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081B1 -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081B1
KR101758081B1 KR1020160172514A KR20160172514A KR101758081B1 KR 101758081 B1 KR101758081 B1 KR 101758081B1 KR 1020160172514 A KR1020160172514 A KR 1020160172514A KR 20160172514 A KR20160172514 A KR 20160172514A KR 101758081 B1 KR101758081 B1 KR 101758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slab
section
reinforcing bars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식
최성민
강남기
채창식
김학군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주식회사 두드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주식회사 두드림테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60172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의 유간에 설치되어 상기 슬래브의 신축을 수용하고, 상기 유간 하부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 슬래브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재; 상기 프레임과 상기 슬래브 상의 지지철근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의 앵커;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슬래브 상의 지지철근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앵커가 상기 지지철근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양 프레임간의 수평 설치 간격을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상기 배수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간격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간격조절장치를 통해 프레임 사이의 수평 설치 간격을 조절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배수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Expansion joint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 등과 같이 길이가 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온도변화, 크리프(creep), 건조수축 등으로 변형이 발생하고, 이 변형에 의한 응력으로 구조물에 손상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적정한 길이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구조물의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에 신축을 수용하면서 하부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신축이음장치의 종래기술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설계된 유간에 맞게 양 프레임간의 간격을 설정하여 용접으로 고정한 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양 슬래브 상에 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유간 산정의 오류, 공사의 지연, 기온의 급격한 변화, 시공 현장의 상황 변화 등으로 미리 설정된 유간과 현장에서 시공할 때 요구되는 유간이 달라지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그러나 양 프레임이 미리 설정된 유간으로 용접 고정되어 공급되므로 현장에서의 조정이 용이하지 아니하다. 부득이 유간을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고정된 용접을 제거함과 동시에 양 프레임간의 설정된 간격이나 상하좌우의 위치 등이 변화할 뿐 아니라 상호간에 회전이 발생함에 따라, 이를 다시 정확하게 조정하면서 시공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많은 경우 교통상황 등을 고려하여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할 구간은 2이상의 구간으로 분할하여 시공하게 되는데, 첫 번째 구간은 양 프레임 사이에 배수재를 미리 끼워올 수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어렵긴 하지만 용접을 제거한 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나, 두 번째 구간의 경우 배수재는 첫 번째 구간과 연속된 상태로 준비되게 됨으로써 프레임에 끼워 공급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두 번째 구간의 경우 프레임만을 설계 유간으로 먼저 설치한 후 그 사이에 배수재를 삽입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 설계 유간이 좁은 경우 배수재의 설치가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현장에서는 규정에 맞지 아니함에도 설계 유간보다 넓게 시공함으로써, 겨울과 같은 경우 배수재가 이탈하거나, 유간의 폭이 넓어 슬래브의 이음부에서 구조적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105582호 "조절 부재를 구비한 신축 이음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도 2a 내지 도 2c 참조). 이 종래기술은 교량의 상판 이음부에 설치되며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플레이트부(200) 및 제2 플레이트부(300);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부재(110, 130)를 포함하는 신축 이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청구항 1 참조), 간격 고정 및 간격 조정이 용이한 신축 이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35260호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도면 3a 내지 도 3c 참조). 이 종래기술은 분할된 교량 상판과 교량 상판 사이 이격부위에 시공되기 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신축이음장치의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하나에 지지되는 제1본체(110)와;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나머지 하나와 결합되는 제2본체(120)와; 상기 제1본체 및 제2본체와 결합되어 이들에게 상대적인 변위를 주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변화시키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하나에 결합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상기 제1본체가 결합되지 않는 나머지 상부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1수평부에 대하여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는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수직부와 대응하는 제2수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1수직부(110b)와 제2수직부(120b)와 결합되어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 간 이격을 조절하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변화시키되, 상기 제1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하나와 제1볼트에 의해 볼트체결되고, 상기 제2본체는 상기 제1볼트가 관통하되 교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슬라이딩 장공(121)을 구비하며, 상기 제2본체는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상기 제1본체가 볼트체결되지 않는 나머지 하나와 제2볼트에 의해 볼트체결되고, 상기 제1본체는 상기 제2볼트가 관통하되 교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슬라이딩 장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청구항 2 참조)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에 장착한 상태로 출고되어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직전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안정되게 프리세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앵커가 슬래브상의 철근에 지지되기 전에 유간을 조정하는 것으로서, 유간 조정 후 다시 앵커를 슬래브상의 철근에 정확하게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즉, 유간 조정이 신축이음장치가 슬래브의 철근에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유간만을 조정하는 것이므로, 유간 조정 후 다시 앵커들은 슬래브의 철근에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이 경우 프레임 상호간이 견고하게 결합된 것이 아니므로 상호 회전 등이 발생할 수 있고, 또한 불완전한 결합상태의 양 프레임을 정확하게 설치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할 구간을 2이상의 구간으로 분할한 후 시공하는 경우에는 두 번째 구간의 배수재를 삽입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양 슬래브에 고정되지 않은 프레임에 배수재를 삽입하여야 하므로 배수재의 삽입 설치 작업이 매우 어렵고, 배수재의 삽입 설치후 프레임의 정확한 고정 작업 역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105582 특허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35260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2프레임, 배수재, 제1, 2앵커, 덕트, 프리세팅장치 등을 포함함으로써, 제1, 2프레임간의 간격을 매우 안정된 상태에서 정확하고, 신속하며,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고, 양 프레임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배수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2구간 이상 구분하여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배수재를 분리하지 아니하면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는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2슬래브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2슬래브의 신축을 수용하면서 하부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2슬래브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2프레임; 상기 제1, 2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재; 상기 제1, 2프레임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제1, 2슬래브 각각에 매설 고정되는 복수의 제1, 2앵커; 및 상기 복수의 제1앵커 중의 일부의 복수의 앵커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 복수의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덕트는 상기 복수의 제1앵커보다 먼저 상기 제1슬래브상의 철근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2프레임간의 수평 설치 간격을 안정적이고 정확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2프레임간의 설치하고자 하는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상기 배수재를 상기 제1, 2프레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에는 나사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체결공에 나사 결합되는 제1고정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구가 상기 나사체결공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덕트를 상기 제1앵커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이 상기 제1슬래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가 끼워지는 상기 제1앵커의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 전후측의 상기 앵커의 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제2고정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고정구가 상기 앵커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덕트를 상기 앵커에 고정함으로서, 상기 제1프레임이 상기 제1슬래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덕트가 결합되는 상기 제1슬래브상의 철근은, 상기 제1프레임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제1지지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는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일측이 상기 제1지지철근에 접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는 보조부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제1지지철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는 상기 제1앵커에 용접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이 상기 제1슬래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덕트가 결합되는 상기 제1슬래브상의 철근은, 상기 제1프레임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덕트에 결합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 단부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수직부를 포함하는 ㄷ자 형상이거나, 또는 상기 덕트의 양측에 직각방향으로 결합된 한 쌍의 수직부를 포함하는 11자 형상인 제2지지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프레임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프리세팅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리세팅장치는 상기 제1, 2프레임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2브라켓과, 상기 제1, 2브라켓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1, 2브라켓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절볼트, 상기 조절볼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핸들 또는 렌치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또는 렌치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2프레임 상호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은, 상기 제1, 2슬래브의 철근이 노출되는 제1, 2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콘크리트를 절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2슬래브의 철근이 노출되도록 제1, 2공간부를 남겨두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1단계;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제1, 2프레임 각각이 상기 제1, 2공간부쪽에 각각 위치하도록 거치하는 2단계; 상기 복수의 덕트를 상기 제1슬래브상의 철근에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제2앵커를 상기 제2슬래브상의 철근에 결합하는 3단계; 상기 프리세팅장치로 상기 제1, 2프레임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4단계; 상기 복수의 제1앵커를 상기 제1슬래브상의 철근에 결합하는 5단계; 상기 제1, 2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6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단계와 상기 4단계 사이에, 상기 제1, 2프레임 사이에 상기 배수재를 설치하는 A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단계 전에, 상기 제1, 2프레임간의 간격을 벌리는 ①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신축이음장치 다른 시공방법은, 상기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고자 하는 곳을 차량통행을 고려하여 제1구간과 제2구간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할한 후 상기 제1구간의 교통을 통제하는 Ⅰ단계; 상기 제1구간의 상기 제1, 2슬래브에 철근이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절취하여 제1, 2공간부를 형성하는 Ⅱ단계; 상기 제1구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2프레임과, 상기 제1, 2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나머지구간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진 상기 배수재가 설치된 상기 신축이음장치를 상기 제1, 2공간부에 위치하도록 거치하는 Ⅲ단계; 상기 복수의 제1, 2앵커를 상기 제1, 2슬래브상의 철근에 각각 결합하는 Ⅳ단계; 상기 제1, 2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Ⅴ단계; 상기 제1구간의 교통 통제를 해제하고, 제2구간의 교통을 통제하는 Ⅵ단계; 상기 제2구간의 제1, 2슬래브에 철근이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절취하여 제1, 2공간부를 형성하는 Ⅶ단계; 상기 제2구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2프레임을 상기 제2구간의 상기 제1, 2공간부에 거치하는 Ⅷ단계; 상기 제2구간의 상기 제2앵커를 상기 제2슬래브상의 철근에 결합하고, 상기 덕트를 상기 제1슬래브상의 철근에 결합하는 Ⅸ단계; 상기 프리세팅장치로 상기 제2구간의 제1, 2프레임간의 간격을 벌려서 상기 연장되는 길이의 배수재를 설치한 후 제1, 2프레임간의 간격을 좁히거나, 또는 상기 연장되는 길이의 배수재를 상기 제2구간의 제1, 2프레임 사이에 설치한 후 상기 프리세팅장치로 제1, 2프레임간의 간격을 좁히는 Ⅹ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2프레임, 배수재, 제1, 2앵커, 덕트, 프리세팅장치 등을 포함함으로써, 제1, 2프레임간의 간격을 매우 안정된 상태에서 정확하고, 신속하며,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고, 양 프레임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배수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2구간 이상 구분하여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배수재를 분리하지 아니하면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기술의 도면이다.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슬래브에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5f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에서 덕트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프리세팅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을 2구간으로 분할하여 시공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는,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2슬래브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2슬래브의 신축을 수용하면서 하부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장치이다. 즉, 본 실시예는 제1, 2슬래브의 연결지점 양측에 결합되어 양 슬래브의 신축에 따라 신축하면서 하부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장치이다. 한 쌍의 제1, 2슬래브는 교량 구조물, 박스 구조물 등 다양한 구조물의 슬래브가 가능하나,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교량의 슬래브를 상정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본 실시예는 제1, 2슬래브(10,12)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2프레임(20,22)과, 상기 제1, 2프레임(20,22)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재(30)와, 상기 제1, 2프레임(20,22)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슬래브에 매설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제1, 2앵커(40,42)와, 상기 복수의 제1앵커(40) 중의 일부 앵커들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 복수의 덕트(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2프레임(20,22) 각각은 제1, 2슬래브(10,12) 각각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2슬래브(10,12) 외측에 돌출되어 부착 설치되거나, 또는 제1, 2슬래브(10,12)에 프레임 형상과 같은 요부가 각각 형성되고 이 요부에 삽입되어 부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착된다는 것은 프레임을 먼저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부착된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요부에 삽입되어 부착되는 경우, 콘크리트와 견고히 부착될 뿐 아니라 돌출된 부분이 없어 구조적으로 매우 유리할 수 있다.
제1, 2앵커(40,42)는 제1, 2프레임(20,22) 각각에 직각방향으로 즉, 교축방향으로 설치되고 용접 등으로 결합되어 현장에 공급되며, 그 후 제1, 2슬래브(10,12)의 콘크리트에 각각 매설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1, 2앵커(40,42)는 제1, 2슬래브(10,12)상의 철근에 각각 용접 등으로 결합됨으로써 제1, 2프레임(20,22)을 제1, 2슬래브(10,12)에 더욱 견고히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복수의 덕트(50)는 복수의 제1앵커(40)에 각각 긴밀히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즉, 덕트(50)는 내경이 제1앵커(40)의 외경과 잘 일치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앵커(40)에 긴밀히 끼워져 설치된다. 이 덕트(50)는 제1슬래브(10) 상의 철근에 먼저 결합됨으로써, 제1프레임(20)을 제1슬래브(10)상의 철근에 임시 고정되게 한 후 제1프레임(20)을 수평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즉, 덕트(50)는 상기 제1앵커(40)보다 먼저 상기 제1슬래브(10)상의 철근에 결합되어, 제1, 2프레임(20,22) 상호간의 수평 설치 간격을 안정적이고 정확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즉, 덕트(50)를 먼저 제1슬래브(10)상의 철근에 결합함으로써, 제1프레임(20)은 상하좌우 방향의 이동과 회전이 구속되고, 수평방향(교축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1프레임(20)을 수평방향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정확하며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는 제1, 2프레임(20,22) 상호간의 간격을 먼저 조정한 후 앵커들을 슬래브상의 철근에 결합하는 것에 비해 매우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양 프레임간의 수평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종래기술의 프리세팅장치의 경우 프리세팅을 위해 양 프레임 상호간의 결합은 완전한 고정이 불가하고, 또한 양 프레임 어느 것도 슬래브에 고정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프리세팅을 하는 과정에서 양 프레임 상호간의 위치가 상호 변할 뿐 아니라, 프리세팅 후 양 프레임을 슬래브상의 철근에 결합하기 전에 양 프레임의 위치 각도 등을 다시 측정하여야 하는 문제점들이 있다.
또한, 덕트(50)가 제1앵커(40)보다 먼저 상기 제1슬래브(10)상의 철근에 결합되는 경우, 제1, 2프레임(20,22)간의 설치하고자 하는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상기 배수재(30)를 상기 제1, 2프레임(20,22)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제1, 2프레임(20,22)간의 설계상의 설치 간격이 좁은 경우 예컨대, 여름철과 같이 제1, 2프레임(20,22)간의 설계상의 설치 간격이 좁은 경우, 제1, 2프레임(20,22)을 설계상의 설치 간격보다 넓게 하여 배수재(30)를 먼저 설치한 후, 제1, 2프레임(20,22)간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f를 참조하면, 덕트(50)에는 나사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체결공에 나사 결합되는 제1고정구(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고정구(52)가 상기 나사체결공에 나사 결합되어 덕트(50)와 제1앵커(40)를 고정함으로써, 제1프레임(20)이 제1슬래브(10)에 완전 결합되기 전에 임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즉, 파이프 형상의 덕트(50)를 관통하는 나사체결공을 형성하고, 나사체결공에는 나사가 형성되며, 이 나사체결공에 제1고정구(52)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고정구(52)를 상기 나사체결공에 결합함으로써 덕트(50)와 제1앵커(40)를 고정할 수 있고, 이후 제1앵커(40)와 제1슬래브(10)상의 철근을 용접 등으로 완전 결합할 수 있다. 이 제1고정구(52)는 제1프레임(20)을 조정한 후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임시 고정하는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제1앵커(40)를 제1슬래브(10)상의 철근에 용접 등으로 결합하는 작업을 안전하게 해 줄 뿐 아니라, 추가로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덕트(50)가 끼워지는 상기 제1앵커(40)의 외주면에 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50) 전후의 상기 앵커의 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제2고정구(54) 즉, 한 쌍의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한 쌍의 제2고정구(54)가 상기 제1앵커(4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덕트(50)와 상기 제1앵커(40)를 고정함으로서, 상기 제1프레임(20)이 상기 제1슬래브(10)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제2고정구(54) 역시 제1프레임(20)을 임시 고정하고, 이후 제1앵커(40)를 제1슬래브(10)상의 철근에 결합하는 작업을 안전하게 하고, 필요시 추가로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덕트(50)는 상기 제1고정구(52)나 제2고정구(54) 이외 용접에 의해 상기 제1앵커(40)와 고정될 수 있다. 즉, 덕트(50) 양 단부를 제1앵커(40)와 용접 결합함으로써 간단히 결합할 수 있다. 이 용접은 덕트(50)와 제1앵커(40)를 고정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긴 하나추가 조정이 필요한 경우 용접을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복수의 덕트(50)는 프레임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제1지지철근(6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덕트(50)는 한 쌍의 제1지지철근(60)의 사이에 삽입된 후 양단을 제1지지철근(60)에 용접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앵커(42)들뿐 아니라 제1앵커(40)들 즉, 덕트(50)가 끼워지거나 끼워지지 않은 모든 제1앵커(40)들은 모두 제1지지철근(6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높이가 정확하게 일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덕트(50)는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일측이 상기 제1지지철근(60)에 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덕트(50) 한 쌍의 제1지지철근(60)의 상측에 거치될 정도로 긴 경우 유리하다. 즉, 덕트(50)가 끼워진 제1앵커(40)와 덕트(50)가 끼워지지 않은 제1앵커(40)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고, 덕트(50)와 제1앵커(40) 모두가 제1지지철근(60)에 결합되는 경우 유리하다. 즉 덕트(50)의 개방된 부분이 제1지지철근(60)에 접하게 설치됨으로써 제1앵커(40)들도 제1지지철근(60)에 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덕트(50)를 먼저 용접 등으로 제1지지철근(60)에 결합한 후 제1, 2프레임(20,22)간의 간격을 조절하고, 그 후 제1앵커(40)들은 제1지지철근(60)에 용접 등으로 완전 결합할 수 있다.
덕트(50)의 개방은 상측 또는 하측 어느 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앵커(40)들이 제1지지철근(6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덕트(50)의 하측에 개방면을 형성하고, 제1앵커(40)들이 제1지지철근(6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덕트(50)의 상측에 개방면을 형성함으로써, 어느 경우이건 덕트(50)를 제1지지철근(60)에 잘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덕트(50)는 보조부재(56)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제1지지철근(6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덕트(5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보조부재(56)를 결합하고 이 보조부재(56)가 제1슬래브(10)상의 철근 예컨대, 제1지지철근(6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덕트(50)가 결합되는 상기 제1슬래브(10)상의 철근은, 상기 프레임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덕트(50)에 결합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 단부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수직부를 포함하는 ㄷ자 형상의 제2지지철근(62)이거나, 또는 상기 덕트(50)의 양측에 직각방향으로 결합된 한 쌍의 수직부를 포함하는 11자 형상인 제2지지철근(62)일 수 있다. 이 제2지지철근(62)은 덕트(50)에 용접 등으로 결합된 후 제1슬래브(10)상의 다른 철근에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배수재(30)는 제1, 2프레임(20,2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2프레임(20,22)에 요홈이 형성되고, 이 요홈에 배수재(30)의 양측이 긴밀히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배수재(30)는 중앙에 V자 형상의 수로가 형성되며 이 수로를 따라 제1, 2슬래브(10,12) 상측에서 유입된 빗물 등이 교량의 측면으로 배수됨으로써, 하부로의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제1, 2프레임(20,22)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프리세팅장치(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프리세팅장치(70)는 제1, 2프레임(20,22) 각각에 용접, 볼트 등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2브라켓(71,72)과, 상기 제1, 2브라켓(71,7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2브라켓(71,72)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2프레임(20,22)에 볼트 결합되거나, 용접 결합되거나, 또는 단순히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2브라켓(71,72)은 폭 조절이 가능한 끼움부를 구비하고, 이 끼움부에 제1, 2프레임(20,22)이 끼워지게 설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작업 후에 결합을 쉽게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b와 같이 단순히 걸쳐서 설치되는 경우, 간격을 좁히는 경우는 걸치는 것만으로 가능하고, 간격을 넓히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브라켓(71,72)을 제1, 2프레임(20,22)에 가볍게 용접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1, 2브라켓(71,7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절볼트(74), 상기 조절볼트(74)의 일측에 결합되는 핸들 또는 렌치(7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 또는 렌치(76)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2프레임(20,22) 상호간의 간격이 잘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구성은 전술한 내용을 참조한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제1, 2프레임(20,22)에 배수재(30)가 미리 끼워진 경우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은, 제1, 2슬래브(10,12)의 철근이 노출되는 제1, 2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콘크리트를 절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2슬래브(10,12)의 철근이 노출되도록 제1, 2공간부를 남겨두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1단계,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제1, 2프레임(20,22) 각각이 상기 제1, 2공간부쪽에 각각 위치하도록 거치하는 2단계, 상기 복수의 덕트(50)를 상기 제1슬래브(10)상의 철근에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제2앵커(42)를 상기 제2슬래브(12)상의 철근에 결합하는 3단계, 상기 프리세팅장치(70)로 상기 제1, 2프레임(20,22)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4단계, 상기 복수의 제1앵커(40)를 상기 제1슬래브(10)상의 철근에 결합하는 5단계, 상기 제1, 2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6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단계에서, 기존의 구조물에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먼저 제1, 2슬래브(10,12)의 철근이 노출되는 제1, 2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콘크리트를 절취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새로운 구조물을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제1, 2슬래브(10,12)의 철근이 노출되도록 제1, 2공간부를 남겨두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2단계는 신축이음장치의 제1, 2프레임(20,22) 각각이 상기 제1, 2공간부쪽에 각각 위치하도록 거치하는 단계이다. 즉 제1플레임은 제1공간부쪽에 제2프레임(22)은 제2공간부쪽에 배치하는 단계이다.
3단계는 복수의 덕트(50)를 제1슬래브(10)상의 철근에 용접 등으로 결합하고, 복수의 제2앵커(42)를 상기 제2슬래브(12)상의 철근에 용접 등으로 결합하는 단계이다. 즉, 제2프레임(22)은 제2앵커(42)를 통해 제2슬래브(12)상의 철근에 고정되게 되고, 제1프레임(20)은 제1앵커(40)와 덕트(50)를 통해 제1슬래브(10)의 철근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제1프레임(20)은 상하좌우의 이동과 회전이 구속되고, 수평방향 즉, 교축방향으로만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매우 안정적이고 정확하고 편리하게 조정을 할 수 있다.
4단계는 프리세팅장치(70)로 제1, 2프레임(20,22)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이다. 즉 제1, 2프레임(20,22)에 결합된 복수의 프리세팅장치(70)를 동시에 작동시켜 양 프레임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이다. 즉, 본 단계에서 제1앵커(40)는 덕트(50)에 삽입된 상태로 교축방향으로만 슬라이딩이 가능함으로서, 매우 안정적으로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조정된 후에도 별도위 측정이나 수정 작업이 불필요하여 매수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다.
5단계는 복수의 제1앵커(40)를 제1슬래브(10)상의 철근에 결합하여 완전 고정하는 단계이다. 제1앵커(40)와 제1슬래브(10)상의 철근의 결합은 통상 용접으로 수행된다.
6단계는 제1, 2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신축이음장치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3단계와 상기 4단계 사이에, 상기 제1, 2프레임(20,22) 사이에 상기 배수재(30)를 설치하는 A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는 제1, 2프레임(20,22)에 배수재(30)가 끼워지지 않은 경우에 적용하는 방법이다.
즉, 배수재(3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배수재(30)를 설치한 후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단계 전에, 제1, 2프레임(20,22)간의 간격을 벌리는 ①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제1, 2프레임(20,22)간의 간격이 좁게 설정되어 현장에 공급된 경우 예컨데, 설계 유간이 좁은 경우 먼저 프레임간의 간격을 벌리는 방법이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할 구간을 2이상이 구간으로 분할하여 시공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제1구간에서의 신축이음장치의 시공은 전술한 것과 유사하므로, 도면상에는 제2구간의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는 도면만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는 방법은, 상기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고자 하는 곳을 차량통행 등을 고려하여 제1구간과 제2구간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할한 후 상기 제1구간의 교통을 통제하는 Ⅰ단계; 상기 제1구간의 상기 제1, 2슬래브(10,12)에 철근이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절취하여 제1, 2공간부를 형성하는 Ⅱ단계; 상기 제1구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2프레임(20,22)과, 상기 제1, 2프레임(20,22) 사이에 설치되고 나머지구간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진 상기 배수재(30)가 설치된 상기 신축이음장치를 상기 제1, 2공간부에 위치하도록 거치하는 Ⅲ단계; 상기 복수의 제1, 2앵커(40,42)를 상기 제1, 2슬래브(10,12)상의 철근에 각각 결합하는 Ⅳ단계; 상기 제1, 2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Ⅴ단계; 상기 제1구간의 교통 통제를 해제하고, 제2구간의 교통을 통제하는 Ⅵ단계; 상기 제2구간의 제1, 2슬래브(10,12)에 철근이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절취하여 제1, 2공간부를 형성하는 Ⅶ단계; 상기 제2구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2프레임(20,22)을 상기 제2구간의 상기 제1, 2공간부에 거치하는 Ⅷ단계; 상기 제2구간의 상기 제2앵커(42)를 상기 제2슬래브(12)상의 철근에 결합하고, 상기 덕트(50)를 상기 제1슬래브(10)상의 철근에 결합하는 Ⅸ단계; 상기 프리세팅장치(70)로 상기 제2구간의 제1, 2프레임(20,22)간의 간격을 벌려서 상기 연장되는 길이의 배수재(30)를 설치한 후 제1, 2프레임(20,22)간의 간격을 좁히거나, 또는 상기 연장되는 길이의 배수재(30)를 상기 제2구간의 제1, 2프레임(20,22) 사이에 설치한 후 상기 프리세팅장치(70)로 제1, 2프레임(20,22)간의 간격을 좁히는 Ⅹ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교통상황 등을 고려하여 2이상의 구간으로 분할하여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는 방법이다.
Ⅰ단계는 차량통행을 고려하여 제1구간과 제2구간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할한 후 제1구간의 교통을 통제하는 단계이다.
Ⅱ단계는 제1구간의 상기 제1, 2슬래브(10,12)에 철근이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절취하여 제1, 2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콘크리트의 파쇄, 제거, 청소 등이 필요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철근의 보강이 필요하다.
Ⅲ단계는 제1구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제1, 2프레임(20,22)과, 제1, 2프레임(20,22) 사이에 설치되고 나머지구간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진 상기 배수재(30)가 설치된 상기 신축이음장치를 상기 제1, 2공간부에 위치하도록 거치하는 단계이다. 제1, 2프레임(20,22)의 길이는 하나가 제1구간의 길이와 같게 하거나, 또는 2이상으로 제1구간의 길이와 같게 할 수 있다. 다만 배수재(30)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수재(30)는 제1구간 뿐 아니라 나머지 구간까지 연장되는 길이로 하여, 제1구간의 공사중에는 하측 또는 상측으로 구부려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레임의 경우 분할되어도 가능하나, 배수재(30)의 경우 다른 구간까지 모두 하나로 연결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Ⅳ단계는 복수의 제1, 2앵커(40,42)를 제1, 2슬래브(10,12)상의 철근에 각각 결합하는 단계이다. 제1구간의 경우 제1, 2프레임(20,22)상의 유간이 정확하게 세팅된 경우 별도의 조정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덕트(50)를 제1슬래브(10)상의 철근에 결합할 필요 없이 바로, 제1앵커(40)를 제1슬래브(10)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앵커(40)에는 덕트(50)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도 있다. 다만 제1구간의 경우에도 급격한 온도변화, 설계 오차 등의 사정으로 제1, 2프레임(20,22)간의 간격을 조정해야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할 수 있다.
Ⅴ단계는 제1, 2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이다.
Ⅵ단계는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가 완료된 제1구간의 교통 통제를 해제하고, 제2구간의 교통을 통제하는 단계이다.
Ⅶ단계는 제2구간의 제1, 2슬래브(10,12)에 철근이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절취하여 제1, 2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Ⅷ단계는 제2구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2프레임(20,22)을 상기 제2구간의 상기 제1, 2공간부에 거치하는 단계이다.
Ⅸ단계는 제2구간의 제2앵커(42)를 상기 제2구간의 상기 제2슬래브(12)상의 철근에 결합하고, 덕트(50)를 제1슬래브(10)상의 철근에 결합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의 제1, 2프레임(20,22)에는 배수재(30)가 결합되어 있지 아니하다.
Ⅹ단계는 프리세팅장치(70)로 제2구간의 제1, 2프레임(20,22)간의 간격을 벌려서 상기 제1구간에서 연장되어 있는 길이의 배수재(30)를 삽입 설치한 후 제1, 2프레임(20,22)간의 간격을 좁히거나, 또는 상기 연장되는 길이의 배수재(30)를 상기 제2구간의 제1, 2프레임(20,22) 사이에 설치한 후 상기 프리세팅장치(70)로 제1, 2프레임(20,22)간의 간격을 좁히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제1, 2프레임(20,22)간의 간격이 설계 간격으로 세팅되어 공급되고, 이 세팅된 간격이 배수재(30)를 삽입 설치하기에 좁은 경우에는 먼저 제1, 2프레임(20,22)간의 간격을 벌린 후 배수재(30)를 삽입 설치한다. 또한, 제1, 2프레임(20,22)간의 간격이 배수재(30)를 설치할 수 있을 정도로 넓은 경우 바로 삽입 설치한 후 간격을 조정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1앵커(40)를 슬래브상의 철근에 결합하는 것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슬래브
12: 제2슬래브
20: 제1프레임
22: 제2프레임
30: 배수재
40: 제1앵커
42: 제2앵커
50: 덕트
52: 제1고정구
54: 제2고정구
56: 보조부재
60: 제1지지철근
62: 제2지지철근
70: 프리세팅장치
71: 제1브라켓
72: 제2브라켓
74: 조절볼트
76: 핸들 또는 렌치

Claims (14)

  1.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2슬래브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2슬래브의 신축을 수용하면서 하부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2슬래브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2프레임;
    상기 제1, 2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재;
    상기 제1, 2프레임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제1, 2슬래브 각각에 매설 고정되는 복수의 제1, 2앵커; 및
    상기 복수의 제1앵커 중의 일부의 복수의 앵커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 복수의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덕트는 상기 복수의 제1앵커보다 먼저 상기 제1슬래브상의 철근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2프레임간의 수평 설치 간격을 안정적이고 정확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2프레임간의 설치하고자 하는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상기 배수재를 상기 제1, 2프레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덕트가 결합되는 상기 제1슬래브상의 철근은, 상기 제1프레임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덕트에 결합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 단부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수직부를 포함하는 ㄷ자 형상이거나, 또는 상기 덕트의 양측에 직각방향으로 결합된 한 쌍의 수직부를 포함하는 11자 형상인 제2지지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는 나사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체결공에 나사 결합되는 제1고정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구가 상기 나사체결공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덕트를 상기 제1앵커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이 상기 제1슬래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가 끼워지는 상기 제1앵커의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 전후측의 상기 앵커의 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제2고정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고정구가 상기 앵커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덕트를 상기 앵커에 고정함으로서, 상기 제1프레임이 상기 제1슬래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제1앵커에 용접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이 상기 제1슬래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8. 삭제
  9. 청구항 1, 2, 3,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프레임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프리세팅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리세팅장치는 상기 제1, 2프레임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2브라켓과, 상기 제1, 2브라켓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1, 2브라켓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절볼트, 상기 조절볼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핸들 또는 렌치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또는 렌치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2프레임 상호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11. 청구항 9의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2슬래브의 철근이 노출되는 제1, 2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콘크리트를 절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2슬래브의 철근이 노출되도록 제1, 2공간부를 남겨두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1단계;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제1, 2프레임 각각이 상기 제1, 2공간부쪽에 각각 위치하도록 거치하는 2단계;
    상기 복수의 덕트를 상기 제1슬래브상의 철근에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제2앵커를 상기 제2슬래브상의 철근에 결합하는 3단계;
    상기 프리세팅장치로 상기 제1, 2프레임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4단계;
    상기 복수의 제1앵커를 상기 제1슬래브상의 철근에 결합하는 5단계;
    상기 제1, 2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6단계;를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3단계와 상기 4단계 사이에,
    상기 제1, 2프레임 사이에 상기 배수재를 설치하는 A단계;를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전에,
    상기 제1, 2프레임간의 간격을 벌리는 ①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14. 청구항 9의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고자 하는 곳을 차량통행을 고려하여 제1구간과 제2구간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할한 후 상기 제1구간의 교통을 통제하는 Ⅰ단계;
    상기 제1구간의 상기 제1, 2슬래브에 철근이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절취하여 제1, 2공간부를 형성하는 Ⅱ단계;
    상기 제1구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2프레임과, 상기 제1, 2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나머지구간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진 상기 배수재가 설치된 상기 신축이음장치를 상기 제1, 2공간부에 위치하도록 거치하는 Ⅲ단계;
    상기 복수의 제1, 2앵커를 상기 제1, 2슬래브상의 철근에 각각 결합하는 Ⅳ단계;
    상기 제1, 2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Ⅴ단계;
    상기 제1구간의 교통 통제를 해제하고, 제2구간의 교통을 통제하는 Ⅵ단계;
    상기 제2구간의 제1, 2슬래브에 철근이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절취하여 제1, 2공간부를 형성하는 Ⅶ단계;
    상기 제2구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2프레임을 상기 제2구간의 상기 제1, 2공간부에 거치하는 Ⅷ단계;
    상기 제2구간의 제2앵커를 상기 제2슬래브상의 철근에 결합하고, 상기 덕트를 상기 제1슬래브상의 철근에 결합하는 Ⅸ단계;
    상기 프리세팅장치로 상기 제2구간의 제1, 2프레임간의 간격을 벌려서 상기 연장되는 길이의 배수재를 설치한 후 제1, 2프레임간의 간격을 좁히거나, 또는 상기 연장되는 길이의 배수재를 상기 제2구간의 제1, 2프레임 사이에 설치한 후 상기 프리세팅장치로 제1, 2프레임간의 간격을 좁히는 Ⅹ단계;를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KR1020160172514A 2016-12-16 2016-12-16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758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514A KR101758081B1 (ko) 2016-12-16 2016-12-16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514A KR101758081B1 (ko) 2016-12-16 2016-12-16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8081B1 true KR101758081B1 (ko) 2017-07-14

Family

ID=5935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514A KR101758081B1 (ko) 2016-12-16 2016-12-16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0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113B1 (ko) 2021-01-18 2021-09-06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러버실 조립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KR102343405B1 (ko) 2021-08-20 2021-12-27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원터치 조립가능한 러버씰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CN113931234A (zh) * 2021-10-20 2022-01-14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定位装置及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2960A (en) * 1998-10-27 2000-07-25 Mccallion; James P. Concrete joint restraint system
JP2004238869A (ja) * 2003-02-05 2004-08-26 Nippon Splice Sleeve Kk 鉄筋継手金具と鉄筋の接続方法
KR101436298B1 (ko) * 2013-12-12 2014-09-15 거송건설 주식회사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 시공방법
JP2014205997A (ja) * 2013-04-12 2014-10-30 東京ファブリック工業株式会社 縦目地伸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2960A (en) * 1998-10-27 2000-07-25 Mccallion; James P. Concrete joint restraint system
JP2004238869A (ja) * 2003-02-05 2004-08-26 Nippon Splice Sleeve Kk 鉄筋継手金具と鉄筋の接続方法
JP2014205997A (ja) * 2013-04-12 2014-10-30 東京ファブリック工業株式会社 縦目地伸縮装置
KR101436298B1 (ko) * 2013-12-12 2014-09-15 거송건설 주식회사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113B1 (ko) 2021-01-18 2021-09-06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러버실 조립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KR102343405B1 (ko) 2021-08-20 2021-12-27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원터치 조립가능한 러버씰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CN113931234A (zh) * 2021-10-20 2022-01-14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定位装置及施工方法
CN113931234B (zh) * 2021-10-20 2023-08-25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定位装置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081B1 (ko)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US20170234007A1 (en) Holeless Curtain Wall Mullion Connection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200415593Y1 (ko)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
JPS61200271A (ja) コンクリート構造部材用接合および圧力分散要素
JPH10168991A (ja) グレーテイング受枠の支持枠を兼ねる側溝構築用内型枠
KR100951106B1 (ko) 조립식 수로구성용 측구연결부재
JPH08512372A (ja) ほぼu字形の横断面を持つ支持体を備えた型枠パネル
KR200366076Y1 (ko) 크기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량 거푸집 장치
KR101939321B1 (ko) 교량용 횡배수관 매설형 선배수 시설의 시공 방법
KR100225536B1 (ko) 교량상판의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AU2014277653B1 (en) Creation of Curved or Circular Hobs in Cast-in-Situ Concrete Slabs
JPH022738Y2 (ko)
KR100978502B1 (ko) 교량의 슬래브 거푸집용 지지장치
KR101104701B1 (ko) 배수로 시공장치
JP2009243185A (ja) 排水溝構造
JP3646946B2 (ja) 既設柱状構造物を補強するコンクリート型枠施工法
JP3241653U (ja) 車両用仮設防護柵の連結装置
KR100451145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옹벽용 배수 슬리브
JP3102393U (ja) 手摺り類のための型枠位置矯正装置
EP2749696A1 (en) Roadway section including an expansion joint device with an exchangeable cartridge
US20100276566A1 (en) Reuseable drain installer
KR20010005358A (ko) 맨홀의 높이 및 설치각 조절장치
JP3040599U (ja) グレーテイング受枠の支持枠を兼ねる側溝構築用内型枠
JP2003105970A (ja) 型枠幅調整スペー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