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431B1 - 특히 수동형의 이중 주파수 hf-uhf 식별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특히 수동형의 이중 주파수 hf-uhf 식별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431B1
KR101759431B1 KR1020160039187A KR20160039187A KR101759431B1 KR 101759431 B1 KR101759431 B1 KR 101759431B1 KR 1020160039187 A KR1020160039187 A KR 1020160039187A KR 20160039187 A KR20160039187 A KR 20160039187A KR 101759431 B1 KR101759431 B1 KR 101759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hf
volatile memory
protocol
configuration
pow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960A (ko
Inventor
이리 콜만
고란 스토야노비치
토마스 마렉
Original Assignee
이엠. 마이크로일레크트로닉-마린 쏘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엠. 마이크로일레크트로닉-마린 쏘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이엠. 마이크로일레크트로닉-마린 쏘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60118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66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comprising at least a second communication arrangement in addition to a first non-contact communication arrangement
    • G06K19/0776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comprising at least a second communication arrangement in addition to a first non-contact communication arrangement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eans being two different antennas types, e.g. dipole and coil type, or two antennas of the same kind but operating at different frequ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04B5/0025
    • H04B5/0062
    • H04B5/006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5Transpo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being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interrogation of grouped or bundled articles tagged with wireless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8General problems related to the reading of electronic memory record carriers, independent of its reading method, e.g. powe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1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 G06K7/103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e.g. configurations including means to resolve inter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특히 수동형의 이중 주파수 HF-UHF 식별 디바이스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 (2) 는 HF 전자기장을 수신하기 위한 HF 안테나 (4), HF 인터페이스 (6), UHF 전자기장을 수신하기 위한 UHF 안테나 (14), UHF 인터페이스 (16), 제 1 비-휘발성 메모리 (28) 및 제 2 비-휘발성 메모리 (30) 에 의해 형성된 비-휘발성 메모리 수단 (26) 을 포함한다.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는 제 2 비-휘발성 메모리가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서 활성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제 2 비-휘발성 메모리보다 실질적으로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는 디바이스가 적어도 U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 구성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러한 통신 모드는 이러한 제 1 비-휘발성 메모리에 액세스하나 제 2 비-휘발성 메모리 (30) 에는 액세스하지 않는다.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는 이러한 통신 모드의 구성에 필요한 모든 속성들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특히 수동형의 이중 주파수 HF-UHF 식별 디바이스{DUAL FREQUENCY HF-UHF IDENTIFICATION DEVICE, IN PARTICULAR OF THE PASSIVE TYPE}
본 발명은 특히 수동형의 이중 주파수 HF-UHF 식별 디바이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RFID 디바이스는 RFID 트랜스폰더 (transponder) 또는 RFID 태그라고도 불리고, 카드 또는 임의의 다른 휴대용 디바이스, 예를 들어, 손목 시계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HF 인터페이스 및 UHF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UHF 리더 및 HF 리더와 독립적으로 통신하고자 하는 이중 주파수 HF-UHF 식별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국제 특허 출원 제 WO 2011/159171 호는 UHF 안테나를 포함하는 UHF 인터페이스, 및 LF 안테나와 HF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중 주파수 LF-HF 인터페이스를 갖는 수동 RFID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이중 주파수 LF-HF 인터페이스는 IP-X 프로토콜을 수행하며, 여기서는 LF 복조기 및 HF 변조기만이 이용된다. 이중 주파수 LF-HF 인터페이스는 단일의 이중 주파수 리더로 통신하고자 한다는 것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수동 RFID 디바이스는 양자 모두 이러한 디바이스에 대한 전력 공급을 생성할 수 있는 UHF 정류기 및 LF 정류기를 더 포함한다. 좀더 특히, 어느 것이 가장 큰 신호를 전달하는지에 따라 발전기로서 LF 정류기 또는 UHF 정류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결정 회로가 제공된다.
수동 RFID 디바이스는 UHF 로직 유닛, IP-X 로직 유닛, 및 단일의 공유 비-휘발성 메모리 (EEPROM) 에 의해 형성된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어떤 종류의 리더들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응답하도록 배열된다. 좀더 특히, 어떤 에너지 소스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그리고 에너지 소스의 강도에 따라, 제어기는 UHF 로직 유닛 또는 IP-X 로직 유닛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선택하고, 각각 UHF 프로토콜, IP-X 프로토콜, 또는 양자 모두를 실행한다. 문서 제 WO 2011/159171 호에 따르면, 동일한 데이터가 UHF 및 이중 주파수 리더들 양자 모두에 전달되는 것은 중요한 양상이다. 이 목적을 위해, 단일의 EEPROM 메모리가 각각의 프로토콜에 의해 이용되고 UHF 로직 유닛과 IP-X 로직 유닛 사이에 완전히 공유된다. 단일의 EEPROM 메모리의 그러한 완전한 공유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이한 맵핑이 양 프로토콜들에 대해 제공된다.
이러한 선행 기술의 RFID 디바이스는 몇몇 단점을 갖는데, 주요 단점은 인터페이스들 양자 모두에 의해 액세스되는 (다음 텍스트에서 NVM 이라고도 불리는) 단일의 비-휘발성 메모리가 있다는 사실 때문에 UHF 인터페이스의 감도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사실이다. 사실, 전체 EEPROM 메모리에는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가 그 인터페이스의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경우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는 IP-X 프로토콜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LF 또는 HF 프로토콜이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을 소비하는 상대적으로 큰 비-휘발성 메모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문제이다. 그러한 큰 NVM 의 활성화 및 이러한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는 전력을 많이 요구하여 (power hungry), UHF 프로토콜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력 레벨이 UHF 트랜스폰더 및 UHF 리더에 의해 형성되는 UHF 시스템에서보다 훨씬 높다. 결과로서, 제 WO 2011/159171 호에 의해 제안되는 시스템에서 UHF 통신에 대한 통신의 거리는 대응하는 언급된 UHF 시스템의 거리보다 짧다.
본 발명의 목표는 인용된 선행 기술 문헌의 결점들을 극복하고 따라서, 특히 UHF 통신에 관해 효율적인 방식으로 HF 리더 및 UHF 리더와 독립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RFID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여기서 UHF 리더로부터 RFID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전력은 일반적으로 보통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에서 일어나도록 의도되는 HF 통신에 대한 전력보다 낮다.
본 발명은 HF 전자기장을 수신하기 위한 HF 안테나, HF 인터페이스, UHF 전자기장을 수신하기 위한 UHF 안테나, UHF 인터페이스, 비-휘발성 메모리 수단, 디바이스 리셋 수단, 발전기, 및 전력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HF 인터페이스는 HF 프로토콜을 수행하도록 배열되고 UHF 인터페이스는 UHF 프로토콜을 수행하도록 배열된다. 비-휘발성 메모리 수단은 적어도 제 1 비-휘발성 메모리 및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형성되며, 식별 디바이스는 제 2 비-휘발성 메모리를 활성화시키지 않으면서 제 1 비-휘발성 메모리가 전력이 공급되고 활성 상태에 있도록 배열되며,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모드에서 실질적으로 제 1 전력을 소비하고, 제 2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모드에서 실질적으로 제 2 전력을 소비하며, 제 2 전력은 실질적으로 제 1 전력보다 높다.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는 디바이스가 적어도 U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 구성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러한 통신 모드는 제 1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액세스하나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액세스하지 않으며,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는 U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의 구성에 필요한 모든 속성들을 더 포함한다.
그러면, 전력 제어 유닛은:
- 발전기에 의해 제공되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U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에 대해 요구되는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 발전기에 의해 제공되고 실질적으로 제 1 전력 레벨보다 높은 적어도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을 검출하도록 배열되며, 이러한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은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적어도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에 대해 요구된다.
식별 디바이스는 U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의 구성, 및 그 다음에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더 높은 경우에, 특히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위이고 근처인 경우에, 이러한 통신 모드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도록 더 배열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디바이스는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보다 높은 경우에만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와 함께 HF 인터페이스의 완전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된다.
일반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별 디바이스는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은 경우에, 특히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위이고 근처인 경우에 디바이스 리셋 수단이 활성화되고 그 다음에 디바이스 구성이 실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된다. 디바이스는 U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의 구성 전에 디바이스 리셋 수단의 활성화가 일어나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U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는 비-휘발성 메모리 수단에 대한 제한된 액세스를 갖는, 즉 제한된 UHF 통신 모드이고,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보다 높은 제 3 결정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은 경우에, 특히 제 3 결정된 전력 레벨 위이고 근처인 경우에, UHF 인터페이스는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추가적인 액세스를 갖는 UHF 프로토콜의 확장된 UHF 통신 모드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유닛은 이러한 제 3 결정된 전력 레벨을 검출하고,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제 3 결정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은 경우에만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확장된 UHF 통신 모드의 구성을 위한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속성들은 이러한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상술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특정 변형예에 따르면, 식별 디바이스는 제 2 비-휘발성 메모리가 활성 모드에 있는 경우에 그리고 이러한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관한 액세스 커맨드가 UHF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만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장된 UHF 통신 모드의 구성을 실행하도록 배열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식별 디바이스는 HF 필드 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이러한 디바이스는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제 2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은 경우에만 그리고 HF 필드가 HF 필드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HF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된다.
주요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별 디바이스는 수동형이고, 발전기는 수신된 UHF 전자기장에 대한 제 1 정류 수단 및 수신된 HF 전자기장에 대한 제 2 정류 수단을 포함한다. 제 1 정류 수단은 적어도 제 1 정류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전력이 제 2 정류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전력보다 높은 경우에 디바이스에 공급 전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식별 디바이스의 구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디바이스 리셋 수단은 이러한 식별 디바이스의 전력-다운 상태 후에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이 전력 관리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활성화되고, 그 다음에 디바이스 구성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구성 방법의 특정 구현에서, 이러한 구성 방법은 단계를 가지며, 여기서 U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의 구성은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여전히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게 있으면 디바이스 구성 후에 바로 그리고 자동으로 실행된다.
본 발명은 예로 주어졌고 제한하는 것이 아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속하여 설명되며, 여기서:
-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의 실시형태의 개략적 표현이고;
- 도 2 는 도 1 의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및 구성 방법의 구현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뿐만 아니라 제한되지 않는 방식으로 몇몇 예들과 변형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수동 HF-UHF 식별 디바이스 (2) 는 HF 전자기장을 수신하기 위한 HF 안테나 (4), HF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HF analog front end; HF AFE) (8), 및 전역 로직 회로 (12) 의 일부분인 HF 로직 유닛 (10) 에 의해 형성된 HF 인터페이스 (6) 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2) 는 또한 UHF 전자기장을 수신하기 위한 UHF 안테나 (14), UHF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18) (UHF AFE) 에 의해 형성된 UHF 인터페이스 (16), 및 역시 로직 회로 (12) 의 일부분인 UHF 로직 유닛 (20) 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2) 는 비-휘발성 메모리 수단 (26), 로직 회로 (12) 에 의해 지원되는 디바이스 리셋 수단, 공급 전압 (Vsup) 을 제공하는 발전기 (22), 및 전력 관리 유닛 (24) 을 더 포함한다. HF 인터페이스는 HF 프로토콜을 수행하도록 배열되고, UHF 인터페이스는 UHF 프로토콜을 수행하도록 배열된다. 비-휘발성 메모리 수단은 적어도 제 1 비-휘발성 메모리 (28) (1st NVM 28) 및 제 2 비-휘발성 메모리 (30) (2nd NVM 30) 에 의해 형성된다. 로직 회로 (12) 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 전용되는 인터페이스들 (6 및 16) 양자 모두에 공통인 동작들, 뿐만 아니라 전력 관리 유닛, 비-휘발성 메모리들, 및 지속성 플래그들 (32) 과 관련되는 일반적인 기능들을 지원한다. 이러한 지속성 플래그들은 아날로그 회로의 일부분이고 커패시터들에 의해 형성된다.
주요 실시형태에서, UHF 프로토콜은 EPC 프로토콜과 관련되고, HF 프로토콜은 NFC 프로토콜과 관련되며, EPC 프로토콜 및 NFC 프로토콜 양자 모두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발전기는 수동 디바이스 (2) 가 HF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인입 HF 전자기장으로부터 그리고 UHF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인입 UHF 전자기장으로부터 전력을 획득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발전기는 수신된 UHF 전자기장에 대한 제 1 정류 수단 및 수신된 HF 전자기장에 대한 제 2 정류 수단을 포함한다. 발전기 및 전력 관리 유닛은 적어도 제 1 정류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전력이 제 2 정류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전력보다 높은 경우에 제 1 정류 수단이 디바이스에 공급 전압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전력 관리 유닛은 적어도 이용가능한 전력이 소정의 결정된 전력 레벨들에 도달했는지를 검출하고 로직 회로 (12) 에 이러한 정보를 통신하도록 배열되는데, 즉, 이러한 전력 관리 유닛은 발전기가 수동 디바이스 (2) 에 제공할 수 있는 전력 레벨을 감지한다. 제 1 변형예에서, 발전기는 HF 필드 및 UHF 필드 양자 모두가, 어느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었는지에 관계 없이, 동시에 수동 디바이스에 공급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제 2 변형예에서, 전력 관리 유닛은 제 1 정류기 및 제 2 정류기 중에서 어느 정류기가 보다 높은 전력을 전달하는지를 결정하고 수동 디바이스 (2) 에 공급하기 위한 이러한 정류기를 선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 식별 디바이스 (2) 는 제 2 비-휘발성 메모리 (30) (2nd NVM) 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으면서 제 1 비-휘발성 메모리 (28) (1st NVM) 에 전력이 공급되고 활성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적어도 판독 모드에서 제 1 메모리에만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다. 1st NVM 은 판독 모드에서 실질적으로 제 1 전력을 소비하고 2nd NVM 은 판독 모드에서 실질적으로 제 2 전력을 소비하며, 제 2 전력은 실질적으로 제 1 전력보다 높다. 그런 취지로, 1st NVM (28) 은 2nd NVM (30) 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는다. 예를 들어, 1st NVM 은 576 비트만을 가지고 2nd NVM 은 2688 비트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제 1 비-휘발성 메모리 (28) 는 디바이스가 적어도 UHF 프로토콜의 제 1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는 디바이스 구성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 1 통신 모드는 이러한 제 1 비-휘발성 메모리에 액세스하나 제 2 비-휘발성 메모리 (30) 에는 액세스하지 않는다. 제 1 비-휘발성 메모리 (28) 는 UHF 프로토콜의 제 1 통신 모드의 구성에 필요한 모든 속성들을 더 포함한다.
전력 관리 유닛은 적어도:
- 발전기에 의해 제공되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U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에 대해 요구되는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 발전기에 의해 제공되고 실질적으로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보다 높은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을 검출하도록 배열되며, 이러한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은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에 대해 요구되며, 이러한 통신 모드는 이러한 통신 모드가 활성인 경우에 적어도 제 2 비-휘발성 메모리 (30) 에 액세스하며, 따라서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전력이 공급되어야 한다.
디바이스는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높은 경우에 제 1 통신 모드의 구성 그리고 그 다음에 이러한 제 1 통신 모드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도록 더 배열된다. 마지막으로, 디바이스는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보다 높은 경우에만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와 함께 HF 인터페이스의 완전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된다.
주요 실시형태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은 경우에 디바이스 리셋 수단이 활성화되고 그 다음에 디바이스 구성이 실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되며,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리셋 수단의 활성화가 UHF 프로토콜의 제 1 통신 모드의 구성 전에 일어나도록 배열된다. 또한, UHF 프로토콜 구성의 초기 단계에서, 또는 (그러한 구성의 주어진 정의에 따라) 이러한 구성 전에, 또는 디바이스 리셋 중에, UHF 프로토콜 리셋이 행해진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UHF 프로토콜의 제 1 통신 모드는 1st NVM 만이 이러한 모드에서 활성이기 때문에 (제한된 UHF 프로토콜이라고도 불리는) 제한된 UHF 통신 모드인데, 즉, 비-휘발성 메모리 수단에 대한 제한된 액세스를 가지고, UHF 인터페이스는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제 1 전력 레벨보다 높은 제 3 결정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은 경우에 2nd NVM 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확장된 UHF 프로토콜이라고도 불리는) 확장된 UHF 통신 모드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유닛 (24) 은 이러한 제 3 전력 레벨을 검출하고,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제 3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높은 경우에만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의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확장된 UHF 통신 모드의 구성을 위한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속성들은 이러한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특히, 확장된 UHF 프로토콜의 구성은 제한된 UHF 프로토콜의 구성의 추가적인 구성 단계이며, 이러한 추가적인 단계는 주로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관련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확장된 UHF 프로토콜은 제한된 UHF 프로토콜과 상이할 수 있는데, 즉, 제한된 UHF 통신 모드의 확장안만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 확장된 UHF 프로토콜의 구성은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제 3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아지자 마자 또는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액세스하기 위한 제 1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행해질 수 있다.
상술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유리한 변형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제 2 비-휘발성 메모리가 활성 모드에 있는 경우에 그리고 이러한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관한 액세스 커맨드가 UHF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에만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장된 UHF 통신 모드의 구성을 실행하도록 배열된다. 특정 변형예에 따르면, 식별 디바이스 (2) 는 제 2 비-휘발성 메모리 (30) 가 이러한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관한 액세스 커맨드가 UHF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에만 활성화되고 그 다음에 확장된 UHF 통신 모드의 적어도 부분적인 구성이 실행되도록 배열된다. 그러나, 다른 변형예에서, 확장된 UHF 통신 모드에서 2nd NVM 에 액세스하는 속도를 높이기 위해, 이러한 2nd NVM 은 제 3 전력 레벨이 전력 관리 유닛에 의해 검출되자마자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특정 변형예에서, 제 2 전력 레벨 및 제 3 전력 레벨은 동일한 값을 가지고, 전력 관리 유닛에 의한 이러한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 및 제 3 결정된 전력 레벨의 검출은 동일한 이벤트에 대응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식별 디바이스는 HF 필드 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이러한 디바이스는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제 2 전력 레벨보다 동일하거나 높은 경우에만 그리고 HF 필드가 HF 필드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HF 인터페이스의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된다. 위에서 언급된 특정 변형예의 경우에, 2nd NVM 에 대한 전력 온은 HF 인터페이스에 대한 전력 온과 동일한 전력 레벨에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전력 레벨이 검출되는 경우에, HF 인터페이스는 디바이스 (2) 에 대해 자동적으로 전력을 높이거나 전력 소비를 추가하지 않을 것인데, 이러한 디바이스가 HF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기 전에 HF 필드가 존재하는지를 더 검출하기 때문이다. 이는 양자 모두를 활성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 레벨이 동일할지라도 HF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지 않으면서 2nd NVM 에 전력이 공급되고 2nd NVM 이 확장된 UHF 프로토콜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수동 식별 디바이스 (2) 는 HF 인터페이스가 활성 상태에 있는 경우에만 그리고 HF 프로토콜의 상기 통신 모드에 따른 제 1 커맨드가 수신된 경우에 HF 프로토콜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HF 통신 모드의 구성에 대한 HF 프로토콜 속성들은 2nd NVM (30) 에 저장된다. 또한, HF 프로토콜 구성의 초기 단계에서, 또는 (그러한 구성에 대한 주어진 정의에 따라) 이러한 구성 전에, HF 프로토콜 리셋이 행해질 수 있다. 그러나, HF 인터페이스의 일부분, 예를 들어, HF 로직 유닛이 이전에 이미 활성화되었다면, 적어도 부분적 HF 프로토콜 리셋이 이전 단계에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 리셋 중에, 또는 이러한 디바이스 리셋 후에 일어날 수 있다. HF 프로토콜의 일부 속성들은 UHF 프로토콜과 공통일 수 있어서 이러한 공통 속성들이 1st NVM (28) 에 있고 따라서 여기서는 HF 프로토콜 구성의 일부분으로서 간주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UHF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러한 공통 속성들의 재프로그래밍에 대한 가능성이 없다면 UHF 메모리로부터 이러한 공통 속성들을 다시 로딩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HF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기 전에 이러한 UHF 인터페이스가 활성 상태에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공통 속성들을 디바이스 구성의 일부로서 고려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속성은 이러한 디바이스 구성의 최종 단계에서 로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식별 디바이스의 구성 방법에 관련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이한 인터페이스들 및 비-휘발성 메모리들의 활성화 및 가능한 프로토콜들 또는 통신 모드들의 구성의 방법이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먼저, 디바이스 리셋 수단은 이러한 식별 디바이스의 전력-다운 상태 후에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이 전력 관리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활성화된다. 이는 전력 온으로 초기 리셋이 행해지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 이러한 전력 온은 상이한 프로토콜들 또는 이러한 상이한 프로토콜들에 의해 정의되는 상이한 통신 모드들의 전력 공급에 대해 가장 낮은 레벨로 선택된다. 본 경우에서, 전력 온은 제한된 UHF 통신 모드가 수동 디바이스 (2) 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제한된 UHF 프로토콜에 대해 UHF 전력 온으로 자동으로 리셋되며, 여기서 1st NVM 에만 전력이 공급되고 따라서 액세스가능하며, 이러한 이벤트는 도 2 에서 'UHF POR' 로 표시된다. 그 다음에, 디바이스 구성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Device Conf Data) 는 1st NVM (28) 에 저장되며, EPC 프로토콜의 제한된 UHF 통신 모드에 따르는 본 경우에서, 1st NVM (28) 은 UHF 인터페이스와 연관되고 UHF 통신에 관여하게 되도록 특별히 설계된다.
디바이스 구성은 먼저 제한된 UHF 프로토콜 /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HF 채널 / 프로토콜에 대한 일부 추가적인 구성 속성들과 더 관련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 구성은 먼저 디바이스의 기능을 행하는데 필요하고 모든 프로토콜들에 대해 공통인 디바이스 리소스들, 예를 들어, 보안 제한시간에 대한 지속성 플래그의 구성과 관련된다. 나아가, 그러한 디바이스 구성은 또한 특정 프로토콜, 특히 그러한 프로토콜에 대한 모드 선택 또는 심지어 프로토콜 선택과 관련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데이터 구성 데이터에 대한 1st NVM 에서 필요한 공간을 제한하기 위해, UHF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필요한 디바이스 속성들만이 이러한 초기 구성에서 로딩된다. 특정 변형예에서, 상이한 허용된 통신 모드들이 또한 디바이스 초기화 중에 판독된다.
예를 들어, 리셋 단계 중에 또는 디바이스 구성 중에, 아날로그 지속성 플래그들이 대응하는 커패시터들에서 아날로그 지속성 플래그들의 저장된 상태에 따라 리프레쉬된다. 그 다음에, 디바이스 구성 중에, 트리밍 값들이 1st NVM 에서 판독되고, UHF 발진기, 기준 전압 (Vref), 및 기준 전류 (Iref) 의 트리밍이 실행된다. 유리한 변형예에서, HF 채널에 대한 모드 선택은 이러한 HF 채널이 뮤트 (muted) 상태로 될 수 있는 경우에 1st NVM 에서 이미 판독되었다. 따라서, HF 인터페이스가 파워 온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 레벨을 검출하기 전에, 디바이스 (2) 는 HF 통신이 허용되었는지 또는 HF 채널이 전력 소스로서만 이용되는지, 즉 HF 인터페이스가 뮤트인지 아닌지를 이미 알고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모드 선택은 또한 보안 레벨과 관련되는데, 예를 들어, 개인정보보호 모드가 구현되는지 또는 정의된 보안 레벨이 적어도 일 인터페이스 또는 프로토콜에 대해 요구되는지와 관련된다. 모드 선택 데이터와 같은 디바이스 구성과 관련된 일부 데이터는 테어링 (tearing) 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테어링-방지 상태 비트들이 또한 디바이스 구성 중에 판독되어야 하며, 이러한 테어링-방지 상태 비트들은 1st NVM 에 저장된다.
디바이스 구성 후에, 제한된 UHF 프로토콜 / 통신 모드의 구성이 실행된다. 제 1 항에 있어서, 식별 디바이스는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전력 레벨 (UHF 전력 온) (검출될, 디바이스 구성, UHF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제한된 UHF 프로토콜의 구성, 제한된 UHF 통신 모드의 실행에 대해 요구되는 전력 레벨에 대응하는 제 1 전력 레벨) 과 여전히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게 있으면 제한된 UHF 통신 모드의 구성이 디바이스 구성 후에 바로 그리고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배열된다. 제 2 변형예에서, 식별 디바이스 (2) 는 UHF 필드 검출기를 포함하고, UHF 프로토콜 구성은 UHF 필드가 검출되는 경우에만 실행되어, UHF 프로토콜의 이러한 초기 구성은 UHF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일어난다. 디바이스 구성과 UHF 프로토콜 구성 사이의 경계는 절대적이지 않으며, 경계는 일부 속성들에 대한 정의의 문제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제 2 변형예에서, 언급된 아날로그 지속성 플래그들의 리프레시는 바람직하게는 UHF 필드의 검출의 바로 뒤에 행해진다.
제한된 EPC 프로토콜 구성은, 그것들의 지속성을 유지하면서 어느 것이 주기적으로 리프레시되어야 하는지, 및 저장된 CRC 의 컴퓨팅을 알기 위해 (이러한 리스트는 배타적이지 않다), 1st NVM 대한 테어링-방지 보호 상태 비트들, UHF 메모리 락 비트들, 지속성 플래그들 (S2, S3, SL) 의 판독과 관련된다. 인용된 지속성 플래그들과 관련되지 않은 속성들은 제 1 NVM (28) 에 저장된다.
제한된 UHF 프로토콜 구성이 실행된 후에 그리고 UHF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에, 즉, UHF 리더로부터 UHF 필드가 식별 디바이스 (2) 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에, 제한된 UHF 통신이 즉시 일어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제 2 변형예에서, UHF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UHF 필드를 검출한 후에만 제한된 UHF 프로토콜 구성이 실행되기 때문에 그러한 상황이 보통 존재한다.
UHF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중에, 전력 관리 유닛 (24) 은 발전기의 전력 레벨 (또는 적어도 그러한 전력 레벨에 링크된 전기 파라미터) 을 더 감지한다. UHF 인터페이스 및 1st NVM 의 활성화를 위해 보다 높은 전력을 요구하는 2nd NVM (30) 과 함께 HF 인터페이스의 활성화와 관련하여, 전력 관리 유닛은 HF 전력 레벨이 그러한 활성화를 허용하도록 이르렀는지를 검출한다.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도 2 에 표현된 바와 같이, 식별 디바이스는 HF 필드 검출기를 포함하고, 이러한 HF 필드 검출기는 HF 안테나 회로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필드가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지를 검출한다. 이러한 경우에만, HF 인터페이스의 활성화가 2nd NVM 의 전력공급과 함께 행해지며, 이러한 활성화는 NFC 프로토콜에 따른 제 1 커맨드가 수신되어 디코딩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2nd NVM 에 저장된 일부 속성들을 판독함으로써 HF 프로토콜이 먼저 실행되는 제 1 단계를 요구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HF 리더로부터 제 1 요청이 수신되면, 주로 이러한 응답 중에 로딩되는 NFC 프로토콜의 속성들이 필요 없는 이러한 제 1 요청에 대한 응답 중에, NFC 프로토콜의 구성이 실행된다.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NFC 프로토콜의 속성들은 2nd NVM 에 대한 테어링-방지 상태 비트와 관련되며, 메모리 락 비트는 제 2 메모리와 관련되고 공유 락 비트는 1st NVM 과 관련된다. UHF 프로토콜과 HF 프로토콜 및 2 개의 구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들로 본원에서 설명된 주요 변형예에서, 각각의 NVM 은 이러한 NVM 이 먼저 지정되는, 제 1 프로토콜과 관련된 '메모리 락 비트들' 및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이러한 NVM 에 대한 액세스와 관련된 '공유 락 비트들' 과도 연관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 1 구성 단계가 이미 일어났으면, HF 리더에 대한 응답 중에 NFC 구성은 이러한 NFC 프로토콜 구성의 제 2 단계와 관련된다. 이전에 이미 로딩된 UHF 프로토콜 구성과의 일부 공통 속성들은 다시 로딩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언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속성들의 각각의 실제 상태들을 갖기 위해 HF 필드의 검출 전에 이미 로딩된 일부 속성들이 다시 로딩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HF 구성 중에, 1st NVM 에 또는 2nd NVM 에 저장된 데이터 및 속성들은 1st NVM 이 여전히 활성 상태로 있기 때문에 판독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1st NVM 의 사이즈를 실질적으로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기 위해 1st NVM 에 약간의 데이터만을 두는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이다. 따라서, 이러한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UHF 프로토콜과 공통이 아닌 HF 프로토콜의 모든 속성들은 2nd NVM (30) 에 저장된다. NFC 구성이 실행된 후에, NFC 프로토콜에 따른 표준 HF 통신이 일어난다.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1st NVM 은 EPC 프로토콜에 대해 먼저 지정된다는 것이 언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적절한 맵핑을 통해, 이러한 1st NVM 은 또한 HF 통신의 실행 중에 HF 인터페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이는 또한 기록 모드에서의 경우에이며, 여기서 1st NVM 은 HF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2nd NVM 뿐만 아니라 UHF 인터페이스 및 1st NVM 의 활성화에 필요한 전력에 대응하는, 제 3 결정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은 경우에, 2nd NVM 에 대한 판독 액세스가 허용되는 확장된 NFC 프로토콜이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방법의 특정 변형예에 따르면,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관한 액세스 커맨드가 수신되는 UHF 인터페이스에 의해 경우에만 이러한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이러한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와 관련된 속성들을 판독함으로써 확장된 UHF 통신 모드의 부분 또는 전체 구성이 실행되며, 부분 구성은 액세스 단말에 의해 관련된 적어도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의 일부분과 관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특정 변형예에 따른 확장된 UHF 통신 모드는 전력 관리 유닛이 제 3 전력 레벨을 검출한 후에만 (제 3 전력 레벨은 언급한 제 1 전력 레벨과 제 2 전력 레벨 사이에 있다), 그리고 2nd NVM 에 액세스하기 위한 UHF 요청이 수신되면, 즉, 확장된 UHF 프로토콜의 구현에 대한 요청 (도 2 에서 '확장된 UHF 프로토콜에 대한 UHF 요청') 이 UHF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일어날 것이다. 확장된 통신 모드와 관계된 UHF 프로토콜의 추가적인 속성들은 바람직하게는 2nd NVM 에 저장된다. 확장된 UHF 구성을 정의하는 이러한 추가적인 속성들은 주로 2nd NVM, 특히 (2nd NVM 의 어느 부분들이 UHF 프로토콜로 액세스될 수 있는지를 정의하는) 공유 락 비트들, 및 2nd NVM 에 대한 테어링-방지 상태 비트들과도 관련된다. 이러한 2nd NVM 은 NFC 프로토콜에 맞도록 먼저 설계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2nd NVM 의 적절한 맵핑을 통해, 적어도 2nd NVM (30) 의 부분들이 확장된 UHF 통신 중에 판독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제 2 전력 레벨 및 제 3 전력 레벨은 공통 전력 레벨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설명된 활성화 및 구성 방법에서, 그러한 경우에일지라도, 이러한 공통 전력 레벨에 도달되는 경우에 거짓의 확장된 UHF 통신 모드 또는 거짓의 HF 인터페이스 활성화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UHF 필드 검출기 및 HF 필드 검출기는 HF 정류기 뒤에 각각 UHF 정류기 뒤에 배열된 주파수 검출기 (주파수 판별기) 에 의해 제 1 변형예로 또는 전압 검출기에 의해 제 2 변형예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압 검출기는 주어진 전압 레벨에 도달했는지를 검출한다). 특정 변형예에서, 필드 검출기는 또한 캐리어 주파수의 소정의 변조가 일어나는 것을 보여주는 프리앰블 검출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Claims (17)

  1.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 (2) 로서,
    HF 전자기장을 수신하기 위한 HF 안테나 (4), HF 인터페이스 (6), UHF 전자기장을 수신하기 위한 UHF 안테나 (14), UHF 인터페이스 (16), 비-휘발성 메모리 수단 (26), 디바이스 리셋 수단, 발전기 (22), 및 전력 관리 유닛 (24) 을 포함하고, 상기 HF 인터페이스는 HF 프로토콜을 수행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UHF 인터페이스는 UHF 프로토콜을 수행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수단은 적어도 제 1 비-휘발성 메모리 (28) 및 제 2 비-휘발성 메모리 (30) 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식별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비-휘발성 메모리를 활성화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제 1 비-휘발성 메모리가 전력이 공급되고 활성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배열되며, 판독 모드에서 상기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소비되는 제 2 전력은 판독 모드에서 상기 제 1 비-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소비되는 제 1 전력보다 높고; 상기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는 식별 디바이스가 적어도 상기 U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디바이스 구성 (configuration) 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U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액세스하나 상기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액세스하지 않고, 상기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U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의 구성에 필요한 속성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 관리 유닛은,
    - 상기 발전기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상기 U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에 대해 요구되는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 상기 발전기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보다 높은 적어도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을 검출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은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적어도 상기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와 함께 상기 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에 대해 요구되며,
    상기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상기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인 경우에 상기 U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의 구성 및 그 다음에 상기 U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상기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와 함께 상기 HF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상기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인 경우에 상기 디바이스 리셋 수단이 활성화되고 그 다음에 상기 디바이스 구성이 실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U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의 구성 전에 상기 디바이스 리셋 수단의 활성화가 일어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U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는 제한된 UHF 통신 모드이고; 상기 UHF 인터페이스는 상기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상기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보다 높은 제 3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추가적인 액세스와 함께 상기 UHF 프로토콜의 확장된 UHF 통신 모드를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 관리 유닛은 상기 제 3 결정된 전력 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상기 제 3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확장된 UHF 통신 모드의 구성을 위한 상기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속성들은 상기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비-휘발성 메모리가 활성 상태에 있고 상기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관한 액세스 커맨드가 상기 UHF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확장된 UHF 통신 모드의 구성을 실행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관한 액세스 커맨드가 상기 UHF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 2 비-휘발성 메모리가 활성화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 및 상기 제 3 결정된 전력 레벨은 동일한 값을 가지고; 상기 전력 관리 유닛에 의한 상기 제 2 결정된 전력 레벨 및 상기 제 3 결정된 전력 레벨의 검출은 동일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HF 필드 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HF 전자기장이 상기 HF 필드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만 상기 HF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더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HF 인터페이스가 활성 상태에 있고 상기 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에 따른 제 1 커맨드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HF 프로토콜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통신 모드의 구성에 대한 HF 프로토콜 속성들은 상기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
  9.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디바이스는 수동형이고; 상기 발전기는 수신된 UHF 전자기장에 대한 제 1 정류 수단 및 수신된 HF 전자기장에 대한 제 2 정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정류 수단은 적어도 상기 제 1 정류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전력이 상기 제 2 정류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전력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디바이스에 공급 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기재된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의 구성 방법으로서,
    디바이스 리셋 수단은 상기 식별 디바이스의 전력-다운 상태 후에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이 전력 관리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활성화되고, 그 다음에 상기 디바이스 구성은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상기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의 구성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U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의 구성은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디바이스의 구성 후에 바로 그리고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의 구성 방법.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HF 필터 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HF 전자기장이 상기 HF 필터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만 상기 HF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더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오직 상기 HF 인터페이스가 활성 상태에 있는 경우에 그리고 상기 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에 따른 제 1 커맨드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HF 프로토콜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통신 모드의 구성을 위한 HF 프로토콜 속성들은 상기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디바이스는 수동형이고; 상기 발전기는 수신된 UHF 전자기장에 대한 제 1 정류 수단 및 수신된 HF 전자기장에 대한 제 2 정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정류 수단은 적어도 상기 제 1 정류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전력이 상기 제 2 정류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전력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디바이스에 공급 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기재된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의 구성 방법으로서,
    디바이스 리셋 수단은 상기 식별 디바이스의 전력-다운 상태 후에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이 전력 관리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활성화되고, 그 다음에 디바이스 구성은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상기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의 구성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UHF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의 구성은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제 1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 디바이스 구성 후에 바로 그리고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의 구성 방법.
  17. 제 14 항에 기재된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의 구성 방법으로서,
    발전기에 의해 제공된 전력이 제 3 결정된 전력 레벨 이상이고, 제 1 비-휘발성 메모리가 활성 상태에 있는 경우,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관한 액세스 커맨드가 UHF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속성들을 판독함으로써 확장된 UHF 통신 모드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 구성이 실행되고, 상기 부분적 구성은 상기 액세스 커맨드에 의해 관련된 상기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의 적어도 일부분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RF 식별 디바이스의 구성 방법.
KR1020160039187A 2015-04-02 2016-03-31 특히 수동형의 이중 주파수 hf-uhf 식별 디바이스 KR101759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62445.9 2015-04-02
EP15162445.9A EP3076341B1 (en) 2015-04-02 2015-04-02 Dual frequency hf-uhf identification device, in particular of the passive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960A KR20160118960A (ko) 2016-10-12
KR101759431B1 true KR101759431B1 (ko) 2017-07-31

Family

ID=5280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187A KR101759431B1 (ko) 2015-04-02 2016-03-31 특히 수동형의 이중 주파수 hf-uhf 식별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076341B1 (ko)
JP (1) JP6258998B2 (ko)
KR (1) KR101759431B1 (ko)
CN (1) CN106059628B (ko)
BR (1) BR102016007223B1 (ko)
TW (1) TWI7163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275A (ko)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에스비솔루션 공유된 무선 아날로그 회로와 공유된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듀얼밴드 태그 ic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0114B1 (fr) * 2016-12-22 2020-09-30 EM Microelectronic-Marin SA Circuit rfid a deux frequences de communication muni d'une boucle d'inviolabilite
CN111788581B (zh) * 2017-12-28 2024-05-24 艾利丹尼森零售信息服务公司 使多种形式rfid技术交互以提供附加信息、安全性和性能的设备和方法
DE102018002585A1 (de) * 2018-03-28 2019-10-02 Tönnjes Isi Patent Holding Gmbh Fahrzeugidentifikationsmittel
CN108388820B (zh) * 2018-04-24 2023-12-12 上海坤锐电子科技有限公司 信号模式检测装置、双频无源电子标签及电子标签系统
BR102019000990A2 (pt) * 2019-01-17 2020-08-04 Centro Nacional De Tecnologia Eletrônica Avançada S.A. Chip rfid uhf com meio de comunicação hf em campo próximo
EP3734512A1 (en) * 2019-04-30 2020-11-04 EM Microelectronic-Marin SA Dual frequency hf-uhf identification integrated circu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5625A1 (en) 2002-08-08 2004-02-19 Bnc Ip Switzerland Gmbh Multi-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WO2011159171A2 (en) 2010-06-11 2011-12-22 Trident Rfid Pty Ltd A transponder, rfid system and methods of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3379B2 (ja) * 2007-06-27 2012-11-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非接触電子装置
JP2009217380A (ja) * 2008-03-07 2009-09-24 Secom Co Ltd 複合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0001469A1 (ja) * 2008-07-02 2010-01-07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JP2010130457A (ja) * 2008-11-28 2010-06-10 Fujitsu Frontech Ltd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電源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5625A1 (en) 2002-08-08 2004-02-19 Bnc Ip Switzerland Gmbh Multi-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WO2011159171A2 (en) 2010-06-11 2011-12-22 Trident Rfid Pty Ltd A transponder, rfid system and methods of ope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275A (ko)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에스비솔루션 공유된 무선 아날로그 회로와 공유된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듀얼밴드 태그 ic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960A (ko) 2016-10-12
EP3076341A1 (en) 2016-10-05
CN106059628A (zh) 2016-10-26
BR102016007223B1 (pt) 2023-03-21
CN106059628B (zh) 2019-03-12
JP6258998B2 (ja) 2018-01-10
BR102016007223A2 (pt) 2017-07-11
EP3076341B1 (en) 2018-01-10
TWI716386B (zh) 2021-01-21
TW201701195A (zh) 2017-01-01
JP2016197409A (ja)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431B1 (ko) 특히 수동형의 이중 주파수 hf-uhf 식별 디바이스
US9411992B1 (en) Protocol management method for a passive RF identification device which can harvest power from different power sources
CN105657637B (zh) 具有nfc的移动设备中的数据访问
US7733227B1 (en) RFID tags circuits and methods for sensing own power to predetermine feasibility of requested action
US5430447A (en) Protection against manipulation of batteryless read/write transponders
CN103210597A (zh) 应答器、rfid系统以及操作方法
US201500917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a Fun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EP3079104B1 (en) Protocol management method for a passive rf identification device which can harvest power from different power sources
US20130225074A1 (en) Non-volatile memory for nfc router
JP2009507285A (ja) 消去/プログラミング電圧を監視するためのフラグを有する受動型非接触式集積回路
US8897736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4680256B2 (ja) Icタグ
US20090128294A1 (en) Data streaming apparatus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US9542631B2 (en) Dual frequency HF-UHF identification device, in particular of the passive type
US10373037B2 (en) RFID transponder, RFID transponder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an RFID transponder and a reading device
JP7424536B1 (ja) 電子情報記憶媒体、icチップ、icカード、通信パラメータ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075333A1 (en) Rfid tag ic with standard-adapted counter increment, and rfid communication system
CN117494751A (zh) 一种有源电子标签的供电激活方法、装置及有源电子标签
BR102016007917B1 (pt) Método de gerenciamento de protocolos para um dispositivo de identificação de rf passivo
JP2010146388A (ja) 非接触型携帯可能電子装置および非接触型icカ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