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555B1 - 연료 전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555B1
KR101757555B1 KR1020150158353A KR20150158353A KR101757555B1 KR 101757555 B1 KR101757555 B1 KR 101757555B1 KR 1020150158353 A KR1020150158353 A KR 1020150158353A KR 20150158353 A KR20150158353 A KR 20150158353A KR 101757555 B1 KR101757555 B1 KR 101757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fuel cell
correction value
lower limit
f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039A (ko
Inventor
요헤이 오카모토
유타카 다노
미츠히로 나다
도모히코 가네코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8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67Heat exchange or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s, thermal insulation, e.g. heat pipes, heat pumps, fins
    • H01M8/04074Heat exchange unit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01M8/04358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67Heat exchange or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s, thermal insulation, e.g. heat pipes, heat pumps, 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9Voltage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01Temperature
    • H01M8/04723Temperature of the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865Voltage
    • H01M8/0488Voltage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992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al or computational algorithms, e.g. feedback control loops, fuzzy logic, neural networks or artificial intellige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29Heat exchange using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출력 응답성이 양호한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료 전지와, 상기 연료 전지에 접속되고, 상기 연료 전지를 냉각하는 냉매가 유통하는 냉매 경로와, 상기 냉매 경로에 있어서의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와, 상기 온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냉매의 온도를 보정함으로써, 온도 보정값을 산출하는 온도 보정부와, 상기 온도 보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 전지의 하한 전압을 제어하는 하한 전압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 보정부는, 상기 온도 보정값을 Tfilt, 전회의 온도 보정값을 Tfilt _old, 상기 냉매의 온도를 T, 계수를 τ라고 한 경우, 이하의 식에 기초하여 온도 보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계수는, 상기 냉매의 온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의 상기 계수에 대해, 상기 냉매의 온도가 소정 값 미만인 경우의 상기 계수가 크게 설정되어 있는 연료 전지 시스템이다.
<식 1>
Figure 112015110017202-pat00004

Description

연료 전지 시스템{FUEL CELL SYSTEM}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에서는, 연료로서 수소, 산화제로서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를 사용하고, 화학 반응에 의해 발전을 행한다. 발전에 수반하여 연료 전지는 발열한다. 연료 전지는, 소정의 온도 범위를 벗어나 고온으로 되면, 수분이 증발하여 드라이 상태로 되고, 발전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연료 전지의 오버히트를 억제하기 위해, 연료 전지의 냉매 온도 상승에 수반하여 하한 전압을 상승시키고, 발열을 억제하는 제어가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연료 전지의 특성상, 하한 전압을 상승시키면, 그만큼 출력 제한에 걸리기 쉬운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하한 전압의 설정에 관한 제안이 다양하게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3).
국제 공개 제2008/14692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5839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300299호 공보
그런데, 하한 전압을 연료 전지의 냉매 온도에 기초하여 변경하면, 이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WOT(Wide Open Throttle)와 같이, 순식간에 연료 전지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일시적인 온도 상승이 검지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일반적으로, 연료 전지의 온도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추정된다. 그리고, 연료 전지의 온도가 상승하고, 냉매의 소정의 온도 상승이 검출되면, 냉매의 공급량을 증량하거나, 라디에이터를 통과하여 냉각된 냉매를 공급함으로써, 연료 전지를 냉각한다. 그러나, 냉매의 온도 검출을 행하는 온도 검출부에 냉각된 냉매가 도착할 때까지는 소정의 시간이 걸린다. 이 결과, 온도 검출부에 의해 냉매의 온도 상승이 검출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 온도 상승에 기초하여 하한 전압을 상승시키는 제어가 실행되고, 출력 제한이 걸려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단순히 냉매의 온도에 기초하여 하한 전압을 변경하는 제어를 행하고 있으면, 과도한 출력 제한이 걸려, 양호한 출력 응답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출력 응답성이 양호한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료 전지와, 상기 연료 전지에 접속되고, 상기 연료 전지를 냉각하는 냉매가 유통하는 냉매 경로와, 상기 냉매 경로에 있어서의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와, 상기 온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냉매의 온도를 보정함으로써, 온도 보정값을 산출하는 온도 보정부와, 상기 온도 보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 전지의 하한 전압을 제어하는 하한 전압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 보정부는, 상기 온도 보정값을 Tfilt, 전회의 온도 보정값을 Tfilt _old, 상기 냉매의 온도를 T, 계수를 τ라고 한 경우, 이하의 식에 기초하여 온도 보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계수는, 상기 냉매의 온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의 상기 계수에 대해, 상기 냉매의 온도가 소정 값 미만인 경우의 상기 계수가 크게 설정되어 있는 연료 전지 시스템이다.
[식 1]
Figure 112015110017202-pat00001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 응답성이 양호한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실시예 1에 관한 연료 전지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1의 (b)는 제어부의 구성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2의 (a)는 하한 전압과 온도 보정값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의 (b)는 시상수의 온도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의 (c)는 수온 및 온도 보정값의 시간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의 (d)는 전압의 시간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연료 전지 시스템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의 일례.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의 (a)는 실시예 1에 관한 연료 전지 시스템(10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연료 전지 시스템(100)은 차량의 차륜을 구동하는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연료 전지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 등에 탑재되어 사용된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 전지 시스템(100)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중앙 연산 처리 장치)(10), 연료 전지(Fuel Cell:FC)(20), 수소 탱크(22) 및 라디에이터(24)를 구비한다. CPU(10)는 제어부의 일례이다. 라디에이터(24)는 냉각부의 일례이다.
연료 전지(20)에는, 공기 공급 유로(30), 공기 배출 유로(32), 연료 가스 공급 유로(34) 및 연료 가스 배출 유로(35)가 접속되어 있다. 연료 가스 공급 유로(34)와 연료 가스 배출 유로(35) 사이에는 연료 가스 순환 유로(36)가 접속되어 있다. 연료 가스 순환 유로(36)에는 기액 분리기(37)가 설치되어 있다. 연료 가스 공급 유로(34), 연료 가스 배출 유로(35) 및 연료 가스 순환 유로(36)는 연료 가스인 수소 가스가 순환하는 연료 가스 경로를 형성한다.
공기 공급 유로(30)에는 밸브(43)가 설치되고, 연료 가스 공급 유로(34)에는 밸브(4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부 배출 유로(38)에는 밸브(45)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43)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한다. 밸브(44)는 연료 가스의 유량을 조절한다. 밸브(45)는 일단 연료 전지(20) 내를 통과한 연료 오프 가스의 일부 및 불순물을, 연료 가스 경로로부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밸브이다. 밸브(45)가 개방됨으로써, 연료 오프 가스의 일부 및 불순물은 연료 가스 경로로부터 외부 배출 유로(38)로 흐르고,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연료 전지(20)에는 냉매 공급 유로(39) 및 냉매 배출 유로(40)가 접속되어 있다. 냉매 순환 유로(41 및 42)는, 각각 냉매 공급 유로(39)와 냉매 배출 유로(40)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냉매 공급 유로(39), 냉매 배출 유로(40), 냉매 순환 유로(41 및 42)는 냉매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냉매 배출 유로(40)에는 3방 밸브(48)가 설치되어 있고, 3방 밸브(48)의 출구의 하나에 냉매 순환 유로(41)가 접속되고, 다른 출구에 냉매 순환 유로(42)가 접속되어 있다. 냉매 순환 유로(42)에는 라디에이터(24)가 설치되어 있다.
연료 가스 순환 유로(36)에는 펌프(46)가 설치되어 있다. 냉매 공급 유로(39)에는 펌프(47)가 설치되어 있다. 펌프(46 및 47)는, 예를 들어 루트 펌프, 스크류 펌프 또는 터보 펌프 등으로 할 수 있다.
공기는, 대기로부터 공기 공급 유로(30)를 통하여 연료 전지(20)의 공기측 극(산화제극)에 공급된다. 수소 가스는 수소 탱크(22)에 저류되고, 연료 가스 공급 유로(34)를 통하여 연료 전지(20)의 수소측 극(연료극)에 공급된다. 연료 전지(20)는 연료 가스로서 수소 가스, 산화제로서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를 사용하여 발전한다. 발전된 전력은, 차량의 주행을 위한 모터, 조명, 공조 및 오디오 등의 기기에 이용된다. 전압계(51)는 연료 전지(20)가 발전하는 전압(발전 전압)을 검출한다.
연료 전지(20)에 있어서의 반응 후의 공기는, 공기 배출 유로(3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반응에 있어서 소비되지 않은 수소 가스는, 연료 가스 배출 유로(35)로부터 배출되고, 연료 가스 순환 유로(36)를 통하여 연료 가스 공급 유로(34)를 순환하고, 다시 연료 전지(20)에 공급된다.
냉각수(냉매)는 냉매 공급 유로(39)를 통하여 연료 전지(20)에 공급되고, 연료 전지(20)를 냉각한다. 냉각 후의 냉각수는 냉매 배출 유로(40)에 배출된다. 냉각수는, 냉매 순환 유로(41 및 42)의 한쪽, 또는 양쪽을 흐르고, 다시 냉매 공급 유로(39) 및 연료 전지(20)에 공급된다. 냉매 순환 유로(42)를 흐르는 냉각수는, 라디에이터(24)에 있어서 냉각된다. 3방 밸브(48)의 개폐 상태를 바꿈으로써, 냉각수가 흐르는 경로를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가 고온이면, 냉매 배출 유로(40)와 냉매 순환 유로(42)를 접속하고, 냉각수를 라디에이터(24)에 의해 냉각한다.
온도 센서(50)는 온도 검출부의 일례이며, 예를 들어 서미스터이다. 온도 센서(50)는 냉매 배출 유로(40) 내의 라디에이터(24)보다 상류측, 즉 연료 전지(20)로부터의 출구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온도 센서(50)는 연료 전지(20) 냉각 후의 냉각수의 온도(수온)를 검출한다. 수온은 연료 전지(20)의 온도와 상관성을 갖고 있고, 연료 전지(20)가 저온이면 수온도 낮고, 연료 전지(20)가 고온이면 수온도 높다.
도 1의 (b)는 CPU(10)의 구성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10)는, 온도 취득부(12), 전압 제어부(14), 하한 전압 제어부(16) 및 온도 보정부(18)로서 기능한다.
온도 취득부(12)는 온도 센서(50)가 검출한 수온을 취득한다. 전압 제어부(14)는 전압계(51)로부터 연료 전지(20)의 발전 전압을 취득하고, 발전 전압이 하한 전압보다 높아지도록, 발전 전압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압 제어부(14)는 밸브(43)의 개방도를 변경함으로써 연료 전지(20)에의 공기의 유량을 조정하고, 펌프(46)의 회전수 및 밸브(44)의 개방도 등을 변경함으로써 연료 전지(20)에의 수소 가스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전압 제어부(14)는 이와 같은 조정을 행함으로써, 발전 전압을 제어한다.
하한 전압 제어부(16)는 수온에 따라 발전 전압의 하한인 하한 전압 Vll을 제어한다. 하한 전압 Vll은 온도 보정값 Tfilt의 함수이다. 온도 보정값 Tfilt는, 수온으로부터 산출되는 값이며, 하한 전압 Vll을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온도 보정부(18)는 온도 보정값 Tfilt를 다음 식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식 중의 Tfilt는 온도 보정값이며, Tfilt _old는 Tfilt보다도, 단위 시간을 소급한 타이밍에 있어서의 온도 보정값(전회의 온도 보정값)이다. T는 수온, τ는 온도 보정값 Tfilt를 계산하기 위한 시상수(계수)이다.
<식 1>
Figure 112015110017202-pat00002
식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도 보정값 Tfilt는, 수온 T와 전회에 산출된 값 Tfilt _old의 차를 시상수 τ로 제산하여 얻은 값을, Tfilt _old에 더함으로써 얻어진다. 이와 같은 필터 처리를 행함으로써, 수온 T의 급격한 변화 변동 성분을 억제하여, 안정된 온도 보정값 Tfilt를 얻는다. 시상수 τ가 작을수록 온도 보정값 Tfilt의 변화의 정도(변화율)는 커지고, τ가 클수록 온도 보정값 Tfilt의 변화율은 작아진다.
도 2의 (a)는 하한 전압 Vll과 온도 보정값 Tfilt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횡축은 온도 보정값 Tfilt를 나타내고, 종축은 하한 전압 Vll을 나타낸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도 보정값 Tfilt가 Tfilt _1(예를 들어 65℃) 미만에서는, 하한 전압은 최저값인 VO이다. 한편, 온도 보정값 Tfilt가 Tfilt _1보다 큰 경우, 하한 전압은 VO보다 커진다. 또한 온도 보정값 Tfilt가 Tfilt _2(예를 들어 85℃) 이상에서는, 하한 전압은 최고값인 VX이다. 이와 같이, 하한 전압 Vll은 온도 보정값 Tfilt에 의존하여 변화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상수 τ가 작을수록 온도 보정값 Tfilt의 변화율은 커지고, 온도 보정값 Tfilt의 변화율이 커질수록 하한 전압 Vll의 변화율도 커진다. 즉, 시상수 τ가 작을수록 하한 전압 Vll의 변화율도 커진다. 반대로, τ가 클수록, 온도 보정값 Tfilt의 변화율은 작아지고, Vll의 변화율도 작아진다.
도 2의 (b)는 시상수의 온도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b)의 횡축은 수온 T, 종축은 시상수 τ를 나타낸다.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상수 τ는 수온 T와 함께 변화된다. 수온 T가 T2(예를 들어 70℃) 미만에 있어서, 시상수 τ는 τ1(예를 들어 10초)이다. 수온 T가 T3(예를 들어 75℃) 이상에 있어서, 시상수 τ는 τ1보다 작은 τ2(예를 들어 1초)로 된다. T1은 예를 들어 65℃이고, T2 및 T3보다 낮은 온도이다.
도 2의 (c)는 수온 및 온도 보정값의 시간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d)는 전압의 시간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c) 및 도 2의 (d)의 횡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도 2의 (c)의 종축은 수온 T 및 온도 보정값 Tfilt를 나타낸다. 또한, 실선은 수온 T, 파선은 온도 보정값 Tfilt를 나타낸다. 도 2의 (d)의 종축은 전압을 나타내고, 실선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하한 전압 Vll을, 파선은 발전 전압을 나타낸다. 또한, 일점쇄선은, 비교예로서, τ를 변화시키지 않는 경우의 하한 전압을 나타낸다(τ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τ2에 고정).
도 2의 (c)에 나타내는 시간 t1에 있어서 드라이버는 차량의 액셀러레이터를 답입한다(액셀러레이터를 온으로 한다). 연료 전지(20)의 발열에 수반하여, 냉각수의 수온 T는 상승을 개시한다. 또한, 이때 하한 전압 Vll은 최저값 VO이다. 시간 t2에 있어서 수온 T는 T1(제1 온도, 예를 들어 65℃)로 된다. 시간 t3에 있어서 수온 T는 T2 정도에 도달하고, 그 후 하강하고, 시간 t4에 있어서 T1 미만으로 된다. 이때, 식 1의 시상수 τ는 도 2의 (b)에 나타낸 τ1이다. 시상수 τ가 크기 때문에, 온도 보정값 Tfilt의 변화율은 작다. 구체적으로는, 도 2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도 보정값 Tfilt는 완만하게 상승하는데, 도 2의 (a)의 Tfilt _1(예를 들어 65℃) 미만이기 때문에, 도 2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 t2∼t4에 있어서 하한 전압 Vll은 최저값 VO로 된다.
도 2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수온 T는 다시 상승하고, 시간 t5에 있어서 T1 이상으로 된다. 이때, 온도 보정값 Tfilt도 도 2의 (a)에 있어서의 Tfilt _1 이상으로 된다. 이로 인해, 도 2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한 전압 Vll은 최저값 VO보다 커진다. 시간 t6에 있어서 수온 T는 T3(제2 온도, 예를 들어 75℃) 이상으로 된다. 이때, 시상수 τ는 도 2의 (b)에 나타낸 τ2로 된다. τ가 τ1보다 작은 τ2로 되기 때문에, 온도 보정값 Tfilt는 급격하게 커지고, 수온 T에 접근한다[도 2의 (c) 참조]. 온도 보정값 Tfilt가 급상승하기 때문에,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한 전압 Vll의 변화율도 커진다. 발전 전압은 시간 t1∼t6에 있어서는 거의 일정하고, 시간 t7 이후에 있어서는 하한 전압 Vll과 거의 동일 정도로 되고, Vll과 함께 상승한다. 온도 보정값 Tfilt가 도 2의 (a)에 있어서의 Tfilt _2 이상으로 된 경우에, 하한 전압 Vll은 최고값인 VX에 도달하고, 그 후는 최고값 VX를 유지한다.
한편, 도 2의 (d)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비교예에 있어서는, 하한 전압 Vll이 시간 t2∼t4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상승한다. 비교예에서는, 시상수 τ에 기초하여 온도 보정값을 산출하지 않고 수온 T에 기초하여 하한 전압 Vll을 제어하거나, 또는 τ2(예를 들어 1초)와 같은 작은 값에서 일정한 시상수에 기초하여 하한 전압 Vll을 제어한다. 이로 인해, 비교예에 있어서는, 하한 전압 Vll이 크게 변화된다. 즉, 도 2의 (c)에 나타내는 수온 T가 일시적인 상승에 수반하여, 하한 전압 Vll도 커진다(시간 t2∼t4). 비교예에 있어서는, 하한 전압 Vll의 상승과 함께, 발전 전압도 커지기 때문에, 출력 전류가 저하되어 버린다.
도 3은 연료 전지 시스템(100)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의 처리는, 예를 들어 드라이버가, 연료 전지 시스템(100)을 탑재한 차량에 있어서 WOT를 행할 때에 실행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도 취득부(12)는 온도 센서(50)가 검출한 수온 T를 취득한다(스텝 S10).
이어서, 온도 보정부(18)는 전회의 온도 보정값 Tfilt _old를 취득한다(스텝 S12). 온도 보정값의 이력은,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ROM, RAM 등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다.
온도 보정부(18)는 도 2의 (b)에 나타내는 맵 등에 기초하여, 수온 T에 따른 시상수 τ를 취득한다(스텝 S14).
다음으로 온도 보정부(18)는 상기한 식 1을 이용하여, 온도 보정값 Tfilt를 산출한다(스텝 S16).
그 후, 하한 전압 제어부(16)는 산출된 온도 보정값 Tfilt에 기초하여, 하한 전압 Vll을 설정한다(스텝 S18). 스텝 S18 이후, 처리는 종료된다.
실시예 1에 의하면, 온도 보정부(18)는 수온 T를 보정함으로써 온도 보정값을 산출하고, 하한 전압 제어부(16)는 온도 보정값에 기초하여 연료 전지(20)의 하한 전압을 제어한다. 이때 온도 보정부(18)는 수온 T가 T3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의 시상수 τ에 대해, 수온 T가 T2 미만인 경우의 시상수를 크게 한다.
구체적으로, 수온 T가 T1 이상 또한 T3 미만인 경우, 온도 보정부(18)는 시상수 τ를 도 2의 (b)의 τ1로 한다. 이로 인해, 온도 보정값 Tfilt의 변화율은 작아지고, 하한 전압 Vll의 변화율도 작아진다. 따라서, 발전 전압의 상승은 억제되고, 연료 전지(20)의 출력 전류의 저하는 억제된다. 이 결과, 양호한 출력 응답성이 얻어진다. 예를 들어 도 2의 (c) 및 도 2의 (d)의 t2∼t4와 같이 일시적으로 수온 T가 상승해도, 하한 전압 Vll의 상승 폭은 작기 때문에, 출력 응답성은 양호하다. 즉, 라디에이터(24)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가 연료 전지(20)에 흐를 때까지의 시간에, 수온 T의 일시적인 상승이 검출되어도, 과도한 출력 제한은 억제된다. 이에 의해, 드라이버가 액셀러레이터를 답입한 때에 충분한 구동력이 얻어진다.
또한, 수온 T가 T3 이상인 경우, 온도 보정부(18)는 시상수 τ를 도 2의 (b)의 τ2로 한다. 이로 인해, 온도 보정값 Tfilt의 변화율은 커지고, 하한 전압 Vll의 변화율도 커진다. 따라서, 수온의 상승에 수반하여 하한 전압 Vll은 상승하고, 발전 전압도 높아진다. 하한 전압 Vll 및 발전 전압은 예를 들어 도 2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VX로 된다. 이와 같이 발전 전압이 상승함으로써, 연료 전지(20)의 발열이 억제되어, 연료 전지(20) 내의 수분의 증발이 억제된다. 따라서, 연료 전지(20)의 발전 성능의 열화가 억제된다.
온도 센서(50)는 라디에이터(24)보다도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온도 센서(50)가 검출하는 수온 T는, 라디에이터(24)에 의한 냉각 전의 온도이며, 연료 전지(20)의 발열의 상태를 직접 반영한다. 예를 들어 WOT 운전의 개시 직후에는 연료 전지(20)의 발열에 의해, 수온 T가 급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라디에이터(24)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가 온도 센서(50)에 도달할 때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이로 인해, 온도 센서(50)는 수온 T의 상승을 검출한다. 시상수 τ가 작은 경우, 수온 T가 급상승하면, 온도 보정값 Tfilt도 급격하게 커져 버린다. 이로 인해, 도 2의 (d)의 비교예와 같이 하한 전압 Vll이 상승하고, 발전 전압도 상승, 출력 전류가 저하되어 버린다. 실시예 1에 의하면, 수온 T가 상승해도, 수온 T가 T3에 도달할 때까지는, 온도 보정부(18)는 시상수 τ를 크게 하고, 하한 전압 Vll의 상승률을 작게 한다. 이에 의해 발전 전압의 상승은 억제된다. 이로 인해, 출력 전압의 저하는 억제되어, 운전 개시의 직후로부터 우수한 응답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50)는 냉매 배출 유로(40)의 어디에 설치되어도 되고, 특히 연료 전지(20)의 냉각수 출구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에 사용된 직후의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라디에이터(24) 이외에 예를 들어 라디에이터 등의 열교환기를 설치해도 된다. Tfilt _1, T1, T2 및 T3은 상기 이외의 값이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10 : CPU
12 : 온도 취득부
14 : 전압 제어부
16 : 하한 전압 제어부
18 : 온도 보정부
20 : 연료 전지
24 : 라디에이터
39 : 냉매 공급 유로
40 : 냉매 배출 유로
41, 42 : 냉매 순환 유로
50 : 온도 센서

Claims (1)

  1. 연료 전지와,
    상기 연료 전지에 접속되고, 상기 연료 전지를 냉각하는 냉매가 유통하는 냉매 경로와,
    상기 냉매 경로에 있어서의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와,
    상기 온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냉매의 온도를 보정함으로써, 온도 보정값을 산출하는 온도 보정부와,
    상기 온도 보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 전지의 하한 전압을 제어하는 하한 전압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 보정부는, 상기 온도 보정값을 Tfilt, 전회의 온도 보정값을 Tfilt_old, 상기 냉매의 온도를 T, 계수를 τ라고 한 경우, 이하의 식에 기초하여 온도 보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계수는, 상기 냉매의 온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의 상기 계수에 대해, 상기 냉매의 온도가 소정 값 미만인 경우의 상기 계수가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식 1>
    Figure 112015110017202-pat00003
KR1020150158353A 2014-11-14 2015-11-11 연료 전지 시스템 KR101757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32237 2014-11-14
JP2014232237A JP6112100B2 (ja) 2014-11-14 2014-11-14 燃料電池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039A KR20160058039A (ko) 2016-05-24
KR101757555B1 true KR101757555B1 (ko) 2017-07-12

Family

ID=55855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353A KR101757555B1 (ko) 2014-11-14 2015-11-11 연료 전지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92068B2 (ko)
JP (1) JP6112100B2 (ko)
KR (1) KR101757555B1 (ko)
CN (1) CN105633431B (ko)
CA (1) CA2911362C (ko)
DE (1) DE10201511901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9053B2 (ja) * 2016-07-26 2018-10-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6766638B2 (ja) * 2016-12-26 2020-10-14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電池冷却システム
KR102452469B1 (ko) * 2017-08-28 2022-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의 수소퍼지 제어방법 및 시스템
JP7091708B2 (ja) * 2018-02-28 2022-06-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US11307225B2 (en) * 2018-09-24 2022-04-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emperature based control of variable voltage converter
CN112768732B (zh) * 2021-02-03 2022-08-02 重庆长安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热管理控制方法
CN113258105B (zh) * 2021-04-22 2022-07-15 四川荣创新能动力系统有限公司 一种液氢燃料电池余热回收系统的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6117A (ja) 2007-07-03 2009-01-22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037762A (ja) 2007-07-31 2009-02-19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8081B2 (ja) * 1994-03-30 2003-02-17 マツダ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3417142B2 (ja) * 1995-05-23 2003-06-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JP2008165983A (ja) 2005-02-28 2008-07-17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状態モニタ装置及び方法
US7393602B2 (en) 2005-04-14 2008-07-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ethod to begin coolant circulation to prevent MEA overheating during cold start
US9118049B2 (en) 2007-05-29 2015-08-2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cell system
JP5238191B2 (ja) 2007-06-01 2013-07-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9158397A (ja) 2007-12-27 2009-07-16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EP2624350B1 (en) 2010-09-29 2017-09-13 Toto Ltd. Solid oxide fuel cel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6117A (ja) 2007-07-03 2009-01-22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00159342A1 (en) 2007-07-03 2010-06-2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cel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JP2009037762A (ja) 2007-07-31 2009-02-19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33431B (zh) 2018-05-08
US20160141691A1 (en) 2016-05-19
DE102015119017A1 (de) 2016-05-19
DE102015119017B4 (de) 2023-10-12
CN105633431A (zh) 2016-06-01
CA2911362A1 (en) 2016-05-14
JP6112100B2 (ja) 2017-04-12
JP2016096083A (ja) 2016-05-26
CA2911362C (en) 2017-09-26
KR20160058039A (ko) 2016-05-24
US9692068B2 (en)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555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JP6090246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994794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reshold value of fuel cell
JP6094564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CN106207227B (zh) 用于车辆的冷却水控制的方法及系统
US9634342B2 (en) Fuel cell system and control method
JP5812118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5742946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4273427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6179672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172115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2246051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6277600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装置
KR101878033B1 (ko) 연료전지 차량의 정전압 제어방법 및 시스템
JP2007042566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とその起動方法
JP6323344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105052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uel cell cooling
JP4747495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4788097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140084121A (ko) 연료전지 어셈블리 및 제어 방법
JP6136185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4576790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210070451A (ko) 연료전지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05038712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5251695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