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884B1 - 전력 공급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공급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884B1
KR101756884B1 KR1020157030991A KR20157030991A KR101756884B1 KR 101756884 B1 KR101756884 B1 KR 101756884B1 KR 1020157030991 A KR1020157030991 A KR 1020157030991A KR 20157030991 A KR20157030991 A KR 20157030991A KR 101756884 B1 KR101756884 B1 KR 101756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priority
loads
power suppl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6123A (ko
Inventor
노부유키 코우노
노리히로 오쿠보
마사키 나이토
유지 우마코시
세이이치로 후지이
Original Assignee
쥬코쿠 덴료쿠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코쿠 덴료쿠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쥬코쿠 덴료쿠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6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10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selector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4/00Circuit arrangements for mains or distribution networks not specified as ac or d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39Energy management, use maximum of cheap power, keep peak load low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5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 H02J2310/56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 upon which the selective controlling is based
    • H02J2310/58The condition being electrical
    • H02J2310/60Limiting power consumption in the network or in one section of the network, e.g. load shedding or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02B70/329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8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과제] 부하에 정해진 우선 순위 때문에 정전시 등에 있어서의 부하로의 전력 공급이 필요 이상으로 제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해결 수단] 정전을 검지해서 전원 차단기(14)가 개방되고, 이용자가 투입 스위치(16)를 온으로 하여 전원 공급 장치(3)가 분전반(4)의 기간 선로(12)에 접속되었을 때, PC(퍼스널 컴퓨터)(5)는 부하(L1~L8) 중에서 전원 공급 장치(3)의 출력 능력의 범위 내에서 전력을 공급 가능한 부하를 특정하고, 특정한 부하를 기간 선로(12)에 접속시킨다. 이용자는 부하(L1~L8)의 일부 또는 전부에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PC(5)는 접속해야 할 부하를 우선 순위에 따라서 특정해 가지만, 특정한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전원 공급 장치(3)의 출력 능력의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우선 순위에 따라서 특정해야 할 부하를 건너뛰고, 우선 순위가 보다 낮은 부하의 특정을 시도한다. 또한,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부하에 대해서는 소비 전력이 작은 순으로 특정한다.

Description

전력 공급 제어 장치{POWER SUPPLY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전원 장치로부터 각 부하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요가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의 축전지 또는 발전 장치 등의 전원 장치를 사용하여, 정전 등에 의해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정지됐을 경우에 전원 장치에 의해 부하로의 전력 공급을 행하는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있어서, 전력계통으로부터 얻어지는 전력과 비교하여 전원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전력은 작기 때문에 정전 전에는 모든 부하를 가동하는 데에 충분한 전력이 전력계통으로부터 얻어지고 있었지만, 정전 발생 후에는 전원 장치로부터 모든 부하를 가동하는 데에 충분한 전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정전시에 전원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부하를 제한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7-236023호 공보에 기재된 전력 공급 시스템은 주택이 갖는 복수의 부하를 부하군 LA와 부하군 LB로 나누고, 정전시에는 부하군 LB에만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이 전력 공급 시스템은 부하군 LB 중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하에 우선 순위를 정함과 아울러, 배터리의 잔존 용량과 각 부하의 추정 전력 소비량에 의거하여 전력 여력을 추정하여, 전력 여력이 작을 때에는 우선 순위가 높은 부하에만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8-11612호 공보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은 발전기 유닛의 출력이 예측 전력 수요보다 낮을 경우에는 우선 순위가 높은 전력 부하로부터 순서대로 발전기 유닛에 의한 전력 공급의 대상으로 하고, 총 예측 전력 수요가 발전기 유닛 등의 합계 출력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전력 부하를 선택한다.
일본 특허공개 2007-23602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8-11612호 공보
그러나, 정전시에 전원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부하를 제한하는 상기 기술은 정전시에 전원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해야 할 부하를 단순히 우선 순위에 따라서 특정할 뿐이다. 이 때문에, 전원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부하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우선 순위가 낮기 때문에 그 부하가 전원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해야 할 부하로서 특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부하 M1, M2, M3, M4가 있고, 이 순서로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부하 M3은 부하 M4보다 소비 전력이 크다고 한다. 정전시에 이들 부하 M1~M4에 대하여 전원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할 때에 우선 순위에 따라서 우선 부하 M1이 전력을 공급해야 할 부하로서 특정되고, 이어서 부하 M2가 전력을 공급해야 할 부하로서 특정되었지만, 부하 M3이 전력을 공급해야 할 부하로서 특정되면 전원 장치의 전력 공급 능력을 초과해 버리기 때문에, 부하 M3은 전력을 공급해야 할 부하로서 특정되지 않았다고 한다. 이 경우, 부하 M3이 특정되지 않은 시점에서 부하를 특정하는 처리가 종료되어 버리기 때문에, 부하 M3보다 우선 순위가 낮은 부하 M4도 전력을 공급해야 할 부하로서 특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원 장치에 있어서 소비 전력이 큰 부하 M3에 전력을 공급할 여력이 없어도, 소비 전력이 작은 부하 M4에 전력을 공급하는 여력은 있는 경우가 생각된다. 이 경우에는 전력의 공급이 가능한 부하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 부하로의 전력의 공급이 실현되지 않는다.
또한, 우선 순위가 설정된 부하와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부하가 존재할 경우, 상기 기술에 의하면 전원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해야 할 부하를 특정하는 처리는 우선 순위가 설정된 부하에 대해서만 행하여지고,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부하에 대해서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전원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해야 할 부하를 특정하는 처리를 우선 순위가 설정된 부하에 대해서 행한 후에 있어서 전원 장치에 여력이 있고,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부하 중 몇 개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그와 같은 전력의 공급은 실현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종래 기술에는 부하에 정해진 우선 순위 때문에 정전시에 있어서의 부하로의 전력 공급이 필요 이상으로 제한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부하에 정해진 우선 순위 때문에 정전 등의 전력계통 정지시에 있어서의 부하로의 전력 공급이 필요 이상으로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전원 장치로부터 복수의 부하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전원 장치에 상기 복수의 부하를 병렬로 접속시키기 위한 회로와, 상기 회로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 장치와 상기 복수의 부하 사이의 접속, 차단을 각각 스위칭하는 복수의 개폐기와, 상기 복수의 부하에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우선 순위 설정부와, 상기 복수의 부하 중에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서 1개의 부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부하와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상기 전원 장치의 출력 능력에 따라 설정된 출력 상한값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부하를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하고, 상기 선택된 부하와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상기 출력 상한값 이하가 아닐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부하를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하지 않는다고 하는 부하 특정 처리를 상기 복수의 부하 전체에 대하여 반복해서 행하는 부하 특정부와, 상기 부하 특정부에 의해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된 부하에 대응하는 상기 개폐기를 스위칭 제어하고, 상기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된 부하를 상기 전원 장치에 접속시키는 스위칭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부하의 소비 전력을 계측하는 계측부와,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상기 각 부하의 소비 전력의 계측값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 특정부는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되어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각 부하의 소비 전력의 계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소비 전력의 합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부하에 전력계통을 접속시킬지 상기 전원 장치를 접속시킬지를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칭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 특정부는 상기 전원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각 부하에 대하여 상기 전력계통이 차단되고, 또한 상기 전원 장치가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부하 특정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전원 장치로부터 복수의 부하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전원 장치에 상기 복수의 부하를 병렬로 접속시키기 위한 회로와, 상기 회로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 장치와 상기 복수의 부하 사이의 접속, 차단을 각각 스위칭하는 복수의 개폐기와, 상기 복수의 부하 중 일부를 우선 부하로 하고, 잔부를 비우선 부하로 해서 상기 우선 부하에 대해서만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우선 순위 설정부와,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서 1개의 우선 부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우선 부하와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우선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상기 전원 장치의 출력 능력에 따라 설정된 출력 상한값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우선 부하를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하고, 상기 선택된 우선 부하와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우선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상기 출력 상한값 이하가 아닐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우선 부하를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하지 않는다고 하는 우선 부하 특정 처리를 모든 우선 부하에 대하여 반복해서 행하는 우선 부하 특정부와, 상기 우선 부하 특정부에 의해 모든 우선 부하에 대하여 상기 우선 부하 특정 처리가 행하여진 후, 소비 전력이 작은 순으로 1개의 비우선 부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비우선 부하를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하는 비우선 부하 특정 처리를 상기 선택된 비우선 부하와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상기 출력 상한값 이하인 한 반복해서 행하는 비우선 부하 특정부와, 상기 우선 부하 특정부 및 상기 비우선 부하 특정부에 의해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된 부하에 대응하는 상기 개폐기를 스위칭 제어하고, 상기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된 부하를 상기 전원 장치에 접속시키는 스위칭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4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부하의 소비 전력을 계측하는 계측부와,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상기 각 부하의 소비 전력의 계측값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우선 부하 특정부 및 상기 비우선 부하 특정부는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되어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각 부하의 소비 전력의 계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소비 전력의 합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4 또는 제 5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부하에 전력계통을 시킬지 상기 전원 장치를 접속시킬지를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칭부를 구비하고, 상기 우선 부하 특정부 및 상기 비우선 부하 특정부는 상기 전원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각 부하에 대하여 상기 전력계통이 차단되고, 또한 상기 전원 장치가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우선 부하 특정 처리 및 상기 비우선 부하 특정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부하에 정해진 우선 순위 때문에 전력계통 정지시에 있어서의 부하로의 전력 공급이 필요 이상으로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를 전원 공급 장치 및 부하 등과 함께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부하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부하 관리 테이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부하 특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도 4에 계속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전력 공급 제어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전력 공급 제어 장치 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전력 공급 제어 장치(1)는 정전에 의해 전력계통(2)으로부터 부하(L1~L8)로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했을 때에, 전원 장치로서의 전원 공급 장치(3)로부터 부하(L1~L8)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력 공급 제어 장치(1)는 수요가에 설치되어 수요가에 있어서 부하(L1~L8)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한다.
전력 공급 제어 장치(1)는 분전반(4),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함.)(5), 및 스위칭 제어 장치(6)를 구비하고 있다.
분전반(4)에는 전력계통(2)이 외부 차단기(7) 등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분전반(4)에는 전원 공급 장치(3)가 접속되어 있다. 전원 공급 장치(3)는,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8)의 축전지(9)에 축적된 전력을 인출해서 분전반(4)측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또한, 분전반(4)에는 복수(예를 들면, 8개)의 부하(L1~L8)가 접속되어 있다. 부하(L1~L8)에는, 예를 들면 조명, 화재 경보기, 냉장고, 에어 컨디셔너, 텔레비젼 장치 등의 전기기기가 포함된다.
분전반(4) 내에는 전력계통(2)으로부터의 전력 및 전원 공급 장치(3)로부터의 전력을 선택적으로 각 부하(L1~L8)에 공급하기 위한 전기 회로(11)가 형성되어 있다. 전기 회로(11)는 기간(基幹) 선로(12)를 구비하고, 기간 선로(12)에는 전력계통(2)에 접속된 외부 차단기(7)와, 전원 공급 장치(3)가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간 선로(12)에는 분기 회로 유닛(13)이 접속되어 있다.
분기 회로 유닛(13)은 복수의 부하(L1~L8)를 기간 선로(12)에 각각 접속시키기 위한 복수의 선로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선로를 통해서 부하(L1~L8)는 기간 선로(12)에 병렬로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분기 회로 유닛(13)에 있어서, 부하(L1)와 기간 선로(12) 사이를 접속하는 선로의 도중에는 부하(L1)와 기간 선로(12) 사이의 접속, 차단을 스위칭하는 부하 개폐기(21)가 접속되어 있다. 부하 개폐기(21)는, 예를 들면 배선용 차단기이다. 또한, 부하(L1)와 기간 선로(12) 사이를 접속하는 선로에는 상기 선로를 통과해서 부하(L1)로 유입되는 전류를 계측하는 변류기(CT)(31)가 접속되어 있다. 이것과 마찬가지로, 부하(L2~L8)와 기간 선로(12) 사이를 접속하는 선로에도 부하 개폐기(22~28) 및 변류기(32~38)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변류기(31~38)는 각각 계측부의 구체예이다.
또한, 분전반(4) 내에는 전력계통(2)과 기간 선로(12) 사이의 접속, 차단을 스위칭하는 전원 차단기(14)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차단기(14)는, 예를 들면 UVT(부족 전압 분리 장치)가 부착된 배선용 차단기이다. 전원 차단기(14)는 통상시(전력계통 가동시)에는 폐쇄되어 있어 전력계통(2)과 기간 선로(12) 사이를 접속시키고 있지만, 정전에 의해 전력계통(2)으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하면 이것을 검지해서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전력계통(2)과 기간 선로(12) 사이를 차단한다. 또한, 분전반(4) 내에는 전력계통(2)으로부터 기간 선로(12)로 유입되는 전류를 계측하는 변류기(1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분전반(4) 내에는 전원 공급 장치(3)와 기간 선로(12) 사이의 접속, 차단을 스위칭하는 투입 스위치(16)가 설치되어 있다. 투입 스위치(16)는, 예를 들면 수동 스위칭식의 개폐기이다. 투입 스위치(16)는 통상시에는 개방되어 있어 전원 공급 장치(3)와 기간 선로(12) 사이를 차단하고 있다. 이용자는 투입 스위치(16)를 수동으로 폐쇄하여 전원 공급 장치(3)와 기간 선로(12) 사이를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투입 스위치(16)는 전원 차단기(14)와 함께 전원 스위칭부의 구체예이다.
스위칭 제어 장치(6)는 PC(5)와 함께 분전반(4)을 제어하는 장치이며, 그 내부에는 인터페이스 회로 및 제어 회로 등이 설치되어 있다. 스위칭 제어 장치(6)에는 PC(5), 변류기(15), 전원 차단기(14), 투입 스위치(16), 변류기(31~38), 및 부하 개폐기(21~28)가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제어 장치(6)는 변류기(15) 및 변류기(31~38)에 의해 각각 계측된 전류값을 변류기(15) 및 변류기(31~38)로부터 수취하고, 이것들을 PC(5)에 출력한다. 또한, 스위칭 제어 장치(6)는 전원 차단기(14)로부터 출력된 트립 신호를 수취하고, 수취한 트립 신호에 대응하는 통지 신호를 PC(5)에 출력한다. 또한, 스위칭 제어 장치(6)는 투입 스위치(16)의 온, 오프를 검지하고, 검지 결과에 대응하는 검지 신호를 PC(5)에 출력한다. 또한, 스위칭 제어 장치(6)는 PC(5)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신호를 수취하고, 수취한 지령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부하 개폐기(21~28) 중 지령 신호에 의해 지정된 부하 개폐기에 출력한다. 상기 부하 개폐기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개폐한다. 또한, 스위칭 제어 장치(6)는 PC(5)와 함께 스위칭 제어부의 구체예이다.
PC(5)는 CPU(중앙 처리 장치)(41) 및 기억부(4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PC(5)에는 키보드, 포인팅 디바이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부(43),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정보 표시부(4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PC(5)는 스위칭 제어 장치(6)와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 등을 갖고 있다. CPU(41)는 PC(5)에 미리 인스톨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a) 우선 순위 설정 처리, (b) 소비 전력 산출 처리, 및 (c) 부하 특정 처리를 행한다. 기억부(42)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이다. 기억부(42)에는 부하 관리 테이블(도 2 또는 도 3 참조)이 기억된다. 또한, PC(5)는 우선 순위 설정부, 부하 특정부, 우선 부하 특정부, 및 비우선 부하 특정부의 구체예이다.
(부하 관리 테이블)
도 2의 상단은 부하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부하 관리 테이블(T1)은 각 부하(L1~L8)의 관리 상태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부하 관리 테이블(T1)에 있어서, 「부하 번호」는 부하(L1~L8)의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우선/비우선」은 각 부하(L1~L8)가 우선 순위가 설정된 부하인지,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부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우선 순위」는 우선 순위가 설정된 각 부하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소비 전력」은 각 부하(L1~L8)의 소비 전력값이다. 「접속/차단」은 각 부하(L1~L8)가 기간 선로(12)와 접속되어 있는지 차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선택 플래그」는 후술하는 부하 특정 처리에 있어서, 각 부하(L1~L8)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도 2의 하단의 부하 관리 테이블(T2), 도 3의 상단의 부하 관리 테이블(T3), 및 도 4의 하단의 부하 관리 테이블(T4)은 도 2의 상단의 부하 관리 테이블(T1)과 같은 것이지만, 다른 설정 하, 또는 다른 시점의 부하 관리 테이블이며, 그 때문에 부하 관리 테이블 중에 기록된 값이 각각 다르다.
(우선 순위 설정 처리)
전력 공급 제어 장치(1)는 PC(5)의 CPU(41)의 제어 하, 우선 순위 설정 처리를 행한다. 우선 순위 설정 처리는 이용자의 입력에 따라, 각 부하(L1~L8)에 대한 우선, 비우선의 설정 및 우선 순위의 설정을 행하는 처리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하 특정 처리에서는 부하의 소비 전력이 전원 공급 장치(3)의 출력 능력에 따라 설정된 출력 상한값 이하가 되도록, 기간 선로(12)에 접속해야 할 부하를 특정한다. 그때, 각 부하(L1~L8) 중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는 부하(이하, 이것을 「우선 부하」라고 함.)와,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부하(이하, 이것을 「비우선 부하」라고 함.)로 기간 선로(12)에 접속해야 할 부하를 특정하는 기준이 다르다. 또한, 부하 특정 처리에서는 각 우선 부하에 설정된 우선 순위를 고려해서 기간 선로(12)에 접속해야 할 우선 부하를 특정한다. 거기에서, 전력 공급 제어 장치(1)는 부하 특정 처리의 실행에 대비하여 우선 순위 설정 처리를 행하고, 이용자의 입력에 따라 각 부하(L1~L8)에 대한 우선, 비우선의 설정, 및 우선 부하에 대한 우선 순위의 설정을 행한다.
우선 순위 설정 처리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PC(5)의 CPU(41)는 각 부하(L1~L8)에 대해서 우선, 비우선의 설정 입력, 및 우선 부하에 대한 우선 순위의 설정 입력을 행하기 위한 설정 입력 화면을 PC(5)의 정보 표시부(44)에 표시한다. 유저는 설정 입력 화면을 보면서 PC(5)의 조작 입력부(43)를 조작하여, 각 부하(L1~L8)에 대해서 우선, 비우선의 설정 입력, 및 우선 부하에 대한 우선 순위의 설정 입력을 행할 수 있다. 유저에 의해 입력된 각 부하(L1~L8)에 대한 우선, 비우선의 설정, 및 우선 부하에 대한 우선 순위의 설정은 부하 관리 테이블(도 2 또는 도 3 참조)의 일부로서 기억부(42)에 기억된다.
유저는 부하(L1~L8)의 전체에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도 있고, 부하(L1~L8) 중에서 몇개의 부하를 선택하여 선택한 부하에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나머지 부하에 우선 순위를 설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부하(L1~L8)의 전체에 우선 순위를 설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유저는 부하(L1~L8)에 대한 우선, 비우선의 설정, 및 우선 부하에 대한 우선 순위의 설정을 언제라도 변경할 수 있다.
(소비 전력 산출 처리)
또한, 전력 공급 제어 장치(1)는 PC(5)의 CPU(41)의 제어 하, 소비 전력 산출 처리를 행한다. 소비 전력 산출 처리는 통상시(전력계통 가동시)에 있어서 각 부하(L1~L8)의 소비 전력을 산출하고, 산출한 각 소비 전력을 기억부(42)에 기억하는 처리이다.
후술하는 부하 특정 처리에서는 각 부하(L1~L8)의 소비 전력을 고려해서 기간 선로(12)에 접속해야 할 부하를 특정한다. 거기에서, 전력 공급 제어 장치(1)는 부하 특정 처리의 실행에 대비하여 소비 전력 산출 처리를 행하고, 각 부하(L1~L8)의 소비 전력을 산출한다.
소비 전력 산출 처리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행하여진다. 즉, 변류기(31~38)는 부하(L1~L8)에 유입되는 전류를 부하마다 항상 계측하고, 계측한 전류값을 항상 스위칭 제어 장치(6)에 출력하고 있다. 계속해서, 스위칭 제어 장치(6)는 변류기(31~38)로부터 출력된 전류값을 부하마다 PC(5)에 출력한다. 계속해서, PC(5)는 이들 전류값을 수취하고, PC(5)의 CPU(41)는 수취된 전류값을 이용하여 부하(L1~L8)의 소비 전력을 부하마다 산출한다. CPU(41)는 각 부하(L1~L8)에 대해서 소비 전력의 산출을 연속적으로 행하고, 산출된 소비 전력의 값을 기억부(42)의 일시 기억 영역에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면, 1초 간격)으로 기억한다.
각 부하(L1~L8)의 소비 전력값은 기억부(42)의 일시 기억 영역에 축적된다. CPU(41)는 소정 시간마다, 예를 들면 10분 마다 기억부(42)의 일시 기억 영역에 축적된 부하(L1)의 소비 전력값을 참조하여 그 시점으로부터 거슬러 올라가서 10분 동안에 축적된 부하(L1)의 소비 전력값 중 최대의 소비 전력값을 특정하고, 특정한 소비 전력값을 부하 관리 테이블(도 2 참조)의 일부로서 기억부(42)의 다른 영역에 기억한다. 그 직후, CPU(41)는 기억부(42)의 일시 기억 영역에 축적된 부하(L1)의 소비 전력값을 전부 소거한다. CPU(41)는 기억부(42)의 일시 기억 영역에 축적된 각 부하(L2~L8)의 소비 전력값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이 결과, 도 2에 나타내는 부하 관리 테이블에는 부하(L1~L8)의 최근 10분간에 있어서의 최대의 소비 전력값이 부하마다 기록된다. 후술하는 부하 특정 처리에 있어서 부하의 소비 전력에 대해서 계산이 행하여질 때에는, 부하 관리 테이블에 기록된 최신의 소비 전력값이 이용된다.
(부하 특정 처리)
또한, 전력 공급 제어 장치(1)는 PC(5)의 CPU(41)의 제어 하, 부하 특정 처리를 행한다. 부하 특정 처리는 정전시에 전원 공급 장치(3)로부터 전력을 공급해야 할 부하를 특정하는 처리이다. 구체적으로는, 부하 특정 처리는 정전에 의해 전력계통이 기간 선로(12)로부터 차단되고, 또한 전원 공급 장치(3)가 기간 선로(12)에 접속되었을 때에 기간 선로(12)에 접속해야 할 부하를 특정하는 처리이다.
우선, 부하 특정 처리의 기본적인 내용을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의 상단은 제 1 예에 있어서의 부하 특정 처리의 개시시의 부하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고, 도 2의 하단은 제 1 예에 있어서의 부하 특정 처리의 종료시의 부하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예에 있어서, 유저가 사전에 행한 설정 입력에 의해 부하(L1~L8) 중 부하(L1~L3)에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고, 부하(L4~L8)에는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부하(L1~L3)가 우선 부하이고, 부하(L4~L8)가 비우선 부하이다. 또한, 우선 부하(L1, L2, L3)에는 이 순서로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부하(L1~L8)의 소비 전력은 순서대로 500W, 200W, 300W, 300W, 400W, 200W, 100W, 80W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정전시에 부하 특정 처리가 개시되면, 우선 부하(L1~L8) 전체가 기간 선로(12)로부터 차단된다. 도 2의 상단의 부하 관리 테이블(T1)은 이 시점에 있어서의 부하 관리 테이블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선택 플래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계속해서, 우선 순위에 따라서 1개의 우선 부하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우선 부하와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전원 공급 장치(3)의 출력 능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출력 상한값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우선 부하가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즉시 상기 우선 부하가 기간 선로(12)에 접속된다. 한편, 상기 선택된 우선 부하와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출력 상한값 이하가 아닐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우선 부하는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우선 부하는 기간 선로(12)로부터 차단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처리가 모든 우선 부하에 대해서, 우선 순위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행하여진다. 여기에서, 상기 출력 상한값은 예를 들면 전원 공급 장치(3)의 출력 정격(예를 들면, 1500W) 이하의 적절한 값(예를 들면, 1200W)이다.
이어서, 소비 전력이 작은 순으로 1개의 비우선 부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비우선 부하를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하는 처리가, 상기 선택된 비우선 부하와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상기 출력 상한값 이하인 한 반복해서 행하여진다. 또한, 그 동안에 모든 비우선 부하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처리는 종료된다.
도 2의 상단에 나타내는 예를 이용하여 이것들 2가지의 처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시 설명하면, 우선, 우선 부하(L1~L3) 중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우선 부하(L1)가 선택된다. 우선 부하(L1)가 선택된 단계에서는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부하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 단계에서 선택된 우선 부하와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는 우선 부하(L1)의 소비 전력과 같게 되어, 500W가 된다. 그리고, 이 소비 전력은 출력 상한값인 1200W 이하이므로, 우선 부하(L1)는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즉시 기간 선로(12)에 접속된다.
계속해서, 우선 순위가 2번째로 높은 우선 부하(L2)가 선택된다. 우선 부하(L2)가 선택된 단계에서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부하는 우선 부하(L1)이다. 그리고, 우선 부하(L2)와 우선 부하(L1)의 소비 전력의 합계는 700W이다. 이 소비 전력은 1200W 이하이므로, 우선 부하(L2)는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즉시 기간 선로(12)에 접속된다.
계속해서, 우선 순위가 3번째로 높은 우선 부하(L3)가 선택된다. 우선 부하(L3)가 선택된 단계에서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부하는 우선 부하(L1 및 L2)이다. 그리고, 우선 부하(L3)와 우선 부하(L1 및 L2)의 소비 전력의 합계는 1000W이다. 이 소비 전력은 1200W 이하이므로, 우선 부하(L3)는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즉시 기간 선로(12)에 접속된다.
계속해서, 비우선 부하(L4~L8) 중에서 소비 전력이 가장 작은 비우선 부하(L8)가 선택된다. 비우선 부하(L8)가 선택된 단계에서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부하는 우선 부하(L1~L3)이다. 그리고, 비우선 부하(L8)와 우선 부하(L1~L3)의 소비 전력의 합계는 1080W이다. 이 소비 전력은 1200W 이하이므로 비우선 부하(L8)는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즉시 기간 선로(12)에 접속된다.
계속해서, 소비 전력이 2번째로 작은 비우선 부하(L7)가 선택된다. 비우선 부하(L7)가 선택된 단계에서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부하는 우선 부하(L1~L3) 및 비우선 부하(L8)이다. 그리고, 비우선 부하(L7)와 우선 부하(L1~L3) 및 비우선 부하(L8)의 소비 전력의 합계는 1180W이다. 이 소비 전력은 1200W 이하이므로, 비우선 부하(L7)는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즉시 기간 선로(12)에 접속된다.
계속해서, 소비 전력이 3번째로 작은 비우선 부하(L6)가 선택된다. 비우선 부하(L6)가 선택된 단계에서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부하는 우선 부하(L1~L3) 및 비우선 부하(L7, L8)이다. 그리고, 비우선 부하(L6)와 우선 부하(L1~L3) 및 비우선 부하(L7, L8)의 소비 전력의 합계는 1380W이다. 이 소비 전력은 1200W를 초과하므로, 비우선 부하(L6)는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지 않고 기간 선로(12)로부터 차단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부하 특정 처리는 종료된다. 도 2의 하단의 부하 관리 테이블(T2)은 이 시점에 있어서의 부하 관리 테이블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부하 특정 처리에 의하면 우선 순위가 설정된 부하(L1~L3)에 대해서 우선 순위에 따라 기간 선로(12)에 접속한 시점에서 전원 공급 장치(3)에 200W의 여력이 남아있으므로, 그 여력의 범위 내에서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부하(L7 및 L8)를 접속시킬 수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은 우선 순위가 설정된 부하의 종료한 시점에서 전원 공급 장치의 여력의 범위 내에서 접속 가능한 부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전력 공급 제어 장치(1)는 우선 순위가 설정된 부하의 접속을 종료한 후에도 전원 공급 장치(3)의 여력의 범위 내에서 접속 가능한 부하가 있는 경우에는 그와 같은 부하를 접속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1)에 의하면, 부하에 정해진 우선 순위 때문에 정전시에 있어서의 부하로의 전력 공급이 필요 이상으로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부하를 소비 전력이 작은 순으로 접속시켜 가므로, 많은 부하를 접속시킬 수 있다.
이어서, 다른 구체예를 사용하여 부하 특정 처리의 기본적인 내용을 더 설명한다. 도 3의 상단은 제 2 예에 있어서의 부하 특정 처리의 개시시의 부하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고, 도 3의 하단은 제 2 예에 있어서의 부하 특정 처리의 종료시의 부하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제 2 예에 있어서, 유저가 사전에 행한 설정 입력에 의해 부하(L1~L8)에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부하(L1~L8)가 우선 부하이며, 비우선 부하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우선 부하(L1, L2, L3, L4, L5, L6, L7, L8)에는 이 순서로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부하(L1~L8)의 소비 전력은 제 1 예와 같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정전시에 부하 특정 처리가 개시되면, 우선 부하(L1~L8) 전체가 기간 선로(12)로부터 차단된다. 도 3의 상단의 부하 관리 테이블(T3)은 이 시점에 있어서의 부하 관리 테이블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우선 부하(L1~L8)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순으로 우선 부하(L1~L3)가 접속 대상으로서 각각 특정되어 기간 선로(12)에 각각 접속된다. 이 처리는 제 1 예에 있어서의 처리와 같다.
계속해서, 우선 순위가 4번째로 높은 우선 부하(L4)가 선택된다. 우선 부하(L4)가 선택된 단계에서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부하는 우선 부하(L1~L3)이다. 그리고, 우선 부하(L4)와 우선 부하(L1~L3)의 소비 전력의 합계는 1300W이다. 이 소비 전력은 출력 상한값인 1200W를 초과하므로, 우선 부하(L4)는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지 않고 기간 선로(12)로부터 차단된 상태가 유지된다.
계속해서, 우선 순위가 5번째로 높은 우선 부하(L5)가 선택되어도 우선 부하(L4)와 마찬가지로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지 않고 기간 선로(12)로부터 차단된 상태가 유지된다. 우선 순위가 6번째로 높은 우선 부하(L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지 않고 기간 선로(12)로부터 차단된 상태가 유지된다.
계속해서, 우선 순위가 7번째로 높은 우선 부하(L7)가 선택된다. 우선 부하(L7)가 선택된 단계에서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부하는 우선 부하(L1~L3)이다. 그리고, 우선 부하(L7)와 우선 부하(L1~L3)의 소비 전력의 합계는 1100W이다. 이 소비 전력은 1200W 이하이므로, 우선 부하(L7)는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즉시 기간 선로(12)에 접속된다.
계속해서, 우선 순위가 8번째로 높은 우선 부하(L8)가 선택된다. 우선 부하(L8)가 선택된 단계에서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부하는 우선 부하(L1~L3 및 L7)이다. 그리고, 우선 부하(L8)와 우선 부하(L1~L3 및 L7)의 소비 전력의 합계는 1180W이다. 이 소비 전력은 1200W 이하이므로, 우선 부하(L8)는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즉시 기간 선로(12)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2 예에서는 비우선 부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것으로 부하 특정 처리는 종료된다. 도 3의 하단의 부하 관리 테이블(T4)은 이 시점에 있어서의 부하 관리 테이블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부하 특정 처리에서는 우선 순위에 따라서 부하(L1~L3)를 특정해 가고, 계속해서 우선 순위에 따라서 다음 부하(L4)의 특정을 시도하지만, 부하(L4)를 특정하면 부하(L1~L4)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출력 상한값을 초과해 버리므로 부하(L4)를 특정하지 않고 건너뛰고, 우선 순위가 보다 낮은 부하의 특정을 시도한다. 이것에 의해, 부하(L1~L3)에 추가해서 부하(L7 및 L8)를 특정하고, 이것들을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부하 특정 처리에 의하면, 단순히 우선 순위에 따라서 부하를 접속시킬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많은 부하를 접속시킬 수 있다.
이어서, 부하 특정 처리의 실현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부하 특정 처리의 구체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있어서, 정전에 의해 전력계통(2)으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하면(스텝 S1: YES), 전원 차단기(14)가 이것을 검지해서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전력계통(2)과 기간 선로(12) 사이를 차단한다(스텝 S2).
전원 차단기(14)가 개방되면 전원 차단기(14)로부터 스위칭 제어 장치(6)에 트립 신호가 출력되고, 트립 신호에 따라 스위칭 제어 장치(6)로부터 PC(5)에 통지 신호가 출력된다. PC(5)는 상기 통지 신호에 의거하여 전력계통(2)이 정지한 것을 인식한다. 계속해서, PC(5)는 모든 부하 개폐기(21~28)를 개방할 것을 명하는 지령 신호를 스위칭 제어 장치(6)에 출력한다. 상기 지령 신호에 따라 스위칭 제어 장치(6)로부터 각 부하 개폐기(21)에 제어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각 부하 개폐기(21~28)가 개방되어 모든 부하(L1~L8)가 기간 선로(12)로부터 차단된다. 계속해서, PC(5)의 CPU(41)는 모든 부하(L1~L8)의 선택 플래그를 각각 오프로 한다(스텝 S3).
계속해서, 이용자가 전원 공급 장치(3)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기 위해 투입 스위치(16)를 온으로 하면 스위칭 제어 장치(6)가 그 취지를 검지해서 검지 신호를 PC(5)에 출력하고, PC(5)의 CPU(41)는 상기 검지 신호에 의거하여 투입 스위치(16)가 온이 된 것을 인식한다(스텝 S4: YES). 계속해서, CPU(41)는 모든 부하(L1~L8)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상기 출력 상한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 그리고, 모든 부하(L1~L8)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출력 상한값 이하일 경우에는(스텝 S5: YES), CPU(41)는 모든 부하 개폐기(21~28)를 폐쇄할 것을 명하는 지령 신호를 스위칭 제어 장치(6)에 출력한다. 상기 지령 신호에 따라 스위칭 제어 장치(6)로부터 각 부하 개폐기(21~28)에 제어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각 부하 개폐기(21~28)가 폐쇄되어 모든 부하(L1~L8)가 기간 선로(12)에 접속된다. 계속해서, CPU(41)는 모든 부하(L1~L8)의 선택 플래그를 각각 온으로 하여(스텝 S6) 부하 특정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모든 부하(L1~L8)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출력 상한값 이하가 아닐 경우에는(스텝 S5: NO), CPU(41)는 선택 플래그가 오프인 우선 부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 그리고, 선택 플래그가 오프인 우선 부하가 있을 경우에는(스텝 S7: YES), CPU(41)는 선택 플래그가 오프인 우선 부하 중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우선 부하를 선택한다(스텝 S8).
계속해서, CPU(41)는 스텝 S8에서 선택한 우선 부하와, 이 시점에서 이미 부하 개폐기가 폐쇄되어 기간 선로(12)에 접속되어 있는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출력 상한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 그리고, 스텝 S8에서 선택한 우선 부하와, 이 시점에서 이미 부하 개폐기가 폐쇄되어 기간 선로(12)에 접속되어 있는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출력 상한값 이하일 경우에는(스텝 S9: YES), CPU(41)는 스텝 S8에서 선택한 우선 부하에 대응하는 부하 개폐기를 폐쇄할 것을 명하는 지령 신호를 스위칭 제어 장치(6)에 출력한다. 상기 지령 신호에 따라, 스위칭 제어 장치(6)로부터 상기 부하 개폐기에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스텝 S8에서 선택한 우선 부하에 대응하는 부하 개폐기가 폐쇄되고, 스텝 S8에서 선택한 우선 부하가 기간 선로(12)에 접속된다. 계속해서, CPU(41)는 스텝 S8에서 선택한 우선 부하의 선택 플래그를 온으로 해서(스텝 S10) 처리를 스텝 S7로 되돌린다.
한편, 스텝 S8에서 선택한 우선 부하와, 이 시점에서 이미 부하 개폐기가 폐쇄되어 기간 선로(12)에 접속되어 있는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출력 상한값 이하가 아닐 경우에는(스텝 S9: NO), CPU(41)는 스텝 S8에서 선택한 우선 부하의 선택 플래그를 온으로 해서(스텝 S10) 처리를 스텝 S7로 되돌린다. 이 결과, 스텝 S8에서 선택한 우선 부하에 대해서는 기간 선로(12)로부터 차단된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스텝 S7에 있어서 선택 플래그가 오프인 우선 부하가 없을 경우에는(스텝 S7: NO), CPU(4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 플래그가 오프인 비우선 부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 그리고, 선택 플래그가 오프인 비우선 부하가 있을 경우에는(스텝 S12: YES), CPU(41)는 선택 플래그가 오프인 비우선 부하 중에서 소비 전력이 가장 작은 비우선 부하를 선택한다(스텝 S13).
계속해서, CPU(41)는 스텝 S13에서 선택한 비우선 부하와, 이 시점에서 이미 부하 개폐기가 폐쇄되어 기간 선로(12)에 접속되어 있는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출력 상한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 그리고, 스텝 S13에서 선택한 비우선 부하와, 이 시점에서 이미 부하 개폐기가 폐쇄되어 기간 선로(12)에 접속되어 있는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출력 상한값 이하일 경우에는(스텝 S14: YES), CPU(41)는 스텝 S13에서 선택한 비우선 부하에 대응하는 부하 개폐기를 폐쇄할 것을 명하는 지령 신호를 스위칭 제어 장치(6)에 출력한다. 상기 지령 신호에 따라, 스위칭 제어 장치(6)로부터 상기 부하 개폐기에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스텝 S13에서 선택한 비우선 부하에 대응하는 부하 개폐기가 폐쇄되고, 스텝 S13에서 선택한 비우선 부하가 기간 선로(12)에 접속된다. 계속해서, CPU(41)는 스텝 S13에서 선택한 비우선 부하의 선택 플래그를 온으로 해서(스텝 S15) 처리를 스텝 S12로 되돌린다.
한편, 스텝 S13에서 선택한 비우선 부하와, 이 시점에서 이미 부하 개폐기가 폐쇄되어 기간 선로(12)에 접속되어 있는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출력 상한값 이하가 아닐 경우에는(스텝 S14: NO), CPU(41)는 스텝 S13에서 선택한 비우선 부하의 선택 플래그를 온으로 해서(스텝 S16) 부하 특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결과, 스텝 S13에서 선택한 비우선 부하에 대해서는 기간 선로(12)로부터 차단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이 부하 특정 처리에 있어서 선택되지 않은 비우선 부하에 대해서도 기간 선로(12)로부터 차단된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스텝 S12에 있어서 선택 플래그가 오프인 비우선 부하가 없을 경우(스텝 S12: NO), 부하 특정 처리는 종료된다. 또한, 도 4 중의 스텝 S7~S11이 우선 부하 특정 처리의 구체예이고, 도 5 중의 스텝 S12~S16이 비우선 부하 특정 처리의 구체예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1)에 의하면, 부하에 정해진 우선 순위 때문에 정전시에 있어서의 부하(L1~L8)로의 전력 공급이 필요 이상으로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 제어 장치(1)에 의하면, 변류기(31~38)에 의해 부하(L1~L8)의 실제 소비 전력을 취득하여 이것들을 기억해 두고, 정전시에는 그 직전에 취득된 부하(L1~L8)의 실제 소비 전력을 이용하여 부하(L1~L8)를 기간 선로(12)에 접속시킬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정전 직전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접속 가능한 부하를 확실하게 접속시킬 수 있고, 다양한 상황에 따른 유연하고 또한 고정밀도인 전력 공급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 제어 장치(1)에 의하면, 정전 및 전원 공급 장치(3)를 기간 선로(12)에 접속시키기 위한 투입 스위치(16)의 온을 인식하고, 이것에 따라 부하 특정 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해서 접속 가능한 부하를 기간 선로(12)에 접속시킨다. 따라서, 이용자는 정전 발생 후에 복잡한 조작을 하지 않고, 우선도가 높은 부하를 중심으로 부하의 이용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전원 장치로서 전기 자동차(8)의 축전지(9)에 축적된 전력을 인출해서 분전반(4)측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3)를 사용할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축전지 또는 발전 장치 등을 전원 장치로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기간 선로(12)에 접속 가능한 부하를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전원 공급 장치(3)의 출력 능력에 따라 설정된 출력 상한값을 사용하고, 이 출력 상한값을 전원 공급 장치(3)의 출력 정격보다 낮은 값으로 했다. 이것은 전원 공급 장치(3)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부하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에 부하의 소비 전력이 증가해도, 접속되어 있는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즉시 전원 공급 장치(3)의 출력 정격을 초과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출력 상한값을 전원 공급 장치(3)의 출력 정격값과 같은 값으로 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전원 장치로서 축전지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출력 상한값을 축전지의 잔량에 따라 변화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부하 특정 처리에 있어서 부하를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할 때마다 즉시 그 부하를 기간 선로(12)에 접속시킬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간 선로(12)에 접속해야 할 모든 부하의 특정이 종료된 후에, 특정한 모든 부하를 기간 선로(12)에 접속시켜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부하 특정 처리를 정전시에 행할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전 이외의 이유로 전력계통이 정지했을 경우에 부하 특정 처리를 행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읽어낼 수 있는 발명의 요지 또는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변경 가능하고, 그와 같은 변경을 수반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 : 전원 공급 제어 장치 2 : 전력계통
3 : 전원 공급 장치(전원 장치) 4 : 분전반
5 : 퍼스널 컴퓨터(스위칭 제어부)
6 : 스위칭 제어 장치(스위칭 제어부) 7 : 외부 차단기
11 : 전기 회로(회로) 12 : 기간 선로
13 : 분기 유닛 14 : 전원 차단기(전원 스위칭부)
15 : 변류기 16 : 투입 스위치(전원 스위칭부)
21~28 : 부하 개폐기(개폐기) 31~38 : 변류기(계측부)
41 : CPU(우선 순위 설정부, 부하 특정부, 우선 부하 특정부, 비우선 부하 특정부)
42 : 기억부 L1~L8 : 부하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전원 장치로부터 복수의 부하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전원 장치에 상기 복수의 부하를 병렬로 접속시키기 위한 회로와,
    상기 회로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 장치와 상기 복수의 부하 사이의 접속, 차단을 각각 스위칭하는 복수의 개폐기와,
    상기 복수의 부하 중 일부를 우선 부하로 하고, 잔부를 비우선 부하로 해서 상기 우선 부하에 대해서만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우선 순위 설정부와,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서 1개의 우선 부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우선 부하와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우선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상기 전원 장치의 출력 능력에 따라 설정된 출력 상한값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우선 부하를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하고, 상기 선택된 우선 부하와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우선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상기 출력 상한값 이하가 아닐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우선 부하를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하지 않는다고 하는 우선 부하 특정 처리를 모든 우선 부하에 대하여 반복해서 행하는 우선 부하 특정부와,
    상기 우선 부하 특정부에 의해 모든 우선 부하에 대하여 상기 우선 부하 특정 처리가 행하여진 후, 소비 전력이 작은 순으로 1개의 비우선 부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비우선 부하를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하는 비우선 부하 특정 처리를 상기 선택된 비우선 부하와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되어 있는 부하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상기 출력 상한값 이하인 한 반복해서 행하는 비우선 부하 특정부와,
    상기 우선 부하 특정부 및 상기 비우선 부하 특정부에 의해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된 부하에 대응하는 상기 개폐기를 스위칭 제어하고, 상기 접속 대상으로서 특정된 부하를 상기 전원 장치에 접속시키는 스위칭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부하의 소비 전력을 계측하는 계측부와,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상기 각 부하의 소비 전력의 계측값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우선 부하 특정부 및 상기 비우선 부하 특정부는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되어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각 부하의 소비 전력의 계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소비 전력의 합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부하에 전력계통을 접속시킬지 상기 전원 장치를 접속시킬지를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칭부를 구비하고,
    상기 우선 부하 특정부 및 상기 비우선 부하 특정부는 상기 전원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각 부하에 대하여 상기 전력계통이 차단되고, 또한 상기 전원 장치가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우선 부하 특정 처리 및 상기 비우선 부하 특정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KR1020157030991A 2013-03-28 2013-03-28 전력 공급 제어 장치 KR101756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59365 WO2014155625A1 (ja) 2013-03-28 2013-03-28 電力供給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123A KR20150136123A (ko) 2015-12-04
KR101756884B1 true KR101756884B1 (ko) 2017-07-11

Family

ID=51617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991A KR101756884B1 (ko) 2013-03-28 2013-03-28 전력 공급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156195A1 (ko)
EP (1) EP2980952A4 (ko)
JP (1) JP5586811B1 (ko)
KR (1) KR101756884B1 (ko)
CN (1) CN105144536A (ko)
WO (1) WO20141556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2411B2 (ja) * 2015-02-26 2019-01-30 株式会社東芝 負荷制御試験装置、負荷制御試験システム、負荷制御試験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42329B2 (en) * 2016-03-23 2020-05-05 Qualcomm Incorporated Peak current support for a power rail system via a shared secondary power supply
WO2019157525A1 (en) 2018-02-12 2019-08-15 Commscope Technologies Llc Electronic subsystem having multiple powered devices prioritized for providing power to the subsystem
WO2020060943A1 (en) * 2018-09-17 2020-03-26 Caban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ergy storage and power distribution
JP7167791B2 (ja) * 2019-03-20 2022-1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需給制御装置
US20220216694A1 (en) * 2019-06-04 2022-07-07 Rkc Instrument Inc. Power control device and power supply allocation method
US11817711B1 (en) * 2022-03-30 2023-11-14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electric power to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2704A (ja) 1998-09-04 2000-03-31 Hitachi Service & Engineering (East) Ltd 省電力制御装置
KR101119865B1 (ko) * 2009-06-02 2012-02-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수요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330A (ja) * 1983-06-27 1985-01-18 株式会社東芝 系統切換制御装置
JPH0577680A (ja) * 1991-09-18 1993-03-30 Zexel Corp 車両用電力配分調整装置
JPH05300640A (ja) * 1992-04-20 1993-11-12 Hitachi Ltd 非常用予備電源設備の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原子力発電所の非常用予備電源設備の制御装置
JPH07322504A (ja) * 1994-05-20 1995-12-08 Toshiba Corp 電力供給システム
JPH0923588A (ja) * 1995-05-01 1997-01-21 Fuji Electric Co Ltd 自家発電用インバータの負荷制御方法
JP2003032890A (ja) * 2001-07-19 2003-01-31 Senaa Kk 負荷電力制御装置
US7015599B2 (en) * 2003-06-27 2006-03-21 Briggs & Stratton Power Products Group, Llc Backup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DE102005044829A1 (de) * 2005-09-20 2007-03-29 Robert Bosch Gmbh Energiemanagement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EP1952292A4 (en) * 2005-11-25 2014-03-05 Computerized Electricity Systems Ltd FLEXIBLE ELECTRIC LOAD MANAGE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EP1989719A4 (en) * 2006-02-06 2009-12-23 Optimal Innov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ND MANAGING HIGH-AVAILABILITY ENERGY INFRASTRUCTURES WITH SOFT CLASSIFICATION BY PRIORITY ORDER
JP4775952B2 (ja) * 2006-02-27 2011-09-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建物の電力供給システム
JP4606389B2 (ja) * 2006-06-28 2011-01-05 大阪瓦斯株式会社 分散型発電機の制御システム
US20100019574A1 (en) * 2008-07-24 2010-01-28 John Baldassarre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auxiliary power source
JP2010200589A (ja) * 2009-02-27 2010-09-09 Toshiba Corp 電力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8324755B2 (en) * 2009-03-06 2012-12-04 Briggs And Stratton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5513819B2 (ja) * 2009-09-15 2014-06-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配電システム
US8332666B2 (en) * 2009-12-07 2012-12-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20130187462A1 (en) * 2010-06-03 2013-07-25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Active load management system
JP5592182B2 (ja) * 2010-07-15 2014-09-17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住宅用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KR101729019B1 (ko) * 2010-10-12 2017-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관리 장치, 그를 가지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2704A (ja) 1998-09-04 2000-03-31 Hitachi Service & Engineering (East) Ltd 省電力制御装置
KR101119865B1 (ko) * 2009-06-02 2012-02-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수요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44536A (zh) 2015-12-09
JP5586811B1 (ja) 2014-09-10
WO2014155625A1 (ja) 2014-10-02
EP2980952A1 (en) 2016-02-03
KR20150136123A (ko) 2015-12-04
EP2980952A4 (en) 2016-12-28
US20160156195A1 (en) 2016-06-02
JPWO2014155625A1 (ja)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884B1 (ko) 전력 공급 제어 장치
KR101744037B1 (ko) 전력공급 제어 장치
US9331523B2 (en) Power control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US10574053B2 (en) Power management transfer system and method
CN101562325A (zh) 具有分开的限制和无限制区域选择性互锁设置能力的断路器
US8872389B2 (en) Intelligent backup power system
JP5813904B1 (ja) 電力供給制御装置
JP2008178275A (ja) 集合住宅幹線電流制御システム
EP2446517B1 (en)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JP6273850B2 (ja) 電源装置、移動体、及び配電システム
JP2007265778A (ja) 電力供給設備
CN104011956A (zh) 过载检测设备
JP2011101536A (ja) コンセント及び配電システム
JP6333668B2 (ja) 電力自立システム
CN108469570B (zh) 一种基于逆变器的电网故障处理方法及系统
CN110601364A (zh) 一种电源配电设备
JP5923327B2 (ja) 給電システム、給電方法及び負荷接続制御装置
US20230231380A1 (en) Power distribution arrangement
KR101333373B1 (ko) 공급측 과부하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전력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3757B1 (ko) 보조전원을 이용한 전력공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5622023A (zh) 一种直流配电系统与方法
JP2015204687A (ja) 分散型電源出力予測システム
CN118100246A (zh) 供电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