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434B1 - 상이한 전력 소스들로부터 전력을 획득할 수 있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상이한 전력 소스들로부터 전력을 획득할 수 있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434B1
KR101759434B1 KR1020160043591A KR20160043591A KR101759434B1 KR 101759434 B1 KR101759434 B1 KR 101759434B1 KR 1020160043591 A KR1020160043591 A KR 1020160043591A KR 20160043591 A KR20160043591 A KR 20160043591A KR 101759434 B1 KR101759434 B1 KR 101759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identification device
communication protocol
interface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1445A (ko
Inventor
토마스 마렉
얀 비착
이리 콜만
페트르 빌리
Original Assignee
이엠. 마이크로일레크트로닉-마린 쏘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엠. 마이크로일레크트로닉-마린 쏘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이엠. 마이크로일레크트로닉-마린 쏘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60121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12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triggering distinct operating modes or functions dependent on the strength of an energy or interrogation field in the proximity of the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6K19/0724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the arrangement being a circuit for communicating at a plurality of frequencies, e.g. for managing time multiplexed communication over at least two antennas of different ty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66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comprising at least a second communication arrangement in addition to a first non-contact communication arrangement
    • G06K19/0776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comprising at least a second communication arrangement in addition to a first non-contact communication arrangement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eans being two different antennas types, e.g. dipole and coil type, or two antennas of the same kind but operating at different frequ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H04B5/0037
    • H04B5/0062
    • H04B5/006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5Transpo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상이한 전력 소스들로부터 전력을 획득할 수 있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 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프로토콜 관리 방법은 적어도 각각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 시에 제 1 또는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들의 수신을 감시하기 위한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에 대한 제 1 필드 검출기 및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에 대한 제 2 필드 검출기를 포함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 중에, 대응하는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이 대응하는 필드 검출기에 의해 더 이상 검출되지 않는 한편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요청된 전력 레벨 이상으로 유지되면,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은 중지되고 식별 디바이스는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식별 디바이스가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 대응하는 필드 검출기는 대응하는 인터로게이션 필드가 다시 수신되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및 만약 그렇다면,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재시작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대응하는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을 계속 감시한다.

Description

상이한 전력 소스들로부터 전력을 획득할 수 있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PROTOCOL MANAGEMENT METHOD FOR A PASSIVE RF IDENTIFICATION DEVICE WHICH CAN HARVEST POWER FROM DIFFERENT POWER SOURCES}
본 발명은 제 1 주파수로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 (interrogation field) 를 전송하는 적어도 제 1 리더로부터 그리고 제 1 주파수와는 상이한 제 2 주파수로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를 전송하는 독립적인 제 2 리더로부터 전력을 획득하도록 배열된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 (RF identification device; RFID) 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디바이스는 RFID 트랜스폰더 또는 RFID 태그라고도 명명되고, 카드 또는 임의의 다른 휴대용 디바이스, 예를 들어, 손목시계에 통합될 수 있다.
특히, 식별 디바이스는 제 1 리더로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도록 배열된 제 1 인터페이스 및 제 2 리더로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또한, 식별 디바이스는, 제 1 인터페이스가 활성 상태에 있고 제 1 통신 프로토콜이 실행되는 동안에 제 2 리더가 이러한 식별 디바이스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제 2 인터페이스가 활성 상태에 있고 제 2 통신 프로토콜이 실행되는 동안에 제 1 리더가 이러한 식별 디바이스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된 발전기를 포함한다.
국제 특허 출원 제 WO 2011/159171 호는 UHF 안테나를 포함하는 UHF 인터페이스, 및 LF 안테나와 HF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중 주파수 LF-HF 인터페이스를 갖는 수동 RFID 트랜스폰더를 설명한다. 이중 주파수 LF-HF 인터페이스는 IP-X 프로토콜을 수행하며, 여기서 LF 복조기 및 HF 변조기가 이용된다. 이중 주파수 LF-HF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이중 주파수 리더로 통신하고자 한다는 것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수동 RFID 트랜스폰더는 양자 모두 이러한 트랜스폰더에 대한 전력 공급을 생성할 수 있는 UHF 정류기 및 LF 정류기를 더 포함한다. 좀더 특히, 어느 것이 가장 큰 신호를 전달하는지에 따라 발전기로서 LF 정류기 또는 UHF 정류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결정 회로가 제공된다. 식별 디바이스는 그 자체의 발전기로부터, 적어도 UHF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을 위한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및 IP-X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을 위한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을 필요로 한다.
수동 RFID 트랜스폰더는 UHF 로직 유닛, IP-X 로직 유닛, 및 단일의 공유 비휘발성 메모리 (EEPROM) 에 의해 형성된 디지털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트랜스폰더는 어떤 종류의 리더들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응답하도록 배열된다. 어떤 에너지 소스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그리고 에너지 소스의 강도에 따라, 디지털 제어기는 UHF 로직 유닛 또는 IP-X 로직 유닛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선택하고, 각각 UHF 프로토콜, IP-X 프로토콜, 또는 양자 모두를 실행한다.
RFID 트랜스폰더는 1 개의 또는 2 개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시작하기 전에 UHF 통전 신호 (energizing signal) 및 LF 통전 신호의 존재를 각각 검출할 수 있는 UHF 검출기 및 LF 검출기를 형성하는 검출기 회로를 포함한다. 문서 제 WO 2011/159171 호는 트랜스폰더가 제 1 UHF 리더의 필드 또는 제 2 DF 리더 (DF 는 이러한 LF-HF 의 경우에, 이중 주파수에 대해 이용된다) 의 필드에 진입하며, 뿐만 아니라 트랜스폰더가 제 1 리더의 필드 및 제 2 리더의 필드에 동시에 진입하는 상이한 상황들만을 고려한다. UHF 리더 및 DF 리더가 존재하는 마지막 경우에, 트랜스폰더는 UHF 필드 또는 LF 필드 또는 양자 모두로부터 전력 업할 수도 있다. 트랜스폰더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트랜스폰더로 하여금, UHF 통전 필드 또는 LF 통전 필드, 또는 양자 모두에 노출된 동안에, 수신된 통전 필드(들)로부터 자동으로 전력 업하고, 제 1 리더 또는 제 2 리더 또는 이들 양자 모두로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서는 트랜스폰더가 전력-다운 (power-down) 상태에 있고 그 다음에, 트랜스폰더가 전력 업하는 것을 야기하는 하나의 필드 또는 다른 필드 또는 양 필드들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진입하는 경우만을 고려한다. 수동 트랜스폰더들에서는 일반적이기 때문에, POR 기능 (Power_ON Reset) 은 이러한 트랜스폰더의 전력-다운 상태와 (전력-온 (power_ON) 상태라고도 명명되는) 전력-업 (power-up) 상태 사이에서 변화가 일어난 것을 검출하고, 하나의 프로토콜 또는 다른 프로토콜 또는 양자 모두의 실행을 시작하기 전에 이러한 트랜스폰더를 재설정하도록 구현된다.
문서 제 WO 2011/159171 호는, 예를 들어, 필드들 중 하나의 필드가 사라지고 다른 필드는 사라지지 않는 상황들을 무시한다. 이러한 문서는,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에 개입하는 인터로게이션 필드가 갑자기 더 이상 트랜스폰더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 동안에 트랜스폰더가 전력-업 / 전력_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2 개의 리더들이 식별 디바이스에 각각의 통전 필드들을 동시에 제공하면서 적어도 그것들 중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는 사실과 관련된 일부 문제들은 고려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우선 상이한 그리고 독립적인 리더들과 통신하도록 지정되는 수동 다중-주파수 트랜스폰더들과 연관된 새로운 문제들의 하이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RFID 제품의 개발의 프레임에서, 발명자들은 위에서 언급된 선행 기술의 트랜스폰더에 대한 주요 문제를 제시했다. 사실, 선행 기술 문서는 전력-다운 상태에 있고 그 다음에 2 개의 리더들의 하나의 필드 또는 다른 필드 또는 양 필드들을 수신하여 이러한 트랜스폰더와 통신할 수 있는 트랜스폰더를 고려한다. 트랜스폰더가 전력 업하는 경우, 전력_온 신호 및 통전 필드(들)가 검출되는 결과로서 이러한 트랜스폰더는 재설정되고 하나의 또는 2 개의 인터페이스(들)가 실행되고 하나의 또는 2 개의 대응하는 프로토콜(들)이 실행된다. 따라서, 단일 주파수 트랜스폰더들로 구현되기 때문에, 통신 프로토콜을 시작하는 것은 트랜스폰더의 POR 기능에 의해 항상 트리거링된다.
문서 제 WO 2011/159171 호는 다음의 상황들을 분석하지 않고, 다음의 대응하는 문제들을 해결하지 않는다:
A) 제 1 기간에, 트랜스폰더는 인터로게이션 필드들 양자 모두를 수신하고 양 리더들로부터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제 1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 동안에, 트랜스폰더는, 예를 들어, 트랜스폰더 또는 리더가 이동했기 때문에 대응하는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를 더 이상 수신하지 않고, 다른 리더로부터 통전 필드를 여전히 수신하나 이러한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더를 더 이상 정확하게 수신하지는 않는다. 그러한 경우에, 대응하는 제 1 리더가 전력-다운 상태에 있는 트랜스폰더를 구동하기 위해 제 1 리더의 통전 필드를 전송하는 것을 중지할지라도, 이러한 트랜스폰더는, 다른 리더의 통전 필드가 여전히 트랜스폰더에 전력을 공급하여, 트랜스폰더가 전력-다운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연속하여 계속 기다릴 것이다. 제 1 통신 프로토콜은 따라서 임의의 단계에서 중지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보호된 데이터가 레지스터에 유지될 수 있는 대응하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추가적인 리더에 비휘발성 메모리의 보호된 워드들에 대한 액세스가 쉽게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그러한 상황은 따라서 문제가 될 수 있다.
B) 포인트 A) 에서 설명된 상황에서, 제 1 리더는 트랜스폰더를 전력-다운하기 위해 제 1 리더의 통전 필드의 새로운 전송을 중지하고, 그 다음에, 소정의 시간 간격 후에, 평소와 같이, 트랜스폰더를 전력-업하고 트랜스폰더의 POR 기능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제 1 리더의 통전 필드를 전송하는 것을 다시 시작함으로써,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시작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그러한 종래의 절차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이 제 1 프로토콜의 초기 상태에서 구동되지 않아 이러한 프로토콜의 새로운 실행을 가능하게 하도록 중간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그러한 상황은 긴 시간 동안, 적어도 다른 리더가 그것의 통전 필드를 제공하는 것을 중지할 때까지 지속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다른 리더가 그것의 통전 필드를 전송하는 것을 중지할 경우, 제 1 리더는 이미 트랜스폰더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을 수 있고 POR 기능은 따라서 아직 실행되지 않을 것이다.
C) 트랜스폰더는 2 개의 독립적인 리더들과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스폰더가 먼저 양 리더들에 의해 전력-업되면, 트랜스폰더는 재설정될 것이고 프로토콜들 양자 모두가 구성될 것이다. 그러면, UHF 프로토콜 및 UHF 리더의 제 1 실행이 턴 오프된 후에, DF 리더는 공유 NVM 에 일부 데이터, 특히 UHF 프로토콜 구성 또는 특정 프로토콜 / 모드 선택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하는데 이용된다. 소정의 시간의 기간 후에, UHF 프로토콜이 새로운 실행을 위해 준비되었다고 가정하면, UHF 리더는 턴 온되고 새로운 실행이 일어난다. 그러한 새로운 실행이 여전히 예전 UHF 프로토콜 구성으로 행해질 것이기 때문에, 트랜스폰더가 POR 기능을 트리거링하는 연속적인 전력-다운 단계 및 전력-업 단계 후에 재설정되지 않고 재구성되지 않아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위에서 확인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앞에서 주어진 유형의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을 고려하는데, 여기서 식별 디바이스는, 이러한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을 감시하기 위해 적어도 제 1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 중에 활성화되는,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에 대한 제 1 필드 검출기, 이러한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을 감시하기 위해 적어도 제 2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 중에 활성화되는,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에 대한 제 2 필드 검출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식별 디바이스는 그것의 발전기로부터의 제 1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을 위한 적어도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및 제 2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을 위한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을 필요로 한다. 제 1 및 제 2 통신 프로토콜들 중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 중에, 대응하는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 또는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는 대응하는 제 1 필드 검출기 또는 제 2 필드 검출기에 의해 더 이상 검출되지 않지만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은 대응하는 제 1 또는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으로 유지되면,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은 중지되고 식별 디바이스는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이러한 대기 상태는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대응하는 제 1 또는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으로 유지되는 상태이다. 식별 디바이스가 제 1 또는 제 2 통신 프로토콜과 연관된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 대응하는 제 1 또는 제 2 필드 검출기는 이러한 대응하는 제 1 또는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가 식별 디바이스에 의해 다시 수신되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그리고 그러한 경우라면, 이러한 제 1 또는 제 2 통신 프로토콜의 재시작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대응하는 제 1 또는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을 계속 감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관리 방법 덕분에, 다른 리더로부터의 다른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으로 인해, RF 식별 디바이스의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대응하는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으로 유지되는 동안에 통신 프로토콜은 대응하는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이 통신 프로토콜 중에 중지되는 경우 더 이상 불확정 상태 또는 중간 상태로 있지 않을 것이다. 그 다음에, 관계된 통신 프로토콜의 재시작은 RF 식별 디바이스의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대응하는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 그러한 재시작이 대응하는 필드 검출기의 검출 신호에 의해서만 트리거링될 것이기 때문에 RF 식별 디바이스의 POR 신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통신 프로토콜의 끝에, 통신 프로토콜이 중지되고 이러한 리더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로게이션 필드를 중단함으로써 통신 프로토콜의 최초 상태로 되돌아갈 필요가 있다고 대응하는 리더가 나타내는 경우, 트랜스폰더는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대기 상태로 구동될 것이며, 이로부터 트랜스폰더는 리더가 그것의 인터로게이션 필드를 제공하는 것을 재시작할 경우 통신 프로토콜의 새로운 실행을 개시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신 프로토콜은 식별 디바이스가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에 재설정된다.
특정 변형예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화된다. 특히,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의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는 대응하는 필드 검출기가 활성으로 유지되는 동안에 비활성화된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전력 온된 후에, 디바이스 구성이 실행되고 각각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초기 프로토콜 구성이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의 제 1 실행 전에 및/또는 동안에 실행된다. 그 다음에, 식별 디바이스가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대기 상태를 벗어나는 경우, 및/또는 식별 디바이스가 상기 대기 상태를 벗어난 후에, 대응하는 필드 검출기가 대응하는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을 다시 검출하기 때문에, 통신 프로토콜의 재-초기화 절차가 실행된다. 제 1 주요 변형예에서, 그러한 재-초기화 절차는 식별 디바이스가 이러한 대기 상태를 벗어나는 경우 자동적인 방식으로 완전히 실행되는데, 즉, 이러한 재-초기화 절차는 대응하는 필드 검출기에 의해 트리거링되고 그것의 시작은 대기 상태를 벗어나는 이벤트를 정의한다. 제 2 주요 변형예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이러한 대기 상태를 벗어나는 경우, 재-초기화 절차의 적어도 일부분이 적어도 대응하는 리더에 의해 수신된 커맨드와 관련하여 행해지며, 이러한 식별 디바이스는 재-초기화 절차의 적어도 일부분을 실행하기 위해 그러한 커맨드를 기다린다.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통신 프로토콜의 재-초기화 절차는 대응하는 대기 상태에 진입하는 경우에 이미 행해지지 않았다면,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의 재설정, 및 프로토콜 재구성을 포함한다. 특정 변형예에서, 프로토콜 구성은 실질적으로 초기 프로토콜 구성에 대응한다.
특정 변형예에서, 디바이스 구성에 개입하고 통신 프로토콜과 관련된 데이터는 재-초기화 절차 중에 다시 판독되며, 특히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허용된 통신 모드들 및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프로토콜 재선택에 관한 데이터의 판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의 재-로딩은 특히 초기화 절차의 초기 단계 중에 행해진다. 그러나, 재-초기화 절차는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이 대기 상태 중에 비활성되는 경우 통신 프로토콜이 먼저 활성화되는 초기 단계를 가질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제 1 주파수는 UHF 범위 내에 있고,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제 2 주파수는 HF 범위 내에 있다. 주요 변형예에서, 제 1 통신 프로토콜은 EPC 표준에 따르고 제 2 통신 프로토콜은 NFC 표준에 따른다.
본 발명은 예로 주어졌고 제한하는 것이 아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속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되며, 여기서:
-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이중 주파수 및 이중 프로토콜 RF 식별 디바이스의 개략적 표현이고;
- 도 2 는 도 1 의 식별 디바이스에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관리 방법의 일 실시형태의 블록도이다.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프로토콜 관리 방법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된 수동 HF-UHF 식별 디바이스 (2) 가 우선 설명될 것이다. 식별 디바이스 (2) 는 또한 UHF 전자기장을 수신하기 위한 UHF 안테나 (4), UHF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8) (UHF analog front end; UHF AFE) 에 의해 형성된 UHF 인터페이스 (6), 및 전역 로직 회로 (12) 의 일부분인 UHF 로직 유닛 (10) (프로토콜_1 로직 유닛) 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2) 는 또한 HF 전자기장을 수신하기 위한 HF 안테나 (14), HF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18) (HF analog front end; HF AFE) 에 의해 형성된 HF 인터페이스 (16), 및 역시 로직 회로 (12)의 일부분인 HF 로직 유닛 (20) (프로토콜_2 로직 유닛) 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2) 는 비휘발성 메모리 수단 (26), 로직 회로 (12) 에 의해 지원되는 디바이스 재설정 수단, 공급 전압 (Vsup) 을 제공하는 발전기 (22), 및 전력 관리 유닛 (24) 을 더 포함한다. UHF 인터페이스는 UHF 프로토콜 (프로토콜_1) 을 수행하기 위해 배열되고, HF 인터페이스는 HF 프로토콜 (프로토콜_2) 을 수행하기 위해 배열된다. 비휘발성 메모리 수단은 적어도 제 1 비휘발성 메모리 (28) (1st NVM) 및 제 2 비휘발성 메모리 (30) (2nd NVM) 에 의해 형성된다. 로직 회로 (12) 는 인터페이스들 (6 및 16) 양자 모두에 공통이거나 이러한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 전용인 동작들, 뿐만 아니라 전력 관리 유닛 및 비휘발성 메모리들, 및 더불어 주로 UHF 프로토콜과 관련되는 지속성 플래그들 (32) 과 관련되는 일반적인 기능들을 지원한다. 이러한 지속성 플래그들은 아날로그 회로의 일부분이고 커패시터들에 의해 형성된다.
발전기는 수동 디바이스 (2) 가 HF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인입 HF 전자기장으로부터 그리고 UHF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인입 UHF 전자기장으로부터 전력을 획득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발전기는 수신된 UHF 인터로게이션 필드에 대한 제 1 정류 수단 및 수신된 HF 인터로게이션 필드에 대한 제 2 정류 수단을 포함한다. 발전기 및 전력 관리 유닛은 적어도 제 1 정류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전력이 제 2 정류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전력보다 높은 경우에 제 1 정류 수단이 디바이스에 공급 전압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전력 관리 유닛은 적어도 발전기의 출력에서 이용가능한 전력이 소정의 결정된 전력 레벨들에 도달했는지를 검출하고 로직 회로 (12) 에 이러한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 배열되는데, 즉, 이러한 전력 관리 유닛은 발전기가 수동 디바이스 (2) 에 제공할 수 있는 전력 레벨이 적어도 소정의 미리 정의된 임계치들에 도달했는지를 감지한다. 제 1 변형예에서, 발전기는 HF 인터로게이션 필드 및 UHF 인터로게이션 필드 양자 모두가, 어느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었는지에 관계 없이, 동시에 수동 디바이스에 공급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제 2 변형예에서, 전력 관리 유닛은 제 1 정류기 및 제 2 정류기 중에서 어느 정류기가 보다 높은 전력을 전달하는지를 결정하고 수동 디바이스 (2) 에 공급하기 위한 이러한 정류기를 선택한다.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수동 식별 디바이스 (2) 는 제 2 비휘발성 메모리 (30) (2nd NVM) 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으면서 제 1 비휘발성 메모리 (28) (1st NVM) 에 전력이 공급되고 활성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UHF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판독 모드에서 1st NVM 에만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다. 1st NVM 은 판독 모드에서 실질적으로 제 1 전력을 소비하고, 2nd NVM 은 판독 모드에서 실질적으로 제 1 전력보다 높은 제 2 전력을 실질적으로 소비한다. 그런 취지로, 1st NVM (28) 은 2nd NVM (30) 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는다. 예를 들어, 1st NVM 은 오직 576 비트만을 가지고 2nd NVM 은 2688 비트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실시형태에서, 제 1 비휘발성 메모리 (28) 는 디바이스 구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 1 비휘발성 메모리 (28) 는 일반적으로 프로토콜_1 이라고 명명되는, 적어도 UHF 프로토콜의 주어진 통신 모드의 구성에 필요한 모든 속성들을 더 포함한다.
전력 관리 유닛은 적어도:
- 발전기에 의해 제공되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UHF 프로토콜 (프로토콜_1) 의 통신 모드에 대해 요구되는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 발전기에 의해 제공되고 실질적으로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보다 높은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을 검출하도록 배열되며, 이러한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은, 식별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일반적으로 프로토콜_2 로 명명되는, 주어진 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에 대해 요구된다.
주어진 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는 제 2 비휘발성 메모리 (30) 에 액세스하며, 이는 따라서 이러한 통신 모드가 활성인 경우 전력이 공급될 필요가 있다. 적어도 HF 프로토콜 (프로토콜_2) 의 통신 모드의 최종 구성 단계에 대해 필요한 속성들이 2nd NVM 에 저장된다.
디바이스는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인 경우 프로토콜_1 의 초기 구성 및 그 다음에 이러한 프로토콜_1 의 제 1 실행을 가능하게 하도록 더 배열된다. 마지막으로, 디바이스는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인 경우에만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와 함께 HF 인터페이스의 완전한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된다.
식별 디바이스는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인 경우 디바이스 재설정 수단이 활성화되고 그 다음에 초기 디바이스 구성이 실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되며, 이러한 단계들은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에 대해 식별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종래의 POR 기능에 의해 생성된 POR 신호에 의해 트리거링된다. 그 다음에, 이러한 UHF 프로토콜의 초기 재설정 후에 UHF 프로토콜의 초기 구성이 실행되는데, 이러한 초기 구성은 자동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UHF 인터로게이션 필드가 UHF 필드 검출기 (36) 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만 행해진다.
본 발명의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의 주요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러한 식별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제 1 주파수로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를 전송하는 제 1 리더로부터 그리고 제 1 주파수와 상이한 제 2 주파수로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를 전송하는 독립적인 제 2 리더로부터 전력을 획득하도록 배열되며, 이러한 식별 디바이스는 제 1 리더로 제 1 통신 프로토콜 (프로토콜_1) 을 수행하도록 배열된 제 1 인터페이스 및 제 2 리더로 제 2 통신 프로토콜 (프로토콜_2) 을 수행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이러한 식별 디바이스는 제 1 인터페이스가 활성 상태에 있고 제 1 통신 프로토콜이 실행되는 동안에 제 2 리더가 이러한 식별 디바이스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제 2 인터페이스가 활성 상태에 있고, 제 2 통신 프로토콜이 실행되는 동안에 제 1 리더가 이러한 식별 디바이스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된 발전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식별 디바이스는 발전기로부터 적어도 제 1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을 위한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및 적어도 제 2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을 위한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 식별 디바이스는 이러한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을 감시하기 위해 / 모니터링하기 위해 적어도 제 1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 중에 활성화되는,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에 대한 제 1 필드 검출기 (36), 이러한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을 감시하기 위해 / 모니터링하기 위해 적어도 제 2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 중에 활성화되는,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에 대한 제 2 필드 검출기 (38) 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물에 따른,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의 일반적인 실시형태는, 제 1 및 제 2 통신 프로토콜들 중에서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 중에,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대응하는 제 1 또는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으로 유지되는 동안에 대응하는 제 1 필드 검출기 (36) 또는 제 2 필드 검출기 (38) 에 의해 대응하는 제 1 또는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이 더 이상 검출되지 않으면,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은 중지되고 식별 디바이스는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대기 상태는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대응하는 제 1 또는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으로 유지되는 상태이다. 식별 디바이스가 언급된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 대응하는 제 1 또는 제 2 필드 검출기는 이러한 대응하는 제 1 또는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가 식별 디바이스에 의해 다시 수신되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그리고 그러한 경우라면, 이러한 관련된 통신 프로토콜의 재시작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대응하는 제 1 또는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을 계속 감시 / 모니터링한다.
본 개시물의 프로토콜 관리 방법의 주요 실시형태 및 다양한 변형예들은 도 2 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설명될 것이다.
연관된 리더들 중 적어도 하나의 리더의 인터로게이션 필드에 진입하기 전에, 식별 디바이스 (2) (이후에서 트랜스폰더라고도 명명됨) 는 전력-다운 상태에 있다. 이러한 리더들 중 적어도 하나의 리더의 통신 공간으로 진입하는 경우, 트랜스폰더 (2) 는 발전기 (22) 에 공급할 적어도 하나의 인터로게이션 필드를 수신하기 시작할 것이고, 이러한 발전기는 그 다음에 트랜스폰더를 활성화시키기에 충분히 높아, 이러한 트랜스폰더가 초기 상태 '디바이스 전력_온 (Device P_ON)' 에 있도록 하는, 적어도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을 제공한다고 우리는 가정한다. 종래의 POR 기능은 그러면 우선 트랜스폰더를 재설정하는 로직 회로 (12) 를 활성화시킨다. 그 다음에, 트랜스폰더는 단계 '디바이스 구성' 에서 구성되며, 여기서 특히, UHF 발진기를 트리밍하고 전압 기준 및 전류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1st NVM (28) 에서의 트리밍 값들이 판독된다. 이러한 디바이스 구성은 존재한다면 디스플레이 등에 대한 통신 모드들 또는 허용된 프로토콜들의 선택을 위해, 트랜스폰더에 의해 요구되는 보안 레벨과 관련되는 추가적인 기능들, 예를 들어, 비밀번호 요건과 또한 관련된다.
디바이스 구성 후에 또는 중에, 트랜스폰더는 가능한 프로토콜들 (프로토콜_1 및 프로토콜_2) 중 임의의 하나의 프로토콜에 의해 요구되는 전력 레벨이 가능한지를 검사하기 위해 전력 레벨을 감지한다. 다음에서, 우리는 일반적인 프로토콜_1 의 경우를 가정한다. 요구되는 전력 레벨에 도달되기 전에, 프로토콜은 오프이다, 즉, 비-활성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또는 연관된 비휘발성 메모리들의 일부 부분들은 이미 활성화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대응하는 인터페이스가 프로토콜_1 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전력이 없다. 프로토콜_1 에 대한 요구되는 전력 레벨이 전력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후에, 도 2 의 추가적인 설명에서 가정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프로토콜_1 은 온 (전력_온 상태) 이고 활성화된다 (그러한 활성화는, 특히 액세스하기 위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소정의 NVM 에 의해 단계별로 행해질 수 있다). 그 다음에, 프로토콜_1 초기 구성이 실행되고 이러한 프로토콜_1 에 따른 통신이 일어난다 (프로토콜_1 의 실행). 전력_온 에서 프로토콜 활성화 후에 다양한 변형예들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는 UHF-EPC 프로토콜 및 HF-NFC 프로토콜의 설명 후에 보다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예들 중에서, 우리는 다음의 변형예들을 이미 언급할 수 있다:
A) 프로토콜_1 전력_온이 검출되는 경우, 특히 연관된 인터페이스에서 프로토콜_1 을 완전히 활성화함으로써 트랜스폰더는 대응하는 필드 검출기에 의해 대응하는 인터로게이션 필드가 검출되는지를 검사한다;
B) 프로토콜_1 을 완전히 활성화하기 전에, 초기 구성의 제 1 단계가 이미 실행될 수도 있다;
C) 프로토콜_1 의 초기 구성은 전력_온의 검출의 결과로서 자동으로 시작할 수도 있고, 적어도 최종 단계에 대해, 대응하는 인터로게이션 필드를 전송하는 연관된 리더로부터의 커맨드를 요구할 수도 있다.
D) 이러한 초기 구성은 그러한 검출이 프로토콜_1 활성화를 위해 이미 구현된 경우에 대응하는 인터로게이션 필드가 대응하는 필드 검출기에 의해 여전히 검출되는 경우에만, 또는 활성화가 전력_온 검출에 의해서만 트리거링된 경우에 대응하는 인터로게이션 필드가 대응하는 필드 검출기에 의해 처음 검출되면 실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초기 프로토콜 구성은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의 제 1 실행의 전에 및/또는 중에 실행된다.
적어도 프로토콜_1 통신의 실행 중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미 초기 구성의 중에, 대응하는 필드 검출기는 트랜스폰더에 의한 이러한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이 계속 진행 중인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대응하는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존재를 계속 감지한다.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이 유지되면, 프로토콜_1 의 실행은 정상적으로 계속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신이 더 이상 검출되지 않으면, 트랜스폰더는 프로토콜_1 에 대해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우리는 프로토콜_1 에 대한 전력_온 상태가 여전히 유효하다고 계속 가정한다.
유리한 변형예에 따르면, 트랜스폰더가 프로토콜_1 에 대해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에 프로토콜_1 은 재설정된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트랜스폰더가 프로토콜_1 에 대해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프로토콜_1 을 수행하는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화된다. 제 1 변형예에서,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의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AFE) 는 대응하는 필드 검출기가 활성으로 유지되는 동안에 비활성화된다. 제 2 변형예에서, 트랜스폰더가 프로토콜_1 에 대해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의 로직 유닛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화된다.
정의된 대기 상태는 연관된 프로토콜이 활성화되고 그것의 전력_온 상태에 있을 수 있는 상황에 관한 것임에 유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대기 상태 및 비-활성화 상태 (프로토콜 전력_오프) 는 관련된 프로토콜에 대한 전력_온 검출의 논리적 상태에 의해서만 구별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토콜이 전력_오프 검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화되고, 그 다음에 각각의 새로운 전력_온 검출에서, 항상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를 거치고 이러한 프로토콜의 구성을 실행할 수 있도록 종래의 트랜스폰더가 배열될 수도 있기 때문에 그러한 차이는 매우 관련이 있다. 이는 부분적 비활성화를 의미하며, 새로운 활성화 및 뒤따르는 구성은, 프로토콜 전력_온 상태에서 프로토콜 전력_오프 상태로, 각각 전력_오프 상태로부터 전력_온 상태로의 각각의 전이에서, 종래의 트랜스폰더들에서 전력 레벨 검출에 의해 트리거링된다. 그러나, 대기 상태로 진입하기 전에 그리고 대기 상태에서는, 전력_온 상태로부터 전력_오프 상태로, 각각 전력_오프 상태로부터 전력_온 상태로의 전이가 없기 때문에 전력_오프 / 전력_온 검출이 없다. 따라서, 관련된 대기 상태 중에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대응하는 요구되는 전력 레벨 아래로 떨어지면 트랜스폰더는 해당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다.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다시 요구되는 전력 레벨 이상이면 트랜스폰더는 이러한 비-활성 상태를 벗어난다.
주요 실시형태에 따르면, 대응하는 필드 검출기가 대응하는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을 다시 검출한 후에 식별 디바이스는 프로토콜_1 과 연관된 대기 상태를 벗어나고, 식별 디바이스가 이러한 대기 상태를 벗어나는 경우 및/또는 식별 디바이스가 대기 상태를 벗어난 후에 프로토콜_1 의 재-초기화 절차가 실행된다.
일반적으로,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에 그러한 재설정이 이미 행해지지 않았으면 프로토콜_1 의 재-초기화 절차는 이러한 프로토콜_1 의 재설정을 포함한다. 그러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프로토콜 재구성이 실행된다. 제 1 변형예에서, 프로토콜 재구성은 앞서 언급된 초기 프로토콜 구성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제 2 변형예에서, 재-초기화 절차는 초기 프로토콜 구성에 부분적으로 대응하며, 관련된 통신 프로토콜의 일부 속성들은 관련된 대기 상태 중에 식별 디바이스에 의해 유지되고, 이러한 관련된 대기 상태 중에 재프로그래밍되지 않는다면, 또는 그러한 관련된 대기 상태 중에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재프로그래밍이 가능하지 않다면 다시 판독되지 않는다.
특정 변형예에서, 디바이스 구성에 개입하고 해당 통신 프로토콜에 관련된 데이터는 재-초기화 절차, 특히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허용된 통신 모드들 (특히 '뮤트 모드') 에 관한 데이터의 재-로딩 또는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프로토콜 선택 중에 다시 판독된다 (특히 프로토콜과 연관된 '킬 (kill)' 비트의 판독).
트랜스폰더가 관련된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프로토콜_1 의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화되었으며, 재-활성화 절차 중에, 특히 이러한 재-초기화 절차의 초기 단계에서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다시 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는 이중 주파수 및 이중 프로토콜 트랜스폰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트랜스폰더는 UHF 범위 내의 제 1 주파수를 갖는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를 전송하는 제 1 리더 및 HF 범위 내의 제 2 주파수를 갖는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를 전송하는 독립적인 제 2 리더와 통신할 수 있다. 트랜스폰더는 제 1 리더로 EPC 표준 (EPC 프로토콜) 에 따라 제 1 통신 프로토콜 및 제 2 리더로 NFC 표준 (NFC 프로토콜) 에 따라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실행하도록 배열된다. 다음으로, 도 1 의 트랜스폰더 (2) 에 대한 각각 EPC 프로토콜, NFC 프로토콜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의 구현의 일부 특정 특징들이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다음에서, 프로토콜_1 은 도 1 에서 EPC 프로토콜에 대응하고 프로토콜_2 는 NFC 프로토콜에 대응한다. 그러나, EPC 프로토콜 또는 NFC 프로토콜, 또는 EPC 와 NFC 프로토콜들 양자 모두에 대해, 적용가능한 경우, 도 2 를 참조하여 프로토콜_1 에 대해 앞서 주어진 사상은 유효하다.
트랜스폰더 (2) 에서, 디바이스 전력_온에 대한 전력 레벨은 EPC 프로토콜의 제한된 통신 모드의 실행을 위해 요구되는 전력 레벨 (EPC 전력_온) 과 동일하다. 따라서, 디바이스 전력-온에서, 트랜스폰더 (2) 는 재설정되고 디바이스 구성이 그 다음에 실행된다. EPC 프로토콜의 제한된 통신 모드는 그 다음에 활성화되고 (UHF 인터페이스 및 1st NVM (28) 만이 활성화된다) EPC 프로토콜의 초기 구성이 직접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특정 변형예에서, 이러한 초기 구성은 EPC 전력_온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전력_온 검출에 의해 트리거링된다. 2nd NVM (30) 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EPC 확장된 통신 모드는 전력 검출 수단에 의해 역시 검출될, 보다 높은 전력 레벨에서 일어날 수 있다. 트랜스폰더 (2) 는, NVM 들에 더해, EPC 프로토콜의 실행 중에 주기적으로 재충전되어야 하는, 커패시터들에 의해 형성된 지속성 플래그들을 포함한다. 트랜스폰더 (2) 가 EPC 프로토콜과 관련된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이러한 지속성 플래그들의 재충전은 디스에이블되고 EPC 프로토콜은 재설정된다. UHF 인터로게이션 필드가 새롭게 검출되는 경우, 트랜스폰더는 EPC 프로토콜에 대해 대기 상태를 벗어나고 이러한 EPC 프로토콜에 대한 재-초기화 절차가 그 다음에 자동으로 실행된다.
EPC 재-초기화 절차에서, EPC 프로토콜은 그것의 초기 상태로 설정되고 EPC 프로토콜의 재구성이 행해진다. 이러한 EPC 재구성은 EPC 초기 구성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따라서, EPC 재구성은 1st NVM (28) 과 관련된 메모리 락 비트들, 2nd NVM (30) 과 관련된 공유 락 비트들, 및 더불어 이러한 NVM 들에 대한 안티-테어링 (anti-tearing) 보호 상태 비트들을 판독 / 재-로딩하기 위해 특히 (EPC 프로토콜에 특정한) 새로운 저장된 CRC 를 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락 비트들 및 상태 비트들은 EPC 프로토콜에 대한 대기 상태 중에 NFC 프로토콜을 통해 수정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2nd NVM (30) 과 관련된 공유 락 비트들 및 안티-테어링 보호 상태 비트들은 2nd NVM 에 액세스하기 위한 특정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리프레시될 수 있다는 것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확장된 통신 모드에 있어서, EPC 재구성의 일부분은 확장된 통신 모드가 구현되기 바로 전에 행해진다. 또한, 이러한 공유 락 비트들 및 상태 비트들의 리프레시는, 충분한 전력이 이용가능한 경우, 2nd NVM 에 액세스하기 위한 각각의 요청 시에, 특히 그러한 요청에 의해 관련된 2nd NVM 의 부분에 대해 행해질 수 있으며, 이는 또한 확장된 통신 모드의 초기 구성의 프레임의 경우일 수도 있다.
NFC 프로토콜과 관련하여, 그러한 실행을 위해 요구되는 전력 레벨이 이용가능한 경우에 (NFC 전력_온) HF 인터페이스는 NFC 프로토콜의 활성화 후에 NFC 통신을 실행할 준비가 되었으며, NFC 전력_온은 EPC 전력_온보다 실질적으로 더 높다. 따라서, NFC 프로토콜 /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는 트랜스폰더 전력_온 검출 다음에 소정의 시간의 기간 후에 일어날 수도 있다. NFC 프로토콜의 초기 구성 (구체적으로 이러한 NFC 프로토콜과 관련된 속성들) 은, 그러면, 특히 이러한 NFC 리더의 응답의 전송 중에, 2nd NVM (30) 에 있는 NFC 프로토콜의 특정 속성들을 판독함으로써 연관된 NFC 리더로부터의 제 1 요청의 수신 후에만 행해진다.
HF-프로토콜 (NFC 프로토콜) 에 대한 대기 상태에서, 적어도 HF 인터페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비활성화된다. 그 다음에, 특정 변형예에서, 이러한 NFC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HF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제 2 비휘발성 메모리 (30) 는 또한 식별 디바이스가 NFC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 이러한 2nd NVM 이 그 시점에서 확장된 UHF 통신 모드를 실행하는 UHF 통신 인터페이스와 공유되지 않으면 바람직하게는 비활성화된다. 다른 변형예에서, 2nd NVM 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는 대기 상태로 진입하거나 벗어남으로써 트리거링되지 않고, 활성화는 또한 이러한 2nd NVM 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하거나 확장된 UHF 통신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UHF 커맨드에 의해 트리거링되지 않고, 발전기가 제공할 수 있는 전력 레벨에 의해서만 트리거링된다. 이러한 마지막 경우에, 발전기가 제공할 수 있는 전력 레벨이 (앞서 언급된)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과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 사이의 제 3 결정된 전력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 2nd NVM 은 활성화되고 전력 레벨이 다시 제 3 결정된 전력 레벨, 각각 제 2 전력 레벨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활성인 상태로 유지된다. 식별 디바이스가 NFC 대기 상태에 진입했을 때 HF 인터페이스 및/또는 2nd NVM 이 비활성화된 경우, 재-초기화 절차의 한 단계로서, 식별 디바이스가 이러한 NFC 대기 상태를 벗어난 경우에 또는 식별 디바이스가 이러한 NFC 대기 상태를 떠난 후에, 즉, 디바이스가 재-초기화 절차의 다른 초기 단계, 예를 들어, 특히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와 관련된 부분적 재구성을 실행할 수 있는 소정의 지연 또는 시간 기간 후에, HF 인터페이스 및 2nd NVM 은 다시 활성화될 것이다. 이러한 부분적 재구성이 NFC 통신 모드가 '뮤트' 로 전환되었다고 나타내면 (뮤트 모드에서, 식별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HF 필드는 통전 필드로서만 이용된다), 식별 디바이스는 NFC 프로토콜에 대한 계속 진행 중인 재-초기화 절차를 중지하고, 일반적으로 NFC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시킬 것이다.
NFC 대기 상태를 벗어난 후에 그리고 재-초기화 절차의 제 1 단계들이 실행된 후에 (통신 모드 선택 또는 실제 허용된 프로토콜(들)에 대한 구성 데이터의 판독, NFC 인터페이스 및 NFC 프로토콜을 가정한 2nd NVM 의 활성화가 실행될 수 있다), 식별 디바이스는 HF-NFC 리더로부터 제 1 요청 (1st command) 을 기다린다. 그러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NFC 프로토콜은 이러한 NFC 프로토콜의 속성들을 판독 / 재-로딩함으로써 더 재구성될 것이고, NFC 프로토콜은 더 실행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속성들은 (2nd NVM 과 관련된) 메모리 락 비트들, 및 (1st NVM 과 관련된) 공유 락 비트들, 뿐만 아니라 안티-테어링 보호 상태 비트들이다. 이러한 재구성의 마지막 단계는 식별 디바이스의 전력_온 후에 NFC 통신 프로토콜의 제 1 실행 중에 일어나는 초기 구성과 일반적으로 동일하다. 일반적인 경우에, 이러한 재구성의 마지막 단계는 관련 프로토콜의 초기 구성과 부분적으로 상이할 수 있다.
UHF 필드 검출기 및 HF 필드 검출기는 UHF 정류기 뒤에, 각각 HF 정류기 뒤에 배열된 주파수 검출기 (주파수 판별기) 에 의해 제 1 변형예로 또는 전압 검출기에 의해 제 2 변형예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압 검출기는 주어진 전압 레벨에 도달했는지를 검출한다). 특정 변형예에서, 필드 검출기는 또한 캐리어 주파수의 소정의 변조가 일어나는 것을 보여주는 프리앰블 검출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Claims (18)

  1. 제 1 주파수로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 (interrogation field) 를 전송하는 제 1 리더 (reader) 로부터 그리고 상기 제 1 주파수와는 상이한 제 2 주파수로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를 전송하는 독립적인 제 2 리더로부터 전력을 획득하도록 배열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 (2) 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식별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리더로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도록 배열된 제 1 인터페이스 (6) 및 상기 제 2 리더로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 (16) 를 구비하고, 상기 식별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가 활성 상태에 있고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이 실행되는 동안에 상기 제 2 리더가 상기 식별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가 활성 상태에 있고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이 실행되는 동안에 상기 제 1 리더가 상기 식별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배열된 발전기 (22) 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 디바이스는 상기 발전기로부터 적어도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을 위한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및 적어도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을 위한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을 필요로 하고;
    상기 식별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을 감시하기 위해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 중에 적어도 활성화되는 상기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에 대한 제 1 필드 검출기 (36), 및 상기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을 감시하기 위해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 중에 적어도 활성화되는 상기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에 대한 제 2 필드 검출기 (38)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 및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 중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 중에, 상기 발전기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이 대응하는 상기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또는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으로 유지되는 한편 대응하는 상기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 또는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이 대응하는 상기 제 1 필드 검출기 또는 제 2 필드 검출기에 의해 더 이상 검출되지 않는 경우, 해당 통신 프로토콜은 중지되고 상기 식별 디바이스는 해당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대기 (Standby) 상태로 진입하며, 상기 대기 상태는 상기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상기 대응하는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및 상기 대응하는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으로 유지되는 상태이고;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상기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대응하는 제 1 필드 검출기 또는 제 2 필드 검출기는, 상기 대응하는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 또는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을 계속 감시하여, 상기 대응하는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 또는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가 상기 식별 디바이스에 의해 다시 수신되는지를 검출하고, 검출되는 경우, 상기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의 재시작을 트리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은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해당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상기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에 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대응하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또는 대응하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상기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에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대응하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또는 대응하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상기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에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제 1 인터페이스 또는 제 2 인터페이스의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는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상기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대응하는 제 1 필드 검출기 또는 제 2 필드 검출기가 활성으로 유지되는 동안에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제 1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대응하는 제 2 인터페이스의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는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상기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대응하는 제 1 필드 검출기 또는 제 2 필드 검출기가 활성으로 유지되는 동안에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제 1 인터페이스 또는 제 2 인터페이스의 로직 유닛은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상기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상기 대응하는 제 1 인터페이스 또는 제 2 인터페이스와 연관되고, 상기 식별 디바이스의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 및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 외에 추가적인 활성 통신 프로토콜과 공유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상기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에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상기 제 1 주파수는 UHF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은 EPC 표준에 대응하며, 상기 식별 디바이스는 상기 EPC 표준에 따른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의 실행 중에 주기적으로 재충전되는 커패시터들에 의해 형성되는 지속성 플래그들 (32)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속성 플래그들의 재충전은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상기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에 디스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디바이스는 상기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상기 대기 상태 중에 상기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상기 대응하는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또는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식별 디바이스는 상기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다시 상기 대응하는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또는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비-활성화 상태를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11.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전력 온된 후에, 디바이스 구성 (configuration) 이 실행되고,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 및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 중에서 각각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초기 프로토콜 구성은 해당 통신 프로토콜의 제 1 실행 전에 및/또는 중에 실행되며; 상기 식별 디바이스는 상기 대응하는 제 1 필드 검출기 또는 제 2 필드 검출기가 상기 대응하는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 또는 상기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수신을 다시 검출한 후에 상기 대기 상태를 벗어나고; 상기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의 재시작 절차는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상기 대기 상태를 벗어나는 경우에 및/또는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상기 대기 상태를 벗어난 후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의 재시작 절차는, 상기 대기 상태로 진입할 때 이미 행해지지 않은 경우, 해당 통신 프로토콜의 재설정, 및 프로토콜 재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재구성은 초기 프로토콜 구성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시작 절차는 초기 프로토콜 구성에 대응하고, 해당 통신 프로토콜의 일부 속성들은 상기 대기 상태 중에 상기 식별 디바이스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대기 상태 중에 재프로그래밍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대기 상태 중에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재프로그래밍이 가능하지 않는 경우 다시 판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구성에 개입하고 상기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과 관련되는 데이터는 상기 재시작 절차 중에 다시 판독되고, 상기 데이터의 판독은 상기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허용된 통신 모드들 또는 상기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과 관련된 프로토콜 선택에 대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또는 제 2 인터페이스는 재-초기화 절차 중에 다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상기 제 1 주파수는 UHF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제 2 인터로게이션 필드의 상기 제 2 주파수는 HF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은 EPC 표준에 따르고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은 NFC 표준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KR1020160043591A 2015-04-10 2016-04-08 상이한 전력 소스들로부터 전력을 획득할 수 있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KR101759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63111.6 2015-04-10
EP15163111.6A EP3079104B1 (en) 2015-04-10 2015-04-10 Protocol management method for a passive rf identification device which can harvest power from different power sour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445A KR20160121445A (ko) 2016-10-19
KR101759434B1 true KR101759434B1 (ko) 2017-07-31

Family

ID=5299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591A KR101759434B1 (ko) 2015-04-10 2016-04-08 상이한 전력 소스들로부터 전력을 획득할 수 있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079104B1 (ko)
JP (1) JP6279646B2 (ko)
KR (1) KR101759434B1 (ko)
CN (1) CN106059629B (ko)
TW (1) TWI7129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7637B (zh) * 2018-06-01 2023-08-01 X开发有限责任公司 智能跟踪系统及其方法和系统
US11715060B2 (en) 2019-05-31 2023-08-01 X Development Llc Intelligent tracking system and methods and systems therefor
KR102230980B1 (ko) * 2019-07-08 2021-03-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클라이언트-서버 간 메시지 전달을 위한 연결 제어 방법 및 장치
EP3876155B1 (en) 2020-03-02 2023-02-22 Nxp B.V. Rfid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n rfid device
CN111711240B (zh) * 2020-06-24 2023-08-08 江西联智集成电路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设备的测试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3273A1 (en) 2010-04-29 2011-11-10 Jun Liu Methods and Apparatus of a Multi-Frequency RFID System
US20110285511A1 (en) 2009-06-12 2011-11-24 Impinji, Inc. Dual-frequency rfid tag with isolated inputs
WO2011159171A2 (en) 2010-06-11 2011-12-22 Trident Rfid Pty Ltd A transponder, rfid system and methods of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43030A1 (en) * 2004-01-30 2008-06-27 Agency Science Tech & Res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US7245220B2 (en) * 2004-05-27 2007-07-17 Sap Aktiengesellschaft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controller
JP2006099324A (ja) * 2004-09-29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接触カード
FR2901435B1 (fr) * 2006-05-16 2008-08-08 Ask Sa Dispositif sans contact radiofrequence comportant plusieurs antennes et circuit de selection d'antennes associe
JP5073379B2 (ja) * 2007-06-27 2012-11-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非接触電子装置
TW201118744A (en) * 2009-11-16 2011-06-01 Univ Ishou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N102467678B (zh) * 2010-11-16 2015-04-22 北京中电华大电子设计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双频通讯机制的射频sim卡
JP5821216B2 (ja) * 2011-03-01 2015-11-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電源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214317B (zh) * 2011-05-24 2013-08-21 刘健哲 兼具nfc和2.4g双频段通讯的智能卡及双频段通讯系统
CN103077365B (zh) * 2012-12-28 2016-04-13 广州中大微电子有限公司 兼容Type A和Type B协议的RFID阅读器
US9287718B2 (en) * 2013-03-01 2016-03-1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oreign object detection parameter and charging data communication with wireless charging capable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85511A1 (en) 2009-06-12 2011-11-24 Impinji, Inc. Dual-frequency rfid tag with isolated inputs
US20110273273A1 (en) 2010-04-29 2011-11-10 Jun Liu Methods and Apparatus of a Multi-Frequency RFID System
WO2011159171A2 (en) 2010-06-11 2011-12-22 Trident Rfid Pty Ltd A transponder, rfid system and methods of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6007917A2 (pt) 2022-08-30
JP2016201110A (ja) 2016-12-01
KR20160121445A (ko) 2016-10-19
JP6279646B2 (ja) 2018-02-14
EP3079104B1 (en) 2018-01-10
TW201706915A (zh) 2017-02-16
CN106059629B (zh) 2019-03-12
CN106059629A (zh) 2016-10-26
EP3079104A1 (en) 2016-10-12
TWI712958B (zh)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1992B1 (en) Protocol management method for a passive RF identification device which can harvest power from different power sources
KR101759434B1 (ko) 상이한 전력 소스들로부터 전력을 획득할 수 있는 수동 rf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토콜 관리 방법
KR101759431B1 (ko) 특히 수동형의 이중 주파수 hf-uhf 식별 디바이스
US8830035B2 (en)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for an RFID reader
EP1762960B1 (en) Synchronization techniques in multi-technology/multi-frequency RFID reader arrays
JP2008129988A (ja) 情報アクセス・システム、読取り書込み装置およびアクティブ型非接触情報記憶装置
US921027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US9542631B2 (en) Dual frequency HF-UHF identification device, in particular of the passive type
US2019012195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tarting the same
US10735053B2 (en) Boosted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WO2016180645A1 (en) Rfid transponder, rfid transponder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an rfid transponder and a reading device
WO2019042260A1 (zh) 上电控制方法、ap芯片及移动终端
JP2003044801A (ja) 複数の情報伝達手段を備えた可搬情報処理装置
BR102016007917B1 (pt) Método de gerenciamento de protocolos para um dispositivo de identificação de rf passivo
KR102600446B1 (ko) 단일 안테나 구조의 생체인식 센서가 탑재된 rf 통신 디바이스 및 이에 대한 rf 통신 모듈 제어방법
US9735840B2 (en) Beacon comprising multiple communication interfaces with secure deactivation/reactivation
CN115665714B (zh) 近场通信的方法和装置、主控设备、nfc芯片和nfc设备
JP5280812B2 (ja) 通信システム
JP7398809B2 (ja) コンピュータロック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ロックシステムの動作方法
CN115884144A (zh) 近场通信的方法和装置、nfc芯片和nfc设备
JP2011070402A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JP201311842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アクティブタ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