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066B1 - 베어링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베어링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066B1
KR101756066B1 KR1020170061264A KR20170061264A KR101756066B1 KR 101756066 B1 KR101756066 B1 KR 101756066B1 KR 1020170061264 A KR1020170061264 A KR 1020170061264A KR 20170061264 A KR20170061264 A KR 20170061264A KR 101756066 B1 KR101756066 B1 KR 101756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bearings
unit
moved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경민
Original Assignee
남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경민 filed Critical 남경민
Priority to KR1020170061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65G59/026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with a stepwise upward movement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는, 복수의 제1 베어링 및 복수의 제2 베어링의 시험검사를 위한 검사장치 또는 다른 부품과의 조립을 위한 조립장치로의 이송을 위한 베어링 이송장치에 있어서, 무한 궤도로 회동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의해 위치 이동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을 수용한 채, 위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을 상승시키는 제1 베어링제공유닛 및 상기 회동부에 의해 위치 이동되며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을 수용한 채, 위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을 상승시키는 제2 베어링제공유닛을 구비하는 베어링제공부, 상기 회동부에 의해 인접 위치에 위치한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 중 최상단에 위치한 제1-1 베어링을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과 연결된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과 이격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베어링이송부, 상기 인접 위치에 위치한 채, 상기 제1 위치 상의 베어링 유무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베어링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된 상기 제1-1 베어링을 인도받아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하측에 형성된 채, 상기 안착부에 의해 위치 이동된 상기 제1-1 베어링을, 상기 안착부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검사장치 또는 상기 조립장치로 이동 시키는 컨베이어벨트부 및 상기 베어링제공부, 상기 베어링이송부,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안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는, 상기 인접 위치에 위치한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이 상기 베어링이송부 및 상기 안착부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벨트부에 이동된 경우, 상기 제2 베어링제공유닛이 상기 인접 위치에 위치하도록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1 위치 상에 베어링이 위치한다고 감지되면, 상기 베어링이송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1 베어링을 그립한 채,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베어링이송부가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안착부가 상기 베어링이송부와 인접한 제3 위치에 위치 하도록 위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안착부가 상기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베어링이송부가 상기 제1-1 베어링의 그립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베어링 이송장치{Bearing transport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베어링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수의 베어링을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베어링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어링(bearing)은 회전하고 있는 기계의 축(軸)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축의 자중과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기계요소이다.
이러한 베어링은 시험검사 또는 다른 부품과의 조립작업 시 작업라인의 무인자동화를 통해 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이송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이송되고 있다.
종래의 베어링 이송장치(관련등록특허 제10-1591387호)는 다수의 베어링을 컨베이어 등과 같은 반송수단을 통해 이송로봇이 위치한 장소로 이송시키고, 이송로봇은 반송수단을 통해 반송되는 베어링을 하나씩 클램핑하여 일정의 장소로 이송시키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특히, 다수의 베어링은 이송로봇을 통해 클램핑할 수 있도록 반송수단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베어링 이송장치는 베어링을 컨베이어 등과 같은 반송수단을 통해 연속적으로 반송시키는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전체적인 구성이 복잡해져 작업성이 상대적으로 저하됨은 물론이고 작업공정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베어링이 컨베이어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이송로봇을 통한 클램핑 작업이 상대적으로 어려우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베어링을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부품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전체적인 구성을 단순화시킴과 아울러 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베어링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는, 복수의 제1 베어링 및 복수의 제2 베어링의 시험검사를 위한 검사장치 또는 다른 부품과의 조립을 위한 조립장치로의 이송을 위한 베어링 이송장치에 있어서, 무한 궤도로 회동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의해 위치 이동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을 수용한 채, 위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을 상승시키는 제1 베어링제공유닛 및 상기 회동부에 의해 위치 이동되며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을 수용한 채, 위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을 상승시키는 제2 베어링제공유닛을 구비하는 베어링제공부, 상기 회동부에 의해 인접 위치에 위치한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 중 최상단에 위치한 제1-1 베어링을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과 연결된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과 이격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베어링이송부, 상기 인접 위치에 위치한 채, 상기 제1 위치 상의 베어링 유무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베어링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된 상기 제1-1 베어링을 인도받아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하측에 형성된 채, 상기 안착부에 의해 위치 이동된 상기 제1-1 베어링을, 상기 안착부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검사장치 또는 상기 조립장치로 이동 시키는 컨베이어벨트부 및 상기 베어링제공부, 상기 베어링이송부,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안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는, 상기 인접 위치에 위치한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이 상기 베어링이송부 및 상기 안착부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벨트부에 이동된 경우, 상기 제2 베어링제공유닛이 상기 인접 위치에 위치하도록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1 위치 상에 베어링이 위치한다고 감지되면, 상기 베어링이송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1 베어링을 그립한 채,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베어링이송부가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안착부가 상기 베어링이송부와 인접한 제3 위치에 위치 하도록 위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안착부가 상기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베어링이송부가 상기 제1-1 베어링의 그립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의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은, 상기 회동부에 기립된 채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의 중공이 삽입되어 적층되도록 하고, 적층된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제1 가이드부와 평행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삽입된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의 상승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보조부,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 중 최하단의 베어링과 접촉된 채,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보조부를 따라 승강하여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을 상승시키는 제1 승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베어링제공유닛은, 상기 회동부에 기립된 채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의 중공이 삽입되어 적층되도록 하고, 적층된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가이드부, 상기 제2 가이드부와 평행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삽입된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의 상승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보조부,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 중 최하단의 베어링과 접촉된 채, 상기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보조부를 따라 승강하여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을 승강시키는 제2 승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의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의 중공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이 삽입된 경우, 폭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1 승강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 및 상기 제1 가이드보조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을 형성하고,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보조부를 따라 가이드 된 채, 승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어링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1-1 베어링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승강부가 상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이 상기 회동부에 의해 상기 인접 위치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제1 승강부가 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의 상기 베어링이송부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를 위치 이동하는 위치이동부, 상기 위치이동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채, 그립공간을 형성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공간의 베어링의 위치 유무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그립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그립부, 제2 그립부 및 제3 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립부, 상기 제2 그립부 및 상기 제3 그립부는, 가상의 원의 원주 상의 세 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결과 상기 그립공간에 베어링이 위치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그립부, 상기 제2 그립부 및 상기 제3 그립부가 상기 가상의 원의 중심을 향하여 위치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의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그립부가 상기 제1-1 베어링을 그립하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수직방향 상측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 경로,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으로부터 상기 안착부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 경로 및 상기 안착부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수직방향 하측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3 경로를 통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의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베어링이송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3 위치와 상기 컨베이어벨트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4 위치를 왕복 운동하는 왕복운동부 및 상기 왕복운동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돌출부 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되는 돌출부제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착부가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이격거리가 제1 이격거리가 되도록 하며, 상기 안착부가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이격거리가 상기 제1 이격거리보다 큰 제2 이격거리가 되도록 상기 안착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 상에 위치한 경우, 상기 안착부가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3 경로 상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이격거리에서 상기 제1 이격거리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3 경로 상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이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착부가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의 위치 이동과 상기 제2 돌출부의 위치 이동이 순차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1 베어링과 접촉되는 상측면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1 베어링과 접촉되는 상측면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의 상기 돌출부제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이격거리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1 이격거리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1 돌출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연동되어 상기 돌출부제한부에 의해 상기 제1 돌출부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면, 위치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이송장치는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련의 공정에 의해 베어링의 이송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베어링 이송장치의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은 물론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의 베어링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의 베어링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의 안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1, 이하 이송장치)는 복수의 베어링의 시험검사를 위한 검사장치 또는 다른 부품과의 조립을 위한 조립장치로의 이송을 위한 장치이다.
이송장치(1)는 베어링제공부(10), 베어링이송부(20), 제1 감지부(30), 안착부(40), 컨베이어벨트부(5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먼저, 복수의 베어링이 이송장치(1)를 통해 검사장치 또는 조립장치로 이송되는 과정을 구성요소를 기초로 간략히 설명한다.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베어링 및 복수의 제2 베어링이 베어링제공부(10)에 적층되고, 베어링제공부(10)에 적층된 베어링 중 어느 하나가 베어링이송부(20)를 통해 안착부(40)에 안착된다. 이 때, 베어링이송부(20)에 의한 베어링의 이송을 위해서 제1 감지부(30)에 의한 감지결과를 기초로 베어링이송부(20)의 위치 이동이 구현된다.
다음, 안착부(40)에 안착된 베어링은 컨베이어벨트부(50)를 통해 검사장치 또는 조립장치가 배치된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베어링제공부(10), 베어링이송부(20), 제1 감지부(30) 및 안착부(40)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이송장치(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의 베어링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1)의 베어링제공부(10)는 회동부(13), 제1 베어링제공유닛(11) 및 제2 베어링제공유닛(12)을 구비한다.
회동부(13)는 무한 궤도로 회동하며, 복수의 제1 베어링이 적층된 제1 베어링제공유닛(11)이 베어링이송부(2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인접위치(도 2의 (a) 참조)에 위치하도록 하고, 복수의 제1 베어링이 베어링이송부(20)에 의해 전부 이송된 경우, 회동되어 복수의 제2 베어링이 적층된 제2 베어링제공유닛(12)이 베어링이송부(2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인접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때, 제1 베어링제공유닛(11)은 인접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된다(도 2의 (b)참조).
다시 말해, 회동부(13)는 인접위치에 위치한 제1 베어링제공유닛(11)에 안착된 복수의 제1 베어링이 베어링이송부(20) 및 안착부(40)를 통해 컨베이어벨트부(50)에 이동된 경우, 제2 베어링제공유닛(12)이 인접위치에 위치하도록 위치 이동된다.
회동부(13)는 일종의 컨베이어벨트로 상측에 배치된 제1 베어링제공유닛(11) 및 제2 베어링제공유닛(12)을 일정 궤도로 무한 회동한다.
제1 베어링제공유닛(11)은 복수의 제1 베어링을 수용한 채, 복수의 제1 베어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고, 복수의 제1 베어링을 상승시킨다.
여기서, 복수의 제1 베어링을 상승시킴으로써 베어링이송부(20)가 복수의 제1 베어링 중 최상단에 위치한 제1-1 베어링(B1)을 그립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베어링제공유닛(12)은 복수의 제2 베어링을 수용한 채, 복수의 제2 베어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고, 복수의 제2 베어링을 상승시킨다.
이하, 제1 베어링제공유닛(1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제2 베어링제공유닛(12)은 제1 베어링제공유닛(11)과 그 구성을 함께 하므로, 제2 베어링제공유닛(12)에 관한 설명은 제1 베어링제공유닛(11)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1 베어링제공유닛(11)은 제1 가이드부(111), 제1 가이드보조부(112) 및 제1 승강부(113)를 구비한다.
제1 가이드부(111)는, 회동부(13)에 기립된 채, 연결되며, 복수의 제1 베어링의 중공이 삽입되어 적층되도록 하고, 적층된 복수의 제1 베어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부(111)는 바(bar) 형상으로, 복수의 제1 베어링의 중공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제1 베어링이 삽입된 경우, 폭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한다.
제1 가이드부(111)의 길이에 따라 적층되는 복수의 제1 베어링의 개수는 결정된다.
제1 가이드보조부(112)는 제1 가이드부(111)와 평행하게 배치된 채, 제1 가이드부(111)에 삽입된 복수의 제1 베어링의 상승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보조부(112)는 제1 가이드바(112a), 제2 가이드바(112b), 제3 가이드바(112c) 및 제4 가이드바(112d)로 형성되며, 제1 가이드바(112a) 내지 제4 가이드바(112d)는 제1 가이드부(111)에 삽입된 복수의 제1 베어링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복수의 제1 베어링의 폭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한다.
복수의 제1 베어링은 제1 가이드부(111)에 삽입된 경우, 회동부(13)의 위치 이동 또는 제1 승강부(113)에 의한 위치 이동에 따른 진동에 의해 제1 가이드부(111)와의 충격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거나 지속된 충격에 의한 베어링의 파손 및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제1 가이드보조부(112)에 의해 충격을 위한 이격 공간이 소거되어 이와 같은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1 승강부(113)는 복수의 제1 베어링 중 최하단의 베어링과 접촉된 채, 제1 가이드부(111) 및 제1 가이드보조부(112)를 따라 승강하여 복수의 제1 베어링을 상승시킨다.
이 때, 제1 승강부(113)는 복수의 제1 베어링이 베어링이송부(20)에 의해 모두 이송된 경우, 하강하여 또 다른 복수의 제1 베어링을 수용할 수용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제1 승강부(113)는 제1 가이드부(111)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113a) 및 제1 가이드보조부(112)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113b)을 형성하고,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하는 경우, 제1 가이드부(111) 및 제1 가이드보조부(112)를 따라 가이드 된 채, 승강된다.
한편, 제2 베어링제공유닛(12)은, 회동부(13)에 기립된 채 연결되며, 복수의 제2 베어링의 중공이 삽입되어 적층되도록 하고, 적층된 복수의 제2 베어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가이드부(121), 제2 가이드부(121)와 평행하게 배치된 채, 제2 가이드부(121)에 삽입된 복수의 제2 베어링의 상승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보조부(122) 및 제2 가이드보조부(122)를 따라 승강하여 복수의 제2 베어링을 승강시키는 제2 승강부(123)를 구비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의 베어링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1)의 베어링이송부(20)는, 회동부(13)에 의해 인접위치에 위치한 제1 베어링제공유닛(11)에 안착된 복수의 제1 베어링 중 최상단에 위치한 제1-1 베어링(B1)을 제1 베어링제공유닛(11)과 연결된 제1 위치로부터 제1 베어링제공유닛(11)과 이격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시킨다.
베어링이송부(20)는 위치이동부(21), 베이스부(22), 그립부(23) 및 제2 감지부(24)를 구비한다.
위치이동부(21)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위치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위치이동부(21)는 후술할 그립부(23)가 제1-1 베어링(B1)을 그립하는 제1 위치에서 수직방향 상측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 경로(L1), 제1 베어링제공유닛(11)으로부터 안착부(40)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 경로(L2) 및 안착부(40)의 상측으로부터 수직방향 하측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3 경로(L3)를 통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된다.
베이스부(22)는 위치이동부(21)와 연결된다.
그립부(23)는 베이스부(22)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채, 그립공간을 형성한다. 그립부(23)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그립부(231), 제2 그립부(232) 및 제3 그립부(233)를 구비한다.
제1 그립부(231), 제2 그립부(232) 및 제3 그립부(233)는 가상의 원의 원주 상의 세 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쉽게 말해, 제1 그립부(231), 제2 그립부(232) 및 제3 그립부(233)는 삼각형의 꼭지점 상에 배치된다.
위치이동부(21)가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제1 그립부(231), 제2 그립부(232) 및 제3 그립부(233)에 의해 형성된 그립공간 내에 베어링이 위치하면, 제1 그립부(231), 제2 그립부(232) 및 제3 그립부(233)는 가상의 원의 중심을 향하여 위치 이동되어 그립공간 내의 베어링을 그립하고, 위치이동부(21)가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제1 그립부(231), 제2 그립부(232) 및 제3 그립부(233)는 가상의 원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그립공간 내의 베어링 그립을 해제한다.
제2 감지부(24)는, 베이스부(22)와 연결된 채, 그립공간 내의 베어링의 위치 유무를 감지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의 안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1)의 안착부(40)는, 베어링이송부(20)에 의해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된 제1-1 베어링(B1)을 인도받아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킨다.
안착부(40)의 하측에는 컨베이어벨트부(50)가 형성되며, 컨베이어벨트부(50)는 안착부(40)에 의해 위치 이동된 제1-1 베어링(B1)을 안착부(40)의 하측으로부터 검사장치 또는 조립장치로 이동시킨다.
안착부(40)는 제2 위치의 베어링이송부(2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 위치와 컨베이어벨트부(5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4 위치를 왕복 운동하는 왕복운동부(41) 및 왕복운동부(4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42)를 구비한다.
돌출부(42)는 제1 돌출부(421), 제1 돌출부(421)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돌출부(422) 및 제1 돌출부(421)와 제2 돌출부(422) 사이에 배치되되, 제1 돌출부(421) 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되는 돌출부제한부(423)를 구비한다.
제1 돌출부(421)는, 제1-1 베어링(B1)과 접촉되는 상측면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사면(421a)을 형성하고, 제2 돌출부(422)는 제1-1 베어링(B1)과 접촉되는 상측면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사면(422a)을 형성한다.
여기서, 외측에서 내측 방향이란 제1 돌출부(421)와 제2 돌출부(422) 각각이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어부는, 안착부(40)가 제3 위치에 위치한 경우, 제1 돌출부(421)와 제2 돌출부(422)의 이격거리가 제1 이격거리가 되도록 하며, 안착부(40)가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이동한 경우, 제1 돌출부(421)와 제2 돌출부(422)의 이격거리가 제1 이격거리보다 큰 제2 이격거리가 되도록 안착부(40)를 제어한다.
이 때, 제1 돌출부(421)의 위치 이동과 제2 돌출부(422)의 위치 이동은 순차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421)와 제2 돌출부(422)의 이격거리가 제1 이격거리에서 제2 이격거리가 되는 경우, 먼저 제2 돌출부(422)는 위치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돌출부(421)만이 제2 돌출부(4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제1 돌출부(421)의 위치 이동이 완료된 후, 제2 돌출부(422)가 위치 이동되어 최종적으로 제1 돌출부(421)와 제2 돌출부(422)의 이격거리는 제2 이격거리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출부(421)가 이동한 거리와 제2 돌출부(422)의 이동 거리는 동일할 수 있으며, 이동 거리는 제2 이격거리와 제1 이격거리의 차의 반이다.
또한, 제1 돌출부(421)와 제2 돌출부(422)가 제1 이격거리에서 제2 이격거리가 되도록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1 돌출부(421)의 상측면에 접촉된 제1-1 베어링(B1)은 제1 돌출부(421)의 제1 사면(421a)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컨베이어벨트부(50)에 안착할 수 있으며, 제2 돌출부(422)의 상측면에 접촉된 제1-1 베어링(B1)은 제2 사면(422a)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1-1 베어링(B1)은 안착부(40)로부터 컨베이어벨트부(50)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제1 사면 및 제2 사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안착부(40)로부터 컨베이어벨트부(50)의 높이 차에 따른 충격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421)와 제2 돌출부(422)가 동시에 위치 이동됨에 따라 안착부(40)로부터 컨베이어벨트부(50)로 이동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돌출부(421)와 제2 돌출부(422)가 순차적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여, 제1-1 베어링(B1)의 일측이 컨베이어벨트부(50)에 지지된 상태에서 타측이 컨베이어벨트부(50)에 안착되도록 한다.
한편, 돌출부제한부(423)는, 제1 돌출부(421)와 제2 돌출부(422)가 제2 이격거리에 위치한 경우, 제1 돌출부(421)와 이격되며, 제1 돌출부(421)와 제2 돌출부(422)가 제1 이격거리에 위치한 경우, 제1 돌출부(421)와 접촉되어 제1 돌출부(421)의 위치 이동을 제한한다.
이 때, 제2 돌출부(422)는 제1 돌출부(421)와 연동되어 돌출부제한부(423)에 의해 제1 돌출부(421)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면, 위치 이동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돌출부제한부(423)는, 제1 돌출부(421)의 제2 돌출부(422)를 향한 위치 이동의 경계를 설정하여 제1 돌출부(421)와 제2 돌출부(422) 사이에 위치한 제1-1 베어링(B1)이 제1 돌출부(421)와 제2 돌출부(422)에 의해 파손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부재이며, 제2 돌출부(422)가 제1 돌출부(421)와 연동되어 작동하므로, 제1 돌출부(421)가 돌출부제한부(423)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된 경우, 제2 돌출부(422) 또한 위치 이동되지 않아 제1 돌출부(421)와 제2 돌출부(422) 사이의 이격 거리가 제1 이격거리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이격거리는 제1-1 베어링(B1)의 지름의 길이와 같거나 크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이송장치(1)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이송장치(1)의 제어부를 기준으로, 이송장치(1)의 작동 메커니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는, 상술한 베어링제공부(10), 베어링이송부(20), 제1 감지부(30) 및 안착부(40)를 제어한다.
복수의 제1 베어링이 베어링제공부(10)로부터 컨베이어벨트부(50)로 이송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한다.
제1 베어링제공유닛(11)은 회동부(13)에 의해 회동되어 베어링이송부(20)와 인접한 인접위치로 위치 이동된다.
이 때, 제1 가이드부(111)에 삽입된 복수의 제1 베어링 중 최상단에는 제1-1 베어링(B1)이 위치(제1 위치)한다.
제1 감지부(30)는 제1 위치 상에 베어링이 있는지 없는지를 감지한다. 제1 감지부(30)는 제1-1 베어링(B1)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 채, 제1-1 베어링(B1)과 비 접촉된 상태로 베어링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비접촉신 센서(광학식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감지부(30)에 의해 제1 위치 상에 베어링이 위치한다고 감지되면, 베어링이송부(20)가 제1 위치에서 제1-1 베어링(B1)을 그립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제2 감지부(24)에 의해 감지된 결과, 그립공간에 베어링이 위치하였다고 판단되면, 제1 그립부(231), 제2 그립부(232) 및 제3 그립부(233)가 가상의 원의 중심을 향하여 위치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그립부(23)에 의해 제1-1 베어링(B1)이 그립된 상태에서, 위치이동부(21)는 제1 경로(L1), 제2 경로(L2) 및 제3 경로(L3)를 통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된다.
이 때, 제어부는 위치이동부(21)가 제1 경로(L1)와 제2 경로(L2) 상에 위치한 경우, 안착부(40)가 제4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위치이동부(21)가 제3 경로(L3) 상에 위치한 경우, 제1 돌출부(421)와 제2 돌출부(422)가 제2 이격거리에서 제1 이격거리가 되도록 제어하여 그립부(23)에 그립된 제1-1 베어링(B1)이 안착부(40)에 안착될 준비를 한다.
또한, 제어부는 위치이동부(21)가 제3 경로(L3) 상에 위치한 경우, 제1 베어링제공유닛(11)에 의해 복수의 제1 베어링이 상승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는 베어링이송부(20)에 의해 제1-1 베어링(B1)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의 위치 이동이 완료되면, 제1 승강부(113)가 상승하도록 하여, 최초 제1-1 베어링(B1)의 하측에 위치한 제1-2 베어링(B2)이 복수의 제1 베어링 중 최상단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 제어부는, 그립부(23)가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안착부(40)가 제3 위치에 위치하면, 제1 그립부(231), 제2 그립부(232) 및 제3 그립부(233)가 가상의 원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제어하여, 그립부(23)와 제1-1 베어링(B1)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하여, 제1-1 베어링(B1)이 그립부(23)로부터 안착부(40)로 안착되도록 한다.
안착된 제1-1 베어링(B1)은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된 제1 돌출부(421)와 제2 돌출부(422)의 상측면과 접촉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안착부(40)를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안착부(40)가 제4 위치에 위치한 경우, 제1 돌출부(421)의 위치 이동과 제2 돌출부(422)의 위치 이동은 순차적으로 구현된다.
제1 돌출부(421)와 제2 돌출부(422)의 제1 이격거리에 제2 이격거리로 배치되기 위한 위치 이동에 의해 제1-1 베어링(B1)은 안착부(40)로부터 컨베이어벨트부(50)로 위치 이동된 채, 검사장치 또는 조립장치로 위치 이동된다.
한편,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된 위치이동부(21)는 그립부(23)와 제1-1 베어링(B1)의 그립 해제와 동시에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된다.
이 때, 위치이동부(21)는 제3 경로(L3), 제2 경로(L2) 및 제1 경로(L1) 순으로 위치 이동되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된다.
상술한 순서에 의해 제1 가이드부(111)에 적층된 복수의 제1 베어링은 제1 베어링제공유닛(11)으로부터 컨베이어벨트부(50)로 이송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1 감지부(30)에 의해 베어링이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1 베어링제공유닛(11)에 적층된 복수의 제1 베어링이 모두 컨베이어벨트부(50)로 이송되었다고 판단하여, 제1 베어링제공유닛(11)이 회동부(13)에 의해 인접위치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부(13)를 제어하고, 제1 베어링제공유닛(11)과 이웃하게 배치된 제2 베어링제공유닛(12)이 베어링이송부(20)와 인접한 인접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때, 제어부는 제1 베어링제공유닛(11)이 회동부(13)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 중에, 제1 승강부(113)가 하강하도록 제어하여, 재차 제1 베어링제공유닛(11)에 또 다른 복수의 베어링이 적층될 수 있도록 준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베어링제공부가 제1 베어링제공유닛 및 제2 베어링제공유닛을 포함한다고 서술하였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송장치는 복수의 베어일제공유닛을 구비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베어링 이송장치
10: 베어링제공부
11: 제1 베어링제공유닛
12: 제2 베어링제공유닛
13: 회동부
20: 베어링이송부
21: 위치이동부
22: 베이스부
23: 그립부
24: 제2 감지부
30: 제1 감지부
40: 안착부
41: 왕복운동부
42: 돌출부
50: 컨베이어벨트부
L1: 제1 경로
L2: 제2 경로
L3: 제3 경로

Claims (10)

  1. 복수의 제1 베어링 및 복수의 제2 베어링의 시험검사를 위한 검사장치 또는 다른 부품과의 조립을 위한 조립장치로의 이송을 위한 베어링 이송장치에 있어서,
    무한 궤도로 회동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의해 위치 이동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을 수용한 채, 위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을 상승시키는 제1 베어링제공유닛 및 상기 회동부에 의해 위치 이동되며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을 수용한 채, 위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을 상승시키는 제2 베어링제공유닛을 구비하는 베어링제공부;
    상기 회동부에 의해 인접 위치에 위치한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 중 최상단에 위치한 제1-1 베어링을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과 연결된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과 이격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베어링이송부;
    상기 인접 위치에 위치한 채, 상기 제1 위치 상의 베어링 유무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베어링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된 상기 제1-1 베어링을 인도받아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하측에 형성된 채, 상기 안착부에 의해 위치 이동된 상기 제1-1 베어링을, 상기 안착부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검사장치 또는 상기 조립장치로 이동 시키는 컨베이어벨트부; 및
    상기 베어링제공부, 상기 베어링이송부,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안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는, 상기 인접 위치에 위치한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이 상기 베어링이송부 및 상기 안착부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벨트부에 이동된 경우, 상기 제2 베어링제공유닛이 상기 인접 위치에 위치하도록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1 위치 상에 베어링이 위치한다고 감지되면, 상기 베어링이송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1 베어링을 그립한 채,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베어링이송부가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안착부가 상기 베어링이송부와 인접한 제3 위치에 위치 하도록 위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안착부가 상기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베어링이송부가 상기 제1-1 베어링의 그립을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은,
    상기 회동부에 기립된 채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의 중공이 삽입되어 적층되도록 하고, 적층된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제1 가이드부와 평행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삽입된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의 상승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보조부,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 중 최하단의 베어링과 접촉된 채,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보조부를 따라 승강하여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을 상승시키는 제1 승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베어링제공유닛은,
    상기 회동부에 기립된 채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의 중공이 삽입되어 적층되도록 하고, 적층된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가이드부, 상기 제2 가이드부와 평행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삽입된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의 상승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보조부,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 중 최하단의 베어링과 접촉된 채, 상기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보조부를 따라 승강하여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을 승강시키는 제2 승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의 중공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이 삽입된 경우, 폭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1 승강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 및 상기 제1 가이드보조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을 형성하고,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보조부를 따라 가이드 된 채, 승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어링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1-1 베어링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승강부가 상승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이 상기 회동부에 의해 상기 인접 위치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제1 승강부가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이송부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를 위치 이동하는 위치이동부, 상기 위치이동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채, 그립공간을 형성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공간의 베어링의 위치 유무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그립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그립부, 제2 그립부 및 제3 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립부, 상기 제2 그립부 및 상기 제3 그립부는, 가상의 원의 원주 상의 세 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결과 상기 그립공간에 베어링이 위치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그립부, 상기 제2 그립부 및 상기 제3 그립부가 상기 가상의 원의 중심을 향하여 위치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그립부가 상기 제1-1 베어링을 그립하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수직방향 상측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 경로,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으로부터 상기 안착부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 경로 및 상기 안착부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수직방향 하측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3 경로를 통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베어링이송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3 위치와 상기 컨베이어벨트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4 위치를 왕복 운동하는 왕복운동부 및 상기 왕복운동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돌출부 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되는 돌출부제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착부가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이격거리가 제1 이격거리가 되도록 하며, 상기 안착부가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이격거리가 상기 제1 이격거리보다 큰 제2 이격거리가 되도록 상기 안착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 상에 위치한 경우, 상기 안착부가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3 경로 상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이격거리에서 상기 제1 이격거리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3 경로 상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베어링제공유닛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베어링이 상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이송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착부가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의 위치 이동과 상기 제2 돌출부의 위치 이동이 순차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1 베어링과 접촉되는 상측면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1 베어링과 접촉되는 상측면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이송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제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이격거리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1 이격거리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1 돌출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연동되어 상기 돌출부제한부에 의해 상기 제1 돌출부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면, 위치 이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이송장치.
KR1020170061264A 2017-05-17 2017-05-17 베어링 이송장치 KR101756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264A KR101756066B1 (ko) 2017-05-17 2017-05-17 베어링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264A KR101756066B1 (ko) 2017-05-17 2017-05-17 베어링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066B1 true KR101756066B1 (ko) 2017-07-10

Family

ID=5935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264A KR101756066B1 (ko) 2017-05-17 2017-05-17 베어링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06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4863A (zh) * 2018-10-29 2019-03-19 合肥友高物联网标识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顶升放料设备
CN111874642A (zh) * 2020-08-01 2020-11-03 合肥旭弘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定子自动上料装置
CN112224902A (zh) * 2020-09-27 2021-01-15 苏州富强科技有限公司 交替式上料及输送装置
CN112249677A (zh) * 2020-09-27 2021-01-22 苏州富强科技有限公司 一种同步上料流水线
CN113233168A (zh) * 2021-05-26 2021-08-10 慕贝尔汽车部件(太仓)有限公司 弹簧推送机构
CN117359915A (zh) * 2023-11-01 2024-01-09 嘉兴天浩实业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箱壳生产加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552B1 (ko) 2014-08-19 2015-12-11 청보산업(주) 베어링의 자동 연속 가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세척 장치
KR101591387B1 (ko) 2014-06-26 2016-02-04 청보산업(주) 베어링의 자동 연속 방청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387B1 (ko) 2014-06-26 2016-02-04 청보산업(주) 베어링의 자동 연속 방청 장치
KR101576552B1 (ko) 2014-08-19 2015-12-11 청보산업(주) 베어링의 자동 연속 가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세척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4863A (zh) * 2018-10-29 2019-03-19 合肥友高物联网标识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顶升放料设备
CN111874642A (zh) * 2020-08-01 2020-11-03 合肥旭弘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定子自动上料装置
CN111874642B (zh) * 2020-08-01 2021-12-17 合肥旭弘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定子自动上料装置
CN112224902A (zh) * 2020-09-27 2021-01-15 苏州富强科技有限公司 交替式上料及输送装置
CN112249677A (zh) * 2020-09-27 2021-01-22 苏州富强科技有限公司 一种同步上料流水线
CN112249677B (zh) * 2020-09-27 2022-07-19 苏州富强科技有限公司 一种同步上料流水线
CN113233168A (zh) * 2021-05-26 2021-08-10 慕贝尔汽车部件(太仓)有限公司 弹簧推送机构
CN117359915A (zh) * 2023-11-01 2024-01-09 嘉兴天浩实业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箱壳生产加工装置
CN117359915B (zh) * 2023-11-01 2024-04-26 嘉兴天浩实业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箱壳生产加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066B1 (ko) 베어링 이송장치
JP6722840B2 (ja) 容器供給装置及び容器供給方法、容器取り付けシステム
JP6191544B2 (ja) 搬送装置
CN110139550B (zh) Pcb板传送装置及相应的自动插件机
CN105621071A (zh) 自动备料系统
JP6140468B2 (ja)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KR20140033496A (ko) 반송 시스템
CN101938894B (zh) 电子元件用搬送装置
JP7208104B2 (ja) 搬送装置
JP2019116336A (ja) 回転式ストッカ及びそれを備える移送システム
JP2012046331A (ja) 板状部材収納用ラック、板状部材移載設備、及び板状部材収納方法
KR20170106811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KR101307993B1 (ko) 워크지지이송장치
KR20150073243A (ko) 피스톤링 조립시스템
KR20170106943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JP2023033556A (ja) 物品受け渡し手段
JP2005067849A (ja) パレット方向変換装置
KR20140112420A (ko) 워크 반송 방법 및 장치
CN114051482A (zh) 晶片交接装置、晶片储存容器以及晶片储存系统
JP2008126392A (ja) ワーク供給装置
EP4299475A1 (en) Transport vehicle
JP2016204154A (ja) 昇降搬送システム、移載装置
KR101109752B1 (ko) 턴테이블
JP5120869B2 (ja) 段積み装置
JP6954627B2 (ja) 容器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