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734B1 -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734B1
KR101519734B1 KR1020130128134A KR20130128134A KR101519734B1 KR 101519734 B1 KR101519734 B1 KR 101519734B1 KR 1020130128134 A KR1020130128134 A KR 1020130128134A KR 20130128134 A KR20130128134 A KR 20130128134A KR 101519734 B1 KR101519734 B1 KR 101519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module
occupant
calculated
building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7989A (ko
Inventor
문현준
유승호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28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734B1/ko
Priority to PCT/KR2014/010047 priority patent/WO2015060675A2/ko
Publication of KR20150047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9/00Details relating to the type or aim of the analysis or the optimisation
    • G06F2119/08Thermal analysis or thermal optimis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의 정확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재실자수를 연산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건물(10)의 다수의 출입구마다 구비되는 재실센서부(100); 상기 재실센서부(100)에서 센싱된 입실 및 퇴실 정보를 기초로 건물 재실자수를 연산하는 건물 재실자 연산 모듈(200); 상기 건물 재실자 연산 모듈(200)에서 연산된 건물 재실자수를 입력받아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500); 및 상기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건물(10)을 실시간 제어하는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600)을 포함하는,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Building energy simulation system using a real time information of agent}
본 발명은 재실 정보를 실시간으로 실측하여 정확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건물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건물 에너지 절약을 위한 노력은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왔다. 그러나 기후 변화, 건물 연면적 증가 등으로 건축물 분야의 에너지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온 것이 사실이다.
건물 에너지 소비량의 감소를 위하여 정확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이 기반이 된다.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건물 정보가 필요하다. 여기에서 건물 내에 위치하는 사람, 즉 재실자가 중요한 변수가 된다.
종래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재실자를 변수로 활용한 예시가 있었다.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63375호에서는 재실자(에이전트)의 행동을 고려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 경우 정확한 재실자의 인원을 체크할 수 없는바, 종래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재실자수의 확률적 수치에 의존하기에 정확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KR10-2013-0063375 A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재실자수를 고려하여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되, 종래에 확률적으로 재실자수를 추정함에 따라 정확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물(10)의 다수의 출입구마다 구비되는 재실센서부(100); 상기 재실센서부(100)에서 센싱된 입실 및 퇴실 정보를 기초로 건물 재실자수를 연산하는 건물 재실자 연산 모듈(200); 상기 건물 재실자 연산 모듈(200)에서 연산된 건물 재실자수를 입력받아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500); 및 상기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건물(10)을 실시간 제어하는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600)을 포함하는,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재실센서부(100)는 건물(10)에 기 설정된 다수의 격실(20, 30)의 출입구마다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격실(20, 30)의 출입구마다 구비된 재실센서부(100)를 이용하여 각각의 격실별 재실자수를 연산하는 격실별 재실자 연산 모듈(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건물 재실자 연산 모듈(200)은 상기 격실별 재실자 연산 모듈(300)에서 연산된 격실별 재실자수를 이용하여 건물 재실자수를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산된 건물 재실자수는 정보 입력 모듈(400)을 통하여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500)에 전달되며, 상기 정보 입력 모듈(400)에는 건물의 정보 및 기상 정보가 더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실센서부(100)는, 한 쌍의 적외선 센서(100A, 100B)를 포함하여, 상기 적외선 센서(100A, 100B)의 센싱 순서가 기 설정된 순서인 경우 재실자의 입실로 판단하고 기 설정된 순서가 아닌 경우 재실자의 퇴실로 판단함으로써, 재실자의 입실 및 퇴실 정보를 센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FDD(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모듈(7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입력 모듈(400)에는 재실자 예측 모듈(420)에서 연산된 예측 건물 재실자수가 전달되며, 상기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500)은 상기 예측 건물 재실자수를 이용하여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며, 그리고 상기 FDD 모듈(700)은, 건물 재실자수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와 예측 건물 재실자수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경고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FDD 모듈(700)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FDD 모듈(700)은, 상기 연산된 건물 재실자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경고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EMS(600)는, 상기 연산된 건물 재실자수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농도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용하여 건물(10)의 환기 여부를 결정하여 건물(10)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EMS(600)는, 상기 연산된 건물 재실자수를 이용하여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이용하여 건물(10)의 냉난방기 작동 여부를 결정하여 건물(10)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건물(10)에 기 설정된 다수의 격실(20, 30)의 출입구마다 구비된 재실센서부(100); 상기 재실센서부(100)에서 센싱된 입실 및 퇴실 정보를 기초로 격실별 재실자수를 연산하는 격실별 재실자 연산 모듈(300); 상기 격실별 재실자 연산 모듈(300)에서 연산된 격실별 재실자수를 입력받아 격실별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500); 및 상기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건물(10)을 격실별로 실시간 제어하는 BEMS(600)을 포함하는,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BEMS(600)는, 상기 연산된 격실별 재실자수를 이용하여 격실별 이산화탄소 농도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용하여 격실의 환기 여부를 결정하여 건물(10)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EMS(600)는, 상기 연산된 건물 재실자수를 이용하여 격실별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이용하여 격실의 냉난방기 작동 여부를 결정하여 건물(10)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실시간 재실자수의 확인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정확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또한, 이에 따라 에너지 감소 건물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건물 전체의 재실자수는 물론 건물 내의 격실마다 재실자수의 확인이 가능하기에, 건물 전체의 제어는 물론 각 격실을 각 격실의 재실자수에 맞추어 별도로 제어할 수 있기에, 건물 에너지 저감에 더욱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또는 건물 제어 시스템의 장비 이상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재실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검증 결과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재실 정보"는 재실자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재실자수를 위주로 설명하되, 결과적으로 실시간 재실 정보를 활용하는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임을 강조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 건물 재실자수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건물 제어 방법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재실센서부(100), 건물 재실자 연산 모듈(200); 정보 입력부(400);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500); BEMS(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600); 및 FDD(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모듈(700)을 포함한다.
재실센서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10)의 다수의 출입구(11A, 11B)마다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실센서부(100)는 한 쌍의 적외선 센서(100A, 100B)로 이루어진다. 즉, 건물(10)로의 입실 방향을 "A"라고 할 경우, 입실 순서대로 제 1 센서(100A)와 제 2 센서(100B)일 수 있다.
적외선 센서(100A, 100B)는 사람이 통과하는 경우 이를 센싱할 수 있는데, 제 1 센서(100A), 제 2 센서(100B)의 순서로 센싱된 경우 사람이 건물(10)에 입실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 2 센서(100B), 제 1 센서(100A)의 순서로 센싱된 경우 사람이 건물(10)에서 퇴실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재실센서부(100)는 입실 및 퇴실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출입구(11A, 11B)마다 각각 재실센서부(100)가 구비되기에, 초기값을 "0"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재실센서부(100)들을 건물 재실자 연산 모듈(200)과 연동시킴으로써 건물(10)로의 입실자 및 퇴실자를 정확하게 연산할 수 있다.
즉, 건물 재실자 연산 모듈(200)은 재실센서부(100)에서 센싱된 입실 및 퇴실 정보를 기초로 건물 재실자수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연산할 수 있다.
정보 입력 모듈(400)은 건물 재실자 연산 모듈(200)에서 실시간으로 연산된 건물 재실자수를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500)에 전달한다.
정보 입력 모듈(400)을 통하여 사용자는 건물(10)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500)은 EnergyPlus일 수 있는데, 이를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건물 정보들이 정보 입력 모듈(400)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상정보 DB(410)와 연동되어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기상 정보가 입력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종래기술에 따라 확률적으로 건물 재실자수를 예측할 수 있는 재실자 예측 모듈(420)이 연동되어 예측된 건물 재실자수가 입력될 수도 있다.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500)은 건물 재실자 연산 모듈(200)에서 연산된 건물 재실자수 등 에너지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정보 입력 모듈(400)로부터 전달받아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500)은 EnergyPlus일 수 있다.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자체는 종래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500)에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인 시뮬레이션 결과가 BEMS(600)에 전달된다.
BEMS(600)는 이를 기초로 최적의 에너지 효율이 발휘되도록 건물(10)을 제어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기초로 건물(10)을 제어하는 방법 자체는 종래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되는 건물(10)의 객체로서는, 환기 장치, 냉난방 장치, 조명 장치 등 어떠한 장치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BEMS(600)는, 연산된 건물 재실자수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농도의 총합을 연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건물(10)의 환기 여부를 결정하여 건물(10)의 환기 장치를 실시간 제어함으로써 재실자의 쾌적감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BEMS(600)는, 연산된 건물 재실자수를 이용하여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모두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이용하여 건물(10)의 냉난방기 작동 여부를 결정하여 건물(10)을 냉난방기를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에너지 효율을 이룰 수도 있다.
위의 제어 방법들은 일례에 불과하며, 실시간으로 재실자가 확인됨으로써 어떠한 제어 방법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FDD 모듈(700)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자체 진단 역시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건물(10) 내에 가용 재실자수의 최대값을 설정한 후, 연산된 건물 재실자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FDD 모듈(700)은 경고를 발생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건물(10)의 시뮬레이션 결과값들 각각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설정한 후, 그 결과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FDD 모듈(700)은 경고를 발생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확률적으로 재실자수를 예측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실시간으로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여 시뮬레이션 결과가 정확한 값으로 도출되기에, 이러한 경고가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재실자 예측 모듈(420)에서 연산한 예측 건물 재실자수가 전달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500)이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연산된 건물 재실자수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와 이러한 예측 건물 재실자수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FDD 모듈(700)은 경고를 발생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 격실별 재실자수를 이용한 격실별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격실 제어 방법
제 1 실시예에서는 건물(10)을 하나의 공간으로 추정하고 모든 출입구마다 재실센서부(100)를 설치하여 건물(10)의 에너지를 시뮬레이션하고 제어한 것이라면, 제 2 실시예는 건물(10) 내에 있는 다수의 격실(20, 30)마다 상기의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격실(20, 30)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벽체로 구획되어 환기 장치, 냉난방 장치 및 조명 장치 등의 독립 제어가 가능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건물(10)에 기 설정된 다수의 격실(20, 30)의 출입구(21A, 21B, 31)마다 전술한 재실센서부(100)가 구비된다. 출입구가 1개인 격실에는 1개의 재실센서부(100)가, 출입구가 n개인 격실에는 n개의 재실센서부(100)가 구비됨은 당연하다.
전술한 방법으로 재실센서부(100)는 입실 및 퇴실 정보를 센싱할 수 있으며, 격실별 재실자 연산 모듈(300)이 별도로 구비되어 격실별 재실자수를 연산할 수 있다.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500)은 격실별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600)는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격실별로 건물(10)을 제어한다.
FDD 모듈(700) 역시 격실별로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건물 재실자 연산 모듈(200)은 건물 재실자수를 연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건물(10)을 제어함과 동시에, 격실별 재실자 연산 모듈(300)은 격실별로 재실자수를 연산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격실을 제어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 격실별 재실자수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건물 제어 방법
제 1 실시예에서와 달리, 격실별 재실자 연산 모듈(300)에서 연산된 격실별 재실자수를 이용하여 건물(10)의 전체 재실자수를 연산할 수 있다.
즉, 제 3 실시예에서는 건물 재실자 연산 모듈(200)이 구비되지 않는다.
다만, 건물(10) 내의 모든 격실(20, 30)의 재실자수가 연산되며, 이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격실별 재실자수를 합산함으로써 건물 재실자수를 연산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건물 재실자수가 연산되며, 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건물(10)을 제어할 수 있다.
검증
도 4 및 도 5는 실재 검증 결과를 그래프로 도시한다.
도 4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연산된 재실자수가 청색(real-time)으로 도시된다. 비교를 위하여 종래의 재실자수 예측 시스템인 재실 인원 스케쥴을 이용하여 예측된 재실자수가 적색(predefined)으로 도시된다. 여기에서, 재실자수 예측 시스템은 ASHRAE(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90.1 Energy Standard for Building Except Low-rise Residential Building)을 이용하였다.
도 5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재실 인원 스케쥴을 이용한 시스템을 이용한 결과와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한 결과는 약 12% 정도의 차이점을 나타내었다.
이를 달리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건물을 제어할 경우 약 12% 이상의 에너지 저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건물
11A, 11B: 건물 출입구
20, 30: 격실
21A, 21B, 31: 격실 출입구
100: 재실센서부
100A, 100B: 적외선 센서
200: 건물 재실자 연산 모듈
300: 격실별 재실자 연산 모듈
400: 정보 입력 모듈
410: 기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420: 재실자 예측 모듈
500: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
600: BEMS
700: FDD 모듈

Claims (12)

  1. 건물(10)의 다수의 출입구 및 기 설정된 다수의 격실(20, 30)의 출입구마다 구비되는 재실센서부(100);
    상기 다수의 격실(20, 30)의 출입구마다 구비된 재실센서부(100)를 이용하여 각각의 격실별 재실자수를 연산하는 격실별 재실자 연산 모듈(300)
    상기 재실센서부(100)에서 센싱된 입실 및 퇴실 정보 및 상기 격실별 재실자 연산 모듈(300)에서 연산된 격실별 재실자수를 이용하여 건물 재실자수를 연산하는 건물 재실자 연산 모듈(200);
    상기 건물 재실자 연산 모듈(200)에서 연산된 건물 재실자수를 입력받아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500); 및
    상기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건물(10)을 실시간 제어하는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600)을 포함하는,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된 건물 재실자수는 정보 입력 모듈(400)을 통하여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500)에 전달되며,
    상기 정보 입력 모듈(400)에는 건물의 정보 및 기상 정보가 더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센서부(100)는, 한 쌍의 적외선 센서(100A, 100B)를 포함하여, 상기 적외선 센서(100A, 100B)의 센싱 순서가 기 설정된 순서인 경우 재실자의 입실로 판단하고 기 설정된 순서가 아닌 경우 재실자의 퇴실로 판단함으로써, 재실자의 입실 및 퇴실 정보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FDD(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모듈(7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입력 모듈(400)에는 재실자 예측 모듈(420)에서 연산된 예측 건물 재실자수가 전달되며,
    상기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500)은 상기 예측 건물 재실자수를 이용하여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며, 그리고
    상기 FDD 모듈(700)은, 건물 재실자수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와 예측 건물 재실자수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경고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FDD 모듈(700)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FDD 모듈(700)은, 상기 연산된 건물 재실자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경고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EMS(600)는, 상기 연산된 건물 재실자수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농도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용하여 건물(10)의 환기 여부를 결정하여 건물(10)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EMS(600)는, 상기 연산된 건물 재실자수를 이용하여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이용하여 건물(10)의 냉난방기 작동 여부를 결정하여 건물(10)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10. 건물(10)에 기 설정된 다수의 격실(20, 30)의 출입구마다 구비된 재실센서부(100);
    상기 재실센서부(100)에서 센싱된 입실 및 퇴실 정보를 기초로 격실별 재실자수를 연산하는 격실별 재실자 연산 모듈(300);
    상기 격실별 재실자 연산 모듈(300)에서 연산된 격실별 재실자수를 입력받아 격실별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500); 및
    상기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듈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건물(10)을 격실별로 실시간 제어하는 BEMS(600)을 포함하며,
    상기 BEMS(600)는, 상기 연산된 격실별 재실자수를 이용하여 격실별 이산화탄소 농도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용하여 격실의 환기 여부를 결정하여 건물(10)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연산된 건물 재실자수를 이용하여 격실별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현열부하 및 잠열부하를 이용하여 격실의 냉난방기 작동 여부를 결정하여 건물(10)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KR1020130128134A 2013-10-25 2013-10-25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519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134A KR101519734B1 (ko) 2013-10-25 2013-10-25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PCT/KR2014/010047 WO2015060675A2 (ko) 2013-10-25 2014-10-24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134A KR101519734B1 (ko) 2013-10-25 2013-10-25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989A KR20150047989A (ko) 2015-05-06
KR101519734B1 true KR101519734B1 (ko) 2015-05-12

Family

ID=52993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134A KR101519734B1 (ko) 2013-10-25 2013-10-25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9734B1 (ko)
WO (1) WO201506067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333B1 (ko) * 2016-11-11 2018-08-0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 수요 예측 방법, 분산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05269B1 (ko) 2017-11-20 2019-07-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율형 커뮤니티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8830932B (zh) * 2018-06-15 2022-07-05 郑州大学 一种基于EnergyPlus与CFD耦合的大空间建筑能耗预测方法
KR102013894B1 (ko) * 2018-11-13 2019-08-2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Co2 농도와 pir신호를 활용한 거주자 재실 추정방법
KR102351385B1 (ko) * 2019-12-10 2022-01-1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딥 러닝 기반 대형 전시장 재실 인원 변화 실시간 예측 프로그램
KR102615946B1 (ko) * 2021-06-29 2023-12-20 옵토파워주식회사 열화상 카메라를 적용한 건물에너지 관리 시스템
CN114719910A (zh) * 2022-04-22 2022-07-08 一方设计集团有限公司 办公建筑独立房间能耗分析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040B1 (ko) * 2011-12-30 2016-11-0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조명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경호 외 1인, 'BEMS 구현을 위한 인체감지 재실센서의 개발', 한국정밀공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2011.10. pp.45-46
차주현 외 1인, '실내 위치기반 서비스 구현을 위한 센서 시스템 개발', 대한기계학회논문집 A권, 제36권 제11호, pp.1433-143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989A (ko) 2015-05-06
WO2015060675A3 (ko) 2015-06-11
WO2015060675A2 (ko)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9734B1 (ko)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Erickson et al. Occupancy based demand response HVAC control strategy
Chung et al.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 determining energy-efficient operating set-points of the VRF cooling system
Du et al.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for buildings and HVAC systems using combined neural networks and subtractive clustering analysis
KR101649658B1 (ko) 설비를 관제하는 중앙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 방법
US10077915B2 (en) On-line optimization scheme for HVAC demand response
EP3318809B1 (en) Air-conditioning system control device and air-conditioning system
JP5478108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CN109312951B (zh) 空调机管理装置、热源设备管理装置、空调机管理方法以及热源设备管理方法
EP329665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air conditioning device and apparatus therefor
Salimi et al. Optimizing energy consumption and occupants comfort in open-plan offices using local control based on occupancy dynamic data
Malkawi et al. Predicting thermal and energy performance of mixed-mode ventilation using an integrated simulation approach
EP3007016A1 (en) Central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facilities, facility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facility control method
Yan et al. Quantifying uncertainty in outdoor air flow control and its impacts on building performance simulation and fault detection
EP3007019A1 (en) Central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facilities, facility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facilities
CN105940584A (zh) 需求控制装置及程序
KR101495481B1 (ko) 재실인원 정보를 활용한 에너지절감 자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Menassa et al. A framework for automated control and commissioning of hybrid ventilation systems in complex buildings
KR20160001023A (ko) 건물 정보 검출 방법 및 장치
JP6173784B2 (ja) 空調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466885B2 (en) Air-conditioning control device, air-conditioning system, and air-conditioning control method
Shalabi et al. BIM-energy simulation approach for detecting building spaces with faults and problematic behavior.
Vallianos et al. Hybrid ventilation in an institutional building: Modeling and predictive control
TWI525560B (zh) 效能管理系統、方法與其電腦可讀取記錄媒體
Ji et al. Occupancy detec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 based on IoT environment sen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