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716B1 -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 - Google Patents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716B1
KR102416716B1 KR1020210150435A KR20210150435A KR102416716B1 KR 102416716 B1 KR102416716 B1 KR 102416716B1 KR 1020210150435 A KR1020210150435 A KR 1020210150435A KR 20210150435 A KR20210150435 A KR 20210150435A KR 102416716 B1 KR102416716 B1 KR 102416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uilding
indoor environment
power consump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주)미래비엠
(주)클라우드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비엠, (주)클라우드앤 filed Critical (주)미래비엠
Priority to KR1020210150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2203/20Simulating, e g planning, reliability check, modelling or computer assisted design [C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는, 건물 내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전력사용량을 감지하는 전력감지부와, 상기 건물 내 온도, 습도, 미세먼지농도를 포함하는 실내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실내환경감지부와, 상기 전력사용량 및 상기 실내환경정보를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구역별 쾌적존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건물 내 설치된 전력설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SERVER FOR MANAGING ENERGY OF BUILDING}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의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면서 관리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최근 실내 공기 질(IA: Indoor Air Quality)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점막의 자극 또는 건조, 버니 아이(burning eyes), 피로로 인한 두통과 같은, 특정되지 않은 증상에 대해 불평하는 다양한 실내 환경의 거주자의 보고에 의해 초기에 촉발되었다. 어떤 경우에 이들 증상들은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실내 공기의 특정 오염 물질의 높은 농도와 관련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나쁜 실내 공기 질에 대해 불평할 때마다 기후조건 및 실내의 공기의 오염 물질을 측정하고 결정하는데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1735호(2016년 2월 11일 공고)는 실내공기질의 예측을 통한 오염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유형의 오염원에 따라 오염물질을 측정하는 센서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오염물질의 농도를 예측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대형 건물에 설치된 공기정화장치의 공기정화 능력치를 현재 실내공기질의 오염 상태에 적용할 경우에 예상되는 공기정화 예측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능동적으로 대형건물의 실내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현재 많은 국가에서 대기환경오염만큼 실내 공기오염에도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실내의 공기 질 측정 및 각 플랫폼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기술과 데이터 분석 기술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사물 인터넷 기반 실내 공기 질 측정 및 분석 플랫폼 또한 다양하게 개발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플랫폼은 수집된 공기 질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센서의 정확도가 조금 부족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현재 공기 질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여 환기 및 대처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 나아가, 실시간으로 다양한 실내 공기 오염 물질을 감시하고, 공기부하량을 조절하여 냉난방 공조기에 따른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물 내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력설비에 대한 전력사용량과 실내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쾌적존 내에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기간 별 전력사용량에 따라 전력사용스케줄을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에너지 초과 사용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건물 내 통신이 오류가 발생하여 전력사용량이나 실내환경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이를 대신하여 이동형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통신을 중계할 수 있는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는, 건물 내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전력사용량을 감지하는 전력감지부와, 상기 건물 내 온도, 습도, 미세먼지농도를 포함하는 실내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실내환경감지부와, 상기 전력사용량 및 상기 실내환경정보를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구역별 쾌적존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건물 내 설치된 전력설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물 내의 재실자의 이동패턴을 감지하는 재실자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패턴를 통해 시간별 상기 재실자의 밀집도를 분석하여 상기 쾌적존을 변경하고, 상기 밀집도의 변화율이 기 설정치를 초과하면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감지부는 이동형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통신을 중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네트워크 내 통신오류가 있는 경우, 상기 이동형 게이트웨이를 통신오류구역으로 이동시켜 상기 전력사용량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전력사용량에 따른 에너지효율을 분석하여, 상기 전력설비의 교체시 상기 전력사용량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물에 대한 상기 전력사용량을 기간별로 누적하여 탄소마일리지를 계산하고, 상기 탄소마일리지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초과전력량에 따라 잔여기간에 대한 전력사용스케줄을 가변하여 상기 기준치 미만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물 내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력설비에 대한 전력사용량과 실내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쾌적존 내에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간 별 전력사용량에 따라 전력사용스케줄을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에너지 초과 사용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건물 내 통신이 오류가 발생하여 전력사용량이나 실내환경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이를 대신하여 이동형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도 1은 건물 에너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 중 전력감지부에서 이동형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 중 제어부에서 연도별 전력량을 비교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 중 제어부에서 전력설비의 교체시점에 따른 절감전력을 계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건물 에너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물 에너지 시스템은 센서네트워크(10), 전력설비(20) 및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100)를 포함한다.
센서네트워크(10)는 건물 내 각종 센서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전력량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CO2센서, 미세먼지농도센서, 조도센서, 진동센서, 소리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센서네트워크(10)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여 각종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센서네트워크(10)는 메쉬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센서네트워크(10)는 내부 LoRa 통신망이나 외부 인터넷망과도 연결될 수 있다. 센서네트워크(10)는 복수의 게이트웨이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면 자동으로 라우팅 경로를 변경하여 통신을 할 수 있다.
전력설비(20)는 건물 내 공조, 전력, 수도, 가스, 조명 등을 공급하면서 전력을 사용하는 모든 설비를 포함한다. 전력설비(20)는 센서네트워크(10)와 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전력설비(20)는 냉난방 공조를 통해 실내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하고, 조명을 조절하는 등 실내환경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전력설비(20)는 건물 내 복수의 구역에 설치되며,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100)에 의해 제어된다. 전력설비(20)는 에너지효율 등급에 따라 관리될 수 있으며, 전력사용량을 조절하도록 제어된다. 전력설비(20)의 고장시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100)로 고장신호가 알람될 수 있다.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100)는 건물 내 센서네트워크(10)와 연결되어 전력사용량 또는 실내환경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한다.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100)는 건물 내 설치된 다양한 전력설비(20)를 총괄 관리하며, 고장시 이를 진단하고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100)는 전력사용량을 모니터링하여 실내환경정보가 쾌적존 범위 내에서 제어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100)는 전력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준사용량 이내에서 제어되도록 전력설비(20)의 구동을 제어한다.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100)는 관리자 단말로 제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100)에 대해 구첵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100)는 전력감지부(110), 실내환경감지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전력감지부(110)는 건물 내 센서네트워크(10)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전력사용량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전력감지부(110)는 메쉬네트워크로 연결된 센서네트워크(10)를 통해 분전반이나, 전력설비(20) 등의 전력사용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전력감지부(110)는 전력사용량 외에 수도나 가스와 같은 에너지에 대한 사용량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력감지부(110)는 실시간 전력사용량을 누적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력감지부(110)는 건물 내에 전력설비(20)가 변동되는 경우 이를 업데이트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전력감지부(110)는 시간별, 구역별에 따라 분할된 전력사용량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력감지부(110)는 낮과 밤, 사계절 등 다양한 시간스케줄에 따라 전력사용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전력감지부(110)는 전력설비(20)의 전력사용량을 감지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전력사용량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센서네트워크(10)와의 잦은 통신으로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전력감지부(110)는 전력설비(20)가 가동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대기전력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대기전력은 전력사용량을 절감하는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력감지부(110)는 이동형 게이트웨이(11)를 이용하여 통신을 중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형 게이트웨이(11)는 센서네트워크(10)에 중계기 역할을 한다. 전력감지부(110)는 센서네트워크(10) 중 중계기에 문제가 발생하여 통신오류가 있는 경우 이동형 게이트웨이(11)를 통해 통신을 중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동형 게이트웨이(11)는 바퀴와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바닥에 형성된 식별라인을 식별하면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력감지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게이트웨이(11)를 이용하여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형 게이트웨이(11)에는 가스감지기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형 게이트웨이(11)의 가스농도는 제어부(130)로 출력된다. 제어부(130)는 이동형 게이트웨이(11)의 가스농도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면 해당 구역에 대한 전력설비의 구동을 제어하여 실내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는 이동하는 이동형 게이트웨이(11)를 통해 신속히 구역별 가스농도를 확인하여 실제 사용자가 쾌적한 실내환경을 느끼도록 하기 위함이다.
실내환경감지부(120)는 건물 내 온도, 습도, 미세먼지농도를 포함하는 실내환경정보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실내환경감지부(120)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미세먼지농도센서로부터 실내환경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천장이나 벽면에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내환경감지부(120)는 온도, 습도, 미세먼지농도 외에 조도, 소음, 진동 등의 추가적인 정보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내환경감지부(120)는 기 설정된 시간구간에서만 실내환경정보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건물의 사용시간이 정해진 경우 사용시간 내에서만 실내환경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력사용량 및 실내환경정보를 빅데이터로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시간별, 일자별, 월별, 연도별 등 다양한 시간스케줄에 따른 전력사용량, 실내환경정보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동일한 건물 외에 기 설정된 유사도 이내의 건물의 전력사용량 및 실내환경정보를 서로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전력사용량 및 실내환경정보에 대한 기준치를 설정하고, 기준치와의 차이를 누적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전력사용량 및 실내환경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30)는 구역별 쾌적존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건물 내 설치된 전력설비(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전력설비(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구역별로 쾌적존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쾌적존은 온도와 습도가 최적의 조건에 해당하는 영역을 의미하며, 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지정된 구역이 쾌적존 범위 내에 조건을 만족하도록 하되, 쾌적존 범위 내에서는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온도나 습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에너지를 절감하면서 실내 환경이 쾌적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30)는 건물에 대한 전력사용량을 기간별로 누적하여 탄소마일리지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탄소마일리지는 해당 건물에 할당된 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탄소배출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에너지 사용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탄소마일리지가 줄어들어 추가적인 전력 사용이 제한되거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탄소마일리지가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전력설비(2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130)는 실시간으로 계산된 탄소마일리지를 관리자 단말로 알람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탄소마일리지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전력량에 따라 잔여기간에 대한 전력사용스케줄을 가변할 수 있다. 이는 설정된 기간 내에 탄소마일리지가 부족한 경우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전력사용스케줄을 가변시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제어부(130)는 설정된 기간 내의 탄소마일리지를 기준치 미만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시기별 전력사용량의 추세를 이용하여 탄소마일리지 잔여량이 부족한 경우 에너지절감모드로 전력사용스케줄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간 별 전력사용량에 따라 전력사용스케줄을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에너지 초과 사용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복수의 전력설비(20)에 대한 전력사용량에 따른 에너지효율을 분석하여, 전력설비(20)의 교체시 전력사용량을 시뮬레이션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전력설비(20)별 대기전력, 사용전력을 포함하는 전력사용량을 고려하여 에너지효율을 분석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설비(20)에 대한 대체 전력설비(20)에 대한 에너지효율과 비교하여 이를 교체시 발생하는 전력사용량을 시뮬레이션하게 된다. 이는 관리자가 전력설비(20)의 교체를 판단하는 근거자료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30)는 전력설비(20)의 교체시 구입비용과 전력설비(20)의 에너지효율을 반영하여 최적의 교체시기를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센서네트워크(10) 내 통신오류가 있는 경우, 이동형 게이트웨이(11)를 통신오류구역으로 이동시켜 전력사용량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건물 내 통신이 오류가 발생하여 전력사용량이나 실내환경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이를 대신하여 통신을 중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30)는 이동형 게이트웨이(11)가 통신을 중계하는 경우 관리자로 경고신호를 출력하여 이동형 게이트웨이(11)가 위치한 구역에 통신오류를 해결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100)는 재실자감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재실자감지부(140)는 건물 내의 재실자의 이동패턴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재실자감지부(140)는 카메라, CO2센서, 적외선센서, 소리센서, 진동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재실자의 이동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실자감지부(140)는 카메랴를 이용하여 사람들의 얼굴을 식별하여 이동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재실자감지부(140)는 구역별로 설치된 CO2센서를 이용하여 재실자의 이동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재실자감지부(140)는 적외선센서를 통해 근접하는 사람의 숫자를 카운팅하여 재실자의 이동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재실자감지부(140)는 소리센서나 진동센서를 통해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의 크기에 따라 재실자의 이동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재실자감지부(140)는 구역별 재실자의 밀집도를 계산하고, 이동방향을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특정구역에 재실자가 밀집되는 경우, 해당 재실자들의 이동방향을 예측함에 따라 전력설비(20)의 구동을 다르게 제어하기 위함이다. 재실자감지부(140)는 이동패턴에 따라 밀집된 재실자의 이동방향을 예측하고, 이동방향 상의 전력설비(20)의 구동을 미리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재실자의 이동패턴을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전력설비(20)를 구동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이동패턴의 시간별 재실자의 밀집도를 분석하여 쾌적존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력사용량이나 실내환경정보 뿐만 아니라 재실자의 이동패턴을 반영하여 쾌적존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능동적으로 이동하는 재실자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전력설비(2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대형마트의 경우 타임세일과 같이 특정 시간에 특정 구역에 재실자가 밀집하는 이동패턴이 감지되면 해당 구역에 대한 전력설비(20)를 집중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이동패턴 상의 재실자에 대한 밀집도의 변화율이 기 설정치를 초과하면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관리자 단말로 경고신호를 출력하여 재실자의 밀집도 변화율의 변동을 알림하고 조치를 취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특정구역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밀집도의 변화율이 기 설정치를 초과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는 해당 구역에 대한 문제를 신속히 파악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카메라를 통한 제1 밀집도를 계산하고, 적외선센서를 통한 제2 밀집도를 계산하여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밀집도가 제2 밀집도와 기 설정된 편차 이상으로 차이가 나는 경우 제1 밀집도를 최종밀집도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같은 영역에 대한 서로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재실자 밀집도를 계산하여 최적의 밀집도를 판별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CO2센서에 따른 제3 밀집도를 상한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동형 게이트웨이(11)로부터 가스정보를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재실자가 많더라도 그에 의한 가스농도가 높지 않은 경우에는 밀집도가 높다는 이유로 불필요한 공조기의 구동으로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100)는 블록체인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부(150)는 제어부(130)에서 건물의 전력설비(20)에 대한 제어정보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으로 관리한다. 이는 건물에 대한 제어정보의 보안을 강화하여 조작이 이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과거의 전력설비(20)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현재의 전력설비(20) 제어정보를 생성시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과거 대비 전력설비(20)의 전력사용량이 증가한 경우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정보의 오류가 발생시 과거의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백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블록체인부(150)는 원시적인 제어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관리자의 권한을 차등하여 설정할 수 있다. 블록체인부(150)는 제어정보에 관리자의 식별정보를 결합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이는 허용된 관리자만이 이를 열람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블록체인부(150)는 열람권한, 수정권한 등을 차등하여 부여할 수 있다. 블록체인부(150)는 제어정보의 열람이나 수정에 대한 정보 역시 암호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는 제어정보를 열람한 사람과 이를 수정한 사람을 파악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
110 : 전력감지부
120 : 실내환경감지부
130 : 제어부
140 : 재실자감지부
150 : 블록체인부

Claims (5)

  1. 건물 내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전력사용량을 감지하되, 이동형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통신을 중계하는 전력감지부;
    상기 건물 내 온도, 습도, 미세먼지농도를 포함하는 실내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실내환경감지부;
    상기 전력사용량 및 상기 실내환경정보를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구역별 쾌적존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건물 내 설치된 전력설비를 제어하되, 상기 센서네트워크 내 통신오류가 있는 경우, 상기 이동형 게이트웨이를 통신오류구역으로 이동시켜 상기 전력사용량을 감지하도록 하며, 복수의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전력사용량에 따른 에너지효율을 분석하여, 상기 전력설비의 교체시 상기 전력사용량을 시뮬레이션하며, 상기 건물에 대한 상기 전력사용량을 기간별로 누적하여 탄소마일리지를 계산하고, 상기 탄소마일리지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전력량에 따라 잔여기간에 대한 전력사용스케줄을 가변하여 상기 기준치 미만으로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제어정보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으로 관리하되, 상기 제어정보에 관리자의 식별정보를 결합하여 암호화하는 블록체인부를 포함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의 재실자의 이동패턴을 감지하는 재실자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패턴를 통해 시간별 상기 재실자의 밀집도를 분석하여 상기 쾌적존을 변경하고, 상기 밀집도의 변화율이 기 설정치를 초과하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50435A 2021-11-04 2021-11-04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 KR102416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435A KR102416716B1 (ko) 2021-11-04 2021-11-04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435A KR102416716B1 (ko) 2021-11-04 2021-11-04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716B1 true KR102416716B1 (ko) 2022-07-05

Family

ID=8240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435A KR102416716B1 (ko) 2021-11-04 2021-11-04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7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347B1 (ko) * 2022-10-11 2023-03-27 (주)비엘아이앤씨 Bas-bems 임베디드 듀얼 엔진 기반 하이브리드 제어 빌딩 관리 플랫폼
KR102578564B1 (ko) * 2023-01-31 2023-09-14 (주)클라우드앤 화재감지용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2235A (ja) * 2003-06-20 2005-0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エネルギー管理方法及び省エネルギー推奨機器情報提供装置
KR20110058418A (ko) * 2009-11-26 2011-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관리 가능한 전기 제품
KR20190010862A (ko) * 2016-05-23 2019-01-31 인터디지털 씨이 페이튼트 홀딩스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들
KR20210027617A (ko) * 2019-08-29 2021-03-11 주식회사 나인와트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2269581B1 (ko) * 2020-10-16 2021-06-28 화인시스템(주) 인공 지능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2235A (ja) * 2003-06-20 2005-0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エネルギー管理方法及び省エネルギー推奨機器情報提供装置
KR20110058418A (ko) * 2009-11-26 2011-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관리 가능한 전기 제품
KR20190010862A (ko) * 2016-05-23 2019-01-31 인터디지털 씨이 페이튼트 홀딩스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들
KR20210027617A (ko) * 2019-08-29 2021-03-11 주식회사 나인와트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2269581B1 (ko) * 2020-10-16 2021-06-28 화인시스템(주) 인공 지능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347B1 (ko) * 2022-10-11 2023-03-27 (주)비엘아이앤씨 Bas-bems 임베디드 듀얼 엔진 기반 하이브리드 제어 빌딩 관리 플랫폼
KR102578564B1 (ko) * 2023-01-31 2023-09-14 (주)클라우드앤 화재감지용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6716B1 (ko)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
CA2641366C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assessing and reducing air pollution by regulating airflow ventilation
KR102085130B1 (ko) 에너지 절감형 공조기 관리장치
KR20160065052A (ko) 통합 실내 환경 관리 장치
Li et al. A novel real-time method for HVAC system operation to improve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in meeting rooms
Chen et al. Evaluating the potential of hybrid ventilation for small to medium sized office buildings with different intelligent controls and uncertainties in US climates
KR101519734B1 (ko)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200056141A (ko) 공기질 관리 장치 및 시스템
US20240085047A1 (en) Managed air using pressure data
KR102404374B1 (ko) 실내외 센서 모듈을 이용한 공기질 관리 방법 및 장치
Jain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protocols used in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of energy performance: dealing with practical issues of data availability and granularity in a UK school building
KR102381620B1 (ko) 쾌적존을 이용한 IoT형 건물통합관리시스템
WO2022045851A1 (ko)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및 건물관리시스템
KR102335046B1 (ko) 빌딩 스마트 환기제어 시스템장치
KR102514463B1 (ko) 쾌적존을 이용한 건물통합관리장치
Mora et al. Occupancy profiles modelling based on indoor measurements and clustering analysis: Application in an office building
KR102578564B1 (ko) 화재감지용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KR101899667B1 (ko) 실내 재실자의 수 연산 방법
KR20230114472A (ko) 재실률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량 관리서버
KR102260482B1 (ko) Ems가 적용되는 바닥 공조 시스템
KR20240066648A (ko) 재실률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절감량 관리서버
JP2005003313A (ja) 空調診断システム
Gunay et al. Design of Sequences of Operation for Occupant-Centric Controls
KR102606305B1 (ko) 공기질 상태 정보를 이용한 인공 지능 기반 탄소 저감 활동 보상 지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722077B1 (ko) 공기 오염원을 정화하기 위한 공기 조화 장치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