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342B1 -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시설물관리 및 원방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시설물관리 및 원방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342B1
KR102074342B1 KR1020190094802A KR20190094802A KR102074342B1 KR 102074342 B1 KR102074342 B1 KR 102074342B1 KR 1020190094802 A KR1020190094802 A KR 1020190094802A KR 20190094802 A KR20190094802 A KR 20190094802A KR 102074342 B1 KR102074342 B1 KR 102074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control panel
unit
valu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희
Original Assignee
(주)삼원씨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원씨앤지 filed Critical (주)삼원씨앤지
Priority to KR102019009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05B23/0216Human interface functionality, e.g. monitoring system providing help to the user in the selection of tests or in its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04L67/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원방 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 배치된 다수의 제어대상기기를 중앙관제센터의 서버로부터 전송된 제어명령을 통해 제어하는 다수개의 원격제어반이 구비되되, 상기 원격제어반에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마스터컨트롤러가 구비되고, 다수개의 원격제어반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이 다른 원격제어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관리 및 운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원방 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시설물관리 및 원방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Building automatic control device having facilities management and remote stop function of display touch meth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시설물관리 및 원방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 배치된 다수의 제어대상기기를 중앙관제센터의 서버로부터 전송된 제어명령을 통해 제어하는 다수개의 원격제어반이 구비되되, 상기 원격제어반에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마스터컨트롤러가 구비되고, 다수개의 원격제어반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이 다른 원격제어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서버에 건물에 설치된 제어대상기기의 제원(예: 용량, 소비전력, 냉방능력, 난방능력 등)을 입력 및 저장하고, 각 제어대상기기를 구성하는 장비(예: 펌프, 휀, 공조기, 냉동기, 신재생에너지 등)의 정비, 관리 이력 및 특이사항 등을 입력 및 저장하여, 건물 내 배치된 다수개의 원격제어반을 통해서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호출하여 확인할 수 있어 해당 장비의 정비, 관리 등의 과거 이력을 확인할 수 있고, 현재 장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관리 및 운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시설물관리 및 원방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건물들은 대형화, 고기능화되어 감에 따라 공조, 위생, 전력, 조명, 방범, 방재, 수처리 등의 각종 설비들이 복잡하게 설치되고, 이들 설비들을 감지하고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건물설비 관리 자동화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건물설비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건축설계시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설치되는 제어대상기기의 종류와 설치위치가 결정되며 그에 따라 중앙관제센터의 위치 및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반의 수량이 결정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건물설비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관리 제어하는 서버가 중앙관제센터에 구비되고, 각종 설비를 구성하는 제어대상기기(현장기기)와, 상기 제어대상기기들의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대응하고, 수집 분석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원격제어반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원격제어반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와는 별개로 제어대상기기들을 독자적으로 제어 및 운영이 가능할 필요가 있다. 즉, 원격제어반이 설치된 위치에서 작업자가 원격제어반을 조작하여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동작상태 등을 점검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원격제어반은 해당 원격제어반과 매칭되는 제어대상기기만 1:1로 관리 감독하기 때문에 서버와의 통신이 끊기거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서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서버에서 원격제어반을 동작 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서버와의 통신장애 또는 서버 이상이 발생한 경우 원격제어반이 매칭된 제어대상기기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해당 원격제어반이 설치된 위치까지 관리자가 이동해야만 이를 조작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어서 각 원격제어반이 서버와 1:1로 통신하기 때문에 다수개의 원격제어반의 정보를 공유 또는 확인하기 위해서는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별도의 접속 단말기가 필요하거나 서버가 배치된 장소에서만 이를 확인할 수 있어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상태 및 건물 내부와 외부의 환경정보 확인이 용이하지 못하고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건물설비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건물 내 설치된 제어대상기기의 제원(예: 용량, 소비전력, 냉방능력, 난방능력 등) 및 제어대상기기를 구성하는 장비(예: 펌프, 휀, 공조기, 냉동기, 신재생에너지 등)의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대상기기가 설치된 현장에서 정비, 관리 이력을 확인하기 어렵고, 별도의 메모, 기록지 등에 제어대상기기를 검침한 날짜, 내역 등을 기록한 후 이를 제어대상기기에 부착했는데, 제어대상기기가 설치된 위치에서만 해당 제어대상기기의 내역만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기록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습기 등에 의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경우 기존에 기록된 내용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FMS(Facility Management System)과 같은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여 정비나 관리 이력을 입력 및 제공할 수 있으나, FMS 시스템을 별도로 구축 및 운용하기 위한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122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250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건물 내 다수개 설치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을 감시 및 제어하는 원격제어반이 구비되고, 상기 원격제어반은 서버 및 상호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에서 다른 원격제어반을 제어할 수 있어 제어대상기기의 관리 감독 및 상태 정보, 그리고 동작 제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시설물관리 및 원방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원격제어반 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을 통해 다른 원격제어반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제어대상기기의 제원 및 장비의 관리 이력을 확인할 수 있고, 원격제어반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제어대상기기의 관리, 수리 등의 이력을 실시간으로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이를 저장하고 호출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제어대상기기의 관리와 수리, 점검 이력의 관리가 용이한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시설물관리 및 원방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내 다수의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정보 및 건물 내외의 환경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서버;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다수의 원격제어반;
상기 동작정보 및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반에는,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서버 및 상호간의 통신을 위한 멀티통신부가 구비되어 상기 서버 및 다수의 원격제어반간의 정보교환을 수행하고,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에서 다른 원격제어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터치 입력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마스터컨트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제어반은,
서버로부터 전송된 요청값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생성하는 연산부와,
제어대상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을 실행하는 동작제어부와,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환경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연산부와 동작제어부와 상기 입력부 사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변환하는 신호변환부와,
상기 신호변환부와 연결되어 신호변환부를 통해 변환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신호변환부로부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컨트롤러의 디스플레이로 전달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서버는, 건물 내 배치된 다수의 제어대상기기의 제원과 제어대상기기의 정비이력, 관리이력 및 특이사항을 저장하고, 상기 원격제어반에서 제어대상기기의 정비이력, 관리이력 및 특이사항이 입력되면 이를 매칭되는 제어대상기기의 정보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원격제어반에는, 관리자로부터 제어대상기기의 정비이력, 관리이력의 정보가 요청되면, 관리자의 요청 사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전송된 제어대상기기의 정비이력, 관리이력을 제공하는 시설물관리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는,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상태정보를 검출하는 상태 데이터 감지센서와,
건물 내부 및 외부의 온도, 습도, 압력, 일산화탄소, 불꽃 유무를 감지하는 환경 데이터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원방 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방법은,
1-a) 서버 또는 멀티통신부가 구비된 마스터컨트롤러 포함하여 상호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원격제어반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에서 다른 원격제어반으로 센서에서 감지된 건물 내부 및 외부의 환경정보를 감지한 감지값을 요청하는 단계,
1-b) 상기 마스터컨트롤러에서 수신한 요청신호를 원격제어반에 구비된 연산부를 통해 분석하여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
1-c) 연산부에서 생성된 결과값을 신호변환부를 통해 변환하고, 변환된 변환값을 입력부로 전달하는 단계,
1-d) 입력부로 전달된 변환값에 매칭되는 환경정보 데이터를 검색하고, 매칭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상기 신호변환부로 다시 전송하는 단계,
1-e) 상기 신호변환부로 전달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변환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마스터컨트롤러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출력부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1-f) 상기 신호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멀티통신부를 통해 서버 또는 요청신호가 발송된 원격제어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원방 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방법은,
2-a) 서버 또는 멀티통신부가 구비된 마스터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상호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원격제어반 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에서 다른 원격제어반으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신호값을 전송하는 단계,
2-b) 동작신호값을 수신한 원격제어반은 구비된 연산부를 통해 동작신호값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
2-c) 연산부에서 생성된 결과값을 신호변환부를 통해 변환하고, 변환된 변환값을 제어대상기기와 연결된 동작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
2-d) 동작제어부로 전달된 변환값으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2-e) 상기 동작제어부를 통해 동작이 제어된 제어대상기기의 상태정보를 센서를 통해 감지한 후 이를 마스터컨트롤러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고,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상태정보를 신호변환부로 전달하는 단계,
2-f) 신호변환부로 전달된 상태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함과 동시에 멀티통신부 송신부를 통해 서버 또는 동작신호값을 제공한 원격제어반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관리자가 서버로만 관리되던 원격제어반의 동작 상태를 서버 및 다수개의 원격제어반 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을 통해 건물 내 배치된 다른 원격제어반에 의해 관리 감독되는 제어대상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동작이 제어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건물 내 배치된 제어대상기기의 전체 관리 감독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나아가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것이다.
또한, 서버와 원격제어반간의 통신 이상이 발생하거나 서버의 상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원방 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원방 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원방 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원방 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 다수의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정보 및 건물 내외의 환경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서버(10)와,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다수의 원격제어반(20)과, 상기 동작정보 및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센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원격제어반(20)에는,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서버(10) 및 상호간의 통신을 위한 멀티통신부(211)가 구비되어 상기 서버(10) 및 다수의 원격제어반(20)간의 정보교환을 수행하고,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20)에서 다른 원격제어반(2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터치 입력 방식의 디스플레이(28)를 포함한 마스터컨트롤러(21)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원방 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1)는 건물 내 설치된 다수개의 원격제어반(20)이 서버(10)와 통신하여 서버(10)로부터 요청된 요청값 또는 서버(10)로부터 송신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 제어 명령을 수행하고, 다수개의 원격제어반(20)이 상호간의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20)을 통해 다른 원격제어반(2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거나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을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관리 감독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서버와의 통신 장애 또는 서버의 이상 상태 발생에도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을 통해 다른 원격제어반들을 관리할 수 있어 안정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서버(10)는 건물 내에 구비되는 중앙관제센터에 배치되어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상태와 건물 내부 및 외부의 환경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제어대상기기의 이상경보유무, 운전이력의 판단과 특정 이벤트 발생시 이를 기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 또는 공공기관(소방서, 경찰서 등)에 문자 또는 음성으로 제공하고, 스피커 및 경광등과 같은 알림수단을 통해 특정 이벤트 발생을 외부로 알려주는 것이다.
이러한 서버(10)는 제어대상기기의 동작 상태 및 환경정보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와,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서버(10)로 입력 및 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원격제어반(20) 및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10)는 사용 중 정전 등에 의해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황에서도 동작 가능하도록 무정전전원장치(UPS)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정 주기마다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백업(Back-Up)하는 백업용 서버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격제어반(20)은 건물 내 설치된 다수개의 제어대상기기에 1:1로 매칭되고, 상기 서버(10)로부터 입력된 제어대상기기의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서버(10) 및 상호간의 통신을 위한 멀티통신부(211)가 구비되어 상기 서버(10) 및 다수의 원격제어반(20)간의 정보교환을 수행하고,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20)에서 다른 원격제어반(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입력 방식의 디스플레이(28)를 포함한 마스터컨트롤러(21)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반(20)은 서버(10)와 통신 가능한 것은 물론 건물 내 설치된 다른 원격제어반(20)과 상호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서버(10)와의 통신 장애 또는 서버의 이상 상태 발생시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20)에서 다른 원격제어반(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원격제어반(20)을 통해 제어대상기기를 감시하는 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20)을 통해 다른 원격제어반(20)에 매칭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상태 및 건물 내부와 외부의 환경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어 관리 감독 및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반(20)는 상기 멀티통신부(211)를 통해 서버(10) 또는 다른 원격제어반(20)과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스터컨트롤러(21)를 통해 매칭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상태, 이상유무 및 환경정보 등을 확인하고, 상기 마스터컨트롤러(21)에는 다른 원격제어반(20)의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입력 방식의 디스플레이(28)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2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의 출력과 명령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 입력이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서 화면에 표시된 문자나 도형을 손가락 또는 펜을 이용하여 접촉하여 입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터치 패널과 터치 패널의 신호를 제어하고 제어부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컨트롤러, 그리고 입력된 신호를 해석하고 정리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28)는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상태, 이상유무 및 환경정보를 표시하고 명령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내부구조 및 상술한 소프트웨어의 동작 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원격제어반(20)은 상기 서버(10)로부터 전송된 요청값을 처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서버(10)로부터 전송된 요청값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생성하는 연산부(22)와, 제어대상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을 실행하는 동작제어부(23)와, 상기 센서(30)로부터 감지된 환경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24)와, 상기 연산부(22)와 동작제어부(23)와 상기 입력부(24)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변환하는 신호변환부(25)와, 상기 신호변환부(25)와 연결되어 신호변환부를 통해 변환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6)와, 상기 신호변환부(25)로부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컨트롤러(21)의 디스플레이(28)로 전달하는 출력부(27)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격제어반(20)의 동작 상태를 아래의 실시예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서버(10) 또는 다수개의 원격제어반(20) 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20)에서 다른 원격제어반(20)으로 센서(30)를 통해 감지된 환경정보에 대한 감지값을 요청하는 실시예로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진행된다.
1-a) 서버(10) 또는 멀티통신부가 구비된 마스터컨트롤러(21) 포함하여 상호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원격제어반(20)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20)에서 다른 원격제어반(20)으로 센서(30)에서 감지된 건물 내부 및 외부의 환경정보를 감지한 감지값을 요청하는 단계(S11),
1-b) 상기 마스터컨트롤러(21)에서 수신한 요청신호를 원격제어반(20)에 구비된 연산부(22)를 통해 분석하여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S12),
1-c) 연산부(22)에서 생성된 결과값을 신호변환부(25)를 통해 변환하고, 변환된 변환값을 입력부(24)로 전달하는 단계(S13),
1-d) 입력부(24)에 전달된 변환값에 매칭되는 환경정보 데이터를 검색하고, 매칭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상기 신호변환부(25)로 재전송하는 단계(S14),
1-e) 상기 신호변환부(25)로 전달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변환하여 저장부(26)에 저장하고, 마스터컨트롤러(21)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28)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출력부(27)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28)를 변환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S15),
1-f) 상기 신호변환부(25)를 통해 변환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멀티통신부(211)의 통해 서버(10) 또는 요청신호가 발송된 원격제어반(20)으로 전송하는 단계(S16)를 포함한다.
상기 1-a) 단계(S11)는, 서버(10) 또는 다수개의 원격제어반(20) 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20)에서 다른 원격제어반(20)으로 센서(30)에서 감지된 환경정보 감지값을 요청하는 단계로서, 원격제어반(20)에 구비된 멀티통신부(211)의 수신부(212)를 통해 서버(10)의 신호가 수신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멀티통신부(2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212)와 송신부(213)를 포함하는 것으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이 구비되고 여기서 무선 통신모듈은 WIFI, ZigBee, 블루투스 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유선 통신모듈이 기본으로 동작하고 유선 통신모듈에 이상 발생시 무선 통신모듈 중 WIFI 가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1-a) 단계(S11)에서 다수개의 원격제어반(20) 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20)에서 다른 원격제어반(20)으로 환경정보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요청하는 측의 원격제어반(20)에 구비된 멀티통신부(211)의 송신부(213)가 요청신호를 생성한 후 요청받는 측의 원격제어반(20)로 전송하고, 요청받는 측의 원격제어반(20)에 구비된 멀티통신부(211)의 수신부(212)가 이를 수신한다.
이때, 요청하는 측의 원격제어반(20)에 구성된 디스플레이(28)에는 요청받는 원격제어반(20)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는데, 건물 내 배치되는 원격제어반은 각각이 고유 식별 번호 또는 고유 식별 이름이 부여되어 이를 통해 요청받는 원격제어반(20)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b) 단계(S12)는, 요청신호를 수신한 원격제어반(20)은 상기 연산부(22)를 통해 요청신호에 포함된 요청값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수신된 요청신호를 연산부(22)로 전달하고, 상기 연산부(22)는 요청신호에 포함된 요청값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생성한다. 여기서 결과값이란 원격제어반(20)으로 요청된 요청신호의 검증, 원격제어반(20)의 입력부(24)를 통해 입력된 환경정보 데이터 유무를 확인하고, 입력부(24)로 요청할 환경정보 데이터의 요청정보가 포함된 것이다.
상기 1-c) 단계(S13)는, 연산부(22)에서 생성된 결과값을 신호변환부(25)가 변환한 뒤, 변환된 변환값을 입력부(24)로 전달하는 단계로서, 신호변환부(25)를 통해 변환한 변환값을 입력부(24)로 전달한다.
상기 1-d) 단계(S14)는, 입력부(24)는 전달된 변환값에 매칭되는 환경정보 데이터를 검색하고, 매칭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상기 신호변환부(25)로 전송하는 단계로서, 입력부(24)는 센서(30)로부터 입력된 환경정보 데이터 중 신호변환부(25)를 통해 전달된 변환값에 매칭되는 환경정보 데이터를 검색하고, 매칭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신호변환부(25)로 전송한다.
이때, 입력부(24)에서 검색 중 매칭되는 환경정보 데이터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해당 변환값에 대한 결과로서 에러값을 생성한 후 이를 신호변환부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입력부(24)는 센서(30)로부터 감지된 감지값을 모두 취합하여 이상 상태 감지의 최적화를 위한 머신 러닝 기반의 학습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이상 상태에 대한 결과 발생 전 진행 추이를 통해 이상 상태 발생을 예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옐로 빅데이터 형태의 감지값에 이상 유무 정보를 취합하여 정상 구동 추이분포곡선과 이상 발생 추이분포곡선을 생성, 저장하고,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감지값을 일정 시간 동안 추이분포를 통해 가장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기존 추이분포곡선을 추적하여 향후 추이분포를 예측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향후 일정 시점 경과 후에 이상 발생이 이루어질지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에 대한 예비알람이벤트를 생성한 후 신호변환부로 전송하고, 신호변환부는 멀티통신부의 송신부를 통해 이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로부터 일정 시간단위별로 전달 받은 감지값을 평균하여 평균데이터를 산출한 후 이를 기준으로 이상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센서의 순간 오동작으로 인한 데이터 오류를 필터링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감지값이 이를 제외한 감지값을 평균한 평균데이터보다 10%이상 또는 10%이하의 값을 가지는 경우 해당 감지값은 평균데이터 산출시 제외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산출된 평균데이터를 기준으로 상황 판단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어느 하나의 감지값으로 평균데이터 산출 제외가 이루어지도록 할 것인지 또는 특정 횟수의 감지값으로 평균 데이터 산출 제외가 이루어지도록 할 것인지는 센서의 특성 또는 센서의 동작 주기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1-e) 단계(S15)는, 상기 신호변환부(25)로 전달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변환하여 저장부(26)로 저장하고, 상기 출력부(27)로 전달하여 상기 마스터컨트롤러(21)의 디스플레이(28)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로서, 상기 입력부(24)를 통해 매칭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저장부(26)에 저장하고, 출력부(27)를 통해 디스플레이(28)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외부로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26)에 저장되는 환경정보 데이터는, 서버(10)로부터 요청된 요청시간, 환경정보의 종류, 매칭된 환경정보 데이터값을 포함하여 저장되고, 상기 1-d) 단계에서 에러값이 생성되는 경우 매칭된 환경정보 데이터값 대신에 에러값이 저장된다.
상기 1-f) 단계(S16)는, 상기 신호변환부(25)를 통해 변환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멀티통신부(211)를 통해 서버(10) 또는 요청신호가 발송된 원격제어반(20)으로 전송하는 단계로서, 입력부(24)에서 전송된 매칭된 환경정보 데이터는 신호변환부(25)를 통해 변환된 후 멀티통신부(211)의 송신부(213)를 통해 서버(10)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서버(10) 또는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20)에서 요청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원격제어반에서 전송하고, 전송된 환경정보 데이터는 서버(10)에 구비된 모니터 또는 원격제어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 내 다수개 배치된 원격제어반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원격제어반으로 입력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서버(10) 또는 다수개의 원격제어반(20) 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20)에서 다른 원격제어반(20)으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신호값을 제공하고 제공된 동작신호값을 통해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한 실시예로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진행된다.
2-a) 서버(10) 또는 멀티통신부가 구비된 마스터컨트롤러(21)를 포함하여 상호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원격제어반(20) 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20)에서 다른 원격제어반(20)으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신호값을 전송하는 단계(S21),
2-b) 동작신호값을 수신한 원격제어반(20)에 구비된 연산부(22)를 통해 동작신호값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S22),
2-c) 연산부(22)에서 생성된 결과값을 신호변환부(25)을 통해 변환하고, 변환된 변환값을 제어대상기기와 연결된 동작제어부(23)로 전달하는 단계(S23),
2-d) 동작제어부(23)로 전달된 변환값으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24),
2-e) 상기 동작제어부(23)를 통해 동작이 제어된 제어대상기기의 상태정보를 센서(30) 통해 감지한 후 이를 마스터컨트롤러(21)에 구비된 입력부(24)를 통해 입력하고, 상기 입력부(24)에 입력된 상태정보를 신호변환부(25)로 재전달하는 단계(S25),
2-f) 신호변환부(25)로 전달된 상태정보를 저장부(26)에 저장함과 동시에 멀티통신부(211)의 송신부를 통해 서버(10) 또는 동작신호값을 제공한 원격제어반(20)으로 송신하는 단계(S26)를 포함한다.
상기 2-a) 단계(S21)는, 서버(10) 또는 다수개의 원격제어반(20) 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20)에서 다른 원격제어반(20)으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신호값을 전송하는 단계로서, 서버(10)에 구비된 통신모듈 또는 요청하는 측의 원격제어반에 구비된 멀티통신부(211)의 송신부(213)를 통해 동작신호값은 요청받는 측의 원격제어반(20)의 수신부로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2-b) 단계(S22)는, 동작신호값을 수신한 원격제어반(20)은 연산부(22)를 통해 동작신호값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수신된 동작신호값를 연산부(22)로 전달하고, 상기 연산부(22)는 동작신호값에 포함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생성한다. 여기서 결과값이란 원격제어반(20)으로 요청된 동작명령의 검증,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 상태와 요청된 동작명령을 비교하여 동작 명령을 실행할지에 대한 승인 또는 미승인, 동작명령의 대상인 제어대상기기의 동작 허용 한계값과 요청된 동작명령을 비교하여 동작 명령을 실행할지에 대한 승인 또는 미승인 등의 값이 포함된 것이다.
상기 2-c) 단계(S23)는, 연산부(22)에서 생성된 결과값을 신호변환부(25)가 변환하고, 변환된 변환값을 제어대상기기와 연결된 동작제어부(23)로 전달하는 단계로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명령을 동작제어부(23)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2-d) 단계(S24)는, 동작제어부(23)는 전달된 변환값으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로서, 연산부에서 연산된 결과값을 통해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2-e) 단계(S25)는, 상기 동작제어부(23)를 통해 동작이 제어된 제어대상기기의 상태정보를 센서(30)를 통해 감지한 후 이를 상기 입력부(24)를 통해 입력하고, 상기 입력부(24)는 입력된 상태정보를 신호변환부(25)로 전달하는 단계로서, 동작제어부를 통해 동작이 제어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어대상기기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센서(30)를 통해 동작이 제어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감지값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후 신호변환부로 전송된다.
2-f) 단계(S26)는, 신호변환부(25)는 전달된 상태정보를 저장부(26)에 저장함과 동시에 멀티통신부(211)의 송신부를 통해 서버(10) 또는 동작신호값을 제공한 원격제어반(20)으로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2-e) 단계를 통해 입력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 상태를 서버(10) 또는 동작신호값을 제공한 원격제어반(20)으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서버(10) 또는 동작신호값을 제공한 원격제어반(20)은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28)를 통해 출력함으로서 요청된 동작명령이 실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서버(10) 또는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20)을 통해 다른 원격제어반(20)에 의해 관리 감독되는 제어대상기기의 동작 상태를 조절할 수 있어 관리자가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20)을 통해 건물 내 배치된 다른 원격제어반(20)에 의해 관리 감독되는 제어대상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동작이 제어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건물 내 배치된 제어대상기기의 전체 관리 감독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나아가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또한, 서버와 원격제어반간의 통신 이상이 발생하거나 서버의 상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서버(10)에는 건물 내 배치된 다수의 제어대상기기의 제원과 제어대상기기의 정비이력, 관리이력 및 특이사항을 저장하고, 상기 원격제어반(20)에서 제어대상기기의 정비이력, 관리이력 및 특이사항이 입력되면 이를 매칭되는 제어대상기기의 정보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원격제어반(20)에는, 관리자로부터 제어대상기기의 정비이력, 관리이력의 정보가 요청되면, 관리자의 요청 사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전송된 제어대상기기의 정비이력, 관리이력을 제공하는 시설물관리부(29)가 더 포함된다.
상기 시설물관리부(29)는 다수개의 원격제어반 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을 통해 다른 원격제어반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제어대상기기의 제원 및 장비의 관리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관리자가 확인하고자하는 제어대상기기의 수리이력 및 점검이력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요청하고, 서버는 요청된 제어대상기기의 정보를 요청된 원격제어반으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다수개의 원격제어반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원격제어반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제어대상기기의 수리이력 및 점검이력을 확인할 수 있어 제어대상기기의 관리, 감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설물관리부(29)는 원격제어반에서 동작을 제어하고 있는 제어대상기기의 제원과 제어대상기기를 구성하는 장비의 수리이력 및 점검이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일정 주기마다 혹은 관리자의 전송 명령을 통해 제공하여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서버 또는 다수개의 원격제어반 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에서 다른 원격제어반을 통해 동작이 제어되는 제어대상기기의 수리이력 및 점검이력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센서(30)는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상태와 건물 내부 및 외부의 온도, 습도, 압력, 일산화탄소, 불꽃 유무를 감지하여 감지된 값을 원격제어반(20)의 입력부로 제공하는 것으로,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상태정보를 검출하는 상태 데이터 감지센서(31)와, 건물 내부 및 외부의 온도, 습도, 압력, 일산화탄소, 불꽃 유무를 감지하는 환경 데이터 감지센서(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태 데이터 감지센서(31)는, 제어대상기기의 On/Off, 구동속도, 제어대상기기의 구동시 발생하는 열 및 이로 인한 온도와 습도 변화 등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태 데이터 감지센서는 제어대상기기의 내부 및 외부에 배치되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제어반(2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환경 데이터 감지센서(32)는 건물 내부 및 외부의 각종 환경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것으로, 건물 내부 및 외부의 환경에 따라 제어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서 쾌적하고 안정적인 건물 내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데이터 감지센서(32)는, 건물 내부 및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바람에 의한 압력 또는 하중 압력 등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 건물 내부 및 외부의 청정도를 감지하는 먼지감지센서, 공기 중 일산화탄소의 비율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감지센서, 불꽃의 유무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불꽃감지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건물의 용도에 따라 상술한 센서 이외에도 다양한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보안이 요구되는 건물 내 사무실, 연구실 등의 도어에는 도어를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 건물 내부에서 발생한 각종 오수, 폐수 등을 방출하는 위치에는 배출되는 오/폐수의 수질을 감지하는 수질감지센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원방 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
10 : 서버
20 : 원격제어반
21 : 마스터컨트롤러 22 : 연산부
23 : 동작제어부 24 : 입력부
25 : 신호변환부 26 : 저장부
27 : 출력부 28 : 디스플레이
29 : 시설물관리부 211 : 멀티통신부
30 : 센서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시설물관리 및 원방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방법에 있어서,
    다수개의 원격제어반(20) 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20)에서 다른 원격제어반(20)으로 센서(30)를 통해 감지된 환경정보에 대한 감지값을 요청하는 단계는,
    1-a) 서버(10) 또는 멀티통신부가 구비된 마스터컨트롤러(21) 포함하여 상호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원격제어반(20) 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반(20)에서 다른 원격제어반(20)으로 센서(30)에서 감지된 건물 내부 및 외부의 환경정보를 감지한 감지값을 요청하는 단계(S11),
    1-b) 상기 마스터컨트롤러(21)에서 수신한 요청신호를 원격제어반(20)에 구비된 연산부(22)를 통해 분석하여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S12)로 제어하되,
    상기 결과값은 원격제어반(20)으로 요청된 요청신호의 검증, 원격제어반(20)의 입력부(24)를 통해 입력된 환경정보 데이터 유무를 확인하고, 입력부(24)로 요청할 환경정보 데이터의 요청정보가 포함되며,
    1-c) 연산부(22)에서 생성된 결과값을 신호변환부(25)를 통해 변환하고, 변환된 변환값을 입력부(24)로 전달하는 단계(S13),
    1-d) 입력부(24)에 전달된 변환값에 매칭되는 환경정보 데이터를 검색하고, 매칭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상기 신호변환부(25)로 재전송하는 단계(S14)로 제어하되,
    상기 입력부(24)에서 검색 중 매칭되는 환경정보 데이터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해당 변환값에 대한 결과로서 에러값을 생성하여 신호변환부(25)로 전송하고,
    1-e) 상기 신호변환부(25)로 전달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변환하여 저장부(26)에 저장하고, 마스터컨트롤러(21)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28)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출력부(27)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28)를 변환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S15)로 제어하되,
    상기 저장부(26)에 저장되는 환경정보 데이터는, 서버(10)로부터 요청된 요청시간, 환경정보의 종류, 매칭된 환경정보 데이터값을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기 1-d) 단계에서 에러값이 생성되는 경우 매칭된 환경정보 데이터값 대신에 에러값이 저장되며,
    1-f) 상기 신호변환부(25)를 통해 변환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멀티통신부(211)의 통해 서버(10) 또는 요청신호가 발송된 원격제어반(20)으로 전송하는 단계(S1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시설물관리 및 원방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방법.
  5. 삭제
KR1020190094802A 2019-08-05 2019-08-05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시설물관리 및 원방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74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802A KR102074342B1 (ko) 2019-08-05 2019-08-05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시설물관리 및 원방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802A KR102074342B1 (ko) 2019-08-05 2019-08-05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시설물관리 및 원방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342B1 true KR102074342B1 (ko) 2020-02-06

Family

ID=6956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802A KR102074342B1 (ko) 2019-08-05 2019-08-05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시설물관리 및 원방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3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223B1 (ko) 2011-03-18 2011-06-14 가진기업(주) 건물설비 자동제어 시스템용 원격제어반
KR20150118273A (ko) * 2014-04-11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101662507B1 (ko) 2016-03-14 2016-10-14 주식회사 베스텍 데이터 변환을 이용한 IoT 기반의 원격 자동제어 시스템
KR101938111B1 (ko) * 2018-06-27 2019-04-11 정원형 산업플랜트용 중앙제어시스템의 제어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223B1 (ko) 2011-03-18 2011-06-14 가진기업(주) 건물설비 자동제어 시스템용 원격제어반
KR20150118273A (ko) * 2014-04-11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101662507B1 (ko) 2016-03-14 2016-10-14 주식회사 베스텍 데이터 변환을 이용한 IoT 기반의 원격 자동제어 시스템
KR101938111B1 (ko) * 2018-06-27 2019-04-11 정원형 산업플랜트용 중앙제어시스템의 제어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5239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US11847896B2 (en) Predictive alarm analytics
US20190222265A1 (en) Wireless sensor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circuit
US8645495B2 (en)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US11656145B2 (en) Consumable gas leak detection
US20110113360A1 (en) Facili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interface
CN114730163A (zh) 用于改进温度、压力和湿度的合规性的建筑系统
KR20070095712A (ko)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실내 환경 관리방법
JP2014016062A (ja) 空調管理システム
EP3504694B1 (en) Configurable remote battery monitor
JP2019100687A (ja) 空調制御方法及び空調制御装置
CN104181889A (zh) 多操作方式的无线智能家居系统
JP2010050664A (ja) 家電機器制御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11436682B2 (en) Property damage risk evaluation
KR102296561B1 (ko) 지그비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복수개의 배전반 통합 관제시스템
KR102074342B1 (ko)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시설물관리 및 원방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641176B2 (ja) 警備業務支援システムおよび警備装置
EP3916497B1 (en) Method and systems for configuring a modular building control system
EP2781849A1 (en)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CN105450438A (zh) 多区域无线管理与通讯网络系统及其管理方法
US86593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buffered wireless device enrollment in a security system
JP2005223786A (ja) 複数機器監視システム
US20240152106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harmful environment control system connected to internet of things and its harmful environment control method
EP4372711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harmful environment control system connected to internet of things and its harmful environment control method
KR100799976B1 (ko) 디디씨 컨트롤러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