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214B1 - 녹각형 영지버섯의 분자 마커, 이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녹각형 영지버섯의 판별방법 - Google Patents

녹각형 영지버섯의 분자 마커, 이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녹각형 영지버섯의 판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214B1
KR101756214B1 KR1020150156738A KR20150156738A KR101756214B1 KR 101756214 B1 KR101756214 B1 KR 101756214B1 KR 1020150156738 A KR1020150156738 A KR 1020150156738A KR 20150156738 A KR20150156738 A KR 20150156738A KR 101756214 B1 KR101756214 B1 KR 101756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noderma lucidum
antler
seq
primers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049A (ko
Inventor
이창수
박영진
권오철
김홍일
김종현
김지웅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56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21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6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5/00Nucleic acid analysis characterised by mode or means of detection
    • C12Q2565/10Detection mode being characterised by the assay principle
    • C12Q2565/125Electrophoretic s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각형 영지버섯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의 유전체에 존재하는 특정 분자 마커, 마커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녹각형 영지버섯을 특이적으로 판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해 개발된 마커를 이용함으로써 분자생물학적인 분석방법에 의해 편각형 (kidney-shaped Ganoderma lucidum) 및 녹각형 영지버섯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우수한 영지버섯 품종의 품질관리, 재배생산 및 유통 시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녹각형 영지버섯의 분자 마커, 이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녹각형 영지버섯의 판별방법 {A DNA marker for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 primers for the same,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
본 발명은 녹각형 영지버섯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의 특이적 판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녹각형 영지버섯의 유전체에 존재하는 특정 분자 마커, 마커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두 쌍 및 이를 이용하여 녹각형 영지버섯을 판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지버섯은 우리나라는 물론 중국, 일본 등지에서 진귀한 약재로 이용되어 왔으며 열대, 아열대, 온대 지방에까지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버섯으로 보통 Ganoderma lucidum(Fr). karst을 말한다. 그리고 영지버섯에는 polysaccharide이외에 triterpene, nucleoside, steroid, fatty acid, alkaloid, 단백질, 아미노산, 무기 염류 등 다양한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고 이 중 고분자 물질 (polysaccharide 등)과 저분자물질 (triterpene 등)이 다양하다. 저분자물질은 항염증, 항산화, 간세포보호, 항알레르기, 항고혈압, 콜레스테롤 저하 및 혈소판 응집 저해 등의 활성이 있으며 고분자물질은 혈압강하, 정혈, 고지혈증 개선, 혈당강하, 면역, 그리고 항종양 등의 효과가 보고되었다. 특히, 영지의 생리활성과 약리적 기능을 갖는 주요 이차 대사산물은 polysaccaride와 triterpene이며 이들 물질과 관련된 여러 약효와 유효성분이 과학적으로 규명되고 있다.
영지버섯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자실체 형태만으로 분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역에서 분리된 많은 수의 영지버섯 수집 균주들에 대한 동정 및 판별이 잘못되고 있는 실정이다. 영지버섯은 형태적으로 크게 편각형과 녹각형으로 나누어진다. 특히, 녹각형 영지버섯은 자연계에서 쉽게 발견되지 않으며, 중국과 일본에서 의학적으로 높게 평가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녹각형 영지버섯이 수량성은 높으나 시장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어 영지버섯 재배 초기인 1980년대 초에 많이 재배하였으나 그 후 재배하지 않다가 최근에 관상용 및 가공품을 목적으로 일부 농가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 녹각형 영지버섯이 편각형 영지버섯보다 더 많은 양의 베타-D-glucans 및 triterpenoids가 함유되어 있으며, 면역증강 및 종양억제에 더 강한 생리활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영지버섯의 인공재배에서 정상적인 자실체 원기 발생 및 생육시에는 적절한 광량, 습도 및 환기가 필요하다. 광량이 많으면 버섯대가 짧아지고 갓의 형성이 빠른 반면 광량과 환기가 부족하면 버섯대가 길어지고 갓의 형성이 지연된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편각형 영지버섯도 녹각형 영지버섯의 자실체를 인위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CO2의 농도가 0.1%이하일 때 편각형 영지버섯에서 녹각형 영지버섯의 자실체를 형성한다고 보고되었다.
최근 영지버섯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파우더, 캡슐, 크림 등 다양한 형태로 공급되고 있다. 영지버섯은 중국에서 가장 많이 수입되고 있으며 대부분 건조 형태의 분말로 품종판별에 한계가 있다. 또한, 편각형 자실체를 인위적으로 유도하여 녹각형 자실체를 형성시 형태적인 판별에 어려움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편각형인 영지 1호와 영지 2호 영지버섯품종으로 등록되어 공식적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건영 1호와 장생녹각은 품종명칭이 등록되어 있다. 또한, 영지 1호와 영지 2호, 건영 1호는 편각형 영지버섯이며, 장생녹각은 녹각형 영지버섯으로 공시되어 있다. 편각형 영지버섯과 녹각형 영지버섯의 학명은 Ganoderma lucidum으로 같으나 생리활성 물질 및 생리효능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판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선행 특허 문헌]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10-2013-0093387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녹각형 영지버섯(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의 분자 마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분자 마커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녹각형 영지버섯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을 판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각형 영지버섯 판별용 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5 및 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각형 영지버섯 판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5 및 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을 포함하는 녹각형 영지버섯 판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중합효소 연쇄반응에 필요한 중합효소, dNP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a) 영지버섯 균사체로부터 지노믹 DNA를 추출하는 단계;b)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5 및 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상기 DNA의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PCR 생성물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녹각형 영지버섯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PCR 생성물 확인은 전기 영동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상기 PCR 생성물은 137-bp와 532-bp의 증폭 산물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선별된 녹각형 영지버섯품종의 유전자원 확보 및 보존, 우수 영지품종에 대한 육종개발, 녹각형 영지버섯의 품종판별을 위해, 다양한 생물 종내 및 종간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에 광범위하게 이용된 URP1(Universal Rice Primer) primer (5'ATCCAAGGTCCGAGACAACC-3' 및 URP5 primer (5' GGCAAGCTGGTGGGAGGTAC-3'를 이용한 RAPD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분석을 수행하고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 에 특이적인 증폭산물을 클로닝 및 염기서열분석을 수행한 후 특이적 프라이머 두 쌍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최종 2종의 분자 마커를 선발하고 이에 대한 특이적 프라이머를 개발하여 이를 이용한 PCR분석을 통한 녹각형 영지버섯의 판별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 태양에 따라, 본 발명은 각각 서열 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녹각형 영지버섯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의 분자 마커를 제공한다.
이 분자 마커는 URP1 primer와 URP5 primer를 이용한 RAPD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분석으로 영지버섯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증폭되는 산물에 대한 클로닝 및 염기서열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발된 것이다 .
상기 분자 마커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는 하기와 같다.
KAGL1_F : 5′GGAGGCCGCTGGACTGAGG-3′(서열 번호 3)
KAGL1_R : 5′ATGGGACTGGATCTTGAGGAACA-3′(서열 번호 4)
KAGL2_F : 5′GGCGGCGGCAGAGGAGAG-3′(서열 번호 5)
KAGL2_R : 5′TCGCGACTTGAGAACTGGCATAGC-3′(서열 번호 6)
서열 번호 3, 및 4, 서열번호 5 및 6의 프라이머 쌍은 상기 분자마커를 주형으로 PCR분석에 의해 137-bp와 532-bp의 증폭산물이 얻어지도록 한다.
상기 프라이머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합성 기술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다른 태양에 따라, 본 발명은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서열에 대하여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에 의해 녹각형 영지버섯(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을 특이적으로 판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i) 영지버섯 균사체 시료를 준비하고 genomic DNA를 추출하는 단계, ii) 서열 번호 3, 및 4, 서열번호 5 및 6으로 이루어진 두 쌍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시료에서 PCR을 진행하는 단계, 및 iii) 전기영동에 의해 PCR 생성물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PCR은 당업계에 공지된 PCR 기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방법에 따라 PCR을 수행하여 얻어진 PCR 생성물을 확인하여, 이용된 프라이머 두 쌍에 의해 증폭된 137-bp와 532-bp의 PCR 산물이 확인될 경우, 녹각형 영지버섯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의 판별이 가능하다.
편각형 및 녹각형 영지버섯은 분류학적으로 Ganoderma lucidum에 포함되지만 이들에 대한 특성이나 약리효과를 동일시 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에 의해 개발된 SCAR 마커를 이용함으로써 분자생물학적인 분석방법에 의해 편각형 (kidney-shaped Ganoderma lucidum) 및 녹각형 영지버섯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우수한 영지버섯 품종의 품질관리, 재배생산 및 유통 시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개발된 SCAR 마커를 이용함으로써 우리나라 고유의 우수한 영지버섯품종 육성 및 유전자원 보존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도 1은 영지버섯의 URP1 primer와 URP5 primer를 이용한 RAPD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분석을 수행한 사진임.
도면 기호에 대한 설명
M: size marker (1kb ladder)
273-bp와 994-bp, 영지버섯 특이증폭 밴드
Antler-type, 녹각형; Kidney-type, 편각형
도 2는 RAPD분석에 의해 분리된 녹각형 영지버섯의 특이증폭 산물의 염기서열임.
도 3은 녹각형 영지버섯의 RAPD 분석에 의해 분리된 특이 DNA단편 부위에서 제작된 프라이머임.
도 4는 Ganoderma lucidum 24균주를 제작된 판별 특이 프라이머 두 쌍을 사용하여 PCR 분석을 수행한 사진임.
도면 기호에 대한 설명
M: size marker (1kb ladder)
137-bp와 532-bp, 영지버섯 특이증폭 밴드
Antler-type, 녹각형; Kidney-type, 편각형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하기의 실시 예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아니한 분자생물학적 실험기법들은 Sambrook 등의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second edition, 1989)을 참조하였다.
실시예 1. 영지버섯 균사체의 배양
수집된 영지버섯 균사체를 Potato Dextrose Broth (Difco, Becton Dickinson; 0.8% Potato starch, 4% Dextrose) 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28℃ 인큐베이터에서 2주일간 정치 배양하였다. PCR 분석에 사용된 녹각형 (No. 1-5) 및 편각형 (No. 6-24) 영지버섯 균주는 표 1에 정리하였다.
No. Species Collection sites Collection ID Origin
1 Ganoderma lucidum Mushroom Division at RDA ASI-7013 Korea
2 Ganoderma lucidum Mushroom Division at RDA ASI-7074 Korea
3 Ganoderma lucidum Mushroom Division at RDA ASI-7094 Korea
4 Ganoderma lucidum Mushroom Division at RDA ASI-7135 Korea
5 Ganoderma lucidum Mushroom Division at RDA ASI-7146 unknown
6 Ganoderma lucidum Mushroom Division at RDA ASI-7004 Korea
7 Ganoderma lucidum Mushroom Division at RDA ASI-7071 Korea
8 Ganoderma lucidum Mushroom Division at RDA ASI-7091 Korea
9 Ganoderma lucidum Incheon University IUM-0047 Korea
10 Ganoderma lucidum Incheon University IUM-0757 Korea
11 Ganoderma lucidum Incheon University IUM-0938 Korea
12 Ganoderma lucidum Incheon University IUM-3986 Korea
13 Ganoderma lucidum Incheon University IUM-4002 Korea
14 Ganoderma lucidum Incheon University IUM-4100 Korea
15 Ganoderma lucidum Mushroom Division at RDA ASI-7117 unknown
16 Ganoderma lucidum Incheon University IUM-4304 Bangladesh
17 Ganoderma lucidum Incheon University IUM-4310 Bangladesh
18 Ganoderma lucidum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KACC42232 Japan
19 Ganoderma lucidum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KACC51689 Japan
20 Ganoderma lucidum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KACC51690 Japan
21 Ganoderma lucidum Mushroom Division at RDA ASI-7037 Papuanewguinea
22 Ganoderma lucidum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KCTC 16802 Thailand
23 Ganoderma lucidum Mushroom Division at RDA ASI-7068 U.S.A
24 Ganoderma lucidum Mushroom Division at RDA ASI-7152 unknown
실시예 2. 영지버섯 균사체로부터 Genomic DNA 추출
영지버섯 균사체에 액체질소를 넣고 마쇄한 다음 적당량 취하여 500μl의 extraction buffer 200mM Tris-HCl(PH8.0), 200mM NaCl, 25mM EDTA, 0.5% SDS)와 Proteinase K(20mg/ml) 10μl넣고 50℃에서 1시간 반응하였다. 250μl의 2X CTAB(2% CTAB, 100mM Tris-HCl(PH8.0), 5% SDS)을 첨가한 후 500μl의 Phenol : Chloroform : isoamylalcohol (25:24:1)을 첨가하여 12,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그 상등액만 550μl 취하여 새로운 1.5ml 튜브에 옮긴 후 상등액 0.6 volume의 이소프로판올 (Isopropanol) 과 1/30 volume의 3M Sodium acetate (PH 5.2)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충분히 반응시키고 12,000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침전된 DNA 팰릿을 70%에탄올로 세척하고 60μl TE buffer (Tris-HCl 10mM, EDTA 1mM; PH 8.0)에 녹인 후 6μl RNase (25mg/ml)를 첨가하여 37℃에 30분 반응하였다. Genomic DNA는 100ng/μl로 농도를 보정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3. 녹각형 영지버섯 검출 및 판별을 위한 특이적 프라이머 제작
영지버섯의 판별을 위한 PCR 분석용 특이 프라이머 제작을 위해 URP1 primer및 URP5를 이용한 RAPD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분석을 수행 하였다 (도 1). PCR증폭반응은 다카라 써멀싸이클러(TaKaRa thermalcycler) (TaKaRa, Japan)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반응은 DNA template 1㎕ (100ng), URP primer 0.5㎕ (10pmol), 멸균 증류수 8.5㎕, 2X HS Prime Taq Premix (polymerase kit; TNT Research, Korea) 10㎕를 첨가하고 총 20㎕로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PCR 반응은 94℃ 1분, 55℃ 1분, 72℃ 1분으로 35회 반응하였다. 반응 후 PCR 증폭산물은 1.2% 농도의 아가로즈 젤에 전기영동 한 후 에티듐 브로마이드에 착색시켜 UV상에서 확인하였다.
URP 1 및 URP 5 primer를 이용한 RAPD 분석 결과, 본 발명에 사용된 Ganoderma lucidum중 (표1) 5종의 녹각형 영지버섯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에서 각각 237-bp 및 994-bp의 특이적인 밴드를 검출하였다. 또한, 도 1의 결과를 바탕으로 녹각형 영지버섯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에 특이적인 두 개의 증폭단편 (273-bp 및 994-bp)을 클로닝하여 염기서열분석에 의해 녹각형 영지버섯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특이 단편의 염기서열을 확보하고 (도 2), 이를 바탕으로 녹각형 영지버섯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에 대한 특이적 판별을 위한 PCR분석용 프라이머 2쌍을 제작하였다 (도 3).
실시예 4. 녹각형 영지버섯 판별용 특이적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실시예 1에서 배양된 Ganoderma lucidum 24 균주 (녹각형 5종 및 편각형 19종)를 실시예 3에서 제작된 특이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PCR증폭반응은 다카라 써멀싸이클러 (TaKaRa thermalcycler) (TaKaRa, Japan)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반응은 각각의 genomic DNA 1㎕ (100ng), 10pmole의 KAGL 1F/1R와 KAGL 2F/2R 두 쌍의 프라이머 각 0.5 ㎕, 2X HS Prime Taq Premix (polymerase kit; TNT Research, Korea) 10㎕를 첨가한 후 멸균증류수 (DDW)를 이용하여 전체 양을 20μl로 보정하여 PCR반응을 수행하였다. PCR 반응은 94℃ 15초, 61℃ 15초, 72℃ 30초로 27회 반응하였다. 반응 후 PCR 증폭산물은 1.2% 농도의 아가로즈 젤에 전기영동한 후 에티듐 브로마이드에 착색시켜 UV상에서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개발된 녹각형 영지버섯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 특이 DNA 마커 유래 두 쌍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Ganoderma lucidum 24 균주에 대한 PCR 분석을 수행한 결과, 녹각형 영지버섯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에서만 137-bp와 532-bp의 증폭산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편각형 영지버섯 (kidney-shaped Ganoderma lucidum)에서는 137-bp와 532-bp 중 하나의 증폭산물이 확인되거나 둘 모두 증폭산물이 확인되지 않았다 (도 4).
<110> Konkuk University Industrial Cooperation Corp <120> A DNA marker for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 primers for the same,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 <130> HY151285 <160> 6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73 <212> DNA <213> Ganoderma lucidum <400> 1 atccaaggtc cgagacaacc gcgacctccc ggaggccgct ggactgaggc tggagatcgg 60 cgatgacggt agaaagttga agcctgtcca tcgcacgttg atgaacaaag gaaaatgaag 120 aagttatcaa agagaactca ctgttgttcc tcaagatcca gtcccatcgc aatgacggta 180 ctcattgtgt cctcctcgct gcccacgaac gaaccctgac cagattggat cgccaccaaa 240 tcctcccggt ataggttgtc tcggaccttg gat 273 <210> 2 <211> 994 <212> DNA <213> Ganoderma lucidum <400> 2 ggcaagctgg tgggaggtac gcttataaat tgacaaaaga aacacgccgg cggcggcaga 60 ggagagacga tcatagaagg gcggcctcgc ggccgacaac gtgtggattc gagcgcagcg 120 ataacataac agaagattgg ctggacataa ctgatagtat ccgatgaatg acaggacgga 180 ggcgacaggt gaccgcatca aaggccgaac gacacgaggg tgaagagata caaatcgagt 240 aaaaggcact ggcgaaacag gatagaacag ctcacaaggc ggggcaggga caagtcaagg 300 aaagaagggg gtagcatggg gaaacgggga tggggagtgg gagatgcgca tgatcgacat 360 gggagtggga cggattgacc gagtcgtcgc agagccgcga tatcctgagg acagttgctc 420 tgggctgggc gggcggaaag aagtgtaggc gatgcgtact tgcttggggc ttcagcctgg 480 gaggaaagga agtggaaaaa gggaggcggc cagcatttgg agaccggaga gaggtggtgc 540 gacctgagtc tgctgggcta tgccagttct caagtcgcga gggaaatcac acgtcggcac 600 ttggccggtg gaattggaca gtgggtggtt gtggacatag ggcggcggca tggggactgg 660 gaagcactgt cagtgccata gctgaccaga cggacgattg tgcttacatt tttgcattag 720 acccgtgttc gtggagcggc gatgttacgg cctgaacgtc gacagtgcag aaacccaggg 780 aagaatggga agcgaaagag acggacgagg atttgagtat gggggagtcg agggagcgac 840 agagttggtg gacttcggcg attggctcat cgaactcgaa gggcgtcaag atgcccatat 900 tcggcgaagt cccgtgttcg gaggtctcgg tccgcgcacg tgcagccaaa tgcgttgacg 960 cgttttccag ttctgtacct cccaccagct tgcc 994 <210> 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ggaggccgct ggactgagg 19 <210> 4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atgggactgg atcttgagga aca 23 <210> 5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ggcggcggca gaggagag 18 <210> 6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tcgcgacttg agaactggca tagc 24

Claims (8)

  1.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각형 영지버섯 판별용 마커 조성물.
  2.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5 및 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각형 영지버섯 판별용 조성물.
  3. 삭제
  4.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5 및 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을 포함하는 녹각형 영지버섯 판별용 키트.
  5. 삭제
  6. a) 영지버섯 균사체로부터 지노믹 DNA를 추출하는 단계;
    b)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5 및 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상기 DNA의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PCR 생성물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녹각형 영지버섯 판별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PCR 생성물 확인은 전기 영동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상기 PCR 생성물은 137-bp와 532-bp의 증폭 산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50156738A 2015-11-09 2015-11-09 녹각형 영지버섯의 분자 마커, 이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녹각형 영지버섯의 판별방법 KR101756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738A KR101756214B1 (ko) 2015-11-09 2015-11-09 녹각형 영지버섯의 분자 마커, 이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녹각형 영지버섯의 판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738A KR101756214B1 (ko) 2015-11-09 2015-11-09 녹각형 영지버섯의 분자 마커, 이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녹각형 영지버섯의 판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049A KR20170054049A (ko) 2017-05-17
KR101756214B1 true KR101756214B1 (ko) 2017-07-12

Family

ID=59048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738A KR101756214B1 (ko) 2015-11-09 2015-11-09 녹각형 영지버섯의 분자 마커, 이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녹각형 영지버섯의 판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2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1108A (zh) * 2020-01-10 2020-04-21 辽宁省检验检测认证中心 用于鉴定中药材鹿茸的引物、试剂盒和检测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raz.Arch.Biol.Technol. V.54, n.2: pp.273-281, Mar/Apr 2011
한국버섯학회, 제18권 2호 통권 30호, pp.89-89 (2014.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049A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 der Vlugt-Bergmans et al. Genetic variation and segregation of DNA polymorphisms in Botrytis cinerea
Soto-Alvear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bull's eye rot of apple in Chile
KR101378161B1 (ko) 영지버섯의 분자 마커, 이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영지버섯의 특이적 판별방법
KR101615433B1 (ko) 녹각형 영지버섯 판별용 snp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녹각형 영지버섯의 판별방법
WO2021047032A1 (zh) 芬娜金针菇新菌株的分子标记的引物和分子标记方法
KR101771967B1 (ko) 인삼뿌리썩음병원균 검출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인삼뿌리썩음병원균의 식별방법
Boutahir et al.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uber oligospermum mycorrhizas
KR101756214B1 (ko) 녹각형 영지버섯의 분자 마커, 이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녹각형 영지버섯의 판별방법
CN106754397B (zh) 暗褐网柄牛肝菌pp003菌株
US20230100319A1 (en) A New Strain of Flammulina fennae and its molecular marker primers and molecular marker method
CN112029665A (zh) 橡胶树炭疽菌抗药性菌株HcgHNQZ1736及其在抗药性研究中的应用
Deng et al. A novel Alternaria species isolated from Peucedanum japonicum in Korea
Rodriguez Estrada Molecular phylogeny and increases of yield and the antioxidants selenium and ergothioneine in Basidiomata of Pleurotus eryngii
Aktaruzzaman et al. First report of potato stem-end rot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in Korea
Silva et al. Genetic diversity of Mycosphaerella fijiensis in Brazil analyzed using an ERIC-PCR marker
KR101909786B1 (ko) 로젤리니아 네카트릭스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검출 방법
CN106434879A (zh) 快速高效检测蛹虫草不同菌种交配型的方法
Praveen et al.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phenotypic study of new Pleurotus djamor isolate KKM.
KR101790769B1 (ko) 표고버섯 품종 산조 701호, 산조 707호, 산조 708호 및 참아람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681418B1 (ko) 칼모듈린 인트론 다형성과 제한효소를 이용한 전복류의 치패단계 종 판별법
Sonavane et al. Status of Phytophthora and Huanglongbing diseases of citrus causing decline in Coorg Mandarin in India
Leão et al.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powdery mildew on watermelon plants in São Paulo state
JP2006075154A (ja) ハナビラタケの人工栽培方法
Sobieralski et al. Impact of infections with Trichoderma pleurotum and Trichoderma pleuroticola isolates on yielding of wild strains of Pleurotus ostreatus (Fr.) Kumm. obtained from natural sites
KR101931612B1 (ko) 시린드로카폰 데스트럭턴스 유전적 다양성 분석용 프라이머, 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식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