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819B1 -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819B1
KR102500819B1 KR1020220099807A KR20220099807A KR102500819B1 KR 102500819 B1 KR102500819 B1 KR 102500819B1 KR 1020220099807 A KR1020220099807 A KR 1020220099807A KR 20220099807 A KR20220099807 A KR 20220099807A KR 102500819 B1 KR102500819 B1 KR 102500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device
packet
group
setting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주원
Original Assignee
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9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은 중앙관리장치에서 그룹 설정을 위한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상기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그룹의 메인 관리장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그룹에 속하는 관리장치에서 빌딩의 설비에 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된 그룹의 메인 관리장치에서 상기 수신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설비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The building management method using broadcasting}
본 발명은 빌딩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하여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할 수 있는 빌딩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빌딩은 계속적으로 현대화되고 있으며, 빌딩 내에 위치한 다양한 설비들도 계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빌딩의 설비가 현대화됨에 따라 빌딩 내에 설치된 전력, 조명, 방재 등과 같은 설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도 확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어 시스템을 관리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빌딩 관리 시스템은 빌딩 내의 시설 또는 장비 등을 자동으로 온/오프하는 기능을 부여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의 설정 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부가적으로, 빌딩 내의 설비 또는 장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상태에 기초하여 그 설비 및 다른 설비 또는 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장치에 문제점이 발생하거나 오동작이 발생한 경우, 이러한 제어 기능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5438호
본 발명은 관리장치를 그룹으로 관리할 수 있는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부 관리장치의 고장에도 빌딩의 설비를 계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독립된 장치를 이용하여 빌딩 내 설비를 관리할 수 있는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은 중앙관리장치에서 그룹 설정을 위한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상기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그룹의 메인 관리장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그룹에 속하는 관리장치에서 빌딩의 설비에 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된 그룹의 메인 관리장치에서 상기 수신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에서 상기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관리장치에서 그룹 설정을 위한 제1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중앙관리장치에서 그룹 설정을 위한 제2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관리장치를 제1그룹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제1그룹에 속하지 않는 관리장치 중에서 상기 제2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관리장치를 제2그룹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에서 상기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관리장치에서 그룹 설정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패킷에 포함된 그룹 정보에 따라 상기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에서 상기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관리장치에서 제1그룹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중앙관리장치에서 제2그룹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관리장치를 상기 제1그룹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제1그룹에 속하지 않는 관리장치 중에서 상기 제2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관리장치를 제2그룹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에서 상기 설정된 그룹의 메인 관리장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그룹의 제1관리장치로 메인 관리장치 지정을 위한 제1패킷을 유니캐스트하는 단계; 상기 제1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제1패킷에 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제1관리장치를 메인 관리장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제1패킷에 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설정된 그룹의 제2관리장치로 메인 관리장치 지정을 위한 제2패킷을 유니캐스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제2패킷에 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제2관리장치를 메인 관리장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에서 상기 중앙관리장치에 추가 관리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추가 관리장치에서 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중앙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관리장치에서 등록된 장치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상기 추가 관리장치의 식별정보의 비교를 통해 상기 추가 관리장치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관리장치의 인증을 완료하면, 상기 설정된 그룹의 어느 하나의 그룹의 메인 관리장치를 상기 추가 관리장치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은 관리장치를 그룹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은 일부 관리장치의 고장에도 빌딩의 설비를 계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은 별도의 독립된 장치를 이용하여 빌딩 내 설비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룹의 메인 관리장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관리장치에서 설비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추가 관리장치를 이용하여 빌딩 내 설비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의 동작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시스템(100)은 중앙관리장치(110), 다수의 관리장치(130a, 130b, 130c, 130d, 130e, 130f) 및 다수의 설비(140a, 140b, 140c, 140d, 140e, 140f)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 및 설비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20)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네트워크가 무선 통신망일 경우, 셀룰러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셀룰러 통신은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5G(5th Gener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통신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후 개발되는 무선 통신의 기술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12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이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근거리 통신망 중의 하나인 이더넷(Ethernet)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중앙관리장치(110) 및 관리장치(130a, 130b, 130c, 130d, 130e, 130f)는 메모리,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 및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각 구성요소들은 버스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거나, 프로세서를 중심으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AP(Application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임의의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관리장치(130a, 130b, 130c, 130d, 130e, 130f)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수의 설비(140a, 140b, 140c, 140d, 140e, 140f)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수의 설비(140a, 140b, 140c, 140d, 140e, 140f)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거나 설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설비(140a, 140b, 140c, 140d, 140e, 140f)는 빌딩 내부에 위치하며, 빌딩에서 사용되는 각종 기계장치를 나타내며, 공조(Heating, Ventilation, Air-Condition, HAVC), 전력, 조명, 방범, CCTV, 원격검침, 주차관제, 출입관리, 엘리베이터 시스템 등을 포함하며, 다수의 관리장치(130a, 130b, 130c, 130d, 130e, 130f)를 통해 이러한 설비의 센싱, 감시, 모니터링, 알람 등을 비롯하여 통제 및/또는 제어와 같은 다양한 제어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중앙관리장치(110)는 그룹 설정을 위한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따라서, 패킷은 중앙관리장치(1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그룹 설정을 위한 패킷은 그룹 설정을 요청하는 데이터 또는 특정 그룹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 설정을 위한 패킷이 그룹 설정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패킷을 수신한 다수의 관리장치(130a, 130b, 130c, 130d, 130e, 130f)는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중앙관리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수의 관리장치(130a, 130b, 130c, 130d, 130e, 130f) 중에서 패킷을 수신한 관리장치(130a, 130b, 130c)는 제1차 브로드캐스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패킷을 중앙관리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패킷을 수신하지 못한 관리장치(130d, 130e, 130f)는 패킷을 수신하지 못했으므로, 제1차 브로드캐스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패킷을 중앙관리장치(110)에 전송할 수 없게 된다.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중앙관리장치(110)는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장치를 제1그룹으로 설정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관리장치(110)에서 1차 그룹 설정을 위한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한 후, 관리장치(130a, 130b, 130c)로부터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관리장치(130a, 130b, 130c)를 그룹 A로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관리장치(110)는 네트워크(120)에 연결된 모든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든 장치에 관한 정보는 장치의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및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등과 같은 장치 고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관리장치(110)는 수신된 응답 패킷에 포함된 관리장치(130a, 130b, 130c)의 식별정보와 내부에 저장된 장치의 식별 정보 비교를 통해 그룹 A를 설정할 수 있다.
중앙관리장치(110)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그룹 설정을 위한 패킷을 다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서 관리장치로부터 응답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시간보다 더 긴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답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시간이 30초인 경우, 일정 시간은 30초를 초과한 시간인 50초로 설정할 수 있다. 중앙관리장치(110)는 다수의 관리장치(130d, 130e, 130f)로부터 응답 패킷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응답 패킷을 수신한 중앙관리장치(110)는 그룹 A에 속하지 않는 장치 중에서 응답 패킷을 전송한 장치를 그룹 B로 설정할 수 있다. 중앙관리장치(110)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연결된 모든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하거나, 미리 설정된 개수의 그룹을 설정할 때까지 이러한 과정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중앙관리장치(110)는 그룹 설정을 위한 패킷의 브로드캐스트 및 이에 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을 통해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시스템(100)에서는 중앙관리장치(110)에서 그룹 설정을 위한 패킷을 일정 간격으로 브로드캐스트하고, 이러한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 수신 시점에 따라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관리장치(110)는 네트워크(120)에 새로운 관리장치가 추가되는 경우에도 그룹 설정을 위한 패킷을 다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 패킷 수신에 따라 네트워크(120)에 새롭게 추가된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의 동작을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관리장치(110)는 그룹 설정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킷을 수신한 관리장치(130a, 130b, 130c, 130d, 130e, 130f)에서는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중앙관리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응답 패킷을 수신한 중앙관리장치(110)에서는 응답 패킷에 포함된 그룹 정보에 따라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장치(130a, 130b, 130c)는 그룹 정보 A를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중앙관리장치(110)로 전송하고, 관리장치(130d, 130e, 130f)는 그룹 정보 B를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중앙관리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응답 패킷을 수신한 중앙관리장치(110)는 응답 패킷에 포함된 그룹 정보에 따라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관리장치(110)는 일정 시간 간격 후에 그룹 설정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추가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답 패킷에 포함된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그룹 설정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의 동작을 살펴본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시스템(100)에 의하면, 중앙관리장치(110)에서 특정 그룹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으며, 중앙관리장치(110)에서는 이러한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의 수신 여부에 따라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관리장치(110)는 그룹 A를 지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1차 브로드캐스트한 후, 이에 대해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관리장치(130a, 130b, 130c)를 그룹 A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관리장치(110)는 일정 시간 간격 후, 그룹 B를 지정하는 패킷을 포함하는 패킷을 2차 브로드캐스트한 후, 이에 대해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관리장치(130d, 130e, 130f)를 그룹 B로 설정할 수 있다. 중앙관리장치(110)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연결된 모든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하거나, 미리 설정된 개수의 그룹을 설정할 때까지 이러한 과정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리장치(110)는 네트워크(120)에 새로운 관리장치가 추가되는 경우에도 그룹 설정을 위한 패킷을 다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 패킷 수신에 따라 네트워크(120)에 새롭게 추가된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룹의 메인 관리장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룹의 메인 관리장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중앙관리장치(110)는 그룹 A에 속하는 관리장치(130a, 130b, 130c) 중 어느 하나의 관리장치(130a)를 메인 관리장치로 설정하고, 그룹 B에 속하는 관리장치(130d, 130e, 130f) 중 어느 하나의 관리장치(130e)를 메인 관리장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관리장치(110)는 설정한 그룹에 속하는 관리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관리장치를 메인 관리장치로 설정할 수 있다. 중앙관리장치(110)는 각 그룹에서 설정하고자 하는 메인 관리장치의 우선 순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러한 우선 순위에 따라 메인 관리장치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우선 순위는 관리장치의 위치, 기능, 성능과 같은 특성을 고려할 수도 있고, 이러한 특성과 무관하게 빌딩관리시스템 설계자의 의도가 고려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관리장치(110)는 미리 설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메인 관리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관리장치(110)는 그룹 A의 관리장치(130a)로 메인 관리장치 지정을 위한 패킷을 유니캐스트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킷을 수신한 관리장치(130a)는 이에 대한 응답 패킷을 중앙관리장치(11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응답 패킷을 수신한 중앙관리장치(110)는 응답 패킷을 전송한 관리장치(130a)를 메인 관리장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리장치(110)는 그룹 B의 관리장치(130d)로 메인 관리장치 지정을 위한 패킷을 유니캐스트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킷을 수신한 관리장치(130d)가 이에 대한 응답 패킷을 중앙관리장치(110)로 송신하지 않은 경우, 중앙관리장치(110)는 일정 시간 경과 후에 그룹 B의 다른 관리장치(130e)로 메인 관리장치 지정을 위한 패킷을 유니캐스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패킷을 수신한 관리장치(130e)로부터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응답 패킷을 전송한 관리장치(130e)를 메인 관리장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관리장치(110)는 미리 결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각 그룹별로 메인 관리장치를 설정할 수 있다.
그룹 A에 속하는 관리장치(130a, 130b, 130c)는 설비A(140a), 설비B(140b), 설비C(140c)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룹 A에 속하는 관리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 이상은 설비A(140a), 설비B(140b), 설비C(140c)로부터 설비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상태정보는 그룹 A에 속하는 관리장치 내부적으로 공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관리장치가 아닌 그룹에 속하는 관리장치에서 설비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관리장치가 고장, 오작동 등의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설비의 상태정보를 원활하게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설비A(140a), 설비B(140b), 설비C(140c)는 빌딩의 일정한 구역에 위치한 장치, 일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그룹 A에 속하는 관리장치(130a, 130b, 130c)에 대응하는 설비는 위치, 기능 등과 같은 공통점을 갖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그룹 A에 속하는 관리장치(130a, 130b, 130c)에서는 일정 특징을 갖는 설비를 대응시키기 위한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관리장치(130a)를 통해 설비 대응을 위한 패킷을 설비에 전송하는 방법을 통해 그룹 A에 속하는 관리장치(130a, 130b, 130c)에 설비A(140a), 설비B(140b), 설비C(140c)를 대응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그룹 A에 속하는 관리장치(130a, 130b, 130c)에 대응되는 설비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룹 A에 속하는 관리장치(130a, 130b, 130c)의 각각에 대응하는 설비는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각각에 대응하는 설비가 그룹 전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그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설비(140a, 140b, 140c)는 자체적으로 통신 모듈을 포함하거나, 각 설비(140a, 140b, 140c)를 모니터링하는 장치에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설비(140a, 140b, 140c)의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룹 A에 속하는 관리장치(130a, 130b, 130c)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각 설비(140a, 140b, 140c)의 상태정보를 수신한 관리장치(130a, 130b, 130c)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각 설비(140a, 140b, 140c)의 상태정보가 표시할 수 있다. 그룹 B에 속하는 관리장치(130d, 130e, 130f)에서도 그룹 A에 속하는 관리장치(130a, 130b, 130c)와 동일하게 설비D(140d), 설비E(140e), 설비F(140f)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정한 모든 그룹에 속하는 관리장치에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관리장치에서 설비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룹의 메인 관리장치에서 설비를 제어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그룹 A에 속하는 메인 관리장치(130a)는 설비A(140a), 설비B(140b), 설비C(140c)로부터 수신된 설비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이러한 설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룹 A에 속하는 메인 관리장치(130a)는 수신된 설비의 상태정보와 미리 설정한 설비의 목표 정보를 비교하고, 수신된 설비의 상태정보가 미리 설정한 목표 정보를 만족하는 경우 설비에게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하여 설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비로부터 수신한 빌딩 내부의 실내 온도가 30℃이고, 미리 설정한 내부의 실내 온도 목표가 27℃인 경우, 수신된 온도 값이 목표 온도 값보다 높으므로 에어컨과 같이 온도를 낮추기 위한 설비를 동작 시키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하여 에어컨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신호를 포함한 패킷을 수신한 설비는 이에 대한 응답 패킷을 메인 관리장치(130a)에 전송하는 방법을 통해 설비가 제어 신호에 따라 잘 동작함을 통지할 수 있다. 만약, 메인 관리장치(130a)에서 설비의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메인 관리장치(130a)를 그룹 A에 속하는 다른 관리장치(130b)로 변경할 수 있다. 그룹 A의 메인 관리장치의 순위는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그 우선 순위에 따라 그룹 A의 메인 관리장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에 의하면, 메인 관리장치(130a)가 고장, 오작동 등의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다른 관리장치를 이용하여 설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빌딩 내 설비를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추가 관리장치를 이용하여 빌딩 내 설비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추가 관리장치를 이용하여 빌딩 내 설비를 관리하는 방법의 동작을 살펴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시스템(100)이 동작할 수 있는 공간 내에 추가 관리장치(150)가 위치할 수 있다. 추가 관리장치(150)는 메모리,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각 구성요소들은 버스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거나, 프로세서를 중심으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관리장치(150)로는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AP(Application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임의의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추가 관리장치(150)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가 관리장치(150)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을 동작 시킬 수 있다.
추가 관리장치(150)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시스템(100)과 통신할 수 있는 특정 범위 내에 위치하면, 추가 관리장치(150)는 중앙관리장치(110)와 네트워크(12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관리장치(150)가 중앙관리장치(110)와 블루투스(Bluetooth)로 연결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면, 추가 관리장치(150)는 중앙관리장치(110)와 블루투스(Bluetooth)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추가 관리장치(150)가 중앙관리장치(110)와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면, 추가 관리장치(150)는 중앙관리장치(110)와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 관리장치(150)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와 같은 근거리통신을 통해 중앙관리장치(1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중앙관리장치(110)에 연결된 추가 관리장치(150)는 장치 고유의 식별번호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관리장치(150)의 고유의 식별정보는 중앙관리장치(110)에 전송될 수 있다.
중앙관리장치(110)에서는 내부에 등록된 장치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식별정보의 비교를 통해 추가 관리장치(150)를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추가 관리장치(150)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위해 사전에 중앙관리장치(110)에 식별정보를 등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중앙관리장치(110)에서는 등록된 장치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식별정보가 일치하면, 추가 관리장치(150)를 인증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중앙관리장치(110)는 인증을 위한 보안 키 요청 패킷을 추가 관리장치(15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답 패킷 수신을 통해 추가 관리장치(150)를 인증할 수도 있다. 추가 관리장치(150)의 인증이 완료되면, 중앙관리장치(110)는 설정된 그룹의 어느 하나 그룹의 메인 관리장치를 인증된 추가 관리장치(150)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A의 메인 관리장치를 추가 관리장치(150)로 변경하거나, 그룹 B의 메인 관리장치를 추가 관리장치(150)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관리장치(150)를 이용하여 그룹에 대응하는 설비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각 그룹의 메인 관리장치로 추가 관리장치(150)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추가 관리장치(150)를 메인 관리장치로 추가하는 경우, 이미 설정한 메인 관리장치 외에 추가 설정한 추가 관리장치(150)를 이용하여 그룹에 대응하는 설비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구현된 방법이나 컴퓨터에서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이 기록된 비일시적인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서 수행될 때,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한 가지 태양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개시하였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시스템
110: 중앙관리장치
120: 인터넷
130a, 130b, 130c, 130d, 130e, 130f: 관리장치
140a, 140b, 140c, 140d, 140e, 140f: 설비
150: 추가 관리장치

Claims (6)

  1. 중앙관리장치에서 그룹 설정을 위한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상기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그룹에 속하는 다수의 관리장치 중 어느 하나의 관리장치를 상기 설정된 그룹의 메인 관리장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관리장치에서 빌딩의 설비에 관한 상태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상태정보를 미리 설정된 그룹에 속하는 다른 관리장치에 공유하고, 상기 설정된 그룹의 메인 관리장치에서 상기 수신된 상태정보가 미리 설정한 설비의 목표정보를 만족하면 상기 설비에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하여 상기 설비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관리장치에서 상기 설비로부터 상기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메인 관리장치를 미리 설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그룹의 메인 관리장치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관리장치에서 미리 설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관리장치로 상기 메인 관리장치 지정을 위한 제1패킷을 유니캐스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제1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송신한 상기 관리장치를 상기 설정된 그룹의 메인 관리장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관리장치에서 그룹 설정을 위한 제1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중앙관리장치에서 그룹 설정을 위한 제2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관리장치를 제1그룹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제1그룹에 속하지 않는 관리장치 중에서 상기 제2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관리장치를 제2그룹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관리장치에서 그룹 설정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패킷에 포함된 그룹 정보에 따라 상기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관리장치에서 제1그룹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중앙관리장치에서 제2그룹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장치의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관리장치를 상기 제1그룹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제1그룹에 속하지 않는 관리장치 중에서 상기 제2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관리장치를 제2그룹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그룹의 메인 관리장치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중앙관리장치에서 상기 미리 설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그룹에 속하는 다수의 관리장치 중 상기 제1패킷을 유니캐스트한 관리장치가 아닌 다른 관리장치로 상기 메인 관리장치 지정을 위한 제2패킷을 유니캐스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제2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송신한 상기 관리장치를 상기 설정된 그룹의 메인 관리장치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장치에 추가 관리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추가 관리장치에서 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중앙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관리장치에서 등록된 장치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상기 추가 관리장치의 식별정보의 비교를 통해 상기 추가 관리장치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관리장치의 인증을 완료하면, 상기 설정된 그룹의 어느 하나의 그룹의 메인 관리장치를 상기 추가 관리장치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
KR1020220099807A 2022-08-10 2022-08-10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 KR102500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807A KR102500819B1 (ko) 2022-08-10 2022-08-10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807A KR102500819B1 (ko) 2022-08-10 2022-08-10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819B1 true KR102500819B1 (ko) 2023-02-16

Family

ID=85325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807A KR102500819B1 (ko) 2022-08-10 2022-08-10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8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333A (ko) * 2013-06-24 2015-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데이터 브로드캐스팅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중계 노드 및 다중 노드 네트워크
KR20150118272A (ko) * 2014-04-11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20150118273A (ko) * 2014-04-11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20170001076A (ko) * 2015-06-25 2017-01-04 (주) 야담 원격으로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9509693A (ja) * 2016-03-23 2019-04-04 フェデックス コーポレイト サービ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ノード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ノードのブロードキャスト設定を自動調整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KR102015438B1 (ko) 2017-07-14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딩 관리 시스템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333A (ko) * 2013-06-24 2015-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데이터 브로드캐스팅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중계 노드 및 다중 노드 네트워크
KR20150118272A (ko) * 2014-04-11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20150118273A (ko) * 2014-04-11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20170001076A (ko) * 2015-06-25 2017-01-04 (주) 야담 원격으로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9509693A (ja) * 2016-03-23 2019-04-04 フェデックス コーポレイト サービ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ノード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ノードのブロードキャスト設定を自動調整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KR102015438B1 (ko) 2017-07-14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딩 관리 시스템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7529B2 (en) Semiconductor device for controlling access right to server of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7883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Wi-Fi devices automatically connecting to specified access point
US20160278090A1 (en) Method a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load
KR102350430B1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하드웨어 엘리먼트들의 무선 프로비저닝 및 구성
CN104125124A (zh) 一种智能家居远程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20150215976A1 (en) Wireless network setup and configuration distribution system
CN105493539A (zh) 转移wifi设置
US1110882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recording medium
US201901978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wireless bandwidth
CN110753313A (zh) 一种数据同步方法和系统
CN104901757A (zh) 一种ip网络广播的移动终端控制方法及系统
KR20130015243A (ko) 지그비 장치 및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KR102500819B1 (ko)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빌딩관리방법
US10516998B2 (en) Wireless network authentication control
US11698613B2 (en) System for monitoring smart utilities
EP3082376A1 (en) Network device discovery method, network device and network device discovery system
Lee Non-connection wireless IoT network control using WiFi and bluetooth beacon
CN115486039A (zh) 节点控制单元和网络服务设备
US20150189693A1 (en) Wireless communicator connectable to different types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JP2021064909A (ja)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無線端末、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無線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79961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設定方法
CN113411245B (zh) 一种IPSec隧道网络配置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WO2022038914A1 (ja) サーバ装置、無線基地局、監視装置、通信制御方法、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及び通信システム
KR10213868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집단지성 무선랜 제어시스템
KR102653694B1 (ko)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