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983B1 -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제조물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제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983B1
KR101759983B1 KR1020160017051A KR20160017051A KR101759983B1 KR 101759983 B1 KR101759983 B1 KR 101759983B1 KR 1020160017051 A KR1020160017051 A KR 1020160017051A KR 20160017051 A KR20160017051 A KR 20160017051A KR 101759983 B1 KR101759983 B1 KR 101759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hape
molding
molding material
inj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미
Original Assignee
(주)성창스크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창스크랩 filed Critical (주)성창스크랩
Priority to KR1020160017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4Heating or cooling press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7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briquetting scrap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철을 재료로 사용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을 제조하는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제조물이 개시된다. 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는 제1 금속이 포함된 성형재료가 주입되도록 마련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주입된 성형재료를 분쇄하는 분쇄부; 내부에 제1 금형이 마련되어, 상기 분쇄된 성형재료가 상기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되도록, 제1 압력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부; 상기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 내부에 제2 금형이 마련되어,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성형물이 상기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되도록, 제2 압력으로 가압하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을 사출하는 사출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가격이 저렴한 고철을 이용하여 기준 비중에 적합하고,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을 제조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웨이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성형물을 제조하는 시간이 단축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의 생산효율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성형물의 비중을 향상시키고 성형물의 표면이 산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제조물{Manufacturing device for formed goods for elevator weight, method using the same and the product manufactured by the device}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제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철을 재료로 사용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을 제조하는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제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에 설치되어 승객이나 화물을 실어 나르는 엘리베이터 승강기에는 무게로 기능을 조정하는 웨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엘리베이터의 웨이트는 일체형 케이스를 만들고, 이 케이스에 콘크리트와 모래. 비중이 있는 금속 및 금속 산화물을 혼합하여 만들어진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웨이트를 콘크리트와 모래, 금속 및 금속 산화물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종래의 기술은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의 내부에 충진되는 시멘트 혼합물을 기준 비중에 적합하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고가의 재료를 사용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고철은 철이 포함된 금속 중 오래되어 사용할 수 없는 덩어리 또는 조각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고철은 가격이 저렴하고, 비중이 크기 때문에, 고철을 주물 재료로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웨이트를 구성하는 주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기준 비중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해 고철을 완전히 녹이고, 이를 일정한 틀에 넣어 성형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 중 고철을 완전히 녹이는 과정에서 고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 때문에 고철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웨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널리 이용되지는 않고 있다.
다만, 한국등록특허 제10-1216047 "엘리베이터용 웨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와 같이 폐철 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었지만 이 역시 내부에 시멘트 혼합물이 충진되어 그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크지 못하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고철을 녹이는 과정을 대체함으로써, 고철을 엘리베이터의 웨이트를 제조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의 내부에 시멘트 혼합물이 충진되는 방법 또는 고철을 완전히 녹여 엘리베이터의 웨이트를 제조하는 방법들의 제조비용에 비해 제조비용이 절감시킬 수 있는 방안의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16047 "엘리베이터용 웨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격이 저렴한 고철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을 제조하되, 고철을 완전히 용융(melting)시키는 것이 아니라 분쇄된 고철에 가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고, 성형물의 표면만 용융시킨 상태로 다시 가압하여 기준 비중에 적합하고,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을 제조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웨이터를 제조하는 제조비용을 크게 경감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는 제1 금속이 포함된 성형재료가 주입되도록 마련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주입된 성형재료를 분쇄하는 분쇄부; 내부에 제1 금형이 마련되어, 상기 분쇄된 성형재료가 상기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되도록, 제1 압력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부; 상기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 내부에 제2 금형이 마련되어,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성형물이 상기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되도록, 제2 압력으로 가압하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을 사출하는 사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이 주입되는 일측에서 상기 성형물이 배출되는 타측으로 이송되도록 마련되는 이송 모듈; 및 상기 이송되는 성형물이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온도로 가열되도록 마련되는 가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된 성형재료가 주입되는 일측에서 상기 분쇄된 성형재료가 상기 제1 가압부로 배출되는 타측으로 상기 성형재료를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서 배출된 상기 성형재료가 상기 제1 금형에 주입되도록 하되, 상기 제1 금형에 주입된 성형재료의 양이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이송부의 동작을 중단하도록 하는 이송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금형에 주입된 성형재료의 양을 측정하는 제1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모듈로부터 수신된 상기 성형재료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주입된 성형재료의 양이 기설정된 범위에 도달한 것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주입된 성형재료의 양이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송부가 상기 제1 금형에 상기 성형재료를 주입하는 동작을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출부는, 상기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이 주입되도록 마련된 주입구;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성형물이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어 사출되도록 마련된 사출구; 및 상기 주입구와 상기 사출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이송되는 성형물이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팬;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상기 성형물이 상기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되도록, 상기 제2 압력으로 가압하는 경우에, 상기 가압된 성형물이 상기 제2 금형에 유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성형물과 구성성분이 다른 제2 금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방법은, 호퍼부를 통해 제1 금속이 포함된 성형재료가 주입되는 단계; 분쇄부가 상기 주입된 성형재료를 분쇄하는 단계; 제1 가압부가 상기 분쇄된 성형재료가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되도록, 제1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 가열부가 상기 가압된 성형물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제2 가압부가 상기 가열된 성형물을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되도록, 제2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 및 사출부가 상기 가압된 성형물을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물은, 상술된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이에 의해, 가격이 저렴한 고철을 이용하여 기준 비중에 적합하고,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을 제조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웨이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고철을 완전히 녹여 성형하는 것이 아니고 고철을 가압하여 제조한 성형물의 표면만을 용융시키기 때문에 성형물을 제조하는 시간이 단축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의 생산효율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철의 표면이 용융된 상태에서 다시 가압함으로써, 성형물의 비중을 향상시키고 성형물의 표면이 산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의 가열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의 사출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웨이터를 제조하는 제조비용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도록 제1 금속이 포함된 성형재료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을 제조하되, 제1 금속을 완전히 용융(melting)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1 금속을 가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고, 성형물의 표면만 용융시킨 상태로 다시 가압하여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는, 호퍼부(100), 분쇄부(200), 이송부(300), 제1 가압부(400), 가열부(500), 제2 가압부(600), 사출부(7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호퍼부(100)는 제1 금속이 포함된 성형재료가 분쇄부(200)로 주입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여기서 제1 금속은 가격이 저렴한 고철을 의미한다.
분쇄부(200)는 호퍼부(100)로부터 주입된 성형재료가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분쇄부(200)는 호퍼부(100)의 하측에 마련되고, 복수의 회전 칼날 부재가 구비되어 주입된 성형재료가 3~5cm의 일정한 크기로 분쇄할 수 있다.
이송부(300)는 분쇄부(200)에서 분쇄된 성형재료를 제1 가압부(400)로 이송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이송부(300)는 분쇄부(200)에서 분쇄된 성형재료가 주입되는 일측에서 제1 가압부(400)로 배출되는 타측으로 성형재료를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부(300)는 별도로 마련된 지지 프레임(P)이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압부(400)는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성형재료를 제1 압력으로 가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압부(400)는 내부에 제1 금형이 마련되어, 성형재료가 제1 금형에 주입되면,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되도록 제1 압력으로 가압한다.
이때 제1 가압부(400)는, 성형물의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비중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금형에 주입된 성형재료에 30㎫ 내지 50㎫의 압력인 제1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압부(400)는 30㎫ 미만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경우, 성형물의 내부에 공기층이 과도하게 형성되어 엘리베이터용 웨이트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비중을 얻을 수 없으며, 50㎫을 초과하는 압력을 가하는 경우, 필요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됨으로써, 제1 가압부(400)를 동작시키기 위해 발생되는 비용이 제1 압력으로 가압시키는 경우보다 과도하게 발생되어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3a는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10a)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10a)은 적층이 가능하도록 상측 및 하측이 평평하도록 형성되고, 성형물(10a)의 좌측 및 우측은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까지 두께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500)는 제1 가압부(400)에서 제조된 성형물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가열부(500)는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10a)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온도로 가열하여 성형물의 표면이 용융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부(500)는 성형물의 표면이 용융되도록 1500℃ 이상의 온도인 제1 온도로 가열할 수 있으며, 성형물을 가열하는 시간을 기설정된 시간으로 제한함으로써, 성형물이 과도하게 용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성형물을 가열함으로써 발생하는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여기서 성형물은 철의 융점인 1537℃ 이상의 온도가 되도록 가열해야 하지만, 성형물은 순수한 철이 아닌 불순물(비금속 또는 비철금속)이 포함된 고철임을 고려하여 성형물을 150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성형물의 표면을 융용시키도록 한다.
또한, 가열부(500)는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10a)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온도로 가열하되, 가열된 성형물을 제2 가압부(600)로 이송할 수 있다.
제2 가압부(600)는 가열부(500)에서 가열된 성형물을 제2 금형에 주입하고, 제2 압력으로 가압하여 제1 가압부(400)에서 제조된 성형물보다 비중이 크고, 표면의 산화가 억제될 수 있는 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2 가압부(600)는 내부에 제2 금형이 마련되어, 표면이 용융된 상태로 제2 금형에 주입된 성형물을 10㎫ 내지 20㎫의 압력인 제2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성형물의 표면에 형성된 공기층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가압부(400)에서 제조된 성형물보다 비중이 큰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그리고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10b)은 폭, 길이 및 두께가 각각 125㎜, 710㎜ 및 55㎜인 경우, 적어도 35kg 이상의 중량을 갖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압부(600)는, 성형물의 표면이 용융된 상태에서 다시 가압됨으로써, 성형물의 표면이 산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압부(600)는 표면이 융용된 상태의 성형물을 가압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1 가압부(400)에서 가압하는 압력의 크기(제1 압력)보다 작은 크기의 압력(제2 압력)으로 성형물을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제2 가압부(600)는 성형물의 표면이 용융된 상태에서 다시 가압하는 경우에, 가압된 성형물이 제2 금형에 유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금속이 포함된 성형물과 구성성분이 다른 제2 금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금속은 망간과 같이 철과 용융점이 달라 용융된 상태의 철을 가압하더라도 가압된 철이 유착되지 않는 금속을 의미한다.
도 3b는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10b)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10b)은 상술한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10a)과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10a)과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10b)을 비교해보면,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10b)은 표면이 용융된 상태에서 다시 가압됨으로써,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10a)에 비해 표면의 공기층 및 내부의 공기층이 제거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출부(700)는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을 사출하기 위해 마련된다. 다만, 사출부(700)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에서 설명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는 이송부(300)를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분쇄부(200)에서 배출된 성형재료가 이송부(300)를 통해 제1 가압부(400)로 이송되도록 하여, 이송부(300)에서 배출된 성형재료가 제1 금형에 주입되도록 하되, 제1 금형에 주입된 성형재료의 양이 기설정된 범위에 도달하면, 이송부(300)의 동작을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 가압부(400)에서 제조된 성형물이 가열부(500)로 이송되면, 다시 이송부(300)가 분쇄부(200)에서 배출된 성형재료를 제1 가압부(400)로 이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가압부(400)는 전술한 제1 금형 이외에, 제1 금형에 주입되는 성형재료의 양을 측정하는 제1 감지 모듈 및 제1 가압부(400)에서 제조된 성형물이 배출된 것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감지 모듈은 제1 금형에 주입되는 성형재료의 양을 성형재료의 무게로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제1 감지 모듈로부터 수신된 성형재료의 무게를 기반으로 제1 금형에 주입된 성형재료의 양이 기설정된 범위에 도달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송부(300)가 제1 금형에 성형재료를 주입하는 동작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감지 모듈은, 제1 금형에 주입된 성형재료가 제1 압력으로 가압되어 성형물이 제조되는 경우에, 제조된 성형물이 배출되면, 제조된 성형물이 배출된 것을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는 관리자가 직접 이송부(300)의 동작을 제어하지 않아도, 이송부(300)의 동작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관리자의 업무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의 가열부(50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웨이터용 성형물 제조장치의 가열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부(500)는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10a)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온도로 가열하여 성형물(10a)의 표면이 용융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가열부(500)는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10a)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온도로 가열하되, 가열된 성형물(10a)을 제2 가압부(600)로 이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열부(500)는 이송 모듈(510), 가열 모듈(520) 및 온도 감지 모듈(530)을 포함한다.
이송 모듈(510)은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10a)이 주입되는 일측에서 성형물(10a)이 배출되는 타측으로 성형물(10a)을 이송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이송 모듈(510)은 복수의 이송 부재가 마련되고, 각각의 이송 부재가 회전함으로써, 성형물(10a)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가열 모듈(520)은 이송 모듈(510)에 의해 이송되는 성형물(10a)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온도로 가열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가열 모듈(520)이 전기유도 고주파기로 구현되는 경우, 성형물(10a)의 표면이 용융되도록 1500℃ 이상의 온도인 제1 온도로 가열할 수 있으며, 성형물(10a)을 가열하는 시간을 1분 이내의 시간이 바람직하다.
이는 성형물(10a)을 가열하는 시간을 1분 이내의 시간으로 제한함으로써, 성형물(10a)이 과도하게 용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성형물(10a)을 가열함으로써 발생하는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면, 가열 모듈(520)이 연속로로 구현되는 경우, 성형물(10a)의 표면이 용융되도록 1500℃ 이상의 온도인 제1 온도로 가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성형물(10a)을 가열하는 시간은 3분 내지 5분의 시간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열 모듈(520)이 연속로로 구현되는 경우, 성형물(10a)을 가열하는 시간이 3분 미만이면, 성형물(10a)의 표면이 충분히 용융되지 못하여 제2 가압부(600)에서 제2 압력으로 가압하더라도, 가압된 성형물(10a)이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성형물(10a)을 가열하는 시간이 5분을 초과하면, 성형물(10a)이 과도하게 용융될 수 있다.
그리고 가열 모듈(520)이 연속로로 구현되는 경우, 가열 모듈(520)이 성형물(10a)을 이송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어 이송 모듈(510)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이송 모듈(510)과 가열 모듈(520) 하나의 모듈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온도 감지 모듈(530)은 가열 모듈(520)에 의해 가열되는 성형물(10a)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온도 감지 모듈(530)은 성형물이 이송 모듈(510)에 의해 이송되며, 가열 모듈(520)에 의해 가열되는 경우, 가열되는 성형물(10a)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온도 감지 모듈(530)로부터 수신된 결과를 기반으로 측정된 성형물(10a)의 표면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송 모듈(510)의 동작을 중단하고, 이송 모듈(510)의 동작이 중단된 상태에서 성형물(10a)의 표면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 모듈(520)이 성형물을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도 감지 모듈(530)은 1500℃ 이상의 높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고온 측정용 온도 감지 모듈(530)로 마련되어야 한다. 다만, 고온 측정용 온도 감지 모듈(53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의 사출부(70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의 사출부(700)는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이 주입되면, 주입된 성형물을 공기를 공급하여 성형물을 냉각시키고, 냉각된 성형물을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출부(700)는 주입구(710), 이송 모듈(미도시), 냉각팬(720) 및 사출구(730)를 포함한다.
주입구(710)는 사출부(700)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2 가압부(600)에서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이 주입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송 모듈(미도시)은 주입구(710)를 통해 주입된 성형물이 사출구(730)로 이송되어 사출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냉각팬(720)은 이송 모듈(미도시)에 의해 이송되는 성형물에 공기를 공급하여 성형물이 냉각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냉각팬(720)은 사출부(700)의 성형물이 이송되는 이송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주입구(710) 및 사출구(730)가 형성된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마련된다.
사출구(730)는 냉각팬(720)을 통해 냉각된 성형물이 사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이송 모듈(미도시) 및 냉각팬(720)의 동작은 제어부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어부는 사출부(700)의 이송 모듈(미도시)에 의해 성형물이 이송되는 동안만 냉각팬(720)이 공기를 공급하여 이송되는 성형물이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는 사출부(700)의 이송 모듈(미도시)에 의해 성형물이 기설정된 위치까지 이송되도록 하고, 이송 모듈(미도시)의 동작이 완료되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 냉각팬(720)이 공기를 공급하여 성형물이 냉각되도록 하고, 냉각팬(720)의 동작이 완료되면, 다시 이송 모듈(미도시)이 동작하여 냉각된 성형물이 사출구(730)를 통해 사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방법은 엘리베이터의 웨이터를 제조하는 제조비용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도록 제1 금속이 포함된 성형재료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을 제조하되, 제1 금속을 완전히 용융(melting)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1 금속을 가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고, 성형물의 표면만 용융시킨 상태로 다시 가압하여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호퍼부(100)를 통해 제1 금속이 포함된 성형재료가 주입되면(S310), 분쇄부(200)가 주입된 성형재료를 분쇄시킨다(S315).
그리고 성형재료가 분쇄되면, 분쇄된 성형재료가 이송부(300)를 통해 이송되어 제1 가압부(400) 내부에 마련된 제1 금형에 주입된다(S320).
이때, 제1 가압부(400)는 주입된 성형재료의 양을 측정하여 이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제어부는 제1 가압부(400)로부터 수신된 성형재료의 양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제1 금형에 주입된 성형재료의 양이 기설정된 범위에 도달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325), 제1 금형에 주입된 성형재료의 양이 기설정된 범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S325-Y), 이송부(300)의 동작이 중단되도록 한다(S330).
그리고 제어부는 제1 가압부(400)가 주입된 성형재료를 제1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한다(S335).
제1 가압부(400)에서 제1 압력으로 가압하여 제조된 성형물은 가열부(500)를 통해 제2 가압부(600)로 이송되되,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온도로 가열되어 성형물의 표면이 용융되도록 한다(S340).
이때, 가열부(500)는 성형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여 이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제어부는 가열부(500)로부터 수신된 성형물의 표면 온도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성형물의 표면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345), 성형물의 표면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S345-Y), 가열부(500)가 성형물의 이송을 중단하고, 제1 온도로 성형물을 가열하도록 하고(S350), 성형물의 표면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 미만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S345-N), 성형물이 제2 가압부(600)로 이송되도록 한다(S355).
제2 가압부(600)는 성형물이 이송되어 제2 금형에 주입되면, 성형물을 제2 압력으로 가압하고(S365), 제2 가압부(600)에서 배출된 성형물은 사출부(700)를 통해 사출될 수 있다(S315).
이를 통해 본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방법은 엘리베이터의 웨이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성형물을 제조하는 시간이 단축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의 생산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성형물의 표면이 산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성형물
100 : 호퍼부 200 : 분쇄부
300 : 이송부 400 : 제1 가압부
500 : 가열부 510 : 이송 모듈
520 : 가열 모듈 530 : 온도 감지 모듈
600 : 제2 가압부 700 : 사출부
710 : 주입구 720 : 냉각팬
730 : 사출구

Claims (8)

  1. 제1 금속이 포함된 성형재료가 주입되도록 마련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주입된 성형재료를 분쇄하는 분쇄부;
    내부에 제1 금형이 마련되어, 상기 분쇄된 성형재료가 상기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되도록, 제1 압력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부;
    상기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
    내부에 제2 금형이 마련되어,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성형물이 상기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되도록, 제2 압력으로 가압하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을 사출하는 사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이 주입되는 일측에서 상기 성형물이 배출되는 타측으로 이송되도록 마련되는 이송 모듈; 및
    상기 이송되는 성형물이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온도로 가열되도록 마련되는 가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성형재료가 주입되는 일측에서 상기 분쇄된 성형재료가 상기 제1 가압부로 배출되는 타측으로 상기 성형재료를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서 배출된 상기 성형재료가 상기 제1 금형에 주입되도록 하되, 상기 제1 금형에 주입된 성형재료의 양이 기설정된 범위에 도달하면 상기 이송부의 동작을 중단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금형에 주입된 성형재료의 양을 측정하는 제1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모듈로부터 수신된 상기 성형재료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주입된 성형재료의 양이 기설정된 범위에 도달한 것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주입된 성형재료의 양이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송부가 상기 제1 금형에 상기 성형재료를 주입하는 동작을 중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
  5. 제1 금속이 포함된 성형재료가 주입되도록 마련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주입된 성형재료를 분쇄하는 분쇄부;
    내부에 제1 금형이 마련되어, 상기 분쇄된 성형재료가 상기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되도록, 제1 압력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부;
    상기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
    내부에 제2 금형이 마련되어,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성형물이 상기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되도록, 제2 압력으로 가압하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을 사출하는 사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부는,
    상기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이 주입되도록 마련된 주입구;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성형물이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어 사출되도록 마련된 사출구; 및
    상기 주입구와 상기 사출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이송되는 성형물이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상기 성형물이 상기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되도록, 상기 제2 압력으로 가압하는 경우에, 상기 가압된 성형물이 상기 제2 금형에 유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성형물과 구성성분이 다른 제2 금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
  7. 호퍼부를 통해 제1 금속이 포함된 성형재료가 주입되는 단계;
    분쇄부가 상기 주입된 성형재료를 분쇄하는 단계;
    제1 가압부가 상기 분쇄된 성형재료가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되도록, 제1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
    가열부가 상기 가압된 성형물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제2 가압부가 상기 가열된 성형물을 제2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되도록, 제2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 및
    사출부가 상기 가압된 성형물을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단계는,
    상기 가열부에 의해, 상기 제1 금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이 주입되는 일측에서 상기 성형물이 배출되는 타측으로 이송되되, 상기 이송되는 성형물이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방법.
  8. 삭제
KR1020160017051A 2016-02-15 2016-02-15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제조물 KR101759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051A KR101759983B1 (ko) 2016-02-15 2016-02-15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제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051A KR101759983B1 (ko) 2016-02-15 2016-02-15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제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983B1 true KR101759983B1 (ko) 2017-07-20

Family

ID=5944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051A KR101759983B1 (ko) 2016-02-15 2016-02-15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제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9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000A (ja) * 2000-04-28 2001-11-13 Ntn Corp 研削スラッジの固形化物製造装置
KR101572027B1 (ko) * 2014-10-27 2015-11-25 (주) 엠에스지엠 금속 스크랩 압축물 제조 설비의 스크랩 정량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000A (ja) * 2000-04-28 2001-11-13 Ntn Corp 研削スラッジの固形化物製造装置
KR101572027B1 (ko) * 2014-10-27 2015-11-25 (주) 엠에스지엠 금속 스크랩 압축물 제조 설비의 스크랩 정량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75000B (zh) 一种对重块热压成型工艺
KR101428507B1 (ko) 폐 알루미늄캔 및 알루미늄 칩을 이용한 제강용 탈산제 제조방법
CN107866980A (zh) Pp共挤发泡厚板挤出生产线
CN101519797B (zh) 晶体碎料拉制硅芯的方法及实施该方法的一种装置
JP2002046136A (ja) 加熱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TW200609360A (en) Improved recycling method for al-b4c composite materials
JP2015000404A (ja) 溶湯充填装置および方法
KR101759983B1 (ko)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성형물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제조물
KR101598356B1 (ko) 합성수지 블록의 제조시스템
KR20160081781A (ko)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시스템
JP2010162784A (ja) 複合木材の製造方法
KR20150142661A (ko) 합성수지와 비중체를 이용한 중량체 및 그 제조장치
CN207709849U (zh) 铸粒机
KR20130110591A (ko) 브리켓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브리켓 제조 방법
KR100967606B1 (ko) 강도가 향상된 강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208084906U (zh) 一种塑料袋生产用挤塑机
JP5775343B2 (ja) 高発泡プラスチック成型体のリサイクル方法
KR100937239B1 (ko) 금속가루 압축 성형 장치
KR101366049B1 (ko) 분쇄된 폐 알루미늄 캔을 트윈 롤러에 의해 압착박편으로 성형하는 제조장치
KR20090061773A (ko) 금속칩 압축 성형장치 및 압축 성형방법
JP4296064B2 (ja) 廃プラスチック処理装置
CN105714127A (zh) 一种铜杆连铸连轧生产工艺
KR20130013613A (ko) 연원료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91750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주물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제조물
JPH11337041A (ja) 廃棄物溶融スラグの鋳造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