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622B1 - 창문 개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개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622B1
KR101754622B1 KR1020160017102A KR20160017102A KR101754622B1 KR 101754622 B1 KR101754622 B1 KR 101754622B1 KR 1020160017102 A KR1020160017102 A KR 1020160017102A KR 20160017102 A KR20160017102 A KR 20160017102A KR 101754622 B1 KR101754622 B1 KR 101754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pening
window opening
valu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현
김용희
김민석
윤재훈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7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5Control m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창문 자동 개폐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자동 개폐 방법은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실내의 미세 먼지 농도가 실외의 미세 먼지 농도보다 기 설정된 차이값 이상으로 높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차이값 이상으로 높은 경우,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상기 실외의 습도값에 따라 창문 개방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상기 창문 개방도 정보를 창문에 설치되는 창문 개폐 구동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창문의 개방되는 정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문 개폐 제어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문 개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OPENING AND SHUT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OF WINDOW}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창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창문 개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건물의 실외와 실내의 경계에 형성되어 조망, 실내 명도 조절, 온도 조절 및 환기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창문의 목적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 중 하나가 환기이며, 환기의 정의는 탁한 공기를 맑은 공기로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사용자 판단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창문을 개폐하여 환기를 실행하고 있으며, 사용자 판단에 고려될 항목인 황사, 미세먼지, 눈 및 비 등의 환경적 요소를 각각 사용자가 별도로 확인하고 판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상기 환경적 요소를 사용자가 잘못 판단하거나 확인하지 못할 경우 탁한 공기를 맑은 공기로 바꾸는 환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거나 역효과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음은 물론, 눈 또는 비 등의 실내 유입으로 실내 환경에 악영향을 일으킬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환경적 요소를 고려한 창문 개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건물의 저층부에서 우려할 수 있는 침입자를 감지하는 역할을 더함으로써 창문 개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053230호 (1995.12.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기시 고려해야 할 환경 요소를 측정하여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창문을 개폐할 수 있는 창문 개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 제어 방법은,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실내의 미세 먼지 농도가 실외의 미세 먼지 농도보다 기 설정된 차이값 이상으로 높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차이값 이상으로 높은 경우,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상기 실외의 습도값에 따라 창문 개방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상기 창문 개방도 정보를 창문에 설치되는 창문 개폐 구동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창문의 개방되는 정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창문 개방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상기 실외의 습도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창문을 일부 개방하도록 하고, 상기 실외의 습도값이 상기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창문을 전부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창문의 개방되는 정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상기 창문 개폐 구동 모듈을 동작시켜 상기 창문을 개방시키는 단계;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창문의 개방되는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상기 창문 개방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창문의 개방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창문 개폐 구동 모듈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문의 개방되는 정도를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상기 실내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의 온도 변화가 기 설정된 변화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상기 창문 개폐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창문을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 제어 장치는, 실내의 미세 먼지 농도가 실외의 미세 먼지 농도보다 기 설정된 차이값 이상으로 높은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실외의 습도값에 따라 창문 개방도 정보를 생성하는 창문 개폐 제어 모듈; 및 창문에 설치되고, 상기 창문을 개폐시키도록 마련되며, 상기 창문 개방도 정보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창문의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창문 개폐 구동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은, 상기 실외의 습도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창문을 일부 개방하도록 하고, 상기 실외의 습도값이 상기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창문을 전부 개방하도록 상기 창문 개방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은, 상기 창문 개폐 구동 모듈이 동작되어 상기 창문을 개방하는 경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창문의 개방되는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창문 개방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창문의 개방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창문 개폐 구동 모듈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은, 상기 실내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고, 상기 실내의 온도 변화가 기 설정된 변화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개방된 창문을 닫도록 상기 창문 개폐 구동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은, 상기 실내의 미세 먼지 농도 및 상기 실외의 미세 먼지 농도를 각각 측정하는 미세 먼지 농도 측정부; 상기 실외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실내의 미세 먼저 농도가 상기 측정된 실외의 미세 먼지 농도보다 기 설정된 차이값 이상으로 높은 경우, 상기 측정된 실외의 습도값에 따라 상기 창문 개방도 정보를 생성하는 개폐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은, 상기 창문의 외부에서의 침입자를 감지하는 침입자 감지부; 및 상기 침입자가 감지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창문 개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통해 창문의 주요 목적 중 하나인 환기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확보함은 물론, 외부 침입자로부터의 인적 및 재산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범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 제어 모듈의 기능 불록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 장치의 구성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창문 개폐 장치(100)는 창문 개폐 제어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창문 개폐 제어 장치(200)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셀룰라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4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창문 개폐 제어 장치(200)는 창문(250)을 개폐시킬 수 있다. 창문(250)은 투명 재질의 윈도우(250a) 및 윈도우(250a)를 지지하고 윈도우(250a)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프레임(250b)을 포함할 수 있다. 창문(250)은 창문 틀(260)을 따라 이동하여 개폐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창문 개폐 제어 장치(200)는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 및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은 창문 틀(260)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창문(250)의 프레임(250b)에 형성될 수도 있다.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창문 개폐 신호를 수신하여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에 창문 개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창문(250)의 개폐 제어를 위한 환경 설정값(즉, 창문(250) 개폐의 기준이 되는 값으로서, 예를 들어, 실내 먼지 농도와 실외 미세 먼지 농도 간의 기 설정된 차이값, 기 설정된 실외 습도값, 기 설정된 실내 온도 변화값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은 해당 환경 설정값에 따라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에 창문 개폐 명령을 전달하여 자동으로 창문(250)을 개폐시킬 수 있다.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평시 열림 정도 설정값 및 우천시 열림 정도 설정값이 설정될 수 있다.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은 해당 열림 정도 설정값에 따라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에 열림 정도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평시 열림 정도 설정값은 실제 실외 습도값이 사용자가 설정한 실외 습도값보다 작을 경우 즉, 눈 또는 비가 오지 않는 날씨에 창문을 여는 정도이며, 우천시 열림 정도 설정값은 실제 실외 습도값이 사용자가 설정한 실외 습도값보다 클 경우 즉, 눈 또는 비가 오는 날씨에 창문을 여는 정도가 될 수 있다.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은 창문(250)에 설치되고, 창문(250)을 창문 틀(260)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마련된다.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은 창문(250)의 프레임(250b)에 형성되고, 창문(250)이 창문 틀(26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은 창문(250)의 창문 틀(26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은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의 명령에 따라 창문(250)을 개폐시킬 수 있다. 이때,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은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의 제어에 따라 창문(250)의 열림 정도 또는 닫힘 정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은 유선 또는 무선의 형태로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과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사용자가 소지(휴대)하는 단말기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창문 개폐 제어 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창문 개폐 제어 장치(200)로 창문 개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창문 개폐 제어 장치(200)로 작동 시작 및 종료 신호를 전송하여 창문 개폐 제어 장치(200)를 온(ON) 및 오프(OFF)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자동 창문 개폐를 위한 환경 설정값을 창문 개폐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여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창문 열림 정도를 지정하는 평시 열림 정도 설정값 및 우천시 열림 정도 설정값을 창문 개폐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여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창문 개폐 제어 장치(200)로 환경 현황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경 현황 정보는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에서 측정되는 실내 먼지 농도 측정값, 실외 먼지 농도 측정값, 실외 습도 측정값 및 실내 온도 측정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창문 개폐 제어 장치(200)로부터 침입자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침입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관리실 및 경찰서 등에 해당 신호를 즉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 제어 모듈의 기능 불록을 나타낸 구성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은 실내 먼지 농도 측정부(211), 실외 먼지 농도 측정부(213), 실외 습도 측정부(215), 실내 온도 측정부(217), 열림 정도 측정부(219), 개폐 제어부(221), 통신부(223), 침입자 감지부(225), 경보부(227) 및 전원부(229)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먼지 농도 측정부(211)는 창문(250)이 설치되는 건물의 실내 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개폐 제어부(221)로 전달할 수 있다.
실외 먼지 농도 측정부(213)는 창문(250)이 설치되는 건물의 실외 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개폐 제어부(221)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는, 실외 먼지 농도 측정부(213)를 통해 실외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외 먼지 농도는 외부 서버(예를 들어, 기상청 서버 등)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실외 습도 측정부(215)는 실외 습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개패 제어부(221)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는, 실외 습도 측정부(215)를 통해 실외 습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외 습도는 외부 서버(예를 들어, 기상청 서버 등)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실내 온도 측정부(217)는 실내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개폐 제어부(221)로 전달할 수 있다.
열림 정도 측정부(219)는 창문이 열려있는 정도값 즉, 거리값을 측정하여 개패 제어부(221)로 전달할 수 있다. 열림 정도 측정부(219)는 초음파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창문(250)의 열림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개폐 제어부(221)는 실내 먼지 농도 측정부(211), 실외 먼지 농도 측정부(213), 실내 온도 측정부(215), 실외 습도 측정부(217) 및 열림 정도 측정부(219)에서 측정한 값들을 전달받을 수 있다. 개폐 제어부(221)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하여 설정한 환경 설정값(실내외 먼지 농도 차이값, 실외 습도값, 실내 온도 변화값 및 창문 열림 시간값), 평시 열림 정도 설정값 및 우천시 열림 정도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개폐 제어부(221)는 실내 먼지 농도 측정부(211)와 실외 먼지 농도 측정부(213)에서 전달받은 측정값을 비교하여 실내 먼지 농도 측정부(211)의 측정값이 실외 먼지 농도 측정부(213)의 측정값 보다 작을 경우(즉, 실외 공기의 먼지 농도가 높을 경우) 열림 정도 측정부(219)의 측정값을 확인하여 창문이 열려있다고 판단될 경우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에 창문 닫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개폐 제어부(221)는 실내 먼지 농도 측정부(211)와 실외 먼지 농도 측정부(213)에서 전달받은 측정값을 비교하여 실내 먼지 농도 측정부(211)의 측정값이 실외 먼지 농도 측정부(213)의 측정값 보다 클 경우(즉, 실내 공기의 먼지 농도가 높을 경우) 실외 습도 측정부(215)의 측정값을 확인하여 측정값이 사용자가 설정한 실외 습도값 이상이면(즉, 우천시) 사용자가 설정한 우천시 열림 정도 설정값 만큼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에 창문 열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한 실외 습도값 미만이면(즉, 평시) 사용자가 설정한 평시 열림 정도 설정값 만큼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에 창문 열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개폐 제어부(221)는 실내 공기의 먼지 농도가 실외보다 높아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에 창문 열림 신호를 보낸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창문 열림 시간값이 경과하면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에 창문 닫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개폐 제어부(221)는 실내 공기의 먼지 농도가 실외보다 높아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에 창문 열림 신호를 보낸 시점의 실내 온도 측정부(217)에서 측정된 실내 온도값이 사용자가 설정한 실내 온도 변화값을 초과할 경우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에 창문 닫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설정한 실내 온도 변화값이 5℃일때, 창문이 열리는 시점의 실내온도가 20℃ 이고 이후 실내온도가 15℃ 미만 또는 25℃를 초과할 경우 창문이 닫힐 수 있다.
통신부(223)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4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23)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창문 개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23)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창문 개폐 제어 장치(200)의 작동 시작 및 종료 신호를 수신하여 창문 개폐 제어 장치(200)를 온(ON) 및 오프(OFF)시킬 수 있다. 통신부(223)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사용자가 지정하는 환경 설정값 및 열림 정도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23)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환경 현황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환경 현황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23)는 침입자 감지부(225)에서 감지된 침입자 감지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침입자 감지부(225)는 창문 프레임(250b) 사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침입자 감지부(225)는 생성한 감지 신호를 통신부(223)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침입자 감지부(225)는 생성한 감지 신호를 경보부(227)로 전송할 수 있다. 침입자 감지부(225)는 열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및 마이크로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경보부(227)는 소리 출력 수단 및 발광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경보부(227)는 침입자 감지부(225)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경보부(227)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소리 출력 수단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고, 발광 수단을 통해 경고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전원부(229)는 태양열 및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창문 개폐 제어 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229)는 통신부(223)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창문 개폐 제어 장치(200)의 작동 시작 및 종료 신호를 수신하여 창문 개폐 제어 장치(200)를 온(ON) 및 오프(OFF)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자동 개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들이 상기 방법과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은 창문(250)을 기준으로 실내 먼지 농도 측정값과 실외 먼지 농도 측정값을 획득한다(S490).
다음으로,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은 실내 먼지 농도 측정값이 실외 먼지 농도 측정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한다(S500).
(S500) 단계 에서, 실내 먼지 농도 측정값이 실외 먼지 농도 측정값보다 큰 경우,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은 상기 실내 먼지 농도 측정값과 실외 먼지 농도 측정값 간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실내외 먼지 농도 차이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한다(S510).
(S510) 단계에서, 기 측정된 실내외 먼지 농도 차이값이 기 설정된 실내외 먼지 농도 차이값보다 클 경우(즉, 실내 먼지가 많고, 실외는 먼지가 상대적으로 적을 경우),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은 실외 습도 측정값을 획득한다(S515).
다음으로,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은 측정된 실외 습도 측정값이 기 설정된 실외 습도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한다(S520).
(S520) 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실외 습도 측정값이 기 설정된 실외 습도값보다 작을 경우(즉, 눈 또는 비가 오지 않는 평시),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은 사용자가 설정한 평시 열림 정도 설정값 만큼 창문이 개방되도록 창문 열기 신호를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로 전송하여 창문(250)을 연다(S540).
(S520) 단계에서, 기 측정된 실외 습도 측정값이 기 설정된 실외 습도값보다 클 경우(즉, 눈 또는 비가 오는 우천시),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은 사용자가 설정한 우천시 열림 정도 설정값 만큼 창문이 개방되도록 창문 열기 신호를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로 전송하여 창문(250)을 연다(S530).
다음으로,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은 창문 개방에 따른 실내 온도 변화값을 획득하여 기 설정된 실내 온도 변화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기 설정된 창문 열림 시간값이 경과 하였는지 확인한다(S550).
(S550) 단계에서, 실제 실내 온도 변화값이 기 설정된 실내 온도 변화값보다 작을 경우(즉, 창문을 열었지만 실내 온도 변화가 크지 않을 경우), (S550) 단계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이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S550) 단계에서, 실제 실내 온도 변화값이 기 설정된 실내 온도 변화값보다 작을 경우(즉, 창문을 열었지만 실내 온도 변화가 크지 않을 경우) 기 설정된 창문 열림 시간값이 경과되지 않았을 경우(즉, 타이머 시간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 (S550) 단계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단계로 대체할 수 있다.
(S550) 단계에서, 실제 실내 온도 변화값이 기 설정된 실내 온도 변화값보다 클 경우(즉, 창문을 열어 실내 온도 변화가 커진 경우),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은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로 창문 닫힘 신호를 보내 창문(250)을 닫는다(S560). 그러나 이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S550) 단계에서, 실제 실내 온도 변화값이 기 설정된 실내 온도 변화값보다 클 경우(즉, 창문을 열어 실내 온도 변화가 커진 경우), 기 설정된 창문 열림 시간값이 경과된 경우(즉, 타이머 시간이 초과된 경우),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은 창문 개폐 구동 모듈(230)로 창문 닫힘 신호를 보내 창문(250)을 닫는 단계(S560)로 대체할 수 있다.
도 4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각 구성은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않았더라도 그 구성에 적합한 컴포넌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창문 개폐에 필요한 측정값을 비교 및 분석하여 창문 개폐를 제어하는 장치(예를 들어, 창문 개폐 제어 모듈(210))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버스(미도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버스(미도시)와 연결되고, 버스(미도시)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프로세서(14)에 연결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예컨대, 프로그램(20)에 포함되는 명령어),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20)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소정의 집합을 포함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는 버스(미도시)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 음성 입력 장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과정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컴퓨팅 환경
12 : 컴퓨팅 장치
14 : 프로세서
16 :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0 : 프로그램
22 : 입출력 인터페이스
24 : 입출력 장치
26 :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
100 : 창문 개폐 장치
200 : 창문 개폐 제어 장치
210 : 창문 개폐 제어 모듈
211 : 실내 먼지 농도 측정부
213 : 실외 먼지 농도 측정부
215 : 실외 습도 측정부
217 : 실내 온도 측정부
219 : 열림 정도 측정부
221 : 개폐 제어부
223 : 통신부
225 : 침입자 감시부
227 : 경보부
229 : 전원부
230 : 창문 개폐 구동 모듈
250 : 창문
250a : 윈도우
250b : 프레임
260 : 창문 틀
4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11)

  1.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창문을 기준으로 실내 먼지 농도 측정값과 실외 먼지 농도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상기 실내 먼지 농도 측정값이 상기 실외 먼지 농도 측정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실내 먼지 농도 측정값이 상기 실외 먼지 농도 측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상기 실내 먼지 농도 측정값과 상기 실외 먼지 농도 측정값 간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상기 실내외 먼지 농도 차이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실내외 먼지 농도 차이값이 기 설정된 상기 기 설정된 실내외 먼지 농도 차이값보다 큰 경우,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실외 습도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상기 측정된 실외 습도값에 따라 창문 개방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상기 창문 개방도 정보를 창문에 설치되는 창문 개폐 구동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창문의 개방되는 정도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상기 창문 개방에 따른 실내 온도 변화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 온도 변화값이 상기 기 설정된 실내 온도 변화값보다 큰 경우,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상기 창문 개폐 구동 모듈로 창문 닫힘 신호를 보내 창문을 닫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문 개폐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창문 개방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상기 실외의 습도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창문을 일부 개방하도록 하고, 상기 실외의 습도값이 상기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창문을 전부 개방하도록 하는, 창문 개폐 제어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개방되는 정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상기 창문 개폐 구동 모듈을 동작시켜 상기 창문을 개방시키는 단계;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창문의 개방되는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에서, 상기 창문 개방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창문의 개방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창문 개폐 구동 모듈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문 개폐 제어 방법.
  4. 삭제
  5. 창문을 기준으로 실내 먼지 농도 측정값과 실외 먼지 농도 측정값을 획득하여 상기 실내 먼지 농도 측정값이 상기 실외 먼지 농도 측정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실내 먼지 농도 측정값이 상기 실외 먼지 농도 측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실내 먼지 농도 측정값과 상기 실외 먼지 농도 측정값 간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상기 실내외 먼지 농도 차이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측정된 실내외 먼지 농도 차이값이 기 설정된 상기 기 설정된 실내외 먼지 농도 차이값보다 큰 경우, 실외 습도 측정값을 획득하여 측정된 실외 습도값에 따라 창문 개방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창문 개방도 정보에 따라 상기 창문의 개방되는 정도를 제어하며, 상기 창문 개방에 따른 실내 온도 변화값과 상기 기 설정된 실내 온도 변화값을 비교하고, 상기 실내 온도 변화값이 상기 기 설정된 실내 온도 변화값보다 큰 경우, 창문 닫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창문을 닫도록 제어하는 창문 개폐 제어 모듈; 및
    창문에 설치되고, 상기 창문을 개폐시키도록 마련되며, 상기 창문 개방도 정보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창문의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하고, 상기 창문 닫힘 신호에 따라 상기 창문을 닫는 창문 개폐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창문 개폐 제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은,
    상기 실외의 습도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창문을 일부 개방하도록 하고, 상기 실외의 습도값이 상기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창문을 전부 개방하도록 상기 창문 개방도 정보를 생성하는, 창문 개폐 제어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은,
    상기 창문 개폐 구동 모듈이 동작되어 상기 창문을 개방하는 경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창문의 개방되는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창문 개방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창문의 개방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창문 개폐 구동 모듈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창문 개폐 제어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창문 개폐 제어 모듈은,
    상기 창문의 외부에서의 침입자를 감지하는 침입자 감지부; 및
    상기 침입자가 감지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창문 개폐 제어 장치.
  11.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갖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창문을 기준으로 실내 먼지 농도 측정값과 실외 먼지 농도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실내 먼지 농도 측정값이 상기 실외 먼지 농도 측정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실내 먼지 농도 측정값이 상기 실외 먼지 농도 측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실내 먼지 농도 측정값과 상기 실외 먼지 농도 측정값 간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상기 실내외 먼지 농도 차이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실내외 먼지 농도 차이값이 기 설정된 상기 기 설정된 실내외 먼지 농도 차이값보다 큰 경우, 실외 습도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실외 습도값에 따라 창문 개방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창문 개방도 정보를 창문에 설치되는 창문 개폐 구동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창문의 개방되는 정도를 제어하는 단계;
    창문 개방에 따른 실내 온도 변화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 온도 변화값이 상기 기 설정된 실내 온도 변화값보다 큰 경우, 상기 창문 개폐 구동 모듈로 창문 닫힘 신호를 보내 창문을 닫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017102A 2016-02-15 2016-02-15 창문 개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1754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102A KR101754622B1 (ko) 2016-02-15 2016-02-15 창문 개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102A KR101754622B1 (ko) 2016-02-15 2016-02-15 창문 개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622B1 true KR101754622B1 (ko) 2017-07-19

Family

ID=5942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102A KR101754622B1 (ko) 2016-02-15 2016-02-15 창문 개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62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1254A (zh) * 2018-03-20 2018-09-25 浙江圣夏装饰设计工程有限公司 一种下雨天会关闭的智能窗
CN109025652A (zh) * 2018-10-25 2018-12-18 大连智识科技发展有限公司 智能窗户控制系统
KR101968073B1 (ko) * 2017-12-27 2019-04-11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실내외 공기품질 반응 기반의 창문 개폐 자동제어 시스템
CN110262383A (zh) * 2019-07-22 2019-09-20 复汉海志(江苏)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用信息监控系统及其方法
KR20190119769A (ko) * 2018-04-13 2019-10-23 황진우 창문 제어 시스템
CN111197854A (zh) * 2020-02-28 2020-05-26 长安大学 一种智能风门及其安装方法和工作方法
KR102119177B1 (ko) * 2018-12-27 2020-06-0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개폐가 가능한 스마트 윈도우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스마트 윈도우의 구동방법
CN112141027A (zh) * 2019-06-29 2020-12-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车窗控制方法、系统及车辆
CN112411145A (zh) * 2019-08-21 2021-02-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晾衣架的控制方法、设备及晾衣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497Y1 (ko) * 2004-08-04 2004-10-22 한승희 미닫이 창문용 경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497Y1 (ko) * 2004-08-04 2004-10-22 한승희 미닫이 창문용 경보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073B1 (ko) * 2017-12-27 2019-04-11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실내외 공기품질 반응 기반의 창문 개폐 자동제어 시스템
CN108571254A (zh) * 2018-03-20 2018-09-25 浙江圣夏装饰设计工程有限公司 一种下雨天会关闭的智能窗
KR20190119769A (ko) * 2018-04-13 2019-10-23 황진우 창문 제어 시스템
KR102088983B1 (ko) * 2018-04-13 2020-03-13 황진우 창문 제어 시스템
CN109025652A (zh) * 2018-10-25 2018-12-18 大连智识科技发展有限公司 智能窗户控制系统
KR102119177B1 (ko) * 2018-12-27 2020-06-0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개폐가 가능한 스마트 윈도우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스마트 윈도우의 구동방법
CN112141027A (zh) * 2019-06-29 2020-12-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车窗控制方法、系统及车辆
CN112141027B (zh) * 2019-06-29 2022-06-1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车窗控制方法、系统及车辆
CN110262383A (zh) * 2019-07-22 2019-09-20 复汉海志(江苏)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用信息监控系统及其方法
CN112411145A (zh) * 2019-08-21 2021-02-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晾衣架的控制方法、设备及晾衣系统
CN112411145B (zh) * 2019-08-21 2024-03-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晾衣架的控制方法、设备及晾衣系统
CN111197854A (zh) * 2020-02-28 2020-05-26 长安大学 一种智能风门及其安装方法和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622B1 (ko) 창문 개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US10623622B1 (en) Monitoring system configuration technology
US20210034077A1 (en) Dynamic drone navigation
US11620897B2 (en) Machine learning motion sensing with auxiliary sensors
US9747769B2 (en) Entry point opening sensor
US10810854B1 (en) Enhanced audiovisual analytics
KR101975921B1 (ko)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10127782B1 (en) Configurable sensor
KR20170094877A (ko)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실내 환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60054017A1 (en) Air conditioning management devic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program
CN103528167A (zh) 兼顾空调节能及环境空气质量的能效监测的方法及系统
KR101893109B1 (ko) IoT 기반의 건물 관리 및 제어 시스템
KR2013007161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원격제어 방법
CN109799857A (zh) 智能仓库管理系统
CN104566869A (zh) 空调器
KR20200094591A (ko) 주변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되는 창호시스템
US11921253B2 (en) Obstacle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CN111021916A (zh) 一种用于智能家居的门窗系统
KR20190053577A (ko) 창호 개폐 조절 장치
WO2015106766A1 (en) System and unit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window and door
KR20110120038A (ko) 유리창 파손 감지 장치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및 그 유리창 제조방법
KR20200073941A (ko)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및 창호 제어 방법
KR20100106135A (ko)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
WO2023045084A1 (zh) 地铁站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648814B1 (ko) 차량용 자동 환기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