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921B1 -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921B1
KR101975921B1 KR1020180154207A KR20180154207A KR101975921B1 KR 101975921 B1 KR101975921 B1 KR 101975921B1 KR 1020180154207 A KR1020180154207 A KR 1020180154207A KR 20180154207 A KR20180154207 A KR 20180154207A KR 101975921 B1 KR101975921 B1 KR 101975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window
sensor
time
fin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혜경
이종호
제민희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54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은 프레임을 구비하는 창틀과, 상기 창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짝을 구비하는 창호; 상기 창틀에 내장되어 상기 창짝이 상기 창틀에서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창호 개폐장치; 상기 창호에 설치되어 실외의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센서; 상기 창호에 설치되어 실외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 및 상기 소음센서 및 미세먼지센서에서 획득된 정보를 수신한 후 특정조건에서 상기 창호 개폐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window system using noise sensor and air quility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하여 창호를 자동 개폐하도록 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 밀집화로 인해 많은 도시 거주자가 공사장 및 도로교통 등 각종 소음에 노출되고 있으며, 이는 청력저하뿐만 아니라 생리적, 수행행동능력, 수면 등에 영향을 미치며 삶의 질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주요 대도시 주거지역의 소음수준은 낮시간대에 대전, 광주를 제외한 모든 도시에서 환경정책기본법의 도로변 소음기준(65dB)을 초과하였으며, 밤시간대에는 대전을 제외한 모든 도시에서 소음기준(55dB)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환기는 필수적이며, 환기 목적으로 창호를 열어놓을 경우, 기준치 이상의 소음이 실내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최근 미세먼지, 황사 등으로 인해 외부 오염물질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환기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창호를 개방하지 않고 창틀의 장치를 통해 환기가 가능한 '자동환기창'이 개발되었으나, 높은 가격과 시공성으로 인해 보급이 활발하지 않으며, 가동율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자동환기창'은 주로 재건축 및 신축 건설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 건축물에 적용이 용이하며, 외부소음 및 외부 오염물질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 창문 개폐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4536호(2017. 06. 29.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거용 건물, 사무실, 병원, 학교 등과 같이 정온하고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이 요구되는 공간에 사용될 수 있는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 창호에 부가적인 설치를 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은 프레임을 구비하는 창틀과, 상기 창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짝을 구비하는 창호; 상기 창틀에 내장되어 상기 창짝이 상기 창틀에서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창호 개폐장치; 상기 창호에 설치되어 실외의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센서; 상기 창호에 설치되어 실외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 및 상기 소음센서 및 미세먼지센서에서 획득된 정보를 수신한 후 특정조건에서 상기 창호 개폐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센서에서 측정된 실시간 소음 데이터와, 시간에 따른 소음을 예측하는 소음예측 데이터와, 상기 미세먼지센서에서 측정된 실시간 미세먼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환기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환기를 시행하는 환기시간 및 환기를 시행하는 환기횟수를 설정하는 제 1단계; 상기 환기시간에 소음예측 데이터에서 소음레벨이 일정수준 이하인 시간을 추출하는 제 2단계; 및 추출된 시간에 창호를 개방하여 환기시키는 제 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환기시간에 상기 소음예측 데이터에서 소음레벨이 일정수준 이하인 시간이 없는 경우, 상기 소음예측 데이터에서 상대적으로 소음레벨이 낮은 시간대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환기시간에 소음센서에서 실시간으로 소음을 측정하고, 상기 소음센서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실시간 소음 데이터가 소정 이상의 소음레벨로 판단된 경우, 제 3단계를 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환기시간에 미세먼지센서에서 실시간으로 미세먼지를 측정하고, 상기 미세먼지센서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실시간 미세먼지 데이터가 소정 이상의 미세먼지농도로 판단된 경우, 제 3단계를 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도로변, 항공기 인근, 공사장, 공장 등 소음 및 공기질 오염이 심한 장소 인근에 위치한 건축물에 적용되어 소음 및 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거용 건물, 사무실, 병원, 학교 등 정온하고 쾌적한 실내환경 유지가 필요한 건축물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기존 건축물에 본 창호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적용하면 소음 및 공기질을 고려한 환기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한 개의 소음 및 공기질 측정센서에 다수의 창호 개폐장치를 설치하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신축 및 재개발 건축물에 설치하여 스마트홈/스마트빌딩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창호에 부가적인 장치 설치만으로 소음 및 오염물질 유입을 최소화하여 능동적으로 환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의 개요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에 사용되는 각 구성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에 사용되는 창호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창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알고리즘.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의 개요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에 사용되는 각 구성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에 사용되는 창호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은 창호(100), 창호(100)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창호 개폐장치(200), 창호(100) 또는 실내에 설치되어 소음 및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들(310,320,330), 센서들(310,320,33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창호(100)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모니터링장치(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은 실외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공기질을 측정하여 실외의 소음레벨이 소정 이하로 나타나고 실외의 미세먼지농도가 소정 이하로 나타날 때에만 자동으로 창호가 개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실내를 환기시키기 위해 창호를 개방시킬 때 소음이나 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주거용 건물, 사무실, 병원, 학교 등과 같이 정온하고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이 요구되는 공간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음센서(310), 미세먼지센서(320), 환기센서(330)를 구비하고, 이와 같이 센서들(310,320,330)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모니터링장치(400)의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된다. 모니터링장치(400)의 제어부(430)는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된 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판단한다. 이를 바탕으로 창호(100)를 개방시킬 것인지 폐쇄시킬 것인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표시부(440)에 표시함과 동시에 창호 개폐장치(200)를 제어하여 창호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킨다.
이 중에서 소음센서(310) 및 미세먼지센서(320)는 창호(100)의 실외측에 설치되어 실외측의 소음레벨과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게 되고, 환기센서(330)는 실내측에 설치되어 일산화탄소, 알코올, 담배연기, 조리시의 연기나 가스 등, 인간에 유해하거나 불쾌한 가스가 일정량 이상이 검출된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모니터링장치(400)는 실내에 설치되어 입력부(410)를 통해 사용자가 창호(100)의 자동개폐조건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제어부(430)에서 창호 개폐장치(200)를 제어하는 동작을 표시부(440)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창호(100), 창호 개폐장치(200), 창호(100)에 설치되는 센서들(310,3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창호(100)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창틀(110)과, 창틀(11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짝(120)을 구비한다.
창틀(110)은 건축물(미도시)의 개구부에 구비되고, 창짝(120)은 일반적으로 한 쌍으로 구비되며 창틀(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창틀(110) 내부의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창호(100)에는 창틀(110)에 내장되어 창짝(120)이 창틀(110)에서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창호 개폐장치(200)가 구비된다. 상기 창호 개폐장치(200)는 창틀(110)에 내장되어 창짝(120)이 창틀(110)에서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창호 개폐장치(200)가 창틀(110)의 하부에 내장된 것을 보였으나, 창호 개폐장치(200)는 창틀(110)의 상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개시되지 않았으나 창호 개폐장치는 창짝(120) 내부에 설치되어 창짝(120)이 창틀(110)에서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창호 개폐장치(200)를 통해 창호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기 위하여, 창호 개폐장치(200)는 모터(210), 제1풀리(220), 제2풀리(230), 회전벨트(240), 결합장치(250) 및 개폐감지센서(2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모터(210)는 창틀(110)의 일측에 내장되며, 모터(210)와 결합하는 상기의 제1풀리(22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제1풀리(220)가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풀리(220)에는 제1풀리(220)가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풀리(230)는 모터(210)와 수평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창틀(110)의 타측에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풀리(230)에는 제1풀리(220)와 마찬가지로 제2풀리(230)가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회전벨트(240)는 제1풀리(220)와 제2풀리(230)에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다. 회전벨트(240)는 일정한 두께를 갖으며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벨트, 밴드 또는 체인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결합장치(250)는 실내측으로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며, 회전벨트(240) 및 창짝(120)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된 회전벨트(240)의 회전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에 결합 된 창짝(100)이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창틀(110)에는 결합장치(250)가 회전벨트(24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시 결합장치(250)를 가이드함으로써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 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창틀(110)의 일측에는 창짝(120)의 개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개폐감지센서(260)가 구비된다. 개폐감지센서(260)는 적외선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창호(100)의 창틀(110)에는 실외의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센서(310) 및 실외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320)가 구비된다. 또한, 소음센서(310)는 실외에서 발생되는 소음레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게 되고, 미세먼지센서(320)는 실외의 미세먼지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이와 같이 소음센서(310)와 미세먼지센서(320)가 창호(1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실외측의 소음레벨 및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실외의 소음레벨이 높거나 미세먼지농도가 높을 때에는 창호(100)가 개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실내에는 일산화탄소, 알코올, 담배연기, 조리시의 연기나 가스 등, 인간에 유해하거나 불쾌한 가스가 일정량 이상이 검출된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환기센서(330)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창호(1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생선을 굽는 등 조리를 할 경우, 실내에는 일산화탄소 등이 발생하게 되어 건축물 실내공간의 공기질이 나빠지게 된다. 이때 환기센서(330)는 실내 공기질이 나빠진 경우 감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오히려 창호(100)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실내공간의 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창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내공기를 환기시킬 필요가 있거나, 환기센서(330)에 의해 실내에는 일산화탄소, 알코올, 담배연기, 조리시의 연기나 가스 등, 인간에 유해하거나 불쾌한 가스가 일정량 이상이 검출된 경우 창짝(120)이 창틀(110)에서 슬라이딩하면서 개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내에는 상기 모니터링장치(400)가 구비될 수 있다. 모니터링장치(400)는 사용자가 설정조건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410)와,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420)와,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조건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비교하여 창호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30)와, 제어부(430)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을 표출시켜 사용자에게 표시부(440)를 구비한다.
입력부(410)는 사용자가 환기시간 및 횟수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터치스크린 등의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420)에는 소음센서(310)에서 실시간으로 실외측의 소음레벨을 측정한 소음레벨 데이터, 미세먼지센서(320)에서 실시간으로 실외측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한 미세먼지농도 데이터, 환기센서(330)에서 실시간으로 실내측의 인간에 유해하거나 불쾌한 가스를 측정한 실내공기질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420)에는 소음센서(310)에서 저장된 소음레벨 데이터를 시간별로 분류하여 시간에 따른 소음레벨을 예상할 수 있는 소음예측 데이터도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430)는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된 소음레벨 데이터, 미세먼지농도 데이터, 실내공기질 데이터, 소음예측 데이터에 근거하여 특정 조건에서는 창호(100)를 개방하여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게 된다.
한편, 모니터링장치(400)의 표시부(440)에서는 사용자가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한 내용 및 제어부(430)에서 창호 개폐장치(200)를 제어하는 동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알고리즘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환기를 시행하는 환기시간 및 환기를 시행하는 환기횟수를 설정하는 제 1단계(S100); 상기 환기시간에 소음예측 데이터에서 소음레벨이 일정수준 이하인 시간을 추출하는 제 2단계(S200); 추출된 시간에 창호(100)를 개방하여 환기시키는 제 3단계(S300)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단계(S100)에서 사용자는 모니터링시스템(400)의 입력부(410)를 통해 환기를 시행하는 환기시간 및 환기를 시행하는 환기횟수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2시간에 20분간 1회씩 환기를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 2단계(200)에서 제어부(430)는 이와 같은 입력을 받게 되면,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된 소음예측 데이터를 통해 2시간 동안 소음레벨이 45dB이하인 구간을 추출하여 20분간 환기를 시행하게 된다. 만약 2시간 동안 소음레벨이 45dB이하인 구간이 없을 경우, 상대적으로 소음레벨이 낮은 시간대를 추출하여 20분간 환기를 시행하게 된다.
한편, 소음센서(310)가 실외의 소음을 실시간으로 측정한 소음레벨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데, 제어부(430)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소음레벨 데이터가 소정 이상의 소음레벨로 판단되는 경우, 추출된 시간에 창호(100)를 개방하여 환기시키는 제 3단계(S300)를 행하지 않게 된다.
한편, 미세먼지센서(320)가 실외의 미세먼지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미세먼지농도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데, 제어부(430)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미세먼지농도 데이터가 소정 이상의 미세먼지농도로 판단되는 경우, 추출된 시간에 창호(100)를 개방하여 환기시키는 제 3단계(S300)를 행하지 않게 된다.
한편, 제어부(430)는 환기센서(33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한 실내공기질 데이터를 판단하여, 실내공기질 데이터가 미세먼지농도 데이터보다 훨씬 좋지 않을 경우, 창호(100)를 개방하여 환기시키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제어부(430)는 소음예측 데이터, 소음레벨 데이터, 미세먼지농도 데이터, 실내공기질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제어방법을 통해 창호(100)의 개폐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설명하였으며, 이에 의하면 실외 소음이나 실외 미세먼지가 심한 경우에는 창호(100)의 개폐를 방지할 수 있어, 쾌적한 실내환경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하지만,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창호 200: 창호 개폐장치
310: 소음센서 320: 미세먼지센서
400: 모니터링장치 410: 입력부
420: 데이터베이스 430: 제어부
440: 표시부

Claims (7)

  1. 프레임을 구비하는 창틀과, 상기 창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짝을 구비하는 창호;
    상기 창틀에 내장되어 상기 창짝이 상기 창틀에서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창호 개폐장치;
    상기 창호에 설치되어 실외의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센서;
    상기 창호에 설치되어 실외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
    상기 소음센서 및 미세먼지센서에서 획득된 정보를 수신한 후 특정조건에서 상기 창호 개폐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소음센서에서 측정된 실시간 소음 데이터와, 시간에 따른 소음을 예측하는 소음예측 데이터와, 상기 미세먼지센서에서 측정된 실시간 미세먼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환기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4. 환기를 시행하는 환기시간 및 환기를 시행하는 환기횟수를 설정하는 제 1단계;
    상기 환기시간에 소음예측 데이터에서 소음레벨이 일정수준 이하인 시간을 추출하는 제 2단계; 및
    추출된 시간에 창호를 개방하여 환기시키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환기시간에 상기 소음예측 데이터에서 소음레벨이 일정수준 이하인 시간이 없는 경우, 상기 소음예측 데이터에서 상대적으로 소음레벨이 낮은 시간대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환기시간에 소음센서에서 실시간으로 소음을 측정하고, 상기 소음센서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실시간 소음 데이터가 소정 이상의 소음레벨로 판단된 경우, 제 3단계를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환기시간에 미세먼지센서에서 실시간으로 미세먼지를 측정하고, 상기 미세먼지센서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실시간 미세먼지 데이터가 소정 이상의 미세먼지농도로 판단된 경우, 제 3단계를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80154207A 2018-12-04 2018-12-04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75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207A KR101975921B1 (ko) 2018-12-04 2018-12-04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207A KR101975921B1 (ko) 2018-12-04 2018-12-04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921B1 true KR101975921B1 (ko) 2019-05-07

Family

ID=6665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207A KR101975921B1 (ko) 2018-12-04 2018-12-04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92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021B1 (ko) * 2019-08-06 2020-04-14 정찬면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4942040A (zh) * 2022-03-21 2022-08-26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用于医院内的噪声采集及管理系统
KR102440387B1 (ko) * 2022-03-11 2022-09-05 (주)킴스프로젝트 변색 기능을 갖는 스마트 윈도우 장치
CN115234149A (zh) * 2022-08-09 2022-10-25 江苏城乡建设职业学院 智能门窗
CN116895283A (zh) * 2023-09-01 2023-10-17 青岛朗兹环保科技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的噪声预测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668Y1 (ko) * 2003-06-11 2003-08-25 주식회사 윈도우컴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화 개폐장치
KR20080100917A (ko) * 2007-05-15 2008-11-21 팬아이에멕스 주식회사 지능형 창호 시스템
KR101723301B1 (ko) * 2015-08-10 2017-04-04 이영욱 소음 및 날씨에 따른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1754536B1 (ko) 2016-07-21 2017-07-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통한 냉동기의 최적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70088702A (ko) * 2016-01-25 2017-08-02 주식회사 케이티 창문 자동개폐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668Y1 (ko) * 2003-06-11 2003-08-25 주식회사 윈도우컴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화 개폐장치
KR20080100917A (ko) * 2007-05-15 2008-11-21 팬아이에멕스 주식회사 지능형 창호 시스템
KR101723301B1 (ko) * 2015-08-10 2017-04-04 이영욱 소음 및 날씨에 따른 창문 자동개폐장치
KR20170088702A (ko) * 2016-01-25 2017-08-02 주식회사 케이티 창문 자동개폐 장치 및 그 방법
KR101754536B1 (ko) 2016-07-21 2017-07-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통한 냉동기의 최적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021B1 (ko) * 2019-08-06 2020-04-14 정찬면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440387B1 (ko) * 2022-03-11 2022-09-05 (주)킴스프로젝트 변색 기능을 갖는 스마트 윈도우 장치
CN114942040A (zh) * 2022-03-21 2022-08-26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用于医院内的噪声采集及管理系统
CN115234149A (zh) * 2022-08-09 2022-10-25 江苏城乡建设职业学院 智能门窗
CN115234149B (zh) * 2022-08-09 2023-09-22 江苏城乡建设职业学院 智能门窗
CN116895283A (zh) * 2023-09-01 2023-10-17 青岛朗兹环保科技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的噪声预测方法
CN116895283B (zh) * 2023-09-01 2023-12-01 青岛朗兹环保科技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的噪声预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921B1 (ko)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lmeida et al. Natural ventilation and indoor air quality in educational buildings: Experimental assessment and improvement strategies
KR101723301B1 (ko) 소음 및 날씨에 따른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1724263B1 (ko) 자동 환기시스템
KR101865143B1 (ko)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
US11066865B2 (en) Automated sliding window mechanism with air pressure sensor
KR20160072870A (ko) 먼지센서를 적용한 스마트 윈도우 장치 및 제어방법
KR20180138100A (ko) 실내 환경 모니터링 센서 장치
JP2014081163A (ja) 屋内環境監視システム
CN102140879B (zh) 家庭宜居空气质量调整控制装置及方法
KR20160137767A (ko)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
CN107045366A (zh) 楼宇设备控制方法、装置及机器人
Kim Field-test of the new ASHRAE/CIBSE/USGBC performance measurement protocols: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protocols
KR100722008B1 (ko) 건축물의 외피 시스템
KR20200094591A (ko) 주변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되는 창호시스템
JP6763680B2 (ja) 通風システム
CN105257143A (zh) 控制窗户开闭的方法及装置
KR102416716B1 (ko)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
KR102031650B1 (ko) 전열교환기 무선 연동으로 오염표시 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KR102007091B1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5963A (ko) 이동식 환풍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orsavi et al. Factors influencing the state of blinds and lights in primary schools: Behavioural models and opportunities to improve children's visual environment
CN115540253A (zh) 空气质量管理装置及方法
KR20200090396A (ko) 창문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00076174A (ko) 공기질 개선을 위한 IoT와 연동된 공기질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