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607A - 공기 정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정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607A
KR20160120607A KR1020150049899A KR20150049899A KR20160120607A KR 20160120607 A KR20160120607 A KR 20160120607A KR 1020150049899 A KR1020150049899 A KR 1020150049899A KR 20150049899 A KR20150049899 A KR 20150049899A KR 20160120607 A KR20160120607 A KR 20160120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ir
air conditioner
weather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일
강명균
박정재
이화진
정성규
박진우
김다혜
장호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양씨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양씨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양씨앤엘
Priority to KR1020150049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0607A/ko
Publication of KR20160120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12
    • F24F11/0015
    • F24F11/0017
    • F24F11/003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정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센서 디바이스에서 수집한 기상 정보와 기상청이나 기상 정보 수집 장치에서 수집한 기상 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고, 기상청이나 기상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운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기상 예보 정보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 기능을 사전에 수행하여 쾌적한 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정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Air purif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 정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서 디바이스에서 수집한 기상 정보와 기상청이나 기상 정보 수집 장치에서 수집한 기상 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고, 기상청이나 기상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공기를 정화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해당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해당 공기조화기가 위치한 영역의 공기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해당 영역의 공기 상태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그쳐, 공기조화기가 위치한 외부 상황이나 추후 미래의 날씨 예측 정보가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97028호 [명칭: 차량 실내의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 디바이스에서 수집한 기상 정보와 기상청이나 기상 정보 수집 장치에서 수집한 기상 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상청이나 기상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은 센서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제 1 공기 정보와 기상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내의 상기 제 1 공기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디바이스;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외의 상기 제 2 공기 정보와 상기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기상 예보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상기 기상 서버; 상기 제 1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기상 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기상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기상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상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2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에 전송하는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 하나 이상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공기 조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 1 공기 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내의 온도, 습도, 미세 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포름알데히드 농도, 총부유세균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질소 농도, 라돈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석면 농도 및 오존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공기 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외의 온도, 습도, 미세 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포름알데히드 농도, 총부유세균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질소 농도, 라돈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석면 농도 및 오존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기상 예보 정보는, 날짜별 및 시간대별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대한 예상 날씨 정보, 강수 확률, 예상 강수량, 예상 기온, 예상 습도, 예상 풍향, 예상 풍속 및 대기질 예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은, 상기 공기 조화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공기 조화기 주변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 주변의 영상 정보에 포함된 대기 상태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추가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상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오염 여부를 판단할 때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오염 여부 판단에 반영하고, 오염 여부에 따른 대응을 위한 안내 정보 및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은 센서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제 1 공기 정보와 기상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내의 상기 제 1 공기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디바이스;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외의 상기 제 2 공기 정보와 상기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기상 예보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상기 기상 서버; 미리 저장된 기상 정보별 기준값 및,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기상 정보와 상기 수신된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기상 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오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1 공기 정보 및 제 2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에 전송하는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 하나 이상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공기 조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은 기상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외의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기상 서버;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상 예보 정보에 포함된 시각 이후에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이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될 때, 상기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에 전송하는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 하나 이상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공기 조화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센서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제 1 공기 정보와 기상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을 통해, 상기 센서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내의 상기 제 1 공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제 1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기상 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기상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상 서버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외의 상기 제 2 공기 정보와 상기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기상 예보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전송된 기상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상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2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 조화기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 하나 이상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센서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제 1 공기 정보와 기상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을 통해, 상기 센서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내의 상기 제 1 공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기상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외의 상기 제 2 공기 정보와 상기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기상 예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미리 저장된 기상 정보별 기준값 및,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기상 정보와 상기 수신된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기상 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1 공기 정보 및 제 2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 조화기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 하나 이상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기상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상 서버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외의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상 서버를 통해, 상기 생성된 기상 예보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상 예보 정보에 포함된 시각 이후에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이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될 때, 상기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 조화기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 하나 이상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센서 디바이스에서 수집한 기상 정보와 기상청이나 기상 정보 수집 장치에서 수집한 기상 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상청이나 기상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기상 예보 정보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 기능을 사전에 수행하여 쾌적한 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정화 시스템(10)은 센서 디바이스(100), 기상 서버(200), 단말(300) 및 공기 조화기(4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공기 정화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공기 정화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공기 정화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 내부/외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또는 배치/설치)한다.
또한,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인접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환경 센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는 상기 기상 서버(200), 상기 단말(300), 상기 공기 조화기(400) 등과 통신한다.
또한,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또는 영역)의 대기 상태를 측정(또는 수집)한다.
즉,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인접한 영역)의 온도(또는 기온), 습도, 미세 먼지 농도(예를 들어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등 포함), 이산화탄소 농도, 포름알데히드(HCHO) 농도, 총부유세균 농도, 일산화탄소(CO) 농도, 이산화질소(NO2) 농도, 라돈(Rn)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s) 농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 TVOC) 농도, 석면 농도, 오존 농도 등을 포함하는 제 1 공기 정보를 수집(또는 감지/측정)한다.
또한,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는 상기 수집된 제 1 공기 정보,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의 고유 식별 정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 위치 정보, 주소 등 포함) 등을 단말(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의 고유 식별 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유일한 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상기 단말(300)의 정보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공기 정보,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의 고유 식별 정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 위치 정보, 주소 등 포함)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상 서버(200)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 상기 단말(300) 등과 통신한다.
또한, 상기 기상 서버(200)는 기상청(미도시)에 구비된 서버, 상기 기상청으로부터 제공된 기상 정보 등을 수집 및 가공하여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상 서버(200)는 단위 지역별로 온도(또는 기온), 습도, 미세 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포름알데히드 농도, 총부유세균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질소 농도, 라돈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석면 농도, 오존 농도 등을 포함하는 제 2 기상 정보를 측정(또는 수집)한다.
또한, 상기 기상 서버(200)는 측정된 제 2 기상 정보를 근거로 날짜별 및/또는 시간대별로 기상 예보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기상 예보 정보(또는 기상 예보)는 날짜별 및/또는 시간대별 예상 날씨 정보(예를 들어 맑은, 구름, 비, 흐림 등 포함), 강수 확률, 예상 강수량, 예상 기온(예를 들어 날짜별 최고/최저 기온), 예상 습도, 예상 풍향, 예상 풍속, 대기질 예보 정보(예를 들어 황사 경보, 오존 경보, 미세먼지 경보, 황사 주의보, 오존 주의보, 미세먼지 주의보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상 서버(200)는 특정 단말(300)과 관련한 제 2 기상 정보, 상기 제 2 기상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
즉, 상기 기상 서버(200)는 상기 단말(300)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의 제 2 기상 정보, 상기 제 2 기상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기상 서버(2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2 기상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기상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기상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기상 정보 요청 신호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 위치 정보, 주소 등 포함),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의 식별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기상 서버(200)는 지역별로 측정되는 복수의 기상 정보 중에서 미리 설정된 단말(300)과 관련한 상기 제 2 기상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지역별로 측정되는 복수의 기상 정보 중에서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기상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기상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상 서버(200)는 상기 단말(300)과 관련한 또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기상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
상기 단말(300)은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 상기 기상 서버(200), 상기 공기 조화기(400) 등과 통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300)은 통신부(310), 저장부(320), 표시부(330), 음성 출력부(340) 및 제어부(35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단말(3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단말(3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단말(3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3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 상기 기상 서버(200), 상기 공기 조화기(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5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310)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31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 상기 기상 서버(200), 상기 공기 조화기(40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310)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공기 정보,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의 고유 식별 정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 위치 정보, 주소 등 포함)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310)는 상기 기상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제 2 공기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수신한다.
상기 저장부(32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320)는 상기 단말(30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즉, 상기 저장부(320)는 상기 단말(3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단말(3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단말(3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단말(3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부(320)에 저장되고, 단말(3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단말(3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3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3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3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320)는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온도, 습도, 미세 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포름알데히드 농도, 총부유세균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질소 농도, 라돈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석면 농도, 오존 농도 등을 기상 정보별 기준값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320)는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한 상기 제 1 공기 정보,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의 고유 식별 정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 위치 정보, 주소 등 포함), 상기 제 2 공기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330)는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32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33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33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터치 제스쳐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이나, 감압식, 압전식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 중 하나일 수 있다. 정전식인 경우 터치 스크린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터치 스크린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가 산출된다. 감압식인 경우 터치 스크린에 두 개의 전극 판이 내장되며,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된 위치의 상하 전극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러한 전류의 흐름이 감지되어 터치 좌표가 산출된다. 이 외에도, 사용자 장치가 펜 입력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아닌 펜과 같은 입력 수단을 활용한 사용자의 제스쳐도 감지될 수 있다. 예로서, 입력 수단이 코일을 내부에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인 경우, 사용자 장치는 스타일러스 펜 내부의 코일에 의해 변화되는 자기장을 감지하기 위한 자기장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터치 제스쳐 뿐만 아니라 호버링(hovering)과 같은 사용자의 근접 제스쳐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구동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30)는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한 상기 제 1 공기 정보,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의 고유 식별 정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 위치 정보, 주소 등 포함), 상기 제 2 공기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표시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340)는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34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340)는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340)는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공기 정보,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의 고유 식별 정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 위치 정보, 주소 등 포함), 상기 제 2 공기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단말(3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저장부(3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3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35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저장부(32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3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부(3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저장부(320)에 미리 저장된(또는 설정된) 기상 정보별 기준값과 상기 수신된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기상 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오염 여부(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의 오염 여부)를 판단(또는 확인)한다.
상기 판단 결과(또는 확인 결과), 상기 수신된 제 1 공기 정보 내의 모든 값에 대해서 안정 상태(또는 오염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내(또는 영역)의 공기 상태가 현재 시점에 안정 상태(또는 오염되지 않은 상태/양호 상태 등 포함)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33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34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또는 확인 결과), 상기 수신된 제 1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50)는 기상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기상 정보 요청 신호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 위치 정보, 주소 등 포함),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의 식별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생성된 기상 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상기 기상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전송된 기상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상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제 2 공기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제 1 공기 정보, 상기 제 2 공기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근거로 2차로 오염 여부(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의 오염 여부)를 확인(또는 판단)한다.
즉,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미리 저장된 기상 정보별 기준값과 상기 수신된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기상 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오염 여부를 확인(또는 판단)한다.
상기 확인 결과(또는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제 2 공기 정보 내의 모든 값에 대해서 안정 상태(또는 오염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제 1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된 상태이더라도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내(또는 영역)의 공기 상태가 현재 시점에 안정 상태(또는 오염되지 않은 상태/양호 상태 등 포함)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33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34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확인 결과(또는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2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생성된 공기 조화기(400)(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350)는 1차로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공기 정보를 근거로 오염 여부를 판단한 후, 오염인 것으로 판단될 때 2차로 상기 기상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추가 오염 여부를 판단하여, 1차 및 2차에 걸친 오염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최종적으로 오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 결과(또는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제 2 공기 정보 내의 모든 값에 대해서 안정 상태(또는 오염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서의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값 이상으로 심각한 것으로 판단될 때에는 상기 제 2 공기 정보 내의 모든 값이 안정 상태일지라도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예를 들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주변 영상 정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외부/실외 영상 정보 등 포함)를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수신된 상기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를 상기 표시부(33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34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수신된 상기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에 포함된 대기 상태(예를 들어, 황사, 미세 먼지, 안개, 비, 눈 등 포함)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추가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대기 중 황사 분포 현황, 대기 중 미세 먼지 분포 현황, 대기 중 안개 현황, 대기 중 비가 내리는 상태 현황, 대기 중 눈이 내리는 상태 현황 등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추가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생성된 추가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 조화기(4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기 조화기(400)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기상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오염 여부 판단에 반영하여, 상기 기상 예보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포함된 실외기 및/또는 실내기의 동작 상태를 개별로 제어한다.
즉,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 2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고 현재 상태(예를 들어 현재 시각 등 포함)가 상기 수신된 기상 예보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의 개별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생성된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의 개별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기상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오염 여부 판단에 반영하여, 오염 여부에 따른 대처(또는 대응)를 위한 안내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상기 표시부(33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340)를 통해 출력한다.
즉, 상기 제 2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고 현재 상태(예를 들어 현재 시각 등 포함)가 상기 수신된 기상 예보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기상 예보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안내 정보, 상기 수신된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상기 표시부(33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34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공기 정보,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의 고유 식별 정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 위치 정보, 주소 등 포함) 등을 수신하고, 상기 기상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제 2 공기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수신한 이후, 상기 저장부(320)에 미리 저장된 기상 정보별 기준값 및, 상기 수신된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기상 정보와 상기 수신된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기상 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오염 여부(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의 오염 여부)를 판단(또는 확인)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수신된 기상 예보 정보를 반영하여 오염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판단 결과(또는 확인 결과), 상기 수신된 제 1 공기 정보 및 상기 제 2 공기 정보 내의 모든 값에 대해서 안정 상태(또는 오염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내(또는 영역)의 공기 상태가 현재 시점에 안정 상태(또는 오염되지 않은 상태/양호 상태 등 포함)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33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34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또는 확인 결과), 상기 수신된 제 1 공기 정보 및 제 2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수신된 제 1 공기 정보 및 제 2 공기 정보에서 각각 대응하는 동일한 항목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수신된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기 조화기(400)(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기상 예보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을 근거로 향후 일정 시간 이후에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에 의한 공기 정화가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내의 공기 상태와 상관없이(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내 공기의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로 유지되어 안정된 상태이더라도),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한다.
상기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400)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 상기 기상 서버(200), 상기 단말(300) 등과 통신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미도시), 상기 압축기에서 이송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저온고압의 액체 냉매 상태로 변화시키는 응축기(미도시), 상기 응축기에서 액체 상태로 변환되어 이송된 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 및 기체 상태로 감압하는 팽창밸브(미도시) 또는 모세관(미도시)에서 이송된 저온저압의 냉매를 통과시키면서 증발되어 주변의 열을 뺏어 외부 온도를 낮은 온도로 유지하는 증발기(미도시),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상기 공기 조화기(400)기 위치한 실내로 출력(또는 토출)하는 송풍용팬(미도시), 상기 증발기에서 기화된 냉매 가스로부터 액체 상태의 냉매를 여과하여 다시 상기 압축기로 전달하는(또는 유입되도록 하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하나 이상의 실외기(미도시) 및 하나 이상의 실내기(미도시)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밸브, 상기 모세관, 상기 증발기, 상기 송풍용팬, 상기 어큐뮬레이터 등은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상기 실외기 및/또는 상기 실내기에 각각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예를 들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주변 영상 정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외부/실외 영상 정보 등 포함)를 촬영한다.
즉, 상기 카메라(또는 촬영부)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미리 설정된 주변 영역을 촬영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카메라 모듈 또는 카메라)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즉, 상기 카메라는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해당 화상 데이터들을 각 규격에 맞도록 인코딩/디코딩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촬영된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를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추가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수신된 추가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각각 제어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각각 제어한다.
이와 같이, 센서 디바이스에서 수집한 기상 정보와 기상청이나 기상 정보 수집 장치에서 수집한 기상 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기상청이나 기상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기상 예보 정보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 기능을 사전에 수행하여 쾌적한 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센서 디바이스(100)는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 주변) 실내의 제 1 공기 정보를 수집(또는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공기 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내의 온도(또는 기온), 습도, 미세 먼지 농도(예를 들어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등 포함), 이산화탄소 농도, 포름알데히드(HCHO) 농도, 총부유세균 농도, 일산화탄소(CO) 농도, 이산화질소(NO2) 농도, 라돈(Rn)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석면 농도, 오존 농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는 상기 수집된 제 1 공기 정보,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의 고유 식별 정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 위치 정보, 주소 등 포함) 등을 단말(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의 고유 식별 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유일한 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상기 단말(300)의 정보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공기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30분 단위, 1시간 단위 등 포함)으로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아파트 내의 온도(또는 기온), 습도, 미세 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포름알데히드 농도, 총부유세균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질소 농도, 라돈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석면 농도, 오존 농도 등을 각각 측정한다. 또한,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는 상기 측정된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아파트 내의 온도, 습도, 미세 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포름알데히드 농도, 총부유세균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질소 농도, 라돈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석면 농도, 오존 농도 등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공기 정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S310).
이후, 상기 단말(300)은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공기 정보,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의 고유 식별 정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 위치 정보, 주소 등 포함)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미리 저장된 기상 정보별 기준값과 상기 수신된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기상 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오염 여부(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의 오염 여부)를 판단(또는 확인)한다.
일 예로, 상기 단말(300)은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온도(또는 기온)가 미리 설정된 온도(또는 기온)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습도가 미리 설정된 습도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미세 먼지 농도가 미리 설정된 미세 먼지 농도(예를 들어 PM10의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150 ㎍/㎥)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1000 ppm)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 농도가 미리 설정된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0.1 ppm)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총부유세균 농도가 미리 설정된 총부유세균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800 CFU/㎥)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일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일산화탄소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10 ppm)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이산화질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이산화질소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0.05 ppm)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라돈 농도가 미리 설정된 라돈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4.0 pCi/ℓ)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가 미리 설정된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500 ㎍/㎥)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가 미리 설정된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500 ㎍/㎥)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석면 농도가 미리 설정된 석면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0.01 개/cc)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오존 농도가 미리 설정된 오존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0.06 ppm)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이후, 상기 판단 결과(또는 확인 결과), 상기 수신된 제 1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단말(300)은 기상 서버(200)에 기상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기상 정보 요청 신호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 위치 정보, 주소 등 포함),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의 식별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일산화탄소 농도(예를 들어 13 ppm)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인 10 ppm보다 클 때, 상기 단말(300)은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내의 공기가 오염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상 서버(200)에 기상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330).
이후, 상기 기상 서버(20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기상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기상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기상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외(또는 지역/영역)의 제 2 공기 정보, 상기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공기 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외(또는 지역/영역)의 온도(또는 기온), 습도, 미세 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포름알데히드 농도, 총부유세균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질소 농도, 라돈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석면 농도, 오존 농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상 예보 정보(또는 기상 예보)는 날짜별 및/또는 시간대별 예상 날씨 정보(예를 들어 맑은, 구름, 비, 흐림 등 포함), 강수 확률, 예상 강수량, 예상 기온(예를 들어 날짜별 최고/최저 기온), 예상 습도, 예상 풍향, 예상 풍속, 대기질 예보 정보(예를 들어 황사 경보, 오존 경보, 미세먼지 경보, 황사 주의보, 오존 주의보, 미세먼지 주의보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기상 서버(20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기상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아파트 주변의 제 2 공기 정보(예를 들어 일산화탄소 농도(예를 들어 15 ppm), 미세 먼지 농도 등 포함)와, 상기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기상 예보 정보(예를 들어 오후 2시 ~ 오후 5시 미세먼지 경보 등 포함)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S340).
이후, 상기 단말(300)은 상기 전송된 기상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상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제 2 공기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200)은 상기 제 1 공기 정보, 상기 제 2 공기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근거로 2차로 오염 여부(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의 오염 여부)를 확인(또는 판단)한다.
즉, 상기 단말(200)은 상기 미리 저장된 기상 정보별 기준값과 상기 수신된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기상 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오염 여부를 확인(또는 판단)한다.
일 예로, 상기 단말(300)은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기온이 미리 설정된 기온(또는 온도)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습도가 미리 설정된 습도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미세 먼지 농도가 미리 설정된 미세 먼지 농도(예를 들어 PM10의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150 ㎍/㎥)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1000 ppm)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HCHO) 농도가 미리 설정된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0.1 ppm)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총부유세균 농도가 미리 설정된 총부유세균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800 CFU/㎥)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일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일산화탄소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10 ppm)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이산화질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이산화질소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0.05 ppm)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라돈 농도가 미리 설정된 라돈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4.0 pCi/ℓ)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가 미리 설정된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500 ㎍/㎥)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석면 농도가 미리 설정된 석면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0.01 개/cc)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오존 농도가 미리 설정된 오존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0.06 ppm)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50).
이후, 상기 확인 결과(또는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제 2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단말(300)은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예를 들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주변 영상 정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외부/실외 영상 정보 등 포함)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를 상기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공기 조화기(4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에 포함된 대기 상태(예를 들어, 황사, 미세 먼지, 안개, 비, 눈 등 포함)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추가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일산화탄소 농도(예를 들어 15 ppm)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인 10 ppm보다 클 때, 상기 단말(300)은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내의 공기가 오염된 상태(또는 상기 실내의 공기뿐만 아니라 실외의 공기도 오염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4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또는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기상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오염 여부 판단에 반영하여, 상기 기상 예보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포함된 실외기 및/또는 실내기의 동작 상태를 개별로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확인 결과, 현재 시각이 오후 3시이고,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일산화탄소 농도(예를 들어 15 ppm)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인 10 ppm보다 크고, 상기 기상 예보 정보에 오후 2시 ~ 오후 5시 사이 미세먼지 경보가 포함될 때, 상기 단말(300)은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내의 공기가 오염된 상태(또는 상기 실내의 공기뿐만 아니라 실외의 공기도 오염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포함된 실외기의 동작을 오프시키고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포함된 실내기의 동작을 온시키기 위한 제 2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제 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실외기의 동작을 오프시키고, 상기 실내기의 동작을 온시켜서 외부의 미세 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기상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오염 여부 판단에 반영하여, 오염 여부에 따른 대처(또는 대응)를 위한 안내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출력한다.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확인 결과, 현재 시각이 오전 11시이고,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일산화탄소 농도(예를 들어 15 ppm)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인 10 ppm보다 크고, 상기 기상 예보 정보에 오후 2시 ~ 오후 5시 미세먼지 경보가 포함될 때, 상기 단말(300)은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아파트의 하나 이상의 창문을 열어 실내를 환기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제 1 안내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출력한다.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확인 결과, 현재 시각이 오후 3시이고,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일산화탄소 농도(예를 들어 15 ppm)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인 10 ppm보다 크고, 상기 기상 예보 정보에 오후 2시 ~ 오후 5시 미세먼지 경보가 포함될 때, 상기 단말(300)은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아파트의 외부가 미세먼지 경보인 상태이고 상기 공기 조화기(400)를 오프라인 상에서 동작시키도록 안내하기 위한 제 2 안내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출력한다(S360).
이와 같이, 상기 단말(300)은 1차로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400) 주변에서 수집된 제 1 공기 정보를 근거로 오염 여부를 판단하고, 오염으로 판단되는 경우 2차로 상기 기상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외부 지역의 제 2 공기 정보 및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오염 여부를 판단하여, 오염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400)를 구동하거나 오염 상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센서 디바이스(100)는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 주변) 실내의 제 1 공기 정보를 수집(또는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공기 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내의 온도(또는 기온), 습도, 미세 먼지 농도(예를 들어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 포함), 이산화탄소 농도, 포름알데히드 농도, 총부유세균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질소 농도, 라돈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석면 농도, 오존 농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는 상기 수집된 제 1 공기 정보,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의 고유 식별 정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 위치 정보, 주소 등 포함) 등을 단말(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의 고유 식별 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유일한 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상기 단말(300)의 정보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공기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30분 단위, 1시간 단위 등 포함)으로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아파트 내의 온도(또는 기온), 습도, 미세 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포름알데히드 농도, 총부유세균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질소 농도, 라돈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석면 농도, 오존 농도 등을 각각 측정한다. 또한,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는 상기 측정된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아파트 내의 온도, 습도, 미세 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포름알데히드 농도, 총부유세균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질소 농도, 라돈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석면 농도, 오존 농도 등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공기 정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S410).
이후, 상기 기상 서버(200)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외(또는 지역/영역)의 제 2 공기 정보, 상기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기상 서버(200)는 미리 등록된 단말별로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조화기(400)(또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300)에서 관리하는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의 제 2 공기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공기 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외(또는 지역/영역)의 온도(또는 기온), 습도, 미세 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포름알데히드 농도, 총부유세균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질소 농도, 라돈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석면 농도, 오존 농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상 예보 정보(또는 기상 예보)는 날짜별 및/또는 시간대별 예상 날씨 정보(예를 들어 맑은, 구름, 비, 흐림 등 포함), 강수 확률, 예상 강수량, 예상 기온(예를 들어 날짜별 최고/최저 기온), 예상 습도, 예상 풍향, 예상 풍속, 대기질 예보 정보(예를 들어 황사 경보, 오존 경보, 미세먼지 경보, 황사 주의보, 오존 주의보, 미세먼지 주의보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상 서버(20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상기 단말(300)의 정보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공기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상 서버(20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예를 들어 30분 단위, 1시간 단위 등 포함)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아파트 주변의 온도, 습도, 미세 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포름알데히드 농도, 총부유세균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질소 농도, 라돈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석면 농도, 오존 농도 등을 포함하는 제 2 공기 정보와, 상기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기상 예보 정보(예를 들어 오후 2시 이후 강수 확률 90% 등 포함)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S420).
이후, 상기 단말(300)은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공기 정보,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의 고유 식별 정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 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 위치 정보, 주소 등 포함)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기상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제 2 공기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미리 저장된 기상 정보별 기준값 및, 상기 수신된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기상 정보와 상기 수신된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기상 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오염 여부(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의 오염 여부)를 판단(또는 확인)한다. 이때, 상기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기상 예보 정보를 반영하여 오염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단말(300)은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온도(또는 기온) 및/또는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기온(또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또는 기온)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습도 및/또는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습도가 미리 설정된 습도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미세 먼지 농도 및/또는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미세 먼지 농도가 미리 설정된 미세 먼지 농도(예를 들어 PM10의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150 ㎍/㎥) 이하인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농도 및/또는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1000 ppm) 이하인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 농도 및/또는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 농도가 미리 설정된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0.1 ppm) 이하인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총부유세균 농도 및/또는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총부유세균 농도가 미리 설정된 총부유세균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800 CFU/㎥) 이하인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일산화탄소 농도 및/또는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일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일산화탄소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10 ppm) 이하인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이산화질소 농도 및/또는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이산화질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이산화질소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0.05 ppm) 이하인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라돈 농도 및/또는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라돈 농도가 미리 설정된 라돈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4.0 pCi/ℓ) 이하인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및/또는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가 미리 설정된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500 ㎍/㎥) 이하인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석면 농도 및/또는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석면 농도가 미리 설정된 석면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0.01 개/cc) 이하인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오존 농도 및/또는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오존 농도가 미리 설정된 오존 농도의 기준값(예를 들어 0.06 ppm) 이하인지 여부를 각각 판단한다(S430).
이후, 상기 판단 결과(또는 확인 결과), 상기 수신된 제 1 공기 정보 및 제 2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또는 상기 수신된 제 1 공기 정보 및 제 2 공기 정보에서 각각 대응하는 동일한 항목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단말(300)은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예를 들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주변 영상 정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외부/실외 영상 정보 등 포함)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를 상기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공기 조화기(4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에 포함된 대기 상태(예를 들어, 황사, 미세 먼지, 안개, 비, 눈 등 포함)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추가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 농도(예를 들어 0.14 ppm)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인 0.1 ppm보다 클 때, 상기 단말(300)은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내의 공기가 오염된 상태(또는 상기 실내의 공기뿐만 아니라 실외의 공기도 오염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4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또는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1 공기 정보 및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서의 동일한 항목인 포름알데히드 농도가 각각 0.14 ppm 및 0.12 ppm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인 0.1 ppm보다 클 때, 상기 단말(300)은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내의 공기가 오염된 상태(또는 상기 실내의 공기뿐만 아니라 실외의 공기도 오염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4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 2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제 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또는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기상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오염 여부 판단에 반영하여, 상기 기상 예보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포함된 실외기 및/또는 실내기의 동작 상태를 개별로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시각이 오후 3시이고,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 농도(예를 들어 0.12 ppm)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인 0.1 ppm보다 크고, 상기 기상 예보 정보에 오후 2시 이후 강수 확률 90%가 포함될 때, 상기 단말(300)은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내의 공기가 오염된 상태(또는 상기 실내의 공기뿐만 아니라 실외의 공기도 오염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하고, 강수에 따른 빗물이 실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포함된 실외기의 동작을 오프시키고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포함된 실내기의 동작을 온시키기 위한 제 3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제 3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실외기의 동작을 오프시키고, 상기 실내기의 동작을 온시켜서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기상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오염 여부 판단에 반영하여, 오염 여부에 따른 대처(또는 대응)를 위한 안내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출력한다.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확인 결과, 현재 시각이 오전 11시이고,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 농도(예를 들어 0.12 ppm)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인 0.1 ppm보다 크고, 상기 기상 예보 정보에 오후 2시 이후 강수 확률 90%가 포함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300)은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아파트의 하나 이상의 창문을 열어 실내를 환기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제 1 안내 정보(510), 상기 기상 예보 정보(520) 등을 출력한다.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확인 결과, 현재 시각이 오후 3시이고,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 농도(예를 들어 0.14 ppm) 및 상기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 농도(예를 들어 0.12 ppm)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인 0.1 ppm보다 크고, 상기 기상 예보 정보에 오후 2시 이후 강수 확률 90%가 포함될 때, 상기 단말(300)은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아파트의 외부가 강수 확률이 높은 상태이고 상기 공기 조화기(400)를 오프라인 상에서 동작시키도록 안내하기 위한 제 2 안내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출력한다(S440).
이와 같이, 상기 단말(300)은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센서 디바이스(100) 및 상기 기상 서버(200)를 통해 전송되는 제 1 공기 정보, 제 2 공기 정보, 기상 예보 정보 등을 근거로 오염 여부를 판단하여, 오염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400)를 구동하거나 오염 상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기상 서버(200)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외(또는 지역/영역)의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기상 서버(200)는 미리 등록된 단말별로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조화기(400)(또는 센서 디바이스(100))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300)에서 관리하는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지역의 제 2 공기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공기 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외(또는 지역/영역)의 온도(또는 기온), 습도, 미세 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포름알데히드 농도, 총부유세균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질소 농도, 라돈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석면 농도, 오존 농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상 예보 정보(또는 기상 예보)는 날짜별 및/또는 시간대별 예상 날씨 정보(예를 들어 맑은, 구름, 비, 흐림 등 포함), 강수 확률, 예상 강수량, 예상 기온(예를 들어 날짜별 최고/최저 기온), 예상 습도, 예상 풍향, 예상 풍속, 대기질 예보 정보(예를 들어 황사 경보, 오존 경보, 미세먼지 경보, 황사 주의보, 오존 주의보, 미세먼지 주의보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상 서버(20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상기 단말(300)의 정보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공기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상 서버(20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예를 들어 30분 단위, 1시간 단위 등 포함)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아파트 주변의 온도, 습도, 미세 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포름알데히드 농도, 총부유세균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질소 농도, 라돈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석면 농도, 오존 농도 등을 포함하는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기상 예보 정보(예를 들어 오후 1시 ~ 오후 4시 황사 주의보 등 포함)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S610).
이후, 상기 단말(300)은 상기 기상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예를 들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주변 영상 정보,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외부/실외 영상 정보 등 포함)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를 상기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공기 조화기(4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400) 주변의 영상 정보에 포함된 대기 상태(예를 들어, 황사, 미세 먼지, 안개, 비, 눈 등 포함)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추가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기상 예보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을 근거로 향후 일정 시간 이후에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이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내의 공기 상태와 상관없이(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내 공기의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로 유지되어 안정된 상태이더라도),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한다.
일 예로, 현재 시각이 오후 2시이고 상기 기상 예보 정보에 오후 1시 ~ 오후 4시 황사 주의보가 포함될 때,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센서 디바이스(100)에서 수집된 제 1 기상 정보 및/또는 상기 기상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제 2 기상 정보와 상관없이, 상기 단말(300)은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아파트의 외부가 황사 주의보인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포함된 실외기의 동작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실외기의 동작을 오프시켜 외부의 황사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일 예로, 현재 시각이 낮 12시 30분이고 상기 기상 예보 정보에 오후 1시 ~ 오후 4시 황사 주의보가 포함될 때, 상기 단말(300)은 상기 황사 주의보에 따른 오후 1시 이전까지 상기 공기 조화기(400)를 구동시켜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서,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또는 실내기의 동작을 온시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제 2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40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제 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또는 실내기의 동작을 온시켜 상기 실내의 공기를 정화한다.
또 다른 일 예로, 현재 시각이 오후 1시이고 상기 기상 예보 정보에 오후 1시 ~ 오후 4시 황사 주의보가 포함될 때, 상기 단말(300)은 상기 공기 조화기(400)가 위치한 아파트의 외부가 황사 주의보인 상태이고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실외기는 오프시키고 상기 공기 조화기(400)의 실내기만을 동작시키도록 안내하기 위한 제 1 안내 정보,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등을 출력한다(S620).
이와 같이, 상기 단말(300)은 상기 기상 서버(200)를 통해 전송되는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실내에 외부의 공기 유입이 어려운 경우, 사전에 실내에 외부 공기를 유입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400)를 구동하거나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디바이스, 기상 서버, 단말, 공기 조화기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공기 정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센서 디바이스, 기상 서버, 단말, 공기 조화기 등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센서 디바이스, 기상 서버, 단말, 공기 조화기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센서 디바이스에서 수집한 기상 정보와 기상청이나 기상 정보 수집 장치에서 수집한 기상 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여,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상청이나 기상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여, 기상 예보 정보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 기능을 사전에 수행하여 쾌적한 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센서 디바이스에서 수집한 기상 정보와 기상청이나 기상 정보 수집 장치에서 수집한 기상 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고, 기상청이나 기상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운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기상 예보 정보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 기능을 사전에 수행하여 쾌적한 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공기 조화기 분야, 단말 분야, 기상 정보 응용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 공기 정화 시스템 100: 센서 디바이스
200: 기상 서버 300: 단말
400: 공기 조화기(400) 310: 통신부
320: 저장부 330: 표시부
340: 음성 출력부 350: 제어부

Claims (10)

  1. 센서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제 1 공기 정보와 기상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내의 상기 제 1 공기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디바이스;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외의 상기 제 2 공기 정보와 상기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기상 예보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상기 기상 서버;
    상기 제 1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기상 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기상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기상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상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2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에 전송하는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 하나 이상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 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내의 온도, 습도, 미세 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포름알데히드 농도, 총부유세균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질소 농도, 라돈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석면 농도 및 오존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공기 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외의 온도, 습도, 미세 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포름알데히드 농도, 총부유세균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질소 농도, 라돈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석면 농도 및 오존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예보 정보는,
    날짜별 및 시간대별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대한 예상 날씨 정보, 강수 확률, 예상 강수량, 예상 기온, 예상 습도, 예상 풍향, 예상 풍속 및 대기질 예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공기 조화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공기 조화기 주변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 주변의 영상 정보에 포함된 대기 상태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추가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상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오염 여부를 판단할 때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오염 여부 판단에 반영하고, 오염 여부에 따른 대응을 위한 안내 정보 및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6. 센서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제 1 공기 정보와 기상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내의 상기 제 1 공기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디바이스;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외의 상기 제 2 공기 정보와 상기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기상 예보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상기 기상 서버;
    미리 저장된 기상 정보별 기준값 및,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기상 정보와 상기 수신된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기상 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오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1 공기 정보 및 제 2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에 전송하는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 하나 이상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7. 기상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외의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기상 서버;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상 예보 정보에 포함된 시각 이후에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이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될 때, 상기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에 전송하는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 하나 이상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8. 센서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제 1 공기 정보와 기상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을 통해, 상기 센서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내의 상기 제 1 공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제 1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기상 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기상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상 서버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외의 상기 제 2 공기 정보와 상기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기상 예보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전송된 기상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상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2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 조화기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 하나 이상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센서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제 1 공기 정보와 기상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을 통해, 상기 센서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내의 상기 제 1 공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기상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외의 상기 제 2 공기 정보와 상기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기상 예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미리 저장된 기상 정보별 기준값 및, 상기 제 1 공기 정보에 포함된 기상 정보와 상기 수신된 제 2 공기 정보에 포함된 기상 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1 공기 정보 및 제 2 공기 정보 내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 조화기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 하나 이상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기상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상 서버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외의 제 2 공기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상 서버를 통해, 상기 생성된 기상 예보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상 예보 정보에 포함된 시각 이후에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이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될 때, 상기 공기 조화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 조화기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 하나 이상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50049899A 2015-04-08 2015-04-08 공기 정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120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899A KR20160120607A (ko) 2015-04-08 2015-04-08 공기 정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899A KR20160120607A (ko) 2015-04-08 2015-04-08 공기 정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607A true KR20160120607A (ko) 2016-10-18

Family

ID=5724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899A KR20160120607A (ko) 2015-04-08 2015-04-08 공기 정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0607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861B1 (ko) * 2017-09-26 2018-06-12 덕산메카시스 주식회사 실내외 환경 연계형 실내 환경 자동제어시스템
WO2018182357A1 (en) * 2017-03-30 2018-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learning server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using learning model thereof
WO2019098433A1 (ko) * 2017-11-20 2019-05-23 김양기 공기 정화 장치
KR102030434B1 (ko) * 2019-01-18 2019-10-10 현대계장공업 주식회사 압력을 이용한 고압분무 미스트의 포그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68835B1 (ko) * 2019-04-02 2020-01-22 케이웨더(주) 쾌적한 공기 쉼터
CN110864409A (zh) * 2018-08-15 2020-03-0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空调器的控制方法
KR102095896B1 (ko) * 2019-07-10 2020-04-01 주식회사 실리콘큐브 강화 학습에 기반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
KR102101021B1 (ko) * 2019-08-06 2020-04-14 정찬면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57969B1 (ko) * 2019-11-05 2020-09-18 케이웨더(주) 쾌적한 공기 쉼터
KR20200116872A (ko) * 2020-09-14 2020-10-13 케이웨더(주) 공기 쉼터
KR20210006666A (ko) 2019-07-09 2021-01-19 한국토지주택공사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
US10970128B2 (en) 2018-04-13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WO2023128014A1 (ko) * 2021-12-29 2023-07-0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실내 재실자를 인식하여 공조기를 제어하는 공조기 제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7028A (ko) 2007-04-30 2008-11-04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차량 실내의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7028A (ko) 2007-04-30 2008-11-04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차량 실내의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357A1 (en) * 2017-03-30 2018-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learning server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using learning model thereof
US11137161B2 (en) 2017-03-30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learning server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using learning model thereof
KR101866861B1 (ko) * 2017-09-26 2018-06-12 덕산메카시스 주식회사 실내외 환경 연계형 실내 환경 자동제어시스템
WO2019098433A1 (ko) * 2017-11-20 2019-05-23 김양기 공기 정화 장치
US10970128B2 (en) 2018-04-13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110864409A (zh) * 2018-08-15 2020-03-0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空调器的控制方法
CN110864409B (zh) * 2018-08-15 2021-12-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空调器的控制方法
KR102030434B1 (ko) * 2019-01-18 2019-10-10 현대계장공업 주식회사 압력을 이용한 고압분무 미스트의 포그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68835B1 (ko) * 2019-04-02 2020-01-22 케이웨더(주) 쾌적한 공기 쉼터
KR20210006666A (ko) 2019-07-09 2021-01-19 한국토지주택공사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
KR102095896B1 (ko) * 2019-07-10 2020-04-01 주식회사 실리콘큐브 강화 학습에 기반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
KR102101021B1 (ko) * 2019-08-06 2020-04-14 정찬면 예측 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57969B1 (ko) * 2019-11-05 2020-09-18 케이웨더(주) 쾌적한 공기 쉼터
KR20200116872A (ko) * 2020-09-14 2020-10-13 케이웨더(주) 공기 쉼터
WO2023128014A1 (ko) * 2021-12-29 2023-07-0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실내 재실자를 인식하여 공조기를 제어하는 공조기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0607A (ko) 공기 정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680935B2 (en) Networked air quality monitoring
US9857090B2 (en) Programmable smart thermostat
KR101921125B1 (ko) 미세먼지 센서를 이용한 기상 정보 관리 장치,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6115919B2 (ja) デバイス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11024424A1 (ja) 連携気流制御装置
WO2016051733A1 (ja) 換気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1022259A (ja) 計測端末装置及び遠隔監視システム
US10469280B1 (en) Smart vacation
KR20160024536A (ko) 차량 내부 공기 정화를 위한 텔레매틱스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25287A (ko)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5149B1 (ko) 공기 정화 기능이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199153A (ja) 空調管理装置、空調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1629877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thereof customized for a pet
KR102239524B1 (ko)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26819B1 (ko) 원격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2017013762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환경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0697664B2 (en) Management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system
CN110398044B (zh) 新风机的控制方法、系统及新风机
KR20220151055A (ko) 사물인터넷에 기반하여 지능적으로 객실을 관리하는 지능형 객실관리 시스템
CN205191829U (zh) 空调遥控器及空调系统
KR20190091038A (ko) 공기 정화 시스템
KR102135429B1 (ko) 정보표시부가 구비된 창호
KR102085501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공조 시스템
KR101587181B1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및 설비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