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965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965B1
KR100748965B1 KR1020050001635A KR20050001635A KR100748965B1 KR 100748965 B1 KR100748965 B1 KR 100748965B1 KR 1020050001635 A KR1020050001635 A KR 1020050001635A KR 20050001635 A KR20050001635 A KR 20050001635A KR 100748965 B1 KR100748965 B1 KR 100748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filter
heat exchanger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1171A (ko
Inventor
박인희
김용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1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965B1/ko
Publication of KR20060081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2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live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의 상면 공기 흡입구에 필터 유닛이 설치되고, 본체의 전면 공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에어 필터가 설치되어, 공기 청정 능력이 향상되고, 본체에 환기 유닛이 형성되어, 공기 청정 능력이 보다 향상됨과 아울러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본체, 상면 공기 흡입구, 필터 유닛, 전면 공기 흡입구, 에어 필터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전면이 개방일 때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되 공기조화기의 전면이 밀폐될 때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 선 단면도,
도 7은 도 2의 C-C 선 단면도,
도 8은 도 3의 D-D 선 단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필터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실내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실내기 101: 본체
102: 섀시 104: 환기 덕트 관통홀
109: 전면 공기 흡입구 110; 프론트 그릴
112: 전기 집진기 112a: 집진기 홀더
113; 전방측 고성능 필터 113a: 필터 홀더
114; 상면 공기 흡입구 130: 송풍용 모터
132: 송풍용 팬 134: 실내 열교환기
140: 프론트 패널 150: 환기 유닛
152: 환기용 송풍기 154: 환기 팬
156: 환기용 모터 160: 환기 팬 하우징
162; 흡입구 164: 토출구
170; 환기 덕트 200: 실외기
250: 산소 공급기 252: 산소 발생 유닛
254; 산소 호스 300: 필터 유닛
310: 필터 케이스 311: 연통홀
312: 리브 320: 좌측 고성능 필터
322: 하부 케이스 324: 상부 케이스
326: 헤파 필터 328: 은 나노 필터
330: 우측 고성능 필터 340: 필터 커버
341: 실내 공기 흡입홀 342: 그릴
345,346: 후크 350: 좌측 에어 필터
360: 우측 에어 필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터 유닛과, 에어 필터와, 환기 유닛이 설치되어 공기 청정 능력이 향상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냉/난방시켜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서, 크게 나누어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erate 또는 split type)이 있다.
상기한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 중 분리형은 크게 냉각기능을 수행하도록 실내 열교환기가 내장된 실내기와, 방열 및 압축기능을 수행하는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와 팽창기구가 내장된 실외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배관으로 구성된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실내기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1)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50)와, 상기 실내기(1)와 실외기(50)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52)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내기(1)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2)와, 상기 섀시(2)의 전면에 결합되고 공기 흡입구(4) 및 흡입 그릴(6)이 형성되며 전면 하측 또는 저면에 공기 토출구(8)가 형성된 프론트 그릴(10)과, 상기 프론트 그릴(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흡입 그릴(12)과, 상기 섀시(2)에 장착되는 모터(14)와, 상기 모터(14)에 연결된 송풍팬(16)과, 상기 송풍팬(16)과 상기 공기 흡입구(4) 및 흡입그릴(6)의 사이에 배치된 실내 열교환기(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그릴(10)은 전면에 전면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상면 흡입 그릴(6)이 일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그릴(10)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에어 필터(5)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 그릴(12)은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4) 및 에어 필터(5)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그 상부가 상기 프론트 그릴(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 그릴(10)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응축수 받이부(19)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 토출구(8)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변경시키는 루버(20)와 상하 풍향을 변경시키는 베인(22)을 포함하는 토출 그릴(24)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풍팬(16)이 회전되면, 상기 흡입 그릴(12) 전방의 실내 공기가 상기 흡입 그 릴(12)과 전면 공기 흡입구(4)를 통과하면서 상기 필터(5)에 의해 이물질이 걸름되고, 상기 프론트 그릴(10)과 섀시(2)의 사이 공간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그릴(10) 상측의 실내 공기가 상기 상면 흡입 그릴(6)을 통과하여 상기 프론트 그릴(10)과 섀시(2)의 사이 공간으로 흡입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8)를 통과하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되고, 상기 송풍팬(16)을 통과한 후 상기 루버(20) 및 베인(22)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공기 토출구(8)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에어 필터(5)만이 실내 공기를 청정시키는데 사용되므로, 실내 공기를 청정시키는데 한계가 따르게 되고,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하기 위해 별도의 공기 청정기를 실내에 설치하게 되면, 공기조화기와 공기 청정기를 각각 작동시켜야 하므로 편의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 및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지 못하거나 환기 능력이 낮아 창문 등을 자주 열어 실내를 환기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 청정 능력이 향상되고 실내 공기를 신속하게 환기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면 공기 흡입구 및 전면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 공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필터 유닛과; 상기 본체의 전면 공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에어 필터와; 실내 공기를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 및 전면 공기 흡입구로 흡입하여 상기 공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실내 송풍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환기용 송풍기와; 상기 환기용 송풍기에 의해 송풍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도록 설치된 환기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 유닛은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에 장착되는 고성능 필터와; 상기 고성능 필터를 보호하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에 설치되고 실내 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 그릴이 형성된 필터 커버와; 상기 흡입 그릴을 통해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상기 필터 커버에 설치된 에어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섀시와,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 및 전면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프론트 그릴과; 상기 프론트 그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디스챠지 그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 및 전면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그릴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 및 상면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실내 공기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로 안내하는 흡입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 가이드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 및 상면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실내 공기 중 일부가 상기 환기용 송풍기로 흡입되도록 환기용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프론트 그릴의 전면을 여닫도록 설치된 프론트 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본체의 전면 공기 흡입구 내측에 설치된 전기 집진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섀시와; 상기 섀시의 전방에 배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프론트 그릴과; 상기 프론트 그릴의 하부에 설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디스챠지 그릴과; 상기 섀시에 설치된 실내 송풍기와;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실내 송풍기의 사이에 설치된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열교환기 서포터와; 상기 열교환기 서포터 옆에 설치된 환기용 송풍기와; 상기 환기용 송풍기에 의해 송풍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환기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 그릴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실내 공기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로 안내하고 상기 환기용 송풍기의 구동시 상기 공기 흡입구와 열교환기 사이의 공기가 상기 환기용 송풍기로 흡입될 수 있도록 환기용 홀이 구비된 흡입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00)에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환기 유닛(1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실외기(200)에 상기 실내기(100)를 통해 실내로 산소(O″)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기(250)가 설치된다.
또한, 실내기(200)에 상기 실내기(100)를 향해 흡입되는 공기를 청정시키는 필터 유닛(300)과, 공기를 이온화시켜 포집하는 전기 집진기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기(100)에서 찬 공기 혹은 따뜻한 공기(I′)가 토출되는 냉/난방 운전과, 실내의 공기가 상기 실내기(100)로 흡입되어 실외로 배출되는 환기 운전과, 상기 실내기(100)를 통해 산소(O″)가 공급되는 산소 운전과, 실내의 공기가 상기 필터 유닛(300)에 의해 청정되는 독립 청정 운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냉/난방 운전과, 환기 운전과, 산소 운전과, 독립 청정 운전은 함께 혹은 독립적으로 실시된다.
상기 실내기(100)에는 냉매가 증발/응축되면서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내 열교환기(134)와, 실내 공기를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시켜 상기 실내 열 교환기(134)를 통과시킨 후 실내로 송풍시키는 실내 송풍기가 설치된다.
상기 환기 유닛(150)은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에 설치된 환기용 송풍기(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환기용 송풍기(152)는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 좌,우 중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환기 유닛(150)은 상기 환기용 송풍기(152)에 의해 송풍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환기 덕트(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환기 덕트(170)는 일단이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기(100)에 형성된 덕트 관통홀(104)을 관통하며 타단이 실외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상기 실외기(200)에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실외 공기에 의해 냉매가 응축/증발되는 실외 열교환기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와, 실외 공기를 실외기 내부로 흡입시켜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실외로 송풍시키는 실외 송풍기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기(200)에는 상기 실내기(100)가 냉방과 난방을 겸하는 경우, 냉매의 흐름을 절환하는 사방 밸브가 설치된다.
상기 산소 공급기(250)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산소(O″)를 발생하는 산소 발생 유닛(252)과, 상기 산소 발생 유닛(252)에서 발생된 산소(O″)를 상기 실내기의 내부로 안내하는 산소 호스(25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산소 발생 유닛(252)은 실외 공기에서 질소(O′)와 산소(O″)를 분리하 여, 산소(O″)는 상기 산소 호스(254)로 공급하고, 질소(O′)는 실외로 다시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실외기(200)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산소 안내 호스(254)는 상기 산소 발생기(252)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실내기(100)에 형성된 호스 관통홀(105)을 관통하며 타단이 상기 실내기(100)의 실내 열교환기(134) 전방 혹은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 유닛(300)은 상기 실내기(100)의 상측에서 상기 실내기(100)의 상면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청정시키도록 상기 실내기(100)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전기 집진기는 상기 실내기(100)의 전면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청정시키도록 상기 실내기(100)의 전면에 설치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전면이 개방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되 실내기의 전면이 밀폐될 때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B-B 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C-C 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3의 D-D 선 단면도이다.
상기 실내기(100)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과, 상기 본체(101)의 내측에 설치된 송풍용 모터(130) 및 송풍 팬(132)으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와; 상기 송풍 팬(132)과 상기 본체(101)의 사이에 설치된 실내 열교환기(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1)는 섀시(102)와; 상기 섀시(102) 전방에 설치되고 전면에 공기 흡입구(109)가 형성된 프론트 그릴(110)과;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하측에 설 치되고 공기 토출구(119)가 형성된 디스챠지 그릴 어셈블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섀시(102)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와 연결된 냉매 배관(135)이 통과하는 냉매 배관 통과홀(103)이 형성된다.
상기 섀시(102)에는 상기 냉매 배관 통과홀(103)을 통과한 냉매 배관(135)을 지지하는 배관 홀더(103a)가 설치된다.
상기 섀시(102)는 상기 환기 덕트(170)가 관통되는 덕트 관통홀(104)이 형성된다.
상기 섀시(102)는 상기 산소 호스(254)가 관통되는 호스 관통홀(105)이 형성된다.
상기 섀시(102)의 전면 좌측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의 좌측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송풍 팬(132)을 지지하는 베어링(133)이 설치되는 좌측 열교환기 서포터(106)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 열교환기 서포터(106)는 상기 섀시(102)의 전면 좌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 1 좌측 열교환기 서포터(106a)와, 상기 제 1 좌측 열교환기 서포터(106a)의 전방 및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섀시(102)에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된 제 2 좌측 열교환기 서포터(106c)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좌측 열교환기 서포터(106a)에는 상기 베어링(133)의 후방부가 장착되는 수납부(106b)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좌측 열교환기 서포터(106c)에는 상기 베어링(133)의 전방부가 장착되는 수납부(106d)가 형성된다.
상기 섀시(102)의 전면 우측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의 우측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우측 열교환기 서포터(107)가 형성된다.
상기 우측 열교환기 서포터(107)는 상기 섀시(102)의 전면 우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송풍용 모터(130)의 회전축(131)이 관통되는 축 관통홀(107a)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섀시(102)의 전면 상부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아 상기 디스챠지 그릴(120)의 상면으로 낙하시키는 드레인부(108)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에는 전면 에어 필터(111)가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09)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 그릴(110)은 상기 전기 집진기(112)가 상기 전면 에어 필터(111)의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전기 집진기(112)는 공기 중의 먼지 등을 이온화시키도록 방전극과 방전 대응극으로 이루어진 전리부(112a)와, 상기 전리부(112a)에서 이온화된 먼지 등이 가속 포집되도록 포집 전극과 가속 전극으로 이루어진 포집부(11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기 집진기(112)에는 상기 전리부(112a) 및 포집부(112b)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 집진기(112)는 상기 전면 에어 필터(111)의 후방에 좌,우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전면 에어 필터(111)의 좌,우측부 중 일측의 후방에 1개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전면 에어 필터(111)의 우측부 후방에 1개 장착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프론트 그릴(110)에는 상기 전기 집진기(112)가 상기 전면 에어 필터(111) 우측부 후방에 위치되게 착탈되는 집진기 홀더(112c)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기 홀더(112c)는 상기 프론트 그릴(100)에 좌우 대향되게 돌출되어 상기 전기 집진기(112)가 상기 집진기 홀더(112a)가 끼움 혹은 걸림되어 착탈되거나 나사 등의 체결수단으로 착탈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그릴(110)은 상기 전면 에어 필터(111)의 후방에 헤파 필터 등의 고정능 필터(113)가 설치된다.
상기 전방 고성능 필터(113)는 상기 전기 집진기(112)의 옆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전기 집진기(112)의 전방 혹은 후방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전기 집진기(112)의 옆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프론트 그릴(110)에는 상기 전방 고성능 필터(113)가 상기 전면 에어 필터(111) 좌측부 후방에 위치되게 착탈되는 필터 홀더(113a)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 홀더(113a)는 상기 전방 고성능 필터(113)이 끼움 혹은 걸림되어 착탈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 홀더(113a)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전방 고성능 필 터가 삽입되어 올려지는 박스부와, 상기 박스부의 배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전방 고성능 필터가 후방으로 걸림되는 후방 걸림 돌기와, 상기 박스부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전방 고성능 필터가 전방으로 걸림되는 전방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 홀더(113a)는 상기 박스부의 강도를 보강함과 아울러 상기 전방 고성능 필터(113)의 후방 탈거를 막는 리브가 배면측에 좌우 혹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상면에는 상면 공기 흡입구(114)가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상면에는 상기 필터 유닛(300)이 설치되어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114)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청정시킨다.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 둘레에는 데코 패널(118)이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 그릴(110)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09) 및 상면 공기 흡입구(114)로 흡입된 실내 공기가 옆으로 새지 않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로 안내되록 흡입 가이드(119a)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 가이드(119a)는 좌,우 각각 형성되고, 그 중 좌측 흡입 가이드에는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 중 일부가 상기 환기 유닛(150) 특히, 상기 환기용 송풍기(152)로 흡입되도록 다수개의 환기용 홀(119c)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챠지 그릴 어셈블리(120)는 상면에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응축수 받이부(121)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면에 상기 공기 토 출구(119)이 형성된 디스 챠지 본체(122)와, 상기 공기 토출구(119)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조절하도록 설치된 루버(123)와, 상기 공기 토출구(119)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풍향을 조절하도록 설치된 베인(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 팬(132)은 좌우로 길게 배치되고, 좌측단에 상기 베어링(13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측 회전축(132a)이 돌출되고, 우측단에 상기 송풍용 모터(130)의 회전축(131)에 연결되는 우측 회전축(132b)이 돌출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09) 후방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부(134a)와, 상기 수직부(134a)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 1 경사부(134b)와, 상기 제 1 경사부(134b)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 2 경사부(134c)로 구성된다.
상기 실내기(100)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09)를 개폐하도록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론트 패널(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140)은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에 회동 및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패널 프레임(140a)과, 상기 패널 프레임(140a) 전방에 배치된 도어 글래스(14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널 프레임(140a)에는 후술하는 투명부를 위해 일측에 개구홀(140c)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 글래스(140)의 배면에는 특정 색상 또는 문양을 갖는 인쇄물(140d)이 형성된다.
상기 인쇄물(140d)은 상기 프론트 패널(140)이 후술하는 투명부를 갖도록 상기 개구홀(140c)의 전방에는 인쇄되지 않는다.
상기 프론트 패널(140)은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그 하부가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하부에 지지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140)의 배면 하부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140)의 하부가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 하부에 걸림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걸이 리브(140e)가 돌출 되고,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 하부에는 걸이 리브(140e)가 좌우방향, 하측방향, 전방 방향으로 걸림되고 상측 방향 및 프론트 패널(140)의 회동 방향으로 걸림되지 않는 걸이 리브용 포킷(110a)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140)은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 하부에 링크 수단으로 연결된다.
상기 링크 수단은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 하부에 힌지 연결된 제 1 링크(141)와, 상기 제 1 링크(141)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140)의 배면에 힌지 연결된 제 2 링크(142)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140)의 배면에는 상기 제 2 링크(142)를 회동 가능하게 걸기 위한 링크 서포터(143)가 설치된다.
상기 링크 서포터(143)는 상기 프론트 패널(140)의 조립/분해가 용이토록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 그릴(110)과 상기 프론트 패널(140)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을 회동 개폐 동작시키는 프론트 패널 구동 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 구동 수단은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랙(144)과, 상기 프론트 그릴(110)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 구동용 모터(145)와, 상기 프론트 패널 구동용 모터(145)의 회전축에 축설되고 상기 랙(144)이 치합되는 피니언(146)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140)은 상기 패널 프레임(140a)의 개구홀(140c) 및 도어 글래스(140b)에 의해 투명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부의 후방에는 상기 공기 청정 시스템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48)가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140)의 배면 및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140)이 경사지거나, 수직하게 배치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148)를 상기 투명부의 후방에 위치시키고, 상기 프론트 패널(140)이 상기 프론트 그릴(110)에서 분리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148)를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측에 유지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착 수단(149)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 수단(149)은 하단이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 하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프레이(148)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브라켓(149a)과, 상기 디스플레이(148)를 상기 프론트 패널(140)의 배면에 걸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패널(140)의 배면에 돌출 형성된 후크(149b)와, 상기 디스플레이 브라켓(149a)의 상단을 걸기 위한 후크(149c)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 상부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커넥터(149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환기 유닛(150)은 상기 좌측 열교환기 서포터(136)의 좌측과 상 기 우측 열교환기 서포터(138)의 우측 중 일측에 배치되는 바, 이하 좌측 열교환기 서포터(136)의 좌측에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환기용 송풍기(152)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 팬(154) 및 환기용 모터(156)와; 상기 환기 팬(154) 및 환기용 모터(156)가 설치되는 환기 팬 하우징(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환기 팬 하우징(160)은 실내 공기(I)가 흡입되는 흡입구(162)와 상기 환기 팬(154)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64)가 형성된다.
상기 환기 팬 하우징(160)은 상기 환기용 모터(156)가 설치되고 일면이 개방되며 토출구(164)가 형성된 하우징 본체(166)와, 상기 하우징 본체(166)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구(162)가 형성된 오리피스(168)로 구성된다.
상기 환기 팬 하우징(160)은 상기 섀시(102)에 체결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참조 부호 180은 상기 송풍용 모터(130)를 덮도록 상기 섀시(102)에 나사나 후크 등으로 체결되는 모터 커버이다.
도 4에 도시된 참조 부호 190은 상기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 부품이 장착되고 상기 모터 커버(180)의 전방 혹은 상측에 배치되는 컨트롤 박스이다.
도 4에 도시된 참조 부호 198은 상기 컨트롤 박스(190)의 서비스를 위해 상기 컨트롤 박스(190)의 전방에 형성된 서비스 홀을 막는 박스 커버이다.
도 7에 도시된 참조 부호 102a는 상기 환기 팬 하우징(160)의 조립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섀시(102)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조립 가이드이다.
도 7에 도시된 참조 부호 166a는 상기 환기 팬 하우징(160) 중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166)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립 가이드(102a)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돌기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필터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필터 유닛(300)은 도 5 및 도 6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00)의 상면 공기 흡입구(114)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필터 케이스(310)와,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 장착되는 고성능 필터(320)(330)와, 상기 고성능 필터(320)(330)를 보호하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310)의 상측에 설치되는 필터 커버(340)와, 상기 필터 커버(340)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상기 필터 커버(340)에 설치되는 에어 필터(350)(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는 상기 실내기(50)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홀(311)이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는 상기 연통홀(311)에 복수개의 리브(312)가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는 상기 고성능 필터(320)(330)가 전후 슬라이딩 착탈되도록 고성능 필터 슬라이딩 가이드(313a)(313b)(314a)(314b)가 형성된다.
상기 고성능 필터 슬라이딩 가이드(313a)(314a)(314a)(314b)는 상기 고성능 필터(320)(330)의 좌측면이 전후 슬라이딩 안내되는 고성능 필터 좌측 슬라이딩 가이드(313a)(314a)와, 상기 고성능 필터 좌측 슬라이딩 가이드(313a)(314a)와 상기 고성능 필터(320)(330)의 좌우 폭 보다 조금 큰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성능 필터(320)(330)의 우측면이 전후 슬라이딩 안내되는 고성능 필터 우측 슬라이딩 가이드(313b)(314b)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는 상기 고성능 필터(320)(330)를 가압하는 판 스프링(315a)(315b)(316a)(316b)이 형성된다.
상기 판 스프링(315a)(315b)(316a)(316b)은 상기 고성능 필터(320)(330)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킬 때 상기 고성능 필터(320)(330)의 상면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고성능 필터를 하측 방향으로 누르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판 스프링(315a)(315b)(316a)(316b)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선단은 상기 고성능 필터(320)(330)의 초기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판 스프링(315a)(315b)(316a)(316b)은 상기 고성능 필터(320)(330)의 좌측부을 누르도록 형성된 좌측 판 스프링(315a)(316a)과, 상기 고성능 필터(320)(330)의 우측부를 누르도록 형성된 우측 판 스프링(315b)(316b)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성능 필터(320)(330)는 상기 필터 케이스(310)의 상면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 고성능 필터(320)와, 상기 필터 케이스(310)의 상면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 고성능 필터(3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성능 필터(320)(330)는 상하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322)와, 상기 하부 케이스(322)의 상측을 덮도록 설치되고 상하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324)와, 상기 하부 케이스(322)와 상부 케이스(324)의 내측에 설치된 헤파 필터(3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성능 필터(320)(330)는 상기 헤파 필터(326)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 필터 케이스(322)에 설치된 은 나노 필터(32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 커버(340)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실내 공기 흡입홀(341)이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실내 공기 흡입홀(341)에는 그릴(342)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 커버(340)에는 상기 에어 필터(350)(360)가 전후 슬라이딩 착탈되도록 에어 필터 슬라이딩 가이드(343a)(343b)(344a)(344b)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 필터 슬라이딩 가이드(343a)(343b)(344a)(344b)는 상기 에어 필터(350)(360)의 좌측단이 전후 슬라이딩 안내되는 에어 필터 좌측 슬라이딩 가이드(343a)(343b)와, 상기 에어 필터 좌측 슬라이딩 가이드(343a)(343b)와 상기 에어 필터(350)(360)의 좌우 폭 보다 조금 작은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에어 필터(350)(360)의 우측면이 전후 슬라이딩 안내되는 에어 필터 우측 슬라이딩 가이드(344a)(344b)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 필터 좌측 슬라이딩 가이드(343a)(343b)와 에어 필터 우측 슬라이딩 가이드(344a)(344b)는 상기 에어 필터(350)(360)의 측단이 전후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홈부가 대향되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 필터 좌측 슬라이딩 가이드(343a)(343b)와 에어 필터 우측 슬라이딩 가이드(344a)(344b)는 상기 에어 필터(350)(360)의 슬라이딩 삽입이 용이하도록 선단 부가 다른 부분 보다 더 넓게 개구된다.
상기 필터 커버(340)의 저면에는 상기 에어 필터(350)(360)가 걸림되는 후크(345)(346)가 하향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필터 커버(340)는 후단이 상기 필터 케이스(310)의 후단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필터 커버(340)의 후단 양측에는 힌지 봉(349)이 대향되게 돌출되고, 상기 필터 케이스(310)의 후단 양측에는 상기 힌지 봉(349)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기 위한 힌지 홀(319)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 필터(350)(360)는 상기 필터 커버(340)의 하면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 에어 필터(350)와, 상기 필터 커버(340)의 하면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 에어 필터(36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이 입력되면, 상기 실외기(200)의 압축기가 구동되고, 상기 실외기(200)의 사방 밸브는 냉방 모드로 절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 구동용 모터(145)가 개방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실내 송풍기의 송풍용 모터(130)가 구동되며, 상기 실외 송풍기의 송풍용 모터가 구동된다.
상기 실외기(200)의 압축기가 구동되고, 상기 실외기(200)의 사방 밸브가 냉방 모드로 절환되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사방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 기구와 실내 열교환기(134)와 사방 밸브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압축 기로 순환되고, 이 때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는 주변의 열을 빼앗으면서 증발되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 주변의 공기는 냉각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패널 구동용 모터(145)가 개방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피니언(146)은 회전되어 상기 랙(144)을 전진시키고, 상기 프론트 패널(140)은 도 1과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과의 사이에 공기 흡입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실내기(50)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09)를 통한 실내 공기의 흡입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 송풍기의 송풍용 모터(130)가 구동되면, 상기 송풍 팬(132)은 회전되고, 상기 실내기(50) 전방의 실내 공기(I)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09)로 흡입되며, 상기 실내기(50) 상측의 실내 공기(I)는 상기 필터 유닛(3O0)으로 흡입된다.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09)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I)는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에 장착된 전면 에어 필터(111)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걸름되고, 일부가 상기 전방 고성능 필터(113)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미세 먼지가 상기 전방 고성능 필터(113)에 걸름되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의 수직부(134a) 또는 제 1 경사부(134b)를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해 냉각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전기 집진기(112)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전면 에어 필터(111)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전기 집진기(112)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먼지 등이 이온화되어 포집되고, 상기 전기 집진기(112)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는 상기 전방 고성능 필터(113)를 통과한 공기와 함께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의 수직부(134a) 또는 제 1 경사부(134b)를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해 냉각된다.
한편, 상기 필터 유닛(3O0)으로 흡입된 실내 공기(I)는 상기 필터 유닛(300)을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이하, 상기 필터 유닛(300)에 의한 실내 공기의 정화 작용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내 공기 중에서 상기 필터 유닛(300) 상측의 공기는 상기 필터 커버(340)의 그릴(342) 사이의 실내 공기 흡입홀(341)을 통해 상기 필터 유닛(300)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에어 필터(350)(360)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름된다.
상기 이물질이 걸름된 공기는 상기 고성능 필터(320)(330)로 흡입되어, 상기 헤파 필터(326)를 통과하면서 미세 먼지가 걸러지고, 이후 상기 은 나노 필터(328)를 통과하면서 냄세 입자, 세균 등이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정화된 실내 공기(I)는 상기 필터 케이스(310)의 연통홀(311)을 통과하여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되고, 이후 상기 흡입 가이드(119a)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의 제 1 경사부(134b) 또는 제 2 경사부(134c)를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해 냉각된다.
상기와 같이 냉각된 실내 공기(I′)는 상기 송풍팬(132)을 통과한 후 상기 디스챠지 그릴 어셈블리(120)의 루버(123) 및 베인(124)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공기 토출구(119)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난방 운전이 입력되면, 상기 실외기(200)의 압축기가 구동되고, 상기 실외기(200)의 사방 밸브는 난방 모드로 절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 구동용 모터(145)가 개방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실내 송풍기의 송풍용 모터(130)는 구동되며, 상기 실외 송풍기의 송풍용 모터가 구동된다.
상기 실외기(200)의 압축기가 구동되고, 상기 실외기(200)의 사방 밸브가 난방 모드로 절환되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사방 밸브와 실내 열교환기(134)와 팽창 기구와 실외 열교환기와 사방 밸브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압축기로 순환되고, 이 때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는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면서 응축되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 주변의 공기는 가열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실내 공기(I)의 유동은 상기 냉방 운전시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에 의해 가열된 실내 공기(I′)는 상기 공기 토출구(119)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는 환기 운전이 입력되면, 상기 환기용 모터(156)가 구동되어 상기 환기 팬(154)은 회전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 구동용 모터(145)가 개방 모드로 구동된다.
실내의 공기(I)는 상기 냉/난방 운전시와 같이 실내기(50) 내부로 흡입되고, 이후 상기 흡입 가이드(119a)의 환기용 홀(119b)을 통과하여 상기 환기용 송풍기(152)를 향해 흡입된다.
상기 환기용 송풍기(152)를 향해 흡입된 실내 공기(I)는 상기 환기 팬 하우 징(160)의 흡입구(162)를 통해 상기 환기 팬 하우징(16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환기 팬(154)에 의해 송풍되어 상기 환기 팬 하우징(160)의 토출구(164)로 토출되된다.
상기 환기 팬 하우징(160)의 토출구(164)로 토출된 실내 공기(I″)는 상기 환기 덕트(170)의 안내를 받으면서 실외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는 산소 운전이 입력되면, 상기 산소 발생 유닛(252)을 구동시킨다.
상기 산소 발생 유닛(252)의 구동시 상기 산소 발생 유닛(252)은 실외 공기(O)를 흡입하여 질소와 산소를 분리하고, 산소와 분리된 질소(O′)를 실외로 배출하고, 질소와 분리된 산소(O″)를 상기 산소 호스(254)로 공급한다.
상기 산소 호스(254)로 공급된 산소(O″)는 상기 산소 호스(254)에 안내되어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의 상측 또는 전방으로 배출되고, 이후 상기 실내기(50)의 공기 토출구(119) 또는 상면 공기 흡입구(114)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는 산소 운전의 입력시, 상기 실내 송풍기의 송풍용 모터(130)를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실내 송풍기의 송풍용 모터(130)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114)를 통해 상기 실내기(50)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산소 호스(254)를 통해 공급된 산소(O″)와 함께 상기 공기 토출구(119)로 토출되고, 산소(O″)는 상기 실내기(50)로 흡입된 후 토출되는 실내 공기와 함께 실내로 신속하게 공급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산소 운전의 입력시, 상기 프론트 패널 구동용 모터(145)를 개방 모드로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프론트 패널 구동용 모터(145)의 개방 모드시 상기 프론트 패널(140)은 상기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과 같이,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09)를 개방하고, 상기 실내기(50)의 공기는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114) 뿐만 아니라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09)를 통해서도 상기 실내기(50) 내부로 흡입되고, 이후 상기 산소 호스(254)를 통해 공급된 산소(O″)와 함께 상기 공기 토출구(119)로 토출되며, 산소(O″)는 실내로 보다 신속하게 공급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는 독립 청정 운전이 입력시, 상기 실외기(200)의 압축기 및 실외 송풍기의 송풍용 모터가 구동 정지되고, 상기 실내 송풍기의 송풍용 모터(130)가 구동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 구동용 모터(145)가 밀폐 모드 혹은 개방 모드로 구동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 구동용 모터(145)의 밀폐 모드시,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 유닛(300)을 통과한 후 실내기(50)로 흡입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를 열교환 없이 통과한 후 상기 공기 토출구(119)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반면에, 상기 프론트 패널 구동용 모터(145)의 개방 모드시, 상기 전기 집진기(112)에는 전원이 인가되고, 실내 공기는 일부가 상기 필터 유닛(300)에 의해 정화되고, 나머지가 상기 전면 에어 필터(111)에 의해 이물질이 걸름된 후 전방 고성능 필터(113)와 전기 집진기(112)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름되거나 집 진되어 정화된다.
상기 필터 유닛(300)에 의해 정화된 공기와 상기 전면 에어 필터(111)와 전방 고성능 필터(113)와 전기 집진기(112)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를 열교환 없이 통과한 후 상기 공기 토출구(119)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의 상면 공기 흡입구에 필터 유닛이 설치되고, 본체의 전면 공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에어 필터가 설치되어, 공기 청정 능력이 향상되고, 본체에 환기 유닛이 형성되어, 공기 청정 능력이 보다 향상됨과 아울러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필터 유닛이 고성능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실내에 별도의 공기 청정기를 구비할 필요 없이 실내 공기를 청정시킬 수 있고, 소비 전력 및 비용이 저감되며, 실내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환기 유닛은 상기 실내기의 내부에 설치된 환기용 송풍기와; 상기 환기용 송풍기에 의해 송풍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환기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실내 공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시키므로, 실내를 보다 신속하게 환기시킬 수 있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환기 유닛은 본체의 전면 공기 흡입구 내측에 전기 집진기가 설치되어, 본체의 전면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이온화되어 포집되므로, 공기 청정 능력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상면 공기 흡입구 및 전면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 공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필터 유닛과;
    상기 본체의 전면 공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에어 필터와;
    실내 공기를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 및 전면 공기 흡입구로 흡입하여 상기 공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실내 송풍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환기용 송풍기와;
    상기 환기용 송풍기에 의해 송풍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도록 설치된 환기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은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에 장착되는 고성능 필터와;
    상기 고성능 필터를 보호하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에 설치되고 실내 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 그릴이 형성된 필터 커버와;
    상기 흡입 그릴을 통해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상기 필터 커버에 설치된 에어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섀시와,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 및 전면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프론트 그릴과; 상기 프론트 그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디스챠지 그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 및 전면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그릴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 및 상면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실내 공기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로 안내하는 흡입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가이드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 및 상면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실내 공기 중 일부가 상기 환기용 송풍기로 흡입되도록 환기용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프론트 그릴의 전면을 여닫도록 설치된 프론트 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본체의 전면 공기 흡입구 내측에 설치된 전기 집진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섀시와;
    상기 섀시의 전방에 배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프론트 그릴과;
    상기 프론트 그릴의 하부에 설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디스챠지 그릴과;
    상기 섀시에 설치된 실내 송풍기와;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실내 송풍기의 사이에 설치된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열교환기 서포터와;
    상기 열교환기 서포터 옆에 설치된 환기용 송풍기와;
    상기 환기용 송풍기에 의해 송풍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환기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 그릴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실내 공기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로 안내하고 상기 환기용 송풍기의 구동시 상기 공기 흡입구와 열교환기 사이의 공기가 상기 환기용 송풍기로 흡입될 수 있도록 환기용 홀이 구비된 흡입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50001635A 2005-01-07 2005-01-07 공기조화기 KR100748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635A KR100748965B1 (ko) 2005-01-07 2005-01-07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635A KR100748965B1 (ko) 2005-01-07 2005-01-07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171A KR20060081171A (ko) 2006-07-12
KR100748965B1 true KR100748965B1 (ko) 2007-08-13

Family

ID=3717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635A KR100748965B1 (ko) 2005-01-07 2005-01-0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822A (ko) * 2019-05-10 2020-11-18 (주)에스엔 클라우드 기반의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897B1 (ko) * 2008-02-26 201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589304B1 (ko) * 2008-11-13 2016-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CN104048394A (zh) * 2014-07-01 2014-09-17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及其空气净化装置
CN115033068B (zh) * 2022-04-20 2023-09-08 长治学院 一种基于计算机系统的集成式伺服主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723A (ko) * 2000-10-02 2002-04-12 구자홍 공기 조화기의 환기 장치
KR20030042715A (ko) * 2001-11-23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3322359A (ja) 2002-04-25 2003-11-14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
JP2004069110A (ja) 2002-08-02 2004-03-04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の室内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723A (ko) * 2000-10-02 2002-04-12 구자홍 공기 조화기의 환기 장치
KR20030042715A (ko) * 2001-11-23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3322359A (ja) 2002-04-25 2003-11-14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
JP2004069110A (ja) 2002-08-02 2004-03-04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822A (ko) * 2019-05-10 2020-11-18 (주)에스엔 클라우드 기반의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210741B1 (ko) 2019-05-10 2021-02-04 아이서브(유) 클라우드 기반의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171A (ko)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965B1 (ko) 공기조화기
KR10072746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44795B1 (ko) 공기 청정 유닛
KR20060122291A (ko) 공기조화기
KR100629339B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
KR100660968B1 (ko)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KR10110576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필터 제어 방법
KR10125980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8821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788811B1 (ko) 공기조화기
KR100629338B1 (ko) 공기 조화기의 배관구조
KR2006012876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58952B1 (ko) 공기조화기
KR100748958B1 (ko) 공기 조화기
KR100591322B1 (ko)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구조
KR100657462B1 (ko) 공기 조화기
KR100728672B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
KR20060081483A (ko) 공기조화기의 필터 고정 구조
KR2005003156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48959B1 (ko) 공기 조화기
KR100733792B1 (ko) 공기조화기의 배관 고정 구조
KR100319691B1 (ko) 전면그릴을 갖춘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60072809A (ko) 공기 청정 시스템
KR20050093992A (ko)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
KR100654728B1 (ko) 에어컨 흡입부의 전기집진기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