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941A -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및 창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및 창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941A
KR20200073941A KR1020180162678A KR20180162678A KR20200073941A KR 20200073941 A KR20200073941 A KR 20200073941A KR 1020180162678 A KR1020180162678 A KR 1020180162678A KR 20180162678 A KR20180162678 A KR 20180162678A KR 20200073941 A KR20200073941 A KR 20200073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ondensation
unit
present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택
Original Assignee
이윤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택 filed Critical 이윤택
Priority to KR102018016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3941A/ko
Publication of KR20200073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 창틀프레임 내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문;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개폐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습도를 측정해주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습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해주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개폐감지부; 및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 습도센서부, 온도센서부, 개폐감지부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 창틀프레임 내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문;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개폐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습도를 측정해주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습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해주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개폐감지부; 및 창문의 오픈시 결로를 효과적으로 빠르게 제거하기 위하여 창호 안쪽의 공기를 창호 바깥쪽으로 불어주는 하나 이상의 블로우; 및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 습도센서부, 온도센서부, 개폐감지부, 블로우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및 창호 제어 방법{Window control system and window control method for window condensation removal}
본 발명은 창호의 결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 주변의 습도와 온도를 감지하여 창호에 결로가 발생할 여지가 있거나, 결로가 발생하였을 경우 자동개폐 장치로 구성된 창호가 자동으로 개폐를 수행하여 창호에 발생하는 결로를 효과적으로 빠르게 제거하여, 난방 열효율은 극대화 하면서 실내 창호에 발생하는 결로를 빠르게 제거하여 벌레나 곰팡이가 창호에 서식하는 환경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건축물에 구비되는 창호는 건축물의 외곽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창호는 창틀프레임 및 창틀프레임 내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문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창호 안쪽, 즉 창호 실내쪽의 온도가 그 위치의 습공기의 노점 이하로 되었을 때 공기 중의 수증기가 창호에 액체로 발생하게 된다. 이것을 일반적으로 창호에 결로가 발생했다고 한다. 여기서, 노점이란 공기의 온도가 내려갈 때 공기 중의 수증기 압력이 포화 수증기 압력에 이르는 온도를 얘기한다.
일반적으로 창호에는 표면 결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결로는 실내/외 온도차가 높거나 습기가 높은 환경에서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인하여, 유리 및 창호에 곰팡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실정이였다.
이러한 결로는 자연 현상이며, 실내/외 온도차가 높거나 습기가 높은 환경에서는 완전히 제거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창호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생활 습관 조절을 통해 결로 발생을 줄여왔던 것이 실정이였다. 보통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결로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물기를 제거하거나, 환기를 시키는 실정이였으며, 더 나아가서는 추운 겨울날씨에도 창문을 열어놓고 잠을 자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호 주변의 습도와 온도를 감지하여 창호에 결로가 발생할 여지가 있거나, 결로가 발생하였을 경우 자동개폐 장치로 구성된 창호가 자동으로 개폐를 수행하여 창호에 발생하는 결로를 효과적으로 빠르게 제거하여, 난방 열효율은 극대화 하면서 실내 창호에 발생하는 결로를 빠르게 제거하여 벌레나 곰팡이가 창호에 서식하는 환경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
창틀프레임 내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문;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개폐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습도를 측정해주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습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해주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개폐감지부; 및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 습도센서부, 온도센서부, 개폐감지부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
창틀프레임 내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문;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개폐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습도를 측정해주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습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해주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개폐감지부; 및
창문의 오픈시 결로를 효과적으로 빠르게 제거하기 위하여 창호 안쪽의 공기를 창호 바깥쪽으로 불어주는 하나 이상의 블로우; 및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 습도센서부, 온도센서부, 개폐감지부, 블로우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습도센서부, 온도센서부, 개폐감지부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창호 주변의 습도와 온도를 감지하여 창호에 결로가 발생할 여지가 있거나, 결로가 발생하였을 경우 자동개폐 장치로 구성된 창호가 자동으로 개폐를 수행하여 창호에 발생하는 결로를 효과적으로 빠르게 제거하여, 난방 열효율은 극대화 하면서 실내 창호에 발생하는 결로를 빠르게 제거하여 벌레나 곰팡이가 창호에 서식하는 환경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외출, 휴가, 취침 등에 상관 없이 창호에 발생하는 결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됨으로써 창호에 발생하는 벌레나 곰팡이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창호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창호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창호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창호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부의 제 1 의 예시적인 간략도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의 제 1 의 예시적인 동작 설명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방법에 포함되는 제 1 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앱)의 제 1 의 예시적인 화면의 개략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앱)의 제 2 의 예시적인 화면의 개략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앱)의 제 3 의 예시적인 화면의 개략도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적으로 기술된 설명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및 창호 제어 방법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건축물에 구비되는 창호는 건축물의 외곽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창호는 창틀프레임 및 창틀프레임 내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문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창호 안쪽, 즉 창호 실내쪽의 온도가 그 위치의 습공기의 노점 이하로 되었을 때 공기 중의 수증기가 창호에 액체로 발생하게 된다. 이것을 일반적으로 창호에 결로가 발생했다고 한다. 여기서, 노점이란 공기의 온도가 내려갈 때 공기 중의 수증기 압력이 포화 수증기 압력에 이르는 온도를 얘기한다.
일반적으로 창호에는 표면 결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결로는 실내/외 온도차가 높거나 습기가 높은 환경에서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인하여, 유리 및 창호에 곰팡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실정이였다.
이러한 결로는 자연 현상이며, 실내/외 온도차가 높거나 습기가 높은 환경에서는 완전히 제거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창호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생활 습관 조절을 통해 결로 발생을 줄여왔던 것이 실정이였다. 보통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결로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물기를 제거하거나, 환기를 시키는 실정이였으며, 더 나아가서는 추운 겨울날씨에도 창문을 열어놓고 잠을 자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
창틀프레임 내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문;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개폐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습도를 측정해주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습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해주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개폐감지부; 및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 습도센서부, 온도센서부, 개폐감지부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
창틀프레임 내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문;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개폐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습도를 측정해주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습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해주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개폐감지부; 및
창문의 오픈시 결로를 효과적으로 빠르게 제거하기 위하여 창호 안쪽의 공기를 창호 바깥쪽으로 불어주는 하나 이상의 블로우; 및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 습도센서부, 온도센서부, 개폐감지부, 블로우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블로우는 창틀프레임의 외부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결로 제거시 뿐만 아니라 환기 시스템 사용에도 창호 안쪽의 공기를 창호 바깥쪽으로 불어주는 역활을 수행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습도센서부, 온도센서부, 개폐감지부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제어부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창호 주변의 습도와 온도를 감지하여 창호에 결로가 발생할 여지가 있거나, 결로가 발생하였을 경우 자동개폐 장치로 구성된 창호가 자동으로 개폐를 수행하여 창호에 발생하는 결로를 효과적으로 빠르게 제거하여, 난방 열효율은 극대화 하면서 실내 창호에 발생하는 결로를 빠르게 제거하여 벌레나 곰팡이가 창호에 서식하는 환경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새로운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개폐부는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창문을 개폐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는 창문이 원할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이러한 슬라이딩 개폐부의 설치는 창문의 상부 또는/및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개폐부는 모터 및 창문을 슬라이딩 개폐시켜주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는 창문의 원할한 개폐를 위하여 고무 재질이나 우레탄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홈이 파져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는 창문과의 이격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롤러에 일정압력을 가하는 압력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는 창문에 가해지는 롤러의 압력을 정상적으로 감시하도록 검출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개폐부는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개폐부는 하나 이상의 모터 및 기어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개폐부는 창문의 개폐여부를 수행할 때, 사람 또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안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센서는 비접촉식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개폐부는 안전센서에서 신호가 감지되면 창문의 개폐여부를 결정짓거나, 작동을 멈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습도센서부는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습도를 측정해주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습도센서부의 설치위치는 정확하고 신속한 결로현상을 감지하기 위하여 창문에 설치되거나, 창문 주위 또는/및 창호 주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습도센서부의 설치위치는 상기 설치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정확하고 신속하게 결로현상을 감지하기 위한 위치로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다수개의 습도센서 또는/및 습도센서부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습도센서는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습도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하고 설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온도센서부는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부의 설치위치는 정확하고 신속한 결로현상을 감지하기 위하여 창문에 설치되거나, 창문 주위 또는/및 창호 주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온도센서부의 설치위치는 상기 설치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정확하고 신속하게 결로현상을 감지하기 위한 위치로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다수개의 온도센서 또는/및 온도센서부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온도센서는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온도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하고 설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개폐감지부는 창호에 설치되어 창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해주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개폐감지부는 창문과 창틀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창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자석식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개폐감지부는 상기 자석식 센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개폐감지를 위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슬라이딩 개폐부, 습도센서부, 온도센서부, 개폐감지부의 제어를 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슬라이딩 개폐부에 포함되는 모터의 정지, 구동, 가속, 등등을 포함한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슬라이딩 개폐부에 포함되는 액추에이터의 정지, 구동, 가속, 등등을 포함한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구성요소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가능한 사용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무선통신부는 제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무선통신부가 제어부와는 별도로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무선통신부는 RF통신,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IoT(사물인터넷),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을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제어를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저장부는 메모리, 마이크로 카드, SD 카드, 이동식 저장매체,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저장부는 제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저장부가 제어부와는 별도로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소프트 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일반 결로 제거 모드 또는/및 선택적인 결로 제거 모드의 시작과 종료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알람으로 알려주는 것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사용자 단말에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의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일반 결로 제거 모드 또는/및 선택적인 결로 제거 모드의 패턴 및 시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패턴 및 시간은 결로를 제거하기 위하여 창문의 문이 열린 정도, 창문이 열린 시간, 결로제거부 작동 여부, 등을 조절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패턴 및 시간은 블로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창문의 문이 열린 정도, 창문이 열린 시간 및 블로우의 가동 강도와 시간 등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결로를 제거하기 위하여 창문의 문이 열린 정도, 창문이 열린 시간, 등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블로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창문의 문이 열린 정도, 창문이 열린 시간 및 블로우의 가동 강도와 시간 등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컴퓨터, 스마트TV, 디지털TV, 디스플레이 가능한 전자장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습도센서부, 온도센서부, 개폐감지부의 제어 상태 및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의 상태 및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결로 제거를 위한 일반 결로 제거 모드 또는/및 선택적인 결로 제거 모드를 제어부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더하여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로를 어느 정도 제거시켰는지에 대한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어부 또는/및 사용자 단말은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표시부는 일반 결로 제거 모드 또는/및 선택적인 결로 제거 모드의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적인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일반 결로 제거 모드 또는/및 선택적인 결로 제거 모드의 패턴 및 시간을 디스플레이 해준다. 또한, 일반 결로 제거 모드 또는/및 선택적인 결로 제거 모드의 옵션을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선택적인 결로 제거 모드의 옵션은 블로우 결로 제거 모드, 결로제거부 작동 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는 어느 정도의 패턴 및 시간으로 일반 결로 제거 모드 또는/및 선택적인 결로 제거 모드를 수행 했는지 디스플레이 해 줄 수 있으며, 더하여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로를 어느 정도 제거시켰는지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해 줄 수 있다. 또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열손실이 어느 정도 발생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WI-FI(와이파이), 블루투스, IoT(사물인터넷), 무선통신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과 연동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스마트폰의 앱으로 작동시키거나, 스마트폰 앱으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 앱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이 일반 결로 제거 모드 또는/및 선택적인 결로 제거 모드로 어느 정도의 결로를 제거시켰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스마트폰 앱 또는/및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해 줌으로서 사용자가 자신에게 알맞는 일반 결로 제거 모드 또는/및 선택적인 결로 제거 모드를 결정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 앱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결로를 어느 정도 제거시켰는지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해 줄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가 결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 앱은 스마트폰 앱의 알고리즘을 통해 활용되며,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공간에서 어느 정도의 수행 모드로 어느 정도의 결로를 제거하였는지 확인하며 사용자 자신에 맞는 최적화된 일반 결로 제거 모드 또는/및 선택적인 결로 제거 모드를 결정하여 줄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스마트폰은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전자장치라는 측면에서 스마트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은 일반적인 창호 제어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 창틀프레임 내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문;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개폐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습도를 측정해주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습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해주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개폐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 창틀프레임 내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문;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개폐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습도를 측정해주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습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해주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개폐감지부; 및 창문의 오픈시 결로를 효과적으로 빠르게 제거하기 위하여 창호 안쪽의 공기를 창호 바깥쪽으로 불어주는 하나 이상의 블로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습도센서부, 온도센서부, 개폐감지부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시스템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 창틀프레임 내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문;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결로제거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습도를 측정해주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습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센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결로제거부는 결로가 많이 발생하는 창문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결로제거부는 창문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결로가 발생할 여지가 있거나, 결로가 발생하였을 경우 내부와 외부의 공기흐름을 만들어 주는 기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결로제거부는 제어부가 제어를 담당하게 되며, 결로제거부의 개폐여부를 제어부가 담당하게 된다. 개폐방식은 일반적인 덮개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을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결로제거부는 내부와 외부의 공기흐름을 강제적으로 만들어 주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작은 공기흐름을 만들어주는 프로펠러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 창틀프레임 내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문;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결로제거부;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개폐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습도를 측정해주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습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해주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개폐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 창틀프레임 내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문;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결로제거부;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개폐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습도를 측정해주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습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해주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개폐감지부; 및 창문의 오픈시 결로를 효과적으로 빠르게 제거하기 위하여 창호 안쪽의 공기를 창호 바깥쪽으로 불어주는 하나 이상의 블로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습도센서부 및 온도센서부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습도센서부에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습도센서부에서 정보를 전송받은 제어부가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슬라이딩 개폐부의 작동을 제어부가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습도센서부에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습도센서부에서 정보를 전송받은 제어부가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결로제거부의 작동을 제어부가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습도센서부 및 온도센서부에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습도센서부 및 온도센서부에서 정보를 전송받은 제어부가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슬라이딩 개폐부의 작동을 제어부가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습도센서부 및 온도센서부에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습도센서부 및 온도센서부에서 정보를 전송받은 제어부가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결로제거부의 작동을 제어부가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레벨에서 설명되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본 발명의 실시에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또한, 적당하게 도식적으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창호
200 : 창틀프레임
210 : 창문
300 : 슬라이딩 개폐부
310 : 모터부
320 : 기어부
330 : 롤러부
400 : 습도센서부
450 : 온도센서부
500 : 개폐감지부
550 : 블로우
600 : 제어부
700 : 결로제거부
800 : 무선통신부
1000 : 사용자 단말

Claims (16)

  1. 창틀프레임;
    창틀프레임 내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문;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개폐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습도를 측정해주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습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해주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개폐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2. 창틀프레임;
    창틀프레임 내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문;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개폐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습도를 측정해주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습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해주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개폐감지부; 및
    창문의 오픈시 결로를 효과적으로 빠르게 제거하기 위하여 창호 안쪽의 공기를 창호 바깥쪽으로 불어주는 하나 이상의 블로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 항 또는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센서부, 온도센서부, 개폐감지부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 항 또는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1 항 내지 청구항 4 항 중 어느 한 항의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창틀프레임;
    창틀프레임 내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문;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결로제거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습도를 측정해주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습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센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7. 창틀프레임;
    창틀프레임 내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문;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결로제거부;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개폐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습도를 측정해주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습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해주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개폐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8. 창틀프레임;
    창틀프레임 내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문;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결로제거부; 및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문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개폐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습도를 측정해주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습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 또는/및 창문 주변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센서부; 및
    상기 창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해주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개폐감지부; 및
    창문의 오픈시 결로를 효과적으로 빠르게 제거하기 위하여 창호 안쪽의 공기를 창호 바깥쪽으로 불어주는 하나 이상의 블로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9. 청구항 6 항 내지 청구항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10. 청구항 6 항 내지 청구항 9 항 중 어느 한 항의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습도센서부에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습도센서부에서 정보를 전송받은 제어부가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슬라이딩 개폐부의 작동을 제어부가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방법
  12. 습도센서부에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습도센서부에서 정보를 전송받은 제어부가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결로제거부의 작동을 제어부가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방법
  13. 습도센서부 및 온도센서부에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습도센서부 및 온도센서부에서 정보를 전송받은 제어부가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슬라이딩 개폐부의 작동을 제어부가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방법
  14. 습도센서부 및 온도센서부에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습도센서부 및 온도센서부에서 정보를 전송받은 제어부가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결로제거부의 작동을 제어부가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방법
  15. 청구항 11 항 내지 청구항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청구항 11 항 내지 청구항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80162678A 2018-12-16 2018-12-16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및 창호 제어 방법 KR20200073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678A KR20200073941A (ko) 2018-12-16 2018-12-16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및 창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678A KR20200073941A (ko) 2018-12-16 2018-12-16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및 창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941A true KR20200073941A (ko) 2020-06-24

Family

ID=7140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678A KR20200073941A (ko) 2018-12-16 2018-12-16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및 창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39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5892A1 (en) * 2021-05-07 2022-11-10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dew condensation
KR102635514B1 (ko) * 2022-12-07 2024-02-08 장덕진 결로방지시스템 및 결로방지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5892A1 (en) * 2021-05-07 2022-11-10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dew condensation
KR102635514B1 (ko) * 2022-12-07 2024-02-08 장덕진 결로방지시스템 및 결로방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622B1 (ko) 창문 개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1847687B1 (ko) 스마트 창호용 방범 시스템
KR101997724B1 (ko)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JP6241708B2 (ja) 空調管理装置、空調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73941A (ko)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및 창호 제어 방법
JP2018531330A6 (ja) 住居環境改善のための機能が備えられた建具
JP2018531330A (ja) 住居環境改善のための機能が備えられた建具
KR20080026606A (ko) 리프팅 설비물을 위한 샤프트를 포함하는 빌딩 내의 열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88702A (ko) 창문 자동개폐 장치 및 그 방법
JP6592179B2 (ja) 障子自動開閉装置及びそれを含むスマート建具
KR20080100917A (ko) 지능형 창호 시스템
JP2009144435A (ja) 空調機連動開閉窓システム
CN104214894A (zh) 空调器的控制方法
KR20170071363A (ko) 접근 형태에 따라 시큐리티 유지모드와 시큐리티 해제모드 간에 자동 전환하는 댁내 방범 시스템
JP6787222B2 (ja) 情報処理装置
JP5629192B2 (ja) 室内環境制御システム
JP2018162925A (ja) 空調制御装置、空気調和機、空調システム、空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94591A (ko) 주변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되는 창호시스템
US9990820B2 (en) Museum showcase, having detection sensors, adjustment actuators, alarms and a processing unit connected together
KR20240047346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15159A (ko)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및 창호 제어 방법
DE202006009694U1 (de) Steueranordnung für mehrere Tore/Fenster/Rollläden
US10149404B2 (en)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ystem and opening and closing control apparatus
KR101468945B1 (ko)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80045963A (ko) 이동식 환풍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