 및 광고적인 효과가 거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계단의 모서리를 축광모서리로 형성하여 야간에 등산로나 산책로를 따라 이동하는 사람들에게 계단을 올라갈때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모서리에 미끄럼방지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습기가 있는 경우에도 계단을 오르다 미끄러 넘어지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논슬립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폴리올레핀계 수지 25~30 중량%, 침엽수 목분이나 왕겨나 갈대 60~63 중량%, 지방산 계열의 무수 말레이산으로 이루어진 커플링제 0.003~0.02 중량%, 지방산 계열의 목분용 왁스 0.5~2 중량%, 수분 방지제 0.1~2 중량%, 안료 1.297~5.48 중량%, 탈크 및 경탄 5 중량% 및 자외선 방지제 0.1 ~ 0.5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합성목재 성분을 '┍'자형 돌출부가 형성된 제1성형틀에서 성형압출하는 단계; (b) 상기 압출된 합성목재를, 폴리프로필렌 수지 60~78 중량%, 폴리에틸렌 왁스 4~7 중량%, 칼슘 스테아린산 1~4 중량%, 장축광 안료 15~25 중량%, 액상의 유동파라핀 1~2 중량% 및 유리분말 1~2 중량%의 축광성분으로,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1성형틀의 대응 부위에 요철 또는 요곡이 형성된 제2성형틀에서 상기 축광성분이 성형압출되어 축광모서리가 형성되고, 합성목재의 수평면 및 수직면에는 상기 축광성분이 성형압출되어 하나 이상의 식별띠가 형성되는 단계; (c) 광고 문양이나 제조사의 로고 문양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축광성분과 다른 색상의 축광도료 또는 축광성분이 없는 도료가 도장된 회전롤러로 이루어진 제3성형틀이 상기 축광모서리의 전면에 열접촉되면서 상기 광고나 제조사의 로고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를 냉각하는 단계; (e) 상기 냉각된 합성목재를 일정한 사이즈로 절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 제2성형틀은, 상기 '┍'자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1성형틀의 대응 부위에 요철 또는 요곡이 형성되는데, '┍'자형 홈에 축광성분이 삽입되어 함께 일체로 압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압출되는 축광모서리에는 좌우로 길게 홈부가 사람이 계단의 모서리를 밟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논슬립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축광모서리와 함께 합성목재의 수평면 또는 수직면에 식별을 위해 축광성분이 투입된 하나 이상의 띠가 형성될 수 있다. 수평면 또는 수직면에 띠를 좌우로 길게 연장 형성함으로써, 계단을 이용하는 산책하는 사람들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는, 축광모서리에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제3성형틀이 더 마련되는데, 제3성형틀은 회전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는 문양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합성목재가 롤러와 열접촉하면서 문양이 형성된다. 압출이 완료된 합성목재의 전면에 문양을 삽입하여 광고나 제조사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만일 광고를 수행하는 경우, 별도의 수입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문양은 축광성분이 없는 도료를 열융착하여 형성하거나, 다른 색상의 축광성분을 열융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축광성분에는 유리분말 1~2 중량%가 더 추가되는데, 축광성분에 유리분말을 추가함으로써, 빛의 난반사를 유도하여 쉽게 사람들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등산로나 산책로 등의 계단을 이동할 때 빛을 발하여 사람들에게 위치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서리에 논슬립 축광부를 형성하여 습기가 있는 경우에도 미끄러지지 않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목재의 전면에 문양을 새겨넣을 수 있기 때문에 광고나 제조사 등을 기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성형틀 및 제1성형틀에서 압출되는 합성목재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성형틀 및 제2성형틀에서 압출되는 합성목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성형틀에서 평면부에 식별띠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성형틀에서 전면부에 식별띠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성형틀인 롤러를 이용하여 문양을 새겨넣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이 완성된 상태의 합성목재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를 이용하여 계단을 형성한 상태도.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성형틀 및 제1성형틀에서 압출되는 합성목재의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성형틀 및 제2성형틀에서 압출되는 합성목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성형틀에서 평면부에 식별띠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성형틀에서 전면부에 식별띠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성형틀인 롤러를 이용하여 문양을 새겨넣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이 완성된 상태의 합성목재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를 이용하여 계단을 형성한 상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10)는, 합성목재(100)와 합성목재의 모서리에 형성된 축광모서리(110)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광모서리(110)는 요철이나 요곡(111)이 형성되어 논슬립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축과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10)의 제조방법은, (a) 폴리올레핀계 수지 25~30 중량%, 침엽수 목분이나 왕겨나 갈대 60~63 중량%, 지방산 계열의 무수 말레이산으로 이루어진 커플링제 0.003~0.02 중량%, 지방산 계열의 목분용 왁스 0.5~2 중량%, 수분 방지제 0.1~2 중량%, 안료 1.297~5.48 중량%, 탈크 및 경탄 5 중량% 및 자외선 방지제 0.1 ~ 0.5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합성목재 성분을 '┍'자형 돌출부가 형성된 제1성형틀에서 성형압출하는 단계; (b) 상기 압출된 합성목재를, 폴리프로필렌 수지 60~78 중량%, 폴리에틸렌 왁스 4~7 중량%, 칼슘 스테아린산 1~4 중량%, 장축광 안료 15~25 중량%, 액상의 유동파라핀 1~2 중량% 및 유리분말 1~2 중량%의 축광성분으로,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기 '┍'자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1성형틀의 대응 부위에 요철 또는 요곡이 형성된 제2성형틀에서 축광모서리를 성형압출하는 단계; (c) 상기 합성목재에 형성된 축광모서리에, 문양이 돌출 형성되고 도료가 도장된 회전롤러로 이루어진 제3성형틀이 상기 축광모서리와 열접촉되면서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를 냉각하는 단계; (e) 상기 냉각된 합성목재를 일정한 사이즈로 절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단계에서는 합성목재의 성분을 혼합하고 가열 용융하여 제1성형틀을 통해 성형 압출하게 된다. 합성목재의 성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25~30 중량%, 침엽수 목분이나 왕겨 60~63 중량%, 지방산 계열의 무수 말레이산으로 이루어진 커플링제 0.003~0.02 중량%, 지방산 계열의 목분용 왁스 0.5~2 중량%, 수분 방지제 0.1~2 중량%, 안료 1.297~5.48 중량%, 탈크 및 경탄 5 중량% 및 자외선 방지제 0.1 ~ 0.5 중량%를 혼합하고, 혼합된 합성목재 성분을 가열 용융한 후 성형틀을 통해 압출하게 된다. 제1성형틀(20)은 일측에 '┍' 형상의 돌출부(21)가 형성된다. 상기 부분은 다음 단계에서 축광모서리가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곡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요곡은 비 등의 물이 합성목재의 상부에 고여있지 있지 않고 내측 요곡부를 통해서 수분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성형틀을 통과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b)단계를 거치게 된다. (b)단계에서는 제1성형틀(20)을 통하여 압출된 합성목재의 모서리 부분에 축광성분을 투입시켜 성형압출을 하게된다. 축광성분으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60~78 중량%, 폴리에틸렌 왁스 4~7 중량%, 칼슘 스테아린산 1~4 중량%, 장축광 안료 15~25 중량%, 액상의 유동파라핀 1~2 중량%으로 구성된다. 상기 축광성분은 가열 용융되어 제2성형틀로 투입되면서 합성목재와 함께 압출된다. 축광성분으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MI(Melting Index)값은 10~15 정도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왁스는 윤활제겸 분산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는 저분자 폴리에틸렌 왁스를 사용하는데, 저분자 폴리에틸렌의 용융온도는 100℃ 정도이다. 칼슘스테아린산은 외부활제로 사용되는데, 칼슘스테아린산을 이용하여 금속재질의 성형틀과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장축광 안료는 야간에 빛을 발하기 위한 축광성분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액상의 유동파라핀은 배합시 결합제 역할을 수행한다. 액상의 유동파라핀을 주입하여 축광성분을 혼합하고 용융시켜 제2성형틀(30)의 투입구(32)를 통해서 축광성분을 투입시킨다. 상기 제1성형틀(20)의 '┍'자형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축광성분이 투입되며, 또한 제2성형틀의 '┍'자형 공간의 내주면에는 요철이나 요곡(31)이 형성된다. 상기 형성된 요철이나 요곡(31)을 통하여 합성목재의 축광모서리(110)가 압출됨으로써, 축광모서리의 표면에는 요철 또는 요곡(111)이 형성되어 논슬립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광모서리를 형성하면서,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쪽의 평면 또는 전면에 축광성분의 식별띠(34, 34')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축광성분의 식별띠(34, 34')를 더 형성함으로써 보행자가 쉽게 계단 등이 있음을 인식할 수 있어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식별띠(34, 34')를 형성하기 위해서 식별띠(34, 34')로 유입되는 유입구(33, 33')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c)단계에서는 완성된 합성목재를 냉각하게 되는데, 냉각하기 전에 (e)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축광모서리가 형성된 상태에서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3성형틀(40)을 사용한다. 제3성형틀(40)은 축광모서리(110) 평면 부분을 회전하는 롤러(41)에 통과시키면서 문양을 형성한다. 롤러(41)의 외주면에는 문양부(42)가 형성되고, 롤러(41)의 회전을 위해 회전축(43)이 구비된다. 롤러(41)는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회전하며, 문양부(42)의 표면에는 다른 색상의 축광성분을 도포한 한 후에 축광모서리(110)에 문양을 형성하거나, 축광성분이 아닌 일반적인 도료를 이용하여 축광모서리(110)에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축광성분에는 유리분말이 더 추가되어 빛의 난반사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후레쉬 등을 비치는 경우 유리분말에 의한 난반사에 의해 반짝이게 되어 보행자가 쉽게 계단임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추가되는 유리분말은 1~2 중량%가 추가될 수 있다.
문양(112)의 형성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d)단계를 거치게 된다. 문양이 형성된 상태에서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10)를 냉각한다. 냉각단계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각할 수 있다.
냉각이 완료되면, 일정한 간격으로 합성목재(10)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출하준비를 하게 된다. 도 7에서는 완성된 합성목재(10)를 이용하여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합성목재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를 이용하여 계단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부분에 논슬립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보행자들이 습기가 있는 경우에도 미끄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 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
20 : 제1성형틀 21 : '┍'자형 돌출부
30 : 제2성형틀 31 : 요철
32 : 축광성분 주입구 33, 33' : 축광성분 투입구
34, 34' : 축광성분 띠
40 : 제3성형틀 41 : 롤러
42 :문양 돌출부 43 : 회전축
110 : 축광모서리 111 : 요철
112 : 문양

Claims (8)

  1. (a) 폴리올레핀계 수지 25~30 중량%, 침엽수 목분이나 왕겨나 갈대 60~63 중량%, 지방산 계열의 무수 말레이산으로 이루어진 커플링제 0.003~0.02 중량%, 지방산 계열의 목분용 왁스 0.5~2 중량%, 수분 방지제 0.1~2 중량%, 안료 1.297~5.48 중량%, 탈크 및 경탄 5 중량% 및 자외선 방지제 0.1 ~ 0.5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합성목재 성분을 '┍'자형 돌출부가 형성된 제1성형틀에서 성형압출하는 단계;
    (b) 상기 압출된 합성목재를, 폴리프로필렌 수지 60~78 중량%, 폴리에틸렌 왁스 4~7 중량%, 칼슘 스테아린산 1~4 중량%, 장축광 안료 15~25 중량%, 액상의 유동파라핀 1~2 중량% 및 유리분말 1~2 중량%의 축광성분으로,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1성형틀의 대응 부위에 요철 또는 요곡이 형성된 제2성형틀에서 상기 축광성분이 성형압출되어 축광모서리가 형성되고, 합성목재의 수직면에는 상기 축광성분이 성형압출되어 하나 이상의 식별띠가 형성되는 단계;
    (c) 광고 문양이나 제조사의 로고 문양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축광성분과 다른 색상의 축광도료 또는 축광성분이 없는 도료가 도장된 회전롤러로 이루어진 제3성형틀이 상기 축광모서리의 전면에 열접촉되면서 상기 광고나 제조사의 로고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를 냉각하는 단계;
    (e) 상기 냉각된 합성목재를 일정한 사이즈로 절단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042317A 2014-04-09 2014-04-09 논슬립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101760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317A KR101760236B1 (ko) 2014-04-09 2014-04-09 논슬립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317A KR101760236B1 (ko) 2014-04-09 2014-04-09 논슬립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064A KR20150117064A (ko) 2015-10-19
KR101760236B1 true KR101760236B1 (ko) 2017-07-20

Family

ID=54399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317A KR101760236B1 (ko) 2014-04-09 2014-04-09 논슬립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2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2146B (zh) * 2019-12-04 2023-05-12 临海伟星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夜光pe管道及其制备方法
KR102142575B1 (ko) * 2020-05-06 2020-08-10 주식회사 임성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0046B2 (ja) 1996-05-29 2002-09-30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複合材料着色用マスターバッチ
KR100917375B1 (ko) 2009-02-17 2009-09-16 주식회사비에스아이앤디 축광표시부를 갖는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100978759B1 (ko) * 2010-04-02 2010-08-30 박준남 친환경 합성목재 제조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0046B2 (ja) 1996-05-29 2002-09-30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複合材料着色用マスターバッチ
KR100917375B1 (ko) 2009-02-17 2009-09-16 주식회사비에스아이앤디 축광표시부를 갖는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100978759B1 (ko) * 2010-04-02 2010-08-30 박준남 친환경 합성목재 제조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064A (ko) 201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0014C (en) Photoluminescent emergency egress accessory
US20090145059A1 (en) Safety nosing components and manufacturing methods
US8534009B2 (en) Safety nosing components and manufacturing methods
KR101760236B1 (ko) 논슬립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CN101532331A (zh) 具有互锁设计的地板覆盖物
KR100917375B1 (ko) 축광표시부를 갖는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101038356B1 (ko) 변형 및 미끄럼 방지용 합성목재
KR101482588B1 (ko) 탄성ㆍ축광 특성을 갖는 탄성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
KR101415607B1 (ko) 쿠션기능형 합성목재데크 및 이의 생산장치
KR100947888B1 (ko) 보행도로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도로 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KR101398427B1 (ko) 미끄럼 방지 및 시인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28358B1 (ko) 축광부와 논슬립부가 동시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계단용 논슬립의 제조방법
KR101792710B1 (ko) 축광칩이 포설된 개량형 블록 및 이의 생산방법
KR20230086530A (ko) 합성목재 데크
KR20150125534A (ko) 탄성ㆍ축광 특성을 갖는 탄성 포장재 시공 방법
JPH0322321Y2 (ko)
JP3192723U (ja) 床板材
JP2007146619A (ja) 型製品
KR200392388Y1 (ko) 축광 미끄럼 방지 테이프
US20200198204A1 (en) Extrusion apparatus for producing an edge guard for floor coverings
JP2007162336A (ja) 標識を備えた階段ブロック
KR20090001709U (ko) 축광기능을 갖는 합성목재 데크 및 벤치
KR200311084Y1 (ko) 쿳션재 사출물이 부착된 보도블럭
JP3165662U (ja) 蓄光タイル
KR20090101669A (ko) 축광 보도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16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411

Effective date: 2017060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