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741B1 - 클라우드 기반의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기반의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741B1
KR102210741B1 KR1020190054794A KR20190054794A KR102210741B1 KR 102210741 B1 KR102210741 B1 KR 102210741B1 KR 1020190054794 A KR1020190054794 A KR 1020190054794A KR 20190054794 A KR20190054794 A KR 20190054794A KR 102210741 B1 KR102210741 B1 KR 102210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outdoor unit
terminal
dust purification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822A (ko
Inventor
송수준
최영종
Original Assignee
아이서브(유)
(주)에스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서브(유), (주)에스엔 filed Critical 아이서브(유)
Priority to KR1020190054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741B1/ko
Priority to PCT/KR2020/006081 priority patent/WO2020231094A1/ko
Publication of KR20200129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9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reating air sourced from urban areas, e.g. from stre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은 복수의 지점에 설치된 실외기에 부착되어, 상기 실외기가 구동됨에 따라 필터를 통해 미세먼지를 정화하는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 및 상기 실외기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 및 상기 복수의 지점에서의 냉난방기의 운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점의 구동 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 및 상기 실외기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기반의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CLOUD-BASED FINEDUST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변국가의 산업 가속화에 따라 봄철과 같은 시기에는 황사와 더불어 대규모의 미세먼지가 국내에 들어오고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미세먼지나 황사는 계절 및 기상조건 등에 따라 달라지나, 미세먼지와 황사는 대륙풍이 겹치는 봄철에 가장 심각하며, 최근에는 가을과 겨울에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미세먼지의 경우 황산염, 질산염, 탄소 및 중금속으로 이루어져 호흡기를 통해 들어오는 경우, 감기 바이러스를 20배 이상 증가시키고, 만성 폐질환이나 천식 등을 유발시키며, 기도나 폐뿐만 아니라 뇌와 같은 신체 기관에도 유입되어 신경전달물질에 해를 가함으로써 우울증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이와 같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미세먼지의 대처 방법으로는 보통 황사전용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실내의 경우 공기청정기를 가동시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방법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발생 요인 또는 유입 자체를 차단하거나 줄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이미 발생되거나 유입된 미세먼지라면 풍향을 고려하여 차단하고 처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대용량의 공기 정화탑을 설치하는 방법의 경우, 설치한 공간이나 님비(NIMBY) 현상, 그리고 비용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우며, 실내용 환기청정기나 공기정화기만으로는 실내의 공기질만 향상시킬 뿐 실외의 공기질을 향상시키기는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629864호 (2016.06.07)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운휴 상태인 냉난방기의 실외기를 활용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공기 정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실외의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차단 및 정화시킬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분산형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및 운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은 복수의 지점에 설치된 실외기에 부착되어, 상기 실외기가 구동됨에 따라 필터를 통해 미세먼지를 정화하는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 및 상기 실외기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 및 상기 복수의 지점에서의 냉난방기의 운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점의 구동 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 및 상기 실외기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클라우드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은 상기 실외기의 풍압을 이용하여 상기 필터를 통해 주변의 공기를 흡입 정화하여 일정 지역에 미세먼지가 정화된 상온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은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시간 동안의 전력 사용량을 계측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은 상기 계측된 전력 사용량을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는 상기 계측된 전력 사용량이 상기 지점에서의 냉난방기에 대한 전력 사용량에서 배제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은 상기 구동 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로부터의 제어 신호 및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냉난방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제어 신호에 따른 상기 냉난방기의 운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의 필터를 상기 실외기로의 펼침 상태 또는 상기 실외기로부터의 접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냉난방기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필터가 접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는 미세먼지의 발생 요인 및 풍향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점에 설치된 구동 장치에 대한 가동 지역 및 가동 대수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은 위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정보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는 제어 중인 가동 지역 및 가동 대수와 사용자의 냉난방기 사용 여부를 상기 측정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지도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복수의 지점의 실외기에 부착된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을 운용하는 방법은 상기 실외기에 대응하는 냉난방기가 운휴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냉난방기가 운휴 상태로 확인된 경우, 상기 복수의 지점의 미세먼지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지점의 구동 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 및 상기 실외기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은 상기 실외기가 구동됨에 따라 필터를 통해 미세먼지를 정화시킨다.
일 실시예로, 상기 복수의 지점의 미세먼지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미세먼지의 발생 요인 및 풍향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점에 설치된 구동 장치에 대한 가동 지역 및 가동 대수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구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지점의 구동 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 및 상기 실외기를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실외기로부터의 접힘 상태인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의 필터를 상기 실외기로의 펼침 상태가 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먼지 필터를 기 설치된 복수의 지점의 실외기에 부착 설치하여 운휴 상태인 실외기의 풍압을 통해 대규모의 지역에 대하여 미세먼지가 정화된 공기를 실외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치된 실외기를 활용하기에 추가적인 공간 사용이 없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의 냉난방기 사용 여부에 기초하여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을 구동시키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 구동되는 동안 일정 지역의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미세먼지가 심할 경우 사람들의 외부 활동 자제로 인해 자영업의 매출 감소가 초래되었는데, 이를 정상으로 환원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로 인한 질병 유발을 감소시킴으로써 지출 저감 및 국민 행복권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지도 상에 가동 지역, 가동 대수 및 냉난방기의 사용 여부가 표시된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지도 상에 가동 지역, 가동 대수 및 냉난방기의 사용 여부가 표시된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1)은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 구동 장치(200) 및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1)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 간에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WiFi, V2V, V2I, V2X, DSRC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 구동 장치(200) 및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는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력선 통신 장치, 전화선 통신 장치, 케이블 홈(MoCA), 이더넷(Ethernet), IEEE1294, 통합 유선 홈 네트워크 및 RS-485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무선 USB 기술 및 무선 HDMI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지점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 그리고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200)가 하나의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와 연결됨으로써 대면적의 영역의 미세먼지 농도를 낮출 수 있는 분산형 클라우딩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1)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분산형 클라우딩 형태의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1)은, 상대적으로 미세먼지 발생이 적은 여름철에는 에어컨의 기능으로 실외기가 구동되도록 하고, 미세먼지 발생이 심한 봄, 가을, 겨울철에는 가동을 하지 않는 실외기를 이용하는 것인바 운휴 상태인 실외기에 대하여 새로운 효용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모든 건물에 기 부착된 실외기라는 인프라를 활용함으로써 국가적인 큰 비용 지출 없이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는 복수의 지점에서의 냉난방기의 운휴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점의 구동 장치(200)를 선택하여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 및 실외기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복수의 지점은 일반 가정과 같은 댁내뿐만 아니라 빌딩 등 고정된 위치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차량, 선박 등 이동 중인 위치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지점에 미리 설치된 실외기를 활용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구동 장치(200)는 복수의 지점의 실외기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의 제어에 따라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 및 실외기를 구동시킨다.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은 복수의 지점에 설치된 실외기에 별도로 부착되어 있으며, 실외기가 구동됨에 따라 필터(110)를 통해 미세먼지를 정화한다.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의 설치를 허락한 사용자들에게는 다양한 방식의 인센티브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인센티브는 후술하는 감지부(120)에 의해 계측된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은 필터(110), 감지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필터(110)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실외기에 부착되며, 실외기의 실외로의 풍압에 따라 공기를 정화시켜 청결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킨다.
즉,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은 실외기의 풍압을 이용하여 필터(110)를 통해 미세먼지가 정화된 상온의 공기를 실외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동되지 않는 냉난방기에 대한 실외기를 활용하기 때문에, 불쾌한 뜨거운 바람이 아닌 미세먼지가 한차례 필터링된 상온의 공기를 공급하므로 보행자들에게 상시적으로 쾌적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실외기의 풍압은 대기압보다 더 크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풍압은 실외기의 크기, 성능, 미세먼지의 정도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필터(110)는 실외기의 상부에 접힘 상태로 장착되고, 사용시에는 펼침 상태가 되도록 판스프링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접힘 상태 및 펼침 상태 간의 전환은 구동 모터에 의한 전환, 스프링 구조에 의한 전환 등 다양한 전기적, 기계적 방법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110)의 두께는 10mm 정도일 수 있으며, 필터(110)의 두께는 실외기의 크기, 성능, 풍압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결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작은 공간에 집적된 필터(110)를 사용 중에만 펼침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거치대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은 필터(110)의 교체 타이밍을 체크하기 위한 압력 센서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압력 센서를 통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풍압을 센싱함으로써 필터의 오염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의 감지부(120)는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시간 동안의 전력 사용량을 계측할 수 있다.
그리고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은 계측된 전력 사용량을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며, 이에 따라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는 계측된 전력 사용량이 해당 지점에서의 냉난방기에 대한 전력 사용량에서 배제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하여 공기청정기 모드로 사용시, 사용된 전력 사용량을 별도로 계측하여 누진세에 적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이 별도의 정산 시스템을 거쳐서 스마트 그리드의 전력거래 모델로 활용되게끔 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의 구동 전력은 기존 공기청정기와 달리 석탄과 같은 화력발전 설비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심야 전기를 사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감지부(120)는 상술한 압력 센서를 통해 필터(110)의 오염 여부를 체크하고 그 결과를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여러 지점에서의 필터(110)의 교체 주기를 확인하여 교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로 직접 전송될 경우 사용자가 직접 필터(11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의 제어부(130)는 구동 장치(200)를 통해 전달되는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로부터의 제어 신호와 사용자로부터의 냉난방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조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로부터의 제어 신호나 사용자로부터의 냉난방기의 제어 신호에 따른 냉난방기의 운휴 상태에 기초하여,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의 필터(110)를 실외기로의 펼침 상태 또는 실외기로부터의 접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공기 정화 기능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필터(110)가 실외기로부터 펼침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필터(110)가 실외기로부터 펼침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110)를 통해 정화된 상온의 청정 공기를 적정한 풍압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냉난방기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소정의 시간 내에 필터(110)가 실외기로부터 접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냉난방기의 작동을 원하는 경우 냉난방기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필터(110)가 접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냉난방기의 작동을 원하는 경우에 있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또는 냉난방기기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 냉난방기의 풍량, 온도 등의 가동 조건에 따라 필터(110)의 접힘 상태의 정도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냉난방기를 온도 25도, 풍량 약으로 설정한 경우 제어부(130)는 필터(110)의 펼침 상태에서 10분의 1 정도만이 접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온도 18도, 풍량 강으로 설정한 경우 필터(110)의 펼침 상태에서 10분의 9 정도가 접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냉난방기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로 필터(110)의 접힘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냉난방기의 사용과 공기 청정 기능을 동시에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냉난방기의 사용시에는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의 필터(110)가 완전 접힘 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지점에 분산되어 있는 실외기를 중앙에서 통제하여 관리 및 사용할 수 있는바,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가 미세먼지의 발생 요인 및 풍향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점에 설치된 구동 장치(200)에 대한 가동 지역 및 가동 대수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은 위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GPS 등과 같은 위치 정보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는 제어 중인 가동 지역 및 가동 대수와 사용자의 냉난방기 사용 여부를 위치 정보 측정부에서 측정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도 2와 같이 지도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도 상에는 복수의 지점들이 각각 점과 같은 노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를 통해 지도 상에 표시된 지점을 랜덤하게 또는 미리 설정된 로직에 따라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는 미세먼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가동 지역 및 가동 대수를 랜덤하게 또는 로직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와 별개로 관리자는 출력된 지도를 통해 클라우드 관리 서버(300)에 의해 설정된 가동 지역 중에서 지도 상에 표시된 지점의 가동을 해제하거나 표시되지 않은 지점을 선택하여 가동되게끔 할 수도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리적 요인, 계절에 따른 풍향, 기상요인, 미세먼지의 출현 빈도, 정도, 에어컨의 가동률 등의 정보가 수집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 및 활용하여 구동 장치(200)에 대한 가동 지역 및 가동 대수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실외기에 대응하는 냉난방기가 운휴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10).
냉난방기가 사용 상태인 경우에는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이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S110-N), 경우에 따라서는 냉난방기의 운용 상태에 따라 사용 중인 경우에도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이 함께 구동되게끔 할 수도 있다.
냉난방기가 사용 중이 아닌 경우, 또는 사용 중이더라도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이 함께 구동되도록 설정된 경우(S110-Y), 복수의 지점의 미세먼지 정도에 기초하여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S120).
이때,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의 구동 여부 판단시, 미세먼지의 발생 요인 및 풍향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점에 설치된 구동 장치(200)에 대한 가동 지역 및 가동 대수를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의 구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지점의 구동 장치(200)를 선택하여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 및 실외기를 구동시킨다(S130).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외기로부터 접힘 상태인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100)의 필터(110)를 실외기로의 펼침 상태가 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S13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3의 운용 방법에도 적용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의 운용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100: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
110: 필터
120: 감지부
130: 제어부
200: 구동 장치
300: 클라우드 관리 서버

Claims (12)

  1. 복수의 지점에 설치된 실외기에 부착되어, 상기 실외기가 구동됨에 따라 필터를 통해 미세먼지를 정화하는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과,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 및 상기 실외기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점에서의 냉난방기의 운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점의 구동 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 및 상기 실외기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클라우드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는, 상기 실외기에 대응하는 냉난방기가 운휴 상태로 확인된 경우 상기 복수의 지점의 미세먼지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구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지점의 상기 구동 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 및 상기 실외기가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은, 상기 실외기가 구동됨에 따라 필터를 통해 미세먼지를 정화시키는,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은, 상기 구동 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로부터의 제어 신호 및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냉난방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른 상기 냉난방기의 운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의 필터를 상기 실외기로의 펼침 상태 또는 상기 실외기로부터의 접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냉난방기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필터가 접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은, 위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정보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는, 미세먼지의 발생 요인 및 풍향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점에 설치된 구동 장치에 대한 가동 지역 및 가동 대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제어 중인 가동 지역 및 가동 대수와 사용자의 냉난방기 사용 여부를 상기 측정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지도 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인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10. 복수의 지점의 실외기에 부착된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을 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에 대응하는 냉난방기가 운휴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냉난방기가 운휴 상태로 확인된 경우, 상기 복수의 지점의 미세먼지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지점의 구동 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 및 상기 실외기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은, 상기 실외기가 구동됨에 따라 필터를 통해 미세먼지를 정화시키는, 운용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미세먼지의 발생 요인 및 풍향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점에 설치된 구동 장치에 대한 가동 지역 및 가동 대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운용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단계는,
    상기 실외기로부터의 접힘 상태인 상기 미세먼지 정화용 단말의 필터를 상기 실외기로의 펼침 상태가 되도록 구동시키는, 운용 방법.
KR1020190054794A 2019-05-10 2019-05-10 클라우드 기반의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210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794A KR102210741B1 (ko) 2019-05-10 2019-05-10 클라우드 기반의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PCT/KR2020/006081 WO2020231094A1 (ko) 2019-05-10 2020-05-08 클라우드 기반의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794A KR102210741B1 (ko) 2019-05-10 2019-05-10 클라우드 기반의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822A KR20200129822A (ko) 2020-11-18
KR102210741B1 true KR102210741B1 (ko) 2021-02-04

Family

ID=7328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794A KR102210741B1 (ko) 2019-05-10 2019-05-10 클라우드 기반의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0741B1 (ko)
WO (1) WO202023109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965B1 (ko) 2005-01-07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062775B1 (ko) 2019-04-23 2020-01-06 주식회사 창대이앤씨 실외 공기청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0428Y1 (ko) * 1993-08-02 1998-04-06 김광호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토출공기 정화장치
JP2006279685A (ja) * 2005-03-30 2006-10-12 Mitsubishi Electric Corp 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遠隔監視装置
KR20100048195A (ko) * 2008-10-30 2010-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11027362A (ja) * 2009-07-28 2011-02-10 Mitsubishi Heavy Ind Ltd 適応画面更新web空調監視装置及び方法並びにシステム
KR101167616B1 (ko) * 2010-01-28 2012-07-23 박정필 에어컨 실외기용 공기정화기
KR102206463B1 (ko) * 2013-08-22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26819B1 (ko) * 2014-04-11 2016-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101629864B1 (ko) 2015-11-12 2016-06-13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갖는 중앙제어식 원격제어 공기조화기
KR101892345B1 (ko) * 2016-07-01 2018-08-27 우연정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965B1 (ko) 2005-01-07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062775B1 (ko) 2019-04-23 2020-01-06 주식회사 창대이앤씨 실외 공기청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822A (ko) 2020-11-18
WO2020231094A1 (ko)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34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control of local power usage incorporating reprogramming and replacing power consumption controllers
CN106814710B (zh) 一种对智能家居设备的控制方法和装置
JP6052451B2 (ja) 空調制御装置
CN103954004B (zh) 空调器及其除尘控制方法和空调系统
CN108829074A (zh) 一种基于大数据的人工智能家居环境系统控制方法
Tathagat et al. Role of green buildings in sustainable construction-need, challenges and scope in the Indian scenario
CN106642573A (zh) 一种基于三相空调智能化控制及节能管理的控制器
JP2013044498A (ja) 省エネ換気扇
WO2016143831A1 (ja) 空調制御装置
CN110736231A (zh) 空调控制方法、装置、空调、存储介质以及处理器
KR102210741B1 (ko) 클라우드 기반의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Peng et al. An integrated low-energy ventilation system to improve indoor environment performance of school buildings in the cold climate zone of China
KR102199139B1 (ko) 공기 조화기 제어 장치,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공기 조화기 제어 방법
CN106016516A (zh) 新风机及其控制方法和装置
Kapgate Wireless streetlight control system
Kaya et al. Optimum control policies to minimize energy use in HVAC systems
Shen et al. Global performance analysis of a solar-driven indoor CO2/H2O capture system for air quality enhancement and cooling energy saving
Dhital et al. Integrating run-around heat exchanger systems into the design of large office buildings
Chmutina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nd its regulations in China
CN103794082A (zh) 一种基于蓝牙和ZigBee的停车位引导装置
KR102372484B1 (ko) 실외기용 공기정화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CN110398044B (zh) 新风机的控制方法、系统及新风机
CN206281097U (zh) 一种气候补偿型楼宇空调蓄能系统
CN103134907A (zh) 一种油烟在线监测装置
CN106231663A (zh) 一种提高续航时间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