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021B1 -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021B1
KR102101021B1 KR1020190095552A KR20190095552A KR102101021B1 KR 102101021 B1 KR102101021 B1 KR 102101021B1 KR 1020190095552 A KR1020190095552 A KR 1020190095552A KR 20190095552 A KR20190095552 A KR 20190095552A KR 102101021 B1 KR102101021 B1 KR 102101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ventilation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면
Original Assignee
정찬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찬면 filed Critical 정찬면
Priority to KR1020190095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은 외부의 전자장치로부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수신하고, 빌딩 내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이산화탄소 센싱장치로부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 및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기초로 하여 창문의 개폐 또는 빌딩에 설치된 환기장치의 구동을 구현하여 빌딩의 환기를 구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가 미래의 제1 시점에서 기 설정된 미세먼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시점보다 이전 시점인 제2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시점의 이전 기간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설정된 이산화탄소 임계치 이상인 경우 환기를 구현하는 제1 환기 모드 및 상기 제2 시점 이후 기간에는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 미만인 경우도 환기를 구현하는 제2 환기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BUILDING AUTOMATICALL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FINE DUST}
본 발명은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활용하여 빌딩 내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환기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미세먼지란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물질로 대기 중에 오랫동안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직경 10㎛ 이하의 입자상 물질을 말한다.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또는 제조업ㆍ자동차 매연 등의 배출가스에서 나오며, 기관지를 거쳐 폐에 흡착되어 각종 폐질환을 유발하는 대기오염물질이다.
특히, 최근 중국에서 날아온 초미세먼지가 최대의 이슈이다.
현재 우리나라를 뒤덮은 먼지는 'PM2.5'로 분류되는 평균직경이 2.5㎛이하의 초미세먼지다.
거의 머리카락 굵기의 30분의 1정도다. 매우 미세한 먼지라 코털과 기관지 섬모를 쉽게 통과하고 입자가 매우 작은 탓에 들이마셨을 때 배출이 어렵고 체내에 쉽게 축적된다. 또한 미세먼지는 단위면적당 농도가 매우 높아 짧은 시간이라도 실내에 유입된다면 그 양은 실내 미세먼지 기준농도를 훨씬 상회하게 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그리고, 독성을 가진 초미세먼지라면 천식과 기관지염, 폐암 등 각종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된다. 초미세먼지가 m3당 2.5㎛ 증가할 시 혈관이 14㎛ 두꺼워져서 뇌졸중 같은 질병의 발병위험확률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최근엔 호흡기질환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는 환자도 급격히 늘었다.
한편, 이러한 미세먼지를 걱정하여 환기를 하지 않을 시엔 실내공기가 탁해지고 이산화탄소의 증가 및 산소부족으로 인해 작업효율이 떨어질 수가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4263호(2017.04.03. 등록)에서는 자동 환기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현재 센싱되는 외부 먼지 및 내부 먼지를 기초로 환기 제어를 한다는 점에서, 건물 내부의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도 건물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낮게 할 수 있는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은 외부의 전자장치로부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수신하고, 빌딩 내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이산화탄소 센싱장치로부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 및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기초로 하여 창문의 개폐 또는 빌딩에 설치된 환기장치의 구동을 구현하여 빌딩의 환기를 구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가 미래의 제1 시점에서 기 설정된 미세먼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시점보다 이전 시점인 제2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시점의 이전 기간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설정된 이산화탄소 임계치 이상인 경우 환기를 구현하는 제1 환기 모드 및 상기 제2 시점 이후 기간에는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 미만인 경우도 환기를 구현하는 제2 환기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도 건물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효과적으로 낮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그래프.
도 3은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그래프.
도 4는 외부 미세먼지 농도 및 내부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5는 습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6은 환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은 외부의 전자장치로부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수신하고, 빌딩 내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이산화탄소 센싱장치로부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 및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기초로 하여 창문의 개폐 또는 빌딩에 설치된 환기장치의 구동을 구현하여 빌딩의 환기를 구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가 미래의 제1 시점에서 기 설정된 미세먼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시점보다 이전 시점인 제2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시점의 이전 기간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설정된 이산화탄소 임계치 이상인 경우 환기를 구현하는 제1 환기 모드 및 상기 제2 시점 이후 기간에는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 미만인 경우도 환기를 구현하는 제2 환기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미세먼지 농도 및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 이상의 지속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환기 모드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보다 낮은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를 설정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 환기를 구현할 수 있다.
또,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는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또,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 및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 이상의 지속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또, 상기 수신부는 빌딩 외부에 설치된 외부 미세먼지 센싱장치로부터 외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 및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된 내부 미세먼지 센싱장치로부터 내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는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 및 상기 외부 미세먼지 농도와 상기 내부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방법은 상기 수신부를 통해 미세먼지 예측 정보 및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 및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기초로 하여 빌딩의 환기를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을 통해 내부 공기질을 향상시키는 빌딩자동제어 시스템은 빌딩 내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이산화탄소 센싱장치로부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 빌딩 외부에 설치된 외부 미세먼지 센싱장치로부터 외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 및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된 내부 미세먼지 센싱장치로부터 내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 상기 외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 및 상기 내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빌딩에 설치된 환기장치의 구동을 구현하여 빌딩의 환기를 구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 상기 환기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시켜 환기하는 외부 환기 모드 및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내부 순환 모드를 구비함 - 상기 제어부는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외부 미세먼지 농도보다 큰 경우 제1 제어 모드로 환기를 구현하고,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외부 미세먼지 농도보다 작은 경우 제2 제어 모드로 환기를 구현하며, 상기 제1 제어 모드는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설정된 이산화탄소 임계치 이상인 경우 또는 상기 내부공간의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미세먼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환기장치를 상기 외부 환기 모드로 제어하는 모드이며, 상기 제2 제어 모드는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설정된 이산화탄소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환기장치를 상기 내부 순환 모드로 제어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 상기 제1 제어 모드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는 제1 임계치이며, 상기 제2 제어 모드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는 상기 제1 임계치와 다른 제2 임계치일 수 있다.
또, 상기 제2 임계치는 외부 미세먼지 농도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임계치는 외부 미세먼지 농도와 내부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제어 모드는 상기 환기장치를 상기 내부 순환 모드로 제어하였으나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환기장치를 상기 외부 환기 모드로 제어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 모드에서, 상기 환기장치를 상기 외부 환기 모드로 제어하는 경우, 빌딩에 설치된 가습기를 제어하여 가습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을 통해 내부 공기질을 향상시키는 빌딩자동제어 방법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 외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 및 내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 상기 외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 및 상기 내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빌딩의 환기를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그래프이고, 도 3은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그래프이다.
도 4는 외부 미세먼지 농도 및 내부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며, 도 5는 습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은 환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10)은 빌딩의 환기를 구현하는 시스템으로서, 소정의 정보/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100) 및 빌딩의 환기를 구현하도록 상기 소정의 정보/데이터를 기초로 빌딩의 창문의 개폐 및/또는 빌딩에 설치된 환기장치(20)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신부(100) 및/또는 상기 제어부(200)는 빌딩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빌딩 외부에 설치되어 원격 제어로 빌딩의 환기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10)의 상기 수신부(100)는 외부의 전자장치로부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수신하고, 빌딩 내의 내부공간(S)에 설치된 이산화탄소 센싱장치로부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자장치는 현 시점으로부터 과거 및/또는 미래에 대해 빌딩이 위치하는 지역에 대한 미세먼지의 농도, 미세먼지의 예측 농도 등을 포함하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자장치는 기상청 서버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미세먼지예측 정보는 현 시점으로부터 미래의 소정의 시점까지 빌딩이 위치하는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산화탄소 센싱장치는 실시간으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일 수 있으며,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는 빌딩 내의 상기 내부공간(S)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농도 변화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S)은 빌딩 내의 구획된 소정의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수신부(100)는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센싱장치로부터 유/무선으로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 및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수신부(100)가 수신한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 및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기초로 하여 창문의 개폐 또는 빌딩에 설치된 상기 환기장치(20)의 구동을 구현하여 빌딩의 환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창문에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창문을 개폐시키는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환기장치(20)는 빌딩에 설치된 공조기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빌딩의 환기를 구현하는 전자장치면 상기 환기장치(20)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가 미래의 제1 시점(T1)에서 기 설정된 미세먼지 임계치(C1)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시점(T1)보다 이전 시점인 제2 시점(T2)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시점(T2)의 이전 기간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설정된 이산화탄소 임계치(C2) 이상인 경우 환기를 구현하는 제1 환기 모드 및 상기 제2 시점(T2) 이후 기간에는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C2) 미만인 경우도 환기를 구현하는 제2 환기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신부(100)에 수신된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가 현재로부터 미래인 상기 제1 시점(T1)에서 예측되는 미세먼지의 농도가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C1) 이상인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 시점(T1)보다 이전 시점인 미래의 상기 제2 시점(T2)을 기준으로, 현재부터 상기 제2 시점(T2)까지 기간 동안에는 상기 제1 환기 모드로 환기를 구현하고, 상기 제2 시점(T2)부터 상기 제1 시점(T1)까지는 상기 제2 환기 모드로 환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환기 모드는 현재로부터 상기 제2 시점(T2)까지 구현되는 모드로서, 미리 설정된 시간 및/또는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설정된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C2)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환기가 구현되는 모드일 수 있다.
일례로, 미리 설정된 시간은 관리자가 미리 입력한 타임 테이블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00)는 입력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환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200)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이 4시간인 경우, 4시간 마다 환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 환기 모드에서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C2) 이상인 경우,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추기 위해 환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a)에 볼 수 있듯이,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C2)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창문의 개방 및/또는 상기 환기장치(20)를 구동시켜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떨어지게 할 수 있고, 상기 내부공간(S)의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정해진 이산화탄소 하한치(C3)에 도달하면 창문의 폐쇄 및/또는 상기 환기장치(2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 환기 모드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지 않거나,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C2) 미만인 경우에는 환기를 구현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환기 모드는 상기 제2 시점(T2)부터 상기 제1 시점(T1)까지 구현되는 모드로서,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C2) 미만인 경우도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환기가 구현되는 모드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환기 모드에서는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C2) 미만인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환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시점(T1)에 도달하는 경우, 빌딩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C1) 이상인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상기 제1 시점(T1) 이후의 시점에서는 환기를 최소화하여 외부의 미세먼지 유입을 최소화함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S)이 공기질을 보다 향상기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1 시점(T1)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보다 많이 떨어지게 하여 환기로 인한 외부의 미세먼지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2 시점(T2)은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시점(T2)은 고정된 시점이 아니라, 상기 수신부(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시점(T2)은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의 상기 미세먼지 농도 및/또는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C1) 이상의 지속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에서 예측 되는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C1)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큰 경우(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나쁠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상기 제2 시점(T2)은 상기 제1 시점(T1)보다 상대적으로 긴 시간간격을 가지는 시점일 수 있고,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에서 예측 되는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C1)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큰 경우(미세먼지 농도가 약간 나쁠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상기 제2 시점(T2)은 상기 제1 시점(T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시간간격을 가지는 시점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시점(T1)부터 그 이후에 예측되는 미세먼지 농도의 크기를 입력값으로 하여 상기 제2 환기 모드를 구현하는 상기 제2 시점(T2)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에서 예측 되는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C1)보다 크나, 그 지속시간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상기 제2 시점(T2)은 상기 제1 시점(T1)보다 상대적으로 긴 시간간격을 가지는 시점일 수 있고,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에서 예측 되는 미세먼지 농도가 앞선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C1)보다 크나, 그 지속시간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상기 제2 시점(T2)은 상기 제1 시점(T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시간간격을 가지는 시점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C1) 이상인 미세먼지 농도의 지속시간을 입력값으로 하여 상기 제2 환기 모드를 구현하는 상기 제2 시점(T2)을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의 상기 미세먼지 농도와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C1) 이상의 지속시간을 조합하여 상기 제2 시점(T2)을 설정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상기 내부공간(S)의 외부로부터 미세먼지 유입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과도한 환기 구현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 환기 모드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C2)보다 낮은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C4)를 설정하고,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C4) 이상인 경우 환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3(b)에 도시한 봐와 같이, 상기 제2 환기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C2) 보다 낮은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C4)에 도달하는 경우 환기를 구현하여,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더 떨어지게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 환기 모드에서,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이산화탄소 조정 하한치(C5)에 도달하는 경우 환기 구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하한치(C5)는 상기 이산화탄소 하한치(C3)보다 낮을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 환기 모드에서,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C4)에 도달하는 경우 환기를 구현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하한치(C5)에 도달하는 경우 환기를 구현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C4) 및/또는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하한치(C5)는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C4) 및/또는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하한치(C5)는 고정된 값이 아니라, 상기 수신부(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C4) 및/또는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하한치(C5)는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의 상기 미세먼지 농도 및/또는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C1) 이상의 지속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에서 예측 되는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C1)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큰 경우(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나쁠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C4) 및/또는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하한치(C5)는 상대적으로 낮은 값일 수 있고,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에서 예측 되는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C1)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큰 경우(미세먼지 농도가 약간 나쁠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C4) 및/또는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하한치(C5)는 상대적으로 높은 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에서 예측 되는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C1)보다 크나, 그 지속시간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C4) 및/또는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하한치(C5)는 상대적으로 낮은 값일 수 있고,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에서 예측 되는 미세먼지 농도가 앞선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C1)보다 크나, 그 지속시간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C4) 및/또는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하한치(C5)는 상대적으로 높은 값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내부공간(S)의 미세먼지 유입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과도한 환기 구현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수신부(100)는 빌딩 외부에 설치된 외부 미세먼지 센싱장치로부터 외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 및 상기 내부공간(S)에 설치된 내부 미세먼지 센싱장치로부터 내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부 미세먼지 센싱장치는 빌딩의 외부, 외부 환기구 등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빌딩의 외부에 대한 상기 외부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계측기일 수 있으며, 상기 내부 미세먼지 센싱장치는 빌딩의 상기 내부공간(S), 빌딩의 내부 환기부 등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S)에 대한 상기 내부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계측기일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신부(100)는 현 시점부터 지속적으로 계측된 상기 외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 및 상기 내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C4) 및/또는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하한치(C5)를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 및 상기 외부 미세먼지 농도와 상기 내부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를 기초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외부 미세먼지 농도보다 상기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더 높은 경우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C4) 및/또는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하한치(C5)는 상대적으로 낮은 값일 수 있고, 상기 외부 미세먼지 농도보다 상기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더 낮은 경우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C4) 및/또는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하한치(C5)는 상대적으로 높은 값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내부공간(S)의 미세먼지 유입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과도한 환기 구현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방법은 상기 수신부(100)를 통해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 및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200)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 및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기초로 하여 빌딩의 환기를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방법은 앞서 설명한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10)을 통해 빌딩을 자동제어 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인 미세먼지 저감을 통해 내부 공기질을 향상시키는 빌딩자동제어 시스템(10)을 자세히 설명하겠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내용이 중복되거나, 당업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설명을 생략하겠다.
상기 미세먼지 저감을 통해 내부 공기질을 향상시키는 빌딩자동제어 시스템(10)은 상기 수신부(100) 및 상기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수신부(100)는 상기 이산화탄소 센싱장치로부터 상기 내부공간(S)에 대한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 빌딩 외부에 설치된 상기 외부 미세먼지 센싱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 및 상기 내부공간(S)에 설치된 상기 내부 미세먼지 센싱장치로부터 상기 내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 상기 외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 및 상기 내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빌딩에 설치된 상기 환기장치(20)의 구동여부를 제어하여 빌딩의 환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환기장치(20)는 공조기 일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공간(S)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 배관(21) 및 상기 내부공간(S)으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유출 배관(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공기의 유입, 배출을 구현하는 모터, 공기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밸브 등은 당업자에서 자명한 사항이라는 점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례로, 상기 환기장치(20)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입시켜 환기하는 외부 환기 모드 및 상기 내부공간(S)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내부 순환 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환기 모드에서는 상기 환기장치(20)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유입 배관(21)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입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공기가 상기 유출 배관(22)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순환 모드에서는 밸브에 의해 상기 환기장치(20)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S)의 공기가 상기 유입 배관(21) 및/또는 상기 유출 배관(22)을 통해 다른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출/유입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환기 모드 및 상기 내부 환기 모드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라는 점에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는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외부 미세먼지 농도보다 큰 경우(0-T4) 제1 제어 모드로 환기를 구현하고,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외부 미세먼지 농도보다 작은 경우(T4-T5) 제2 제어 모드로 환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제어 모드는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설정된 이산화탄소 임계치 이상인 경우 및/또는 상기 내부공간(S)의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미세먼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환기장치(20)를 상기 외부 환기 모드로 제어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1 제어 모드는 상기 수신부(100)로 수신된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외부 미세먼지 농도보다 큰 경우(0-T4)에 구현되는 모드로서,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상기 환기장치(20)가 상기 외부 환기 모드로 구동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내부공간(S)의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상기 환기장치(20)가 상기 외부 환기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그 결과, 외부의 공기를 상기 내부공간(S)에 유입시킴으로서,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또는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모드는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외부 미세먼지 농도보다 작은 경우(T4-T5)에 구현되는 모드로서,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설정된 이산화탄소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환기장치(20)를 상기 내부 순환 모드로 제어하는 모드일 수 있다.
그 결과, 외부의 공기의 유입을 최소화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공간(S)으로 미세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제어 모드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는 제1 임계치이며, 상기 제2 제어 모드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는 상기 제1 임계치와 다른 제2 임계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임계치와 상기 제2 임계치는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일례로,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외부 미세먼지 농도보다 큰 경우(0-T4)로서 상기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임계치가 '10'이라고 가정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다 '10'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환기장치(20)를 상기 외부 환기 모드로 구동하여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출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임계치는 상기 제1 임계치보다 높을 수 있다.
만약,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외부 미세먼지 농도보다 작은 경우(T4-T5)로서 상기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상기 제2 임계치는 상기 제1 임계치보다 높은 '20'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다 '10'에 도달하더라도 상기 환기장치(20)의 구동을 구현하지 않고,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다 '20'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환기장치(20)를 상기 내부 환기 모드로 구동하여 내부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2 임계치는 외부 미세먼지 농도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만약, 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경우(미세먼지 매우 나쁨의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 임계치를 상대적으로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미세먼지 약간 나쁨의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 임계치를 상대적으로 낮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일례로, 상기 제2 임계치는 외부 미세먼지 농도와 내부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변동될 수도 있다.
만약, 외부 미세먼지 농도와 내부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내부 미세먼지 농도보다 상대적으로 조금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 임계치를 상대적으로 낮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외부 미세먼지 농도와 내부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내부 미세먼지 농도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 임계치를 상대적으로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외부의 공기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2 제어 모드는 상기 환기장치(20)를 상기 내부 순환 모드로 제어하였으나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환기장치(20)를 상기 외부 환기 모드로 제어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외부 미세먼지 농도보다 작은 경우(T4-T5)에 구현되는 상기 제2 제어 모드는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 이상인 경우, 우선적으로 상기 환기장치(20)를 상기 내부 순환 모드로 제어하는 모드 일 수 있으며, 만약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환기장치(20)를 상기 내부 순환 모드로 구동하고 있으나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환기장치(20)를 상기 외부 환기 모드로 제어하는 모드일 수 있다.
그 결과, 외부의 공기의 유입을 최소화 하면서도, 상기 내부공간(S)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 제어 모드에서, 상기 환기장치(20)를 상기 내부 환기 모드에서 상기 외부 환기 모드로 제어하는 경우, 빌딩에 설치된 가습기를 제어하여 가습을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습기는 빌딩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S)에 가습을 하여 습도를 높이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환기장치(20)뿐만 아니라 상기 가습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내부공간(S)에 가습을 하는 경우, 상기 내부공간(S) 상의 미세먼지는 가습에 의해 공기중에 이동되는 양이 저감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신부(100)는 상기 내부공간(S)에 설치된 습도 센싱장치로부터 습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습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습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만약,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내부공간(S)의 습도가 습도 임계치(C6)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가습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고, 상기 내부공간(S)의 습도가 습도 하한치(C7)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가습기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상기 제2 환기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내부공간(S)의 습도가 상기 습도 임계치(C6)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상기 가습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2 환기 모드(상기 제2 시점(T2) 이후 기간)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습도 임계치(C6) 보다 낮은 습도 조정 임계치를 설정하고, 상기 내부공간(S)의 습도가 상기 습도 조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가습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습도 조정 임계치는 상기 습도 하한치(C7)와 동일한 값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내부공간(S)의 습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 환기 모드에서, 상기 가습기의 구동을 구현하는 습도 조정 하한치(C8)를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습도 조정 하한치(C8)는 상기 습도 조정 임계치 보다 낮을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 환기 모드에서, 상기 내부공간(S)의 습도가 상기 습도 조정 임계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가습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내부공간(S)의 습도가 상기 습도 조정 한계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가습기의 구동을 구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습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2 제어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내부공간(S)에 상대적으로 많은 가습을 구현할 수 있어, 상기 내부공간(S)의 미세먼지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습도 조정 임계치 및 상기 습도 조정 하한치(C8)는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의 상기 미세먼지 농도 및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C1) 이상의 지속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변동될 수도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방법은 상기 수신부(100)를 통해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 외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 및 내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200)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 상기 외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 및 상기 내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빌딩의 환기를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방법은 앞서 설명한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10) 및/또는 미세먼지 저감을 통해 내부 공기질을 향상시키는 빌딩자동제어 시스템(10)을 통해 빌딩을 자동제어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들과 방법들은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200) 및 상기 수신부(100) 외에, 관리자의 관리장치로 소정의 정보/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300),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관리자로부터 소정의 명령 데이터/제어식/산출식 등을 입력받는 입력부(500),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신부(100), 상기 제어부(200), 상기 송신부(300) 및 상기 메모리부(400)는 MCU로 지칭되는 장치에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500)는 중앙관제장치, CCMS 또는 관리자의 관리장치의 일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입력부(500)는 앞서 설명한 소정의 정보/데이터를 입력받는 DDC(Digital to Digital Converter) 입력부(530), 각종 센서로부터 소정의 정보/데이터를 입력받는 센서 입력부(520) 및 다른 장치인 이기종 장치로부터 소정의 정보/데이터를 입력받는 이기종 입력부(5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시스템은 소정의 정보/데이터를 관리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수신부
200: 제어부
300: 송신부
400: 메모리부

Claims (8)

  1.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장치로부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수신하고, 빌딩 내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이산화탄소 센싱장치로부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 및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기초로 하여 창문의 개폐 또는 빌딩에 설치된 환기장치의 구동을 구현하여 빌딩의 환기를 구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가 미래의 제1 시점에서 기 설정된 미세먼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시점보다 이전 시점인 제2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시점의 이전 기간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설정된 이산화탄소 임계치 이상인 경우 환기를 구현하는 제1 환기 모드 및
    상기 제2 시점부터 상기 제1 시점까지의 기간에는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 미만인 경우도 환기를 구현하는 제2 환기 모드를 구현하며,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동되는,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의 미세먼지 농도 및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 이상의 지속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동되는,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환기 모드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보다 낮은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를 설정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 환기를 구현하는,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는,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동되는,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는,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의 미세먼지 농도 및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 이상의 지속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동되는,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빌딩 외부에 설치된 외부 미세먼지 센싱장치로부터 외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 및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된 내부 미세먼지 센싱장치로부터 내부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조정 임계치는,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 및 상기 외부 미세먼지 농도와 상기 내부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동되는,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따른 수신부를 통해 미세먼지 예측 정보 및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항에 따른 제어부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 및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기초로 하여 빌딩의 환기를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가 미래의 제1 시점에서 기 설정된 미세먼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시점보다 이전 시점인 제2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시점의 이전 기간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설정된 이산화탄소 임계치 이상인 경우 환기를 구현하는 제1 환기 모드 및
    상기 제2 시점부터 상기 제1 시점까지의 기간에는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이산화탄소 임계치 미만인 경우도 환기를 구현하는 제2 환기 모드를 구현하며,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동되는,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방법.
KR1020190095552A 2019-08-06 2019-08-06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01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552A KR102101021B1 (ko) 2019-08-06 2019-08-06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552A KR102101021B1 (ko) 2019-08-06 2019-08-06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414A Division KR20210017997A (ko) 2020-04-06 2020-04-06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021B1 true KR102101021B1 (ko) 2020-04-14

Family

ID=70291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552A KR102101021B1 (ko) 2019-08-06 2019-08-06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0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5936Y2 (ja) * 1991-11-21 1998-03-25 リコーエレメックス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101618224B1 (ko) * 2015-01-08 2016-05-04 (주)이데아인포 실내 환기 스케줄 안내 시스템
KR20160120607A (ko) * 2015-04-08 2016-10-18 주식회사 태양씨앤엘 공기 정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75921B1 (ko) * 2018-12-04 2019-05-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62823B1 (ko) * 2018-08-23 2019-07-31 박현수 공기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을 통한 환풍기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5936Y2 (ja) * 1991-11-21 1998-03-25 リコーエレメックス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101618224B1 (ko) * 2015-01-08 2016-05-04 (주)이데아인포 실내 환기 스케줄 안내 시스템
KR20160120607A (ko) * 2015-04-08 2016-10-18 주식회사 태양씨앤엘 공기 정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62823B1 (ko) * 2018-08-23 2019-07-31 박현수 공기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을 통한 환풍기 제어 시스템
KR101975921B1 (ko) * 2018-12-04 2019-05-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소음 및 공기질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024B1 (ko)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CN104111671A (zh) 一种智能家居系统
CN102721151B (zh) 加湿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CN109916003B (zh) 空调器自清洁控制方法
KR101915365B1 (ko) 재실자를 고려한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N108131789A (zh) 空调的换气控制方法及系统
CN207073915U (zh) 多区域二氧化碳浓度及空调新风集中控制系统
CN111561764A (zh) 用于新风系统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5180356A (zh) 手术室新风量及空气质量管理系统及其调节方法
KR20180059964A (ko)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KR20200063328A (ko)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 시스템
CN110173726A (zh) 中央净化系统的风量控制装置、方法及中央净化系统
US20210341168A1 (en) Ventilator and ventilation control method
KR102101023B1 (ko) 미세먼지 저감을 통해 내부 공기질을 향상시키는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01021B1 (ko)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0046A (ko) 환기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실내 공기질 관리 장치
KR20210017997A (ko)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203965913U (zh) 一种智能家居系统
CN205119350U (zh) 一种空调负压智能监控系统
CN211451296U (zh) 一种联动湿度调节的家电系统
CN110398044B (zh) 新风机的控制方法、系统及新风机
KR102208544B1 (ko) 미세 먼지량에 따른 이기종 자동 제어기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클라우드 시스템
CN113009865A (zh) 联动控制系统和方法
CN107036229B (zh) 空调及其控制方法
CN110864437A (zh) 一种联动湿度调节的家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