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819B1 - 원격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819B1
KR101626819B1 KR1020140043792A KR20140043792A KR101626819B1 KR 101626819 B1 KR101626819 B1 KR 101626819B1 KR 1020140043792 A KR1020140043792 A KR 1020140043792A KR 20140043792 A KR20140043792 A KR 20140043792A KR 101626819 B1 KR101626819 B1 KR 101626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control
information
period
remot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273A (ko
Inventor
정승환
김준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3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819B1/ko
Publication of KR20150118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81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의 상태 정보를 기결정된 주기로 수신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어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 영역을 제어하는 원격 관리 서버 및 원격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기결정된 주기는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변경되는 원격 관리 서버 및 원격 관리 방법을 제공하여, 상기 상태정보의 전송량 및/또는 저장량이 상기 제어영역의 상태에 따라 효율적으로 관리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격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REMOTE MAINTENANCE SERVER, TOTAL MAINTENANCE SYSTEM INCLUDING THE REMOTE MAINTENANCE SERV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가 설치된 제어 영역(또는 제어 현장)을 원격에서 관리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TMS: Total Maintenance System) 및 원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가 설치된 제어 영역(제어 현장, 관리 지점)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TMS: Total Maintenance System)이 개발되는 추세이다. 특히 제어 영역이 복수일 때 원격 관리 시스템을 통해 효율적이고 간편한 관리가 가능해지므로 그 필요성이 더 커지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제어 영역이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된 건물들 내지 빌딩들일 수 있다.
기존의 건물 또는 빌딩의 경우, 그곳에 설치된 설비가 현대화됨에 따라 건물 내 설치된 전력, 조명, 공조, 방재 및 방범 등의 서브 시스템들(설비 또는 장비)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시스템이 확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서브 시스템들을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빌딩 관리 시스템(Building Management System; BMS)과 같은 중앙 관제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빌딩 관리 시스템은, 하나의 빌딩 내에 설치된 설비들에 대한 기능을 제어하는데 그 역할이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각 빌딩 내에 설치된 설비들에 대한 유지, 보수 및 소비하는 에너지(또는 전력) 량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특히, 하나 이상의 제어 현장을 원격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이 필요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설비들에 대한 유지, 보수 및 소비하는 에너지량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가 원격으로 전송될 때 항상 동일한 주기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통신 부하 및 데이터 저장량이 불필요하게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를 개선한 관리 시스템이 필요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설비가 설치된 제어 영역이 전송하는 상기 제어영역의 상태 정보의 전송량과 수신된 상태정보의 저장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원격 관리 서버 및 원격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는, 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 정보를 기결정된 주기로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에 전달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결정된 주기는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경되거나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기결정된 주기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상태는 상기 제2상태보다 상기 상태정보의 중요도가 높은 상태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설비가 설치된 제어 영역의 상태정보를 근거로 상기 상태정보의 중요도가 낮은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상태정보의 중요도가 높은 상태에서의 데이터의 전송주기와 다르게 전송주기를 설정하여, 상기 상태정보를 빈번하게 수신할 필요가 없는 상태일 때 전송량 및 저장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원격 관리 서버 및 관련 설비들의 전력 내지 저장용량, 통신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 정보는 상기 설비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결정된 주기는, 상기 제1상태일 때 상기 통신부가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주기인 제1주기; 및 상기 제2상태일 때 상기 통신부가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주기인 제2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주기는 상기 제2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주기는 10초이고, 상기 제2주기는 600초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설비는 냉매압축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태는 상기 압축기가 운전중인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압축기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설비는 실내기 및 실외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태는 상기 실외기가 운전중인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실외기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설비는 실내기 및 실외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태는 상기 실내기가 냉방 모드, 난방 모드 및 제습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운전중인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실내기가 송풍 모드로 운전중이거나 상기 실내기가 정지중인 상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설비를 제어하는 로컬 제어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컬 제어기를 통해 상기 설비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로컬 제어기는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어 영역의 현재 상태가 상기 기결정된 주기 전의 상태에서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현재 상태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변경되거나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로컬 제어기는 상기 현재상태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상기 제1주기에서 상기 제2주기로 변경하고, 상기 현재상태가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상기 제2주기에서 상기 제1주기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로컬 제어기는 상기 기결정된 주기마다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어 영역의 현재 상태가 상기 기결정된 주기 전의 상태에서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현재 상태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경되거나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상태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상기 제1주기에서 상기 제2주기로 변경하고, 상기 현재상태가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상기 제2주기에서 상기 제1주기로 변경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결정된 주기마다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로컬 제어기와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로컬 제어기는 상기 설비와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 1 통신 방식은, 이동 통신망,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및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RS 485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통신부는 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가 설치된 복수의 제어 영역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제어 영역 각각은 상기 원격 관리 서버에 의해 유지, 보수, 관리되는 건물, 빌딩, 점포, 상가 및 학교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결정된 주기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근거로 결정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기결정된 주기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원격 관리 방법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을 원격에서 유지, 보수 및 관리하는 원격 관리 서버에 의한 원격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 정보가 기결정된 주기로 수신되는 상태정보 수신단계; 및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결정된 주기가 변경되는 전송주기 변경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기결정된 주기는 기 제1상태일 때 상기 통신부가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주기인 제1주기; 및 상기 제2상태일 때 상기 통신부가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주기인 제2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상태는 상기 제2상태보다 상기 상태정보의 중요도가 높은 상태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설비가 설치된 제어 영역의 상태정보를 근거로 상기 상태정보의 중요도가 낮은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상태정보의 중요도가 높은 상태에서의 데이터의 전송주기와 다르게 전송주기를 설정하여, 상기 상태정보를 빈번하게 수신할 필요가 없는 상태일 때 전송량 및 저장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원격 관리 서버 및 관련 설비들의 전력 내지 저장용량, 통신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경되거나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상태변경 판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전송주기 변경단계는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제2주기로 변경하고,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가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제1주기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설비는 공기조화기이고, 상기 제1주기는 상기 제2주기보다 짧고, 상기 제1상태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압축기가 운전중인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압축기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상태변경 판단단계는 상기 기결정된 주기마다 상기 제어영역의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 즉시 상기 제어영역의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 정보가 수신되고 기결정된 주기가 경과한 후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 상기 원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에 따르면, 설비가 설치된 제어 영역의 상태정보를 근거로 상기 상태정보의 중요도가 낮은 상태인 경우에는 그 전송주기를 길게 설정하고 상기 상태정보의 중요도가 높은 상태인 경우에는 그 전송주기를 짧게 설정하여 상기 상태정보의 전송량 및 저장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로컬 제어기 및 설비 또는 장비들 간의 구체적인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의 원격 관리 서버 및 복수의 로컬 제어기 간의 연결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에서 시간에 따라 수신된 설비 또는 제어 영역의 상태정보 그래프로서, 기결정된 주기마다 수신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에 연결되는 외부 단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이 이동 단말기 형태로 구현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제어 현장, 관리 지점)을 원격에서 관리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원격 관리 시스템 TMS: Total Maintenance System) 및 원격 관리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내지 원격 관리 서버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원격으로 적어도 하나의 관리 지점을 관리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내지 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기기 내지 단말은 넓은 의미의 단말을 의미하는 것으로, 디지털 텔레비젼(TV), 스마트 TV,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텔레비전(Television), 3D 텔레비전, A/V(Audio/Video) 시스템, 홈 시어터(Home Theater) 시스템, 정보 제공 센터, 콜 센터(call center)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 또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영역, 제어 현장 또는 관리 지점은 중앙(또는 본사)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관리 대상 또는 원격 관리 서버에 의해 유지, 보수, 관리되어야 하는 관리 지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건물, 빌딩, 점포, 상가 및 학교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일 수 있다.
상기 점포는 일정 물건을 매매할 수 있는 곳을 의미하는 곳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점포는, 상점, 제과점, 편의점등이 이에 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점포에 설치된 설비에 대한 유지, 보수 및 에너지 관리를 위한 원격 관리 서버, 체인점 관리 시스템 및 점포 관리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점포는 특히, 복수의 상품들을 취급하는 복수의 상점들을 중앙에서 통제하는 점포 조직에 해당하는 체인점(Chain Store)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체인점들에 대한 유지, 보수 및 에너지 관리를 위한 원격 관리 서버, 체인점 관리 시스템 및 체인점 관리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 내지 원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어 영역에 설치된 설비 또는 장비에 관한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 내지 원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어 영역에 설치된 설비들에 대한 유지 및 보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설비들에 대한 설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통해 상기 설비들에 대한 고장 상태 검출하고, 고장난 설비에 대한 보수를 진행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 서버 내지 원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설비들에 대한 상태에 관한 보고서 작성기능, 고장난 설비에 관한 경보 기능 및 상기 설비들의 상태와 관련된 장기간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 서버 내지 원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설비들이 소비하는 에너지 내지 전력량을 관리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 내지 원격 관리 시스템은, 하나의 관리지점에 설치된 설비들과 관련된 에너지를 관리하거나 복수의 관리지점 각각에 설치된 설비들과 관련된 에너지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관리 지점 내의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면서 에너지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에 대한 설명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또는 원격 관리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도 1 내지 도 4에 개시된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원격 관리 시스템, 지점 관리 시스템, 점포 관리 시스템 또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a)는 본 명세서에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 간 연결관계 측면에서의 개념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10)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를 제어 또는 관리하는 로컬 제어기(100) 및 원격 관리 서버(1)를 포함한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 제어 현장 또는 관리 지점(현장 A ~ 현장 D)를 유지, 보수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현장 A ~ 현장 D) 각각은 에너지 또는 전력을 소비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현장 A ~ 현장 D)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제어 또는 관리하는 로컬 제어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원격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현장 A ~ 현장 D) 각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함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에 대한 유지, 보수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로컬 제어기(100)로부터 상기 설비(200)의 상태를 포함한 상기 제어 영역의 각종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결정된 주기로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의 상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에 해당하는 제어 설정 상태, 운전 상태 및 고장 상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대한 각종 정보를 상태 정보라고 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설정 상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에 대한 제어 속성 내지 제어 파라미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설비의 제어에 있어서 제어 대상이 다양한 변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비가 공기 조화기인 경우, 상기 제어 설정, 제어 속성 내지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목표 온도(또는 설정 온도), 상한 온도, 하한 온도, 풍량, 운전 또는 정지 여부 등이 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에 구비되는 냉매압축사이클의 상태정보, 압축기의 상태정보, 외기정보, 내기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압축사이클의 상태정보란, 냉매압축사이클의 운전/정지 정보 뿐 아니라 냉매의 온도나 압력 등 물리적인 상태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의 상태정보란, 상기 압축기의 운전/정지 여부, 구동속도(Hz) 등 상기 압축기의 상태를 근거로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설비가 조명 설비인 경우, 상기 제어 설정, 제어 속성 내지 제어 파라미터는, 조명 밝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설비의 상태정보는 상기 조명 설비의 운전 또는 정지 여부, 조명의 세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에 대한 고장 상태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로컬 제어기(100)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설비의 고장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 중 특정 설비가 고장난 경우, 상기 특정 설비에 대한 보수가 이루어지도록 설비를 보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센터(구체적으로는 서비스 센터 서버, 미도시)에 접속하여 보수 작업 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센터는 상기 보수 작업에 대한 요청이 접수된 경우, 보수 작업에 대한 서비스 기사가 상기 특정 설비가 설치된 제어 현장으로 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상기 로컬 제어기(100)과의 통신은 다양한 통신 방식 내지 통신 프로토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상기 로컬 제어기(100)는 이동 통신망,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및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 내지 통신 프로토콜로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과의 통신도 다양한 통신 방식 내지 통신 프로토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컬 제어기(10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는 RS 485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10)은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별도의 단말(4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10)의 사용자 내지 관리자는 상기 별도의 단말(40)을 통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에 접속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현장 A ~ 현장 D)들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별도의 단말(40)은 넓은 의미의 단말을 의미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별도의 단말(40)은 PC(Personal Computer), 디지털 텔레비젼(TV), 스마트 TV,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텔레비전(Television), 3D 텔레비전, A/V(Audio/Video) 시스템, 홈 시어터(Home Theater) 시스템, 정보 제공 센터, 콜 센터(call center)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 또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b)는 본 명세서에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간 지리적 위치 관계 측면에서의 개념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10)은 전국적으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제어 영역, 제어 현장 또는 관리 지점(11 내지 19)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복수의 제어 영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제어 영역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10)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또는 설비 기기)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내지 19),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내지 19)을 관리하는 원격 관리 서버(1)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내지 19)은 도 1(a)에 도시된 현장 A ~ 현장 D와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내지 19)이 전국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10)은 설비 기기가 설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내지 19)이 넓은 영역에 걸쳐 각각 분포되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내지 19)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제어 영역과 연결되어 상기 특정 제어 영역을 관리하고 원격 관리 서버(1)와 연결되는 지역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역서버는 특정 제어 영역과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를 중계하는 별도의 서버이거나, 또는 복수의 제어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서버로써 동작할 수 있다.
이때 각 제어 영역(11 내지 19)은 전국 또는 일부 지역에 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각 제어 영역(11 내지 19)은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연결되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복수의 제어 영역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그 동작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제어 영역은 중앙(또는 본사)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관리 대상 또는 원격 관리 서버에 의해 유지, 보수, 관리되어야 하는 관리 지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건물, 빌딩, 점포, 상가 및 학교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영역이 점포인 경우, 상기 제어 영역은 편의점, 제과점 등의 체인점이 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10)은 공기조화기뿐 아니라, 그외의 설비 기기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내지 19)을 도 1(b)에서와 같이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광범위하게 분포되는 복수의 제어 영역을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10)은 각 지점에 대한 소비 전력(또는 에너지 소비량)을 지역 단위뿐 아니라, 전국 단위로 관리할 수 있고 나아가 복수의 국가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에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내지 19) 각각은, 하나 이상의 설비(또는 설비 기기) 및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비는, 상기 제어 영역 내에 구비되는 설비(또는 서브 시스템)로서, 예를 들어, 에어컨, 환기, 공조기(공기 조화기), 팬, 보일러,냉각탑, 펌프, 온/습도센서, 냉동기, 조명기기, 전력기기, 냉장고, 냉동고, 진열대(showcase), 화재 시스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비는, 예를 들어 냉각탑 시스템을 설비로 하는 경우, 냉각탑, 펌프, 온도 센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 정보의 하나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의 특정 기간 동안의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기간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거나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기간은, 1일 단위, 1주 단위 또는 1개월 단위로 지정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1일마다 상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1월 1일 ~ 1월 20까지의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내지 19)을 특정 분류 기준을 근거로 적어도 하나의 그룹(제어 그룹, 관리 그룹, 군, 제어 군 또는 관리 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분류 기준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특정 분류 기준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의 분류는 전술한 다차원 클러스터링 기법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에 대한 영역 특성(제어 현장 내지 관리 지점에 대한 특성)에 따른 분류 기준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역 특성은, 상기 제어 영역의 정적 속성 및 동적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영역 특성은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 정보에 포함된다. 즉,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 정보는 상기 영역 특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 특성에 대한 정보가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 기결정된 주기마다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정적 속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의 크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11 ~ 19)의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11 ~ 19)에 설치된(또는 구비된) 설비에 대한 설비 용량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의 크기에 대한 속성은, 영역의 평수, 층고, 층수, 창문 너비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의 위치에 대한 속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11 ~ 19)의 위치하는 방향(동,서,남,북), 위도, 경도 및 지리학적 위치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설비에 대한 설비 용량은, 조명 개수, 조명 소비전력, 공조기 개수, 공조기 용량, 냉장설비 개수, 냉장설비 용량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적 속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이 위치한 지점(또는 지역)에 해당하는 기상 정보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적 속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이 위치한 지점(또는 지역)에 해당하는 일 평균 외기 온도, 최대 외기 온도, 최저 외기 온도, 강수량, 강설량 및 운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을 점포 크기(평수) 및 조명 규모(조명 개수)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을 상기 제어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조명 규모가 큰 대규모 그룹(제 1 그룹), 상기 점포 크기 및 상기 조명 규모가 중간인 중규모 그룹(제 2 그룹) 및 상기 점포 크기 및 상기 조명 규모가 작은 소규모 그룹(제 3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그룹 ~ 상기 제 3 그룹 각각에는 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류 기준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류 기준은 전술된 제어 영역의 정적 속성 및 동적 속성에 관한 복수의 분류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다차원 클러스터링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을 상기 복수 개의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다차원 클러스터링 기법은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차원 클러스터링 기법은 K-means Clustering 기법일 있다.
상기 K-means Clustering 기법은, 다수의 데이터(Data Set)에서 개별 집합(Cluster)들의 개수(k)와 기준들을 선정하고, 해당 기준에 가까운(Mean)들을 해당 집합(Cluster)에 소속시켜 분류(또는 Clustering)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클러스터링 기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적용될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의 분류는 다양한 요청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사용자 요청(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분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필요에 따라 상기 분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신규 제어 영역, 제어 현장 또는 관리 지점이 추가된 경우, 자동적으로 상기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주기적으로 상기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1일 단위, 1주 단위 또는 1개월 단위로 상기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그룹 분류 수행의 시나리오를 살펴보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신규 제어 영역이 등록되는 경우, 전술된 분류기준 중 정적 속성에 따라 제어 영역들을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는, 정적 속성의 경우, 시간적으로 자주 변경되거나 변화하는 분류기준이 아닌바 신규 제어 영역 등록 시에만 분류가 수행되어도 되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정적 속성을 근거로 한 분류 결과를 기반으로 1일 단위로 전술된 분류 기준 중 동적 속성에 따라 상기 제어 영역들을 재분류할 수 있다.
이는, 동적 속성의 경우, 1일 단위로 변화되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주기적인 분류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정적 속성 및 상기 동적 속성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분류된 최종 그룹을 기준으로 그룹 단위의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그룹 단위의 소모 에너지 또는 전력 사용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시스템(또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10)은 원격 관리 서버(1),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로컬 제어기(100', 100''), 하나 이상의 설비(200', 200'') 및 장비(300', 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비(200', 200'')는,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서브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에어컨, 환기, 공조기, 팬, 보일러,냉각탑, 펌프, 온/습도센서, 냉동기, 조명기기, 전력기기, 화재 시스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장비(300', 300'')는 예를 들어 냉각탑 시스템을 설비로 하는 경우, 냉각탑, 펌프, 온도 센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건물 전체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제어, 감시(또는 모니터링) 또는 관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설비들(200', 200''), 예를 들어 기계설비, 조명, 전력, 출입통제, 방재, 주차관리, 시설관리 등을 위한 별도의 단말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설비(200', 200'') 및 이에 포함된 장비들(300', 300'')을 제어, 감시 또는 관리하는 자동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로컬 제어기(100') 및 제 2 로컬 제어기(100'')는 각각 서로 다른 제어 영역, 제어 현장 또는 관리 지점에 구비된 로컬 제어기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각각의 제어 영역을 효율적으로 유지, 보수 또는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제어 영역에 설치 또는 배치된 설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설비에 대한 유지 또는 보수 과정 또는 그에 대한 처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입출력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영역, 제어 현장 또는 관리 지점은 중앙(또는 본사)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관리 대상 또는 원격 관리 서버에 의해 유지, 보수, 관리되어야 하는 관리 지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건물, 빌딩, 점포, 상가 및 학교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물 내지 빌딩은 제어 대상이 되는 건축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가, 편의점, 점포, 주택, 사무실, 오피스텔, 공장 건물 빌딩, 학원 또는 병원 건물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수신되는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상기 제어 영역 내에서 상기 설비들(200', 200'')를 유지, 보수, 제어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하므로 ACP(Advanced Control Platform)이라고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서로 통신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관리 프로그램 또는 상기 관리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설비들(200', 2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는 설비의 상태정보와 같은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며 구체적인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상기 설비들(200', 20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장비(400, 400'), 예를 들어 각각의 센서 및 조작 기기들을 통해 제어 영역 내 설비들의 제어출력 및 상태 변화 등과 같은 설비관련 정보를 기록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예를 들어, 상기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설비(200', 200'') 또는 장비(300', 300'')를 제어, 관리 또는 감시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통신 네트워크(P10)를 통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과 연결되어서, 필요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한다.
그에 따라,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상기 제어 영역 내에 설치된 공조 및 기타 설비들을 감시, 관리 또는 제어하기 위해 상기 설비(200', 200''') 또는 장비(300', 300'')의 입출력 신호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200', 200'') 사이에 연결되어서 관리 프로그램 또는 상기 관리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그 실행 결과를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관리 프로그램 또는 상기 관리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에 전송하고,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로부터 상기 관리 프로그램 또는 상기 관리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 명령에 따른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수단으로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상기 실행 결과를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통신 네트워크(P1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이동 통신망,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및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상기 설비들(200', 200'')와 통신 네트워크(P20', P20'')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상기 설비들(200', 200'')은 RS 485를 근거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또는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로컬 제어기 및 설비 또는 장비들 간의 구체적인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된 바와 같이 원격 관리 서버(1)는 로컬 제어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외부로부터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에 접속하는 단말(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관리 지점 또는 제어 영역(30') 내부에는 지점 내부 공기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냉각기, 온장고 등의 냉난방기기, 조명기기 및 보안기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설비 기기에 각각 연결되어 소비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복수의 전력측정기(151 내지 15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점포에는 실내기(154_1,151_1,151_2), 실외기(154_2), 냉장고(152_3), 쇼케이스(152_2), 온장고(152_1), 계산기(153_1), 조명(151_3)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실내기(154_1,151_1,151_2)는 실내를 공조시키고, 복수의 실내기는 실내 공조 부하에 따라 함께 혹은 단독으로 운전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및 실외기 이외에도,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제습장치, 가습장치와 같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 실내기 및 실외기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실외기 및 실내기의 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실내기는 복수의 운전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는 실내의 공기 온도를 낮추는 냉방 모드, 실내의 공기 온도를 높이는 난방 모드, 실내의 공기 습도를 낮추는 제습 모드,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실외 공기와 교환되도록 하는 송풍 모드 등 실내의 공기 조화를 위한 각종 운전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운전 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구비되는 냉매압축사이클 및/또는 송풍팬을 제어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실내기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냉매압축사이클을 구성하고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실외기는 냉매압축사이클을 구성하고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50)와, 냉매와 실외공기가 열 교환되는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냉/난방 모드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조명기기(151_3)는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연결된 스위치에 의에 제어된다.
냉장고(152_3) 또는 쇼케이스(152_2)는 내부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여 식품을 보관하는데 사용된다.
쇼케이스(152_2)는 냉각 사이클에 따라 냉기를 노출하여 내부 온도가 낮아지도록 조절한다.
온장고(152_1)는 내부 온도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여 내부의 물건이 따뜻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계산기(153_1)는 금전을 관리하고 영수증을 발급한다.
이렇게 지점에 설치되는 설비는 관리 지점 또는 제어 영역 내의 로컬 제어기(100, 또는 지점 제어기)를 통해 각 기기별 동작상태 및 기기별 전력 소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상태 정보가 관리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는, 제어 영역 전체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제어, 관리 또는 감시하는 장치로서, 제어 영역 내에 구비되거나 설치된 설비 기기들, 예를 들어 기계설비, 조명, 전력, 출입통제, 방재, 주차관리, 시설관리 등을 위한 별도의 단말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는 전력측정기(151 내지 154)로부터 측정되어 입력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각 기기에 대한 제어데이터 및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제어기(100)는 원격 관리 서버(1)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각 기기에 대한 제어설정을 변경하고, 그 동작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컬 제어기(100)는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 상기 설비들의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되 기결정된 주기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로컬 제어기(100)는 공기조화기의 상태 정보를 기결정된 주기로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조화기의 상태정보란, 공기조화기의 운전 및 정지상태, 압축기의 운전 및 정지상태, 실외기의 운전 및 정지 상태, 실내기의 운전모드를 포함한 운전 및 정지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어에 필요한 상술한 각종 상태 정보 내지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로컬 제어기(1)에는 각 지점별(또는 점포별)로 고유의 계정이 할당되어, 계정에 따른 아이디가 발급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는 지점의 계정인, 아이디를 통해 원격 관리 서버(1)에 접속함으로써, 해당 지점에 대한 제어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기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전술된 설비 제어 스케줄 또는 설비 관리 스케줄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일 수 있다.
상기 설비 제어 스케줄은 전술된 설비들에 대한 제어 속성 내지 제어 파라미터의 시간에 따른 설정 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비 관리 스케줄은 상기 설비들을 유지 또는 보수하기 위한 스케줄로써, 상기 설비들의 보수 점검 스케줄, 과거 이력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비 관리 스케줄은, 상기 설비들이 소비하는 전력량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설비들이 소비하는 전력량을 일정 이하로 관리하기 위한 제어 속성 내지 제어 파라미터의 시간에 따른 설정 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는 수집되어 저장된 제어 영역별 소비 전력량(또는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정보를 원격 관리 서버(1)로 전송하고, 그에 따른 요금정보도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컬 제어기(100)는 상기 정보를 기결정된 주기로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제어기(100)는 필요에 따라 또는 원격 관리 서버(1)의 요청에 따라,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 자신의 설비 제어 스케줄 또는 설비 관리 스케줄을 전송할 수 있다.
원격 관리 서버(1)는 각각의 제어 영역에 할당된 계정을 이용하여 각 제어 영역을 구분하고 요청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각 제어 영역의 로컬 제어기는 자신에게 할당된 계정을 이용하여 원격 관리 서버(1)에 접속할 수 있고, 각 제어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원격 관리 서버(1)와 각 제어 영역은 각각 권한이 상이한 아이디가 할당되며, 아이디를 이용한 접속 시 아이디에 설정된 권한에 따라 표시되는 데이터가 제한되어 나타날 수 있다.
제어 영역, 제어 현장 또는 관리 지점의 아이디를 통한 원격 관리 서버(1) 접속 시, 해당 관리 지점에 대한 데이터만을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설정에 따라 복수의 제어 영역, 제어 현장 또는 관리 지점을 통합 제어(또는 관리)하거나, 개별 제어(또는 관리)할 수 있으며, 통합 제어(또는 관리) 시 소정 관리 지점에 대하여 예외처리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휴대 단말, 노트북 등의 단말(40)의 접속에 대하여 접속 계정에 따라 소정 관리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접속된 단말의 종류에 관계없이 접속 계정에 대응하는 관리 지점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또는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의 원격 관리 서버 및 복수의 로컬 제어기 간의 연결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제어 영역, 제어 현장 또는 관리 지점(30) 및 상기 복수의 제어 영역(30)과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는 원격 관리 서버(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어 영역(30) 각각은 로컬 제어기(100_1 ~ 100_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_1 ~ 100_3)는 다양한 정보 내지 통신 데이터들을 원격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로컬 제어기(100_1 ~ 100_3)는 상기 다양한 정보 내지 통신 데이터들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라우터(router)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컬 제어기(100_1 ~ 100_3)는 상기 다양한 정보 내지 통신 데이터들을 원격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 유닛(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은 라우터(router)의 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트 웨이(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게이트 웨이는 상기 원격 관리 서버(1) 및 상기 로컬 제어기(100_1 ~ 100_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장치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 관리 화면은 에어컨 정보, 냉장 정보, 전력 사용 정보, 설비 정보, 고장 이력 정보, 고장 설정 정보 및 에너지 사용 상세 정보에 관한 화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단말(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어 영역(30)은 상기 복수의 제어 영역(30) 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비 또는 장치(110_1 ~ 110_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비 또는 장치(110_1 ~ 110_3)는 상기 복수의 제어 영역(30) 내에 배치된 에어컨, 냉장고, 냉동고, 진열대 등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 또는 장치(110_1 ~ 110_3)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상태 데이터는 상기 각 설비 내지 장치(110_1 ~ 110_3)가 에어컨의 경우에는 실내 온도, 냉장고, 냉동고, 진열대의 경우에는 고내 온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데이터는 현재 온도 뿐만 아니라, 습도, 유량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설비 또는 장치(110_1 ~ 110_3)는 전력량계 등의 제어 영역 내의 설비를 포함하므로, 상기 상태 데이터는 각 설비 내지 장치(110_1 ~ 110_3)의 전력 사용량 및 전체 전력 사용량(또는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어 영역(30)은 상기 설비 내지 장치(110_1 ~ 110_3)로부터 상기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로컬 제어기(100_1 ~ 100_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제어기(100_1 ~ 100_3)는 상기 설비 내지 장치(110_1 ~ 110_3)를 원격 제어 또는 관리하는 데이터를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상기 상기 설비 내지 장치(110_1 ~ 110_3)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설비 내지 장치(110_1 ~ 110_3)와 연결되고, 상기 상태 데이터가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이상 상태가 지속 되면 고장 이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이상 상태의 지속 시간이 임계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고장 이력 데이터를 출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제어 영역 내 설비 또는 장치의 이상 발생을 상기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통지하여 상기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복수의 제어 영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고장 이력 데이터를 관리자 서버 또는 유지 또는 보수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센터로도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에 대한 설명
이하에서 개시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는, 전술된 실시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중앙 관리 서버에 관한 실시예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전술된 원격 관리 시스템의 내용과 중복된 원격 관리 서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설비 및 상기 제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기결정된 주기로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에 전달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결정된 주기는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변경된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1)는 통신부(1_3) 및 제어부(1_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입력부(1_1), 디스플레이부(1_2) 및 저장부(1_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기능을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상기 원격 관리 서버(1)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다만, 도 1 내지 도 4에 개시된 원격 관리 서버(1)와 관련된 내용과 중복된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_3)는, 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30)과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30) 각각은, 상기 설비를 제어하거나 관리하는 로컬 제어기(또는 로컬 관리기, 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부(1_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30) 각각에 포함된 로컬 제어기(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1_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30)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30) 각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제어하는 로컬 제어기(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_4)는, 상기 로컬 제어기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관리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30) 각각은, 원격 관리 서버(1)에 의해 유지, 보수, 관리되는 건물, 빌딩, 점포, 상가 및 학교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영역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30)은 제어 현장, 관리 현장 내지 관리 지점등으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1_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30)의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영역의 특정 기간 동안의 에너지 사용량(또는 전력 소비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설비의 상태정보나 제어 영역의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1_3)는 이러한 상태정보를 기결정된 주기로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_3)는, 상기 로컬 제어기(100)와 통신하여 기결정된 주기로 상기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로컬 제어기(100)는 게이트 웨이의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상기 통신부(1_3)는,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상기 로컬 제어기(100) 간을 연결하는 별도의 게이트 웨이를 통하여 상기 로컬 제어기(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기간은, 1일 단위, 1주 단위 또는 1개월 단위로 지정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통신부(1_3)는, 상기 로컬 제어기(100)와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제어기(1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와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통신 방식은, 이동 통신망,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및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RS 485인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1_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30)으로부터 상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 및/또는 상기 제어영역의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센터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정보들을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센터 서버는, 전술된 전력량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전력량 관리 서버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부(1_3)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30) 각각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전력 소비량 정보 및/또는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지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30) 각각으로부터 전력 소비량 정보를 수집하는 상기 전력량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상기 전력 소비량 정보 및/또는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어부(1_4), 상기 통신부(1_3)로부터 획득된 상태정보를 근거로 설비를 포함한 제어영역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어 영역의 현재 상태가 상기 기결정된 주기 전의 상태에서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현재 상태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경되거나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변경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로컬 제어기가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어 영역의 현재 상태가 상기 기결정된 주기 전의 상태에서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로컬 제어기에 의해 현재 상태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경되거나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변경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현재 상태가 변경되었는지를 기결정된 주기마다 판단하거나, 상기 로컬제어기가 기결정된 주기마다 상기 제어영역의 현재상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상태는 상기 제2상태보다 상기 상태정보의 중요도가 높은 상태이다. 즉 제1상태에서는 상기 제2상태에 비하여 상기 제어영역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영역의 상태정보가 더 자주 필요한 상태이다.
예를 들면, 상기 설비는 냉매압축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태는 상기 압축기가 운전중인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압축기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설비는 실내기 및 실외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태는 상기 실외기가 운전중인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실외기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설비는 실내기 및 실외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태는 상기 실내기가 냉방 모드, 난방 모드 및 제습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운전중인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실내기가 송풍 모드로 운전중이거나 상기 실내기가 정지중인 상태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설비가 설치된 제어 영역의 상태정보를 근거로 상기 상태정보의 중요도가 낮은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상태정보의 중요도가 높은 상태에서의 데이터의 전송주기와 다르게 전송주기를 설정하여, 상기 상태정보를 빈번하게 수신할 필요가 없는 상태일 때 전송량 및 저장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원격 관리 서버 및 관련 설비들의 전력 내지 저장용량, 통신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영역의 상태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경되거나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기결정된 주기는 제1주기에서 제2주기로 변경되거나 제2주기에서 제1주기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기결정된 주기는, 상기 제1상태일 때 상기 통신부가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주기인 제1주기; 및 상기 제2상태일 때 상기 통신부가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주기인 제2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주기는 상기 제2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주기는 10초이고, 상기 제2주기는 600초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제어영역의 현재 상태가 변함에 따른 기결정된 주기 변경의 일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시간에 따라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상기 제어영역의 각종 상태정보의 그래프로, x축은 상태정보가 상기 통신부로 전송된 시간(sec)이고, y축은 전송되는 각종 상태정보의 수치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영역,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의 압축기(50)가 정지중(제2상태)인 상태에서는 각종 상태정보가 제2주기마다 수신된다. 이렇게 계속 제2주기마다 상태정보가 수신되다가, 상기 압축기(50)의 현재 상태가 운전상태(제1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주기는 제1주기로 변경되고 상태정보가 제1주기마다 수신된다. 즉, 상기 압축기가 정지중인 상태에서 운전중인 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태정보가 더 자주 수신되도록 그 전송주기가 변경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압축기가 운전중인 상태에서 정지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상태정보의 전송주기는 제1주기로 변경되어 다시 뜸하게 수신된다.
반면, 상기 압축기의 상태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즉 계속 운전중인 상태가 유지되거나 운전이 계속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태정보의 전송주기인 기결정된 주기는 변경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설비를 포함한 제어영역의 현재 상태가 기결정된 주기 전의 상태에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기결정된 주기를 변경하여 상태정보가 수신된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여러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 정보가 기결정된 주기로 수신한다.(S10) 그리고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경되거나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변경되었는지 판단(S30)한다.
이때 이러한 판단은 상기 기결정된 주기마다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태정보가 수신된 후 기결정된 한 주기가 경과할 때까지 대기(S21)하였다가 현재 상태가 변경된 것인지 판단(S30)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현재 상태가 기결정된 주기 전의 상태에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변경(S40)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영역의 현재 상태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제2주기로 변경하고,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가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제1주기로 변경한다.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현재 상태가 기결정된 주기 전의 상태와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즉 종전 상태가 제1상태이고 현재 상태도 제1상태로 판단되거나, 종전 상태가 제2상태이고 현재 상태도 제2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기결정된 주기를 변경하지 않고 다시 상태 정보를 수신(S10)하게 된다.
이때 수신될 수 있는 상태정보, 제1상태, 제2상태, 제1주기 및 제2주기 등은 상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 정보가 기결정된 주기로 수신한다.(S10) 그리고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경되거나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변경되었는지 판단(S30)한다.
이때 이러한 판단은 상기 기결정된 주기마다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도 8의 실시예에서는 도 7의 실시예와 판단 시점이 다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태정보가 수신된 후 즉시 현재 상태가 변경된 것인지 판단(S30)한 후 상기기결정된 주기를 변경하고 변경된 기결정된 주기 동안 대기하여 다시 상태 정보를 수신(S10)하게 된다.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현재 상태가 기결정된 주기 전의 상태와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즉 종전 상태가 제1상태이고 현재 상태도 제1상태로 판단되거나, 종전 상태가 제2상태이고 현재 상태도 제2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기결정된 주기를 변경하지 않고 기결정된 주기 동안 대기(S31)한 후 다시 상태 정보를 수신(S10)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제어부(1_4), 상기 통신부(1_3)로부터 획득된 전력 소비량 정보를 근거로 전력 소비량에 대한 절감이 필요한지 판단하고, 상기 전력 소비량에 대한 절감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_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가 상기 통신부로 전송되는 전송주기는 기설정된 것으로, 기저장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입력부(1_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_4)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근거로 상기 전송주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1_1)는, 사용자로부터 전술된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또는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_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_2)에 의해 표시되는 제어 화면상의 설비 제어와 관련된 제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_1)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_2)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부(1_1)는,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_1)는 사용자가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_2)는,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_2)는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_2)는 상기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_2)는 상기 제어부(1_4)에 의한 처리 결과를 상기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_2)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_2)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_2)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_2)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저장부(1_5)는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에 의해 수신, 처리 및 생성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_5)는, 상기 제어부(1_4)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 제어 처리 과정 내지 제어 결과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장부(1_5)는 전술된 상태정보 및 에너지정보를 포함한 제어 영역들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_5)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또는 상기 제어 화면)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_5)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Solid State Disk or Solid State Driv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1_5)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원격 관리 서버와 연결된 단말을 통한 원격 관리 기능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에 연결되는 외부 단말을 통한 원격 관리 기능에 대해 상술한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통한 원격 관리 기능은, 전술된 실시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통한 원격 관리 기능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에 연결되는 외부 단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1)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단말(또는 외부 단말, 5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전술된 통신부(1_3)를 통하여 상기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TMS)의 사용자 내지 관리자는 상기 단말(500)을 통하여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TMS)의 사용자 내지 관리자는 상기 단말(500)을 통하여 전술된 실시예들에 따른 원격 관리 기능 모두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격 관리 서버와 연결되는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500)이 이동 단말기 형태로 구현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500)는 무선 통신부(510), A/V(Audio/Video) 입력부(520), 사용자 입력부(530), 센싱부(540), 출력부(550), 메모리(560), 인터페이스부(570), 제어부(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510)는 단말기(5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단말기(500)와 단말기(5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 또는 단말기(500)와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310)는 방송 수신 모듈(511), 이동통신 모듈(512), 무선 인터넷 모듈(513), 근거리 통신 모듈(514) 및 위치정보 모듈(5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5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센터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및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센터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2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5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2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5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5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5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5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5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무선의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유선의 근거리 통신으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썬더볼트(ThunderboltTM)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와 데이터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중에, 출력할 오디오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디스플레이할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에 내장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상기 이동 단말기(500)의 식별 정보(예컨대, 휴대폰인 경우 전화 번호, 또는 기기명)를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515)은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5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521)와 마이크(5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5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5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5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5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5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5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5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5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5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540)는 근접센서(541), 압력센서(542), 및 모션 센서(5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541)는 이동 단말기(500)로 접근하는 물체나, 이동 단말기(2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근접센서(5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2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542)는 이동 단말기(5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542)는 사용환경에 따라 이동 단말기(5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542)가 디스플레이부(551)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압력센서(54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5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54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상기 디스플레이부(5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상기 모션 센서(543)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5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상기 모션 센서(543)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이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이로 센서는 회전 운동을 하는 이동 단말기(500)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각 기준 방향에 대한 회전된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자이로 센서는 3개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한 각각의 회전 각도, 즉 방위각(azimuth), 피치(pitch) 및 롤(roll)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5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551), 음향 출력 모듈(552), 알람부(553), 및 햅틱 모듈(5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1)는 단말기(5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2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5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2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5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단말기(5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5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5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5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2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5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5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580)는 디스플레이부(2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단말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5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5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단말기(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2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553)는 단말기(5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5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551)나 음성 출력 모듈(5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251,252)은 알람부(2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5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5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5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5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5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554)은 단말기(5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560)는 제어부(5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5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메모리(560)에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미도시), 무선통신부(510)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 사용자 입력부(530)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 A/V 입력부(520)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 출력부(550)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운영 체제(예를 들어, LINUX, UNIX, OS X, WINDOWS, Chrome, Symbian, iOS, Android, VxWorks 또는 기타 임베디드 운영체제)는 메모리 관리, 전력 관리 등과 같이 시스템 작업(tasks)들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드라이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560)는 설비의 제어 또는 관리 관련된 프로그램(예를 들어, 관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부(580)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56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예: 앱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한 설비 제어 또는 관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5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5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570)는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5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5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5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5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단말기(5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5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단말기(5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단말기(5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단말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280)는 통상적으로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5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5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581)은 제어부(5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5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90)는 제어부(5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및/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590)는 단말기(500)의 각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99)를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599)를 유선 또는 무선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59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에 연결되는 이동 단말을 예로서 개시하고 있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중앙 관리 서버 10: 점포 관리 시스템
1_1: 입력부 1_2: 디스플레이부
1_3: 통신부 1_4: 제어부
1_5: 저장부 100: 로컬 제어기

Claims (20)

  1. 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 정보를 기결정된 주기로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에 전달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결정된 주기는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변경되며,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경되거나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기결정된 주기가 변경되고,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 정보는 상기 설비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결정된 주기는,
    상기 제1상태일 때 상기 통신부가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주기인 제1주기; 및
    상기 제2상태일 때 상기 통신부가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주기인 제2주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주기는 상기 제2주기보다 짧은 주기이며,
    상기 설비는, 실내기 및 실외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태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매압축사이클을 구성하는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가 구동하여 상기 실내기가 냉방 모드, 난방 모드 및 제습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운전중인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정지되어 상기 실내기가 송풍 모드로 운전중이거나 상기 실내기가 정지중인 상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을 특정 분류 기준을 근거로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분류된 그룹 단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되,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에 대한 영역 특성에 따른 기준이고,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 정보는,
    상기 영역 특성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영역 특성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 별로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서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설비를 제어하는 로컬 제어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컬 제어기를 통해 상기 설비를 관리하는 것인 원격 관리 서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제어기는,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어 영역의 현재 상태가 상기 기결정된 주기 전의 상태에서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현재 상태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변경되거나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서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제어기는,
    상기 현재상태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상기 제1주기에서 상기 제2주기로 변경하고,
    상기 현재상태가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상기 제2주기에서 상기 제1주기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서버.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제어기는 상기 기결정된 주기마다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서버.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어 영역의 현재 상태가 상기 기결정된 주기 전의 상태에서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현재 상태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경되거나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서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상태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상기 제1주기에서 상기 제2주기로 변경하고,
    상기 현재상태가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기결정된 주기를 상기 제2주기에서 상기 제1주기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서버.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결정된 주기마다 상기 제어 영역의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서버.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로컬 제어기와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로컬 제어기는 상기 설비와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인 원격 관리 서버.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가 설치된 복수의 제어 영역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제어 영역 각각은 상기 원격 관리 서버에 의해 유지, 보수, 관리되는 건물, 빌딩, 점포, 상가 및 학교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영역인 것인 원격 관리 서버.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043792A 2014-04-11 2014-04-11 원격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101626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792A KR101626819B1 (ko) 2014-04-11 2014-04-11 원격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792A KR101626819B1 (ko) 2014-04-11 2014-04-11 원격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273A KR20150118273A (ko) 2015-10-22
KR101626819B1 true KR101626819B1 (ko) 2016-06-03

Family

ID=5442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792A KR101626819B1 (ko) 2014-04-11 2014-04-11 원격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8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460B1 (ko) * 2017-10-18 2018-04-10 주식회사 한맥아이티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
KR102210741B1 (ko) * 2019-05-10 2021-02-04 아이서브(유) 클라우드 기반의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074342B1 (ko) * 2019-08-05 2020-02-06 (주)삼원씨앤지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시설물관리 및 원방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72484B1 (ko) * 2019-11-13 2022-03-10 (주)에스엔 실외기용 공기정화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KR102500819B1 (ko) * 2022-08-10 2023-02-16 유비스 주식회사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7727A (ja) * 1999-06-03 2000-12-15 Shimadzu Corp 制御システム
JP2011027362A (ja) * 2009-07-28 2011-02-10 Mitsubishi Heavy Ind Ltd 適応画面更新web空調監視装置及び方法並びに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514B1 (ko) * 2003-12-09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의 중앙제어 시스템
KR101374777B1 (ko) * 2007-10-30 201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7727A (ja) * 1999-06-03 2000-12-15 Shimadzu Corp 制御システム
JP2011027362A (ja) * 2009-07-28 2011-02-10 Mitsubishi Heavy Ind Ltd 適応画面更新web空調監視装置及び方法並びに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273A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724B1 (ko)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101658091B1 (ko)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
KR101604808B1 (ko)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20150118278A (ko)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
KR101626819B1 (ko) 원격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CN105509266A (zh) 空调智能控制系统
CN105556560A (zh) 用于针对环境系统的恢复时间的确定性计算的系统和方法
US11867420B2 (en) Backup control for HVAC system with headless thermostat
KR101908311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 시스템
JP6085508B2 (ja) 空調設定温度算出装置、空調設定温度算出プログラム、及び空調設定温度算出方法
US20160054017A1 (en) Air conditioning management devic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program
US11473797B2 (en) HVAC system with headless thermostat
KR101625114B1 (ko)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CN102880132A (zh) 一种云空调器的云诊断方法
KR101658090B1 (ko)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101587175B1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KR101641254B1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및 설비 제어 시스템
KR101570428B1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및 설비 제어 시스템
KR102136160B1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KR101587181B1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및 설비 제어 시스템
KR102321113B1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휴대 단말,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KR102136159B1 (ko)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101526A (ko) 점포를 관리하기 위한 중앙 관리 서버, 점포 관리 시스템 및 점포 관리 방법
KR20160006042A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및 설비 제어 시스템
KR20150051175A (ko) 냉난방 시스템 기반 에너지 절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